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104A -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7104A KR20210077104A KR1020190168260A KR20190168260A KR20210077104A KR 20210077104 A KR20210077104 A KR 20210077104A KR 1020190168260 A KR1020190168260 A KR 1020190168260A KR 20190168260 A KR20190168260 A KR 20190168260A KR 20210077104 A KR20210077104 A KR 202100771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comparator
- output
- inductor
-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16—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operating from a three-phase input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33—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bridge converter comprising active switch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3—Full-bridge at prim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 상기 복수의 레그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하되, 상기 인덕터의 타단으로 교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스위칭 소자의 한 스위칭 주기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을 두 번 이상 빌드업 하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률 보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는 역률 개선을 위한 역률 보상 회로가 구비된다. 통상 역률 보상 회로는 인덕터와 다이오드 및 스위칭 소자로 구현되는 부스트 컨버터의 토폴로지를 갖는다.
종래의 역률 보상 회로는 전력 전달 라인에 다이오드가 구비되므로 단 방향의 전력 흐름만 가능하므로 차량의 배터리 전력을 외부로 제공하는 V2X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V2X의 구현을 위해 양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역률 보상 회로의 토폴로지 및 제어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
상기 복수의 레그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하되, 상기 인덕터의 타단으로 교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스위칭 소자의 한 스위칭 주기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을 두 번 이상 빌드업 하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 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를 포함하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입력된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제2 반전기 및 제3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3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3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를 포함하며,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와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및 제2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와, 상기 복수의 레그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하되, 상기 인덕터의 타단으로 교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스위칭 소자의 한 스위칭 주기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을 두 번 빌드업 하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및
상기 역률 보상 회로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역률 보상 회로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크기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로 인가하며, 상기 배터리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역률 보상 회로로 제공하는 양방향 컨버터를 포함하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 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입력된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제2 반전기 및 제3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3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3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와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및 제2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에 따르면, 한 스위칭 주기에 두번의 인덕터 빌드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통상의 역률 보상 회로에 비해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거의 1/2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리적인 인덕터 사이즈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에 따르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뿐만 아니라 직류를 교류로 변환할 수 있어, 차량 내 배터리 전력을 교류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는 V2X를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에 따르면, 삼상이나 단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여러 스펙의 교류 입력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파형도 및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한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 결과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 전류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파형도 및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한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 결과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 전류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파형도 및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한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 결과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 전류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파형도 및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한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 결과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 전류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삼상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예이고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단상 교류 전력이 입력되는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는,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S2 직렬 연결, S3-S4 직렬 연결, S5-S6 직렬 연결)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A1, A2, A3) 및 복수의 레그(A1, A2, A3)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L1, L2, L3) 및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조정하는 컨트롤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덕터(L1, L2, L3) 타단은 역률 보상 회로의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이 되고, 복수의 레그(A1, A2, A3) 상호 병렬 연결된 노드는 역률 보상 회로의 직류 입출력단(11a, 11b)이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 각각에 삼상 교류 전압의 한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직류 입출력단(11a, 11b) 사이에 직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는,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S2 직렬 연결, S3-S4)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A1, A2) 및 복수의 레그(A1, A2)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L1, L2) 및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조정하는 컨트롤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덕터(L1, L2) 타단은 역률 보상 회로의 교류 입출력단(10a, 10b)이 되고, 복수의 레그(A1, A2) 상호 병렬 연결된 노드는 역률 보상 회로의 직류 입출력단(11a, 11b)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교류 입출력단(10a, 10b)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직류 입출력단(11a, 11b)에 직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직류-교류 간 전력 변환을 수행하는 인버터의 회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인버터형 역률 보상 회로라 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100)는 스위칭 소자(S1-S6)의 온/오프 상태를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하되 스위칭 소자의 한 스위칭 주기에 인덕터(L1-L3) 각각이 두 번 빌드업 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컨트롤러(1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0)는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가를 갖는 삼각파(Vsaw)를 출력하는 삼각파 생성기(120)와,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으로 입력되는 각 상의 교류 전압(Vac1, Vac2, Vac3)과 삼각파 생성기에서 출력되는 삼각파를 비교하여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S6)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10a, 110b, 11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삼각파(Vsaw)의 주기는 스위칭 소자(S1-S6)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 주기에 해당하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의 주기와 비교할 때 매우 짧은 주기를 갖는다.
