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746A -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746A
KR20210081746A KR1020190174001A KR20190174001A KR20210081746A KR 20210081746 A KR20210081746 A KR 20210081746A KR 1020190174001 A KR1020190174001 A KR 1020190174001A KR 20190174001 A KR20190174001 A KR 20190174001A KR 20210081746 A KR20210081746 A KR 2021008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information
travel package
foreign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047B1 (ko
Inventor
장호연
최광진
Original Assignee
펀랩 주식회사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펀랩 주식회사,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펀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0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 및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 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국인 여행객 대상으로 외국인 여행객 각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 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Travel package delivery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국인 여행객 대상으로 외국인 여행객 각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 주도록 하기 위한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외국인 여행객에게 여행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은 여행사 대리점 또는 여행사에서 구성한 패키지 상품 중에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에 대한 가장 큰 원인이라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패키지 상품의 지나친 편협화를 초래하게 되고 이는 결국 외국인 여행객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여행 패키지 상품의 구성에 있어 내 성향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어쩔 수 없이 함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온라인 검색, 여행사 대리점의 내방, 여행 콘텐츠, 전문가의 추천에 의존하여 선택이 이루어져 더 많은 상품과 저렴한 상품을 선택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93238호 "관광객안내시스템 및 방법(TOURIST GUID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국인 여행객 대상으로 외국인 여행객 각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 주도록 하기 위한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국인 개인의 여행 성향을 분석(SNS 이미지,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 등), 콘텐츠 또는 입력한 데이터로 여행의 성향을 정의하고, 이를 근간으로 가장 선호할 만한 여행 패키지 상품을 자동 매칭하여 AI와 접목하여 추천해 주며, 개인 성향에 맞는 실시간 채팅(번역) 앱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패키지 여행 생성 및 추천 큐레이션(curation)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국 여행사 대리점과 외국인 여행객을 연결해 줄 수 있는 O2O 서비스(Online-to-Offline business service)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 및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 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제 2 개수로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추천 여행 코스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챗봇 채팅을 통해 여행 패키지 상품 중 원하는 시간 단위에 대한 선택 요청을 통해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시간 단위로 최종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행 타입은 가족 타입, 커플 타입, 나홀로 타입 및 동행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에 따라 각 외국어 선택에 따른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외국인 여행객 대상의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주도록 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관광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SNS 연동 서비스 가입에 따른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에 따라 여행 성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여행사 대리점 단말 그룹(500g)을 구성하는 각 여행사 대리점 단말(5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을 허여하고, 회원 가입 절차에 따라 생성된 여행사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여행 패키지 상품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은,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및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 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추천 여행 코스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챗봇 채팅을 통해 여행 패키지 상품 중 원하는 시간 단위에 대한 선택 요청을 통해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3 단계에서 최종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단계의 여행 타입은 가족 타입, 커플 타입, 나홀로 타입 및 동행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외국인 여행객 대상으로 외국인 여행객 각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 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외국인 개인의 여행 성향을 분석(SNS 이미지,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 등), 콘텐츠 또는 입력한 데이터로 여행의 성향을 정의하고, 이를 근간으로 가장 선호할 만한 여행 패키지 상품을 자동 매칭하여 AI와 접목하여 추천해 주며, 개인 성향에 맞는 실시간 채팅(번역) 앱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패키지 여행 생성 및 추천 큐레이션(curation)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국 여행사 대리점과 외국인 여행객을 연결해 줄 수 있는 O2O 서비스(Online-to-Offline business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중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중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에서 제공하는 번역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중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되는 DB 체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중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정보 분석 모듈(323)에 의해 수행되는 여행 패키지 상품 카테테고리 분류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 간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트립메이트 선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실시간으로 텍스트 및 음성을 