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272A - 차량 조명 장치 및 관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조명 장치 및 관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272A
KR20210081272A KR1020200178687A KR20200178687A KR20210081272A KR 20210081272 A KR20210081272 A KR 20210081272A KR 1020200178687 A KR1020200178687 A KR 1020200178687A KR 20200178687 A KR20200178687 A KR 20200178687A KR 20210081272 A KR20210081272 A KR 20210081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source
photometric sensor
proxim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시레 몬티
미켈레 안토니피에리
다니엘레 페트리스
파비오 레오네
Original Assignee
마렐리 오토모티브 라이팅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9219036.1A external-priority patent/EP3839329B1/en
Priority claimed from EP20201140.9A external-priority patent/EP3982040A1/en
Application filed by 마렐리 오토모티브 라이팅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마렐리 오토모티브 라이팅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8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70Prevention of harmful light lea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overloaded, e.g. thermal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 조명 장치로서, 상기 차량 조명 장치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고정되도록 된 후방 본체(2); 상기 후방 본체(2)의 마우스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 하프쉘(3); 및 명령시에 상기 전방 하프쉘(3)의 대응 투명 섹터 또는 반투명 섹터를 후방 조명하도록 되고 상기 후방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조립체(4);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조립체(4)는 주어진 길이의 방사상 발광하는 광섬유(6); 전동 구동되며,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섬유(6) 내부로 유입되고 진행되는 콜리메이션된 광빔(r)을 상기 근위 단부(6a)를 향하여 지향하도록 된 콜리메이션된 광원(5); 상기 콜리메이션된 광원(5) 및/또는 상기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섬유(6)으로 유입시에 반사/산란된 광을 캡쳐/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 상기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빠져나오는 광을 캡쳐/검출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 및 상기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콜리메이션된 광원(5)을 명령하도록 된 전자 제어 유닛(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조명 장치 및 관련 제어 방법 {AUTOMOTIVE LIGHTING APPARATUS AND RELATIVE CONTROL METHOD}
이 출원은 2019 년 12 월 20 일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19219036.1호, 2020 년 9 월 10 일에 출원된 번호 20201140.9 호 및 2020 년 10 월 26 일에 출원된 번호 20203958.2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 및 유사 차량용 전조등 또는 미등, 즉 위치, 급감속 및/또는 회전 방향을 신호하는 기능 및/또는 차량 주변 영역을 조명하는 기능을 가진 차량에 포함되는 고명 장치에 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그 일반성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참고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 등을 위한 미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의 후방 부분에 특별히 구현된 구획에 안정적으로 오목하게 움푹 들어가도록 구조화된 경질이며 실질적으로 대야 모양으로 되는 후방 본체; 차량의 차체 외부로 표면화되도록 후방 본체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가 제공되는 전방 하프 쉘; 및 후방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각각은 전방 하프 쉘의 각각의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전방 하프 쉘의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 상에 놓이는 백라이트를 선택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일련의 조명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방 하프 쉘의 각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는 차량의 위치, 차량의 급감속 또는 여행 중 차량의 회전 방향을 신호하도록 조정된 특정 광 신호와 더욱 고유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각 조명 조립체는 명령에 따라 하프 쉘의 해당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를 통해 미등에서 나오면 해당 광 신호에 필요한 승인 사양(색상 및 배광)을 충족하는 광선을 방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지난 몇 년 동안,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는 전방 하프 쉘에 하나 이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고 장형(oblong) 및 리본 모양으로 된 섹터, 예를 들어 좁고 긴 형상의 섹터가 제공되는 후미등을 새 자동차 모델에 장착하기로 선택했다.
전방 하프 쉘의 단일 투명 또는 반투명 리본 모양의 섹터를 백라이트 해야 하는 조명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기타 광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섹터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백라이팅되는 리본 형상 섹터 상에서 스키밍되는(skimmed) 후방 본체 내부로 연장되는 광 가이드 바; 및 소형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고전력 LED(발광 다이오드의 약어)로서, 상기 기판은 광 가이드 바의 두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까우며 후방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LED가 광 가이드 바의 단부에 접하고 광 가이드 바의 본체로 직접 빛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전력 LED;를 포함한다.
빛은 내부 전반사에 의해 광 가이드 바 본체 내부로 이동하고, 전방 하프 쉘을 직접 향하는 광 가이드 바의 측면에서 점진적으로 빠져나와, 하프 쉘의 상부에 놓인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를 백라이팅하게 된다.
매우 잘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전방 하프 쉘의 리본 모양 섹터의 백라이트 시스템은 미등 조립을 상대적으로 힘들게 만든다.
사실 라이트 가이드 바는 단단하고 경질이지만, 상대적으로 연약한 일체형 본체로 악명이 높으므로 신중하게 후방 본체에 삽입해야 한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 바의 단부 또는 양 단부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 LED와 완벽하게 정렬되어야 하며, 이는 헤드 라이트의 조립 시간을 연장하는 데 기여한다.
