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274A -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274A
KR20200077274A KR1020180166632A KR20180166632A KR20200077274A KR 20200077274 A KR20200077274 A KR 20200077274A KR 1020180166632 A KR1020180166632 A KR 1020180166632A KR 20180166632 A KR20180166632 A KR 20180166632A KR 20200077274 A KR20200077274 A KR 2020007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control device
electronic contro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6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274A/ko
Publication of KR2020007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G01S2007/0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전자제어장치는, 상측이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일측면에 돌출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제 1 접속단자가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부에 삽입되는 제 1 본체와 제 1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 2 접속단자가 돌출형성되는 제 2 본체가 구비되는 연결부재,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제 2 접속단자와 결합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을 덮으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레이돔을 포함하여, 하우징이 외부단자와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분리되어 금속계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결부재를 하우징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이 레이돔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회로기판을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전자제어장치{Radar Electric Control Unit}
본 실시예들은 전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이 외부단자와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분리되어 금속계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결부재를 하우징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이 레이돔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회로기판을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전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가 구비되어,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안전성 및 조향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레이더 전자제어장치(Radar ECU)에는 레이돔(Radome)이 구비되어 전자파를 방출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수신함으로써 차량과 주위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레이더 전자제어장치는 하우징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전자파를 차단하지 못하며 열전도성이 낮아, 레이더 전자제어장치가 전자파를 차량 전후방 또는 측방으로만 방출하고 반사되어 방출된 방향으로 돌아오는 전자파만을 수신하도록 전자파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쉴드플레이트(Shield Plate) 및 외부로 열을 방출하도록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써멀패드(Thermal Pad) 등이 필요하여 이들을 별도로 제작하고 레이더 전자제어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이더 전자제어장치는 회로기판이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데, 나사 체결력에 의해 회로기판이 손상될 위험이 있어 체결력 관리를 위한 설비가 필요하거나 나사결합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회로기판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등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이 외부단자와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분리되어 금속계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결부재를 하우징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이 레이돔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회로기판을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측이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일측면에 돌출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제 1 접속단자가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부에 삽입되는 제 1 본체와 제 1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제 2 접속단자가 돌출형성되는 제 2 본체가 구비되는 연결부재,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제 2 접속단자와 결합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을 덮으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레이돔을 포함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우징이 외부단자와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분리되어 금속계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결부재를 하우징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이 레이돔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회로기판을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자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결합상태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결합상태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자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결합상태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결합상태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되는 방향을 x방향, 레이돔(101)에 하우징(107)이 결합되는 방향을 y방향, x 및 y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z방향으로 설정하여, x방향 및 그 반대방향을 전방 및 후방, y방향 및 그 반대방향을 상방 및 하방으로 지칭하며, z방향 및 그 반대방향은 측방향으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더 전자제어장치(100)는, 상측이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연장부(122)가 구비되는 하우징(107), 일측면에 돌출되는 제 1 접속단자(113)가 구비되어 제 1 접속단자(113)가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부(122)에 삽입되는 제 1 본체(111)와 제 1 본체(111)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제 2 접속단자(114)가 돌출형성되는 제 2 본체(112)가 구비되는 연결부재(105), 하우징(107)의 내부에 내장되어 제 2 접속단자(114)와 결합되는 회로기판(103), 회로기판(103)을 덮으며 하우징(107)의 상측에 결합되는 레이돔(101)을 포함한다.
하우징(107)은 상측이 개구되고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내부에 연결부재(105), 회로기판(103) 등이 구비되고 상측에 레이돔(101)이 결합된다.
하우징(107)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연장부(122)가 구비된다.
즉, 측벽의 일부가 관통되어 장착홀(121)이 구비됨으로써 하우징(107)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며, 연장부(122)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105)의 제 1 접속단자(113)와 외부단자(미도시)의 결합이 보호된다.
연결부재(105)는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를 포함하는데, 제 1 본체(111)의 일측면에는 돌출되는 제 1 접속단자(113)가 구비되어 제 1 접속단자(113)가 외측을 향하도록 제 1 본체(111)가 연장부(122)의 내부, 즉 장착홀(121)에 삽입되고, 제 2 본체(112)는 제 1 본체(111)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제 2 접속단자(114)가 돌출형성된다.
회로기판(103)은 하우징(107)의 내부에 내장되어 제 2 접속단자(114)와 결합된다.
