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03B1 -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03B1
KR102315303B1 KR1020217011607A KR20217011607A KR102315303B1 KR 102315303 B1 KR102315303 B1 KR 102315303B1 KR 1020217011607 A KR1020217011607 A KR 1020217011607A KR 20217011607 A KR20217011607 A KR 20217011607A KR 102315303 B1 KR102315303 B1 KR 10231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building drum
segment
tire building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917A (ko
Inventor
그라프 마르틴 데
데이브 파포트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7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5Drums for the sing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and the toroidal expansion of it are realised on the sam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2030/2657Radially expandable and contractable drum comprising a set of circumferentially arranged rigid elements, e.g. finger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6Expansion of tyres in a flat form, i.e. expansion to a toroidal shape independently of their building-up process, e.g. of tyres built by the flat-tyres method or by jointly covering two bead-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이동 가능한 크라운 세그먼트를 갖는 크라운 섹션을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드럼에 관한 것으로, 크라운 세그먼트는 함께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크라운 표면, 선단 엣지 및 크라운 표면으로부터 선단 엣지로의 천이부를 획정하는 견부를 형성하며, 상기 견부는 갭(G)을 남기고, 타이어 제조 드럼은 상기 갭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151)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135,136)을 더 포함하고, 각 가이드 채널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복수의 지지 부재의 개별 지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을 사용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드럼, 특히 크라운 드럼과 타이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18/111091 A2는 단일 스테이지 타이어 제조를 위한 타이어 제조 드럼, 특히 크라운 드럼을 개시한다. 타이어 제조 드럼은 2개의 드럼 절반부로 구성되며, 각 드럼 절반부는 비드-로크(bead-lock) 섹션, 드럼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축 방향을 향하는 비드-로크 섹션의 측면의 턴-업(turn-up) 섹션 및 비드-로크 섹션과 드럼 중심 사이에서 축 방향의 크라운-업(crown-up) 섹션을 구비한다. 크라운-업 섹션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고 크라운-다운 위치와 크라운-업 위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타이어 제조 드럼은 크라운 세그먼트에 장착되도록 배열된 제1 단부와 크라운-업 섹션의 반대측의 비드-로크 섹션의 측면의 드럼 절반부에 장착되도록 배열된 제2 단부를 가지는 비드-로크 밀봉부를 더 포함한다.
크라운 세그먼트가 비드-로크 섹션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드-로크 밀봉부는 크라운 세그먼트로부터 비드-로크 섹션 위로 연장되어 비드-로크 섹션과 크라운 섹션 사이의 갭에 걸쳐진다.
공지된 타이어 제조 드럼의 단점은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비드-로크 섹션과 크라운-업 섹션에 의해 형성된 타이어 제조 드럼의 외주면이 완전히 평탄하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크라운 세그먼트는 해당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업 위치에서 타이어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형 견부를 형성한다. 이상적으로, 라운드형 견부의 반경은 턴업하는 동안 타이어 부품의 롤-오버를 위한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 상당히 크다. 그러나, 이 라운드형 견부는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크라운-업 섹션과 비드-로크 섹션 사이의 타이어 제조 드럼의 외주면에 갭을 형성한다. 반경이 클수록 갭이 커진다. 갭은 특히 스티칭 또는 스플라이싱(splicing) 중에 타이어 제조 드럼에 타이어 부품을 적용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결국, 공지된 타이어 제조 드럼에서 제조된 타이어의 품질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EP 1 295 702 A2는 확장 세그먼트와 해당 확장 세그먼트 사이의 고정 세그먼트로 구성된 중심 섹션을 갖는 타이어 제조 드럼을 개시한다. 고정 세그먼트는 전술한 갭을 채우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것은 전술한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지만, 고정 세그먼트의 존재는 확장 세그먼트가 수축 위치에서 이격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서 상기 간격은 확장 세그먼트가 확장 위치로 이동될 때 더 큰 갭을 야기한다. 큰 갭은 공지된 타이어 제조 드럼이 확장시 타이어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 제조된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제공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에는 크라운 섹션 및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크라운 섹션에 인접한 비드-로크 섹션이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 섹션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고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벡터 성분을 갖는 크라운-업 방향으로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는 함께,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크라운 표면,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비드-로크 섹션 측을 향하는 선단 엣지 및 상기 크라운 표면으로부터 상기 선단 엣지로의 천이부를 획정하는 견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단 엣지는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 방향 평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견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와 상기 반경 방향 평면 사이에 갭을 남기며,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제1 측면과 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에 반대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가이드 채널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의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의 개별 지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의 위치에서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 상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에 대한 상기 갭의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갭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임프린트(imprint)를 모두 함께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국, 타이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지지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크라운 세그먼트의 상기 측면들은 둘레 방향으로 함께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함께 더 가깝게 배치되면, 크라운-업 위치에 있는 크라운 세그먼트 사이의 간격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크라운-업 위치에서 타이어 부품이 