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972A -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972A
KR20210076972A KR1020217015037A KR20217015037A KR20210076972A KR 20210076972 A KR20210076972 A KR 20210076972A KR 1020217015037 A KR1020217015037 A KR 1020217015037A KR 20217015037 A KR20217015037 A KR 20217015037A KR 20210076972 A KR20210076972 A KR 2021007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segments
section
bead
circumferentia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820B1 (ko
Inventor
그라프 마르틴 데
데이브 파포트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7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5Drums for the sing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and the toroidal expansion of it are realised on the sam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2030/207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the drum supporting device being rotatable around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2030/2657Radially expandable and contractable drum comprising a set of circumferentially arranged rigid elements, e.g. finger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2030/2671Holding the layers, e.g. the webs or the plies, in position onto the drum
    • B29D2030/2685Holding the layers, e.g. the webs or the plies, in position onto the drum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jaws, grippers, press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6Expansion of tyres in a flat form, i.e. expansion to a toroidal shape independently of their building-up process, e.g. of tyres built by the flat-tyres method or by jointly covering two bead-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섹션 및 비드-잠금 섹션을 포함하고, 비드-잠금 섹션은, 비드-잠금 위치를 한정하며, 크라운 섹션은,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크라운-업 방향으로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을 포함하고, 크라운 세그먼트들은 함께, 크라운 표면, 리딩 에지 및 쇼울더부를 형성하며,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세그먼트들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슬리브는, 비드-잠금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쇼울더부의 측부에서 크라운 세그먼트들에 고정되는 제1 원주방향 에지(61), 쇼울더부와 비드-잠금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원주방향 에지(62)를 구비하며,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적어도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고정되지 않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본 발명은, 타이어 구축 드럼, 특히 크라운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타이어 구축 드럼이, 중심 섹션으로서, 중심 섹션의 일단부로부터 중심 섹션의 타단부로 축 방향으로 중심 섹션 위에서 완전히 연장되는 중심 슬리브를 갖는, 중심 섹션을 포함한다. 중심 슬리브의 양단부는, 중심 섹션의 개별적인 단부들에 고정된다. 따라서, 중심 슬리브는, 타이어 구축 드럼의 작동 도중에 반복적으로 축방향 장력에 종속되고, 이는 상기 중심 슬리브의 수명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US 2014/0048212 A1은, 중심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고, 중심 섹션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는 슬리브 또는 임의의 유형의 고무 구성요소도 구비하지 않으며, 드럼의 중심 섹션의 중심에 위치되는 슬리브도 구비하지 않는, 타이어 구축 드럼을 개시한다. 대신에, 공지의 타이어 구축 드럼은, 중심 섹션을 형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축방향 외측 단부들 상에 위치되는, 제1 쇼울더부 시일 및 제2 쇼울더부 시일을 포함한다. 각 쇼울더부 시일은, 중심 섹션 세그먼트들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시일 클램프들 내에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한다. 쇼울더부 시일들은 각각, 자유 단부 또는 구속되지 않은 단부인, 제2 단부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쇼울더부 시일들은, 중심 슬리브의 수명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축방향 장력에 종속되지 않는다. 자유 단부는, 중심 세그먼트들의 외측 표면 상에 안착되며 그리고, 드럼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때, 중심 세그먼트들에 대해 슬라이딩될 것이다.
US 2014/0048212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타이어 구축 드럼의 단점이, 쇼울더부 시일의 자유 단부 또는 구속되지 않은 단부가 중심 세그먼트들 위에서 슬라이딩될 때, 이것이 상기 중심 세그먼트들 상에서 지지되는 타이어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도 또한 슬라이딩된다는 점이다. 이는, 상기 쇼울더부 시일에서 타이어 구성요소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시키거나 또는 변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쇼울더부 시일의 자유 단부 또는 구속되지 않은 단부가 중심 세그먼트 위에서 슬라이딩될 때, 이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쇼울더부 시일에 의해 이전에 커버되어 있었던, 상기 중심 세그먼트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US 2014/0048212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은, 중심 세그먼트의 나머지에 대한 동일 평면상의 배향으로 쇼울더부 시일을 수용하기 위한, 단차부를 구비한다. 중심 세그먼트들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 타이어 구성요소들은, 직접적으로 상기 단차형 표면 상에서 지지되고, 이는, 타이어 구성요소들 내에 자국을 남길 수 있거나, 또는 고르지 않은 표면 때문에 재봉(stitching)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구성요소들의 크라운-업(crown-up)이 개선될 수 있는,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타이어 구축 드럼으로서,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섹션 및 축 방향으로 크라운 섹션에 인접한 비드-잠금 섹션(bead-lock section)을 포함하고, 비드-잠금 섹션은, 타이어의 비드를 맞물기 위한 비드-잠금 위치를 한정하며, 크라운 섹션은, 중심축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며 그리고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적어도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 방향으로의 벡터-성분을 갖는 크라운-업 방향으로, 중심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크라운 세그먼트들은 함께,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지향하는 크라운 표면,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축 방향으로 비드-잠금 섹션을 향해 지향하는 리딩 에지, 및 크라운 표면으로부터 리딩 에지로의 전이부를 한정하는 쇼울더부를 형성하며, 타이어 구축 드럼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슬리브는, 비드-잠금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쇼울더부의 측부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고정되는 제1 원주방향 에지,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쇼울더부와 비드-잠금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원주방향 에지를 구비하며,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적어도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고정되지 않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을 제공한다.