자동차 조명의 조립을 단순화하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 자동차 조명 제조업체는 최근 조명 조립체의 광 가이드 바를 방사상 발광 광섬유로 교체했습니다. 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만든 가이드 바보다 훨씬 더 유연한다.
동시에, 고출력 LED는 고정 페룰을 통해 방사상 발광 광섬유의 두 단부 중 하나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소형 레이저 이미터로 대체되되, 이는 레이저 이미 터 앞에 광섬유를 지지한다.
불행히도, 매우 잘 작동 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조명 조립체는 자동차 사고로 인한 미등이 파손될 경우 잠재적으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제로 실험 테스트에 따르면, 빛의 전방 하프 쉘이 파손된 경우, 광섬유가 파손되어 레이저 빛이 빛에서 자유롭게 나올 수 있게 하는 시트로부터 이것이 수반하는 모든 안전 문제를 가지고서 이동하게 된다.
실제로 헤드 라이트의 레이저 이미터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빔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끊어진 자유 이동 광섬유는 이론적으로 실수로 레이저 광선을 빛 외부로 향하게 할 수 있어서, 차량 내부 또는 차량 바로 근처에 있는 사람의 눈을 향하여 물리적 손상이 수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전방 하프 쉘을 백라이팅 하기 위해 광섬유를 사용하는 새로운 조명 조립체의 능동적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방 본체; 상기 후방 본체의 마우스부를 폐쇄하도록 배열된 전방 하프 쉘; 및 후방 본체 내부에 위치되고 명령에 따라 전방 하프 쉘의 대응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를 백라이팅 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조립체는, 주어진 길이의 방사상 방출 광섬유; 및 상기 광 섬유의 근위 단부 앞에 위치되고, 동일한 근위 단부를 향해 광 섬유 내부로 들어가고 이동하는 시준된 광 빔을 지향하도록 구성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시준된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조립체가: 광섬유로 유입되는 반사/산란된 광을 포착/검출하기 위하여, 시준된 광원 및/또는 광섬유의 근위 단부 옆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photometric sensor); 광섬유의 원위 단부 앞에 배열되고 광섬유의 원위 단부에서 나오는 광을 포착/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 및 상기 근위 및 원위 광도계 센서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시준된 광원을 명령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조립체가 제공된 자동차 조명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조명 조립체는; 주어진 길이의 방사상 방출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근위 단부 앞에 배치되고, 동일한 근위 단부를 향해 광섬유 내부로 들어가고 이동하는 시준된 광 빔을 지향하도록 된 시준 광원; 광섬유로 유입되는 반사/산란된 광을 포착/검출하기 위하여, 시준된 광원 및/또는 광섬유의 근위 단부 옆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 광섬유의 원위 단부 앞에 배치되고 광섬유의 원위 단부에서 나오는 광을 포착/검출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 및 상기 근위 및 원위 광도계 센서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준된 광원을 명령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조립체가 제공된 자동차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상기 조명 조립체는; 주어진 길이의 방사상 방출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근위 단부의 전방에 배열되고, 동일한 근위 단부를 향해 광섬유 내로 들어가서 이동하는 시준된 광 빔을 지향하도록 된 시준된 광원; 상기 광섬유로 유입되는 반사/산란된 광을 포착/검출하기 위하여, 시준된 광원 및/또는 광섬유의 근위 단부 옆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 및 광섬유의 원위 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섬유의 원위 단부로부터 나오는 광을 포착/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 방법은,
-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광섬유의 근위 단부에서 광섬유 외부로 반사/분산된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광섬유의 원위 단부로부터 나오는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광의 세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광의 세기의 함수로서 시준된 광원을 끄거나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제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명확성을 위해 부품이 제거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실현된 자동차 조명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명확성을 위해 부품을 제거한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조명의 백라이트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명확성을 위해 부품을 제거한 도 1의 자동차 조명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전 도면에 도시된 광에 존재하는 조명 조립체 중 하나의 광섬유와 레이저 이미터 사이의 커플링 시스템의 단면 개략도이며 명확성을 위해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조명에 존재하는 조명 조립체 중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개략도로서 명확성을 위해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6은 명확성을 위해 부품을 제거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구현된 조명 장치가 제공된 자동차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도어의 부분 측면도이며, 명확성을 위해 섹션 라인 V-V를 따라 절단하고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은 전체적으로 자동차용 조명 장치, 즉 자동차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조명, 즉 자동차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배치되도록 특별히 구성된 조명 장치이고, 여기서 조명 신호를 방출하는 기능은 차량의 위치 및/또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및/또는 주행 중 차량의 회전 방향에 대한 신호에 대한 것이다.
즉, 조명 장치(1)는 전조등 또는 후미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차, 밴, 트럭, 오토바이 또는 기타 유사한 자동차의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1)는 차량 외부로 표면화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상기 조명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또는 다른 유사한 자동차의 차체의 후방 부분에 안정적으로 내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조명 장치(1)는 차량용 미등 인 것이 바람직하다.
