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629A - 레이더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629A
KR20210079629A KR1020190171611A KR20190171611A KR20210079629A KR 20210079629 A KR20210079629 A KR 20210079629A KR 1020190171611 A KR1020190171611 A KR 1020190171611A KR 20190171611 A KR20190171611 A KR 20190171611A KR 20210079629 A KR20210079629 A KR 2021007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radar device
heat dissipation
wa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629A/ko
Publication of KR2021007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21e)을 가지고, 외측에 연결커넥터부(23)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수용공간(21e)을 덮고, 상기 수용공간(21e) 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15)가 형성된 커버(10)와, 상기 수용공간(21e) 내에 안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0) 내측에는 방열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공(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멤브레인(17)이 부착되어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수분의 유입은 차단된다.

Description

레이더 장치{RADAR DEVICE}
본 발명은 레이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파 차폐와 방열 성능이 구비된 레이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가 구비되어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안전성 및 조향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수신함으로써 주위 물체와 차량 사이의 거리 등을 센싱하는 레이더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레이더 장치의 회로기판에는 안테나, RF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RF 소자에 의해 변환되면 안테나로 전달되어 전자파가 송신되거나 반대로, 안테나로 수신된 전자파가 RF 소자에 의해 변환되며 제어부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전자파, 외부에서 수신되는 전자파 등이 RF 소자에 전달되거나 RF 소자에서 외부로 전자파가 방출될 경우 레이더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게 되어 회로기판에는 RF 소자를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차폐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레이더 장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해 완전히 밀폐되고, 레이더 장치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 및 RF 소자를 포함한 일체의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지 못하여 레이더 장치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자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1148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의 지지부재가 접속부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손이 방지되는 레이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외측에 연결커넥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을 덮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안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커버에 방열공이 형성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 내측에는 상기 방열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멤브레인이 부착되어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수분의 유입은 차단된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RF 소자와 안테나가 실장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RF 소자의 상부를 차폐한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는 지지판과, 전자파를 차단하는 상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판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측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벽과 평행하게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과 차폐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에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단 일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연결커넥터부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연결공간과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서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회로기판이 가고정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상기 내벽에는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수직으로 유동방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차폐부를 가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더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방열부가 형성된다. 방열부에는 방열공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방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멤브레인이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지만, 수분은 차단되므로 방열기능과 방수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벽의 내측으로 내벽이 더 형성되어 외벽과 내벽사이에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안착공간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차폐부가 외력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벽에는 안착단이 형성되어 회로기판이 하우징의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와 회로기판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의해 회로기판과 차폐부가 외력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돌기와 유동방지돌기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회로기판과 차폐부가 가고정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돌기와 유동방지돌기가 하우징의 수용공간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되어 회로기판과 차폐부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레이더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차폐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레이더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례의 레이더 장치는 커버(10)와 하우징(20)이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커버(10)와 하우징(20) 사이에 구비되는 RF 소자 및 안테나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미도시) 및 상기 회로기판의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3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10)는 일측이 개방된 방열공간(11)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10)는 전자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단(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12)은 상기 커버(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리브 형상이다. 상기 결합단(12)은 상기 하우징(20)과 맞닿아 레이저 융착되어 상기 커버(10)와 하우징(20)을 결합시킨다. 상기 커버(10)는 상기 하우징(20)에 융착됨으로써 외부의 수분 및 먼지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10)에는 가압단(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단(13)은 상기 커버(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리브 형상이고, 상기 커버(10)가 상기 하우징(20)으로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다. 즉, 상기 결합단(12)과 가압단(13)은 상기 커버(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압단(13)은 상기 하우징(20)의 안착공간(21d)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안착공간(21d)에 안착된 방수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에는 방열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부(15)는 상기 회로기판에 안착된 RF 소자 등의 전자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킨다. 상기 방열부(15)는 열방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회로기판의 부품이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부품이 상기 커버(10)를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10)에 상기 방열부(15)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부품이 상기 하우징(20)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방열부(15)는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방열부(15)는 상기 커버(10)에 방열공(16)이 형성되어 열을 발산시킨다. 이때, 상기 방열부(15)는 상기 방열공(16)을 통해서 열을 발산시키는 동시에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해서 멤브레인(17)을 구비한다.