활용한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상에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에 의해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버(S/V)(400a) 기반의 데이터마이닝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상에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정보 분석 모듈(323)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이루어진 외국인 여행객 단말 그룹(100g), 네트워크(200),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 AI 서버(400), 클라우드 서버(400a), 복수의 여행사 대리점 단말(500)로 이루어진 여행사 대리점 단말 그룹(500g), 복수의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로 이루어진 지인 가이드 단말 그룹(600g)로 이루어진 숙박업소 단말 그룹(700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이루어진 외국인 여행객 단말 그룹(100g),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 AI 서버(400), 클라우드 서버(400a), 복수의 여행사 대리점 단말(500)로 이루어진 여행사 대리점 단말 그룹(500g), 복수의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로 이루어진 지인 가이드 단말 그룹(600g)로 이루어진 숙박업소 단말 그룹(7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중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정보 수집 모듈(321),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 정보 분석 모듈(323) 및 오픈 커머스 마켓 제공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모듈(321)은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에 따라 각 외국어 선택에 따른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외국인 여행객 대상의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주도록 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관광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SNS 연동 서비스 가입에 따른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에 따라 여행 성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모듈(321)은 여행사 대리점 단말 그룹(500g)을 구성하는 각 여행사 대리점 단말(5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을 허여하고, 회원 가입 절차에 따라 생성된 여행사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여행 패키지 상품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은 정보 수집 모듈(321)에 의한 여행 성향 정보 수집을 위한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을 위한 AI 기반의 실시간 채팅 앱 또는 챗봇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대화창을 통해 여행 성향 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은 기계 번역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각 언어 데이터의 연계를 통해 대화창 내에서 실시간 번역을 도 3과 같이 제공함으로써, 여행 성향 정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여행 성향 정보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분석 모듈(323)에서 제공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에 대한 추천, 예약, 구매 등을 수행하여 여행 패키지 상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의사 소통의 어려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은 기존의 '영어', '중국어', '일본어'와 같이 국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언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은 여행 성향 정보를 수집시 현재 국내에 입국된 경우 외국인 여행객에 대한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소비가 발생되는 위치 기반의 소비 성향 패턴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수신된 소비 성향 패턴 정보에 따라 실제 구매까지 이어질 때까지 시간에 따른 "동선 정보", 그리고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상술한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를 정보 분석 모듈(323)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 분석 모듈(323)은 도 5와 같이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가족, 커플, 나홀로, 동행 등)에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정보 분석 모듈(323)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 1 개수(n개)는 8개 제 2 개수(m개)는 4개로 총 32개(L개)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에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되는 DB 체계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미리 설정된 총개수(L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 분석 모듈(323)은 여행사 회원 가입에 따라 각 여행사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 패키지 상품을 등록시에 각 여행 패키지 상품에 매칭되는 나이대, 성별, 여행타입,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에 따른 여행 성향 정보, 그리고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보 분석 모듈(323)에 의한 SNS 이미지 정보에 대한 분석시 SNS 이미지에 주로 인식되는 객체인 언어 표지판, 음식물, 놀이 시설, 책, 음향 기기, 영상 기기 등에 대한 빈도수 추출에 따른 언어, 음식, 놀이, 독서, 음악, 영화 등에 해당하는 여행 카테고리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에 따른 여행 성향 정보에 있어서도 동일한 여행 카테고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에 따라 추출을 수행하며,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는 각 위치에서 구매를 위한 채팅 내에서의 출현의 빈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각 위치에 매칭되는 여행 카테고리 패턴 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
SNS 이미지에 주로 인식되는 객체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다양한 객체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정보 분석 모듈(323)은 다양한 객체 패턴 자체 정보 또는 객체 패턴의 미리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 판별할 수 있다.
즉, 정보 분석 모듈(323)은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에 따른 여행 성향 정보, 그리고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 각각에 대해서 여행 카테고리 패턴 정보를 누적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가장 많은 누적수를 기록하는 여행 카테고리 패턴 정보에 해당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를 하나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정보 분석 모듈(323)은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추천 여행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에 대한 요청을 통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AI 기반의 채팅을 통해 여행 패키지 상품 중 원하는 시간 단위에 대한 선택 요청을 통해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에 대해서 제공할 수 있다(도 9 참조).
