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185A -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185A
KR20210080185A KR1020200147031A KR20200147031A KR20210080185A KR 20210080185 A KR20210080185 A KR 20210080185A KR 1020200147031 A KR1020200147031 A KR 1020200147031A KR 20200147031 A KR20200147031 A KR 20200147031A KR 20210080185 A KR20210080185 A KR 2021008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astening material
glass
feedthrough
fix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하르트 란프틀
토마스 파이퍼
스스무 니시와키
온드레 뤼제크
Original Assignee
쇼오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트 아게 filed Critical 쇼오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8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03Mounting initiator heads in initiators; Sealing-plugs
    • F42B3/107Sealing-plu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52Mechanical triggering mea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2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by fusing glass directly to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28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1Initi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e.g. for initiator case or electric l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95Manufacture
    • F42B3/198Manufacture of electric initiator heads e.g., test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체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 내의 본체(1)의 관통 개구(4)에 융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을 구비한, 특히,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용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에 관한 것이다. 유리체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표면(110)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의 단부면(50)과 동일 평면에 놓인 자유 융착 표면이다. 자유 융착 표면의, 특히, 점화 와이어(9)의 영역에는 개방 기포가 없다.

Description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그 제조 방법 및 용도{METAL-FIXING MATERIAL FEEDTHROUGH,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피드스루(feedthrough) 요소용의, 예를 들어, 센서용 피드스루용의 및/또는 대형 피드스루용의 및/또는 트랜지스터 아웃라인 하우징의 피드스루용의 및/또는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 피드스루용의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및 이러한 피드스루 자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개인용 불꽃 보호 장치를 점화하는 데 사용되는 유형이지만, 특히,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 및/또는 가스 발생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점화 장치용 피드스루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피드스루 요소의 헤더의 구성, 그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센서의 피드스루는, 특히, 센서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및/또는 신호를 평가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대형 피드스루는 일반적으로 격납 구조물, 예를 들어, 액화 가스 탱크 및/또는 반응기에 사용된다.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피드스루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 피드스루로 이해되고 있다. 이 용어는 마찬가지로 슈퍼캡(supercap)으로도 지칭되는 슈퍼 커패시터의 영역을 포함한다. 피드스루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 하우징 내부의 전극과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TO 하우징으로도 지칭되는 트랜지스터 아웃라인 하우징은 전류 전달 전자 하우징이다. 기본적으로, TO 하우징은 헤더와 캡의 두 가지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헤더는 주로 캡슐화된 구성 요소로의 전력 공급을 보장하지만, 광전자 장치의 영역의 캡은 광 신호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송신기(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 신호 수신기(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가 모두 포함된다. TO 헤더는 전자 및 광학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또한 간단한 전기 회로의 장착을 위한 기계적 기반을 형성한다. 동시에, 연결 핀을 통해 보호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특히, 에어백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가 자동차의 개인용 불꽃 보호 장치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안전 시스템은 부상 위험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충돌 사고 시에 개개의 안전 시스템이 고장나지 않는 것이 전제 조건이다. 여기서, 특히 이러한 종류의 안전 장치의 기능에 없어서는 안될 이러한 불꽃 점화 장치의 점화기가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점화기는 또한 제조 후 수년이 지난 후에도 계속해서 올바르게 작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화기의 평균 수명은 보통 15 년이다. 영구적으로 만족스러운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점화기에 존재하는 추진제 충전물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변화는 점화기에 습기가 침투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화기의 추진제 충전물을 밀폐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화기는 또한, 점화된 추진제 충전물의 가스를 올바른 방향으로 방출하여 안전 시스템의 가스 발생기의 추진제 충전물을 점화시켜야 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점화기는 캡 또는 커버 및 비교적 단단한 헤더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서 추진제 충전물이 이들 부품에 의해 형성된 공동 내에 둘러싸여 있다. 추진제 충전물을 점화하기 위한 전류는 전기 접속부를 통해 헤더를 통과한다. 이러한 이유로, 헤더는 일반적으로 금속 핀이 존재하는 관통 개구를 구비하며, 금속 핀은 일측 상에서는 플러그 접속부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타측 상에서는, 예를 들어, 점화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점화 브릿지가 추진제와 접촉하여 전류가 흐를 때 상기 추진제의 점화를 일으킨다. 이 때문에, 헤더는 일반적으로 피드스루 요소로도 지칭된다. 피드스루 요소의 설계에 있어서는, 추진제 충전물이 점화될 때, 모든 경우에 캡 또는 커버 또는 그 일부가 상기 충전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찢어지는 것이 보장되어야 하며 또한 전기 피드스루가 헤더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피드스루 요소의 경우, 헤더의 본체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점화 브릿지는 용접된 브릿지 와이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핀은 본체의 관통 개구 내의 전기 절연 고정 재료의 핀으로서 고정된다. 유리 재료, 특히, 유리 솔더(glass solder)가 고정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에 의해, 이 금속 핀은 외부 도체에 대해 유리에 의해 절연된다. 세라믹, 유리 세라믹 및/또는 폴리머가 마찬가지로 절연 재료로서 가능하다.
핀으로 사용되는 제 2 금속 핀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도 지칭되는 본체로 나타내어지는 외부 도체에 용접되거나 납땜된다. 따라서, 브릿지 와이어(일반적으로 텅스텐 합금으로 구성됨)가, 점화 브릿지로서, 피드스루 요소의 상측면, 즉, 완전히 조립된 점화 장치의 점화 캡을 향하는 측면에 있는 유리 재료의 표면과 접촉한다. 브릿지 와이어가 손상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우 점화 요소의 긴 사용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표면의 거칠기가 브릿지 와이어를 손상시킬 수도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유리 재질의 표면을 연마하여야 한다.
