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816A -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816A
KR20210078816A KR1020190170644A KR20190170644A KR20210078816A KR 20210078816 A KR20210078816 A KR 20210078816A KR 1020190170644 A KR1020190170644 A KR 1020190170644A KR 20190170644 A KR20190170644 A KR 20190170644A KR 20210078816 A KR20210078816 A KR 20210078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art
uvc
mobile
chic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937B1 (ko
Inventor
신현철
Original Assignee
(주)엔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퓨텍 filed Critical (주)엔퓨텍
Priority to KR102019017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9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퀴를 구비하여 케이지 모듈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고, UVC가 케이지 모듈의 각 층에 구비된 복수의 급이통 상측 및 계분 컨베이어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는 확산차폐수단을 구비하여 UVC를 각 층의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유닛;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고, 배터리 및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여 그 이동대차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 케이지 모듈의 적어도 한쪽 끝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서 이동대차가 도킹함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도크; 및 위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동대차가 케이지 모듈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나란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이동대차를 유도하는 대차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이 닭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해 유발되는 닭의 스트레스 등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케이지에 기생하는 각종 세균과 기생충 특히 닭진드기를 효과적으로 박멸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Mobile UV irradiation facility for eradicating Poultry Red Mite in henhouse}
본 발명은 양계장의 닭진드기를 포함한 각종 기생충, 세균, 곰팡이 및/또는 바이러스를 박멸하는데 사용하는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력한 살균 및 살충력을 갖는 자외선(UVC)을 케이지(cage)에 조사하되, 자외선이 닭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해 유발되는 닭의 스트레스 등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케이지에 기생하는 닭진드기 등의 각종 기생충, 세균, 곰팡이 및/또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박멸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계는 적은 토지와 자본 및 노동력으로 비교적 쉽게 경영할 수 있고, 생육기간이 짧아 자본회수가 빠르며, 일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해 품질의 규격화가 용이할 뿐 아니라 다른 축산품에 비해 값싸게 공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에 따라 가장 폭넓게 행해지고 있는 축산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양계는 그 사육 목적에 따라 닭고기 생산을 위한 브로일러(broiler) 양계와, 달걀 생산을 위한 채란(採卵) 양계로 나누어진다. 브로일러 양계는 양질의 닭고기를 얻기 위해 땅바닥에 놓아 키우는 평사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에 반해, 채란 양계는 달걀 수거의 용이성과 사육의 편의성 및 공간활용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에 보통 4~7마리의 닭들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지(C)를 수평 및 수직으로 연이어 배치한 소위 아파트형 케이지 모듈(M)에 넣어 집단으로 사육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케이지 모듈(M)의 각 층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케이지(C)들이 공유하도록 거터(gutter) 형태의 급이통(G)이 길게 배치되어 사료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급이통(G)의 하부에 달걀받이(T)가 나란히 구비되어서 달걀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케이지(C)의 바닥은 달걀이 달걀받이(T)로 쉽게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지(C)의 바닥 중앙부에는 케이지(C)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덕트(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지(C)의 하부에는 계분 컨베이어(V)가 구비되어 계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계장은 좁은 공간에서의 집단사육 특성상 조류독감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발병과 감염의 우려가 대단히 크고, 전염병으로 인한 집단 폐사의 위험이 상존하므로 계사(鷄舍)내의 적정한 온도와 습도 유지는 물론 철저한 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닭 따위의 가금류에 체외기생하면서 피를 빨아먹는 흡혈 기생충 닭진드기는 다수가 기생할 경우 닭에 빈혈증세를 유발하여 폐사시키며, 뇌염이나 가금콜레라 및 백혈병 등의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닭진드기는 전세계적으로 양계장의 가장 큰 골칫거리로, 계군에 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해 체중 감소와 사료효율 저하, 산란율 감소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며, 각종 질병 감염과 확산을 일으키는 주요인이다.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국내 양계농장의 닭진드기 감염률은 약 94%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므로 양계장에 있어서 각종 세균과 기생충은 물론이고, 특히 닭진드기의 박멸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시행되고 있다.
예컨대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계사내에 살충제를 주기적으로 살포하고 있는데, 이는 고비용의 문제 뿐 아니라 닭의 피부나 몸속에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어 달걀과 닭고기의 오염 우려가 있다.
