KR20210081836A -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836A
KR20210081836A KR1020190174173A KR20190174173A KR20210081836A KR 20210081836 A KR20210081836 A KR 20210081836A KR 1020190174173 A KR1020190174173 A KR 1020190174173A KR 20190174173 A KR20190174173 A KR 20190174173A KR 20210081836 A KR20210081836 A KR 2021008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unit
type
ray fluoroscopy
fluoros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호
문상진
김영환
문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템
Priority to KR102019017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836A/ko
Publication of KR2021008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75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using a detector unit almost surrounding the patient, e.g. more than 18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가 C형 투시부와, 센터 정렬 확인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간단히 확인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량 증대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C-arm fluoroscopy apparatus having fluoroscopy center array check function}
본 발명은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 아래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뼈를 보기 위해서, 병원 등에서 엑스선 투시 장치가 이용되는데, 이 중 C자형으로 된 C형 투시부를 가져서, 촬영 대상 환자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C자형으로 된 C형 투시부를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켜줌으로써 엑스선 투시를 할 수 있는 것이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이다.
이러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상기 C형 투시부에서의 정확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어서, 일단 상기 C형 투시부에서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영상 촬영을 한 다음 그로부터 수득된 촬영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만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될 때까지 반복적인 영상 촬영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량 증대가 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877639호, 등록일자: 2018.07.05., 발명의 명칭: C형 엑스선 투시장치
본 발명은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량 증대를 방지하면서도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는 C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촬영 대상 환자가 위치될 수 있는 C형 프레임과, 상기 C형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촬영 요구 부위에 대한 촬영을 위한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 발생 부재와,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에서 방사되어 상기 촬영 요구 부위를 경유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 부재를 포함하는 C형 투시부; 및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터 정렬 확인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가 C형 투시부와, 센터 정렬 확인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간단히 확인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량 증대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C형 투시부 및 센터 정렬 확인 부재를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C형 투시부 및 센터 정렬 확인 부재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정자세 감지 부재에 적용된 함몰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C형 투시부 및 센터 정렬 확인 부재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서 센터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에 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C형 투시부 및 센터 정렬 확인 부재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C형 투시부 및 센터 정렬 확인 부재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자세 감지 부재에 적용된 함몰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는 C형 투시부(170)와, 센터 정렬 확인 부재(19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는 본체 부재(110)와, 투시부 회동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부재(110)는 병원 등의 설치 장소의 설치면 상에 세워지는 것으로, 상기 투시부 회동 부재(120)와 상기 C형 투시부(170)를 지지해주는 것이다.
상기 C형 투시부(170)는 C형으로 형성되어, 촬영 대상 환자의 촬영 요구 부위에 대해 방사선을 방사하여 촬영을 하고, 촬영 이미지 정보를 형성하는 것으로, C형 프레임(171)과, 방사선 발생 부재(185)와, 방사선 검출 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C형 투시부(170)에서 형성된 상기 촬영 이미지 정보는 해당 병원의 의학영상정보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에 자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C형 프레임(171)은 C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누운 자세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185)는 상기 C형 프레임(17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상기 촬영 요구 부위에 대한 촬영을 위한 엑스선인 방사선을 방사하는 것이다.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는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185)에서 방사되어 상기 촬영 요구 부위를 경유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C형 프레임(171)에서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185)와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는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C형 프레임(171)의 내부 공간에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누운 자세로 위치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185)에서 방사된 방사선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상기 촬영 요구 부위를 통과한 후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 정보가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시부 회동 부재(120)는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C형 투시부(170)를 연결하고, 상기 C형 투시부(170)를 상기 촬영 요구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촬영 포지션으로 포지셔닝시키는 것으로, 승강체 부재(140)와, 오비탈 회전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형 투시부(170)를 상기 촬영 포지션으로 포지셔닝한다는 것은 상기 투시부 회동 부재(120)가 상기 C형 투시부(170)를 회전, 전후진 등 회동시켜서, 상기 C형 투시부(170)가 상기 촬영 요구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 및 자세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 번호 130은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승강체 부재(140)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 부재(110)의 상공에 상기 승강체 부재(140)가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주며, 상기 승강체 부재(14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 부재이다.
