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748A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748A
KR20210077748A KR1020217015308A KR20217015308A KR20210077748A KR 20210077748 A KR20210077748 A KR 20210077748A KR 1020217015308 A KR1020217015308 A KR 1020217015308A KR 20217015308 A KR20217015308 A KR 20217015308A KR 20210077748 A KR20210077748 A KR 2021007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chair
support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170B1 (ko
Inventor
겐키치 노사카
세이시로오 가도와키
에이지 세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02255A external-priority patent/JP71958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02256A external-priority patent/JP71188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02254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483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1007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2Combined machines with two or more soil-working tools of different ki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식부된 모의 조간이나 이랑의 높이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의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한다. 작업기(1)는 주행체(1A)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제1 대지 작업기(2)와,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제2 대지 작업기(3)와,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대지 작업기에 대하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의자(187A,187B)와, 상기 제2 대지 작업기에 대한 상기 의자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2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작업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작업기는, 트랙터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로터리 경운기와, 로터리 경운기의 후방에 장착되는 이식기와, 로터리 경운기의 상방에 배치되어서 작업자가 앉는 의자(제1 전방 의자, 제2 전방 의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작업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작업기는, 진압륜과 복토륜을 연동시켜서 지지 높이를 조정하는 식심(植深) 조절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0000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32272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작업기는, 로터리 경운기의 상방에 배치된 의자(제1 전방 의자, 제2 전방 의자)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식부된 모의 조간이나 이랑의 높이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의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작업기에서는, 진압륜과 복토륜을 연동시켜서 지지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부터, 모의 식부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가 복잡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식부된 모의 조간이나 이랑의 높이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의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모의 식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작업기는, 주행체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제1 대지 작업기와,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제2 대지 작업기와,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대지 작업기에 대하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의자와, 상기 제2 대지 작업기에 대한 상기 의자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작업기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후방에 장착된 기계틀과, 상기 기계틀에 지지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식부 장치를 갖는 이식기와, 상기 주행체에 대하여 상기 기계틀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 장치와,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는 검출 부재와, 상기 검출 부재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계틀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기계틀을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상기 승강 구동 장치를 전환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작업기에 의하면, 모를 접수하는 대지 작업기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식부된 모의 조간이나 이랑의 높이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의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작업기에 의하면,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는 검출 부재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는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제어 밸브를 이식기의 기계틀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모의 식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작업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대지 작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대지 작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5는 로터리 경운기, 이랑 세우기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로터리 경운기, 이랑 세우기 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로터리 경운기에 전달된 동력의 전달 계통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터리 경운기, 이랑 세우기 기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로터리 경운기, 이랑 세우기 기계, 설치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로터리 경운기, 이랑 세우기 기계, 설치체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작업기의 동력 전달 계통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의자 지지체, 모 공급대를 도시하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로터리 경운기, 연결 링크 기구, 예비모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승강 구동 장치를 구동했을 때의 의자 지지체 및 이식기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기계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기계틀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기계틀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복수의 식부 장치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모 공급 장치, 제1 후방 의자, 제2 후방 의자 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연결 프레임, 스탠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2는 연결 프레임, 스탠드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연결 프레임, 스탠드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이식기의 동력 전달 계통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주축의 신축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주축, 커버 통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이식기의 동력 전달 계통의 일부 및 식부 장치 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식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복수의 식부 장치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 및 복토 장치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제1 위치 조정부) 등을 도시하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0은 검출 부재(복토륜) 및 지지 프레임이 기계틀에 대하여 상하 요동 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검출 부재(복토륜), 지지 로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지지 프레임, 제1 요동판, 와이어 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후방부 위치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전방부 위치 조정 기구 및 후방부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지지 프레임 및 검출 부재(복토륜)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5는 제어 밸브, 와이어 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제1 조작 레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모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공급컵의 덮개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제2 개방 위치의 주변을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제2 개방 위치의 주변을 하방으로부터 보아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공급컵, 중간 호퍼 및 식부 도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2는 제2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등의 종단면도이다.
도 43은 제1 위치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4는 제2 위치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5는 제3 위치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6은 위치 조정 기구, 지지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7은 제1 전방 의자, 발판 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8은 발판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9는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50은 회동 지지 기구의 작용(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회동 지지 기구의 작용(동작)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2는 모 공급대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3은 모 공급대의 다른 움직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4는 모 공급대의 교체 방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5는 예비모대 등을 도시하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56은 로터리 경운기, 제초 필름 부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로터리 경운기, 제초 필름 부설 장치의 기계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8은 로터리 경운기, 제초 필름 부설 장치의 좌측부의 평면도이다.
도 59는 로터리 경운기, 제초 필름 부설 장치의 좌측부의 측면도이다.
도 60은 제1 필름 롤의 좌측부 주변의 배면도이다.
도 61은 로터리 경운기, 제초 필름 부설 장치의 기계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주행하면서 대지 작업(경운 등)과 함께 모의 식부(이식)를 행할 수 있는 작업기(1)를 도시하고 있다. 작업기(1)는 주행체(1A)와, 주행체(1A)의 후방부에 장착된 대지 작업 장치(1B)를 갖는다. 대지 작업 장치(1B)는 주행체(1A)의 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대지 작업기(2)와, 제1 대지 작업기(2)의 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대지 작업기(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체(1A)로서 주행 차량인 트랙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1 대지 작업기(2)로서 로터리 경운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2 대지 작업기(3)로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이식기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주행체를 트랙터(1A)라고 하고, 제1 대지 작업기를 로터리 경운기(2)라고 하고, 제2 대지 작업기를 이식기(3)라고 한다.
도 1은, 작업기(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트랙터(1A)의 운전석(5)에 착좌한 운전자의 전방측(도 1의 좌측)을 전방, 운전자의 후방측(도 1의 우측)을 후방, 운전자의 좌측(도 1의 전방측)을 좌측 방향, 운전자의 우측(도 1의 안측)을 우측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트랙터(1A)의 전후 방향 K1(도 1 참조)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 K2(도 2 참조)를 기계폭 방향 K2로서 설명한다.
또한, 트랙터(1A)의 기계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우측부, 혹은, 좌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계폭 외측으로서 설명한다. 바꿔 말하면, 기계폭 외측이란, 기계폭 방향 K2이며 트랙터(1A)의 기계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트랙터(1A)의 기계폭 방향 우측부, 혹은, 좌측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계폭 내측으로서 설명한다. 즉, 기계폭 내측이란, 기계폭 방향 외측과는 반대의 방향이다. 바꿔 말하면, 기계폭 내측이란, 기계폭 방향 K2이며 트랙터(1A)의 기계폭 방향 중앙부에 근접하는 방향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1A)는 차체(6)와, 차체(6)의 전방부에 장착된 전륜(7F) 및 차체(6)의 후방부에 장착된 후륜(7R)을 포함하는 주행 장치(7)를 갖는다. 차체(6)는 원동기(구동원)(E1)와, 원동기(E1)의 후방부에 연결된 동력 전달 케이스(T1)를 갖는다.
원동기(E1)는,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이다.
동력 전달 케이스(T1)는, 클러치를 내장한 클러치 하우징, 변속 장치를 내장한 미션 케이스, 차동 장치를 내장한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 등을 직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체(6)의 후방부에는, 운전석(5)이 탑재되어 있음과 함께, 원동기(E1)의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 취출축(소위 PTO축)(22)이 후방 돌출상으로 장비되어 있다. 즉, 주행체(1A)는 원동기(E1)의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 취출축(22)을 갖는다. 운전석(5)의 전방에는, 스티어링 휠(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A)는 전방부에 배터리(도시 생략)를 탑재하고 있다.
도 4는, 원동기(E1)의 동력을 동력 취출축(22) 및 주행 장치(7)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4)를 도시하고 있다.
동력 전달 장치(4)는 주추진축(4a)과, 주변속부(4b)와, 부변속부(4c)와, 셔틀부(4d)와, PTO 클러치(4e)와, PTO 추진축(4f)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경운기(2)는 트랙터(1A)의 후방부에 3점 링크 기구(9) 등의 장착 기구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리 경운기(2)는 로터리 기계틀(11)을 갖는다. 로터리 기계틀(11)은 전동 케이스(12)와, 전서포트 프레임(13F)과, 후서포트 프레임(13R)과, 좌사이드 프레임(15L)과, 우사이드 프레임(15R)을 갖는다. 전동 케이스(12)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와 동일한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12)의 하부에는, 기계폭 방향 K2의 축심을 갖는 회전축(16)이 기계폭 방향 K2의 한쪽 및 다른 쪽에 돌출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16)의 외주에는, 브래킷을 통하여 다수의 경운 갈고랑이(17)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6) 및 경운 갈고랑이(17)는 포장을 경운하는 경운부(18)를 구성하고 있다.
도 5, 도 6,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운부(18)는 로터리 기계틀(11)에 설치된 로터리 커버(19)에 의해 덮여 있다. 로터리 커버(19)는 상부 커버(19A), 후방부 커버(19B), 측부 커버(19C)를 갖고 있다. 경운부(18)의 상방은, 상부 커버(19A)로 덮여 있다. 경운부(18)의 후방은, 후방부 커버(19B)로 덮여 있다. 후방부 커버(19B)는 상단이 로터리 기계틀(11)에 추축(19D)을 통하여 기계폭 방향 K2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어서 상하 요동 가능하다. 후방부 커버(19B)는 탄압 장치(20)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탄압 장치(20)는 스프링의 힘으로 후방부 커버(19B)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장치이다. 후방부 커버(19B)는 후술하는 이랑 세우기 기계(51)에 의해 성형되는 이랑의 상면을 형성한다.
경운부(18)의 측방은, 측부 커버(19C)로 덮여 있다. 측부 커버(19C)는 제1 측부 커버(19CL)와 제2 측부 커버(19CR)를 갖고 있다. 제1 측부 커버(19CL)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의 일방측(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19CR)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의 타방측(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부 커버(19CL)는, 좌사이드 프레임(15L)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19CR)는 우사이드 프레임(15R)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부 커버(19CL)와 제2 측부 커버(19CR)는, 설치되어 있는 위치가 다를뿐 구성은 동일하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부 커버(19CL)는, 상측부 커버(19C1), 하측부 커버(19C2), 전방측부 커버(19C3), 지지 커버(19C4)를 갖고 있다. 상측부 커버(19C1)는, 경운부(18)의 측방의 상부를 덮고 있다. 하측부 커버(19C2)는, 경운부(18)의 측방의 하부를 덮고 있다. 상측부 커버(19C1)는, 좌사이드 프레임(15L)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부 커버(19C2)는, 접속판(19C5)을 통하여 상측부 커버(19C1)와 접속되어 있다. 전방측부 커버(19C3)는, 상측부 커버(19C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체(196)는 제1 측부재(196A)와, 제2 측부재(196B)와, 중간 부재(196C)를 갖는다. 제1 측부재(196A)는 로터리 경운기(2)의 좌측에 배치되고, 좌측의 지지 커버(19C4)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부재(196B)는 로터리 경운기(2)의 우측방에 배치되고, 우측의 지지 커버(19C4)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부재(196A) 및 제2 측부재(196B)는 로터리 경운기(2)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중간 부재(196C)는 제1 측부재(196A)와 제2 측부재(196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부재(196C)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의 중앙에 배치되고, 로터리 기계틀(11)의 후서포트 프레임(13R)에 설치되어 있다.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체(196)에는, 이랑 세우기 기계(51)가 설치되어 있다. 이랑 세우기 기계(51)는 예를 들어, 배토기(리저)로 구성된다. 이랑 세우기 기계(51)는 평면으로 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폭(기계폭 방향의 길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도 8,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랑 세우기 기계(51)는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와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를 포함한다.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는,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와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터리 경운기(2)로 경운한 토양에 3개의 이랑 세우기 기계(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로 홈을 형성함으로써 2이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랑의 상면은, 후방부 커버(19B)로 형성된다. 또한, 3이랑 이상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일방측(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타방측(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는, 2개의 이랑 중, 좌측의 이랑의 좌측면을 형성한다.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는 2개의 이랑 중, 우측의 이랑의 우측면을 형성한다.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는, 좌측의 이랑의 우측면과 우측의 이랑의 좌측면을 형성한다.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는, 로터리 경운기(2)에 설치되는 설치부(51La, 51Lb)를 갖고 있다. 설치부(51La, 51Lb)는,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전방부에 마련된 전설치부(51La)와,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후방부에 마련된 후설치부(51Lb)를 포함한다.
도 6,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전설치부(51La)는,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전설치체(52)를 통하여 제1 측부 커버(19CL)에 설치되어 있다. 전설치체(52)의 전방부는, 제1 측부 커버(19CL)의 외면(기계폭 외방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설치체(52)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기계폭 외측으로 이행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전설치체(52)의 후방부에,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전설치부(51La)가 설치되어 있다. 전설치체(52)에 대한 전설치부(51La)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조정할 수 있다.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후설치부(51Lb)는, 측부 연결체(53)를 통하여 제1 측부재(196A)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후설치부(51Lb)는,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부 연결체(5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단부가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후설치부(51Lb)에 접속되고, 상단부가 제1 측부재(196A)에 접속되어 있다. 측부 연결체(53)는 상부재(53a)에 대하여 하부재(53b)를 출입함으로써,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측부 연결체(53)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의 전설치부(51Ra) 및 후설치부(51Rb)의 설치 구조는,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전설치부(51La) 및 후설치부(51Lb)의 설치 구조와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의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외단부(기계폭 외방측의 단부)는 측부 커버(19C)의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외단부(기계폭 외방측의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좌측 단부는, 제1 측부 커버(19CL)의 좌측 단부보다도 좌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의 우측 단부는, 제2 측부 커버(19CR)의 우측 단부보다도 우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7,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전설치부(51Ma)는, 중간 설치체(54)를 통하여 전동 케이스(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설치체(54)는 전단부가 전동 케이스(12)의 전하부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전설치부(51Ma)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설치체(54)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도부에,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길이 조정부(54a)를 갖고 있다. 길이 조정부(54a)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전동 케이스(12)에 대한 전설치부(51M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후설치부(51Mb)는, 중간 연결체(55)를 통하여 중간 부재(196C)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후설치부(51Mb)는,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간 연결체(5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단부가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후설치부(51Mb)에 접속되고, 상단부가 중간 부재(196C)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연결체(55)는 상부재(55a)에 대하여 하부재(55b)를 출입함으로써,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중간 연결체(55)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 도 6,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리 경운기(2)의 전방에는 배토 디스크(56L, 56R)가 배치되어 있다. 배토 디스크(56L, 56R)는, 경운부(18)를 향하여 기계폭 내측에 흙을 모으기 위한 부재이다. 배토 디스크(56L)는, 기계폭 방향의 일방측(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로터리 경운기(2)의 좌전방에 위치한다. 배토 디스크(56R)는 기계폭 방향의 타방측(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로터리 경운기(2)의 우전방에 위치한다. 배토 디스크(56L, 56R)는, 평면으로 보아,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기계폭 외측으로부터 기계폭 내측으로 이행하도록 기울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토 디스크(56L, 56R)는, 디스크 설치체(57) 및 브래킷(도시 생략)을 통하여 로터리 기계틀(11) 전서포트 프레임(13F)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설치체(57)는 상부재(57a)에 대하여 하부재(57b)를 출입함으로써,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 설치체(57)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배토 디스크(56L, 56R)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12)의 상부의 전방부에는, 로터리 경운기(2)에 동력을 도입하는 입력축(소위 PIC축)(21)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1)은 조인트(유니버설 조인트)(J1)에 의해 동력 취출축(22)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 취출축(22)으로부터 조인트(J1)를 통하여 입력축(21)에 동력이 전달된다. 바꾸어 말하면, 동력 취출축(22)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제1 대지 작업기)(2)에 동력이 전달된다.