즉, 정보 분석 모듈(323)은 선택된 여행 패키지 상품 카테고리 중 2시간, 4시간 등의 단위 관광코스로 구성되는 '2시간 명동쇼핑투어', '4시간 한류드라마투어'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출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분석 모듈(323)은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가족, 커플, 나홀로, 동행 등) 중 여행 타입이 동행인 경우, 외국어 가능한 한국인에 해당하는 현지인 가이드가 운영하는 현지인 가이드 단말 그룹(600g) 중 외국인 여행객의 모국어로 등록된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트립메이트로 추출하여, 선정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일정, 장소를 포함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 그리고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 정보를 추출된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여행 패키지 상품에 포함된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을 운영하는 외국인 여행객은 관광지 정보에 대해서 모국어로 더욱 자세하게 배울 수 있고, 현지인에 해당하는 현지인 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현지인들만이 아는 장소인 쇼핑, 먹거리, 문화체험 등도 함께 경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 여행객이 관광 중 강요, 강매를 당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외국이 관광객이 직접 여행 패키지 상품에 포함된 관광코스만을 여행지로 선정하고 트립메이트만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 간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트립메이트 선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이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에 대한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에 대해서 트립메이트 서비스 요청(S1) 및 비용에 대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에 대한 결제 완료(S2)가 수행된다.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에 대한 트립메이트 서비스 요청 알림을 전송하고(S3).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을 운영하는 현지인 가이드에 의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을 운영하는 외국인 여행객에 대한 트립메이트 서비스가 제공됨을 알리는 메시지가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로 제공된 경우(S4),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을 운영하는 현지인 가이드에 대한 미리 설정된 수익금 분할량에 대한 금융 서버, 카드사 서버를 통한 제를 수행할 수 있다(S5).
한편, 정보 분석 모듈(323)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은 채팅룸 삽입(plug in)으로 하나의 여행 패키지 상품에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인 여행객이 각각 운영하는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이 포함된 경우,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설치된 트립메이트 앱 상에서 채팅룸 알고리즘에 제공하도록 각기 다른 모국어 번역 및 통역 모듈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제공함으로써, 외국인 관광객이 관광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등으로 한 여행 패키지 상품을 선택한 경우 실시간으로 텍스트 및 음성을 활용한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를 도 7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은 채팅 기반의 실시간 지능형 통역매표소 솔루션과 콘텐츠 추천 기능(데이터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STT(Speech To Text)/TTS(Text To Speech) 입력 방식 다양화, 그리고 키보드를 통한 텍스트 입력 및 음성인식 등 편의성을 위한 입력 방식 다양화, 모국어 번역 및 통역 모듈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S/V)(400a)로부터 모국어 번역 및 통역 모듈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마이닝 작업을 도 8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보 분석 모듈(323)은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을 운영하는 외국인에 대한 위치 기반의 서비스 제공 확인을 받은 뒤, 통역 매표소만을 위한 별도 DB 서버(S/V)를 구축함으로써, 외국인 여행객의 동선 및 행선지 파악을 통해 각 위치의 매표소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각 상품에 대한 요금 정보를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322)을 통해 STT 및 TTS 기반의 번역 및 통역 채팅 서비스로 제공하고, 제공된 번역 및 통역 채팅 데이터를 AI 서버(400)로 전송하여 통계자료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향후 관광 데이터 활용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데이터 비즈니스를 진행 가능하도록 하고, 데이터를 토대로 외국인 여행객 대상 여행 패키지 상품, 지자체 협력을 통한 시즌여행 상품 등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분석 모듈(323)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AI 서버(400)로 외국인 여행객의 국적별, 날짜, 티켓발급 날짜, 시간, 인원수, 행선지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분석 모듈(323)은 외국인 여행객 개인 정보, 그리고 여행 성향인 SNS 이미지,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 콘텐츠 또는 입력한 데이터로 여행의 성향을 정의하고, 여행 패키지 상품을 자동 추천할 뿐만 아니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분석 모듈(323)은 여행 전용의 지능형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AI 서버(400)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여행 패키지 상품을 구성하는 각 경유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각 경유지에 맞는 상품 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AI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뒤, 외국인 여행객에 대한 일정에 따른 시간대별 경유지와 각 여행 패키지 상품에 포함된 경유지의 시간대 정보를 STT 및/또는 TTS 기반으로 하는 통역 및 번역에 기초한 AI 기반의 채팅 서비스로 제공한 뒤, 일정의 시간대 정보에 대해서 선택가능한 복수의 경유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정보 분석 모듈(323)은 일정의 시간대 정보에 따라 각각 선택된 경유지를 조합해서 새로운 여행 패키지 상품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저장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일정 전까지 다른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대한 여행 