상기 승강 부재(130)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110)에 대해 상기 승강체 부재(140)가 승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체 부재(140)의 전단에 형성된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 및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의 전단에 형성된 상기 C형 투시부(170)도 함께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부재(130)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상기 본체 부재(110)에 고정된 승강용 유공압 실린더이고, 이 경우 상기 승강용 유공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상기 승강체 부재(140)가 연결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승강 부재(130)로, 상기 승강체 부재(140)가 그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부재(110)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 부재(110)의 내부로 수축될 수 있도록 승강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형성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줄 수 있되 상기 본체 부재(110)에 고정되는 승강용 모터의 구성도 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명령값 입력이 터치식으로 가능하고, 상기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의 작동 상태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패널이다.
상기 승강체 부재(14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상공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체 부재(140)의 전단에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체 부재(140)에는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의 전후진을 위한 전후진 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후진 수단이 상기 승강체 부재(140)에 고정된 전후진용 유공압 실린더로 제시된 경우, 상기 전후진용 유공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가 상기 전후진 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체 부재(140)로부터 이격되도록 전진되거나 상기 승강체 부재(140) 쪽으로 근접되도록 후진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 상기 전후진 수단으로,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가 그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체 부재(140)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승강체 부재(140)의 내부로 수축될 수 있도록 전후진되는 전후진축과, 상기 전후진축에 형성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줄 수 있되 상기 승강체 부재(140)에 고정되는 전후진용 모터의 구성도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오비탈 회전부(150)는 상기 승강체 부재(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C형 투시부(17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상기 C형 프레임(171)의 양 말단부에 오비탈 회전 벨트의 각 말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오비탈 회전 벨트가 오비탈 회전 풀리에 감기고, 상기 승강체 부재(140)에 고정된 오비탈 구동 모터가 상기 오비탈 회전 풀리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오비탈 구동 모터가 상기 오비탈 회전 풀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오비탈 회전 풀리에 감긴 상기 오비탈 회전 벨트가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170)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터 정렬 확인 부재(190)는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과,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19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은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일정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를 향하여 제 1 레이저(193)를 발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192)은 상기 C형 투시부(170)에서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를 향하여 제 2 레이저(194)를 발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은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의 저면 일 측에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192)은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의 저면 타 측에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과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192)은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면서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로 수렴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상기 C형 프레임(17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과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192)이 각각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를 발진시켜서,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수렴되는 경우에는,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 것으로 촬영자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상기 C형 프레임(17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191)과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192)이 각각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를 발진시켜서,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수렴되지 못하고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서로 만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촬영자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상세히는,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수렴되지 못하고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요구되는 촬영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포지셔닝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의 상공에서 서로 교차된 다음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요구되는 촬영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포지셔닝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레이저(193)와 상기 제 2 레이저(1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수렴되도록, 촬영자에 의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높낮이가 조절되거나, 상기 C형 투시부(17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는 정자세 감지 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270)는 상기 본체 부재(110)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부재(110)가 정자세(상기 본체 부재(11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의 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본체부(280)와, 감지부(290)와, 접촉 감지 센서부(296)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본체부(280)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27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측 케이스(281)와, 함몰부(282)와, 경사형 연장체(28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후술되는 감지부측 축(294)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후면, 즉 상기 감지부(29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됨으로 인해 점선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한 쌍이 서로 대면되며 형성된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28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것이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는 상기 함몰부(28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감지부(29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몸체(291)와, 상기 감지부측 축(294)과, 무게추(295)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몸체(291)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서 상기 감지 몸체(291)는 두 개가 이격되어 이루어지고,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감지 몸체(291)는 상기 함몰부(28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감지 몸체(291)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일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1 날개(29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타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2 날개(29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측 축(294)은 상기 감지 몸체(291)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282)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282)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함몰부(282)에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291)는 상기 감지부측 축(294)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295)는 상기 감지 몸체(291)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291)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291)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무게추(29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감지 본체부(28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감지 몸체(291)는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96)는 상기 감지 본체부(28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29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96)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접촉 센서(297)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접촉 센서(29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 부재(110)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291)에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또는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110)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부재(11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280)도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1 날개(292)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가 접촉되고, 상기 본체 부재(110)가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280)도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2 날개(293)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10)의 작동 시 상기 본체 부재(110)의 기울어진 방향도 함께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270)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110)가 정자세를 벗어난 것이 감지되면, 알람 등을 통해 촬영자에게 직접 알려주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패널(101)에 그 결과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패널(101)에서 상기 촬영자에게 감지 결과를 알려 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이 전면 및 후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장형 삽입홈(283)과, 상기 장형 삽입홈(283)의 각 내면에서 상기 장형 삽입홈(283)의 내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294)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 돌기(284)를 포함한다.