고정되지 않은, 자유의, 또는 구속되지 않은,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제1 원주방향 에지가 크라운 세그먼트들 상의 고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가운데,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적어도 초기 이동에 응답하여,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슬리브의 제1 원주방향 에지는, 그에 따라, 크라운-업과 무관하게, 크라운 세그먼트들 상에서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타이어 구성요소들과 직접 접촉하기 위한 크라운 세그먼트들의 노출은, 크라운-업 도중에 변경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드-잠금 섹션은, 비드-잠금 위치에서 비드를 맞물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비드-잠금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쇼울더부와 비드-잠금 세그먼트들 사이에 위치된다. 비드-잠금 세그먼트들의 측부에 제2 원주방향 에지를 위치 설정함에 의해, 제2 원주방향 에지가 비드의 맞물림 도중에 상기 비드-잠금 세그먼트들에 잠금 고정되고 및/또는 유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제1 원주방향 에지와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리브 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를 한정하며 그리고 크라운-다운 위치 및 크라운-업 위치 양자 모두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상에 지지되는, 제1 섹션을 구비하며, 슬리브 몸체는, 제1 섹션과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섹션을 더 구비하고, 제2 섹션은,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지지되지 않으며 그리고 크라운-업 위치에서 쇼울더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제2 섹션은 그에 따라, 초기에, 쇼울더부로부터 이격되는, 즉 쇼울더부 상에 안착되지 않는, 배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예를 들어, 슬리브가, 즉 타이어 구성요소들의 적용 및/또는 재봉을 위한 평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쇼울더부와 타이어 구축 드럼의 다른 부분들 사이의 임의의 간극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걸쳐 있는, 위치일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실시예에서,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섹션과 비드-잠금 섹션 사이의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원주방향 에지는,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상기 중간 부재 상에 지지된다. 중간 부재는, 제2 섹션을, 상기 제2 섹션이, 즉 타이어 구성요소들을 위한 상기한 평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적용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쇼울더부로부터 이격되는 배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간 부재 상에 지지된다. 또한 제2 섹션의 일부를 지지함에 의해, 크라운 세그먼트들과 중간 부재 사이에서의 슬리브의 처짐(slacking)이, 방지될 수 있다.