상기 멤브레인(17)은 공기는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열의 방출은 가능하지만, 수분의 유입은 방지하여 상기 커버(10)의 방수기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멤브레인(17)은 상기 커버(10)의 내측에서 상기 방열공(16)을 가리도록 부착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방열부(15)가 상기 방열공(16)이 형성되어 열을 직접 방출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이 상기 방열부(15)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열부(15)는 상기 커버(10)와 일체로 형성된 히트싱크 또는 상기 방열공(16)에 열전도성 핀이 삽입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의 외관은 바디부(21)가 형성한다. 상기 바디부(21)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바디부(21)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커버(1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바디부(21)는 판 형의 베이스(21a)가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21a)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외벽(21b)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1a)와 외벽(21b)에 의해 상기 바디부(21)의 외관이 완성된다.
상기 베이스(21a)에는 상기 외벽(21b)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벽(21b)과 평행하게 내벽(21c)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21c)은 상기 회로기판이 실장되는 공간과 방수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외벽(21b)으로부터의 거리를 확보하여 상기 회로기판 및 전자부품들을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내벽(21c)과 외벽(21b)사이에는 안착공간(21d)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21d)에는 방수부재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10)와 하우징(20)이 레이저융착에 의해 접합되더라도, 내부에 방수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중으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공간(21d)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외기의 온도에 의해 하우징(20)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착공간(21d)에 안착된 방수부재는 상기 커버(10)의 가압단(13)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바디부(21)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2)에는 볼트 등의 체결장치(미도시)가 삽입되어 자동차 또는 프레임 등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2)의 개수 및 형상은 설치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1)의 외면에는 연결커넥터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커넥터부(23)는 외부의 전자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커넥터부(23)는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외부커넥터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연결커넥터부(23)를 통해서 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커넥터부(23) 또한 그 개수 및 형상은 설치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내벽(21c)의 내측으로 수용공간(21e)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1e)에는 상기 회로기판 및 차폐부(30)가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1e)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단(24)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24)의 위로 상기 회로기판 및 차폐부(30)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단(24)은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21a)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킨다. 상기 베이스(21a)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안착된 소자를 보호한다.
상기 연결커넥터부(23) 가까이에 위치한 상기 안착단(24)의 일부는 구획벽(24a)이 된다. 상기 연결커넥터부(23) 내에는 터미널이 설치되는데,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20)과 함께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된다. 상기 구획벽(24a)은 상기 연결커넥터부(23)에 인서트 사출된 터미널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결공간(24b)을 상기 수용공간(21e)과 구획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4)에는 요입홈(24c)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4)은 상기 수용공간(21e)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모두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착단(24)에는 간헐적으로 요입홈(24c)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단(24)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4)은 사출과정에서 설계상 또는 공차에 의한 오류로 인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어렵다. 상기 요입홈(24c)은 이러한 결함에 의해 상기 안착단(24)에 안착되는 상기 회로기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안착단(24)의 위에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4c)에 의해 상기 안착단(24)의 일부가 의도적으로 낮게 형성되면 상기 회로기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단(24)에는 고정돌기(25)가 상기 하우징(20)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서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기(25)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돌기(25)는 상기 수용공간(21e)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을 제외한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것은 상기 회로기판의 부품실장면이 뒤집히지 않고 올바르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5)는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20)에 완전히 고정되기 전에 임시로 고정되는 가고정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상기 내벽(21c)에는 유동방지돌기(26)가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26)는 상기 내벽(21c)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e)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26)는 상기 회로기판과 차폐부(30)를 동시에 가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안테나가 실장되는 구역과 RF 소자가 실장되는 구역으로 분할 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30)는 상기 회로기판의 RF 소자가 실장되는 구역을 덮는다. 이때, 상기 차폐부(30)는 상기 안테나가 실장되는 구역은 덮지 않는다. 상기 차폐부(30)는 상기 RF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한다. 상기 차폐부(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30)는 지지판(32)과 상판(31), 그리고 상기 지지판(32)과 상판(31)을 연결하는 측판(33)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31)은 상기 RF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반사 또는 흡수하여 차단한다. 상기 상판(31)은 노이즈의 반사 및 흡수를 동시에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회로기판에 최소한의 면적만 접촉되어 상기 차폐부(30) 자체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32)에는 체결홀(도면부호 표시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도면부호 표시 않음)을 통해서 상기 차폐부(30)는 상기 회로기판과 함께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판(33)은 상기 상판(31)과 지지판(32)을 연결하며, 상기 상판(31), 지지판(32) 및 측판(33)이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판(33)은 상기 상판(31)과 지지판(32) 사이를 이격시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31)이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판(33)에는 끼움홈(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34)은 상기 유동방지돌기(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돌기(2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레이더 장치의 조립과정 및 방열부(1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버(10)와 하우징(20)의 사이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차폐부(30)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10)의 내측에는 상기 방열부(15)와 대응되는 위치에 멤브레인(17)이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안착단(24) 위로 상기 회로기판과 차폐부(30)가 순서대로 가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고정돌기(25) 및 유동방지돌기(26)에 끼워져 가고정되고, 상기 차폐부(30)는 상기 끼움홈(34)이 상기 유동방지돌기(26)에 걸려 가고정된다.
상기 회로기판과 차폐부(30)의 가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10)의 결합방향으로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20)과 회로기판 및 차폐부(30)를 고정시킨다. 상기 하우징(20)과 회로기판 및 차폐부(30)가 고정되면, 그 위로 커버(10)가 씌워져 상기 하우징(20)을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10)의 가압단(13)은 상기 안착공간(21d)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안착공간(21d) 내에 설치된 방수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결합단(12)은 상기 하우징(20)의 외벽(21b)에 접촉된다. 상기 결합단(12)과 외벽(21b)이 접촉되면 레이저 융착에 의해 상기 커버(10)와 하우징(20)이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방열부(15)에 형성된 방열공(16)은 상기 멤브레인(17)이 부착됨으로써 공기의 출입은 가능하지만, 수분 및 이물의 유입은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멤브레인(17)을 통해서 방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커버 11 : 방열공간
12 : 결합단 13 : 가압단
15 : 방열부 16 : 방열공
17 : 멤브레인 20 : 하우징
21 : 바디부 21a : 베이스
21b : 외벽 21c : 내벽
21d : 안착공간 21e :수용공간
22 : 장착브라켓 23 : 연결커넥터부
24 : 안착단 24a : 구획벽
24b : 연결공간 24c : 요입홈
25 : 고정돌기 26 : 유동방지돌기
30 : 차폐부 31 : 상판
32 : 지지판 33 : 측판
34 : 끼움홈