더욱이 닭진드기는 생명력이 매우 강해 살충제 등에 쉽게 사멸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살충제를 살포하면 계사내 틈새로 숨어들어 없어지는 것 같지만 금세 다시 나타나 닭에 기생하게 된다. 또한, 닭진드기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 까지 약 7~8일 정도에 불과하고, 알은 살충제에 의해 사멸하지 않아 사실상 박멸이 불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양계장 닭진드기의 효율적인 살충을 위해 자외선 엘이디 램프를 통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 케이지에 순차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닭진드기를 살균 및 살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자외선 엘이디 램프가 케이지(C) 전체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므로 케이지의 내부에 있는 닭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문제가 있다. 자외선은 강력한 살균력으로 닭진기를 사멸시킬 수 있지만, 인체 등의 생명체가 일정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여러 심각한 부작용이 유발되는 악영향이 있다.
따라서 닭에 직접 자외선이 조사되면, 닭이 크게 놀라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중 감소와 산란율 저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닭진드기는 야행성으로 낮에는 주로 급이통(G)의 하면과 에어덕트(D) 등에 숨어 있다가 밤에 닭에 기생하여 흡혈을 하는 바, 자외선을 케이지(C) 전체에 조사하는 방식으로는 닭진드기의 확실한 박멸을 기대하기 어렵다.
셋째, 자외선 엘이디 램프의 조사방향을 방향 조절부를 통해 급이통(G) 부위을 향하도록 하더라도 조사된 자외선이 확산되어 케이지(C) 내의 닭에 직접 조사될 수밖에 없는 바, 전술한 첫 번째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넷째, 특히 자외선 엘이디 램프를 일정 스텝씩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고, 램프를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면서 케이지(C) 전체에 소정시간동안 집중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닭의 트러블이 필연적으로 야기될 수밖에 없고, 램프가 이동중에는 오프되므로 자외선의 조사범위에서 벗어나는 곳이 발생할 수 있어 닭진드기 등의 기생충과 세균의 확실한 사멸을 도모하기 곤란하다.
한국 등록특허 10-204753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자외선이 닭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해 유발되는 닭의 스트레스 등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케이지에 기생하는 각종 세균과 기생충, 특히 닭진드기를 효과적으로 박멸시킬 수 있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충제에 의한 달걀이나 닭고기의 2차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닭진드기 등의 각종 기생충, 바이러스 및/또는 세균을 효율적으로 박멸할 수 있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닭진드기의 습성과 생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닭진드기에 UVC를 여러 가지 조건으로 조사하면서 그에 따른 변화와 사멸에 도달하는 시간 등을 실험하였다.
본 발명자의 관찰에 의하면, 닭진드기는 약 7~8일이면 알에서 성충으로 성장하며, 주간에는 주로 급이통의 이면과 에어덕트 등에 숨어 활동이 뜸하다가 야간에 왕성한 활동을 보이면서 닭에 기생하여 흡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UVC의 누적 조사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닭진드기와 알이 모두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UVC의 조사량이 많을수록 빨리 사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자가 여러 가지 조건으로 진행하였던 UVC 조사량에 따른 닭진드기의 사멸에 소요되는 기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의 일례이며, UVC조사량은 초당 2000㎼/㎠ 이다.