손상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갭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는 타이어 제조 드럼의 다른 부품, 즉 크라운-업 방향으로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의 축방향 부품의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상기 외부 표면은 함께 크라운 표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라운 표면의 연속부로서 상기 갭 내로 연장되는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크라운 표면과 상기 지지 표면 사이의 급격한 천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라운 표면과 동일 높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크라운 표면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 크라운-다운 반경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갭에서 동일한 크라운-다운 반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와 동일한 반경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축방향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 부재의 개별 지지 표면에 의해 형성된 결합된 지지 표면은 그 위에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크라운-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에 대한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업 위치에 있을 때 크라운 세그먼트에 의한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의 성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업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는 종래의 가이드 요소를 대신할 수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의 복잡성 및/또는 공간 소비를 추가하지 않는다.
청구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중 하나 이상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는 해당 지지 부재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다.
청구되지 않은 추가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제1 측면과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 부재는 제1 가이드 표면과 둘레 방향으로 제1 가이드 표면에 대향하는 제2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제2 가이드 표면은 각각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중 하나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중 바로 인접한 하나의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 부재는 한 쌍의 인접한 크라운 세그먼트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개재될 수 있다.
청구되지 않은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표면은 평탄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따라서, 가이드 표면은 크라운 세그먼트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의 개별 가이드 채널과 맞물리도록 가이드 레일로서 형상화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크라운 세그먼트를 크라운-업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채널은 크라운-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크라운-업 방향에 대해 횡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에 대한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 자유도는 크라운-업 방향의 이동으로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이어 제조 드럼은 상기 크라운 섹션과 상기 비드-로크 섹션 사이에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향하고 상기 크라운-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런-온 표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상기 크라운-업 방향으로 상기 런-온 표면 위로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크라운-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반경 방향 평면과 상기 런-온 표면 사이의 영역 내로 더 연장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부는 상기 견부와 반경 방향 평면 사이의 갭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 평면의 반대측으로 그리고 상기 런-온 표면 측으로 및/또는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런-온 표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는 베이스에 대해 정확하게 및/또는 견고하게 위치되거나 베이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크라운 세그먼트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부는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견부는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표면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 라운드형 견부는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업 위치에 있을 때 타이어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진원도는 견부와 반경 방향 평면 사이에 갭을 야기한다. 지지 부재는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갭에 타이어 부품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타이어 제조 드럼은 둘레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주위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갭 위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상기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갭 내에 지지 부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슬리브는 상기 갭 위로 더 부드럽게 연장될 수 있다. 슬리브는 지지 부재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갭의 부분에 걸쳐 있으므로 타이어 부품에 임프린트를 남기는 타이어 제조 드럼의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을 사용하여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수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의 실제 구현에 관한 것이므로, 동일한 기술적 장점을 가지며, 이후에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둘레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주위에, 상기 갭 위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슬리브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상에 상기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다양한 양태와 특징은 가능한 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 양태, 특히 첨부된 종속 청구항에 기술된 양태 및 특징은 분할 특허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크라운-다운 위치 및 크라운-업 위치에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제공된 크라운 섹션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좌측) 및 도 4(우측)는 각각 도 1의 Ⅲ-Ⅲ 라인과 도 2의 Ⅳ-Ⅳ 라인을 따른 부분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크라운-다운 위치 및 도 2의 크라운-업 위치에서 크라운 세그먼트의 부분 등각도를 예시하며;
도 7은 도 1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의 부분 평면도를 예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타이어 제조 드럼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크라운-다운 위치 및 크라운-업 위치에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가 제공된, 도 8에 따른 대안적인 타이어 제조 드럼의 부분 등각도를 예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1), 특히 크라운 드럼을 예시한다.