도 7,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1)의 후방부에는, 제1 기어(베벨 기어)(G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기어(G1)는, 제2 기어(베벨 기어)(G2)에 맞물려 있다. 제2 기어(G2)는, 기계폭 방향 K2의 축심을 갖는 제1 전동축(S1)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전동축(S1)에는, 제3 기어(평기어)(G3)가 마련되어 있다. 제3 기어(G3)는, 해당 제3 기어(G3)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4 기어(평기어)(G4)에 맞물려 있다. 제4 기어(G4)는, 해당 제4 기어(G4)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5 기어(평기어)(G5)에 맞물려 있다. 제5 기어(G5)는, 회전축(16)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축(21)에 전달된 동력은 제1∼제5 기어(G1∼G5)를 통하여 회전축(16)에 전달되어, 해당 회전축(16)이 도 5의 화살표(X1)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동축(S1)은,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기계폭 외측의 한쪽(좌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전동축(S1)의 기계폭 외방측의 일단부(좌측 단부)에는, 제1 스프로킷(SP1)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전동축(S1)의 전방에는, 기계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동축(S2)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전동축(S2)에는, 제2 스프로킷(SP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스프로킷(SP1)과 제2 스프로킷(SP2)에는, 체인(26)이 걸쳐져 있다. 이에 의해, 제1 전동축(S1)에 전달된 동력은, 제2 전동축(S2)에 전달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동축(S2)의 일단부(좌측 단부)에는, 제6 기어(G6)가 마련되어 있다. 제6 기어(G6)는, 제2 전동축(S2)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6 기어(G6)는, 제2 전동축(S2)의 회전수를 계측하기 위한 펄스 검출 기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기어(G6)의 근방에는, 제6 기어(G6)의 요철을 검출함으로써 펄스상의 신호를 출력하는(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동축(S2)의 일단부측(좌측 단부측)에는, 전자 클러치(24)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24)는 제2 전동축(S2)에 전달된 동력을 제3 전동축(S3)에 단속 가능하게 전달한다. 제3 전동축(S3)에 전달된 동력은, 도 11에 도시하는 동력 전달 계통을 통하여 이식기(3)에 전달되어, 해당 이식기(3)가 구동된다(구체적으로는, 이식기(3)에 장비된 후술하는 식부 도구(64) 및 모 공급 장치(38A, 38B)가 구동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제3 전동축(S3)으로부터 이식기(3)에 이르는 동력 전달 계통을 설명한다.
제3 전동축(S3)에는 웜(30)이 마련되고, 웜(30)은 웜 휠(31)에 맞물려 있다. 웜 휠(31)은 제4 전동축(S4)에 마련되어 있다. 제4 전동축(S4)은 브레이크(27)를 통하여 출력축(32)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전동축(S3)에 전달된 동력은, 웜(30), 웜 휠(31), 제4 전동축(S4) 및 브레이크(27)를 통하여 출력축(32)에 전달된다. 따라서,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은, 웜(30) 등을 통하여 출력축(32)으로부터 이식기(3)에 전달된다.
이어서, 이식기(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3)는 복수의 이식 유닛(제1 이식 유닛(36A), 제2 이식 유닛(36B))을 갖는다. 제1 이식 유닛(36A)은 이식기(3)의 기계폭 방향 K2의 일측부(좌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이식 유닛(36B)은 이식기(3)의 기계폭 방향 K2의 타측부(우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이식 유닛(36A)은 하나의 기계틀(제1 기계틀이라고도 함)(37A)과, 하나의 모 공급 장치(제1 모 공급 장치라고도 함)(38A)와, 복수의 식부 장치(제1 식부 장치라고도 함)(39A)와, 식부 장치(39A)의 수에 대응한 수의 복토 장치(제1 복토 장치라고도 함)(40A)를 갖는다. 제1 모 공급 장치(38A), 제1 식부 장치(39A) 및 제1 복토 장치(40A)는 제1 기계틀(37A)에 탑재되어 있다.
제2 이식 유닛(36B)은 하나의 기계틀(제2 기계틀이라고도 함)(37B)과, 하나의 모 공급 장치(제2 모 공급 장치라고도 함)(38B)와, 복수의 식부 장치(제2 식부 장치라고도 함)(39B)와, 식부 장치(39B)의 수에 대응한 수의 복토 장치(제2 복토 장치라고도 함)(40B)를 갖는다. 제2 모 공급 장치(38B), 제2 식부 장치(39B) 및 제2 복토 장치(40B)는 제2 기계틀(37B)에 탑재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제1 기계틀(37A)과 제2 기계틀(37B)을 통합하여 기계틀(37)이라고도 한다. 또한, 제1 모 공급 장치(38A)와 제2 모 공급 장치(38B)를 통합하여 모 공급 장치(38)라고도 한다. 또한, 제1 식부 장치(39A)와 제2 식부 장치(39B)를 통합하여 식부 장치(39)라고도 한다. 제1 복토 장치(40A)와 제2 복토 장치(40B)를 통합하여 복토 장치(40)라고도 한다.
모 공급 장치(38)는 식부 장치(39)에 대하여 모(소일 블록 모 등)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식부 장치(39)는 모 공급 장치(38)로부터 공급되는 모를 포장에 식부하는 장치이며, 원동기(E1)의 동력에 의해 승강하고, 모를 보유 지지하여 하강함과 함께 포장에 돌입하여 모를 식부하는 식부 도구(64)를 갖는다. 복토 장치(40)는 식부한 모의 근본 부분에 배토하여 복토함과 함께, 모의 근본 부분을 진압하는 장치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는 좌측의 제1 식부 장치(39AL)와 우측의 제1 식부 장치(39AR)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복토 장치(40A)는 제1 식부 장치(39AL)에 대응하는 좌측의 제1 복토 장치(40AL)와, 제1 식부 장치(39AR)에 대응하는 제1 복토 장치(40AR)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는 좌측의 제2 식부 장치(39BL)와 우측의 제2 식부 장치(39BR)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복토 장치(40B)는 제2 식부 장치(39BL)에 대응하는 좌측의 제2 복토 장치(40BL)와, 제2 식부 장치(39BR)에 대응하는 제2 복토 장치(40BR)를 포함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3)는 로터리 경운기(2)의 후방부에 작업기 연결 기구(41)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식기(3)는 승강 구동 장치(42)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 연결 기구(41)는 이식기(3)가 설치되는 툴 바(43)와, 툴 바(43)를 로터리 경운기(2)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링크 기구(44)를 갖는다.
툴 바(43)는 각파이프에 의해 형성되고, 후서포트 프레임(13R)의 후방에 기계폭 방향 K2로 연신하여 마련되어 있다. 툴 바(43)에 이식기(3)가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툴 바(43)에 제1 이식 유닛(36A)(제1 기계틀(37A))과 제2 이식 유닛(36B)(제2 기계틀(37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은, 툴 바(43)에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툴 바(43)에는, 의자 지지체(150)가 접속되어 있다. 의자 지지체(150)는 이식기(3)에 대하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를 지지한다. 의자 지지체(150)는 로터리 경운기(2)와 이식기(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의자 지지체(150)는 제1 지지체(151)와, 제2 지지체(152)와, 접속체(153)와, 위치 조정 기구(230)를 갖고 있다.
제1 지지체(151)는 전지지재(151a)와, 후지지재(151b)와, 연결 지지재(151c)를 갖고 있다. 전지지재(151a)와 후지지재(151b)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지지재(151c)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지지재(151a)와 후지지재(151b)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 지지재(151c)는 복수개(6개)의 연결 지지재(151c)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연결 지지재(151c)는 기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연결 지지재(151c) 중, 기계폭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연결 지지재(151c1)와 연결 지지재(151c2)에는,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재(155L, 155R)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재(155L)의 상부와 기둥재(155R)의 상부에는, 기계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56)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지지체(152)는 세로 지지재(157L, 157R)와, 가로 지지재(158)를 갖고 있다. 세로 지지재(157L)는, 전지지재(151a)의 좌측 단부에 접속되고, 당해 좌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 지지재(157R)는 전지지재(151a)의 우측 단부에 접속되고, 당해 우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로 지지재(158)는 기계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 지지재(157L)의 상단부와 세로 지지재(157R)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2 지지체(152)에는, 위치 조정 기구(230)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위치 조정 기구(230)를 통하여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가 지지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23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속체(153)는 제1 접속재(153L1, 153R1)와 제2 접속재(153L2, 153R2)를 갖고 있다. 제1 접속재(153L1, 153R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접속재(153L1)는, 툴 바(43)의 좌측부와 세로 지지재(157L)를 접속하고 있다. 제1 접속재(153R1)는, 툴 바(43)의 우측부와 세로 지지재(157R)를 접속하고 있다. 제1 접속재(153L1)의 후방부에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축(159L)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접속재(153R1)의 후방부에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축(159R)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접속재(153L2, 153R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접속재(153L2)는, 후지지재(151b)의 좌측 단부와 제1 접속재(153L1)의 전방부를 접속하고 있다. 제2 접속재(153R2)는, 후지지재(151b)의 우측 단부와 제1 접속재(153R1)의 전방부를 접속하고 있다.
도 2, 도 3,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링크 기구(44)는 하부 링크(제1 하부 링크(44A), 제2 하부 링크(44B))와, 상부 링크(44C)와, 연결 부재(44D)를 갖고 있다. 연결 링크 기구(44)는 평행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4A)와 제2 하부 링크(44B)는,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링크(44C)는 제1 하부 링크(44A) 및 제2 하부 링크(44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4A), 제2 하부 링크(44B), 상부 링크(44C)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동일한 경사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44D)는 기계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하부 링크(44A)의 전후 방향의 중도부와 제2 하부 링크(44B)의 전후 방향의 중도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1 하부 링크(44A)는 툴 바(43)의 길이 방향(기계폭 방향 K2)의 일단부측(좌측)에 있어서, 의자 지지체(150)와 로터리 경운기(2)를 연결하고 있다. 제2 하부 링크(44B)는 툴 바(43)의 길이 방향(기계폭 방향 K2)의 타단부측(우측)에 있어서, 의자 지지체(150)와 로터리 경운기(2)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하부 링크(44A)의 전단부는, 로터리 경운기(2)의 후서포트 프레임(13R)의 좌측부에 고정된 좌브래킷(160L)(도 13 참조)에, 지지축(161L)을 통하여 피봇되어 있다. 제1 하부 링크(44A)의 후단부는, 의자 지지체(150)의 지지축(159L)(도 12, 도 13 참조)에 피봇되어 있다. 제2 하부 링크(44B)의 전단부는, 로터리 경운기(2)의 후서포트 프레임(13R)의 우측부에 고정된 우브래킷(160R)(도 13 참조)에, 지지축(161R)을 통하여 피봇되어 있다. 제2 하부 링크(44B)의 후단부는, 의자 지지체(150)의 지지축(159R)(도 12, 도 13 참조)에 피봇되어 있다.
상부 링크(44C)는 툴 바(43)의 길이 방향(기계폭 방향 K2)의 중앙부에 있어서, 의자 지지체(150)와 로터리 경운기(2)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 링크(44C)의 전단부는, 로터리 경운기(2)의 전동 케이스(12)의 상부에 고정된 중앙 브래킷(160M)(도 13 참조)에, 지지축(161M)을 통하여 피봇되어 있다. 상부 링크(44C)의 후단부는, 의자 지지체(150)의 지지축(156)에 피봇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작업기 연결 기구(41)에 있어서는, 승강 구동 장치(42)의 구동에 의해, 하부 링크(44A, 44B)가 지지축(161L, 161R) 주위에 상하로 요동하면, 상부 링크(44C)가 지지축(161M) 주위에 상하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의자 지지체(150)에 지지된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 및 이식기(3)가 일체적으로 승강한다. 여기서, 연결 링크 기구(44)가 평행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187A, 187B) 및 이식기(3)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승강한다.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 구동 장치(42)는 승강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C1)를 갖는다. 승강 실린더(C1)는, 실린더 본체(C1a)와, 피스톤 로드(C1b)를 갖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C1b)의 선단부는, 상지지축(162)에 피봇되어 있다. 상지지축(162)은 상부 링크(44C)의 전후 방향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C1a)의 보텀측은, 하지지축(163)에 피봇되어 있다. 도 6,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지축(163)은 축 설치 부재(164)에 설치되어 있다. 축 설치 부재(164)는 전방부가 로터리 기계틀(11)의 후서포트 프레임(13R)의 상부에 설치되고, 후방부가 중간 부재(196C)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C1)를 신장시키면(피스톤 로드(C1b)를 실린더 본체(C1a)로부터 진출시키면), 상부 링크(44C) 및 하부 링크(44A, 44B)가 상방으로 요동하고, 의자 지지체(150)에 지지된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 및 이식기(3)(기계틀(37))가 상승한다. 또한, 승강 실린더(C1)를 단축시키면(피스톤 로드(C1b)를 후퇴시키면), 상부 링크(44C) 및 하부 링크(44A, 44B)가 하방으로 요동하고, 의자 지지체(150)에 지지된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 및 이식기(3)(기계틀(37))가 하강한다.
승강 구동 장치(42)는 승강 실린더(C1)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165)(도 35 참조)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 밸브(165)는 유압 호스를 통하여, 승강 실린더(C1)의 실린더 본체(C1a)에 접속됨과 함께, 유압 펌프 및 작동유 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펌프 및 작동유 탱크는, 작업기(1)에 탑재되어 있다. 제어 밸브(165)는 작동유 탱크의 작동유 흐름을 전환함으로써, 실린더 본체(C1a)의 보텀측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승강 실린더(C1)를 신장시키거나, 또는, 실린더 본체(C1a)의 로드측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승강 실린더(C1)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구동 장치(42)는 전동 실린더(전동 액추에이터) 또는 전동 유압 실린더(전동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16∼도 18을 참조하여 이식기(3)의 기계틀(3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기계틀(37A)과 제2 기계틀(37B)은 구성이 동일하다.
기계틀(37)은 메인 프레임(65)과 연결 브래킷(61)을 갖는다. 제1 기계틀(37A)의 메인 프레임(65)에 모 공급 장치(38A), 식부 장치(39A) 및 복토 장치(40A) 등이 탑재되고, 제2 기계틀(37B)의 메인 프레임(65)에 모 공급 장치(38B), 식부 장치(39B) 및 복토 장치(40B) 등이 탑재된다.
연결 브래킷(61)은 메인 프레임(65)을 툴 바(43)에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 브래킷(61)은 툴 바(43)의 상면에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맞닿는 설치벽(61a)과, 설치벽(61a)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일측벽(61b)과, 설치벽(61a)의 우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타측벽(61c)을 갖는다. 설치벽(61a)은 U 볼트 등을 갖는 고정구(77)에 의해 툴 바(4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구(77)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기계틀(37)의 기계폭 방향 K2의 위치를 변경(조정) 가능하다. 즉, 연결 브래킷(61)은 툴 바(43)를 따라서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계틀(37A)의 연결 브래킷(61)(이하, 「제1 설치구(61A)」라고도 함)과 제2 기계틀(37B)의 연결 브래킷(61)(이하, 「제2 설치구(61B)」라고도 함)은, 기계폭 방향 K2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설치구(61A)와 제2 설치구(61B)는, 각각 툴 바(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1 이식 유닛(36A) 및 제2 이식 유닛(36B)이 각각 툴 바(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이 각각 툴 바(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이식기(3)는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 조정 기구를 「거리 조정 기구」라고 한다. 거리 조정 기구는, 제1 기계틀(37A)의 연결 브래킷(61)(제1 설치구(61A))과 제2 기계틀(37B)의 연결 브래킷(61)(제2 설치구(61B))을 갖고 있다.
메인 프레임(65)은 각파이프로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재(제1 프레임재(65a), 제2 프레임재(65b), 제3 프레임재(65c), 제4 프레임재(65d), 제5 프레임재(65e), 제6 프레임재(65f), 제7 프레임재(65g), 제8 프레임재(65h), 제9 프레임재(65i), 제10 프레임재(65j), 제11 프레임재(65k), 제12 프레임재(65m), 제13 프레임재(65n), 제14 프레임재(65o), 제15 프레임재(65p), 제16 프레임재(65q), 제17 프레임재(65r), 제18 프레임재(65s), 제19 프레임재(65t))를 갖는다. 제11 프레임재(65k)와 제12 프레임재(65m) 사이에 연결 브래킷(61)이 배치되어 있다.