전술한 유형의 점화 장치가, 예를 들어, EP 1813906 B1에 공지되어 있다.
EP 0586133 A2 에는, 접촉 핀이 관통 개구 내의 유리 재료에 매립되며, 본체 및 고정 재료의 표면이 브릿지 와이어의 부착 전에 연마되는, 에어백 점화기용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제조가 설명되어 있다.
TO 하우징이, 예를 들어, US 8,908,728 B1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해 접지 핀을 본체에 연결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이러한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며, 표면 연마를 제거한,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용의 피드스루 요소용의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예 및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는 본체, 특히, 금속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며, 관통 개구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이 전기 절연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에 융착되며, 이렇게 해서 고정 재료에 고정된다.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은, 특히 유리하게는, 개방 기포가 없는 자유 융착 표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자유 융착(freely fused)"은 표면이 용융 유리 재료의 냉각 동안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적으로, 이러한 표면은 불로 연마된 표면과 유사하며, 예를 들어, 특히 거울과 같이 마감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다.
자유 융착 고정 재료의 표면은 고정 재료에 융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 내에 놓여 있다. 물론, 이것은 금속 핀의 단부면이 고정 재료에 가장 가까우며, 도체 또는 점화 도체에 또한 결과적으로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상측면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제조에 있어서, 시작점은 일반적으로 관통 개구에 금속 핀과 함께 배치된 다음 가열되는 콤팩트(compact)로서, 가열의 결과 콤팩트가 용융되어 본체 및 금속 핀과 연결된다. 콤팩트는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 재료를 분쇄하고, 일반적으로 유기물인 바인더를 첨가한 다음, 재료를 가압하여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금속 핀이 융착되기 전에 콤팩트가 소결되는 것도 동일하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가열 및/또는 냉각 동안 이전의 비정질 유리 재료로부터 유리 세라믹 재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핀이 내부에 융착되어 본체에 연결되는 중에 바인더는 연소된다. 관통 개구의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는 일반적으로 기포를 포함하며 본체의 표면을 초과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금속 핀도 일반적으로 본체의 표면을 초과하여 돌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일 평면 내에 있는 평평한 표면을 달성하게 위해, 표면이 평평하게 연마되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재료의 표면이 용융 과정에서 자유 융착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 또한, 특히, 그 단부면이 본체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 내에 있도록 관통 개구에 배치된다.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자유 융착에 의해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매끄러운 표면이 초래되며 연마가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마찬가지로, 전기 도체, 특히, 점화 도체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도체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고려한다. 고정 재료의 표면의 적어도 도체 영역에는 개방 기포가 없다.
고정 재료의 전체 표면에 개방 기포가 없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고정 재료의 전체 표면에 실질적으로 용융 개방 기포가 없다는 것은 표면 상의 개방 기포가 5 개 이하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것은 기술적으로도 충분할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포함된다. 개방 기포가 설명된 바와 같이 표면 전체에 걸쳐 분포될 수 있긴 하지만, 점화 와이어가 존재하는, 즉, 특히, 고정 재료 상에 놓이는 영역에는 개방 기포가 없을 수 있다.
본체의 경우, St 35 및/또는 St 37 및/또는 St 38과 같은 일반 강 또는 고급 강 및/또는 스테인레스 강을 본체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관례이다. DIN EN 10020에 따른 고급 강은 합금 강 또는 비합금 강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황 및 인 함량(철 동반 원소로 지칭됨)은 0.035%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추가 열처리(예를 들어, 경화 및 템퍼링)가 종종 제공된다. 고급 강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실리콘과 같은 성분이 특수 제조 공정을 통해 용융물에서 분리되는 고순도 강이 포함되며, 또한 후속 열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고도의 합금 공구 강이 포함된다. 이러한 강은, 특히, 크롬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X12CrMoS17, X5CrNi1810, XCrNiS189, X2CrNi1911, X12CrNi177, X5CrNiMo17-12-2, X6CrNiMoTi17-12-2, X6CrNiTi1810 및 X15CrNiSi25-20, X10CrNi1808, X2CrNiMo17-12-2, X6CrNiMoTi17-12-2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 있어 최대 제조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 금속 본체가 또한 고급 강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대신에, 본체가 1.01xx 내지 1.07xx(비합금 품질의 강)를 포함하는 그룹의 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강의 그룹은 DIN EN 10 027-2에 따라 지정되며, 첫 번째 숫자는 주요 재료 그룹을 나타내며, 첫 번째 지점 이후의 일련의 숫자는 강의 그룹 번호를 나타낸다.
최상의 가능한 내식성을 보장하기 위해, 본체가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니켈 코팅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비합금 품질의 강으로 형성된 본체에 적용된다.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는 그 열 팽창이 금속 본체의 열 팽창보다 적도록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용융 및 후속 냉각 동안 본체는 마치 응고된 고정 재료 상으로 수축되는 것과 같으며, 그 결과, "유리 압축 시일(glass compression seal)"로도 지칭되는 "압축 피드스루(compression feedthrough)"가 달성된다. 이것은 본체가 고정 재료에 축방향 압력을 가하여, 관통 개구 내에서의 기계적 유지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폐된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가 달성된다.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특히, 표면의 자유 융착과 함께 전술한 절차에 의해,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가 그 부피 내에 기포 비율(BV)의 기포를 가질 수도 있지만, 그 표면에 BV보다 상당히 작은 기포 비율을 갖는 유리 외피를 구비한다. 특히 선호되는 바와 같이, 유리 외피에는 실질적으로 기포가 없으며, 이것은 기포가 5 개 이하이거나 심지어 기포가 완전히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유리 외피 및/또는 고정 재료 표면의 점화 와이어가 놓인 영역에는 기포가 없다.