상기 축 걸림 돌기(284)는 상기 함몰부(282)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걸린 상태로 상기 감지부(290)가 중력 방향으로 향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본체 부재(11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될 경우,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감지부측 축(294)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감지 몸체(291) 역시 하강되어,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에 동시 접촉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10)에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에 동시에 접촉되어 감지된 충격 정보 역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패널(101)을 통해 촬영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경사형 연장체(285)에서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 곡면체(271)가 돌출되는데, 상기 각 돌출 곡면체(271)는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와 대면되도록 일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돌출 곡면체(271)에서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와 대면되는 내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영구 자석(27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에는 각각 홀 센서(hall sensor)(273)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본체 부재(110)가 정자세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각 홀 센서(273)는 복수 개의 상기 각 영구 자석(272) 중 각 중앙부의 것을 각각 감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본체 부재(110)가 정자세를 벗어나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각 홀 센서(273)는 복수 개의 상기 각 영구 자석(272) 중 각 중앙부의 것이 아닌 다른 것을 각각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96)와 상기 감지 몸체(291)의 접촉 전의 미세한 기울어짐도 상기 각 홀 센서(273)에 의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홀 센서(273)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패널(101)을 통해 촬영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의 각 저면에서는, 누름 돌기(274)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각 누름 돌기(274) 중 하나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 중 하나와 접촉되면서 상기 본체 부재(110)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경사형 연장체(285)에서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의 각 하부 공간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일정 깊이로 함몰된 연장체 함몰 홀(27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체 함몰 홀(275)의 각 저면에는 저면 접촉 감지 센서(276)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본체 부재(11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는 경우,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상기 각 누름 돌기(274)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를 누르게 되어,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는 탄성 변형되면서 각각 상기 각 연장체 함몰 홀(275)의 각 저면을 향해 하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가 상기 각 저면 접촉 감지 센서(276)에 접촉되어, 상기 본체 부재(110)에 충격이 가해졌음이 더욱 신뢰성있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촬영 대상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로 상기 C형 투시부(17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면, 촬영자의 조작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패널(101)에 미리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투시부 회동 부재(120)가 상기 C형 투시부(170)를 상기 촬영 포지션으로 포지셔닝시킨다.
이러한 포지셔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185)에서 방사선을 방사시키면, 상기 방사선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상기 촬영 요구 부위를 투사한 다음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에 의해 검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180)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 정보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100)가 상기 C형 투시부(170)와, 상기 센터 정렬 확인 부재(19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간단히 확인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172)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량 증대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C형 투시부(170)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를 구성하는 C형 투시부 및 센터 정렬 확인 부재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서 센터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 정렬 확인 부재가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391) 및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392)과 함께, 레이저 수렴 여부 확인 촬영 수단(39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수렴 여부 확인 촬영 수단(395)은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391) 및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392)이 각각 저면 양 측 말단에 형성된 방사선 검출 부재(380)의 저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391) 및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392)에서 각각 발진된 제 1 레이저(393) 및 제 2 레이저(394)가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예를 들어, 가슴 외면 중앙부)에서 수렴되는지 여부를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서 센터 정렬이 이루어지는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391) 및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392)에서 각각 상기 제 1 레이저(393) 및 상기 제 2 레이저(394)가 발진되고(S100), 이러한 상기 제 1 레이저(393) 및 상기 제 2 레이저(394)가 발진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에 닿은 발진 상태가 상기 레이저 수렴 여부 확인 촬영 수단(395)에 의해 촬영된다(S110).