제11 프레임재(65k)의 하부와 제12 프레임재(65m)의 하부에 걸쳐 제1 설치판(65u)이 고정되어 있다. 제1 설치판(65u)의 좌측부에는, 제1 식부 프레임(78L)의 전방부에 마련된 전방부판(78La)이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1 설치판(65u)의 우측부에는, 제2 식부 프레임(78R)의 전방부에 마련된 전방부판(78Ra)이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1 식부 프레임(78L)에는, 제1 식부 장치(39AL)가 장착된다. 제2 식부 프레임(78R)에는, 제1 식부 장치(39AR)가 장착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설치판(65u)의 좌측부에는, 조정 홈(66L) 및 조정 구멍(67L)이 마련되어 있다. 조정 홈(66L)은, 조정 구멍(67L)보다도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설치판(65u)의 우측부에는, 조정 홈(66R) 및 조정 구멍(67R)이 마련되어 있다. 조정 홈(66R)은 조정 구멍(67R)보다도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조정 홈(66L)은, 기계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2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조정 홈(66L)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상의 라인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조정 구멍(67L)은, 기계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복수(5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조정 홈(66L)에는, 각각 볼트(B1)가 삽입 관통되고, 당해 볼트(B1)는 전방부판(78La)의 상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서 너트와 체결되어 있다. 복수의 조정 구멍(67L) 중 1개에는 볼트(B2)가 삽입 관통되고, 당해 볼트(B2)는 전방부판(78La)의 하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서 너트와 체결되어 있다. 즉, 전방부판(78La)은, 상부가 2점(2개의 볼트(B1))과 하부가 1점(1개의 볼트(B2))의 합계 3점에서, 제1 설치판(65u)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 홈(66L)에 삽입 관통된 볼트(B1)를, 조정 홈(66L)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또한, 복수의 조정 구멍(67L) 중에서 볼트(B2)가 삽입 관통되는 조정 구멍(67L)을 변경함으로써, 제1 설치판(65u)에 대한 제1 식부 프레임(78L)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도 18의 좌측부, 도 19의 가상선 및 양방향 화살표 참조). 이에 의해, 제1 설치판(65u)에 대한 제1 식부 장치(39AL)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식부 장치(39AL)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조정 홈(66R)은 기계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2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조정 홈(66R)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상의 라인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조정 구멍(67R)은 기계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복수(5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조정 홈(66R)에는, 각각 볼트(B3)가 삽입 관통되고, 당해 볼트(B3)는 전방부판(78Ra)의 상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서 너트와 체결되어 있다. 복수의 조정 구멍(67R) 중 1개에는 볼트(B4)가 삽입 관통되고, 당해 볼트(B4)는 전방부판(78Ra)의 하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서 너트와 체결되어 있다. 즉, 전방부판(78Ra)은 상부가 2점(2개의 볼트(B3))과 하부가 1점(1개의 볼트(B4))의 합계 3점에서, 제1 설치판(65u)의 우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 홈(66R)에 삽입 관통된 볼트(B3)를, 조정 홈(66R)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또한, 복수의 조정 구멍(67R) 중에서 볼트(B4)가 삽입 관통되는 조정 구멍(67R)을 변경함으로써, 제1 설치판(65u)에 대한 제2 식부 프레임(78R)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도 18의 우측부 가상선 및 양방향 화살표 참조). 이에 의해, 제1 설치판(65u)에 대한 제1 식부 장치(39AR)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식부 장치(39AR)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 홈(66L, 66R) 및 조정 구멍(67L, 67R)을 이용하여, 제1 식부 장치(39AL)와 제1 식부 장치(39AR)의 상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 홈(66L, 66R) 및 조정 구멍(67L, 67R)은, 복수의 제1 식부 장치(제1 식부 장치(39AL)와 제1 식부 장치(39AR))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정 기구(이하, 「제1 각도 조정 기구」라고 함)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각도 조정 기구는, 복수의 제1 식부 장치(제1 식부 장치(39AL)와 제1 식부 장치(39AR))의 제1 기계틀(37A)에 대한 장착 각도를 개별로 조정 가능하다.
제2 기계틀(37B)에도, 상술한 제1 기계틀(37A)과 마찬가지의 각도 조정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기계틀(37B)에 마련된 각도 조정 기구(이하, 「제2 각도 조정 기구」라고 함)는 제2 식부 장치(39BL)와 제2 식부 장치(39BR)의 상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2 각도 조정 기구는, 복수의 제2 식부 장치(제2 식부 장치(39BL)와 제2 식부 장치(39BR))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한다. 제2 각도 조정 기구는, 복수의 제2 식부 장치(제2 식부 장치(39BL)와 제2 식부 장치(39BR))의 제2 기계틀(37B)에 대한 장착 각도를 개별로 조정 가능하다.
제1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하면, 제1 식부 장치(39AL)에 의한 모의 식부 위치와 제1 식부 장치(39AR)에 의한 모의 식부 위치의 간격(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하면, 제2 식부 장치(39BL)에 의한 모의 식부 위치와 제2 식부 장치(39BR)에 의한 모의 식부 위치의 간격(조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식부 프레임(78L) 및 제2 식부 프레임(78R)은 기계틀(37)(제1 기계틀(37A), 제2 기계틀(37B))에 대하여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6∼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0 프레임재(65j)의 하부와 제13 프레임재(65n)의 하부에 걸쳐 제2 설치판(65v)이 고정되어 있다. 제9 프레임재(65i)의 하부와 제15 프레임재(65p)의 하부에 걸쳐 제3 설치판(65w)이 고정되어 있다. 제2 설치판(65v)에는, 제1 복토 장치(40AL)의 후방부가 설치된다. 제3 설치판(65w)에는, 제1 복토 장치(40AR)의 후방부가 설치된다.
도 2,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1)는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130)은 제1 연결 프레임재(131), 제2 연결 프레임재(132), 제3 연결 프레임재(133), 제4 연결 프레임재(134), 제5 연결 프레임재(135), 제6 연결 프레임재(136)를 갖고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프레임재(131)는 기계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기계틀(37A)의 후방부와 제2 기계틀(37B)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있다. 도 20,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 프레임재(132)는 제1 연결 프레임재(131)의 기계폭 방향의 중앙의 상면에 설치되고, 당해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연결 프레임재(133)는 제2 연결 프레임재(132)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연결 프레임재(133)의 전방부는, 의자 지지체(150)의 제2 지지체(152)에 접속되어 있다. 제4 연결 프레임재(134)는 제3 연결 프레임재(133)의 전방 근방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5 연결 프레임재(135)는 제2 연결 프레임재(132)의 상부와 제4 연결 프레임재(134)의 상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6 연결 프레임재(136)는 제3 연결 프레임재(133)의 전방 근방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6 연결 프레임재(136)의 하단부는, 툴 바(43)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을 연결 프레임(13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제1 이식 유닛(36A)의 높이와 제2 이식 유닛(36B)의 높이를 정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이식 유닛(36A)으로 식부된 모와, 제2 이식 유닛(36B)으로 식부된 모의 식부 깊이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이식 유닛(36A)으로 식부된 모와, 제2 이식 유닛(36B)으로 식부된 모의 조간의 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0)에는, 제어 밸브(165) 등을 수용하는 수용체(166)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체(166)는 제3 연결 프레임재(133)의 상부와 제4 연결 프레임재(134)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체(166)의 상부로부터는, 제어 밸브(165) 등을 조작하는 제1 조작 레버(167)와 제2 조작 레버(168)가 돌출되어 있다.
이어서,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을 모 공급 장치(38) 및 식부 장치(39)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10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32)의 후단부에는, 제7 기어(베벨 기어)(G7)가 마련되어 있다. 제7 기어(G7)는, 제8 기어(베벨 기어)(G8)와 맞물려 있다. 제8 기어(G8)는, 주축(107)의 일단부(좌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은 출력축(32)으로부터 주축(107)에 전달된다.
도 20,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107)은 출력축(32)에 대하여 직각으로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107)은 제1 기계틀(37A)과 제2 기계틀(37B)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주축(107)은 복수의 축 및 축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연결축에 의해 구성되고, 각 기계틀(37A, 37B)의 기계폭 방향 K2의 위치 조정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다. 주축(107)은 출력축(32)으로부터 전달되는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주축(107)으로부터 각 이식 유닛(36A, 36B)의 모 공급 장치(38) 및 식부 장치(39)에 동력이 전달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107)에는, 제1 토크 리미터(108), 제2 토크 리미터(109)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토크 리미터(108)는 제1 이식 유닛(36A)에 과부하가 가해졌을 때, 주축(107)으로부터 제1 이식 유닛(36A)에의 동력의 전달(토크 전달)을 차단한다. 제2 토크 리미터(109)는 제2 이식 유닛(36B)에 과부하가 가해졌을 때, 주축(107)으로부터 제2 이식 유닛(36B)에의 동력의 전달(토크 전달)을 차단한다.
도 24,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107)은 회전축(제1 회전축(107A), 제2 회전축(107B), 제3 회전축(107C)) 및 연결축(107L, 107R)을 갖고 있다. 제1 회전축(107A)은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제2 회전축(107B)은 제1 회전축(107A)으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제2 회전축(107B)은 커플링(CP)에 의해 접속된 좌축(107B1)과 우축(107B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회전축(107C)은 제2 회전축(107B)으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제1 회전축(107A)의 좌측 단부에는, 제7 기어(G7)와 맞물리는 제8 기어(G8)가 마련되어 있고, 제1 회전축(107A)은 출력축(32)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연결축(107L)은, 제1 회전축(107A)의 우측 단부와 제2 회전축(107B)의 좌측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축(107R)은 제2 회전축(107B)의 우측 단부와 제3 회전축(107C)의 좌측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1 회전축(107A), 제2 회전축(107B), 제3 회전축(107C)은 주위 방향으로 요철을 갖는 스플라인축이다. 연결축(107L, 107R)은, 스플라인축이 맞물리는 통 형상의 스플라인 베어링이다. 제1 회전축(107A) 및 제2 회전축(107B)은 연결축(107L, 107R)에 대하여 이식기(3)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와 동일함)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제1 회전축(107A) 및 제2 회전축(107B)은 연결축(107L, 107R)에 대한 맞물림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기계폭 방향 K2(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로 이동 가능하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07A) 및 제2 회전축(107B)을 연결축(107L, 107R)에 대하여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시킴으로써, 주축(107)이 기계폭 방향 K2로 신축 가능하게 된다. 즉, 스플라인축을 스플라인 베어링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주축(107)이 기계폭 방향 K2로 신축 가능하게 된다.
주축(107)의 외주는,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하는 커버 통(110)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 통(110)은 가요성의 시트(예를 들어, 수지제의 시트)를 원통상으로 둥글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통(110)은 둘레 방향으로 겹침 부분(OL)을 가지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커버 통(110)은 겹침 부분(OL)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직경을 증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여러가지 굵기의 주축(107)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통(110)은 겹침 부분을 없애서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축(107)을 장착한 후에, 커버 통(110)에 의해 주축(107)의 외주를 덮을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통(110)은 복수의 커버 통(제1 커버 통(110A), 제2 커버 통(110B))을 포함한다. 복수의 커버 통(110A, 110B)은, 주축(107)을 따라서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커버 통(110A)은 연결축(107L)의 외주를 덮고 있다. 제2 커버 통(110B)은 연결축(107R)의 외주를 덮고 있다.
주축(107)의 외주가 커버 통(110)에 의해 덮여 있는 것에 의해, 주축(107)을 구성하는 제1 회전축(107A), 제2 회전축(107B), 제3 회전축(107C) 및 연결축(107L, 107R)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통(110)이 주축(107)을 따라서 기계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커버 통(110)을 포함함으로써, 주축(107)의 기계폭 방향 K2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다.
주축(107)(제1 회전축(107A), 제2 회전축(107B), 제3 회전축(107C) 및 연결축(107L, 107R))에 전달된 동력은, 전동 기구를 통하여 제1 이식 유닛(36A) 및 제2 이식 유닛(36B)에 전달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기구는, 제1 전동 기구(115a)∼제12 전동 기구(115m)를 포함한다.
도 11, 도 24,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107)에 전달된 동력은, 제1 전동 기구(체인 감아 걸기 전동 기구)(115a)를 통하여 제1 축(111)에 전달된다. 또한, 주축(107)에 전달된 동력은, 제2 전동 기구(체인 감아 걸기 전동 기구)(115b)를 통하여 제2 축(112)에 전달된다.
제1 축(111)에 전달된 동력은, 제3 전동 기구(베벨 기어 전동 기구)(115c) 및 제4 전동 기구(체인 감아 걸기 전동 기구)(115d)를 통하여 제1 모 공급 장치(38A)에 전달된다. 제2 축(112)에 전달된 동력은, 제5 전동 기구(베벨 기어 전동 기구)(115e) 및 제6 전동 기구(체인 감아 걸기 전동 기구)(115f)를 통하여 제2 모 공급 장치(38B)에 전달된다.
또한, 제1 축(111)에 전달된 동력은, 제7 전동 기구(체인 감아 걸기 전동 기구)(115g)를 통하여 우측의 제1 식부 장치(39AR)에 전달되고, 또한 제8 전동 기구(115h), 제3 축(113), 제9 전동 기구(115i)를 통하여 좌측의 제1 식부 장치(39AL)에 전달된다. 제2 축(112)에 전달된 동력은, 제10 전동 기구(체인 감아 걸기 전동 기구)(115j)를 통하여 우측의 제2 식부 장치(39BR)에 전달되고, 또한 제11 전동 기구(115k), 제4 축(114), 제12 전동 기구(115m)를 통하여 좌측의 제2 식부 장치(39BL)에 전달된다.
이어서, 식부 장치(39)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식부 장치(39A) 및 제2 식부 장치(39B)는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좌측의 제1 식부 장치(39AL)와 우측의 제1 식부 장치(39AR)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에는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도 27,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식부 장치(39AL)와 제1 식부 장치(39AR)는, 기계폭 방향 K2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전후 방향 K1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식부 장치(39AL)는, 제1 식부 프레임(78L)에 설치되고, 제1 식부 장치(39AR)는 제2 식부 프레임(78R)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식부 장치(39AL)는, 식부 도구(64)와, 식부 승강 기구(139)를 갖는다. 제1 식부 장치(39AR)는 제1 식부 장치(39AL)와 마찬가지로, 식부 도구(64)와, 식부 승강 기구(139)를 갖는다.
이하, 제1 식부 장치(39AL)에 있어서의 식부 도구(64)를 식부 도구(64AL)라고 칭하고, 제1 식부 장치(39AR)에 있어서의 식부 도구(64)를 식부 도구(64AR)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식부 장치(39AL)에 있어서의 식부 승강 기구(139)를 식부 승강 기구(139AL)라고 칭하고, 제1 식부 장치(39AR)에 있어서의 식부 승강 기구(139)를 식부 승강 기구(139AR)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식부 도구(64)는 포장(이랑)에 모를 식부하는 부재이다. 식부 도구(64)는 선단이 하방으로 향한 부리상을 나타내고(도 27 참조), 전구성체(140)와 후구성체(141)를 갖고 있다. 식부 도구(64)는 전구성체(140)와 후구성체(141)가 전후 방향 K1로 이반 및 근접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구성체(140)와 후구성체(141)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전동 기구(115g)는 제1 축(111)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116R)과, 제2 식부 프레임(78R)에 지지축(118R)을 통하여 지지된 종동 스프로킷(117R)과, 구동 스프로킷(116R)과 종동 스프로킷(117R)에 걸쳐 감아 걸린 체인(119R)을 갖는다. 이 제7 전동 기구(115g)에 의해 제1 축(111)으로부터 지지축(118R)에 동력이 전달되어서, 지지축(118R)이 회전한다.
제9 전동 기구(115i)는, 제3 축(113)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116L)과, 제1 식부 프레임(78L)에 지지축(118L)을 통하여 지지된 종동 스프로킷(117L)과, 구동 스프로킷(116L)과 종동 스프로킷(117L)에 걸쳐 감아 걸린 체인(119L)을 갖는다. 이 제9 전동 기구(115i)에 의해 제3 축(113)으로부터 지지축(118L)에 동력이 전달되어서, 지지축(118L)이 회전한다.
제10 전동 기구(115j)는, 제7 전동 기구(115g)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이 제10 전동 기구(115j)에 의해 제2 축(112)으로부터 우측의 제2 식부 장치(39BR)의 지지축(118R)에 동력이 전달되어, 제2 식부 장치(39BR)의 지지축(118R)이 회전한다.
제12 전동 기구(115m)는, 제9 전동 기구(115i)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이 제12 전동 기구(115m)에 의해 제4 축(114)으로부터 좌측의 제2 식부 장치(39BL)의 지지축(118L)에 동력이 전달되어, 제2 식부 장치(39BL)의 지지축(118L)이 회전한다.