명백히, 다른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1)는 또한 차량의 차체(미도시)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캔틸레버 식으로 간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는 우선 : 실질적으로 단단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차량, 바람직하게는 차량 외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후방 본체(2); 및 실질적으로 단단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되, 후방 본체(2)의 마우스부를 폐쇄하도록 되며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차체 외부에서 표면화될 수 있도록 된, 통상 렌즈로 지칭되는, 전방 하프 쉘(3);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야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차체(미도시)의 후방 부분에 특별히 제조된 시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명백히,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 본체(2)는 또한 차량(미도시)의 차체의 후방 부분에 캔틸레버로 간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는 명령에 따라 빛을 방출하고 후방 본체(2)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구동 조명 조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은 전방 하프-쉘(3)의 각각의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 아래에, 전방 하프 쉘(3)의 위에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를 선택적으로 백라이트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예에서, 상기 후방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전방 하프 쉘(3)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 경우에도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상기 조명 장치(1)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전기로 구동되는 조명 조립체가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전방 하프 쉘(3)의 가로놓여 대응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의 다른 조명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인 전방 하프 쉘(3)의 가로놓여 대응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만을 백라이팅할 수 있는 위치에서 후방 본체(2) 내부에 위치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하에서 도면부호 4로 표시되는 조명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후방 본체(2) 내부에 배치되고 명령에 의해 레이저 빔(r)(즉, 극도로 집중되고 시준된, 일관된 단색 광 빔)을 발광할 수 있는 레이저 광원(5); 및 주어진 길이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본체(2) 내부로 연장되고 근위 단부로 지칭되며 레이저 광원(5)에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향하는 2개의 단부 중 하나를 구비하여, 레이저 광원(5)에 의해 발광되는 레이저 빔(r)은 광섬유(6)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되어 그 내부에서 진행하게 되는 광섬유(6)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 조립체(4)는 레이저 광원(5)을 명령하는 전자 제어 유닛(7)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본체(2) 내부, 선택적으로 동일한 후방 본체(2)의 바닥에 가깝게 배치된다.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5)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즉, 외부 명령 신호는 레이저 빔(r)의 방출을 명령한다.
또한, 광섬유(6)는 그 자체로 내부를 이동하는 레이저 광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점차적으로 외부로 확산할 수 있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즉, 광섬유(6)는 방사상으로 방출되는 광섬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6)는 근위 단부(6a) 및 근위 단부(6a)의 맞은편의 원위 단부(6b)를 갖는다.
레이저 광원(5)은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향하는 후방 본체(2) 내부에 배치되고, 원위 단부(6b)를 향하여 광섬유 내부로 유입되고 이동하는 레이저 빔(r)을 명령에 따라 근위 단부(6a)를 향하여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emitter)로부터 거리 d로,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로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0,1 ~ 0,3 mm(밀리미터) 사이의 범위가 더 편리한다.
차례로, 광섬유(6)는 입사하는 레이저 광을 그 자신의 원위 단부(6b)를 향하여 동시에, 점진적으로 동일한 광섬유(6)의 외부에서 그리고 빛이 동일한 광섬유(6) 내부로 이동할 때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의 레이저 광으로 확산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또한, 조명 조립체(4)는: 레이저 빔(r)이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로 유입될 때 광섬유(6)의 외측에서 반사/분산되는 레이저 광을 포착/검출하기 위하여,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및/또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 옆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 앞에 배치되고,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포착/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7)은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5)에 추가로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에서 반사/분산되는 광의 세기 사이의 비율이 레이저 빔(r)의 방출을 차단/방지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5)을 자율적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의 반사/분산된 빛의 세기와 광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빛의 세기 간의 비율은 소정의 기준값으로 부터 벗어나게 된다.
분명히, 상기 기준값은 예를 들어 광섬유의 길이 및/또는 광섬유의 방사상 방출/분산 계수와 같은 광섬유(6)의 구조적 특성의 함수인 구성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값은 전자 제어 유닛(7) 내부에 저장된다.
즉, 전자 제어 유닛(7)은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 간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값을 벗어날 때, 레이저 빔(r)의 방출을 차단/방지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5)을 자율적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특히 도시된 예에서, 전방 하프 쉘(3)은 바람직하게는 좁고 길쭉한 형상, 즉 실질적으로 리본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3a)(도시된 예에서 2 개의 섹터)를 갖는다.
전방 하프 쉘(3)의 투명 또는 반투명 리본형 섹터(3a)를 선택적으로 백라이트하도록 된 조명 조립체(4)는: 광섬유의 적어도 일부/세그먼트가 백라이트되는 리본 형상 섹터(3a) 상에서 실질적으로 국부적으로 스키밍되는, 바람직하게는 리본 형상 섹터(3a)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스키밍되도록 후방 쉘(2) 내부로 연장되는 방사상 방출 광섬유(6); 및 명령에 따라 레이저 빔(r)을 방출할 수 있고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에 직접 대면하고 정렬된 후방 본체(2) 내부에 배치되어,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로부터 나오는 레이저 빔(r)은 상기 근위 단부(6a)를 통해 광섬유(6)로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게 되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레이저 광원(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섬유(6)는 더욱이 5mm 미만의 외경을 갖고 더욱 편리하게는 1,2mm 미만의 외경을 갖는다.