타이어 제조 드럼(1)은 축방향(A)으로 연장되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타이어 제조 드럼(1)은 중심축(X)에 수직인 반경 방향(R)으로 확장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 타이어 제조 드럼(1)의 중심축(X) 위의 일부만이 예시된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 명확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제조 드럼(1)은 중심축(X)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C)으로 연장된다.
타이어 제조 드럼(1)은 단일 단계 타이어 제조, 즉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 특히 카커스(carcass)(90) 및 비드(bead)(91)가 동일한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 제조, 성형 및 조립되는 타이어 제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이어 제조 드럼(1)은 카커스(90)를 성형하기 위한 크라운 섹션(3) 및 비드-로크 위치(B)에서 비드(91)를 카커스(90)에 유지하기 위한 비드-로크(bead-lock) 섹션(4)을 포함한다. 비드-로크 섹션(4)은 비드(91)를 결합 및/또는 해제하기 위해 반경 방향(R)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비드-로크 세그먼트(40)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타이어 제조 드럼(1)은 크라운 섹션(3)에서 카커스(90)의 성형된 부분에 대해 비드(91) 주위의 카커스(90)의 일부를 턴업시키기 위해 그 자체로 알려진 턴-업(turn-up) 섹션(8)을 더 포함한다. 비드-로크 섹션(4)은 축방향(A)으로 크라운 섹션(3)의 측면 또는 크라운 섹션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턴-업 섹션(8)은 크라운 섹션(3)으로부터 멀어지는 비드-로크 섹션(4)의 측면에서 축방향(A)으로 위치된다.
도 1에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이어 제조 드럼(1)은 크라운 섹션(3), 비드-로크 섹션(4) 및/또는 턴-업 섹션(8)의 부분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0)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10)는 축방향(A)으로 크라운 섹션(3)과 비드-로크 섹션(4)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부재(M)를 형성한다. 베이스(10)는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방식으로 크라운 섹션(3)의 부분들을 안내하기 위해 중간 부재(M)에 런-온(run-on) 표면(11)을 더 구비한다. 런-온 표면(11)은 크라운 섹션(3) 측을 향한다. 베이스(10)는 중심축(X)에서 축방향(A)으로 연장되는 드럼 샤프트(미도시)에 동심으로 끼워지도록 배열된다.