도 27,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부 승강 기구(139)는 식부 도구(64)를 지지하고, 당해 식부 도구(64)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식부 승강 기구(139AL)는 식부 도구(64AL)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며, 식부 승강 기구(139AR)는 식부 도구(64AR)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식부 승강 기구(139)는 제1 케이스(120)와, 제2 케이스(121)와, 설치 부재(122)를 갖는다. 식부 승강 기구(139L)의 제1 케이스(120)는 제1 식부 프레임(78L)에 지지축(118L)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부 승강 기구(139R)의 제1 케이스(120)는 제2 식부 프레임(78R)에 지지축(118R)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케이스(121)는 제1 케이스(120)의 자유 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설치 부재(122)는 제2 케이스(121)에 지지되어 있다. 설치 부재(122)에 식부 도구(64)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18L, 118R)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케이스(120) 및 제2 케이스(121)가 회전한다. 제1 케이스(120) 및 제2 케이스(121) 내에는, 제1 케이스(120)가 수평 방향의 축심 둘레의 한쪽으로 회전하면, 제1 케이스(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 케이스(121)가 제1 케이스(120)와는 역방향(수평 방향의 축심 둘레의 다른 쪽)으로 회전하도록 동력 전달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케이스(120) 및 제2 케이스(121)가 회전함으로써, 설치 부재(122)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로 평행 이동하고, 식부 도구(64)가 상하 방향으로 긴 타원 상의 궤적을 그려서 상하 운동(승강)한다.
식부 도구(64)에는, 상승한 위치(상사점 위치)에서 모가 낙하 공급된다. 이때 식부 도구(64)는 폐쇄한 상태이며, 해당 식부 도구(64)의 내부에 모가 수용되고 또한 보유 지지된다. 그 후, 식부 도구(64)는 모를 보유 지지하여 하강함과 함께 하부가 포장에 돌입한다. 또한, 식부 도구(64)는 포장에 돌입했을 때에 개방, 포장에 식혈을 형성함과 함께 개방한 상태에서 모를 하방으로 낙하하여 방출한다. 이에 의해, 포장에 모를 식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식부 장치(39)에 있어서는, 지지축(118L, 118R)이 1회전하면 식부 도구(64)가 상하로 1왕복한다.
이어서, 복토 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복토 장치(40A), 제2 복토 장치(40B)의 구조는,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복토 장치(40AL)와 제1 복토 장치(40AR)의 구성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도 29∼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복토 장치(40AL)는, 복수의 복토기(제1 복토기(81L), 제2 복토기(81R))와, 복토기(81L, 81R)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82)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복토기(81L, 81R)는 복토륜이기 때문에, 이하, 복토기(81L, 81R)를 복토륜(81L. 81R)으로서 설명한다.
복토륜(81L) 및 복토륜(81R)은 식부 도구(64)의 후방의 포장 상면(지면)에 맞닿아서 회전하고, 식부한 모의 근본 부분에 배토하여 복토함과 함께, 모의 근본 부분을 진압한다.
복토륜(81L)과 복토륜(81R)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며,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한다. 복토 장치(40)는 식부 장치(39)를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한 경우, 이것에 대응하여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복토륜(81L) 및 복토륜(81R)은 기계틀(37)의 대지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 부재(83)로서 기능한다. 기계틀(37)의 대지 높이는, 모가 식부된 식부면에 대한 기계틀(37)의 하단의 상대 높이이다. 식부면은, 로터리 경운기(2)의 후방부 커버(19B)로 정지(整地)되는 포장 표면이다. 포장에 이랑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식부면은 이랑의 상면이다.
검출 부재(83)(복토륜(81L) 및 복토륜(81R))는 기계틀(37)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프레임(82)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2)은 기계틀(37)에 대하여 검출 부재(83)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82)은 전방부에 기계폭 방향 K2의 축심을 갖는 통 형상의 보스(84)가 마련되어 있다. 보스(84)는 기계틀(37)에 마련된 지지 로드(85)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로드(85)는 기계폭 방향 K2로 연신하는 축심을 갖고, 제7 프레임재(65g)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지지 부재(86)에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 로드(85)는 기계폭 방향 K2로 연신하는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보스(84)는 지지 로드(85)의 외주에 끼워져 있고, 지지 로드(85)와 함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보스(84)는 지지 로드(85)에 대하여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에 의해, 지지 프레임(82)은 상하로 요동 가능함과 함께,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지지 프레임(82)이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검출 부재(83)가 상하 이동 가능하다.
보스(84)는 기계폭 방향 K2가 임의의 위치에서 지지 로드(85)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로드(85)에는 기계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85a)이 마련되어 있고, 보스(84)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고정구(핀)(87)를 관통 구멍(85a)에 삽입함으로써, 보스(84)의 기계폭 방향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보스(84)의 기계폭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시에, 고정구(핀)(87)를 삽입하는 관통 구멍(85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스(84)의 기계폭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보스(84)의 기계폭 방향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지지 프레임(82)의 전방부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이 지지 프레임(82)의 전방부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하는 기구를 「전방부 위치 조정 기구」라고 한다.
도 30∼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2)은 검출 부재(83)(복토륜(81L) 및 복토륜(81R))의 상방을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2)은 복토륜(81L)의 상방에 배치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측 후방 부위(82a)와, 복토륜(81R)의 상방에 배치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우측 후방 부위(82b)를 갖고 있다. 좌측 후방 부위(82a)에는, 설치판(88L)을 통하여 복토륜(81L)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후방 부위(82b)에는, 설치판(88R)을 통하여 복토륜(81R)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82)은 좌측 후방 부위(88a)의 후방부와 우측 후방 부위(88b)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위(82c)와, 좌측 후방 부위(88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부위(82d)를 갖고 있다.
연결 부위(82c)에는, 설치 스테이(89U, 89D)를 통하여 로드 부재(90)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 스테이(89U)는, 로드 부재(9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 스테이(89D)는, 연결 부위(82c)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 스테이(89U, 89D)에는,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하는 하축(91)이 설치되어 있다. 로드 부재(90)의 하부는, 하축(91)의 축심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드 부재(90)의 상부는, 하축(91)의 상방에 배치된 뒤 축(92)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축(92)은 제2 설치판(65v)에 설치된 축지지 부재(93)에 지지되어 있고, 기계폭 방향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로드 부재(90)는 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에 따라 틸팅하고 또한 상하 이동한다.
도 33,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계틀(37A)에 마련된 제2 설치판(65v)에는, 기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68)이 마련되어 있다. 축지지 부재(93)는 관통 구멍(68)에 삽입 관통된 볼트(B5)에 의해 제2 설치판(65v)에 설치된다. 볼트(B5)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68)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 K2로 변경함(어긋나게 함)으로써, 제2 설치판(65v)에 대한 축지지 부재(93)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4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부재(90) 및 지지 프레임(82)의 후방부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 K2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이 지지 프레임(82)의 후방부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하는 기구를 「후방부 위치 조정 기구」라고 한다.
전방부 위치 조정 기구와 후방부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제1 복토 장치(40A)의 기계폭 방향 K2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제1 위치 조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즉, 이식기(3)는 제1 복토 장치(40A)의 기계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제1 위치 조정부)를 갖고 있다. 또한, 이식기(3)는 제2 복토 장치(40B)의 기계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제2 위치 조정부)를 갖고 있다. 제2 위치 조정부의 구성은, 제1 위치 조정부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3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 스테이(89U)에는 웨이트(94)가 적재되어 있다. 로드 부재(90)는 웨이트(94)를 관통하고 있다. 웨이트(94)는 지지 프레임(82)의 후방부(연결 부위(82c))를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검출 부재(83)(복토륜(81L, 81R))를 접지시킨다.
도 29,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2)의 전방 부위(82d)의 전단부는, 설치판(95)을 통하여 보스(84)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프레임(82)의 상하 요동에 수반하여, 지지 로드(85)가 축심 주위로 회전한다. 지지 로드(85)에는, 제1 요동판(96)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동판(96)은 후방부가 지지 로드(85)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 로드(85)의 회전에 수반하여 전방부가 상하로 요동한다(도 30 참조).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요동판(96)의 전방부에는, 와이어(케이블)(97)의 일단부(하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97)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제외한 중도부가 외각체(98)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외각체(98)를 따라서 이동 가능(진퇴 가능)이다. 외각체(98)의 일단부(하단부)는 지지 부재(240)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돌출 부재(99)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97)의 일단부는, 외각체(98)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서 제1 요동판(96)의 전방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97)가 접속되는 제1 요동판(96)은 제1 복토 장치(40A)를 지지하는 지지 로드(85)와, 제2 복토 장치(40B)를 지지하는 지지 로드(85) 중 어느 한쪽에만 마련하면 된다. 즉, 와이어(97)는 복토 장치의 수에 관계없이, 1개만으로 족하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각체(98)의 타단부(상단부)는 수용체(166)에 수용된 제2 요동판(100)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요동판(100)은 제1 조작 레버(167)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조작 레버(167)는 수용체(166)의 상부에 형성된 홈(166a)(도 21 참조)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당해 홈(166a)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1 조작 레버(167)는 홈(166a)을 따른 전후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정지 가능하다. 제1 조작 레버(167)를 정지함으로써, 제2 요동판(100)의 위치 및 외각체(98)의 타단부의 위치가 정해진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97)의 타단부(상단부)는 외각체(98)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서 수용체(166)에 수용된 제어 밸브(165)의 요동편(165a)에 접속되어 있다. 요동편(165a)은 제어 밸브(165)의 스풀에 접속되어 있다. 요동편(165a)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어 밸브(165)의 스풀이 이동하여 작동유의 흐름이 전환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 본체(C1a)의 보텀측 또는 로드측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승강 실린더(C1)가 신장 또는 단축된다.
검출 부재(83)(복토륜(81L, 81R))가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면, 지지 프레임(82)이 상하 이동하고, 보스(84) 및 지지 로드(85)가 기계폭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 요동판(96)의 전방부가 상하 이동하고, 와이어(97)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어 밸브(165)는 와이어(97)의 이동에 따라 승강 구동 장치(42)를, 기계틀(37)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기계틀(37)을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 부재(83)가 상방 이동했을 때, 와이어(97)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어 밸브(165)가 승강 구동 장치(42)의 승강 실린더(C1)를 단축시켜, 기계틀(37)(이식기(3))이 상승한다. 검출 부재(83)가 하방 이동했을 때, 와이어(97)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어 밸브(165)가 승강 구동 장치(42)의 승강 실린더(C1)를 신장시켜, 기계틀(37)(이식기(3))이 하강한다. 이에 의해, 포장의 요철에 기인하여 모의 식부 깊이의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작 레버(167)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제2 요동판(100)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제2 요동판(10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2 요동판(100)에 고정된 외각체(98)의 타단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출 부재(83)와 와이어(97)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화하기 때문에, 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에 의한 와이어(97)의 이동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검출 부재(8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식부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1 조작 레버(167)를 요동함으로써, 검출 부재(8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식부 깊이(검출 부재(83)의 높이와 식부 깊이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검출 부재(83)에 의한 검출 결과(검출 부재(83)의 높이)에 따른 식부 깊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검출 부재(83)에 의한 검출 결과는 와이어(97)의 이동량에 의해 정해진다. 그 때문에, 제1 조작 레버(167)를 요동하여 와이어(97)의 이동 기준 위치(외각체(98)의 위치)를 변경하고, 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는 와이어(97)의 이동량을 증감함(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 크기와 와이어(97)의 이동량의 대응 관계를 변경함)으로써, 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는 식부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조작 레버(168)의 하단부에는, 제3 요동판(169)이 설치되어 있다. 제3 요동판(169)은 와이어(170)를 통하여 제어 밸브(165)의 스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조작 레버(168)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도, 제어 밸브(165)를 작동시켜서, 기계틀(37)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기계틀(37)을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승강 구동 장치(42)를 전환할 수 있다.
포장의 요철에 따른 이식기(3)의 승강 제어는, 트랙터(1A)의 후방부에 장착한 로터리 경운기(2)와는 독립하여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모의 식부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모 공급 장치(3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공급 장치(38)는 제1 식부 장치(39A) 및 제2 식부 장치(39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모 공급 장치(38A)는 제1 식부 장치(39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모 공급 장치(38B)는 제2 식부 장치(39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모 공급 장치(38)는 당해 모 공급 장치(38)의 하방에 위치하는 식부 도구(64)에 모를 낙하시켜서 공급하는 장치이다.
제1 모 공급 장치(38A)와 제2 모 공급 장치(38B)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37∼도 42에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20,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모 공급 장치(38A)는 제1 기계틀(37A)에 지지되는 장치 프레임(176)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모 공급 장치(38B)도 제2 기계틀(37B)에 지지되는 장치 프레임(176)을 갖는다.
도 20,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공급 장치(38)는 모가 투입되는 다수의 공급컵(171, 172)을 갖는다. 다수의 공급컵은, 다수의 제1 공급컵(171)과, 다수의 제2 공급컵(172)을 포함한다. 제1 공급컵(171)과 제2 공급컵(172)은, 전후 방향 K1로 연장 설치된 루프상의 이송 경로(R1)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공급컵(171)과 제2 공급컵(172)은, 평면으로 보아 전후 방향 K1로 긴 타원형을 나타내도록 루프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공급컵(171)과 제2 공급컵(172)은, 타원형의 이송 경로(R1)를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공급컵(제1 공급컵(171)과 제2 공급컵(172))의 배치와,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공급컵(제1 공급컵(171)과 제2 공급컵(172))의 배치는, 기계폭 방향 K2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급컵(171)과 제2 공급컵(172)은 이송 기구(177)에 의해 이송 경로(R1)를 따라서 화살표(Y1)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이송 기구(177)는 제1 회전체(178)와, 제2 회전체(179)와, 색체(180)를 갖는다. 제1 회전체(178) 및 제2 회전체(179)는 스프로킷에 의해 구성되고, 색체(180)는 제1 회전체(178)와 제2 회전체(179)에 걸쳐 감아 걸린 무단상(루프상)의 체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178) 및 제2 회전체(179)는 장치 프레임(176)에 종축심(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공급컵(171) 및 제2 공급컵(172)은 색체(180)의 외주측에 색체(180)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11,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178)는 제3 전동 기구(115c) 및 제4 전동 기구(115d)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어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색체(180), 제1 공급컵(171) 및 제2 공급컵(172)이 화살표(Y1) 방향(도 37 참조)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제1 회전체(178)에는, 제5 전동 기구(115e) 및 제6 전동 기구(115f)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된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급컵(171)은 투입되는 모(N1)를 수용하는 수용부(181a)와, 색체(180)에 설치되는 설치부(182a)와, 수용부(181a)의 하단의 개구를 막는 덮개(183a)를 갖는다. 제2 공급컵(172)도, 마찬가지로, 수용부(181b)와, 설치부(182b)와, 덮개(183b)를 갖는다. 덮개(183a, 183b)는, 수용부(181a, 181b)의 하부에 힌지에 의해 피봇되어 있고, 수용부(181a, 181b)의 하단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덮개(183a, 183b)가 폐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수용부(181a, 181b) 내에 모(N1)를 유지 가능하다. 또한, 덮개(183a, 183b)가 개방됨으로써, 수용부(181a, 181b)로부터 하방에 모(N1)를 배출 가능하다. 모 공급 장치(38)는 이송 경로(R1)의 전후 방향 중도부에, 식부 도구(64)에 모를 낙하시켜서 공급하는 위치인 모 떨어뜨리기 위치를 갖는다. 도 37에 도시하는 부호 D1로 나타내는 위치가, 제1 공급컵(171)의 덮개(183a)가 개방되는 제1 개방 위치(기계폭 방향 일방측의 개방 위치)이다. 부호 D2로 나타내는 위치가, 제2 공급컵(172)의 덮개(183b)가 개방되는 제2 개방 위치(기계폭 방향 타방측의 개방 위치)이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기(1)는 대지 작업 장치(1B)의 제2 대지 작업기(이식기(3))에 대하여 작업하는 작업자가 앉는 복수의 의자를 갖는다. 복수의 의자는, 복수의 전방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와, 복수의 후방 의자(제1 후방 의자(187C), 제2 후방 의자(187D))이다. 제1 전방 의자(187A)는 제1 이식 유닛(36A)의 전방에 마련되고, 제2 전방 의자(187B)는 제2 이식 유닛(36B)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후방 의자(187C)는 제1 이식 유닛(36A)의 후방에 마련되고, 제2 후방 의자(187D)는 제2 이식 유닛(36B)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계폭 방향 K2로 나란히 마련된 제1 모 공급 장치(38A) 및 제2 모 공급 장치(38B)를 갖는 이식기(3)에 있어서, 제1 전방 의자(187A)는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전방에 마련되고, 제2 전방 의자(187B)는 제2 모 공급 장치(38B)에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후방 의자(187C)는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후방에 마련되고, 제2 후방 의자(187D)는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는 작업자가 후방(모 공급 장치(38)측)을 향하여 앉는 의자이다. 제1 후방 의자(187C) 및 제2 후방 의자(187D)는 작업자가 전방(모 공급 장치(38)측)을 향하여 앉는 의자이다.