위의 조건으로 210초를 조사했을 때 닭진드기의 사멸에 6일 정도가 소요되지만, 230초에서 270초 구간에서는 약 4일이 소요되고, 280초 이상 조사하면 불과 1일만에 완전히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UVC 조사 전후의 닭진드기의 상태와 알의 상태를 도 3에 도시하였는데,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UVC 조사 후 알에 구멍이 뚫리고 건조해지면서 사멸하였고,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닭진드기(RM)의 흡혈빨대(P)가 부러지고 사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자의 고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는, 각기 닭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지가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된 케이지 모듈을 포함하고, 케이지 모듈의 각 층에 위치하는 다수의 케이지가 각각 공유하도록 복수의 급이통과 달걀받이를 수평으로 길게 가지며, 각 층의 케이지 하부에 계분 컨베이어를 갖는 양계장에 있어서,
바퀴를 구비하여 케이지 모듈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고, UVC가 케이지 모듈의 각 층에 구비된 복수의 급이통 상측 및 계분 컨베이어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는 확산차폐수단을 구비하여 UVC를 각 층의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유닛;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고, 배터리 및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여 그 이동대차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 케이지 모듈의 적어도 한쪽 끝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서 이동대차가 도킹함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도크; 및 위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이동대차가 케이지 모듈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나란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이동대차를 유도하는 대차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대차 가이드는 예를 들어 케이지 모듈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채널(channel) 상의 레일과, 이동대차에 장착되어 레일의 채널에 삽입되는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대차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주행을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이동대차는 그 양측에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주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유닛이, 케이지 모듈의 각 층의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대향하도록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각각 UVC를 조사하는 복수의 UVC조사부를 구비하며, 이동대차에 수평방향(진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동대차의 1회 주행에 대한 UVC의 누적 조사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닭진드기의 사멸에 걸리는 시간을 그만큼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각 UVC조사부는 자외선 램프와, 이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 중 UVC만 투과시키는 UVC필터와, 조사된 UVC가 급이통의 상하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시키는 확산차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확산차폐수단은 UVC필터 둘레를 에워싸도록 돌출하는 하나의 차폐관이나 UVC필터 상하에서 각각 돌출하는 2개의 차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급이통 등과의 접촉을 고려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유닛이, 케이지 모듈의 각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구성되어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길게 배치됨으로써 이동대차의 1회 주행에 따른 UVC의 누적 조사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충전도크는 유선충전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충전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충전도크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을 이동대차의 도킹여부에 따라서 적절히 단속할 수 있는 전원단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전원단속수단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충전도크에 대한 외부전원의 연결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와, 충전도크에 대한 이동대차의 도킹을 감지하는 도킹감지센서 및 도킹감지센서로부터의 도킹신호가 전달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에 의하면, 닭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케이지 모듈의 급이통과 에어덕트 등에 UVC가 집중 조사되고, 자외선이 닭에 직접 조사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므로 자외선 조사로 인해 유발되는 닭의 스트레스는 물론 강력한 살균력을 갖는 UVC가 생체에 미치는 여러 부작용도 거의 발생되지 않으면서 특히 케이지에 기생하는 닭진드기는 물론 양계장에 발생하는 각종 기생충과 세균까지 효과적으로 박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로 인한 닭의 체중 감소나 산란율 저하 등도 최소화되어 양계장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염되지 않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달걀과 닭고기를 생산할 수 있어 양계장의 신뢰성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지 양계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
도 2는 UVC 조사량에 따른 닭진드기의 사멸에 걸리는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UVC 조사 전후의 닭진드기와 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a)는 닭진드기 알의 사진이고, (b)는 닭진드기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요부 발췌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 조사유닛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 조사유닛의 발췌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자외선 조사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 조사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충전도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는, 양계장 케이지 모듈(M)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대차(10)와, 이 이동대차(10)에 장착되어서 UVC를 케이지 모듈(M)의 각 층의 급이통(G)에서 계분 컨베이어(V)에 이르는 부위에 각각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유닛(20)과, 이동대차(10)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30)과, 케이지 모듈(M)의 적어도 한쪽 끝에 배치되어서 이동대차(10)가 도킹함에 따라 후술한 주행수단(30)의 배터리(31)를 충전시키는 충전도크(40) 및 위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대차(10)는 후술한 주행수단(30)의 모터(32)와 배터리(31)가 각각 내장되는 구동실(11)과 충전실(12)을 갖는다. 이동대차(10)는 용이한 주행을 위해 저면에 복수의 바퀴(13)를 구비한다. 바퀴(13)는 이동대차(10)의 주행중 미끄러짐 등이 최소화 되도록 고무 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대차(10)는 대차 가이드(14)에 의해 그 주행경로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케이지 모듈(M)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대차 가이드(14)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케이지 모듈(M)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채널상의 레일(15)과, 이 레일(15)의 채널(15a)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롤러(16)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일(15)은 채널(15a)의 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롤러(16)는 이동대차(10)의 안정된 이동을 위해 적어도 2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브래킷(17)을 통해 이동대차(10)에 지지된다.