더욱이,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섬유(6)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본체(2)와 통합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단단한 베어링 구조에 의해 유지/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6)는 경질의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전방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판(10)은 후방 본체(2) 내부에 배열되고 전면 측면은 전방 하프 쉘(3)과 직접 마주하거나, 오히려 상응하는 리본형 섹터(3a)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본형 섹터(3a)의 전체 길이에 대해, 그리고 그 후면이 후방 본체(2)의 바닥을 향하도록 한다. 분명히, 지지 플레이트(10)는 또한 후방 본체(2)의 하부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또한 조명 조립체(4)는 레이저 광원(5) 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에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되고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의 전방에 중심 맞추어져서 고정된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센터링 및 고정 기계 부재(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링 및 고정 부재(11)는 바람직하게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가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앞에 고정되어 이미 터로부터 0.5mm보다 낮은 거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mm 범위의 거리(d)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센터링 및 고정 부재(11)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25mm 범위의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로부터 거리 d에서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5)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7)은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세기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세기 사이의 비율이 상기 기준 값에 걸치는 미리 결정된 공차 간격 밖으로 이동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기준 값에 중심에 위치하게 될 때,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램/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예에서, 전자 제어 유닛(7)은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 사이의 비율이 상기 기준 값으로부터 적어도 10 %만큼 멀리 이동/편차를 나타낼 때,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즉, 도시된 예에서, 공차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값의 20 %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또한 동일한 기준 값의 중심에 위치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조명 조립체(4)는 또한 레이저 광원(5)의 온도 또는 오히려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7)은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2)에 연결되고, 근위 광도계 센서(8)로부터 오는 신호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를 레이저 광원(5)의 현재 온도, 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의 현재 온도의 함수로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7)은, 레이저 광원(5) 또는 오히려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에 의해 도달된 온도는 증가할 때,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로부터 오는 신호의 파워/강도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의 파워/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프로그램/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예에서, 전자 제어 유닛(7)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광원(5)의 온도가 증가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득으로 증폭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되며, 두 신호는 모두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이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특히 도시된 예에서, 레이저 광원(5)은: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다이오드(13); 및 레이저 다이오드(13)에 전력을 공급 및/또는 제어하는 구동 모듈(14);을 포함한다.
분명히, LASER 다이오드(13)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이다.
추가로, 조명 조립체(4)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옆에, 또는 오히려 레이저 다이오드(13) 옆에, 이미터의 반대쪽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미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사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근위 광도계 센서(8)를 구비한다.
또한,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또는 오히려 레이저 다이오드(13)와 2 개의 근위 광도계 센서(8)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8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레이저 광원(5), 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는 작은 인쇄 회로 기판(15) 상에 나란히 배치/고정되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에 가까운 조명 장치의 후방 본체(2) 내부에 배치/고정된다.
또한, 온도 센서(12)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13)의 이미터와 접촉하거나 임의의 경우에 근접하여 인쇄 회로 기판(15) 상에 위치된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광도계 센서(8 및/또는 9)는 바람직하게는 포토 다이오드이다.
한편, 레이저 다이오드(13)는 바람직하게는 명령에 따라 가변 전력 및/또는 색상을 갖는 레이저 빔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또는 RGB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분명히, 레이저 광원(5)의 자동 스위치 오프를 위한 기준값은 레이저 광원(5)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빔(r)의 색상의 함수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 명령 신호 및 광도계 센서(8 및 9)로부터 오는 신호를 입력시 수신하고 이들 신호의 함수로서 레이저 광원(5)의 구동 모듈에 명령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명령 신호가 조명 조립체(4)를 온)(on) 상태로 스위칭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구동 모듈(14)에 레이저 다이오드(13)를 활성화/전원 공급하도록 명령하고 레이저 빔(r)을 방출하도록 프로그램/구성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 간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값으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날 때, 레이저 다이오드(13)를 즉시 스위치 오프/비활성화하도록 구동 모듈(14)을 지시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 간의 비율이 기준값의 10 %와 동일한 한계 임계값보다 큰 양만큼 상기 기준 값으로부터 벗어날 때, 구동 모듈(14)이 즉시 레이저 다이오드(13)를 스위치 오프/비활성화하도록 명령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근위 광도계 센서 8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되는 광의 강도를 결정하고;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의 강도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결정하도록 프로그램/구성된다.