즉, 제 1 접속단자(113)는 제 1 본체(111)의 정면에 돌출형성되고, 제 2 본체(112)는 제 1 본체(111)의 배면에 연결된다. 제 2 접속단자(114)는 제 2 본체(112)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회로기판(103)의 결합공(161)에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제 1 접속단자(113)와 제 2 접속단자(114)는 연결부재(105) 내부에서 연결됨으로써 회로기판(103)이 외부단자와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고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제 1 본체(111) 및 제 2 본체(112)는 외부단자와 회로기판(103) 사이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전도성이 낮아야 하며 후술할 지지부(132)가 소정의 탄성을 가져야 하므로, POM(Polyacetal), PA(Polyamide),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이돔(101)은 회로기판(103)을 덮으며 하우징(107)의 상측에 결합되는데, 레이돔(101)이 차량 외측으로만 전자파를 방출하고 반사되어 방출된 방향에서 돌아오는 전자파만을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107)을 연결부재(105)와 별도로 금속계열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0)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별도의 구성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줄어들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7)을 플라스틱계열 재질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계열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0)가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07)은 일례로 방열성능이 우수하고 가공하기 쉬운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05)는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가 연결되는 외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 1 본체(111)가 연장부(122)에 삽입될 때 제 2 본체(112)의 단차진 외측면이 하우징(107)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본체(112)가 제 1 본체(111)보다 측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제 1 본체(111)가 연장부(122)에 삽입될 때 제 2 본체(112)의 단차진 외측면이 하우징(107)에 지지됨으로써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7)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제 2 본체(112)의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돌출부(131)가 구비되어, 연결부재(105)가 측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 2 본체(112)의 측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지지되도록 하우징(107)의 바닥면에 돌출부(131)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연결부재(105)에 측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돌출부(131)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돌출부(131) 사이로 연결부재(105)가 이동되며 연장부(122)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된 후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제 2 본체(112)의 양측면에는 일단이 제 2 본체(112)에 연결되고 타단이 돌출부(131)에 지지되는 지지부(132)가 구비되고, 지지부(132)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31)에 지지되는 지지돌기(20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32)는 타단이 제 2 본체(112)와 이격되어 돌출부(131)에 측방향으로 지지되며, 지지돌기(202)는 배면이 돌출부(131)의 정면에 지지되어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되었을 때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132)는 제 2 본체(112)의 배면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201)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01)는 제 2 본체(112)의 배면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지지부(132)가 측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되며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지지부(132)가 복원되며 지지돌기(202)가 돌출부(131)의 정면에 지지되게 된다.
연결부재(105)는 제 2 본체(112)가 하우징(107)에 지지되고 지지돌기(202)가 돌출부(131)에 지지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돌출부(131)가 제 2 본체(112)의 양측에 지지됨으로써 측방향으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될 때 지지부(132)가 탄성변형되며 삽입되도록, 지지돌기(202)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될 때 처음 돌출부(131)에 지지되는 지지돌기(202)의 정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105)가 삽입될 때 지지부(132)가 자연스럽게 가압되며 측방향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연결부재(105)의 결합이 간편해진다.
삽입된 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32)가 소정의 강성을 지니므로, 외측으로 복원되며 지지돌기(202)의 배면이 돌출부(131)의 정면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7)의 바닥면에는 연결부재(105)가 지지되는 부위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41)가 구비되되 가이드돌기는 연결부재(105)가 연장부(1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105)의 하면에는 가이드돌기(141)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105)가 간편하고 빠르게 연장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42)이 가이드돌기(141)에 맞물리도록 연결부재(105)가 하우징(107)의 바닥면에 놓이고, 가이드돌기(141)를 따라 연결부재(105)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연결부재(105)가 간편하고 빠르게 연장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42)은 연결부재(105)의 하면에 전방 및 후방으로 모두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41)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두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42)은 그에 대응되는 개수 또는 그 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하우징(107)의 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71)가 구비되고 레이돔(101)의 하면에는 결합돌기(171)와 맞물리는 결합홈(602)이 구비되어 하우징(107)과 레이돔(101)이 결합될 수 있다.
레이더 전자제어장치(100)에 누수가 일어나 회로기판(103)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돌기(171)와 결합홈(602)은 실런트(Sealant) 등의 접착제 또는 아크 용접 등 다양한 용접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후술할 가압부(601)가 회로기판(103)을 지지하는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레이저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서로 맞물린 결합돌기(171)와 결합홈(602)이 맞닿는 부위가 레이저용접되어 고정될 때, 레이돔(101)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압력 및 결합돌기(171)가 결합홈(602)에 삽입되는 정도 등을 조절하며 가압부(601)가 회로기판(103)을 지지하는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7) 측벽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차부(151)가 구비되어 회로기판(103)이 안착되며 지지될 수 있다.
즉, 단차부(151)는 하우징(107)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회로기판(103)의 하면 테두리가 지지되게 되는데, 단차부(151)가 구비됨으로써 회로기판(103)이 하우징(107)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후술할 가압부(601)와 단차부(151) 사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레이돔(101)의 하면에는 돌출되는 가압부(601)가 구비되어, 가압부(601)가 회로기판(103)을 단차부(151)로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7)과 레이돔(101)이 레이저용접될 때 가압부(601)가 회로기판(103)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회로기판(103)이 파손되지 않도록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03)이 단차부(151)와 가압부(601) 사이에서 고정됨에 따라 회로기판(103)에 하우징(107)에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원가가 절감된다.