고정 재료가 자유 융착 표면을 구비한다는 사실로 인해, 표면 거칠기가 이전의 연마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경우에 비해 작다. 특히,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 표면의 평균 거칠기(Ra)는 0.1 ㎛ 미만, 특히, 0.02 ㎛ 내지 0.05 ㎛ 범위이다. 반면에, 이전의 연마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경우, 통상의 Ra 값은 0.2 ㎛ 내지 0.5 ㎛이다. 특히, 스코어 마크(score mark) 형태의 남아 있는 연마 흔적으로 인해 이전의 연마 고정 재료의 거칠기 값이 일반적으로 더 높다.
평균 거칠기(Ra)는 DIN EN ISO 4287:2010에 의해 정의되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결정된다. 평균 거칠기 또는 평균 거칠기(Ra)는 수직 단면 이내의 측정 지점, 즉, 미세 구조의 프로파일과 평균 라인 사이의 평균 거리를 나타낸다. 참조 단면 내에서 평균 라인은 프로파일 편차(평균 라인에 대한)의 합계가 최소 값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실제 프로파일과 교차한다. 따라서, 평균 거칠기(Ra)는 평균 라인으로부터의 절대 값의 편차의 산술 평균에 해당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표면이 매끄러울수록, 브릿지 와이어가 고정 재료 상에 놓여 있을 때 브릿지 와이어의 손상 위험이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에어백 점화기 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에서, 브릿지 와이어는 종종 분말 형태의 점화 재료와 접촉한다. 분말의 입자 크기가 일반적으로 연마 흔적의 스코어 마크보다 크더라도, 제품 수명 기간 동안 분말의 마모가 이루어져 이에 따라 매우 미세한 입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브릿지 와이어 아래의 스코어 마크에 쐐기형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기계적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는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관통 개구의 내벽까지, 특히, 관통 개구의 내벽으로갈수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연속적인 전이부가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연속적인 전이부는, 이 영역을 통과하는 단면을 곡선으로 이해할 경우, 이 곡선의 일차 도함수가 연속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종래 기술의 본체는 급격한 굽힘부를 가지므로, 해당 단면의 일차 도함수가 불연속적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직각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 마무리 단계를 사용할 필요 없이, 성형 및/또는 스탬핑 방법을 통해, 특히 관통 개구에 의해 본체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체의 이러한 구성의 또 다른 이점은 관통 개구 내의 고정 재료의 충전 레벨을 담당하는 콤팩트의 부피가 부피 변동과 관련하여 덜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부피 변동이 주어지는 경우, 관통 개구 내의 충전 레벨이 고정 재료의 직경보다 적게 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불충분한 충전으로 인해 초래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계단형 부분보다 브릿지 와이어의 장착에 덜 중요하다.
또한, 연속적인 전이부는 관통 개구로갈수록 경사가 완만한 영역 상에 얇은 고정 재료 층이 마련되는 효과를 갖는다. 놀랍게도, 이것은 유리 압축 시일이긴 하지만, 고정 재료의 박리(flaking)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선호되는 바와 같이, 관통 개구의 내벽과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 영역의 사이에 홈이 마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홈은 고정 재료 표면의 함몰부를 나타낸다. 홈의 폭(B)은 바람직하게는 0.13 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mm 내지 0.13 mm 또는 0.01 mm 내지 0.13 mm이다. 특히, 이 홈의 깊이(T)는 바람직하게는 0.03 mm 이하, 특히 0.015 mm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한 깊이(T)는 0.05 mm 내지 0.025 mm이다.
홈의 형성은 전술한 관통 개구의 내벽으로의 본체 표면의 전이부의 구성에 의해, 즉, 이러한 구성과 홈의 존재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함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홈의 존재는, 특히,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작동 중에 고정 재료의 표면 및/또는 본체의 표면의 필름 코팅용 중단부(stop)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필름은, 특히, 장기간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감소된 전달 저항, 단락 및/또는 전기 화학적 부식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수성 필름 및/또는 코팅일 수 있다.
특히, 홈은 고정 재료의 용융 및 후속 냉각 동안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접착 및 습윤 특성의 결과인 것으로 추측된다. 마찬가지로, 가열된 고정 재료가 여전히 형상화될 수 있는 동안 홈을 스탬핑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가 홈을 형성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표면에 대해 및/또는 그 위에 놓이는 실시예가 유리하다. 이것은 전술한 홈이 고정 재료로부터 본체로의 전이부의 영역에만 존재하며 고정 재료로부터 금속 핀으로의 전이부의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금속 핀 상의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둥근 부분, 즉, 단부면으로부터 측면으로의 전이부에서의 반경이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관통 개구의 내벽으로의 전이부의 반경보다 작은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여기서 유리하게는, 홈이 표면을 코팅하는 파괴적인 필름용의 중단부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기 도체의 전기적 거동, 특히, 점화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홈은 파괴적인 큰 입자가 홈과 전기 도체의 사이에 끼일 수 없어, 도체를 기계적으로 과도하게 압박할 수 없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지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금속 핀은 금속 핀의 상측면, 즉, 평평한 단부면이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금속 핀은 유리하게는 둥글게 형성되며, 즉, 특히, 금속 핀의 상측면과 그 측벽 사이의 전이부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둥글게 형성된 부분과 측벽 사이의 전 이 지점은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특히, 홈은 원주를 갖는, 특히 원형이다. 관통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평면도에서 원형 디자인이며, 홈은 선택적으로 간격을 두고 원형의 관통 개구의 내벽을 따른다.