광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광의 세기의 현재 값과 광섬유의 원위 단부(6b)에서 나오는 광의 세기의 현재 값을 결정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광의 강도와 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강도 사이에 현재 존재하는 비율을 계산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광의 세기와 광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의 세기 간의 비율의 현재값을 계산한 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광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의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광의 세기와 광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의 세기 간의 비율의 순간값과 소정의 기준값 사이의 차이가 한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구동 모듈(14)가 레이저 다이오드(13)를 즉시 끄고/비활성하게 하도록 프로그램/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제어 유닛(7)은 각각의 광도 센서(8 및 9)에 대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6)와 대응하는 광도 센서(8, 9) 사이에 개재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6)를 향한 신호를 증폭(즉, 신호의 강도와 세기를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증폭기(17)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온도 센서(12)로부터 오는 신호도 입력에서 수신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신호의 함수로서 신호 증폭기(17)에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2)로부터 오는 신호의 함수로서 신호 증폭기(17)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6)는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2)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 증폭기(17)의 이득을 증가시키도록 프로그램/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마지막으로 기계적 센터링 및 고정 부재(11)는; 견고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인쇄 회로 기판(15)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위, 또는 오히려 레이저 다이오드(13) 위로 그리고 근위 광도계 센서(8) 위로 브리지로서 연장되는 지지 소켓(20); 및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광섬유(6)에 국부적으로 동축인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에 끼워지고 단단히 고정되는 페룰 커넥터(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룰 커넥터(21)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로부터 또는 레이저 다ㅣㅇ오드(13)로부터 소정 거리(d)에서 국부적으로 동축으로 되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 위에 이격된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배치하기 위하여 레이더 다이오드(13)에 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에 국부적으로 정렬되는 지지 소켓(20)의 나사부 상에 스크류 고정된다.
차량용 조명 장치(1)의 일반적인 작동은 위에서 기술한 것으로부터 쉽게 추론할 수 있다.
조명 조립체(4)의 작동과 관련하여,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5)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한다.
공기/유리 인터페이스로 인해, 레이저 빔(r)이 근위 단부(6a)를 통해 광섬유(6)에 진입할 때, 극소량의 광 에너지가 광섬유(6)에 진입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고 레이저 광원(5)을 향해 그리고 근위 광도계 센서(8)를 향하여 다시 반사된다(프레넬 반사). 레이저 광원(5)을 향해 반사된 레이저 광은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다.
레이저 광원(5)을 향해 다시 반사된 레이저 광의 강도는 최소이고, 레이저 광원(5)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 빔(r)의 파워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다.
또한, 레이저 빔(r)의 파워가 변하지 않으면, 레이저 광원(5)을 향해 다시 반사된 레이저 광의 강도는 광섬유(6)가 레이저 광의 이미터에 완벽하게 정렬되고 결합되는 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상적인 위치에 대한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의 위치의 임의의 변화는 근위 광도계 센서(8)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의 변화를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만약 레이저 빔(r)의 파워가 변하지 않는다면,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 에너지의 임의의 변화는 조명 장치(1)의 파손 또는 광섬유(6)를 레이저 광원(5)에 잘못 광학적 조립하거나 연결하는 것에 기인하여, 레이저 광원(5)에 대하여 광섬유(6)의 잘못된 위치 정렬의 광섬유(6)의 파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원위 광도계 센서(9)는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레이저 광의 강도를 감지한다. 광섬유(6)와 레이저 광원(5)의 치수가 정확하다면, 광섬유의 원위 단부(6b)에 도달하고 광섬유 외부에 분산되어 있는 광 에너지는 최소이지만 여전히 존재한다.
광섬유의 말단부(6b)로부터 나오는 레이저 광의 강도는 어떤 경우에도 레이저 광원(5)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빔(r)의 파워에 비례한다.
또한 이 경우에, 레이저 빔(r)의 파워가 변하지 않는다면,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감지된 광 에너지의 변화는 광섬유(6)의 파손을 나타내거나 상대적인 지지 구조체 상의 광섬유(6)의 잘못된 위치 정렬을 나타내거나 조명 장치의 파손에 기인한 지지 플레이트(10)의 측면 상에서의 광섬유의 잘못된 위치 정렬을 나타낸다.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5)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7)은,
- 근위 광도계 센서(8)로부터 도착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산란된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도착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강도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강도의 함수로서 레이저 광원(5)의 스위치 오프/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와 원위 광도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 간의 비율이 소정이 기준값을 벗어날 때, 레이저 광원(5)의 스위치 오프/비활성화 한다.
즉, 전자 제어 유닛(7)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제어 방법은,
- 근위 광도계 센서(8)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광의 강도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의 강도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빛의 강도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강도 간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값으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면 즉시 레이저 광원(5)을 끄거나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레이저 광원(5)의 자동 비활성화/스위치 오프가 발생하는 한계 임계값은 기준값의 10 %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비율이 상기 기준값에서 과도하게 벗어나면,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함으로써, 전자 제어 유닛(7)은 조명 장치(1)의 파손 또는 오작동이 발생한 후 레이저 빔(r)이 레이저 광원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재산 및/또는 인명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7)에 의해 구현된 제어 방법은 또한 레이저 광원(5)의 온도 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근위 광도계 센서(8) 및/또는 원위 광도 센서(9)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레이저 광원(5)의 온도의 함수로서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방법은 레이저 광원(5) 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의 온도로서 근위 광도계 센서(8)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의 파워/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이저 광원(5)의 온도 변화로 인해 근위 광도계 센서(8)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의 변화가 보상된다.