이 때, 단차부(151)는 회로기판(103)의 테두리에 지지되는 데 반해 가압부(601)가 회로기판(103)의 중심부에 지지된다면 레이돔(101)가 하우징(107)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103)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압부(601)는 레이돔(101)의 테두리에 구비되되, 테두리를 따라서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부(601)가 회로기판(103)의 단차부(151)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회로기판(103)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부위가 일치되어 레이돔(101)가 하우징(107)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103)이 파손될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가압부(601)가 레이돔(101)의 서로 대향되는 테두리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레이돔(101)이 하우징(107)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103)이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101)의 각 모퉁이에 구비되어 회로기판(103)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에 의하면, 쇼트방지를 위해 플라스틱계열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별도로 하우징이 금속계열 재질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작됨으로써, 하우징이 레이더 전자제어장치의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레이더 전자제어장치에 쉴드플레이트 또는 써멀패드 등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이들을 제작하고 조립하기 위한 제작공정이 줄어들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바닥면에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고정되며, 연결부재의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연결되는 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 2 본체에 지지부 및 지지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 2 본체가 절개되어 지지부가 구비되고 지지돌기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가 연장부에 삽입될 때 지지부가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되어 연결부재를 간편하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바닥면에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연결부재의 하면에 가이드홈이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가 간편하고 빠르게 연장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측벽에 단차부가 구비되고 레이돔의 하면에 가압부가 구비됨으로써, 회로기판이 단차부와 가압부 사이에 고정되며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레이돔이 하우징에 레이저용접됨으로써 가압부가 회로기판을 가압하는 압력 및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제어장치 101: 레이돔
103: 회로기판 105: 연결부재
107: 하우징 111: 제 1 본체
112: 제 2 본체 113: 제 1 접속단자
114: 제 2 접속단자 121: 삽입홀
122: 연장부 131: 돌출부
132: 지지부 141: 가이드돌기
142: 가이드홈 151: 단차부
161: 결합공 171: 결합돌기
201: 절개부 202: 지지돌기
601: 가압부 602: 결합홈

Claims (12)

  1. 상측이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일측면에 돌출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접속단자가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제 2 접속단자가 돌출형성되는 제 2 본체가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접속단자와 결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덮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레이돔;
    을 포함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연결되는 외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본체의 단차진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 2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양측면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될 때 상기 지지부가 탄성변형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돌기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지지되는 부위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레이돔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레이돔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레이돔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맞닿는 부위가 레이저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측벽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되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의 하면에는 돌출되는 가압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단차부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레이돔의 테두리에 구비되되,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레이돔의 서로 대향되는 테두리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KR1020180166632A 2018-12-20 2018-12-20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KR20200077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32A KR20200077274A (ko) 2018-12-20 2018-12-20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32A KR20200077274A (ko) 2018-12-20 2018-12-20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74A true KR20200077274A (ko) 2020-06-30

Family

ID=7112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632A KR20200077274A (ko) 2018-12-20 2018-12-20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2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4983A1 (ja) * 2020-12-28 2022-07-0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レーダ装置
KR20220158911A (ko) * 2021-05-24 2022-12-02 주식회사 유니크 농업차량 텔레메틱스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4983A1 (ja) * 2020-12-28 2022-07-0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レーダ装置
KR20220158911A (ko) * 2021-05-24 2022-12-02 주식회사 유니크 농업차량 텔레메틱스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006B2 (en) Bracket assembly for a multi-component vision system in an electronic device
TWI737295B (zh) 電子裝置及用於組裝該電子裝置之方法
KR101460896B1 (ko)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JP4577224B2 (ja) 無線装置
US985343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200077274A (ko) 레이더 전자제어장치
KR101473266B1 (ko) 커넥터
JP2012239025A (ja) 光トランシーバ、及びホストコネクタカバー
CN113138368A (zh) 一种雷达装置和移动平台
JP2014103747A (ja) 電気接続箱
WO2018193763A1 (ja) 電子装置
CN111679279B (zh) 车辆雷达传感器及其组装方法
CN210424853U (zh) 电子单元
KR100988974B1 (ko) 탄성 접촉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KR20190060707A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연성회로기판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램프유닛
US10673172B2 (en) USB connector
KR101647400B1 (ko) 케이스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20210079629A (ko) 레이더 장치
CN110708939B (zh) 壳体装置
CN212272612U (zh) 车载冷却风扇控制模块
US12010790B2 (en) High-frequency circuit including a circuit board and a waveguide structure
CN210120756U (zh) 包含散热片的外壳组件以及电子装置外壳
US20220140488A1 (en) High-frequency circuit including a circuit board and a waveguide structure
KR101816033B1 (ko)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561466A (zh) 一种车载冷却风扇控制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