특히 선호되는 바와 같은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에서는, 전기 도체, 특히 와이어 도체, 특히 점화 도체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도체는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한다. 도체는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 놓여 바람직하게는 홈의 가교 역할을 한다. 이 영역의 도체 아래에 홈이 가교 역할을 하는 여유 공간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여유 공간을, 예를 들어, 플라스틱, 특히 소수성 플라스틱 또는 소수성 표면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채우며 및/또는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은, 특히, 전기 전도성 코팅 또는 부식성 필름용의 분리 가장자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원주 방향 가장자리는 마치 이들 코팅 및/또는 필름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처럼 고정 재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을 차폐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는 적어도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와의 계면에서 강, 특히, 스테인레스 고급 강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와의 계면에서 강, 특히, 스테인레스 고급 강으로 구성된다. 강 및/또는 고급 강은 유리와 관련하여 습윤 및/또는 접착 과정을 거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이것은 적어도 홈의 형성을 지원한다.
금속 핀의 상측면이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 내에 있는 것이 유리하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금속 핀의 상측면과 그 측벽 사이의 전이부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둥근 부분과 측벽 사이의 전 이 지점은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둥근 부분이 마치 고정 재료 내부에 제공되는 것과 같다. 금속 핀의 측벽이 그 표면과 직접 직각으로 교차하는 날카로운 전이부와 비교하여, 이것은 금속 핀과 고정 재료 사이의 계면에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핀의 상측면, 즉, 그 단부면은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 내에 있다. 특히, 금속 핀의 상측면과 그 측벽 사이의 전이부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둥근 부분과 측벽 사이의 전이 지점은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둥근 부분은 마치 고정 재료 내부로 제공되는 것과 같다. 금속 핀의 측벽이 그 표면과 직접 직각으로 교차하는 날카로운 전이부와 비교하여, 이것은 금속 핀과 고정 재료 사이의 계면에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전기 도체, 특히 점화 도체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도체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도체는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 놓여 있다. 특히, 도체는 전술한 홈의 가교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과 본체의 사이에 표면을 갖는, 가열 및 후속 냉각에 의해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에서 본체의 관통 개구에 융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을 구비한, 특히,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용의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을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 내로 융착하는 동안, 가열된 고정 재료의 표면이 자유 융착된다.
이 공정 동안, 고정 재료는 관통 개구의 내벽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외벽과 유리 접합부를 형성한다.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와 관련하여 전술한 모든 특징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청구되고 있는 방법은 피드스루 및/또는 에어백 점화기 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에 대한 전체 제조 단계의 일부를 포함한다.
자유 융착 동안, 고정 재료의 실질적으로 기포가 없는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기포가 없는(substantially bubble free)"은 표면에 기포가 5 개 이하인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물론 기포가 전혀 없는 것도 포함한다.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표면의 평균 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는 0.1 ㎛ 미만이며, 특히, Ra는 0.015 ㎛ 내지 0.055 ㎛, 특히 유리하게는 0.02 ㎛ 내지 0.05 ㎛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는 홈을 형성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의 표면에 대해 놓인다. 이것은 본체와 고정 재료의 사이에는 홈이 존재하지만 고정 재료와 금속 핀의 사이에는 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면도에서, 관통 개구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디자인이며, 특히 선호되는 바와 같이, 홈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관통 개구의 내벽을 따른다. 특히, 스탬핑 가공 및/또는 성형에 의해 원형 관통 개구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드릴링 및 기타 적절한 방법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성형 및/또는 스탬핑 가공에 의해 본체 및/또는 관통 개구를 제조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방법이다. 재료 측면에서 특히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본체는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가 스탬핑 가공된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관통 개구의 내벽으로의, 특히, 관통 개구의 내벽으로 갈수록 기울이가 증가하는 연속적인 전이부가 있는 방식으로 본체가 형상화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마치 점진적인 경사를 갖는 둥근 부분에 해당한다. 이 형상은, 특히, 관통 개구를 스탬핑 가공하는 과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방법에서, 홈(55)은 가열 및/또는 냉각 동안 관통 개구의 내벽과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의 그 표면 영역의 사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또는, 홈이, 예를 들어, 펀칭 또는 엠보싱 도구를 사용하여 스탬핑 가공된다. 특히, 홈은 바람직하게는 0.13 mm 이하의 폭(B)을 갖는다. 특히 선호되는 바와 같이, 홈의 깊이(T)는 0.03 mm 이하, 특히 0.015 mm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깊이(T)가 0.05 mm 내지 0.025 mm이다.