실험적 테스트는 레이저 광원(5)에 의해 방출되고 레이저 다이오드(13)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빔(r)의 파워가 일반적으로 부품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무작위로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조명 조립체(4)의 특정 구조 및 전술한 제어 방법과 관련된 이점은 주목할 만하다.
첫째로, 이와 같이 구성된 조명 조립체(4)는 광섬유(6)가 파손되거나 잘못 배열된 경우 레이저 빔이 우연히 조명 장치(1) 외부로 향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도계 센서(8, 9)의 존재는 광섬유(6)의 양단으로부터의 빛의 출입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광섬유(6)가 파손되거나 잘못 배열되는 경우, 레이저 빔의 방출을 즉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조명 조립체(4) 및 결과적으로 전체 조명 장치(1)의 능동적 안전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레이저 광원(5)의 자동 비활성화를 위한 참조 매개 변수로서, 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광의 강도와 섬유의 선단(6b)에서 나오는 광의 강도 간의 비율을 사용하는 것은 조명 조립체(4)를 매우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만든다.
실제로 실험 테스트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레이저 광원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r)의 파워는 레이저 광원(5)의 제조 배치(batch)에 따라, 레이저 광원(5)의 사용연수에 따라,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13)에 의해 도달된 온도에 따라 및/또는 레이저 광원(5)의 이미터(13)에서 그 순간에 순환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현저하고 갑작스럽게 변화될 수 있다.
광섬유(6a)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에서 반사/분산된 빛의 강도와 섬유의 원위 단부(6b)에서 나오는 빛의 강도 사이의 비율을 모니터링하면 레이저 광원(5)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빔(r)의 파워의 임의 의 변화/변동에 기인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두 양적 특성은 모두 레이저 광원(5)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 빔(r)의 파워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원(5)의 비활성화는 레이저 광원의 이미터에서 그 순간에 순환하는 전류의 강도로 인해, 레이저 광원의 이미터에 의해 도달되는 온도로 인해, 레이저 광원의 사용연수에 따른 레이저 빔 파워의 저하로 인해 레이저 빔의 파워의 예상치 못한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레이저 광원(5)의 비활성화는 조명 장치(1)의 제조를 크게 단순화시키는 다른 배치(batch) 또는 제조업체로부터 나오는 레이저 광원(5)으로 인한 성능 차이의 영향을 더 이상 받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광도계 센서(8 및 9)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조명 장치(1)의 제조 라인의 끝부분 또는 제조 라인을 따라 조명 장치(1)의 조립 또는 조명 조립체(4)의 조립이 이것이 수반되는 절감과 함께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된 조명 장치(1) 및 조명 조립체(4)에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최종적으로 명백하다.
예를 들어, 조명 조립체(4)의 레이저 광원(5)은 고출력 LED 및 LED 위에 배치되고 LED에 의해 방출된 광선을 방사상으로 방출하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향해 지향된 시준된 광선(즉, 동일한 방향으로 시준된 광선의 세트)으로 시준하도록 구성된 광학 시준기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덜 정교한 실시예에서, 레이저 광원(5)은 LED 시준 광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는 예를 들어 차량의 승객 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명하기 위해 자동차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는 유리하게는 차량 도어(100)에 배치/결합되어 주변 공간을 조명할 수 있다.
즉, 후방 본체(2)는 차량 내부,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조명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이고, 바람직하게는 팔걸이 영역을 조명하는 라이트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도어(100)의 내부 커버링 패널(101) 내로 리세스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예에서, 후방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이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거나 도어(100)의 패널(101)에 통합된다. 한편, 전방 하프-쉘(3)은 바람직하게는 리본형 구조이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본체(2)의 전체 길이 동안 후방 본체(2)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배열된다.
광섬유(6)는 후방 본체(2) 내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섬유(6)는 또한 후방 본체(2) 내부에서 돌출하는 길이 방향 리브(110)의 리지 상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광섬유(6)의 전체 길이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후방 본체(2)의 내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입사광을 전방 하프-쉘(3)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거울 금속 화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근위 및 원위 광도계 센서(8 및 9)는 후방 본체(2) 내부, 후방 본체(2)의 두 단부 또는 임의의 경우에 광섬유(6)의 근위(6a) 및 원위(6b) 단부에 배치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1)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전방 하프 쉘(3)을 백라이트하도록 구성된 단일 조명 조립체(4)가 제공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레이저 광원(5)은 또한 후방 본체(2)의 외부, 바람직하게는 패널(101)의 후면, 즉 도어(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명 장치(1)는 예를 들어 계기판의 주변을 비추거나 백라이트하기 위해, 또는 예를 들어 그 안에 배치된 제어 패널을 비추거나 백라이트하기 위해 중앙 콘솔 내부에 차량 대시 보드에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유닛(7)은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원위 광도계 센서(9)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가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벗어날 때, 레이저 빔(r)의 방출을 차단/방지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5)을 자율적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기준값은 레이저 광원(5)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r)의 파워/강도의 함수이다.