모 공급 장치(38)의 전후에 작업자가 앉는 의자를 마련함으로써, 작업기(1)(대지 작업 장치(1B))의 기계폭 방향 K2의 폭을 감소시킬(좁게 할) 수 있고, 포장 간의 이동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트럭 수송 시의 수송이 용이(유리)해진다. 또한, 제1 개방 위치 D1(모 떨어뜨리기 위치) 및 제2 개방 위치 D2(모 떨어뜨리기 위치)가 공급컵(171, 172)의 이송 경로(R1)의 전후 방향 중도부에 위치하므로, 즉, 모를 떨어뜨리는 위치가 눈앞에 없으므로, 공급컵(171, 172)에의 모의 공급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전의 작업자와 후의 작업자의 작업이 통일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교대가 용이해진다.
도 43∼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는 위치 조정 기구(230)를 통하여 의자 지지체(150)에 지지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230)는 이식기(제2 대지 작업기)(3)에 대한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위치 조정 기구(230)는 제1 위치 조정 기구(231)와, 제2 위치 조정 기구(232)와, 제3 위치 조정 기구(233)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조정 기구(231)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 K2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제2 위치 조정 기구(232)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제3 위치 조정 기구(233)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위치 조정 기구(230)는 제1 전방 의자(187A)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위치 조정 기구(230A)와,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위치 조정 기구(230B)를 포함한다. 위치 조정 기구(230A)의 구성과 위치 조정 기구(230B)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 43,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정 기구(230A)의 제1 위치 조정 기구(231)는 의자 지지체(150)의 제2 지지체(152)에 고정된 고정판(231a)과, 고정판(231a)에 대하여 설치 도구(볼트(231c) 및 너트(231d))에 의해 설치된 가동판(23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판(231a)은 제2 지지체(152)의 가로 지지재(158)의 좌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46,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판(231a)에는, 기계폭 방향 K2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 구멍(231e)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231b)에도, 기계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 구멍(231f)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31a)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231e)과, 가동판(231b)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231f)은, 동일한 간격(피치)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31a)에 형성된 관통 구멍(231e)과 가동판(231b)에 형성된 관통 구멍(231f)을 겹쳐서 볼트(231c)를 삽입 관통하고, 너트(231d)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판(231a)에 대하여 가동판(231b)이 위치 결정되어서 설치된다. 또한, 도 43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판(231b)을 고정판(231a)에 대하여 기계폭 방향 K2로 어긋나게 하고, 중첩하는 관통 구멍을 바꾸어서 설치함으로써, 고정판(231a)에 대한 가동판(231b)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 K2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5,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정 기구(230A)의 제3 위치 조정 기구(233)는 가동판(231b)에 고정된 통체(233a)와, 통체(233a)에 대하여 설치 도구(핀)(233c)에 의해 설치된 기둥체(233b)로 구성되어 있다. 통체(233a)는 사각 통 형상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체(233a)에는, 관통 구멍(233d)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체(233b)는 통체(233a)보다도 가는 사각 통 형상이며 통체(233a)에 삽입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둥체(233b)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 구멍(233e)이 형성되어 있다. 통체(233a)에 형성된 관통 구멍(233d)과 기둥체(233b)에 형성된 관통 구멍(233e)을 겹쳐서 핀(233c)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통체(233a)에 대하여 기둥체(233b)가 위치 결정되어서 설치된다. 또한, 도 45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체(233b)를 통체(233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중첩하는 관통 구멍을 바꾸어서 설치함으로써, 통체(233a)에 대한 기둥체(233b)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4,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정 기구(230A)의 제2 위치 조정 기구(232)는 기둥체(233b)의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대(232a)와, 지지대(232a)에 대하여 설치 도구(볼트)(232c)에 의해 설치되어서 의자(187A)의 저부를 수용하는 바닥 수용 부재(232b)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232a)는 전방 부위(232d)와, 중간 부위(232e)와, 후방 부위(232f)를 갖고 있다. 중간 부위(232e)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방부가 기둥체(233b)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 부위(232d)는, 중간 부위(232e)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 부위(232d)에는, 의자(187A)의 저면 후방부를 지지하는 스프링(234)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부위(232f)는, 중간 부위(232e)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부위(232f)는,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하는 축체(232h)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32i)을 갖고 있다.
도 46,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수용 부재(232b)는 지지대(232a)의 후방 부위(232f)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 수용 부재(232b)는 상 부위(232b1)와 측 부위(232b2)를 갖고 있다. 상 부위(232b1)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판상의 부위이며, 상면에 제1 전방 의자(187A)의 저면 전방부가 설치된다. 측 부위(232b2)는, 상 부위(232b1)의 기계폭 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 부위(232b2)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232g)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 수용 부재(232b)를 지지대(232a)의 상부에 적재하면, 측 부위(232b2)의 복수의 관통 구멍(232g) 중 1개가 지지대(232a)의 후방 부위(232f)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겹친다. 겹친 측 부위(232b2)의 관통 구멍(232g)과 후방 부위(232f)의 관통 구멍에 축체(232h)를 삽입 관통하고, β핀 등의 고정구로 빠짐 방지를 함으로써, 지지대(232a)에 대하여 바닥 수용 부재(232b)가 위치 결정되어서 설치된다. 또한, 도 44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수용 부재(232b)를 지지대(232a)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중첩하는 관통 구멍을 바꾸어서 설치함으로써, 지지대(232a)에 대한 바닥 수용 부재(232b)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2 위치 조정 기구(232)에 의해, 바닥 수용 부재(232b)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바닥 수용 부재(232b)에 설치된 제1 전방 의자(187A)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위치 조정 기구(233)에 의해, 통체(233a)에 대한 기둥체(233b)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제1 전방 의자(187A)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조정 기구(231)에 의해, 고정판(231a)에 대한 가동판(231b)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제1 전방 의자(187A)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정 기구(230A)에 의하면, 제1 전방 의자(187A)의 위치를 전후 방향, 상하 방향,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 기구(230B)에 의하면, 위치 조정 기구(230A)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전후 방향, 상하 방향,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조정 기구(231), 제2 위치 조정 기구(232), 제3 위치 조정 기구(233)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조정 기구(231)에 대해서, 제2 지지체(152)의 가로 지지재(158)를 각파이프로 하고, 고정판(231a) 대신에 U 볼트를 갖는 고정구를 가로 지지재(158)에 고정하고, 당해 고정구에 가동판(231b)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구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고정구와 함께 가동판(231b)을 가로 지지재(158)를 따라서 기계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정판(231a)에 대한 가동판(231b)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방 의자(187A)와 이식기(3) 사이에는, 제1 전방 의자(187A)에 앉은 작업자가 발을 두는 발판(235A)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전방 의자(187B)와 이식기(3) 사이에는, 제2 전방 의자(187B)에 앉은 작업자가 발을 두는 발판(235B)이 마련되어 있다. 발판(235A, 235B)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발판(235A)은 제1 전방 의자(187A)의 후방 또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발판(235B)은 제2 전방 의자(187B)의 후방 또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발판(235A, 235B)은, 로터리 경운기(2)의 탄압 장치(20)의 후방 또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판(235A)은 제1 기계틀(37A)의 연결 브래킷(61)(제1 설치구(61A))의 전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발판(235B)은 제2 기계틀(37B)의 연결 브래킷(61)(제2 설치구(61B))의 전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47,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판(235A)에는, 다수의 리브 구비 구멍(236)과, 볼트(나비 볼트)(B6)가 삽입 관통되는 복수(4개)의 관통 구멍(237)이 형성되어 있다. 발판(235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발판(235A, 235B)은, 의자 지지체(15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판(235A, 235B)은, 의자 지지체(150)에 마련된 설치부(260A, 260B)(도 12 참조)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설치부(260A)는 발판(235A)을 설치하는 부분이다. 설치부(260B)는 발판(235B)을 설치하는 부분이다. 설치부(260A, 260B)는, 의자 지지체(150)의 제1 지지체(151)에 마련되어 있다.
도 12,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부(260A)는 제1 지지체(151)의 전지지재(151a) 및 후지지재(151b)와, 제1 지지체(151)의 좌측부에 배치된 연결 지지재(151c)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지재(151a) 및 후지지재(151b)에는, 기계폭 방향 K2로 인접하는 연결 지지재(151c)의 사이에 너트가 고착된 복수(4개)의 제1 스테이(261)가 설치되어 있다. 발판(235A)은 제1 전방 의자(187A)의 후방 또한 하방에 있어서, 전지지재(151a) 및 후지지재(151b)와, 제1 지지체(151)의 좌측부에 배치된 연결 지지재(151c)의 상부에 적재되고, 볼트(나비 볼트)(B6)에 의해 제1 스테이(261)에 고정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부(260B)는 제1 지지체(151)의 전지지재(151a) 및 후지지재(151b)와, 제1 지지체(151)의 우측부에 배치된 연결 지지재(151c)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지재(151a) 및 후지지재(151b)에는, 기계폭 방향 K2로 인접하는 연결 지지재(151c)의 사이에 너트가 고착된 제2 스테이(26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스테이(262)는, 제1 스테이(261)와 마찬가지로 복수(4개) 마련되어 있다. 발판(235B)은 전지지재(151a) 및 후지지재(151b)와, 제1 지지체(151)의 우측부에 배치된 연결 지지재(151c)의 상부에 적재되고, 볼트(나비 볼트)에 의해 제2 스테이(262)에 고정된다.
발판(235A)은 볼트(나비 볼트)(B6)를 제1 스테이(261)로부터 푸는 것에 의해, 의자 지지체(150)에 마련된 설치부(260A)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판(235B)은 볼트(나비 볼트)를 제2 스테이(262)로부터 푸는 것에 의해, 의자 지지체(150)에 마련된 설치부(260B)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터리 경운기(2)의 탄압 장치(20)의 스프링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계틀(37A)의 연결 브래킷(61) 및 제2 기계틀(37B)의 연결 브래킷(61)을 툴 바(43)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한,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의 조정(조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발판(235A, 235B)은, 의자 지지체(15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발판(235A, 235B)의 전방부를 힌지(경첩)를 통하여 제1 지지체(151)의 전지지재(151a)에 설치하거나, 혹은, 발판(235A, 235B)의 후방부를 힌지(경첩)를 통하여 제1 지지체(151)의 후지지재(151b)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발판(235A, 235B)은, 의자 지지체(150)에 대하여 개방함으로써, 탄압 장치(20)의 스프링 조정,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의 조정(조간 조정), 관수 튜브의 위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후방 의자(187C) 및 제2 후방 의자(187D)는 시트 프레임(197)에 설치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197)는 의자가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프레임(197)에는, 제1 후방 의자(187C) 및 제2 후방 의자(187D)가 설치된다. 시트 프레임(197)는 로터리 경운기(2)에 설치된 설치체(196)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프레임(197)는 프레임 본체(199)와, 프레임 연결 기구(200)와, 복수의 차륜(제1 차륜(206A)∼제3 차륜(206C))을 갖는다.
프레임 본체(199)에 제1 후방 의자(187C) 및 제2 후방 의자(187D)가 설치된다. 프레임 본체(199)는 이식기(3)의 좌측(일측방)에 배치된 제1 프레임부(201)와, 이식기(3)의 우측방(타측방)에 배치된 제2 프레임부(202)와, 제1 프레임부(201)와 제2 프레임부(202)의 후방부끼리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부(203)를 갖는다. 제1 프레임부(201) 및 제2 프레임부(202)는 각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201)는 제1 측부재(196A)의 후방에 전후 방향 K1로 연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202)는 제2 측부재(196B)의 후방에 전후 방향 K1로 연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프레임부(203)는 이식기(3)의 후방에 기계폭 방향 K2로 연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프레임부(203)는 복수의 각파이프재(제1 부재(203A), 제2 부재(203B), 제3 부재(203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203A)는 좌측 단부가 제1 프레임부(201)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부재(203B)는 우측 단부가 제2 프레임부(202)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3 부재(203C)는 제1 부재(203A)와 제2 부재(203B)를 연결하고 있다. 제1 부재(203A)와 제2 부재(203B)는 제3 부재(203C)를 따라서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도 20,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프레임부(203)의 제3 부재(203C)의 좌측부에, 시트 지지 부재(227A)를 통하여 제1 후방 의자(187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후방 의자(187C)는 시트 지지 부재(227A)에 대하여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부재(203C)의 우측부에, 시트 지지 부재(227B)를 통하여 제2 후방 의자(187D)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지지 부재(227B)의 구성은, 시트 지지 부재(227A)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2 후방 의자(187D)는 시트 지지 부재(227B)에 대하여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 지지 부재(227A, 227B)는, 제3 부재(203C)에 대하여 기계폭 방향 K2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시트 지지 부재(227A, 227B)는, 제1 후방 의자(187C) 및 제2 후방 의자(187D)의 위치를, 전후 방향, 기계폭 방향, 상하 방향으로 각각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를 갖고 있다. 이 위치 조정 기구의 구성은, 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230)(제1 위치 조정 기구(231), 제2 위치 조정 기구(232), 제3 위치 조정 기구(233))와 마찬가지이다.
도 20,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후방 의자(187C)의 전하방에는, 제1 후방 의자(187C)에 착좌한 작업자가 발을 두기 위한 발판(235C)이 배치되어 있다. 제2 후방 의자(187D)의 전하방에는, 제2 후방 의자(187D)에 착좌한 작업자가 발을 두기 위한 발판(235D)이 배치되어 있다. 발판(235C, 235D)은, 시트 프레임(197)의 프레임 본체(199) 상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판(235C, 235D)은, 제3 프레임부(203)의 제3 부재(203C) 상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 연결 기구(200)는 프레임 본체(199)를 설치체(196)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구이다. 프레임 연결 기구(200)는 제1 기구(200A)와, 제2 기구(200B)를 갖는다. 제1 기구(200A)는 제1 측부재(196A)에 제1 프레임부(201)를 연결하고 있다. 제2 기구(200B)는 제2 측부재(196B)에 제2 프레임부(202)를 연결하고 있다. 제1 기구(200A) 및 제2 기구(200B)는 평행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차륜(제1 차륜(206A)∼제3 차륜(206C))은 예를 들어, 타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접지하여 프레임 본체(199)를 지지한다. 따라서, 시트 프레임(197)는 로터리 경운기(2) 및 이식기(3)에 대하여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한다.