마찬가지로, 홈을 스탬핑 가공할 수 있으며, 또는 적절한 도구, 예를 들어, 펀치를 사용하여 재료를 제거하여 홈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 공정에서, 전기 도체는 금속 핀과 본체 표면의 사이에, 특히, 용접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도체, 특히, 금속 핀이 전기 전도 방식으로 본체에 연결되는 것이 흔히 일반적인 관례이다. 이러한 추가 도체는 일반적으로 접지부 또는 접지 도체이다. 금속 핀과 본체 사이의 설명된 바와 같은 전기 전도성 연결부는 일반적으로 납땜 조인트이다. 마찬가지로, 도체를 본체에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결과의 바람직한 용도는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 및/또는 가스 발생기에서 찾을 수 있다.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 및/또는 가스 발생기의 경우, 관통 개구에 고정된 금속 핀뿐만 아니라 본체에 납땜된 접지 핀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인 영역에서 축선을 따라 금으로 코팅된다. 금 코팅은 부식 및 영구적인 접촉에 대한 영구적인 둔감성을 보장한다. 금속 핀은 종종 단부 영역이 금으로 코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점화 장치의 사용을 위한 조립 동안 플러그 연결부 내부에 있는 금속 핀의 영역이 바람직하게는 금 도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그 접점의 전달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2 개의 금속 핀이 추진제에 대면하는 본체의 일측 상의 점화 브릿지에 의해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점화 브릿지는 이미 설명한 점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재료 표면의 거칠기 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오히려 평활도가 평균 거칠기(Ra)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크-밸리 간의 평균 높이(Rz)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지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테스트에서, 설명된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를 설명된 방법에 의해 생성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라 자유 융착된 고정 재료 표면의 거칠기를 결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 고정 재료 표면의 측정 값도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측정 방법으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호멜(Hommel) 탐침에 의한 촉각 측정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융착 고정 재료 표면 종래 기술의 연마 고정 재료 표면
측정 번호 Ra[㎛] Rmax[㎛] Rz[㎛] Ra[㎛] Rmax[㎛] Rz[㎛]
1 0.032 0.301 0.249 1.206 15.524 9.217
2 0.030 0.293 0.235 0.905 14.364 9.974
3 0.024 0.275 0.192 0.679 11.667 7.082
4 0.023 0.662 0.261 0.954 11.466 9.286
5 0.024 0.178 0.166 1.174 14.079 8.915
6 0.023 0.200 0.168
평균 값 0,026 0.212 0.984 8.895
표 1: 자유 융착 고정 재료 표면 상의 거칠기 측정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이 실제 크기 비율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실시예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또한, 일 예로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모든 참조 부호가 또한 다른 도면에도 적용된다.
도 1은 점화 와이어가 놓인 접지 표면을 구비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를 포함하는 공지의 점화 장치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축 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평면도의 사진 이미지와 홈의 측정을 위한 측정 곡선을 보여준다.
도 1에는 불꽃 보호 장치, 이 경우, 일 예로서 에어백 점화기용의 종래 기술에 공지된 점화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은, 특히,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는, 여기서, 디스크형의 기본 형상을 갖는 본체(1)를 구비한 금속 캐리어(carrier) 부품을 포함한다. 개방 영역을 갖는 기본 형상이 마찬가지로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는 종종, 헤더 요소 또는 줄여서 헤더(header)로도 지칭된다. 또한, 금속 핀(5)이 본체(1)의 관통 개구(4) 내에 기능상 요소로서 배치된다. 여기서, 관통 개구(4)는 본체(1)에 스탬핑 가공되었다. 금속 핀(5)은 점화 브릿지(9)에 전류를 인가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완성된 점화기에 포함된 추진제 충전물(25)이 점화된다. 점화 브릿지는 본체의 상측면(11)에 놓인다. 추진제 충전물에 대면하는 측면이 상측면으로 지칭된다. 점화 장치는 캡(2)에 의해 폐쇄되며, 캡(2)은 본체(1)와 함께 추진제 충전물(25)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형성한다. 캡(2)은 일반적으로 본체에 용접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관통 개구(4)의 전류 피드스루가, 특히, 유리-금속 피드스루로서 구현되며, 금속 핀(5)과 금속 본체(3)의 관통 개구(4)의 벽 사이의 고정 재료(10)로서 유리가 사용된다. 유리 세라믹 재료뿐만 아니라 고성능 폴리머 또는 기타 적합한 재료를 관통 개구에 사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관통 개구(4)는 본체(1)의 축방향 중심선에 대해 편 심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본체(3)의 반경이 작더라도, 제 2 금속 핀(6)을 고정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제 2 금속 핀(6)은 납땜 조인트를 통해 본체(1)에 맞대기 납땜되며 따라서 접지 핀(6)의 역할을 한다. 금속 납땜 재료, 특히, 딱딱한 솔더가 납땜 재료(7)로서 사용된다. 납땜 재료(7)는 본체의 표면과 접지 핀(6)의 사이에 메니스커스(meniscus)를 형성한다.
반대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축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체(1)는 제 1 표면(11), 이 경우 상측면, 및 제 2 표면(12), 이 경우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면을 구비한다. 상측면(11)은 일반적으로 추진제(25)에 대면하며, 전기 접점은 일반적으로 하측면(12) 상에 형성된다. 금속 본체(1)는 금속 핀(5)이 통과하는 관통 개구(4)를 구비한다. 관통 개구(4)는 본체(1)에 스탬핑 가공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본체(1)의 외부 윤곽이 마찬가지로 판금 스트립에 스탬핑 가공되었기 때문에, 여기서, 전체 본체(1)가 스탬핑 가공품을 나타낸다. 그러나, 와이어 재료를 냉간 성형하여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금속 핀(5)은 본체(1)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식으로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에 의해 접촉 핀으로도 지칭되는 제 1 핀으로서 관통 개구(4)에 융착, 즉, 고정된다.