그의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표면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연장되고, 중간 부재는,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제2 원주방향 에지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제2 섹션은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 및/또는 축방향 배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섹션은, 적어도 리딩 에지까지, 쇼울더부 상에 지지되도록 배열된다. 리딩 에지까지의 쇼울더부의 부분은, 크라운 세그먼트들의 크라운-업 도중에 타이어 구성요소들의 형상을 한정한다. 따라서, 슬리브는, 적어도 상기 쇼울더부가 타이어 구성요소들을 성형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의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제2 원주방향 에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리브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그리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슬리브 몸체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슬리브를 맞물고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제2 섹션 내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한다. 슬리브는, 크라운 섹션의 직경이 확장될 때, 종방향으로 수축하는 경향이 있다. 이상적으로, 슬리브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 섹션 내에 유지 요소를 제공함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2 원주방향 에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적어도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를 향한 크라운 세그먼트들의 초기 이동 도중에,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유지되고, 따라서 제2 섹션은, 크라운 세그먼트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슬리브는,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업 위치로 이동할 때, 종방향으로 크라운 세그먼트들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크라운-업 위치를 향한, 종방향으로의 슬리브의 수축은, 방지될 수 있다. 심지어 유지 요소가 크라운 세그먼트들과 맞물릴 때에도, 유지 요소가,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다시 크라운-다운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크라운 세그먼트들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될 수 있음에 따라,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여전히,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람직하게, 유지 요소는, 돌출부이고,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각각,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한다. 따라서, 유지 요소는, 단순한 형상 맞춤을 통해, 크라운-다운 위치와 크라운-업 위치 사이에서의 크라운 세그먼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리세스와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원주방향 에지를 제외한 전체 슬리브 몸체는,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를 제외하고, 크라운-업에 응답하여 크라운 세그먼트들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원주방향 에지는, 크라운 표면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고정된다. 연결은 그에 따라, 상기 크라운 표면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크라운 표면은, 슬리브를 뒤로 물리도록 단차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리브는, 슬리브의 외부에서 크라운 세그먼트의 나머지와 동일 평면 상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놓인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의 사용을 동반하는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으로서:
- 크라운 섹션에서 슬리브 상에 하나 이상의 겹을 그리고 비드-잠금 위치에서 비드-잠금 섹션 상에 비드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크라운-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비드-잠금 위치에서 비드를 비드-잠금 섹션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 및
- 하나 이상의 겹을 성형하기 위해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2 원주방향 에지는,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의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에 응답하여,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타이어 구축 드럼의 실제 구현예에 관련된다. 따라서, 방법 및 그의 실시예는, 이후에 반복되지 않을, 동일한 기술적 장점들을 갖는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제1 원주방향 에지와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리브 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를 한정하며 그리고 크라운-다운 위치 및 크라운-업 위치 양자 모두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상에 지지되는, 제1 섹션을 구비하며, 슬리브 몸체는, 제1 섹션과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섹션을 더 구비하고, 방법은, 제2 섹션이 크라운-업 위치에서 쇼울더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가운데, 제2 섹션을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지지되지 않도록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의 실시예에서, 크라운 표면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연장되고, 방법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제2 원주방향 에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제2 원주방향 에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리브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그리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슬리브 몸체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슬리브를 유지하는, 제2 섹션 내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다양한 양태들 및 특징들이, 가능하다면 언제나,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양태들, 특히 첨부된 종속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양태들 및 특징들은, 분할 특허 출원들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크라운-다운 위치 내의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갖는 크라운 섹션 및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 상에 지지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크라운-업 위치 내의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갖는, 도 2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타이어 구축 드럼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5는, 크라운-업 위치 내의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갖는, 도 4에 따른 대안적인 타이어 구축 드럼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1), 특히 크라운 드럼을 도시한다.
타이어 구축 드럼(1)은, 타이어 구축 드럼(1)의 중심(Z)의 서로 반대의 측부들 상에서 드럼 샤프트(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드럼 절반부를 포함한다. 타이어 구축 드럼(1)은,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타이어 구축 드럼(1)은, 중심축(X)에 수직인 반경 방향(R)으로 확장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드럼 절반부들 중의 단지 하나 그리고 중심축(X) 상부의 상기 드럼 절반부의 단지 일부만이, 도시된다. 그러나, 타이어 구축 드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X) 둘레에서 원주 방향(C)으로 연장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타이어 구축 드럼(1)은, 단일-스테이지 타이어 구축을 위해, 즉, 하나 이상의 타이어 구성요소(9), 특히 하나 이상의 겹(90) 및 비드(91)가, 동일한 타이어 구축 드럼 상에서 구축, 조립 및/또는 성형되는, 타이어 구축 방법 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타이어 구축 드럼(1)은, 하나 이상의 겹(90)을 성형하기 위한 크라운 섹션(3)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잠금 위치(B)에서 하나 이상의 겹(90)에 대해 비드(91)를 유지하기 위한 비드-잠금 섹션(4)을 포함한다. 타이어 구축 드럼(1)은, 원주 방향(C)으로의 크라운 세그먼트들(30) 사이의 간격의 결과로서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 구성요소(9) 상의 자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리브(6)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타이어 구축 드럼(1)은, 크라운 섹션(3)에서 하나 이상의 겹(90)의 성형된 부분에 대해 비드(91) 둘레에서 하나 이상의 겹(90)의 일부를 말아 올리기 위한, 그 자체로 공지된, 턴-업 섹션(turn-up section)(8)을 더 포함한다. 비드-잠금 섹션(4)은, 축 방향(A)으로 크라운 섹션(3)의 측부에 또는 크라운 섹션(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턴-업 섹션(8)은, 축 방향(A)으로, 크라운 섹션(3)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비드-잠금 섹션(4)의 측부에 위치된다.