프레임 본체(199)에 있어서의 기계폭 방향 K2의 일측부(좌측부)에 제1 차륜(206A)이 마련되고, 프레임 본체(199)에 있어서의 기계폭 방향 K2의 타측부(우측부)에 제2 차륜(206B)이 마련되어 있다. 제3 차륜(206C)은 프레임 본체(199)에 있어서의 기계폭 방향 K2의 중도부(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차륜(206C)은 제1 후방 의자(187C)와 제2 후방 의자(187D)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0,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 연결 기구(41)와 시트 프레임(197)에 걸쳐 링크 부재(215)가 마련되어 있다. 링크 부재(215)는 제1 링크 부재(215A)와 제2 링크 부재(215B)를 포함한다. 링크 부재(215)는 툴 바(43)와, 프레임 연결 기구(200)의 상측 링크(209A)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링크 부재(215)는 시트 프레임(197)과, 이식기(3)와 함께 승강하는 부재 또는 이식기(3)에 걸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5A)는 제1 측부재(196A) 및 제1 기구(200A)의 기계폭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15B)는 제2 측부재(196B) 및 제2 기구(200B)의 기계폭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0,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5A)의 전단부(상단부)는 툴 바(43)의 후방면에 고정된 브래킷 부재(228A)에 추축(229A)을 통하여 기계폭 방향 K2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15B)의 상부(전방부)는 툴 바(43)의 후방면에 고정된 브래킷 부재(228B)에 추축(229B)을 통하여 기계폭 방향 K2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걸림 결합 핀(221)은 제1 기구(200A)의 링크(209A)와, 제2 기구(200B)의 링크(209B)에 기계폭 내측에 돌출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좌측의 걸림 결합 핀(221)은 제1 링크 부재(215A)의 긴 구멍(220)에 삽입 관통되고, 우측의 걸림 결합 핀(221)은 제2 링크 부재(215B)의 긴 구멍(220)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핀(221)은 프레임 본체(199)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링크 부재(215)의 전단부는, 기계틀(37)에 피봇되어 있어도 된다.
작업 시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197)이 상하 이동하면, 걸림 결합 핀(221)이 긴 구멍(220) 내를 이동함으로써, 시트 프레임(197)의 상하 이동이 허용된다. 또한, 작업기(1)를 트럭 등에 실을 때나 트럭 등으로부터 내릴 때 등에 있어서, 툴 바(43)를 상승시켜서 이식기(3)를 들어 올리면, 링크 부재(215)가 상방 이동함과 함께 걸림 결합 핀(221)이 긴 구멍(220)의 하단에 맞닿고, 또한 걸림 결합 핀(221)이 긴 구멍(220)의 하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링크 부재(215)가 상방 이동함으로써, 시트 프레임(197)을 들어 올릴(끌어 올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링크 부재(215)는 작업 시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197)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승강 구동 장치(42)에 의해 이식기(3)를 들어 올릴 때에, 제2 대지 작업기의 상승에 수반하여 상방 이동하여 시트 프레임(197)을 끌어 올릴 수 있다.
도 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방 의자(187A)의 후방에는, 모 공급대(188A)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전방 의자(187B)의 후방에는, 모 공급대(188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후방 의자(187C)의 전방에는, 모 공급대(188C)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후방 의자(187D)의 전방에는, 모 공급대(188D)가 마련되어 있다. 모 공급대(188A)는 제1 전방 의자(187A)에 착좌한 작업자의 정면측에 위치한다. 모 공급대(188B)는 제2 전방 의자(187B)에 착좌한 작업자의 정면측에 위치한다. 모 공급대(188C)는 제1 후방 의자(187C)에 착좌한 작업자의 정면측에 위치한다. 모 공급대(188D)는 제2 후방 의자(187D)에 착좌한 작업자의 정면측에 위치한다.
모 공급대(188A∼188D)에는, 다수의 모를 갖는 모 트레이를 둘 수 있다. 작업자는, 모 공급대(188A∼188D)에 둔 모 트레이로부터 모 공급 장치(38)의 공급컵(171, 172)에 모를 공급할 수 있다.
우선, 모 공급대(188A, 188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공급대(188A, 188B)는, 전방 의자를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 조정 기구(230)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모 공급대(188A)는 제1 전방 의자(187A)를 지지하는 위치 조정 기구(230)에 설치되어 있다. 모 공급대(188B)는 제2 전방 의자(187B)를 지지하는 위치 조정 기구(230)에 설치되어 있다. 모 공급대(188A)와 모 공급대(188B)는, 작업기(1)의 기계폭 방향 K2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대칭의 구성)을 제외하고, 모 공급대(188A)의 구성과 모 공급대(188B)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 12, 도 43∼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공급대(188A)는 지지 기구(270)를 통하여 제2 위치 조정 기구(232)의 지지대(232a)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기구(270)는 받이 통(271)과, 지지 암(272)과, 회동 지지 기구(273)를 갖고 있다. 받이 통(271)은 원통상이며 기계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대(232a)의 중간 부위(232e)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암(272)은 원통상의 파이프를 2개소에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4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암(272)은 암 기단부(272a)와, 암 중간부(272b)와, 암 선단부(272c)를 갖고 있다. 도 43,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기단부(272a)는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되어 있고, 일단부측이 받이 통(271)에 기계폭 내측(우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도 45∼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중간부(272b)는 암 기단부(272a)의 타단부측으로부터 굴곡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고 있다. 암 중간부(272b)는 제1 전방 의자(187A)의 기계폭 내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45,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선단부(272c)는 암 중간부(272b)의 후단부로부터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지지 기구(273)는 기부(274)와 지지축(275)을 갖고 있다. 기부(274)는 외통체(274a)와, 기판(274b)과, 규제판(274c)을 갖고 있다. 외통체(274a)는 암 선단부(272c)의 상부에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기판(274b)은 외통체(274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274b)은 전방부와 후방부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2개의 기립부(274d)와, 스프링(276)의 일단부가 걸리는 제1 걸림부(274e)를 갖고 있다. 규제판(274c)은 기판(274b)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판(274c)은 기계폭 외방측(좌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74c1)와, 기계폭 내방측(우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274c2)를 갖고 있다. 외측 돌출부(274c1)는, 기판(274b)의 좌측에 있어서 기판(274b)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274c2)는, 기판(274b)의 우측에 있어서 기판(274b)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돌출부(274c1)의 높이는, 내측 돌출부(274c2)의 높이보다도 높다. 지지축(275)은 기판(274b)의 2개의 기립부(274d)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75)은 내측 돌출부(274c2)와 외측 돌출부(274c1)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0∼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공급대(188A)는 회동 지지 기구(27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 공급대(188A)는 모 트레이를 둘 수 있는 적재부(191)와, 이 적재부(191)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192)를 갖고 있다. 지지 구조체(192)는 굴곡재(193F, 193B)와 봉재(194)를 갖고 있다. 굴곡재(193F, 193B)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도부에서 둔각의 V자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하, 굴곡재(193F, 193B)의 일단부와 중도부(굴곡부) 사이의 부위를 「일단부측 부위」라고 하며, 굴곡재(193F, 193B)의 타단부와 중도부(굴곡부) 사이의 부위를 「타단부측 부위」라고 한다.
굴곡재(193F)의 일단부는, 지지축(275)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굴곡재(193B)의 일단부는, 지지축(275)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봉재(194)는 굴곡재(193F, 193B)의 일단부측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봉재(194)는 굴곡재(193F)와 굴곡재(193B)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봉재(194)의 일단부에는, 스프링(276)의 타단부가 걸리는 제2 걸림부(194a)가 마련되어 있다.
적재부(191)는 굴곡재(193F, 193B)의 타단부측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적재부(191)는 굴곡재(193F)와 굴곡재(193B)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2개)의 수납재(191a)와, 이 수납재(191a)에 설치된 사각환상의 받침 프레임(191b)을 갖고 있다. 수납재(191a) 및 받침 프레임(191b)에 의해 모 트레이의 저면을 지지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모 적재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50∼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재(193F, 193B)는, 지지축(275)의 축 둘레로 회동할 수 있다. 굴곡재(193F, 193B)의 회동 범위는, 규제판(274c)에 의해 규제된다.
굴곡재(193F, 193B)를 기계폭 외방측에 회동시키면, 봉재(194)가 규제판(274c)의 외측 돌출부(274c1)에 맞닿아, 그 이상의 회동이 불능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모 공급대(188A)는 모 적재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1 자세가 된다. 굴곡재(193F, 193B)를 기계폭 내방측에 회동시키면, 봉재(194)가 규제판(274c)의 내측 돌출부(274c2)에 맞닿아, 그 이상의 회동이 불능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모 공급대(188A)는 모 적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제2 자세가 된다. 또한, 제2 자세에는, 모 적재면이 수직 방향(연직 방향)을 향하는 경우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스프링(276)은 모 공급대(188A)가 제1 자세가 되었을 때, 봉재(194)를 내측 돌출부(274c2)를 향하여 인장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특별히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봉재(194)가 내측 돌출부(274c2)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1 자세가 유지된다. 스프링(276)은 모 공급대(188A)가 제2 자세가 되었을 때, 봉재(194)를 외측 돌출부(274c1)를 향하여 인장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특별히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봉재(194)가 외측 돌출부(274c1)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2 자세가 유지된다.
모 공급대(188A)가 제1 자세가 되었을 때에 모 적재면에 모 트레이가 놓인이다. 적재부(191)는 모 공급대(188A)가 제1 자세가 되었을 때에, 제1 전방 의자(187A)의 후방이며 또한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1 전방 의자(187A)에 착좌하여 제1 모 공급 장치(38A)쪽을 향한 작업자는, 눈앞에 있는 적재부(191)의 모 적재면에 놓인 모 트레이 상의 모를 취하고, 당해 모를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공급컵(171, 172)에 공급할 수 있다.
적재부(191)의 모 적재면에 모 트레이를 두지 않을 때(모 공급 작업의 개시 전이나 종료 후)에는, 모 공급대(188A)를 모 적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제2 자세로 한다. 모 공급대(188A)가 제2 자세가 되었을 때에, 적재부(191)는 제1 전방 의자(187A)의 기계폭 내방측에 위치한다. 또한, 모 공급대(188A)가 제2 자세가 되었을 때에, 적재부(191)는 제2 전방 의자(187B)의 기계폭 내방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모 공급대(188A, 188B)에 방해되지 않고, 제1 전방 의자(187A) 및 제2 전방 의자(187B)에 대한 승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6의 화살표(A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암(272)의 암 기단부(272a)는 받이 통(271)의 축심 둘레(기계폭 방향의 축심 둘레)에 회동 가능하다.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기단부(272a)를 받이 통(271)의 축심 둘레에 회동함으로써, 적재부(191)를 제1 전방 의자(187A)의 전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 공급대(188A)와 모 공급대(188B)는, 작업기(1)의 기계폭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 공급대(188A)와 모 공급대(188B)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공급대(188A)를 분리하고, 모 공급대(188B)의 암 기단부(272a)의 일단부측을, 모 공급대(188A)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270)의 받이 통(271)에 기계폭 외측(좌측 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대(232a)에 설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모 공급대(188B)를 분리하고, 모 공급대(188A)의 암 기단부(272a)의 일단부측을, 모 공급대(188B)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270)의 받이 통(271)에 기계폭 외측(우측 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대(232a)에 설치할 수 있다.
모 공급대(188A)와 모 공급대(188B)를 교체한 경우, 적재부(191)는 모 공급대(188A, 188B)가 제2 자세가 되었을 때에, 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의 기계폭 외방측에 위치한다.
이어서, 모 공급대(188C, 188D)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 공급대(188C)는 제1 후방 의자(187C)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부재(227A)에 설치되어 있다. 모 공급대(188D)는 제2 후방 의자(187D)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부재(227B)에 설치되어 있다. 모 공급대(188C)와 모 공급대(188D)는, 작업기(1)의 기계폭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대칭의 구성)을 제외하고, 모 공급대(188C)의 구성과 모 공급대(188C)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모 공급대(188C)와 모 공급대(188A)는, 제1 후방 의자(187C)와 제1 전방 의자(187A)를 기계폭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한 경우,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대칭의 구성) 및 설치 위치(의자 지지체(150)가 아니라 시트 지지 부재(227A)에 설치되어 있는 점)를 제외하고, 모 공급대(188A)의 구성과 모 공급대(188C)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모 공급대(188D)와 모 공급대(188B)는, 제2 후방 의자(187D)와 제2 전방 의자(187B)를 기계폭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한 경우,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대칭의 구성) 및 설치 위치(의자 지지체(150)가 아니라 시트 지지 부재(227B)에 설치되어 있는 점)를 제외하고, 모 공급대(188B)의 구성과 모 공급대(188D)의 구성은 동일하다.
모 공급대(188C)와 모 공급대(188D)는, 작업기(1)의 기계폭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 공급대(188C)와 모 공급대(188D)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모 공급 장치(38A) 및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상방에 모 트레이를 둘 수 있는 모 적재대(190)가 마련되어 있다. 모 적재대(190) 상에는, 복수의 모 트레이를 둘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적재대(190)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체(190a)와, 이 프레임체(190a)의 하부에 마련된 저판(190b)을 갖고 있다. 저판(190b)은 평판으로 구성해도 되고, 망체나 펀칭 메탈로 구성해도 된다. 저판(190b) 상에 복수의 모 트레이를 둘 수 있다.
모 적재대(190)는 전후 방향 K1에 비하여 기계폭 방향 K2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상방과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상방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모 적재대(190)는 각 의자에 착좌한 작업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공급컵(171, 172)의 상방은 덮고 있지 않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적재대(190)는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0)에 마련된 대받이(189) 상에 설치되어 있다. 대받이(189)는, 제5 연결 프레임재(135) 상에 마련되어 있다. 대받이(189)는, 제1 모 공급 장치(38A) 및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상방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모 적재대(190) 상의 모 트레이로부터 모를 공급컵(171, 172)에 모를 공급할 수 있다. 모 적재대(190)는 제1 모 공급 장치(38A)의 상방과 제2 모 공급 장치(38B)의 상방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 제1 후방 의자(187C), 제2 후방 의자(187D)의 각 의자에 착좌한 작업자가, 모 적재대(190) 상의 모 트레이로부터 모를 취할 수 있다. 즉, 모 적재대(190)는 각 의자에 착좌한 작업자가 모 적재대(190) 상의 모 트레이로부터 모를 취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모 공급대(188) 상의 모 트레이의 모가 없어지면, 모 적재대(190) 상의 모 트레이의 모를 공급컵(171, 172)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모 적재대(190)는 예비의 모 트레이가 적재되는 대이다. 또한, 모 공급대(188) 상의 모 트레이의 모가 없어지면, 빈 모 트레이를 모 적재대(190) 상의 모 트레이와 교환해도 된다. 또한, 각 작업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모 공급대(188)를 마련하지 않고, 모 적재대(190)를 각 작업자에 공통의 모 공급대로 해도 된다.
도 1, 도 56,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기(1)는 대지 작업 장치(1B)로서, 포장에 성형된 이랑에 제초 필름을 부설하는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트랙터(1A)의 후방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트랙터(1A)의 후방부에 장착된 로터리 경운기(2)에 장착된다.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로터리 경운기(2)의 후방 또한 이식기(3)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트랙터(1A)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와 동일함)으로 나란히 성형되는 2개의 이랑(UN1, UN2)에 대하여 각각 제초 필름을 부설한다. 이하, 2개의 이랑(UN1, UN2) 중, 좌측에 성형되는 이랑을 「제1 이랑(UN1)」, 우측에 성형되는 이랑을 「제2 이랑(UN2)」라고 한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을 갖고 있다. 제1 롤 지지축(301)은 제1 이랑(UN1)에 부설되는 제초 필름이 권회된 제1 필름 롤(303)을 지지한다. 제2 롤 지지축(302)은 제2 이랑(UN2)에 부설되는 제초 필름이 권회된 제2 필름 롤(304)을 지지한다.
제1 롤 지지축(301) 및 제2 롤 지지축(302)은 트랙터(1A)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은, 트랙터(1A)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롤 지지축(301)의 기계폭 내방측의 부위(301a)는 제2 롤 지지축(302)의 기계폭 내방측의 부위(302a)와는, 기계폭 방향 K2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다.