패키지 상품 데이터 풀(pool)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정보 분석 모듈(323)에 의해 제공되는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에 대한 트립메이트 선정시, 정보 분석 모듈(323)은 국내를 방문한 각 외국인 관객객 중 쇼핑, 관광 등 도움이 필요할 때 친구처럼 동행하여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도록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예, 2시간 단위)로 예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경유지 별로 트립메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로부터 현지인 가이드 자신만의 트립메이트 여행코스 정보를 수신한 뒤, 트립메이트 여행 코스 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신청을 받아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오픈 커머스 마켓 제공 모듈(324)은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을 운영하는 이국인 관광객이 필요로 하는 여행 코스에 대한 웹사이트 기반으로 신청을 받은 뒤, 신청 게시판에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이 액세스(access)를 통해 트립메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 여행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여행 서비스를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을 운영하는 현지인 가이드라면 누구든지 판매할 수 있는 오픈 커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픈 커머스 마켓 제공 모듈(324)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 간의 트립메이트 서비스 계약을 생성하여 서비스 계약이 생성된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 각각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2진화된 트립메이트 서비스 계약의 블록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기초로 서비스 계약이 생성되는 각 현지인 가이드 단말(600) 간의 서비스 계약 장부를 관리하도록 중계함으로써,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 전략으로 상품별 분석, 사용자 분석 상품 추천, 여행 일정에 맞는 추천 상품, 위치 기반 제안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가족, 커플, 나홀로, 동행 등)에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한다(S11).
단계(S11)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한다(S12).
단계(S12)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추천 여행 코스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챗봇 채팅을 통해 여행 패키지 상품 중 원하는 시간 단위에 대한 선택 요청을 통해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출한다(S13).
단계(S13)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단계(S13)에서 최종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전송한다(S14).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100 : 외국인 여행객 단말
100g : 외국인 여행객 단말 그룹
200: 네트워크
300 :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정보 수집 모듈
322 : 실시간 채팅 제공 모듈
323 : 정보 분석 모듈
324 : 오픈 커머스 마켓 제공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AI 서버
400a : 클라우드 서버
500 : 여행사 대리점 단말
500g : 여행사 대리점 단말 그룹
600 : 현지인 가이드 단말
600g : 현지인 가이드 단말 그룹

Claims (10)

  1. 복수의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 및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 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제 2 개수로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추천 여행 코스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챗봇 채팅을 통해 여행 패키지 상품 중 원하는 시간 단위에 대한 선택 요청을 통해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시간 단위로 최종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행 타입은 가족 타입, 커플 타입, 나홀로 타입 및 동행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각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에 따라 각 외국어 선택에 따른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외국인 여행객 대상의 개인이 선호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패키지 상품을 구성해주도록 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관광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의 SNS 연동 서비스 가입에 따른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분석 지표 입력에 따라 여행 성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는,
    여행사 대리점 단말 그룹(500g)을 구성하는 각 여행사 대리점 단말(500)로부터 액세스에 따른 회원 가입을 허여하고, 회원 가입 절차에 따라 생성된 여행사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여행 패키지 상품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7.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외국인 여행객의 회원 가입시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한 성별, 나이, 여행 타입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및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330)에 여행객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SNS 이미지 정보, 여행 성향 정보, 동선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기반의 성향 패턴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개수(n개)의 여행 패키지 상품 각각에서 제 2 개수(m개, 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의 세부 여행 패키지 상품 중 하나로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추천 여행 코스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과 챗봇 채팅을 통해 여행 패키지 상품 중 원하는 시간 단위에 대한 선택 요청을 통해 시간 단위 여행 패키지 상품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
    하이브리드 여행 정보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3 단계에서 최종 추출된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외국인 여행객 단말(10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여행 타입은 가족 타입, 커플 타입, 나홀로 타입 및 동행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