도 3의 제1 비교기(110a)는 제1 레그(A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레그(A1)의 스위칭 소자(S1)과 스위칭 소자(S2)는 서로 상보 관계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S1)은 제1 비교기(110a)의 출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되고 스위칭 소자(S2)는 제1 비교기(110a)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130a)를 통해 반전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비교기(110b)는 제2 레그(A2)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3, S4)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레그(A2)의 스위칭 소자(S3)과 스위칭 소자(S4)는 서로 상보 관계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S3)는 제2 비교기(110b)의 출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되고 스위칭 소자(S4)는 제2 비교기(110b)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130b)를 통해 반전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 비교기(110c)는 제3 레그(A3)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5, S6)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3 레그(A3)의 스위칭 소자(S5)과 스위칭 소자(S6)는 서로 상보 관계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S5)는 제3 비교기(110c)의 출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되고 스위칭 소자(S6)는 제3 비교기(110c)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130c)를 통해 반전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의 제1 비교기(110a)는 제1 레그(A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레그(A1)의 스위칭 소자(S1)과 스위칭 소자(S2)는 서로 상보 관계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S1)은 제1 비교기(110a)의 출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되고 스위칭 소자(S2)는 제1 비교기(110a)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130a)를 통해 반전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비교기(110b)는 입력되는 단상 교류 전압을 반전시키는 반전기(140)에서 출력된 전압과 삼각파 생성기(120)에서 출력되는 삼각파(Vsaw)를 비교한 결과를 제2 레그(A2)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3, S4)의 제어 신호로 제공한다. 반전기(140)는 입력되는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제2 레그(A2)의 스위칭 소자(S3)과 스위칭 소자(S4)는 서로 상보 관계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S3)는 제2 비교기(110b)의 출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되고 스위칭 소자(S4)는 제2 비교기(110b)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130b)를 통해 반전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파형도 및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한 파형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 결과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 전류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로 입력되는 삼상 교류 전력은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압을 가지며 이 삼상 교류 전압(Vac1, Vac2, Vac3)은 비교기(110a, 110b, 110c)에 의해 각각 삼각파(Vsaw)와 비교된다. 비교기(110a, 110b, 110c)는 삼상 교류 전압(Vac1, Vac2, Vac3)이 삼각파 보다 큰 구간에서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삼각파 보다 작은 구간에서 논리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서 삼각파(Vsaw)와 비교되는 삼상 교류 전압(Vac1, Vac2, Vac3)이 직류와 같이 표현된 것은 삼각파(Vsaw)의 스위칭 주기가 교류 전압의 주기와 비교할 때 매우 짧은 주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컨트롤러(100) 구성에 의해, 각 레그(A1, A2, A3)로 입력되는 삼상 교류 전압(Vac1, Vac2, Vac3)이 삼각파 보다 큰 구간에서 해당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S1, S3, S5)가 온되고 하부 스위칭 소자(S2, S4, S6)는 오프되며, 삼상 교류 전압(Vac1, Vac2, Vac3)이 삼각파 보다 큰 구간에서 해당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S1, S3, S5)가 오프되고 하부 스위칭 소자(S2, S4, S6)는 온될 수 있다.
도 6의 가장 상부에 도시된 파형은 레그(A1)에 연결된 인덕터의 전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구간 R1과 R5는 레그(A1)의 상부 스위칭 소자(S1)가 온되고 레그(A2, A3)의 상부 스위칭 소자(S3, S5)가 오프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a상 교류 전압(Vac1)이 양의 값을 갖고 b상 교류 전압(Vac2)과 c상 교류 전압(Vac3)이 모두 음의 값이거나 a상 교류 전압보다 낮은 값을 갖는 구간으로, a상 인덕터(L1)의 전류가 감소하면서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직류 입출력단(11a, 11b)로 전달되는 구간이다. 참고로, 각 레그(A1-A3)의 하부 스위칭 소자(S2, S4, S6)는 상부 스위칭 소자(S1, S3, S5)와 상보적으로 동작하므로, 도 6에서 하부 스위칭 소자(S2, S4, S6)의 온 오프 상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의 구간 R2과 R4는 레그(A1, A2)의 상부 스위칭 소자(S1, S3)가 온되고 레그(A3)의 하부 스위칭 소자(S6)가 오프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 상부 스위칭 소자(S1, S3)의 온에 의해 a 상과 b 상 사이에 직접 전기적 경로가 형성되고, 상부 스위칭 소자(S1)과 하부 스위칭 소자(S6)의 온에 의해 직류 입출력단(11a, 11b)을 거쳐 a 상과 c 상 사이에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구간 R2과 R4에서는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직류 입출력단(11a, 11b)으로 제공되면서 인덕터(L1)의 전류가 감소하면서 a 상과 b 상 사이에 직접 형성된 전기적 경로에 의해 인덕터(L1)에 전류가 증가할 수 있는 구간이다. 구간 R2과 R4는, a상 교류 전압(Vac1)이 b상 교류 전압(Vac2)과 c상 교류 전압(Vac3)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므로 인덕터(L1)의 전류가 감소하되 전술한 구간(R1, R5) 보다 감소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거의 전류가 일정할 수 있다.