Claims (11)

  1.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외측에 연결커넥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을 덮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안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커버에 방열공이 형성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레이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측에는 상기 방열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멤브레인이 부착되어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수분의 유입은 차단되는 레이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RF 소자와 안테나가 실장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RF 소자의 상부를 차폐하는 레이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되는 지지판과,
    전자파를 차단하는 상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판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벽과 평행하게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과 차폐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레이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에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단 일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레이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연결커넥터부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연결공간과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되는 레이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서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회로기판이 가고정되는 레이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레이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는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수직으로 유동방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차폐부를 가고정하는 레이더 장치.
KR1020190171611A 2019-12-20 2019-12-20 레이더 장치 KR20210079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11A KR20210079629A (ko) 2019-12-20 2019-12-20 레이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11A KR20210079629A (ko) 2019-12-20 2019-12-20 레이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29A true KR20210079629A (ko) 2021-06-30

Family

ID=7660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611A KR20210079629A (ko) 2019-12-20 2019-12-20 레이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956A (zh) * 2022-04-21 2022-07-22 安徽城宜防务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雷达系统的支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809A (ko)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809A (ko)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956A (zh) * 2022-04-21 2022-07-22 安徽城宜防务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雷达系统的支撑装置
CN114776956B (zh) * 2022-04-21 2023-11-14 安徽城宜防务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雷达系统的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3110A1 (en) Cover member of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mbient situation of vehicle and sensor assembly
US20160033621A1 (en) Rada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11140300B2 (en)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JP2006191772A (ja) 電気接続箱
JP2010057345A (ja) 電子制御装置
EP3514888B1 (en) Radar sensor housing design
CN113138368A (zh) 一种雷达装置和移动平台
US8672712B2 (en) Shield and circuit board module having the same
KR20210079629A (ko) 레이더 장치
EP2914073B1 (en) Electronic unit
KR102242930B1 (ko)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JP7223554B2 (ja) 電子ユニット
KR20200077274A (ko)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CN111679279A (zh) 车辆雷达传感器及其组装方法
US20200400786A1 (en) Limited reflection type sensor
JP6148598B2 (ja) コネクタ
KR102512377B1 (ko) 엘이디 드라이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3748328B2 (ja) センサ
TWI723725B (zh) 雷達感測器殼體封裝
KR102209813B1 (ko)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CN210894680U (zh) 一种防水透气雷达
JP4825248B2 (ja) 電子制御装置
JP7351025B2 (ja) 車載用レーダ装置
CN112285687B (zh) 雷达系统
KR101927120B1 (ko)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