상기 촬영(S110) 결과에 의해, 상기 제 1 레이저(393) 및 상기 제 2 레이저(3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에서 서로 수렴되는지 여부가 상기 레이저 수렴 여부 확인 촬영 수단(395)에 의해 판단된다(S120).
상기 판단(S120) 결과, 상기 제 1 레이저(393) 및 상기 제 2 레이저(3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에서 서로 수렴된 것으로 판단되면,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된 상태인 센터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레이저 수렴 여부 확인 촬영 수단(395)에 의해 판단되고, 그에 따라 방사선 발생 부재와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380)가 작동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투시 촬영 모드가 수행된다(S130).
반면, 상기 판단(S120) 결과, 상기 제 1 레이저(393) 및 상기 제 2 레이저(394)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에서 서로 수렴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지 못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수렴 여부 확인 촬영 수단(395)에 의해 판단되고, 그에 따라 투시부 회동 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C형 투시부를 다시 포지셔닝시키는 센터 정렬 모드가 수행된다(S140).
상기 센터 정렬 모드의 수행(S140) 이후에, 상기 제 1 레이저(393) 및 상기 제 2 레이저(394)의 발진 단계(S100)부터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서 센터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에 의하면, 촬영 대상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량 증대를 방지하면서도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110 : 본체 부재
120 : 투시부 회동 부재
170 : C형 투시부
190 : 센터 정렬 확인 부재

Claims (4)

  1. C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촬영 대상 환자가 위치될 수 있는 C형 프레임과,
    상기 C형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촬영 요구 부위에 대한 촬영을 위한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 발생 부재와,
    상기 방사선 발생 부재에서 방사되어 상기 촬영 요구 부위를 경유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 부재를 포함하는 C형 투시부; 및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와 상기 촬영 대상 환자의 센터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터 정렬 확인 부재;를 포함하는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정렬 확인 부재는
    상기 C형 투시부의 일정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를 향하여 제 1 레이저를 발진시킬 수 있는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과,
    상기 C형 투시부에서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를 향하여 제 2 레이저를 발진시킬 수 있는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발진 수단과 상기 제 2 레이저 발진 수단은 상기 방사선 검출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면서 상기 C형 투시부의 센터로 수렴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는
    본체 부재; 및
    상기 본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부재가 정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감지 본체부와,
    상기 본체 부재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KR1020190174173A 2019-12-24 2019-12-24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KR20210081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173A KR20210081836A (ko) 2019-12-24 2019-12-24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173A KR20210081836A (ko) 2019-12-24 2019-12-24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836A true KR20210081836A (ko) 2021-07-02

Family

ID=7689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173A KR20210081836A (ko) 2019-12-24 2019-12-24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8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39B1 (ko) 2016-11-25 2018-07-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C형 엑스선 투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39B1 (ko) 2016-11-25 2018-07-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C형 엑스선 투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3849A1 (ja) 放射線照射装置、並びに放射線照射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327897B (zh) 移动型x射线装置
CN109717888A (zh) 医用装置以及程序
US7566171B2 (en) Device for recording projection images
JP2015188611A (ja) デジタルパノラマx線撮影装置及び歯科用ct装置
KR20210081836A (ko) 엑스선 투시 센터 정렬 확인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KR20180072357A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제어방법
CN107920791B (zh) 放射线照射装置
JP2009247391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KR102578414B1 (ko) 시인성이 높은 cbct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30277145A1 (en) Operating method of mobile medical image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tomosynthesis
KR20210081838A (ko) 오토 포지셔닝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KR102346923B1 (ko) 오비탈 구동 모터의 부하 저감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JP5311328B2 (ja)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
KR20210081840A (ko) 원격지의 판독전문기관과의 자동 판독 연동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CN116803348A (zh) X射线摄影装置以及x射线摄影装置用定位辅助单元
KR20210081839A (ko) 연속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 대상 환자별 촬영값 미세 조절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JP2009112390A (ja) X線透視撮影装置
JP2007111150A (ja) 平行リンク型テーブル及び断層像撮影装置
KR101528809B1 (ko) 방사선 경사각 투시·촬영장치와 그 방법
JP5509558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9254445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05177211A (ja) X線画像診断装置
JPH0678915A (ja) Ct装置
WO2017077652A1 (ja) 移動型x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