도 6의 구간 R3은 레그(A1, A2, A3)의 상부 스위칭 소자(S1, S3, S5)가 모두 온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상부 스위칭 소자(S1, S3, S5)의 온에 의해 a 상과 b 상 사이에 직접 전기적 경로가 형성되고, a 상과 c 상 사이에 직접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직류 입출력단(11a, 11b)에는 전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인덕터(L1)의 전류가 상승하면서 빌드업 되는 구간이다.
도 6의 구간 R6는 R3은 레그(A1, A2, A3)의 상부 스위칭 소자(S1, S3, S5)가 모두 오프되고 하부 스위칭 소자(S2, S4, S6)가 모두 온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은 구간(R3)와 마찬가지로 역률 보상 회로의 직류 입출력단(11, a, 11b)으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인덕터(L1)에 에너지가 저장되는 인덕터 빌드업 구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한 스위칭 주기에 두번의 인덕터 빌드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통상의 역률 보상 회로에 비해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거의 1/2로 감소시킬 수 있어 인덕터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레그(A1)에 연결된 인덕터(L1)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상의 인덕터(L2, L3)도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게 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파형도 및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한 파형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 전압 파형과 삼각파를 비교 결과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 전류 및 스위치 제어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류 입출력단(10a, 10b)로 입력되는 단상 교류 전압(Vac)과 그 반전값(-Vac)은 비교기(110a, 110b)에 의해 각각 삼각파(Vsaw)와 비교된다. 비교기(110a, 110b)는 두 전압값(Vac, -Vac)이 삼각파 보다 큰 구간에서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삼각파 보다 작은 구간에서 논리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에서 삼각파(Vsaw)와 비교되는 교류 전압(Vac, -Vac)이 직류와 같이 표현된 것은 삼각파(Vsaw)의 스위칭 주기가 교류 전압의 주기와 비교할 때 매우 짧은 주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컨트롤러(100) 구성에 의해, 레그(A1)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Vac)이 삼각파 보다 큰 구간에서 레그(A1)의 상부 스위칭 소자(S1)이 온되고 하부 스위칭 소자(S2)는 오프된다. 또한, 교류 전압(-Vac)이 삼각파 보다 큰 구간에서 레그(A2)의 상부 스위칭 소자(S3)이 온되고 하부 스위칭 소자(S4)는 오프된다.
도 8의 가장 하부에 도시된 파형은 레그(A1)에 연결된 인덕터(L1)의 전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구간 R1에서는 레그(A1)의 상부 스위칭 소자(S1)와 레그 (A2)의 상부 스위칭 소자(S3)가 온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스위칭 소자(S1, S3)에 의해 교류 입출력단(10a, 10b) 사이에 전류 루프가 형성되어 인덕터(L1)의 빌드업이 이루어진다(인덕터 전류 상승).
도 8의 구간 R2에서는 레그(A1)의 상부 스위칭 소자(S1)와 레그(A2)의 하부 스위칭 소자(S4)가 온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교류 입출력단과 직류 입출력단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직류 입출력단(11a, 11b)로 전달될 수 있다(인덕터 전류 하강).
도 8의 구간 R3에서는 레그(A1)의 하부 스위칭 소자(S2)와 레그 (A2)의 하부 스위칭 소자(S4)가 온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구간(R1)과 마찬가지로 스위칭 소자(S1, S3)에 의해 교류 입출력단(10a, 10b) 사이에 전류 루프가 형성되어 인덕터(L1)의 빌드업이 이루어진다(인덕터 전류 상승).
도 8의 구간 R4에서는 레그(A1)의 상부 스위칭 소자(S1)와 레그(A2)의 하부 스위칭 소자(S4)가 온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은 구간 R2와 동일하게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직류 입출력단(11a, 11b)로 전달될 수 있다(인덕터 전류 하강).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는 단상 교류 입력을 갖는 경우에도 한 스위칭 주기에 두번의 인덕터 빌드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통상의 역률 보상 회로에 비해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거의 1/2로 감소시킬 수 있어 인덕터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역률 보상 회로의 동작은 외부에서 교류 전력이 입력되고 입력된 교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예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기는,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역률 보상 회로(10)와 역률 보상 회로(10)의 직류 입출력단과 배터리(30)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직류 컨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양방향 직류 컨버터(20)는 LLC 공진 컨버터의 토폴로지로 구현되고 있으나,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다른 토폴로지의 컨버터(예를 들어, 풀브릿지 위상 천이 컨버터)로 대체 가능하다.