도 3 및 도 4에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라운 섹션(3)은 중심축(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C)으로 분포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를 포함한다. 크라운 세그먼트(30)는 도 1, 3,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도 2, 4,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크라운-업 위치로 베이스(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크라운-다운 위치와 크라운-업 위치 사이의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이동은 반경 방향(R)으로 적어도 벡터 성분을 가지는 크라운-업 방향(D)으로의 이동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라운-업 방향(D)은 반경 방향(R)에 대해 예각의 경사각으로 오프셋된다. 대안적으로, 크라운-업 방향(D)은 반경 방향(R)에 더 가깝거나 심지어 평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크라운-업 방향(D)으로의 이동은 선형 이동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을 지지하기 위해 반경 방향(R)으로 외측을 향하는 외부 표면(31)을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외부 표면(31)은 카커스(9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평탄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폐쇄되거나 거의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31)은 축방향(A)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외부 표면(31)은 상기 카커스(90)의 성형 중에 크라운 섹션(3)에서 카커스(9)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도록 둘레 방향(C)으로 연장되는 크라운 표면(P)을 함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크라운 표면(P)은 원통형 또는 직선 원통형 표면이다. 크라운 표면(P)은 크라운 세그먼트(30)가 도 1의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의 크라운-다운 반경(R1)으로, 그리고 크라운 세그먼트(30)가 도 2의 크라운-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라운-다운 반경(R1)보다 큰 크라운-업 반경(R2)으로 연장된다.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함께 크라운 섹션(3)의 선단 엣지(L)를 형성한다. 선단 엣지(L)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런-온 표면(11) 및/또는 비드-로크 섹션(4) 측으로 축방향(A)을 향하거나 축방향으로 가장 전방으로 돌출하는 크라운 세그먼트(30)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는 의미에서 '선단' 엣지이다. 선단 엣지(L)는 중심축(X)에 수직인 반경 방향 평면(T)으로 연장된다. 상기 반경 방향 평면(T)은 비드-로크 섹션(4)을 향하는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측면에서 크라운 세그먼트(30)에 연속적이고 및/또는 접한다.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크라운 세그먼트(30)의 크라운 표면(P)에서 선단 엣지(L)로의 천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견부(S)를 함께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크라운-업 방향(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표면(32)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10)의 런-온 표면(11)은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슬라이드 표면(32)을 향하고, 동일한 크라운-업 방향(D)으로 연장된다.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크라운-업 방향(D)으로 중간 부재(M)의 런-온 표면(11) 위로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배열된다. 견부(S)는 각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외부 표면(31)과 슬라이드 표면(32)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예에서, 견부(S)는 외부 표면(31)과 슬라이드 표면(32) 사이에서 라운드 마감되어 각 표면(31) 사이에 매끄러운 천이부를 형성한다. 특히, 라운드형 견부(S)는 축방향(A)으로 연장되는 외부 표면(31)으로부터 크라운-업 방향(D)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표면(32)으로의 매끄러운 천이부를 제공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견부(S)는 완전히 라운드형이다.
대안적으로, 견부(S)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형일 수 있으며, 즉 하나 이상의 비-원형부를 가질 수 있다.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 측으로 및/또는 크라운-업 위치로 크라운-업 방향(D)으로 이동될 때, 견부(S)는 직경이 확장된다. 카커스(90)는 견부(S) 주위에 성형된다. 특히, 견부(S)는 성형된 카커스(90)의 반경 방향 측과 카커스(90)의 원주 트레드(tread) 사이의 천이부를 획정한다. 견부(S)의 진원도는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특히 크라운-업 위치에서 성형 중에 카커스(9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견부(S)의 진원도는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축방향(A)으로 크라운 세그먼트(30)와 반경 방향 평면(T) 사이에 갭(G)을 야기한다. 특히, 견부(S)는 크라운 세그먼트(30)의 각각의 외부 표면(31)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 내향으로, 즉 중심축(X)을 향하여 하강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갭(G)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형 견부(S)와 중간 부재(M)의 런-온 표면(11)의 상단(12) 사이의 축방향(A)의 영역 또는 나머지 공간의 일부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30)는 제1 측면(33) 및 둘레 방향(C)으로 제1 측면(33)에 대향하는 제2 측면(3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로 인접한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측면(33, 34)은 둘레 방향(C)으로의 간격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크라운-다운 위치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크라운-업 위치 사이에서 크라운-업 방향(D)으로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이동에 따라 증가할 것이므로 둘레 방향(C)으로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더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1)에는 둘레 방향(C)으로 분포된 복수의 지지 부재(5)가 제공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 지지 부재(5)는 둘레 방향(C)으로 고려시 2개의 바로 인접한 크라운 세그먼트(30) 사이에서 연장된다. 