자외선 조사유닛(20)은 포스트 형태로 길게 구성되어서 이동대차(10)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한쪽 측면(케이지 모듈과 대향하는 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UVC조사부(22)를 갖는다. 각 UVC조사부(22)는 케이지 모듈(M)의 각 층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의 급이통(G)에서 계분 컨베이어(V)에 이르는 부위와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하우징(21)에는 후술한 자외선 램프(23)가 내장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램프홈(21a)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각 UVC조사부(2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각 램프홈(21a)에 수용 장착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23)와, 이 자외선 램프(23)에서 조사된 자외선 중 UVC만 투과시키는 UVC필터(24) 및 조사된 UVC가 케이지 모듈(M)의 대응하는 급이동(G)의 상측과 계분 컨베이어(V)의 하측으로 확산되는 차폐시키는 차폐관(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관(25)은 예를 들어 급이통(G) 등과의 접촉 시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적절한 탄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를 안정되게 지탱해 줄 수 있는 소정형태의 프레임(26)을 통해 하우징(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유닛(20)에서 조사된 UVC가 닭진드기를 비롯한 각종 세균과 기생충들이 주로 서식하는 급이통(G)과 에어덕트(D) 등에만 집중될 뿐, 닭들이 수용되어 있는 케이지(C)로는 조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외선 조사로 인한 닭의 스트레스 유발 등의 부작용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닭진드기를 비롯한 각종 질병유발 요인들을 확실하게 박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차폐관(25)은 자외선 램프(23)에서 조사된 UVC가 케이지(C) 내에 수용되어 있는 닭들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이통(G)의 상측과 계분 컨베이어(V)의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 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UVC필터(24)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적절히 돌출하도록 하우징(21)에 고정되는 2개의 차폐판(27)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차폐판(27) 역시 전술한 차폐관(25)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탄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유닛(20)이 2개가 구비되어서 이동대차(10)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이동대차(10)에 장착된다. 이는 이동대차(10)의 1회 주행에 따른 닭진드기에 대한 UVC의 누적 조사량을 배가시키게 되어 닭진드기를 보다 빠른 기간내에 사멸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UVC의 누적 조사량이 많을수록 닭진드기의 사멸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지는 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자외선 조사유닛(20)이 이동대차(10)의 주행횟수에 따른 UVC의 누적 조사량을 대폭 증대시키게 됨은 물론 짧은 시간 간격으로 UVC를 반복 조사하게 됨으로써 닭진드기의 사멸을 촉진시켜 단기간 내에 사멸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유닛(60)을 케이지 모듈(M)의 각 층의 급이통(G)에서 계분 컨베이어(V)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구성하여 지지포스트(64)를 통해 이동대차(10)의 주행방향(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외선 조사유닛(60)은 각각이 하나의 UVC조사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1개의 하우징(61) 전체에 1개의 램프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1개의 자외선 램프(도시하지 않음)을 각각 장착하고, UVC필터(62)의 상하측에 UVC의 확산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판(6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판(63)은 차폐관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이동대차(10)의 주행에 따라 닭진드기에 UVC가 연속으로 조사되면서 이동대차(10)의 1회 주행에 대한 누적 조사량이 더욱 증대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닭진드기를 사멸시킬 수 있게 된다.
주행수단(30)은 배터리(31)와, 이 배터리(31)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2)를 구비한다. 배터리(31)는 이동대차(10)의 충전실(12) 내에 설치된다. 배터리(31)는 소정의 전류용량을 가지는데, 적어도 케이지 모듈(M)을 1회 왕복할 수 있는 정도는 갖추는 것이 좋다.
물론, 설치할 양계장의 규모나 케이지 모듈(M)의 수평길이를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은 당연하며, 이동대차(10)의 왕복길이가 커 배터리(31)가 지나치게 커져야 하는 경우에는 충전도크(40)를 케이지 모듈(M)의 양측 모두에 구비하는 것도 방책이 될 수 있다.
모터(32)는 이동대차(10)의 구동실(11) 내에 설치된다. 모터(32)는 정,역 구동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어 콘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되고, 벨트나 체인 등의 전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이동대차(10)의 바퀴축에 연결된다.
이러한 모터(32)는 이동대차(10)의 양측(주행방향의 앞쪽과 뒤쪽)에 그 주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의 리미트스위치(33)(34)를 각각 구비하여 이동대차(10)를 자동으로 왕복 주행시킨다.
각 리미트스위치(33)(34)는 콘트롤러(50)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대차 가이드(14)의 레일(15) 양쪽 단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의 스토퍼(stopper:35)(36)와의 접촉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이동대차(10)가 소정방향으로 주행하여 리미트스위치(33 또는 34)가 스토퍼(35 또는 36)와 접촉되어 작동되면, 그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50)가 모터(32)를 정지시킨 후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충전도크(40)는 유선충전방식 또는 무선충전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안정된 충전 보장을 위해 유선충전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유선충전방식으로 충전도크(40)에는 소켓(socket:41)이 구비되고, 이동대차(10)의 한쪽에는 충전도크(40)의 소켓(4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31)를 충전시키기 위한 접속단자(42)가 구비된다.