배터리(30)를 충전하는 경우에,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력은 인버터형 역률 보상 회로(10)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 양방향 직류 컨버터(20)로 입력된다. 양방향 직류 컨버터(20)는 적절한 제어에 의해 역률 보상 회로(10)에서 입력된 직류 전압을 배터리(30) 충전 가능 전압으로 그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양방향 직류 컨버터(20)에 의해 변환된 크기의 직류 전압이 배터리(30)로 인가되어 배터리(30)가 충전될 수 있다.
반대로, 배터리(30)의 전력을 교류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양방향 직류 컨버터(20)가 배터리(30)의 전압을 적절하게 크기 변경하여 역률 보상 회로(10)로 제공하고, 직류 입출력단(11a, 11b)을 통해 양방향 컨버터(20)가 전달한 직류 전압을 제공받은 역률 보상 회로(10)는 통상의 인버터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삼상 교류 전력을 생성한 후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으로 삼상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뿐만 아니라 직류를 교류로 변환할 수 있어, 차량 내 배터리 전력을 교류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는 V2X를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삼상이나 단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여러 스펙의 교류 입력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3상 교류 입출력단(10a, 10b, 10c)을 갖는 형태로 하드웨어를 구현한 후, 단상 교류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두 개의 교류 입출력단(10a, 10b) 만 활용하여 교류 전력을 입력 받도록 하면 유럽과 같은 3상 교류를 사용하는 국가와 북미와 같이 단상 교류를 사용하는 국가 모두에 충전기를 공용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의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a, 10b, 10c: 교류 입출력단
11a, 11b: 직류 입출력단
100: 컨트롤러 A1, A2, A3: 레그
L1, L2, L3: 인덕터
100: 컨트롤러 A1, A2, A3: 레그
L1, L2, L3: 인덕터
Claims (16)
-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
상기 복수의 레그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하되, 상기 인덕터의 타단으로 교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스위칭 소자의 한 스위칭 주기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을 두 번 이상 빌드업 하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 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를 포함하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입력된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제2 반전기 및 제3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3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3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를 포함하며,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와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및 제2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보상 회로. - 상호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레그와, 상기 복수의 레그에 포함된 두 스위칭 소자가 상호 연결된 노드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하되, 상기 인덕터의 타단으로 교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스위칭 소자의 한 스위칭 주기에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을 두 번 빌드업 하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및
상기 역률 보상 회로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역률 보상 회로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크기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로 인가하며, 상기 배터리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여 상기 역률 보상 회로로 제공하는 양방향 컨버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 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비교기; 및 상기 복수의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비교기의 출력 및 해당 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킨 반전기의 출력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삼상 교류 전압이 각각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및 제3 인덕터의 타단으로 입력된 삼상 교류 전압 각각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제2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제2 반전기 및 제3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3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3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3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제1 레그,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1 레그, 제2 레그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타단 사이에 단상 교류 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단상 교류 전압과 상기 단상 교류 전압을 0V를 기준으로 반전시킨 전압을 각각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기를 갖는 삼각파와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논리 하이 또는 논리 로우의 값으로 출력하는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의 출력을 각각 반전시키는 제1 반전기 및 제2 반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레그의 상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260A KR102674560B1 (ko) | 2019-12-16 | 2019-12-16 |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 |
US16/924,150 US11247576B2 (en) | 2019-12-16 | 2020-07-08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bidirectional power transfer and charger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260A KR102674560B1 (ko) | 2019-12-16 | 2019-12-16 |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7104A true KR20210077104A (ko) | 2021-06-25 |
KR102674560B1 KR102674560B1 (ko) | 2024-06-13 |
Family
ID=763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8260A KR102674560B1 (ko) | 2019-12-16 | 2019-12-16 |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247576B2 (ko) |
KR (1) | KR10267456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90874B2 (en) | 2021-06-28 | 2024-09-17 | Hyundai Motor Company | Charg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00358A (zh) * | 2019-10-25 | 2022-06-07 |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 多电平功率转换系统和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7524A (ko) | 2014-11-13 | 2016-05-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