제1 롤 지지축(301)의 우측 단부(기계폭 내방측의 단부)는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의 기계폭 방향 K2의 중심보다도 우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롤 지지축(301)의 우측 단부는, 제2 롤 지지축(302)의 좌측 단부 및 제2 필름 롤(304)의 좌측 단부보다도 우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2 롤 지지축(302)의 좌측 단부(기계폭 내방측의 단부)는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의 기계폭 방향 K2의 중심보다도 좌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롤 지지축(301)의 우측 단부 및 제1 필름 롤(303)의 우측 단부보다도 좌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은, 전후 방향 K1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필름 롤(303)과 제2 필름 롤(304)은, 전후 방향 K1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롤 지지축(301)이 제2 롤 지지축(30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제1 롤 지지축(301)이 제2 롤 지지축(30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롤 지지축(301)의 양단부는, 제1 축 지지체(305L, 305R)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축 지지체(305L)는, 제1 롤 지지축(301)의 좌측 단부(기계폭 외방측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1 축 지지체(305R)는 제1 롤 지지축(301)의 우측 단부(기계폭 내방측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2 롤 지지축(302)의 양단부는, 제2 축 지지체(306L, 306R)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2 축 지지체(306L)는, 제2 롤 지지축(302)의 좌측 단부(기계폭 내방측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2 축 지지체(306R)는 제2 롤 지지축(302)의 우측 단부(기계폭 외방측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도 58∼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지지체(305L)는, 설치체(196)의 제1 측부재(196A)에 설치되어 있고, 기계폭 방향 K2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축 지지체(305L)는, 제1 지지재(307)∼제5 지지재(311)를 갖고 있다. 제1 지지재(307)는 제1 측부재(196A)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지지재(308)는 제3 지지재(309)를 통하여 제1 지지재(307)에 설치되고, 제1 지지재(30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지지재(310)는 제2 지지재(308)의 하부에 설치되고, 당해 하부로부터 기계폭 외측(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5 지지재(311)는 일단부(전단부)가 제4 지지재(310)의 기계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 지지축(31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5 지지재(311)는 지지축(312)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5 지지재(311)의 타단부(후단부)에는, 상방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결된 오목형의 걸림부(311a)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걸림부(311a)에 제1 롤 지지축(301)의 일단부(좌측 단부)가 걸린다. 걸림부(311a)의 상방에는, 걸림부(311a)에 걸린 제1 롤 지지축(301)의 일단부 탈리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판(339)이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 축 지지체(305L)에 대하여 제1 롤 지지축(301)의 일단부(좌측 단부)가 지지된다.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재(307)는 기계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병설된 복수의 설치 구멍(307a)을 갖고 있다. 제3 지지재(309)는 설치 구멍(309a)의 1개 또는 복수에 대응하는 설치 구멍(309a)을 갖고 있다. 제1 지지재(307)와 제3 지지재(309)는, 설치 구멍(307a)과 설치 구멍(309a)을 겹쳐서 볼트를 삽입 관통하여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제1 지지재(307)에 대하여 제3 지지재(309)를 기계폭 방향 K2로 어긋나게 하고, 설치 구멍(307a)에 중첩하는 설치 구멍(309a)을 변경함으로써, 제1 지지재(307)에 대하여 제3 지지재(309)를 기계폭 방향 K2로 어긋나게 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롤 지지축(301)을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롤 지지축(302)도 기계폭 방향 K2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이 오버랩하는 범위(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7, 도 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지지체(305R)는 중간 연결체(55)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연결체(55)는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후설치부(51Mb)와 설치체(196)의 중간 부재(196C)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축 지지체(305R)는 제7 지지재(313)와 제6 지지재(314)를 갖고 있다. 제7 지지재(313)는 중간 연결체(55)(상부재(55a))에 고정되어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6 지지재(314)는 제7 지지재(313)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6 지지재(314)의 전방부는, 제7 지지재(313)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6 지지재(314)는 제7 지지재(313)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6 지지재(314)의 후단부에는, 제1 롤 지지축(301)의 타단부(우측 단부)에 마련된 설치편(315)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축 지지체(305R)에 대하여 제1 롤 지지축(301)의 타단부(우측 단부)가 지지된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축 지지체(306R)는 설치체(196)의 제2 측부재(196B)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축 지지체(306R)는 제1 축 지지체(305L, 305R)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축 지지체(306R)는 제1 축 지지체(305L)와 전후 방향 K1의 위치를 정렬시켰을 경우, 기계폭 방향 K2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축 지지체(305L)와 대칭형이다. 이 점을 제외하고, 제2 축 지지체(306R)의 구성은, 제1 축 지지체(305L)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56, 도 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축 지지체(306L)는, 중간 연결체(55)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축 지지체(306L)는, 제1 축 지지체(305L, 305R)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축 지지체(306L)는, 제2 축 지지체(306R)와 전후 방향 K1에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축 지지체(306L)는, 제1 축 지지체(305R)와 전후 방향 K1의 위치를 정렬시켰을 경우, 기계폭 방향 K2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제1 축 지지체(305R)와 대칭형이다. 이 점을 제외하고, 제2 축 지지체(306L)의 구성은, 제1 축 지지체(305R)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제1 복토 부재(321), 제2 복토 부재(322), 제3 복토 부재(323), 제4 복토 부재(324)를 갖고 있다. 제1 복토 부재(321), 제2 복토 부재(322), 제3 복토 부재(323), 제4 복토 부재(324)는 원판 상의 복토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복토 부재(321) 및 제3 복토 부재(323)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제1 이랑(UN1)측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 복토 부재(322) 및 제4 복토 부재(324)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제2 이랑(UN2)측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복토 부재(321)는 제1 필름 롤(303)의 우측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복토 부재(321)는 제1 필름 롤(303)로부터 권출되어서 제1 이랑(UN1)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2 이랑(UN2)측의 일단부(우측 단부)에 흙을 덮는다. 제2 복토 부재(322)는 제2 필름 롤(304)의 좌측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복토 부재(322)는 제2 필름 롤(304)로부터 권출되어서 제2 이랑(UN2)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1 이랑(UN1)측의 일단부(좌측 단부)에 흙을 덮는다.
제3 복토 부재(323)는 제1 필름 롤(303)의 좌측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복토 부재(323)는 제1 필름 롤(303)로부터 권출되어서 제1 이랑(UN1)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타단부(좌측 단부)에 흙을 덮는다. 제4 복토 부재(324)는 제2 필름 롤(304)의 우측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4 복토 부재(324)는 제2 필름 롤(304)로부터 권출되어서 제2 이랑(UN2)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타단부(우측 단부)에 흙을 덮는다.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는, 전후 방향 K1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복토 부재(321)가 제2 복토 부재(32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의 어느 한쪽의 복토 부재가, 어느 다른 한쪽의 복토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의 어느 것을 후방에 배치할지는,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의 전후 관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롤 지지축(302)이 제1 롤 지지축(301)의 후방에 배치된 경우, 제2 복토 부재(322)가 제1 복토 부재(321)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 롤 지지축(301)이 제2 롤 지지축(302)의 후방에 배치된 경우, 제1 복토 부재(321)가 제2 복토 부재(322)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는, 트랙터(1A)의 폭 방향(기계폭 방향 K2)에 있어서 오버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는, 전후 방향 K1에 있어서도 오버랩되어 있다.
제3 복토 부재(323)는 전후 방향 K1에 있어서, 제1 복토 부재(321)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4 복토 부재(324)는 전후 방향 K1에 있어서, 제2 복토 부재(322)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3 복토 부재(323)와 제4 복토 부재(324)는,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 K1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후방에 배치된 복토 부재(한쪽의 복토 부재)의 하단부는, 전방에 배치된 복토 부재(다른 쪽의 복토 부재)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2 복토 부재(322)의 하단부가 제1 복토 부재(321)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제2 복토 부재(322)에 의해 제1 복토 부재(321)보다도 깊은 위치로부터 흙을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가 기계폭 방향 K2에 있어서 오버랩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후방에 배치된 제2 복토 부재(322)에 의해 모아지는 흙이 부족할 일이 없다.
도 56, 도 57, 도 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복토 부재(321) 및 제2 복토 부재(322)는 제1 접속 프레임(325) 및 브래킷(326)을 통하여 중간 연결체(55)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속 프레임(325)은 중간 연결체(55)에 고정된 브래킷(326)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56, 도 58,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복토 부재(323)는 제2 접속 프레임(327), 브래킷(328), 제1 지지재(307)를 통하여 제1 측부재(196A)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속 프레임(327)은 제1 지지재(307)에 고정된 브래킷(328)에 대하여 지지축(316)을 통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복토 부재(324)는 제3 접속 프레임(329) 등을 통하여 제2 측부재(196B)에 설치되어 있다. 제4 복토 부재(324)의 제2 측부재(196B)에 대한 설치 구조는, 제3 복토 부재(323)의 제1 측부재(196A)에 대한 설치 구조와 동일하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제1 필름 압박기(331), 제2 필름 압박기(332), 제3 필름 압박기(333), 제4 필름 압박기(334)를 갖고 있다. 제1 필름 압박기(331), 제2 필름 압박기(332), 제3 필름 압박기(333),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예를 들어, 차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필름 압박기(331) 및 제3 필름 압박기(333)는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제1 이랑(UN1)측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 필름 압박기(332) 및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제2 이랑(UN2)측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필름 압박기(331)는 제1 필름 롤(30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필름 압박기(331)는 제1 이랑(UN1)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2 이랑(UN2)측(우측)의 일단부(우측 단부)를 억제한다. 제2 필름 압박기(332)는 제2 필름 롤(30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필름 압박기(332)는 제2 이랑(UN2)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1 이랑(UN1)측(좌측)의 일단부(좌측 단부)를 억제한다. 제3 필름 압박기(333)는 제1 필름 롤(30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필름 압박기(333)는 제1 이랑(UN1)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타단부(좌측 단부)를 억제한다.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제2 필름 롤(30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제2 이랑(UN2)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타단부(우측 단부)를 억제한다.
제1 필름 압박기(331)와 제2 필름 압박기(332)는, 전후 방향 K1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필름 압박기(331)가 제2 필름 압박기(33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롤 지지축(301)이 제2 롤 지지축(302)의 후방에 배치된 경우, 제1 필름 압박기(331)가 제2 필름 압박기(332)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3 필름 압박기(333)는 전후 방향 K1에 있어서, 제1 필름 압박기(331)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전후 방향 K1에 있어서, 제2 필름 압박기(332)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3 필름 압박기(333)와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제1 필름 압박기(331)와 제2 필름 압박기(332)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 K1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필름 압박기(331)는 제1 접속체(335)를 통하여 제1 접속 프레임(32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필름 압박기(332)는 제2 접속체(336)를 통하여 제1 접속 프레임(325)에 접속되어 있다. 도 58,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필름 압박기(333)는 제3 접속체(337)를 통하여 제2 접속 프레임(327)에 설치되어 있다.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필름 압박기(334)는 제4 접속체(338)를 통하여 제3 접속 프레임(329)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업기(1)는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작업기(1)는 주행체(1A)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제1 대지 작업기(2)와, 제1 대지 작업기(2)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제2 대지 작업기(3)와, 제1 대지 작업기(2)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제2 대지 작업기(3)에 대하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와, 제2 대지 작업기(3)에 대한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를 접수하는 제2 대지 작업기(3)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23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식부된 모의 조간이나 이랑의 높이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 기구(230)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작업기(1)의 폭 방향인 기계폭 방향 K2로 조정 가능한 제1 위치 조정 기구(231)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조정 기구(231)에 의해, 식부된 모의 조간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기계폭 방향 K2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 기구(230)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전후 방향 K1로 조정 가능한 제2 위치 조정 기구(232)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위치 조정 기구(232)에 의해, 작업자의 체격 등에 대응하여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 기구(230)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제3 위치 조정 기구(233)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3 위치 조정 기구(233)에 의해, 이랑 높이, 슬리브(공급컵(171, 172) 내에 감입되는 슬리브)의 높이, 작업자의 체격 등에 대응하여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제1 대지 작업기(2)에 대하여 제2 대지 작업기(3) 및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를 일체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업기 연결 기구(41)를 구비하고, 작업기 연결 기구(41)는 제2 대지 작업기(3)가 설치되는 툴 바(43)와, 툴 바(43)에 접속되고 또한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를 지지하는 의자 지지체(150)를 갖고, 위치 조정 기구(230)는 의자 지지체(150)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앉는 의자(187A, 187B)의 높이와 제2 대지 작업기(3)의 높이의 관계를 일정하게 한 뒤에, 위치 조정 기구(230)에 의해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대지 작업기(3)에 대한 의자(187A, 187B)의 위치를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와 제2 대지 작업기(3)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의자(제1 전방 의자(187A), 제2 전방 의자(187B))에 앉은 작업자가 발을 두는 발판(235A, 235B)을 구비하고, 의자 지지체(150)는 발판(235A, 235B)이 착탈 가능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260A, 260B)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판(235A, 235B)을 설치부(260A, 260B)에 대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개방함으로써, 발판(235A, 235B)의 하방에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로터리 경운기(2)의 탄압 장치(20)의 스프링 조정,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의 조정(조간 조정), 관수 튜브의 위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모를 수용하는 다수의 공급컵(171, 172)을 루프상의 이송 경로(R1)를 따라서 이송하는 모 공급 장치(38)와, 모 공급 장치(38)에 공급되는 모를 두기 위한 모 공급대(188)를 구비하고, 모 공급대(188)는 의자 지지체(150)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 공급대(188)가 의자 지지체(150)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모 공급대(188)와 의자 지지체(150)에 지지된 의자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모 공급대(188)로부터 모 공급 장치(38)에 대한 모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모 공급대(188)는 모 적재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1 자세와, 모 적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제2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 공급 장치(38)에 대한 모의 공급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모 공급대(188)를 제2 자세로 함으로써, 모 공급대(188)가 작업자의 이동 등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주행체(1A)와, 주행체(1A)의 후방에 장착된 기계틀(37)과, 기계틀(37)에 지지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식부 장치(39)를 갖는 이식기(3)와, 주행체(1A)에 대하여 기계틀(37)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 장치(42)와,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는 검출 부재(83)와, 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와이어(97)와, 와이어(97)의 이동에 수반하여 기계틀(37)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기계틀(37)을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승강 구동 장치(42)를 전환하는 제어 밸브(1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는 검출 부재(83)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는 와이어(97)의 이동에 의해, 제어 밸브(165)를 이식기(3)의 기계틀(37)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식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식부 깊이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검출 부재(83)를 기계틀(37)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82)을 구비하고, 지지 프레임(82)은 기계틀(37)에 대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며 또한 검출 부재(83)의 상방을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82)을 검출 부재(83)의 측방을 통하여 배치한 경우와 비하여, 인접하는 검출 부재(83)(예를 들어, 좌측의 제1 복토 장치(40AL)의 복토륜(81L, 81R)과, 우측의 제1 복토 장치(40AR)의 복토륜(81L, 81R))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 프레임(82)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모의 식부의 조간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식기(3)는 당해 이식기(3)의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L, 39AR)를 갖는 제1 이식 유닛(36A)과, 당해 이식기(3)의 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L, 39BR)를 갖는 제2 이식 유닛(36B)과,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정 기구와,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L, 39AR)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제1 각도 조정 기구와,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L, 39BR)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제2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거리 조정 기구에 의해,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제1 각도 조정 기구와 제2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해, 각각의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식부 장치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식부 장치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유닛 단위에서의 조정과, 각 유닛 내의 식부 장치 단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이랑 4조, 2이랑 2조 등이 다양한 식부 형태에 대응한 조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업기(1)는 