도 2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구축 드럼(1)은, 크라운 섹션(3), 비드-잠금 섹션(4) 및/또는 턴-업 섹션(8)의 부품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10)는, 크라운 섹션(3)과 비드-잠금 섹션(4) 사이에서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재(M)를 형성한다. 베이스(10)는 추가로, 중간 부재(M)에,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방식으로 크라운 섹션(3)의 부품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런-온 표면(run-on surface)(11)을 갖도록 제공된다. 런-온 표면(11)은, 크라운 섹션(3)과 대향한다. 베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X)에서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드럼 샤프트(2)에 동심으로 조립되도록 배열된다.
비드-잠금 섹션(4)은, 비드(91)를 맞물도록 및/또는 맞물림 해제시키도록 이동 가능한, 복수의 비드-잠금 세그먼트(40)를 포함한다.
크라운 섹션(3)은, 중심축(X) 둘레에 원주 방향(C)으로 분포되는,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를 포함한다.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라운-업 위치로, 베이스(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크라운-다운 위치와 크라운-업 위치 사이에서의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이동은, 적어도 반경 방향(R)의 벡터-성분을 갖는 크라운-업 방향(D)의 이동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라운-업 방향(D)은, 날카로운 경사 각도로 반경 방향(R)에 대해 오프셋된다. 대안적으로, 크라운-업 방향(D)은, 반경 방향(R)에 더 가깝거나, 또는 심지어 반경 방향(R)에 평행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크라운-업 방향(D)의 이동은, 선형 이동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 구성요소(9)를 지지하기 위해 반경 방향(R)으로 외향으로 지향하는, 외측 표면(31)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외측 표면(31)은, 축 방향(A)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외측 표면들(31)은 함께, 상기 하나 이상의 겹(90)의 성형 도중에, 크라운 섹션(3)에서 카커스(carcass)(9)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원주 방향(C)으로 연장되는, 크라운 표면(P)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크라운 표면(P)은, 원통형 또는 직선 원통형 표면이다. 크라운 표면(P)은,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도 2의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R1)에서, 그리고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도 3의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R1)보다 더 큰, 크라운-업 반경(R2)에서 연장된다.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은 함께, 크라운 섹션(3)의 리딩 에지(E)를 형성한다. 리딩 에지(E)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런-온 표면(11) 및/또는 비드-잠금 섹션(4)을 향해 축 방향(A)으로 가장 전방을 향하고 및/또는 가장 전방으로 돌출하는 크라운 세그먼트(30)의 단부들에 의해 형성된다는 의미에서, "리딩"이다.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크라운 표면(P)으로부터 리딩 에지(E)로의 전이부를 한정하는, 쇼울더부(S)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크라운-업 방향(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표면(32)을 더 구비한다. 베이스(10)의 런-온 표면(11)은,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슬라이드 표면(32)과 대향하며, 그리고 동일한 크라운-업 방향(D)으로 연장된다. 런-온 표면(11)은, 크라운-다운 반경(R1)에 있는 상측 단부(12)에서 종결된다.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크라운-업 방향(D)으로, 중간 부재(M)의 런-온 표면(11) 위에서,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된다. 쇼울더부(S)는, 각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외측 표면(31)과 슬라이드 표면(32)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예에서, 쇼울더부(S)는, 개별적인 표면들(31, 32) 사이에 부드러운 전이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측 표면(31)과 슬라이드 표면(32) 사이에서 라운드형이다. 특히, 라운드형 쇼울더부(S)는,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외측 표면(31)으로부터 크라운-업 방향(D)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표면(32)으로의 부드러운 전이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쇼울더부(S)는, 완전히 라운드형이다.