특히, 각각의 지지 부재(5)는 제1 가이드 표면(51)과 둘레 방향(C)으로 제1 가이드 표면(51)에 대향하는 제2 가이드 표면(52)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표면(51) 및 제2 가이드 표면(52)은 각각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 중 하나의 제1 측면(33) 및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 중 바로 인접한 하나의 제2 측면(34)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표면(51, 52)은 크라운 세그먼트(30)의 각 측면(33, 34)을 크라운-업 방향(D)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표면(51, 52)은 평탄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도 1 및 도 2를 비교할 때, 지지 부재(5)는 제자리에 유지되고 크라운 세그먼트(30)는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크라운-업 위치로 크라운-업 방향(D)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지지 부재(5)는 베이스(10) 및/또는 중심축(X)에 대해 반경 방향(R)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크라운 세그먼트(30)는 복수의 지지 부재(5)에 대해 크라운-업 방향(D)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5)는 견부 엣지(S)와 반경 방향 평면(T) 사이의 갭(G) 내로 또는 이를 통해 연장된다. 특히, 지지 부재(5)는 축방향(A)으로 또는 이와 평행하게 갭(G)을 통해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부재(5)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5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표면(50)은 축방향(A)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표면(50)은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 다운 위치에 있을 때 크라운 표면(P)의 연속부로서 갭(G) 내로 연장된다. 특히, 지지 표면(50)은 크라운-다운 위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와 동일한 크라운-다운 반경(R1)의 갭(G)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지지 부재(5)는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반경 방향 평면(T)과 런-온 표면(11) 사이의 영역으로 추가로 연장된다. 즉, 지지 부재(5)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부는 견부(S)와 반경 방향 평면(T) 사이의 갭(G)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 평면(T)의 반대 측으로 그리고 런-온 표면(11) 측으로 및/또는 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5)는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갭(G)의 위치에서 타이어 제조 드럼(1) 상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에 대한 갭(G)의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갭(G)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프린트가 모두 함께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결국, 타이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제조 드럼(1)은 둘레 방향(C)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 주위로 연장되는 슬리브(6)를 더 포함한다. 도 4의 크라운-업 위치에서, 슬리브(6)는 크라운 세그먼트(3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위치에서, 슬리브(6)는 둘레 방향(C)으로 크라운 세그먼트(30) 사이의 간격의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 상의 임프린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슬리브(6)의 존재 때문에,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은 크라운 세그먼트(30) 상에 직접 지지되지 않는다. 대신에, 슬리브(6) 상에 직접 그리고 슬리브(6) 아래의 크라운 세그먼트(30)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도 3 및 도 7의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슬리브(6)는 지지 부재(5)에 의해 크라운 세그먼트(30) 사이에서 지지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크라운 세그먼트(30)와 지지 부재(5)의 조합은 둘레 방향(C)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인 외주 표면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는 갭(G)에서도 슬리브(6)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5)는 갭(G)에서 슬리브(6)의 슬랙킹(slacking)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슬리브(6)가 지지 부재(5)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갭(G)의 임의의 나머지 부분 위로 더 매끄럽게 연장되게 할 수 있다. 슬리브(6)의 존재 때문에,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은 지지 부재(5) 상에 직접지지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슬리브(6) 상에 직접, 그리고 슬리브(6) 아래의지지 부재(5)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는 제1 외주 엣지(61), 축방향으로 제1 외주 엣지(61)에 대향하는 제2 외주 엣지(62) 및 제1 외주 엣지(61)와 제2 외주 엣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리브 바디(60)를 포함한다. 슬리브 바디(60)는 크라운 세그먼트(30)가 도 1의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축방향(A)으로 갭(G)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슬리브(6)는 갭(G)에서 지지 부재(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는 크라운-업 위치에서 크라운 세그먼트(30)에 의해 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지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특히, 제2 외주 엣지(62)는 크라운 세그먼트(30)에 의해 형성된 견부(S) 상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도 1의 크라운-다운 위치에서, 제2 외주 엣지(62)는 갭(G)에서 지지 부재(5) 상에 및/또는 갭(G) 바로 외부의 중간 부재(M)의 상단부(12) 상에 안착되도록 배열된다.