충전도크(40)에는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는데, 안전상 배터리(31)를 충전 시에만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충전도크(40)는 이동대차(10)의 도킹여부에 따라 외부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전원단속수단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전원단속수단은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도크(40)에 대해서 외부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충전도크(40)에 대한 이동대차(10)의 도킹을 감지하는 도킹감지센서(43)와, 이 도킹감지센서(43)가 도킹을 감지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대차(10)가 왕복 주행할 때 충전 필요여부와 관계없이 충전도크(40)에 반복적으로 접속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성을 감안하여, 실제로 배터리(31)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하기 위함이다.
즉, 이동대차(10)는 배터리(31)의 용량과 모터(32)의 구동에 따른 소비전력량 및 이동대차(10)의 주행거리 등 전반적인 요건들을 감안하여 1회 충전 후 적어도 1회 이상 내지 수회 왕복하게 되는 바, 주행방향 변경에 소요되는 소정의 시간을 고려하여 도킹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콘크롤러(50)가 그에 내장된 저장된 각종 정보에 따라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충전도크(40)에 도킹 후 대기하게 되며, 이 상태로 타이머에 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배터리(31)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충전도크(4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충전도크(40)는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 충전도크(70)는 이동대차(10)가 진입할 수 있는 충전부(71)를 가지며, 이동대차(10)에 설치된 배터리(31)에 유도전류를 발생시기 위한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한다.
이에 따라 충전부(71)에 대한 이동대차(10)의 진입을 위해 대차 가이드(14)가 충전도크(70) 쪽으로 적절히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유닛(20)에 이동대차(10)의 주행방향 전환을 위한 제3리미트스위치(72)가 구비될 수 있다. 제3리미트스위치(72)는 충전도크(70)에 제3스토퍼(73)를 구비하여 작동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와 같은 무선충전방식의 충전도크(70)도 전술한 유선충전방식의 충전도크(40)와 마찬가지로 배터리(31)를 충전할 때에만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롤러(50)는 이동대차(10)에 장착된다. 콘트롤러(50)에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배터리(31)와 모터(32), 이동대차(10)의 주행거리 등 각종 정보가 입력된다.
콘트롤러(50)는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33)(34)의 신호에 따라 모터(32)의 구동방향을 반전시켜 이동대차(10)를 왕복 주행시키고,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배터리(31)의 충전시기를 판단하여 이동대차(10)를 충전도크(40)(70)에 대기시키며, 충전이 완료되면 이동대차(10)를 다시 구동시킨다.
10 : 이동대차 13 : 바퀴
14 : 대차 가이드 15 : 레일
16 : 롤러 20, 60 : 자외선 조사유닛
21, 61 : 하우징 22 : UVC조사부
23 : 자외선 램프 24 : UVC필터
25 : 차폐관 27, 63 : 차폐판
30 : 주행수단 31 : 배터리
32 : 모터 33, 34 : 제1,2 리미트스위치
40, 70 : 충전도크 41 : 소켓
42 : 접속단자 43 : 도킹감지센서
50 : 콘트롤러 71 : 충전부
72 : 제3 리미트스위치 M : 케이지 모듈
C : 케이지 G : 급이통
T : 달걀받이 D : 에어덕트
V : 계분 컨베이어

Claims (14)

  1. 각기 닭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지가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된 케이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 모듈의 각 층에 위치하는 다수의 케이지가 각각 공유하도록 복수의 급이통과 달걀받이를 수평으로 길게 가지며, 각 층의 케이지 하부에 계분 컨베이어를 갖는 양계장에 있어서,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지 모듈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고, UVC가 상기 케이지 모듈의 각 층에 구비된 복수의 급이통 상측과 계분 컨베이어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는 확산차폐수단을 구비하여 UVC를 각 층의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유닛;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고,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여 그 이동대차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
    상기 케이지 모듈의 적어도 한쪽 끝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서 상기 이동대차가 도킹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도크;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케이지 모듈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나란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대차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가이드는, 상기 케이지 모듈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채널상의 레일과,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채널에 삽입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유닛이, 상기 케이지 모듈의 각 층의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대향하도록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각각 UVC를 조사하는 복수의 UVC조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대차에 