대안적으로, 쇼울더부(S)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형일 수, 즉 하나 이상의 비-원형 특징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크라운-업 방향(D)으로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를 향해 및/또는 크라운-업 위치로 이동될 때, 쇼울더부(S)는, 직경이 확대된다. 하나 이상의 겹(90)이, 쇼울더부(S) 둘레에서 성형된다. 특히, 쇼울더부(S)는,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겹(90)의 반경 방향 측면과 하나 이상의 겹(90)의 원주 방향 트레드 사이의 전이부를 한정한다. 쇼울더부(S)의 둥ƒE(roundness)은,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특히 크라운-업 위치에서의, 성형 도중에 하나 이상의 겹(9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는, 제1 원주방향 에지(61), 제1 원주방향 에지(61) 반대편의 제2 원주방향 에지(62), 및 제1 원주방향 에지(61)와 제2 원주방향 에지(62) 사이에서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슬리브 몸체(60)를 구비한다. 종방향(L)은,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도 2의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축 방향(A)에 평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그러나,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도 3의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슬리브 몸체(60)의 종방향(L)은, 상기 슬리브 몸체(60)의 길이를 따르는 상이한 위치들에 대해 상이하다. 슬리브 몸체(60)는, 제1 원주방향 에지(61)를 한정하거나 또는 제1 원주방향 에지(61)에 연결되는 제1 섹션(63), 및 제1 섹션(63)과 제2 원주방향 에지(62) 사이의 제2 섹션(64)을 포함한다. 제1 섹션(63)은, 도 2의 크라운-다운 위치 및 도 3의 크라운-업 위치 양자 모두에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크라운 표면(P) 상에 지지된다. 대조적으로, 제2 섹션(64)은,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도 2의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 세그먼트들(30)에 대해 지지되지 않는, 슬리브 몸체(60)의 부분이다. 그러나, 제2 섹션(64)은,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도 3의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에 의해, 특히 그의 쇼울더부(S)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크라운-업 위치에서, 제2 섹션(64)은 바람직하게,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리딩 에지(E)까지 연장된다.
슬리브(6)의 제1 원주방향 에지(61)는, 다른 원주방향 에지(62)는, 적어도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가 도 2의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고정되지 않도록, 구속되지 않도록, 또는 자유롭도록 배열되는 가운데, 크라운 섹션(3)에 고정된다. 달리 표현하면, 원주방향 에지(62)가, 고정되지 않고, 상기 타이어 구축 드럼(1)에 적용될 때, 타이어 구성요소들(9)에 의해 한정되는 제약 이내에서,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을 포함하는 타이어 구축 드럼(1)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느슨해지는 가운데, 제1 원주방향 에지(61)는,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의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이동 도중에, 크라운 세그먼트들(3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리고 단지, 적절한 도구들로 타이어 구축 드럼을 부분적으로 분해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제1 원주방향 에지(61)는 바람직하게, 크라운 표면(P)에서 또는 크라운 표면(P) 내에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에 고정된다. 슬리브(6)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부가, 슬리브(6)의 외측에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나머지에 대해 슬리브(6)를 뒤로 물리기 위해, 크라운 세그먼트들(30)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1 원주방향 에지(61)는, 축 방향(A)으로 비드-잠금 섹션(4)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의 측부의 위치에서, 크라운 세그먼트들(3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제1 원주방향 에지(61)는, 축 방향(A)으로 비드-잠금 섹션(4) 반대편의 또는 비드-잠금 섹션(4)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쇼울더부(S)의 측부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에 고정된다.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상기 쇼울더부(S)의 반대편 측부 상에, 특히 상기 쇼울더부(S)와 비드-잠금 위치(B)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바람직하게, 제2 원주방향 에지(62) 또는 슬리브 몸체(60)의 일부가, 비드(91)가 맞물리고 있을 때, 비드-잠금 섹션(4) 내에 잠금 고정되고 및/또는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A)으로 상기 비드-잠금 위치(B) 너머로 연장되지 않는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바람직하게, 축 방향(A)으로, 크라운 섹션(3)을 지향하는 비드-잠금 위치(B) 또는 실제 비드(91)의 측부 상에 위치되어야 한다.
도 2의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중간 부재(M) 상에, 특히 중간 부재(M)의 상측 단부(12) 상에, 안착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크라운 표면(P)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라운-다운 반경(R1)에서 중간 부재(M)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더욱 특히, 제2 섹션(64)의 적어도 일부가, 크라운 세그먼트들(30)과 중간 부재(M) 사이의 임의의 간극에서의 상기 제2 섹션(6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부재(M) 또는 그의 연장부 상에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2 섹션(64)은, 실질적으로 수평의 배향 및/또는 축 방향(A)에 평행한 배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배향에서, 제2 섹션(64)은, 타이어 구축 드럼(1) 상에서 타이어 구성요소들(9)을 적용 및/또는 재봉하기 위한 평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적용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섹션(63) 및/또는 크라운 세그먼트들(30)과 동일 평면 상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3의 크라운-업 위치에서, 슬리브(6)는,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오로지 크라운 세그먼트들(30)에 의해 지지된다. 달리 표현하면, 슬리브(6)는, 크라운 세그먼트들(30)이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비드-잠금 섹션(4) 및/또는 중간 부재(M)로부터 이격된다.