KR1020190174001A 2019-12-24 2019-12-24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01A KR102427047B1 (ko) 2019-12-24 2019-12-24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01A KR102427047B1 (ko) 2019-12-24 2019-12-24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46A true KR20210081746A (ko) 2021-07-02
KR102427047B1 KR102427047B1 (ko) 2022-07-29

Family

ID=7689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01A KR102427047B1 (ko) 2019-12-24 2019-12-24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23B1 (ko) * 2021-11-12 2022-11-24 주식회사 만나통신사 실시간 라이브를 이용한 원격 대리탐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0397B1 (ko) * 2022-09-21 2023-04-11 주식회사 올마이투어 메신저 기반의 맞춤형 여행 서비스 제공 플랫폼 장치
KR102598281B1 (ko) * 2023-04-06 2023-11-03 주식회사 위시빈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여행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731B1 (ko) * 2023-03-23 2023-06-14 뉴럴엔진 주식회사 인공지능과 디지털 휴먼을 적용한 식품판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17A (ko) * 2015-04-16 2016-10-26 (주)포스트미디어 사용자 맞춤형 여행계획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맞춤형 여행계획 생성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70018695A (ko) *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여행 일정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70124194A (ko) * 2016-05-02 2017-11-10 배상은 여행정보 제공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47200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찹스틱스와이드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문화 관광 콘텐츠 제공 플랫폼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17A (ko) * 2015-04-16 2016-10-26 (주)포스트미디어 사용자 맞춤형 여행계획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맞춤형 여행계획 생성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70018695A (ko) *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여행 일정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70124194A (ko) * 2016-05-02 2017-11-10 배상은 여행정보 제공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47200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찹스틱스와이드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문화 관광 콘텐츠 제공 플랫폼의 운영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93238호 "관광객안내시스템 및 방법(TOURIST GUIDE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23B1 (ko) * 2021-11-12 2022-11-24 주식회사 만나통신사 실시간 라이브를 이용한 원격 대리탐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0397B1 (ko) * 2022-09-21 2023-04-11 주식회사 올마이투어 메신저 기반의 맞춤형 여행 서비스 제공 플랫폼 장치
KR102598281B1 (ko) * 2023-04-06 2023-11-03 주식회사 위시빈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여행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047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047B1 (ko) Ai 기반의 여행 패키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6206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97856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답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6176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business promotion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
CN105046600A (zh) 一种酒店用电视的个性化信息推荐方法及系统
CN106886837A (zh) 基于时间规划的自由行行程推荐方法
CN108563753A (zh) 消息推送文案的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24552A (zh) 经由消息收发提供个人助理服务
CN104574233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旅游便利服务平台
CN105468580A (zh) 基于关注点信息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CN105046601A (zh) 用户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05023047A (zh) 一种基于行程单的旅游服务个性化在线点餐实现方法
US201700322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00096409A (ko)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CN113779384A (zh) 一种基于客户画像的航班推荐系统
JP201905695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00109156A (ko) O2o 기반 택시, 관광객 및 관광지를 연결하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58531A (ko) 여행자 스마트 가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70211A1 (en) Attraction and Event Guide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2370007B1 (ko) 사용자 위치기반의 실시간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CN108717640B (zh) 旅游信息的数据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200052786A (ko) 소셜웨어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별 라이프스타일 판별 및 관광지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8522A (ko) 여행 계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1025B1 (ko)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의 비-표준 데이터 관리
WO2021261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tination recommendation to trave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