수평방향(진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VC조사부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 중 UVC만 투과시키는 UVC필터와, 조사된 UVC가 상기 급이통의 상측과 계분 컨베이어 하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시키는 확산차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차폐수단이 상기 UVC필터 둘레를 에워싸도록 돌출하는 차폐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차폐수단이 상기 UVC필터 상하에서 각각 돌출하는 차폐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차폐수단이 연질의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유닛이, 상기 케이지 모듈의 각 층의 급이통에서 계분 컨베이어에 이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구성되어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그 주행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도크가 유선충전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대차에 상기 충전도크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도크가 무선충전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13. 제1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도크에 대한 상기 이동대차의 도킹 여부을 감지하여 상기 충전도크에 대한 외부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전원단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속수단은, 상기 충전도크에 대한 외부전원의 연결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충전도크에 대한 이동대차의 도킹을 감지하는 도킹감지센서 및 상기 도킹감지센서로부터의 도킹신호가 전달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KR1020190170644A 2019-12-19 2019-12-19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KR10238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644A KR102387937B1 (ko) 2019-12-19 2019-12-19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644A KR102387937B1 (ko) 2019-12-19 2019-12-19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16A true KR20210078816A (ko) 2021-06-29
KR102387937B1 KR102387937B1 (ko) 2022-04-19

Family

ID=7662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644A KR102387937B1 (ko) 2019-12-19 2019-12-19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9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06B1 (ko) * 2006-02-22 2006-11-28 씨원 주식회사 쇼핑 카트 살균장치
KR20140069994A (ko) * 2012-11-30 2014-06-10 (주)엔퓨텍 이동형 살균기
KR20160067351A (ko) * 2014-12-04 2016-06-14 (주)에이치엠씨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80128699A (ko) * 2017-05-24 2018-12-04 주정원 양계장 소독용 로봇 및 그 운행방법
KR20190083704A (ko) * 2018-01-05 2019-07-15 주식회사 루멘스 양계장 살균 및 살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06B1 (ko) * 2006-02-22 2006-11-28 씨원 주식회사 쇼핑 카트 살균장치
KR20140069994A (ko) * 2012-11-30 2014-06-10 (주)엔퓨텍 이동형 살균기
KR20160067351A (ko) * 2014-12-04 2016-06-14 (주)에이치엠씨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80128699A (ko) * 2017-05-24 2018-12-04 주정원 양계장 소독용 로봇 및 그 운행방법
KR20190083704A (ko) * 2018-01-05 2019-07-15 주식회사 루멘스 양계장 살균 및 살충 장치
KR102047537B1 (ko) 2018-01-05 2019-11-21 주식회사 루멘스 양계장 살균 및 살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937B1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259298A (en) Automatic system for delivering material to animals
KR102047537B1 (ko) 양계장 살균 및 살충 장치
CN104145844A (zh) 一种鸽智能规模化养殖设备
KR101529534B1 (ko) 조사료 재배기
EP0609057A2 (en) Chicken rearing apparatus
KR20190088222A (ko) 축산 신선조사료 분무수경 재배장치
CN109220884B (zh) 蛋鸡福利养殖系统
CN205756429U (zh) 一种林下散养用鸡舍
KR102447133B1 (ko)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led 장치
CN211096326U (zh) 一种规模化猪养殖场消毒装置
CN210492268U (zh) 一种畜牧业用杀虫装置
KR102387937B1 (ko)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계사 내 이동식 자외선 조사장치
CN110754673A (zh) 一种杨梅清洗装置
KR102251197B1 (ko) 유충 건조 장치, 유충 건조 방법 및 유충 사육 설비
CN211485795U (zh) 一种流水线氙光消毒装置及胚蛋消毒系统
CN213881336U (zh) 一种多功能畜牧养殖喂食装置
CN211861476U (zh) 多功能禽类养殖机器人
CN112293266B (zh) 全密闭式养殖系统
CN112868556A (zh) 一种智能化可移动饲料投喂装置
CN107897129A (zh) 蝇蛆分离装置
EP422840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harvesting insect eggs and for farming insects
CN211430565U (zh) 一种畜牧养殖用牲畜表皮灭虫装置
JPH06197656A (ja) 養鶏装置
CN113647334B (zh) 一种畜牧业养殖用舍棚环境消毒系统及其设备
CN216452574U (zh)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畜牧业喂食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