이상에 언급된 타이어 구축 드럼(1)의 사용을 동반하는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이,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방법은:
- 크라운 섹션(3)에서 슬리브(6) 상에 하나 이상의 겹(90)을 그리고 비드-잠금 위치(B)에서 비드-잠금 섹션(4) 상에 비드(91)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를 크라운-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비드-잠금 위치(B)에서 비드(91)를 비드-잠금 섹션(4)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 및
- 하나 이상의 겹(90)을 성형하기 위해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 언급된 단계들 도중에,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의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이동에 응답하여,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슬리브 몸체(60)의 섹션들(63, 64)은, 크라운-다운 위치 또는 크라운-업 위치에 의존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작동을 예시하기 위해 포함되며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많은 변형들이,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는, 대안적인 슬리브(106) 및 복수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를 특징으로 하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1)과 상이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타이어 구축 드럼(101)을 도시한다. 대안적인 슬리브(106)는, 슬리브 몸체(60)의 제2 섹션(64) 내에 유지 요소(165)를 갖도록 제공된다. 상기 유지 요소(165)는 바람직하게, 제2 원주방향 에지(62)에 또는 제2 원주방향 에지(62) 근처에 위치된다. 유지 요소(165)는, 대안적인 슬리브(106)의 반경 방향 내측면 상에서 중심축(X) 둘레로 원주 방향(C)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환형 요소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요소(165)는, 돌출부로서 성형된다. 상기 돌출부는, 종방향(L)과 교차하는 또는 종방향(L)에 수직인 방향으로, 쇼울더부(S)를 향해, 슬리브 몸체(60)로부터 돌출한다.
유지 요소(16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세그먼트들(130)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들(130)로부터 이격되도록 및/또는 맞물림 해제되도록 배열된다. 달리 표현하면, 유지 요소(165)는, 제2 섹션(64) 및/또는 제2 원주방향 에지(62)와 같이, 고정되지 않거나, 자유롭거나, 구속되지 않거나, 또는 느슨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들(130)이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이동될 때, 유지 요소(165)는, 슬리브 몸체(60)의 종방향(L)으로, 복수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에 대안적인 슬리브(106)를 맞물리게 하도록 그리고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도 4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는 각각, 복수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가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유지 요소(165)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유지 요소(165)는, 단순한 형상 맞춤을 통해, 크라운-다운 위치와 크라운-업 위치 사이에서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들(130)의 이동에 응답하여, 리세스(135)와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심지어 유지 요소(165)가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들(130)과 맞물릴 때에도, 유지 요소(165)가,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들(130)이 다시 크라운-다운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들(130)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될 수 있음에 따라, 제2 원주방향 에지(62)는 여전히,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섹션 및 비드-잠금 섹션을 포함하고, 비드-잠금 섹션은, 비드-잠금 위치를 한정하며, 크라운 섹션은,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크라운-업 방향으로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크라운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크라운 세그먼트들은 함께, 크라운 표면, 리딩 에지 및 쇼울더부를 형성하며,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세그먼트들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슬리브는, 비드-잠금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쇼울더부의 측부에서 크라운 세그먼트들에 고정되는 제1 원주방향 에지, 쇼울더부와 비드-잠금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원주방향 에지를 구비하며,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적어도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고정되지 않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타이어 구축 드럼 10: 베이스부
11: 런-온 표면 12: 상측 단부
2: 드럼 샤프트 3: 크라운 섹션
30: 크라운 세그먼트 31: 외측 표면
32: 슬라이드 표면 4: 비드-잠금 섹션
40: 비드-잠금 세그먼트 6: 슬리브
60: 슬리브 몸체 61: 제1 원주방향 에지
62: 제2 원주방향 에지 63: 제1 섹션
64: 제2 섹션 8: 턴-업 섹션
9: 하나 이상의 타이어 구성요소 90: 하나 이상의 겹
91: 비드 101: 대안적인 타이어 구축 드럼
130: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 135: 리세스
106: 대안적인 슬리브 165: 유지 요소
A: 축 방향 B: 비드-잠금 위치
C: 원주 방향 D: 크라운-업 방향
E: 리딩 에지 L: 종방향
M: 중간 부재 P: 크라운 표면
R: 반경 방향 R1: 크라운-다운 반경
R2: 크라운-업 반경 S: 쇼울더부
X: 중심축 Z: 타이어 구축 드럼의 중심

Claims (15)

  1.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타이어 구축 드럼으로서,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섹션 및 축 방향으로 크라운 섹션에 인접한 비드-잠금 섹션(bead-lock section)을 포함하고, 비드-잠금 섹션은, 타이어의 비드를 맞물기 위한 비드-잠금 위치를 한정하며, 크라운 섹션은, 중심축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며 그리고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적어도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 방향으로의 벡터-성분을 갖는 크라운-업 방향으로, 중심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크라운 세그먼트들은 함께,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지향하는 크라운 표면,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축 방향으로 비드-잠금 섹션을 향해 지향하는 리딩 에지, 및 크라운 표면으로부터 리딩 에지로의 전이부를 한정하는 쇼울더부를 형성하며, 타이어 구축 드럼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슬리브는, 