제 1 금속 핀(5)은 금속 본체(1)의 제 1 관통 개구(4)에, 특히, 밀봉 방식으로 유리 밀봉된다. 이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는 외부 도체를 나타내는 본체(1)의 재료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특히,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는 본체(1)의 금속보다 열팽창 계수가 낮아, 그 결과, 냉각 중에 금속 핀(5)이 고정 재료(10) 내로 유리 밀봉된 후, 본체(1)는 마치 상기 재료 및 이에 따라 유리 금속 피드스루 상으로 수축되는 것과 같으며, 이렇게 해서, 상기 피드스루 및 고정 재료(10) 상에 영구적인 기계적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해서, 금속 핀(5), 고정 재료(10) 및 본체(1)의 사이에 특히 누출이 없으며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이 생성된다. 이러한 장치가 유리 압축 밀봉으로 지칭되며, 예를 들어, 에어백 점화기용으로 선호된다. 유리 재료 및/또는 유리 세라믹 재료의 사용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체(1)의 상측면(11) 상에 있는 고정 재료(10)의 표면(110)은 자유 융착 표면이며, 내부에 융착된 금속 핀(5)의 단부면(50)과 동일한 평면 내에, 유리하게는 또한, 본체의 상측면(11)과 동일한 평면 내에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자유 융착 표면은 고정 재료(10)의 부피에 비해 기포 비율이 감소되며, 특히, 적어도 점화 도체의 영역에서 표면(110)에 개방 기포가 없는 유리 외피(skin)(4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점화 도체(9)는 고정 재료의 표면(110) 상에 놓이며, 금속 핀(5)과 본체(1)모두에, 즉, 금속 핀(5)의 단부면(50)과 본체(1)의 표면(110)에 용접된다. 홈(trough)(55)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 2 금속 핀(6)이 납땜 재료(7)에 의해 본체(1)에 접지 핀으로서 연결된다.
도 3은 도 2의 파선의 직사각형으로서 도시된 도 2의 일부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부분은 본체(1), 고정 재료(10) 및 금속 핀(5)의 단부면(50)의 영역의 확대도에 해당한다. 간명성을 위해 점화 와이어(9)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체(1)와 고정 재료(10)의 사이에 위치한 홈(55)을 도 3에서 볼 수 있다. 홈은 폭(B)과 깊이(T)를 갖는다. 특히, 홈(55)이 본체(1) 상으로 고정 재료(10)를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설계될 수 있다. 홈의 폭(B)은 0.13 mm 이하, 특히 0.005 mm 내지 0.13 mm 또는 0.01 mm 내지 0.13 mm이며, 깊이(T)는 0.03 mm 이하, 특히 0.015 mm 이하이며, 특히 깊이(T)는 0.025 mm 내지 0.05 mm이다.
특히, 본체의 표면(11)과 관통 개구의 내벽(100) 사이의 전이부 반경이 내부에 융착된 금속 핀(5)의 외벽과 금속 핀의 단부면(50) 사이의 전이부 반경보다 클 수 있다. 간명성을 위해, 이 반경은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 관계는, 특히, 홈(55)이 본체(1)로의 전이부에는 존재하지만 금속 핀(5)으로의 전이부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외피(40)는 고정 재료(10)의 부피보다 훨씬 작은 기포 비율을 갖는다. 도 3에서,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상측면(11)에 유리 외피(40)가 있다. 유리 외피가 하측면(12) 상에 있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것은, 특히, 고정 재료(10)가 또한 하측면(12) 상에 자유 융착되는 경우이다.
유리 외피는, 그 두께가 원자 층의 범위에 있을 수도 있긴 하지만, 광학적 방법, 특히, 현미경을 통해 볼 수 있다.
관통 개구(4)의 내벽(100)이 고정 재료(10)와 직접 접촉하며, 고정 재료(10)는 내벽(100)에 유리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관통 개구의 내벽(100)과 고정 재료(10)의 사이에 기포 비율이 감소된 유리 외피가 있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재료(10)와 금속 핀(5)의 외벽 사이의 계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평면도의 사진 이미지와 홈의 측정을 위한 측정 곡선을 보여준다. 관통 개구는 원형 디자인이며, 고정 재료(10)로 채워진다. 금속 핀(5)이 그 내부에 유리 밀봉되며, 그 단부면(50)은 보일 수 있다. 관통 개구의 내벽(110)이, 특히, 점선으로 다시 한번 강조되어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비연마 표면이며, 고정 재료 표면이 자유 융착된다. 개방 기포는 식별 불가능하다. 유리 외피는 마치 매끄럽거나 밀봉된 상태와 같다.
마찬가지로, 홈(55)의 깊이(T) 및 폭(B)에 대한 측정이 도시되어 있다. 측정은 디지털 측정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지금까지는, 특히,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의 산업용 대량 생산에 있어서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상측면이 연마되어 왔으며, 금속 및 고정 재료 표면 모두 연마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청소 단계가 수행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는 고정 재료 표면이 자유 융착되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금속 표면이 연마되지 않아, 처리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는 자유 융착 공정 동안 적어도 대부분 기포가 없는 표면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개방 기포의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개방 기포는 점화 와이어를 장착하는 동안에는 없어야 하므로 피해야 한다.