전술한 타이어 제조 드럼(1)을 사용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은 도 1-7을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을 수용하도록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를 크라운-다운 위치로 이동시키고,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갭(G)에서 복수의 지지 부재(5) 상에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타이어 제조 드럼(1)에는 슬리브(6)가 제공되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이 슬리브(6)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슬리브(6)는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30)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갭(G)에서 복수의 지지 부재(5)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6)에는 크라운-업 방향(D)의 크라운 세그먼트(30)의 이동에 응답하여 비드-로크 섹션(4) 및/또는 크라운 섹션(3) 위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배열된 제2 외주 엣지(6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 9 및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타이어 제조 드럼(101)을 예시한다. 대안적인 타이어 제조 드럼(101)은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 및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지지 부재 (151, 152)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이전에 논의된 타이어 제조 드럼(1)과 다르다.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는 제1 측면(133), 둘레 방향(C)으로 제1 측면(133)에 대향하는 제2 측면(134) 및 제1 측면(133)과 제2 측면(134) 사이에서 각각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 내에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지지 부재(151, 152)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135, 136)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전에 논의된 크라운 세그먼트(30)와 다르다. 따라서,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 사이에 지지 부재가 없는 경우, 상기 대안예의 크라운 세그먼트(130)의 측면(133, 134)은 둘레 방향(C)으로 함께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에는 2개 이상의 지지 부재(151, 152)를 수용하기 위해 2개 이상의 가이드 채널(135, 136)이 제공된다.
이전에 논의된 지지 부재(5)와 마찬가지로, 대안적인 지지 부재(151, 152)는 각각 이전에 논의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슬리브(6)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9)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150)을 형성한다. 그러나, 지지 표면(150)은 이제 크라운 세그먼트(130) 사이가 아니라 가이드 채널(135, 136)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대안적인 지지 부재(151, 152)는 가이드 채널(135, 136) 각각과 맞물리는 가이드 레일(153)의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레일(153)은 크라운-업 방향(D)에 수직인 방향으로 단면을 가지며, 이 단면은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채널(135, 136)의 단면과 일치하거나 상보적이다.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153) 및 가이드 채널(135, 136) 모두는 크라운-업 방향으로 대안적인 지지 부재(151, 152)에 대한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130)의 이동만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상호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이 특정예에서, 가이드 채널(135, 136) 및 대안적인 지지 부재(151, 152)는 모두 L-형이고, 여기서 L-형의 수평부는 크라운-업 방향(D)에 대해 횡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53)에 대한 각 세그먼트(130)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대안적인 지지 부재(151, 152)에 대한 대안적인 크라운 부재(130)의 위치가 더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많은 변형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전에 논의된 양자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 및 둘레 방향으로 크라운 세그먼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가지는 크라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추가의 대안적인 타이어 제조 드럼(미도시)에 도달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1: 타이어 제조 드럼
10: 베이스
11: 런-온 표면
12: 상단
3: 크라운 섹션
30: 크라운 세그먼트
31: 외부 표면
32: 슬라이드 표면
33: 제1 측면
34: 제2 측면
4: 비드-로크 섹션
40: 비드-로크 세그먼트
5: 지지 부재
50: 지지 표면
51: 제1 가이드 표면
52: 제2 가이드 표면
6: 슬리브
60: 슬리브 바디
61: 제1 외주 엣지
62: 제2 외주 엣지
8: 턴-업 섹션
9: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
90: 카커스
91: 비드
101: 대안적인 드럼
103: 대안적인 크라운 세그먼트
133: 제1 측면
134: 제2 측면
135: 가이드 채널
136: 가이드 채널
150: 지지 표면
151: 대안적인 지지 부재
152: 대안적인 지지 부재
153: 가이드 레일
A: 축방향
B: 비드-로크 위치
C: 둘레 방향
D: 크라운-업 방향
G: 갭
L: 선단 엣지
M: 중간 부재
P: 크라운 표면
R: 반경 방향
Rl: 크라운-다운 반경
R2: 크라운-업 반경
S: 견부
T: 반경 방향 평면
X: 중심축

Claims (16)