비드-잠금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하는 쇼울더부의 측부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고정되는 제1 원주방향 에지,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쇼울더부와 비드-잠금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원주방향 에지를 구비하며,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적어도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고정되지 않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비드-잠금 섹션은, 비드-잠금 위치에서 비드를 맞물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비드-잠금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원주방향 에지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쇼울더부와 비드-잠금 세그먼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제1 원주방향 에지와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리브 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를 한정하며 그리고 크라운-다운 위치 및 크라운-업 위치 양자 모두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상에 지지되는, 제1 섹션을 구비하며, 슬리브 몸체는, 제1 섹션과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섹션을 더 구비하고, 제2 섹션은,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지지되지 않으며 그리고 크라운-업 위치에서 쇼울더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4. 제3항에 있어서,
    타이어 구축 드럼은, 크라운 섹션과 비드-잠금 섹션 사이의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원주방향 에지는,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상기 중간 부재 상에 지지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간 부재 상에 지지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라운 표면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연장되고, 중간 부재는,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제2 원주방향 에지를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적어도 리딩 에지까지, 쇼울더부 상에 지지되도록 배열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제2 원주방향 에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리브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그리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슬리브 몸체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슬리브를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제2 섹션 내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9. 제8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는, 돌출부이고,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각각,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주방향 에지를 제외한 전체 슬리브 몸체는,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고정되지 않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주방향 에지는, 크라운 표면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고정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 드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 구축 드럼의 사용을 동반하는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으로서:
    - 크라운 섹션에서 슬리브 상에 하나 이상의 겹을 그리고 비드-잠금 위치에서 비드-잠금 섹션 상에 비드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크라운-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비드-잠금 위치에서 비드를 비드-잠금 섹션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 및
    - 하나 이상의 겹을 성형하기 위해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2 원주방향 에지는,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의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에 응답하여,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제1 원주방향 에지와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리브 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를 한정하며 그리고 크라운-다운 위치 및 크라운-업 위치 양자 모두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상에 지지되는, 제1 섹션을 구비하며, 슬리브 몸체는, 제1 섹션과 제2 원주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섹션을 더 구비하고,
    방법은, 제2 섹션이 크라운-업 위치에서 쇼울더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가운데, 제2 섹션을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지지되지 않도록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크라운 표면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연장되고,
    방법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크라운-다운 반경에서 제2 원주방향 에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 몸체는, 제1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제2 원주방향 에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리브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다운 위치에 놓일 때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그리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들이 크라운-업 위치에 놓일 때 슬리브 몸체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대해 슬리브를 유지하는, 제2 섹션 내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KR1020217015037A 2018-10-19 2019-09-23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KR102376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1843 2018-10-19
NL2021843A NL2021843B1 (en) 2018-10-19 2018-10-19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PCT/NL2019/050634 WO2020080933A1 (en) 2018-10-19 2019-09-23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972A true KR20210076972A (ko) 2021-06-24
KR102376820B1 KR102376820B1 (ko) 2022-03-21

Family