1: 본체 2: 캡
4: 피드스루 개구 5: 기능상 요소, 제 1 금속 핀
6: 도체, 제 2 금속 핀, 접지 핀 7: 금속 납땜 재료
9: 브릿지 와이어, 점화 도체 10: 전기 절연 고정 재료
11: 본체의 표면, 상부측 12: 본체의 표면, 하부측
25: 추진제 충전물 50: 제 1 금속 핀의 단부면
55: 홈 40: 유리 외피
100: 관통 개구의 내벽 110: 고정 재료의 표면
B: 홈의 폭 T: 홈의 깊이

Claims (13)

  1.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본체(1)의 관통 개구(4)에 융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을 구비한,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용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에 있어서,
    상기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표면(110)은 자유 융착 표면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의 단부면(50)과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의 사이에 전기 도체(9) 또는 점화 도체(9)가 장착되며, 상기 도체는 본체(1)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며,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표면(110)은 상기 전기 도체(9) 또는 점화 도체(9)의 영역에 개방 기포(open bubble)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는 그 부피 내에 기포 비율(BV)로 기포를 가지며, 그 표면(110)에는 BV보다 상당히 작은 기포 비율을 갖는 또는 기포가 5 개 이하이거나 기포가 없는 유리 외피(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IN EN ISO 4287에 따른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표면(110)의 평균 거칠기(Ra)가 0.1 ㎛ 미만이거나 0.015 ㎛ 내지 0.05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표면(110)으로부터 관통 개구(4)의 내벽(100)으로의,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4)의 내벽(100)을 향한 방향으로 기울기가 증가하는 연속적인 전이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4)의 내벽과 상기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사이로 표면(110)의 영역에 홈(55; trough)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55)은 최대 0.13 mm 또는 0.005 mm 내지 0.13 mm 또는 0.01 mm 내지 0.13 mm의 폭(B)을 가지며, 및/또는
    상기 홈(55)은 최대 0.03 mm 또는 최대 0.015 mm의 깊이(T)를 갖거나, 또는 상기 깊이(T)가 0.05 mm 내지 0.0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는,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의 표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4)는 평면도에서 원형 디자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55)은 원형의 관통 개구(4)의 내벽(100)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의 사이에 전기 도체(9) 또는 점화 도체(9)가 장착되며, 상기 도체는 본체(1)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기 도체(9) 또는 점화 도체(9)는 적어도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의 표면(110) 상의 일부 영역에 놓여 홈(55)의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적어도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와의 계면에서, 강, 특히, 스테인레스 고급 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은, 적어도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와의 계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강, 특히 스테인레스 고급 강으로 구성되며, 특히, 본체(1)의 강 및/또는 고급 강은 유리와 관련하여 습윤 과정 및/또는 접착 과정을 거치며, 이것은 적어도 홈(55)의 형성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12.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과 본체(1)의 사이의 표면(110)을 구비하는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에서, 본체(1)의 관통 개구(4)에 융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을 구비한, 특히,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용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유리질 고정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고정 재료(10)로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핀(5)의 융착 동안, 가열된 고정 재료가 표면(110)에 자유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의, 또는 에어백 점화기 및/또는 벨트 프리텐셔너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KR1020200147031A 2019-12-19 2020-11-05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210080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7780.6A EP3839413B1 (de) 2019-12-19 2019-12-19 Metall-fixiermaterial-durchführ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en
EP19217780.6 2019-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85A true KR20210080185A (ko) 2021-06-30

Family

ID=6896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031A KR20210080185A (ko) 2019-12-19 2020-11-05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5392B2 (ko)
EP (2) EP4015979A1 (ko)
JP (1) JP2021098502A (ko)
KR (1) KR20210080185A (ko)
CN (1) CN113085775A (ko)
HU (1) HUE058671T2 (ko)
MX (1) MX2020013672A (ko)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5523C (ko) * 1961-12-26
US3135200A (en) * 1964-05-27 1964-06-02 Hi Shear Corp Squib
US4128697A (en) * 1977-04-22 1978-12-05 Corning Glass Works Hermetic glass-metal compression seal
US5431101A (en) * 1991-04-16 1995-07-11 Thiokol Corporation Low cost hermetically sealed squib
US5230287A (en) * 1991-04-16 1993-07-27 Thiokol Corporation Low cost hermetically sealed squib
JP3355331B2 (ja) * 1992-08-27 2002-12-09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膨張装置システムに用いるガラス製ヘッダー装置
US5243492A (en) * 1992-08-27 1993-09-07 Coors Ceramics Company Process for fabricating a hermetic coaxial feedthrough
US5404263A (en) 1992-08-27 1995-04-04 Oea, Inc. All-glass header assembly used in an inflator system
US5454320A (en) * 1992-10-23 1995-10-03 Quantic Industries, Inc. Air bag initiator
US6274252B1 (en) * 1994-08-04 2001-08-14 Coors Ceramics Company Hermetic glass-to-metal seal useful in headers for airbags
US5709724A (en) * 1994-08-04 1998-01-20 Coors Ceramics Company Process for fabricating a hermetic glass-to-metal seal
US5672841A (en) * 1995-12-15 1997-09-30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 initiator with zener diode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5798476A (en) * 1996-03-25 1998-08-25 Trw Inc. Initiator for an air bag inflator
US5920029A (en) * 1997-05-30 1999-07-06 Emerson Electric Company Igniter assembly and method