  1. 타이어 제조 드럼으로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에는 크라운 섹션 및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크라운 섹션에 인접한 비드-로크(lead-lock) 섹션이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 섹션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고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벡터 성분을 갖는 크라운-업 방향으로 크라운-다운 위치로부터 크라운-업 위치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는 함께,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크라운 표면,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비드-로크 섹션 측을 향하는 선단 엣지 및 상기 크라운 표면으로부터 상기 선단 엣지로의 천이부를 획정하는 견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단 엣지는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 방향 평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견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와 상기 반경 방향 평면 사이에 갭을 남기며,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고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제1 측면과 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에 반대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가이드 채널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의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에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의 개별 지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갭을 통해 연장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상기 외부 표면은 함께 크라운 표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라운 표면의 연속부로서 상기 갭 내로 연장되는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타이어 제조 드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표면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 크라운-다운 반경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갭에서 동일한 크라운-다운 반경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크라운-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타이어 제조 드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업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열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채널의 개별 가이드 채널과 맞물리도록 가이드 레일로서 형상화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채널은 크라운-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크라운-업 방향에 대해 횡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타이어 제조 드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은 상기 크라운 섹션과 상기 비드-로크 섹션 사이에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향하고 상기 크라운-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런-온(run-on) 표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상기 크라운-업 방향으로 상기 런-온 표면 위로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크라운-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드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반경 방향 평면과 상기 런-온 표면 사이의 영역 내로 더 연장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런-온 표면에 연결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13.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라운 세그먼트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견부는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견부는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표면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은 둘레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주위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갭 위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상기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타이어 제조 드럼.
  15. 제1항에 따른 타이어 제조 드럼을 사용하여 타이어를 제조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수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를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지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 주위에, 상기 갭 위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슬리브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어 부품을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크라운 세그먼트가 상기 크라운-다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갭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 상에 상기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0217011607A 2018-10-19 2019-10-04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315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1842A NL2021842B1 (en) 2018-10-19 2018-10-19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NL2021842 2018-10-19
PCT/NL2019/050664 WO2020080934A1 (en) 2018-10-19 2019-10-04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917A KR20210076917A (ko) 2021-06-24
KR102315303B1 true KR102315303B1 (ko) 2021-10-20

Family

ID=6442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607A KR102315303B1 (ko) 2018-10-19 2019-10-04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312096B2 (ko)
EP (1) EP3867051B1 (ko)
JP (1) JP6900578B2 (ko)
KR (1) KR102315303B1 (ko)
CN (4) CN114714652A (ko)
BR (1) BR112021005095B1 (ko)
ES (1) ES2913704T3 (ko)
HU (1) HUE059515T2 (ko)
MX (1) MX2021003269A (ko)
NL (1) NL2021842B1 (ko)
PL (1) PL3867051T3 (ko)
RS (1) RS63355B1 (ko)
TW (1) TWI822875B (ko)