ID=6442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037A KR102376820B1 (ko) 2018-10-19 2019-09-23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325333B2 (ko)
EP (1) EP3867050B1 (ko)
JP (1) JP6976430B2 (ko)
KR (1) KR102376820B1 (ko)
CN (2) CN111070748B (ko)
BR (1) BR112021005093B1 (ko)
ES (1) ES2960691T3 (ko)
HU (1) HUE063945T2 (ko)
MX (1) MX2021003198A (ko)
NL (1) NL2021843B1 (ko)
PL (1) PL3867050T3 (ko)
RS (1) RS64685B1 (ko)
TW (1) TWI820230B (ko)
WO (1) WO2020080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1843B1 (en) * 2018-10-19 2020-05-13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0188A (ja) * 2009-03-13 2012-09-06 マランゴーニ メカニカ エッセ.ピ.ア. タイヤカーカス成形方法およびドラム
US20140048212A1 (en) * 2012-08-15 2014-02-20 Douglas Raymond Weaver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EP3037249A1 (en) * 2014-12-23 2016-06-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WO2018111091A2 (en) * 2016-12-16 2018-06-21 Vmi Holland B.V. Drum half,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tire buil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5818A (en) * 1968-12-02 1972-02-29 Nat Standard Co Tire building method
US3868203A (en) * 1971-05-17 1975-02-25 Nrm Corp Tire molding machine
US4149927A (en) * 1978-03-24 1979-04-17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apparatus with improved drum shoulder
JPH0757537B2 (ja) 1991-03-20 1995-06-21 株式会社森鐵工所 タイヤ成型ドラム装置における可動部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タイヤ成型ドラム装置
EP1283114A1 (en) 2001-08-07 2003-02-12 PIRELLI PNEUMATICI Società per Azioni Tyre,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drum therefor
GB0413275D0 (en) * 2004-06-15 2004-07-14 Wyko Equip Bead lock arrangement
US7287568B2 (en) 2004-12-23 2007-10-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igh crown uni-stage tire building drum
US20110088832A1 (en) * 2008-04-18 2011-04-21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US8770251B2 (en) 2008-05-22 2014-07-08 Vmi Holland B.V. Tyre building drum for building an unvulcanised tyre
US8689484B2 (en) * 2010-05-28 2014-04-08 Rodney Ruskin Weed control and root barrier
BR112013014862B1 (pt) 2010-12-23 2020-05-05 Pirelli processo e instalação para fabricação de pneus para rodas de veículo
ITMI20110721A1 (it) * 2011-04-29 2012-10-30 Pirelli Processo e appara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NL2015246B1 (en) 2015-07-30 2017-02-20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a method for shaping tire components on said tire building drum.
NL2021843B1 (en) 2018-10-19 2020-05-13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0188A (ja) * 2009-03-13 2012-09-06 マランゴーニ メカニカ エッセ.ピ.ア. タイヤカーカス成形方法およびドラム
US20140048212A1 (en) * 2012-08-15 2014-02-20 Douglas Raymond Weaver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EP3037249A1 (en) * 2014-12-23 2016-06-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WO2018111091A2 (en) * 2016-12-16 2018-06-21 Vmi Holland B.V. Drum half,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tire bui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933A1 (en) 2020-04-23
KR102376820B1 (ko) 2022-03-21
BR112021005093B1 (pt) 2024-01-30
EP3867050C0 (en) 2023-08-16
US11325333B2 (en) 2022-05-10
EP3867050B1 (en) 2023-08-16
JP6976430B2 (ja) 2021-12-08
TW202021793A (zh) 2020-06-16
RS64685B1 (sr) 2023-11-30
CN211334675U (zh) 2020-08-25
ES2960691T3 (es) 2024-03-06
CN111070748B (zh) 2022-07-05
MX2021003198A (es) 2021-05-27
US20210339492A1 (en) 2021-11-04
JP2021503388A (ja) 2021-02-12
EP3867050A1 (en) 2021-08-25
CN111070748A (zh) 2020-04-28
PL3867050T3 (pl) 2024-02-19
TWI820230B (zh) 2023-11-01
HUE063945T2 (hu) 2024-02-28
BR112021005093A2 (pt) 2021-06-08
NL2021843B1 (en)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2428A1 (en) Apparatus for building a carcass structure of a tyre for vehicle wheels
EP3037249B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US7491285B2 (en) Method for molding bead portion of green tire and bead portion molding device
EP2698243B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WO2014006970A1 (ja) タイヤ成形ドラム
US7318714B2 (en) Core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KR102376820B1 (ko) 타이어 구축 드럼 및 타이어 구축을 위한 방법
JP6343712B2 (ja) タイヤ成形ドラムおよび前記タイヤ成形ドラム上にタイヤ構成要素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
CN109421298B (zh) 成型轮胎的方法
KR102315303B1 (ko)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US20130180647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RU2792668C2 (ru) Барабан для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JP2021503388A5 (ko)
EP2632703B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sequence of tyres different from each other
JP2016179644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JP2006224521A (ja) タイヤ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