즉, 전자 제어 유닛(7)은 외부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5)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7)은 바람직하게는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가 소정의 제 1 기준값에서 벗어날 때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의 강도가 소정의 제 2 기준값에서 벗어날 때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7)은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가, 제 1 기준 값에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기준값의 중심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 1 공차 간격을 벗어나 이동할 때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7)은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준 값에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기준값의 중심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 2 공차 간격을 벗어나 이동할 때,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7)은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가 상기 제 1 센서에 대해 적어도 3% 편차/변할 때,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 광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준 값에 대해 적어도 3% 편차/변할 때, 레이저 광원(5)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구성될 수 있다.
1: 차량 조명 장치 2: 후방 본체
3: 전방 하프 쉘 4: 조명 조립체
5: 광원 6: 광섬유
6a: 근위 단부 6b: 원위 단부
7: 제어 유닛
8: 근위 측광 센서
9: 원위 측광 센서

Claims (16)

  1. 차량용 조명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에 고정되도록 된 후방 본체(2); 후방 본체의 마우스부를 폐쇄하도록 배열된 전방 하프 쉘(3); 및 후방 본체(2) 내부에 위치되고 명령에 따라 전방 하프 쉘의 대응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섹터를 백라이팅 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조립체(4)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조립체(40는,
    주어진 길이의 방사상 방출 광섬유(6); 및
    상기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 앞에 위치되고, 상기 근위 단부(6a)를 향해 광섬유(6) 내부로 유입되고 이동하는 시준된 광 빔(r)을 지향하도록 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시준된 광원(5);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조립체(4)는,
    광섬유(6)로 유입되는 반사/산란된 광을 포착/검출하기 위하여, 시준된 광원(5) 및/또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 옆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 앞에 배열되고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에서 나오는 광을 포착/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 및
    상기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시준된 광원(5)을 명령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7)은,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와 적어도 하나이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 간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값을 벗어날 때, 시준된 광 빔(r)의 방출을 차단/방지하도록 시준된 광원(5)을 비활성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7)은, 광도계 센서(8, 9) 중 하나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가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에서 벗어날 때, 시준된 광 빔(r)의 방출을 차단/방지하도록 시준된 광원(5)을 비활성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는 이미터로부터 0.5mm 이하의 거리(d)에서 시준된 광원(5)의 이미터(13)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립체(4)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시준된 광원(5)에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되고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가 시준된 광원(5)의 이미터(13)의 전방에서 중심 맞추어져서 고정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된 센터링 고정 기계 부재(1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고정 기계 부재(11)는 0.2mm 내지 0.25mm 의 범위에서 시준된 광원(5)의 이미터로부터 소정의 거리(d)에서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립체(4)는 시준된 광원(5)의 이미터(13)의 맞은편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근위 광도계 센서(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시준된 광원(5)의 이미터(13) 및 근위 광도계 센서(8)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에 인접하게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15) 상에서 옆에 배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6)는 가요성의 필라폼(filaform) 구조를 구비하며, 후방 본체(2)에 일체로 된 경질 베어링 구조체(10, 110)에 의해 지지/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립체(4)는 시준된 광원(5)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7)은 온도 센서(12)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 및/또는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시준된 광원(5)의 온도의 함수로서 증폭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본체(2)는 실질적으로 대야(basin) 형상이며 차량의 차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쎄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1)는 차량 전조등 또는 미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14. 조명 조립체(4)가 제공된 차량용 조명 장치(1)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립체(4)는,
    주어진 길이의 방사상 방출 광섬유(6);
    상기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의 전방에 배열되고, 상기 근위 단부(6a)를 향해 광섬유(6) 내로 유입되어 이동하는 시준된 광 빔(r)을 지향하도록 된 시준된 광원(5);
    상기 광섬유(6)로 유입되는 반사/산란된 광을 포착/검출하기 위하여, 시준된 광원(5) 및/또는 광섬유(6)의 근위 단부(6a) 옆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 및
    상기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섬유(6)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을 포착/검출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방법은,
    -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광섬유의 근위 단부(6a)에서 광섬유(6) 외부로 반사/분산된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오는 신호에 기초하여 광섬유의 원위 단부(6b)로부터 나오는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의 세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광의 세기의 함수로서 시준된 광원(5)을 오프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시준된 광원(5)을 오프/비활성화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와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에 의해 검출된 광의 강도 간의 비울이 소정의 기준값을 벗어날 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시준된 광원(5)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시준된 광원(5)의 온도의 함수로서, 적어도 하나의 근위 광도계 센서(8)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위 광도계 센서(9)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178687A 2019-12-20 2020-12-18 차량 조명 장치 및 관련 제어 방법 KR202100812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9036.1A EP3839329B1 (en) 2019-12-20 2019-12-20 Automotive lighting appliance