주행체(1A)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툴 바(43)를 구비하고, 거리 조정 기구는, 툴 바(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제1 이식 유닛(36A)에 고정된 제1 설치구(61A)와, 툴 바(4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제2 이식 유닛(36B)에 고정된 제2 설치구(61B)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을 툴 바(43)를 따라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계틀(37)은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L, 39AR)가 장착되는 제1 기계틀(37A)과,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L, 39BR)가 장착되는 제2 기계틀(37B)을 포함하고, 제1 이식 유닛(36A)은 제1 기계틀(37A)을 갖고, 제2 이식 유닛(36B)은 제2 기계틀(37B)을 갖고, 제1 각도 조정 기구는,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L, 39AR)의 제1 기계틀(37A)에 대한 장착 각도를 개별로 조정 가능하게 하고, 제2 각도 조정 기구는,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L, 39BR)의 제2 기계틀(37B)에 대한 장착 각도를 개별로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L, 39AR)의 제1 기계틀(37A)에 대한 장착 각도와,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L, 39BR)의 제2 기계틀(37B)에 대한 장착 각도가, 각각 개별로 조정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식부 형태에 대응한 조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이식 유닛(36A)은 복수의 제1 식부 장치(39AL, 39AR) 각각에 대응하여 제1 기계틀(37A)에 장착된 복수의 제1 복토 장치(40AL, 40AR)를 갖고, 제2 이식 유닛(36B)은 복수의 제2 식부 장치(39BL, 39BR) 각각에 대응하여 제2 기계틀(37B)에 장착된 복수의 제2 복토 장치(40BL, 40BR)를 갖고, 이식기(3)는 제1 복토 장치(40AL, 40AR)의 상기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위치 조정부와, 제2 복토 장치(40BL, 40BR)의 상기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 조정부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식부 장치 각각 위치의 조정에 대응하여, 복수의 복토 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식부 형태에 대응한 식부 및 복토의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업기(1)는 원동기(E1)와,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둘레로 회전하는 주축(107)과, 주축(107)의 회전 동력을 제1 이식 유닛(36A) 및 제2 이식 유닛(36B)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구비하고, 주축(107)은 원동기(E1)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1 회전축(107A)과, 제1 회전축(107A)으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2 회전축(107B)과, 제1 회전축(107A)과 제2 회전축(107B)을 연결하는 연결축(107L)을 갖고, 제1 회전축(107A) 및 제2 회전축(107B)은 연결축(107L)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의 조정에 대응하여, 주축(107)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이식 유닛(36A) 및 제2 이식 유닛(36B)에 대한 동력의 전달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107A) 및 제2 회전축(107B)은 스플라인축이며, 연결축(107L)은 스플라인축이 맞물리는 스플라인 베어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이식 유닛(36A)과 제2 이식 유닛(36B) 간의 거리의 조정에 대응하여, 주축(107)의 길이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이식 유닛(36A) 및 제2 이식 유닛(36B)에 대한 동력의 전달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주행체(1A)와, 주행체(1A)의 후방부에 장착된 로터리 경운기(2)와, 로터리 경운기(2)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는 이랑 세우기 기계(51)를 구비하고, 설치부는, 이랑 세우기 기계(51)의 전방부에 마련된 전설치부(51La, 51Ra, 51Ma)와, 이랑 세우기 기계(51)의 후방부에 마련된 후설치부(51Lb, 51Rb, 51Mb)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랑 세우기 기계(51)가 전설치부(51La, 51Ra, 51Ma)와 후설치부(51Lb, 51Rb, 51Mb)에 의해 로터리 경운기(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랑 세우기 기계의 설치 부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전의 경운이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은 포장이어도, 이랑 세우기 기계(51)의 설치 부분에 과잉의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경운기(2)는 포장을 경운하는 경운부(18)와, 로터리 기계틀(11)과, 로터리 기계틀(11)에 설치되어서 경운부(18)를 덮는 로터리 커버(19)와, 경운부(18)에 동력을 전동하는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12)를 갖고, 로터리 기계틀(11)에는, 설치체(196)가 설치되어 있고, 전설치부(51La, 51Ra, 51Ma)는, 로터리 커버(19) 또는 전동 케이스(12)에 설치되고, 후설치부(51Lb, 51Rb, 51Mb)는, 설치체(196)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설치부(51La, 51Ra, 51Ma) 및 후설치부(51Lb, 51Rb, 51Mb)를, 로터리 경운기(2)에 대하여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센터 드라이브식의 로터리 경운기(2)에서는, 전동 케이스(12)의 후방에 이랑 세우기 기계가 있으면, 잔경에 의해 이랑 세우기 기계는 손모되기 쉬워지지만, 전설치부(51Ma)를 전동 케이스(12)에 설치함으로써, 전동 케이스(12)의 후방 이랑 세우기 기계의 손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커버(19)는 경운부(18)의 상방을 덮는 상부 커버(19A)와, 경운부(18)의 후방을 덮는 후방부 커버(19B)와, 경운부(18)의 측방을 덮는 측부 커버(19C)를 갖고, 전동 케이스(12)는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이랑 세우기 기계(51)는 전설치부(51La, 51Ra)가 측부 커버(19C)에 설치된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와, 전설치부(51Ma)가 전동 케이스(12)에 설치된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 및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를, 로터리 경운기(2)의 폭 방향의 다른 위치에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의 상기 폭 방향의 외단부는, 측부 커버(19C)의 상기 폭 방향의 외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와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랑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측부 커버(19C)는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1 측부 커버(19CL)와, 상기 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된 제2 측부 커버(19CR)를 포함하고, 설치체(196)는 제1 측부 커버(19CL)에 설치된 제1 측부재(196A)와, 제2 측부 커버(19CR)에 설치된 제2 측부재(196B)와, 제1 측부재(196A)와 제2 측부재(196B)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재(196C)를 갖고,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 51R)는,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된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와, 상기 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된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를 포함하고, 제1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L)의 후설치부(51Lb)는, 제1 측부재(196A)에 설치되고, 제2 측부 이랑 세우기 기계(51R)의 후설치부(51Rb)는 제2 측부재(196B)에 설치되고, 중간 이랑 세우기 기계(51M)의 후설치부(51Mb)는, 중간 부재(196C)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후설치부(51Lb, 51Rb)를 제1 측부재(196A)와 제2 측부재(196B)를 통하여 측부 커버(19C)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설치부(51Mb)를 중간 부재(196C)에 의해 제1 측부재(196A)와 제2 측부재(196B)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로터리 경운기(2)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이식기(3)를 구비하고, 이랑 세우기 기계(51)는 이식기(3)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식기(3)는 이랑 세우기 기계(51)에 의해 성형된 이랑에 모를 식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전의 경운이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은 포장이어도, 이랑 세우기 기계(51)에 의해 확실하게 이랑을 성형하고, 이식기(3)에 의해 성형된 이랑에 모를 식부할 수 있다.
또한,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주행체(1A)의 후방에 장착되고, 또한 포장에 성형된 이랑에 제초 필름을 부설하는 제초 필름 부설 장치이며, 제1 이랑(UN1)에 부설되는 제초 필름이 권회된 제1 필름 롤(303)을 지지하는 제1 롤 지지축(301)과, 제1 이랑(UN1)과 인접하는 제2 이랑(UN2)에 부설되는 제초 필름이 권회된 제2 필름 롤(304)을 지지하는 제2 롤 지지축(302)을 구비하고,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은, 주행체(1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필름 롤(303)과 제2 필름 롤(304)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2개의 이랑에 대하여 고랑을 좁게 하여 제초 필름을 부설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좁은 간격으로 다수의 이랑을 성형한 포장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제초 필름의 부설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이 전후 방향으로 어긋남으로써, 주행체(1A)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을 확실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이 상하 방향으로 어긋남으로써, 주행체(1A)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롤 지지축(301)과 제2 롤 지지축(302)을 확실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제1 이랑(UN1)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2 이랑(UN2)측의 단부에 흙을 덮는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이랑(UN2)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1 이랑(UN1)측의 단부에 흙을 덮는 제2 복토 부재(322)를 구비하고,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는,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 차량(1A)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좁은 간격으로 성형된 이랑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단부에 대한 복토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는, 주행 차량(1A)의 폭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이랑(제1 이랑과 제2 이랑)에 대하여 고랑을 좁게 하여 제초 필름을 부설한 후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단부에,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에 의해 확실하게 흙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의 어느 한쪽의 복토 부재는, 어느 다른 한쪽의 복토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고, 한쪽의 복토 부재의 하단부는, 다른 쪽의 복토 부재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 중 전방의 복토 부재에 의해 흙을 모아서 복토한 후, 후방에 있는 복토 부재에 의해 전방의 복토 부재보다도 깊은 위치로부터 흙을 모아서 복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방의 복토 부재에 의해 흙이 모아짐으로써, 후방에 있는 복토 부재에 의해 모아지는 흙이 부족할 일 없이, 제1 복토 부재(321)와 제2 복토 부재(322)의 양쪽에서 확실하게 복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는 제1 이랑(UN1)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2 이랑(UN2)측의 단부를 억제하는 제1 필름 압박기(331)와, 제2 이랑(UN2)에 부설된 제초 필름의 제1 이랑(UN1)측의 단부를 억제하는 제2 필름 압박기(332)를 갖고, 제1 필름 압박기(331)와 제2 필름 압박기(332)는,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이랑(제1 이랑과 제2 이랑)에 대하여 고랑을 좁게 하여 제초 필름을 부설할 때에 부설되는 제초 필름의 일단부를, 제1 필름 압박기(331)와 제2 필름 압박기(332)에 의해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1)는 상기 제초 필름 부설 장치(300)와, 주행체(1A)의 후방에 장착되고, 또한 이랑에 모를 식부하는 이식기(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의 이식 작업과 제초 필름의 부설 작업을 아울러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작업기
1A: 주행체
2: 제1 대지 작업기
3: 제2 대지 작업기
36A: 제1 이식 유닛
36B: 제2 이식 유닛
37: 기계틀
37A: 제1 기계틀
37B: 제2 기계틀
38: 모 공급 장치
39: 식부 장치
39AL: 제1 식부 장치
39AR: 제1 식부 장치
39BL: 제2 식부 장치
39BR: 제2 식부 장치
40AL: 제1 복토 장치
40AR: 제1 복토 장치
40BL: 제2 복토 장치
40BR: 제2 복토 장치
41: 작업기 연결 기구
42: 승강 구동 장치
43: 툴 바
61A: 제1 설치구
61B: 제2 설치구
83: 검출 부재
97: 와이어
82: 지지 프레임
107: 주축
107A: 제1 회전축(회전축)
107B: 제2 회전축(회전축)
107C: 제3 회전축(회전축)
107L: 연결축(회전축)
150: 의자 지지체
171: 공급컵
172: 공급컵
187A: 의자(제1 전방 의자)
187B: 의자(제2 전방 의자)
188: 모 공급대
230: 위치 조정 기구
231: 제1 위치 조정 기구
232: 제2 위치 조정 기구
233: 제3 위치 조정 기구
235A: 발판
235B: 발판
260A: 설치부
260B: 설치부
E1: 원동기

Claims (16)

  1. 주행체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제1 대지 작업기와,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제2 대지 작업기와,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대지 작업기에 대하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의자와,
    상기 제2 대지 작업기에 대한 상기 의자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의자의 위치를 작업기의 폭 방향인 기계폭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제1 위치 조정 기구를 갖고 있는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의자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제2 위치 조정 기구를 갖고 있는 작업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의자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제3 위치 조정 기구를 갖고 있는 작업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지 작업기에 대하여 상기 제2 대지 작업기 및 상기 의자를 일체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업기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제2 대지 작업기가 설치되는 툴 바와,
    상기 툴 바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의자를 지지하는 의자 지지체를 갖고,
    상기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의자 지지체에 마련되어 있는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와 상기 제2 대지 작업기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의자에 앉은 작업자가 발을 두는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의자 지지체는, 상기 발판이 착탈 가능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고 있는 작업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모를 수용하는 다수의 공급컵을 루프상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이송하는 모 공급 장치와,
    상기 모 공급 장치에 공급되는 모를 두기 위한 모 공급대를
    구비하고,
    상기 모 공급대는, 상기 의자 지지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 공급대는, 모 적재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1 자세와, 모 적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제2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작업기.
  9.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후방에 장착된 기계틀과, 상기 기계틀에 지지되고 또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식부 장치를 갖는 이식기와,
    상기 주행체에 대하여 상기 기계틀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 장치와,
    포장의 요철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는 검출 부재와,
    상기 검출 부재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계틀을 상승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기계틀을 하강시키는 제2 상태로 상기 승강 구동 장치를 전환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를 상기 기계틀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계틀에 대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검출 부재의 상방을 통하여 배치되어 있는 작업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기는,
    당해 이식기의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1 식부 장치를 갖는 제1 이식 유닛과,
    당해 이식기의 폭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2 식부 장치를 갖는 제2 이식 유닛과,
    상기 제1 이식 유닛과 상기 제2 이식 유닛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정 기구와,
    상기 복수의 제1 식부 장치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제1 각도 조정 기구와,
    상기 복수의 제2 식부 장치 간의 상대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제2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툴 바를 구비하고,
    상기 거리 조정 기구는, 상기 툴 바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이식 유닛에 고정된 제1 설치구와, 상기 툴 바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이식 유닛에 고정된 제2 설치구를 갖고 있는 작업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틀은, 상기 복수의 제1 식부 장치가 장착되는 제1 기계틀과, 상기 복수의 제2 식부 장치가 장착되는 제2 기계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식 유닛은, 상기 제1 기계틀을 갖고,
    상기 제2 이식 유닛은, 상기 제2 기계틀을 갖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복수의 제1 식부 장치의 상기 제1 기계틀에 대한 장착 각도를 개별로 조정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부 장치의 상기 제2 기계틀에 대한 장착 각도를 개별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식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식부 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계틀에 장착된 복수의 제1 복토 장치를 갖고,
    상기 제2 이식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2 식부 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계틀에 장착된 복수의 제2 복토 장치를 갖고,
    상기 이식기는, 상기 제1 복토 장치의 상기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위치 조정부와, 상기 제2 복토 장치의 상기 폭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 조정부를 갖고 있는 작업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둘레로 회전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1 이식 유닛 및 상기 제2 이식 유닛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축은, 상기 원동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스플라인축이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스플라인축이 맞물리는 스플라인 베어링인 작업기.
KR1020217015308A 2018-10-26 2019-10-25 작업기 KR102658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2256 2018-10-26
JP2018202255A JP7195873B2 (ja) 2018-10-26 2018-10-26 作業機
JP2018202256A JP7118857B2 (ja) 2018-10-26 2018-10-26 作業機
JP2018202254A JP7134835B2 (ja) 2018-10-26 2018-10-26 作業機
JPJP-P-2018-202255 2018-10-26
JPJP-P-2018-202254 2018-10-26
PCT/JP2019/041945 WO2020085495A1 (ja) 2018-10-26 2019-10-25 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748A true KR20210077748A (ko) 2021-06-25
KR102658170B1 KR102658170B1 (ko) 2024-04-18

Family

ID=7033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308A KR102658170B1 (ko) 2018-10-26 2019-10-25 작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58170B1 (ko)
CN (1) CN112954999B (ko)
WO (1) WO202008549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002A (en) * 1986-11-06 1989-12-12 Loris Scudellaro Transplanting machine
JPH06125620A (ja) * 1992-05-11 1994-05-10 Goldstar Cable Co Ltd 幼苗移植機
JPH07322720A (ja) 1994-09-30 1995-12-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2001218506A (ja) * 2000-02-08 2001-08-14 Toshiro Shimomura 移植機及びそれを備えた移植作業車
KR20180000027A (ko) 2016-06-21 2018-01-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특징점을 이용한 감정 판단 시스템
JP2018000029A (ja) * 2016-06-28 2018-01-11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5148B (zh) * 2016-06-28 2022-04-08 株式会社久保田 移植机和作业机械
CN206851339U (zh) * 2017-06-18 2018-01-09 郑光辉 一种棉花秧苗移栽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002A (en) * 1986-11-06 1989-12-12 Loris Scudellaro Transplanting machine
JPH06125620A (ja) * 1992-05-11 1994-05-10 Goldstar Cable Co Ltd 幼苗移植機
JPH07322720A (ja) 1994-09-30 1995-12-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2001218506A (ja) * 2000-02-08 2001-08-14 Toshiro Shimomura 移植機及びそれを備えた移植作業車
KR20180000027A (ko) 2016-06-21 2018-01-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특징점을 이용한 감정 판단 시스템
JP2018000029A (ja) * 2016-06-28 2018-01-11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170B1 (ko) 2024-04-18
CN112954999B (zh) 2023-06-27
CN112954999A (zh) 2021-06-11
WO2020085495A1 (ja)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7749A (ko) 제초 필름 부설 장치 및 작업기
JP7171368B2 (ja) マルチフィルム敷設装置を備えた作業機
KR20090031889A (ko) 묘식기
JP7195873B2 (ja) 作業機
KR102658170B1 (ko) 작업기
JP7118857B2 (ja) 作業機
JP7009311B2 (ja) 作業機
JP7098506B2 (ja) 作業機
JP7134835B2 (ja) 作業機
JP6983723B2 (ja) 作業機
JP6983743B2 (ja) 作業機
JP7155067B2 (ja) 作業機
JP6458369B2 (ja) 苗移植機
CN107535148B (zh) 移植机和作业机械
JP2017063707A (ja) 移植作業機の移植ユニット
JP5825385B2 (ja) 苗移植機
JP7019512B2 (ja) 作業機
JP2018102195A (ja) 移植作業機
JP7019511B2 (ja) 作業機
JP6983724B2 (ja) 作業機
JP6983725B2 (ja) 作業機
JP7200053B2 (ja) 移植機
JP7009310B2 (ja) 作業機
WO2022145359A1 (ja) 移植機
JP6530295B2 (ja) 移植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