KR20180078779A (ko) | 2016-12-30 | 2018-07-10 | 자동차부품연구원 |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12142B2 (en) * | 2000-01-24 | 2005-06-28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Alternator control circuit and related techniques |
JP5053337B2 (ja) * | 2009-07-21 | 2012-10-17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蓄電池用保護素子および保護システム |
KR101245647B1 (ko) | 2011-03-21 | 2013-03-2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태양광발전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배터리 급속 충전 시스템 |
US8891261B2 (en) * | 2012-01-31 | 2014-11-18 | Delta Electronics, Inc. | Three-phase three-level soft-switched PFC rectifiers |
JP5579810B2 (ja) * | 2012-09-18 | 2014-08-27 |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力率改善回路の制御装置、充電装置 |
US9455620B2 (en) * | 2013-12-12 | 2016-09-27 |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 AC/DC converter with clamped boost and buck modes and DC output harmonic control |
US9787212B2 (en) * | 2014-05-05 | 2017-10-10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Motor drive with silicon carbide MOSFET switches |
US9685881B2 (en) * | 2015-06-04 | 2017-06-20 |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 AC-DC rectifier system |
JP6586116B2 (ja) | 2017-03-06 | 2019-10-02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2次電池の充放電検査装置 |
FR3064832B1 (fr) | 2017-04-03 | 2020-10-30 |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as | Systeme de chargeur electrique triphase et monophase pour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
KR102524188B1 (ko) * | 2018-04-03 | 2023-04-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
KR102526961B1 (ko) * | 2018-07-16 | 2023-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
-
2019
- 2019-12-16 KR KR1020190168260A patent/KR1026745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7-08 US US16/924,150 patent/US1124757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7524A (ko) | 2014-11-13 | 2016-05-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
KR20180078779A (ko) | 2016-12-30 | 2018-07-10 | 자동차부품연구원 | 차량용 완속 충전기 제어 장치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B. R. Lin, T. L. Hung, and C. H. Huang, ‘‘Bi-directional single-phase half-bridge rectifier for power quality compensation,’’ IEE Proc.-ElectrPower Appl., vol. 150, no. 4, pp. 397-406 (2003.07) * |
H. Bai et al.,Design of an 11 kW power factor correction and 10 kW ZVS DC/DC converter for a high-efficiency battery charger in electric vehicles, IET Power Electronics 5(9):pp.1714-1722 (2012.11) * |
J. Moia, et al.,Comparison of threephase PWM rectifiers to interface AC grids and bipolar DC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in Proc.3rd IEEE Int. Symp.PEDG pp.221-228(2012.6)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90874B2 (en) | 2021-06-28 | 2024-09-17 | Hyundai Motor Company | Charg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47576B2 (en) | 2022-02-15 |
KR102674560B1 (ko) | 2024-06-13 |
US20210178919A1 (en) | 2021-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46743B2 (en) | Soft switching power electronic transformer | |
US8923027B2 (en) | Five-level DC-AC converter | |
JP6964825B1 (ja) | 電力変換ユニット及び電力変換装置 | |
WO2020248651A1 (zh) | 一种离网裂相器和逆变器系统 | |
WO2018122002A1 (en) | A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three-phase neutral point clamped inverter | |
KR102674560B1 (ko) |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기 | |
Zhang et al. | A hybrid modulation method for single-phase quasi-Z source inverter | |
Chattopadhyay et al. | One switching cycle current control strategy for triple active bridge phase-shifted DC-DC converter | |
WO2023217278A1 (zh) | 直流变换电路、逆变器及逆变器中点平衡方法 | |
Kondo et al. | Proposition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a bi-directional isolated DC/DC converter for battery charger-discharger of electric vehicle | |
US8995152B2 (en) | Inverter circuit | |
WO2017208639A1 (ja) | 双方向絶縁型dc/dcコンバータおよびスマートネットワーク | |
WO2024095706A1 (ja) | 電力変換装置、プログラム | |
JP2015012750A (ja) | 電力変換装置 | |
Woldegiorgis et al. | A new DC-link capacitor voltage balancing method for three-level SVM strategies based on two-level space vector diagram | |
KR102542941B1 (ko) | 저주파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충전 장치 | |
KR101312589B1 (ko) |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 방법 | |
Changizian et al. | A novel FPGA control scheme to improve power factor and reduce the harmonic distortion in a three phase VIENNA rectifier | |
KR101287444B1 (ko) |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 방법 | |
RU96708U1 (ru) | Трехуровневый инвертор с мягкой коммутацией | |
Akbari et al. | Modified Topology and Modulation Technique for Z-Source Neutral-Point Clamped Inverter | |
Yadav et al. | Cases of soft switching in a series resonant balancing converter for bipolar DC grids | |
RU2254658C1 (ru) | Трёхфазный транзисторный источник реактивных токов | |
Mahmoudi et al. | Modulated model predictive control of three level flying capacitor buck converter | |
WO2014118818A1 (ja) | 電力変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