WO (1) WO2020080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1842B1 (en) * 2018-10-19 2020-05-13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91A2 (en) 2016-12-16 2018-06-21 Vmi Holland B.V. Drum half,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tire building machine
WO2018174708A1 (en) 2017-03-23 2018-09-27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tire building dru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4115A (ko) 1962-06-05
US4131500A (en) 1974-12-09 1978-12-26 Avon Tyres Limited Tire building drum
US4045277A (en) * 1976-05-11 1977-08-30 Uniroyal, Inc. Pneumatic tire building drum
JPS5425354A (en) 1977-07-28 1979-02-26 Koyo Seiko Co Ltd Conjuctive system for rotary axile
US4149927A (en) * 1978-03-24 1979-04-17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apparatus with improved drum shoulder
US4229246A (en) * 1978-12-18 1980-10-21 The Steelastic Company Building drum assembly
FR2777826A1 (fr) 1998-04-27 1999-10-29 Michelin & Cie Procede de fabrication de pneumatiques et tambour d'assemblage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6408919B2 (en) 1998-04-27 2002-06-25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Michelin & Ci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US6769468B2 (en) * 2001-09-21 2004-08-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drum having expandable center section and independently expandable bead lock assemblies in the end sections
US6863106B2 (en) 2001-09-21 2005-03-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dable tire building drum with alternating fixed and expandable segments, and contours for sidewall inserts
JP5619502B2 (ja) * 2010-07-21 2014-11-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成型装置
US8708017B2 (en) * 2010-12-31 2014-04-29 Bps Engineering, Llc Assembly for altering the diameter of transfer ring or drum apparatus through a broad range
ITMI20110721A1 (it) * 2011-04-29 2012-10-30 Pirelli Processo e appara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FR2983118B1 (fr) * 2011-11-30 2014-01-17 Michelin Soc Tech Tambour d'assemblage mixte a diametre variable destine a la fabrication d'un pneumatique comportant des gorges occultables
US20140048213A1 (en) * 2012-08-15 2014-02-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with interchangeable width elements
WO2014129427A1 (ja) 2013-02-20 2014-08-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タイヤ製造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CN103963330B (zh) 2014-04-25 2016-03-30 芜湖得瑞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度乘用轮胎二次法成型机
US10611112B2 (en) 2016-07-22 2020-04-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enter mechanism for tire building drum
CN207594372U (zh) 2017-09-27 2018-07-10 天津赛象机电工程有限公司 多胎体鼓轮胎成型机
NL2021842B1 (en) 2018-10-19 2020-05-13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tire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91A2 (en) 2016-12-16 2018-06-21 Vmi Holland B.V. Drum half,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tire building machine
WO2018174708A1 (en) 2017-03-23 2018-09-27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tire building d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7051B1 (en) 2022-04-27
CN111070747B (zh) 2022-05-13
MX2021003269A (es) 2021-05-12
BR112021005095A2 (pt) 2021-06-08
KR20210076917A (ko) 2021-06-24
CN214821076U (zh) 2021-11-23
RS63355B1 (sr) 2022-07-29
TWI822875B (zh) 2023-11-21
WO2020080934A1 (en) 2020-04-23
JP6900578B2 (ja) 2021-07-07
EP3867051A1 (en) 2021-08-25
ES2913704T3 (es) 2022-06-03
US11312096B2 (en) 2022-04-26
JP2021502910A (ja) 2021-02-04
CN211334676U (zh) 2020-08-25
CN114714652A (zh) 2022-07-08
HUE059515T2 (hu) 2022-11-28
PL3867051T3 (pl) 2022-08-22
NL2021842B1 (en) 2020-05-13
TW202017735A (zh) 2020-05-16
BR112021005095B1 (pt) 2024-01-30
CN111070747A (zh) 2020-04-28
US20210339493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29728A1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315303B1 (ko) 타이어 제조 드럼 및 타이어 제조 방법
JP2009006600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JP2008302558A (ja) タイヤ加硫成形型
US20020104620A1 (en) Tyre-assembling apparatus
TWI820230B (zh) 輪胎成型鼓和用於輪胎成型的方法
JP6738425B2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6738426B2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6701350B2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6738427B2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6179644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