US6009809A (en) * 1997-12-12 2000-01-0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Bridgewire initiator
WO2000073729A1 (fr) * 1999-05-26 2000-12-07 Nippon Koki Co., Ltd. Allumeur, tete d'allumeur et bouchon d'allumeur
CZ20021370A3 (cs) * 1999-10-28 2002-10-1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pouątěč elektrického typu a vyvíječ plynu
US6357355B1 (en) * 2000-02-10 2002-03-19 Trw Inc. Pyrotechnic igniter with radio frequency filter
US7124688B2 (en) * 2000-12-08 2006-10-24 Special Devices, Inc. Overmolded body for pyrotechnic initiator and method of molding same
US6578487B2 (en) * 2000-12-08 2003-06-17 Special Devices, Inc. Pyrotechnic initiator with a narrowed sleeve retaining a pyrotechnic charg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3285712A (ja) * 2002-03-29 2003-10-07 Toyota Motor Corp イニシエータ
US20030221578A1 (en) * 2002-05-29 2003-12-04 Forman David M. Detonator with onboard electronics mechanically connected to ignition element
DE102006004036A1 (de) * 2006-01-27 2007-08-09 Schott Ag Metall-Fixiermaterial-Durchführung und Verwendung einer derartigen Durchführung sowie Airbag und Gurtspanner mit einer Zündeinrichtung
DE20314580U1 (de) * 2003-03-03 2004-08-05 Schott Glas Metall-Fixiermaterial-Durchführung
US8327765B2 (en) * 2003-03-03 2012-12-11 Schott Ag Metal fixing material bush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base plate of a metal fixing material bushing
JP2005001601A (ja) * 2003-06-13 2005-01-06 Takata Corp ガス発生器
JP2005069666A (ja) * 2003-08-06 2005-03-17 Takata Corp イニシエータ及びガス発生器
US20060017269A1 (en) * 2004-07-26 2006-01-2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gniter assembly
US20060260498A1 (en) * 2005-04-05 2006-11-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gniter assembly
US8733250B2 (en) * 2006-01-27 2014-05-27 Schott Ag Metal-sealing material-feedthrough and utilization of the metal-sealing material feedthrough with an airbag, a belt tensioning device, and an ignition device
JP4653718B2 (ja) * 2006-10-26 2011-03-16 日本化薬株式会社 スクイブならびに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装置および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用ガス発生装置
JP4916868B2 (ja) * 2006-12-20 2012-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的な着火を利用する装置の組立方法
EP2157399A4 (en) * 2007-06-13 2013-03-20 Nippon Kayaku Kk IGNITION ELEMENT, GAS GENERATION DEVICE FOR AN AIRBAG AND GAS GENERATION DEVICE FOR A BELT TAPER
JP2010084981A (ja) * 2008-09-30 2010-04-15 Panasonic Corp 点火装置用気密端子
DE102009008673B3 (de) * 2009-02-12 2010-08-19 Schott Ag Gestanztes Durchführungselement mit eingelötetem Kontaktstift
DE102010045641A1 (de) * 2010-09-17 2012-03-22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ing- oder plattenförmigen Elementes
DE102012004966B3 (de) * 2012-03-14 2013-01-03 A&O Technologie GmbH Zündsockel für pyroelektrische Zündvorrichtungen
JP5897417B2 (ja) * 2012-07-13 2016-03-30 株式会社ダイセル 点火器用のカバー部材
US8908728B1 (en) 2013-07-08 2014-12-09 Schott Ag Transistor outline package
US9208929B2 (en) * 2013-09-20 2015-12-08 Schott Corporation GTMS connector for oil and gas market
DE102013020526A1 (de) * 2013-12-11 2015-06-11 Trw Airbag Systems Gmbh Polkörper für einen pyrotechnischen anzünder eines gasgenerators, anzünder, gasgenerator und gassackmodul mit einem derartigen polkörper
DE102017123278A1 (de) * 2017-10-06 2019-04-11 Schott Ag Grundkörper mit angelötetem Massestif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en
DE102018116483A1 (de) * 2018-07-06 2020-01-09 Schott Ag Chemisch vorspannbare Gläser mit hoher chemischer Resistenz und Rißbeständig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85775A (zh) 2021-07-09
EP3839413B1 (de) 2022-03-16
EP3839413A1 (de) 2021-06-23
US11945392B2 (en) 2024-04-02
EP4015979A1 (de) 2022-06-22
US20210188207A1 (en) 2021-06-24
JP2021098502A (ja) 2021-07-01
HUE058671T2 (hu) 2022-09-28
MX2020013672A (es)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146B2 (ja) はんだ付けされた接触棒を有する成形された導通素子
US5243492A (en) Process for fabricating a hermetic coaxial feedthrough
US11150060B2 (en) Ring-shaped or plate-like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205610B2 (en) Base body with soldered-on ground pin,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uses thereof
CN101483146B (zh) 接合构造及半导体制造装置
CN110100324B (zh) 用于馈通导体的基体以及壳体的、尤其具有这种基体的电池壳体的壳体部件
CA2891680A1 (en) Pane with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and compensator plates
JP2021000663A5 (ko)
US5563468A (en) Spark plug having arc-shaped precious metal chip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5668672A (zh) 用于制造用于火花塞的组件的方法和火花塞
KR20210032932A (ko) 낮은 결함 민감성을 갖는 금속 고정 재료 리드 스루
KR20210080185A (ko) 금속 고정 재료 피드스루,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BRPI0105481B1 (pt) Vela de ignição
EP0293459B1 (en)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US5608602A (en) Circuit incorporating a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JP7453221B2 (ja) 貫通案内部のための接続ピンおよび製造法
WO2021200154A1 (ja) 電子部品、リード部の接続構造及びリード部の接続方法
CN108879171A (zh) 一种混合封接密封电连接器及制作工艺
KR20170118391A (ko) 탄탈륨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22517A (zh) 以片状材料层叠结构的半导体二极管制造方法
US20240001395A1 (en) Method for applying a coating to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sensor arrangement comprising a coating and coating carrier
CA1311538C (en)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N117790324A (zh) 直插式混合集成电路金属封装外壳及其制造方法
JP2017215168A (ja) 圧力センサ
CN110168721A (zh) 半导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