EP19219036.1 2019-12-20
EP20201140.9A EP3982040A1 (en) 2020-10-09 2020-10-09 Automotive lighting apparatus and relative control method
EP20201140.9 2020-10-09
EP20203958.2A EP3839332B1 (en) 2019-12-20 2020-10-26 Automotive lighting apparatus and relative control method
EP20203958.2 2020-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272A true KR20210081272A (ko) 2021-07-01

Family

ID=7289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87A KR20210081272A (ko) 2019-12-20 2020-12-18 차량 조명 장치 및 관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65551B2 (ko)
EP (1) EP3839332B1 (ko)
JP (1) JP2021178626A (ko)
KR (1) KR20210081272A (ko)
CN (1) CN1130076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7618A1 (de) 2021-07-08 2023-0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eckleuchte für ein Kraftfahrzeug
CN115095837B (zh) * 2022-05-06 2024-03-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实现的可变发光车灯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7654B1 (fr) * 1986-04-16 1989-06-30 Aerospatiale Gainage de protection de conducteurs electriques ou optiques, durci vis-a-vis des rayons x
US7008090B2 (en) * 2001-08-30 2006-03-07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system with light conduiting member
US20130181896A1 (en) * 2009-01-23 2013-07-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light emitting and light detecting device
JP4975797B2 (ja) 2009-10-14 2012-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
US9069059B2 (en) * 2010-05-13 2015-06-30 Laser Lions LLC Conceale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DE102011015161A1 (de) * 2011-03-26 2012-05-24 Schott Ag LED-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12215702A1 (de) * 2012-09-05 2014-03-06 Osram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US10585530B2 (en) * 2014-09-23 2020-03-10 Neonode Inc. Optical proximity sensor
KR20160012467A (ko) 2014-07-24 2016-02-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장치
DE102014112175B4 (de) 2014-08-26 2018-01-25 Osram Oled Gmbh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Kurzschlusses bei einer optoelektronischen Baugruppe und optoelektronische Baugruppe mit Kurzschlusserkennung
JP6643645B2 (ja) * 2015-02-17 2020-02-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15205353A1 (de) 2015-03-24 2016-09-29 Osram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15209013A1 (de) * 2015-05-18 2016-12-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nerierung von Effektlicht
DE102016210363B4 (de) * 2016-06-10 2020-11-05 Audi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Beleucht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US10222529B1 (en) * 2016-09-20 2019-03-05 Apple Inc. Lighting systems
US10060587B2 (en) * 2016-09-30 2018-08-28 Valeo North America, Inc. Fiber optic lighting device with plural light inputs
US10323985B2 (en) * 2016-11-09 2019-06-18 Trutag Technologies, Inc. Signal processing for tunable Fabry-Perot interferometer based hyperspectral imaging
FR3065056B1 (fr) * 2017-04-05 2019-11-08 Mafelec Dispositif lumineux, appareil de signalisation et procede de diagnostic et/ou d'asservissement
JP6861364B2 (ja) * 2017-05-02 2021-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学機器
DE102018100410B3 (de) 2018-01-10 2019-05-2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mit einer Laserlichtquelle und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solchen Lichtmodul
US11079534B2 (en) * 2018-07-30 2021-08-03 Valeo North America, Inc. LED coupler for light reflection and leakage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9332B1 (en) 2024-01-24
US20210188158A1 (en) 2021-06-24
EP3839332A1 (en) 2021-06-23
US11465551B2 (en) 2022-10-11
CN113007632A (zh) 2021-06-22
JP2021178626A (ja)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921B2 (en) Lighting device and door lining using same
KR20210081272A (ko) 차량 조명 장치 및 관련 제어 방법
EP2157363A2 (en) Optical element for vehicle lamp
KR101979570B1 (ko) 차량용 램프
WO2021235345A1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
CZ306672B6 (cs) Svítilna motorového vozidla
US5130903A (en) Arrangement in vehicle headlamps
EP4019832A1 (en) Automotive lighting apparatus
EP3982040A1 (en) Automotive lighting apparatus and relative control method
US10479268B2 (en) Side-mounted direction indicator for vehicles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isposed on a common carrier and an optical unit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KR101820500B1 (ko) 백라이트 유닛
EP3839329B1 (en) Automotive lighting appliance
US20050036329A1 (en) Motor-vehicle headlight
JPH09263199A (ja) 異常接近警告表示装置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EP3270044B1 (en) Automotive lighting unit
JP2002039858A (ja) 車両用自動点消灯制御装置における光検出センサ
JP6464427B2 (ja) 車両用ライト
JP2023111587A (ja) 車両用灯具
US11940116B2 (en) Vehicle lamp
CN220809284U (zh) 一种用于外后视镜的辅助灯、外后视镜以及车辆
KR100521569B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제어 시스템
CN117120302A (zh) 用于机动车的尾部照明装置
KR20200046350A (ko) 엘이디칩이 순차 점등되는 대형 차량용 방향지시등
JP2023083045A (ja) 車両用灯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