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403A -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403A
KR20210076403A KR1020190167558A KR20190167558A KR20210076403A KR 20210076403 A KR20210076403 A KR 20210076403A KR 1020190167558 A KR1020190167558 A KR 1020190167558A KR 20190167558 A KR20190167558 A KR 20190167558A KR 20210076403 A KR20210076403 A KR 2021007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assistance device
module
vehic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721B1 (ko
Inventor
김기현
신후상
유성민
Original Assignee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721B1/ko
Priority to PCT/KR2019/017802 priority patent/WO20211253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7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 수를 최소화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도록 한 것은 물론, 발판의 슬라이딩 동작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진동이나 소음발생이 적으며,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이 어려운 비상시에는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발판을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SLIDE TYPE VEHICLE BOARDING AID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 수를 최소화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도록 한 것은 물론, 발판의 슬라이딩 동작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진동이나 소음발생이 적으며,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이 어려운 비상시에는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발판을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승합차와 같은 다인승 차량은 차체가 높아 사용자들의 승하차시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유모차를 끌고 승하차하는 승객, 노약자 등은 차량에 마련된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가 채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3)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차량(2)에 탑승하기 위해서 발판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1)를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1)는 발판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에 따라 크게 수동형과 자동형으로 구분되는데, 대다수의 유럽국가에서는 수동형을 주로 사용하며, 미국을 비롯한 국내에서는 자동형이 주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1)는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고장에 따른 유지 보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1)는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의 슬라이딩 동작이 불안정하여 소음과 진동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이 어려운 경우에는 차량의 이동이 어렵게 되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52833호(2009.05.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부품 수를 최소화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도록 한 것은 물론, 발판의 슬라이딩 동작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진동이나 소음발생이 적으며,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이 어려운 비상시에는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발판을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는, 차량의 출입문 하부에 설치되어 승객의 탑승을 돕기 위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로서, 전면이 개구된 출입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 양측단부에 휠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프레임;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진출 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출입구를 통해 인출되어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고 후퇴 시 상기 본체 케이싱에 인입되도록 한 발판;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진퇴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선단부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여 궤도를 형성하여 상기 궤도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끌고 진퇴시켜주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체계를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전측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는 각각 상기 발판의 진퇴 시 상기 발판의 측단부를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모듈이 더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일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모듈본체, 상기 모듈본체에 설치된 수평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측단부 상면과 하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발판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하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와, 상기 모듈본체에 설치된 수직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측단부 측변을 접촉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발판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측부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모듈의 모듈본체는 일면에 부분적으로 요입되어 상기 측부롤러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입홈과, 일면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이격공간을 두고 돌출되어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가 설치되는 상부 돌부 및 하부 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보조기어와, 상기 보조기어의 중심부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단부 머리에는 렌치홈이 형성된 조작볼트를 더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작동 없이도 수작업을 통해 슬라이드 프레임 및 발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 양측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휠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방향 홈에 대응하여 인입되는 삼각돌기 단면의 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휠이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며, 휠과 레일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의 선단변을 따라 설치되어 전방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라인형 감지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발판의 선단변을 따라 선단변 모서리부까지 감싼 형태로 설치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고, 몸체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라인형의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부재가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눌리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의 선단부 몰드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대응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을 가로 질러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체인이 지나는 인근 지점에 힌지결합되는 V자형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을 치합된 상태로 당기면서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용 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의 타단부를 당겨주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장력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양측단부를 각각 3점 지지하는 안정적인 지지에 의해 발판이 슬라이딩 중 진동이나 소음발생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이 어려운 비상시에는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발판을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이동에 불편을 주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의 상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본체 케이싱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의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가이드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구동모터의 작동없이 슬라이드 프레임 및 발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작업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발판의 선단부에 설치된 감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발판의 선단부에 설치된 감지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장력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의 상면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본체 케이싱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의 참조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서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는 본체 케이싱(110), 슬라이드 프레임(120), 발판(130), 가이드부재(140), 가이드모듈(150), 동력전달체계, 감지모듈(170), 장력조절부재(18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은 위와 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부품 수를 최소화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도록 한 것은 물론, 발판(130)의 슬라이딩 동작이 다점 지지구조에 의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진동이나 소음발생이 적으며, 구동모터(161)에 의한 구동이 어려운 비상시에는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발판(130)을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체 케이싱(110)은 전면이 개구된 출입구를 갖는 납작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출입문 하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은 상기 본체 케이싱(1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본체프레임(121) 양측단부에는 구름용 휠(122)을 구비하여 레일(140a,140b)을 따라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휠(122)의 외주면에는 레일(140a,140b)을 따라 경로이탈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40a,140b) 일부가 인입되는 둘레방향 홈(122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은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체인(164)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64)에 의해 끌려가는 형태로 전후방향으로 진퇴하게 된다.
상기 발판(130)은 슬라이드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진출 시 본체 케이싱(110)의 출입구를 통해 인출되어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고 후퇴 시에는 본체 케이싱(110)에 다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발판(130)이 본체 케이싱(110)에서 인출되면 그 선단부가 지면에 자연스럽게 착지되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프레임(120)과 발판(130) 간에는 서로의 각도 변환을 허용하는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발판(130)의 둘레부에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몰드(131) 처리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체계는 구동모터(161)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진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체계는 본체 케이싱(11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6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162)와,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종동기어(163)와, 상기 구동기어(162)와 종동기어(163)를 연결하여 궤도를 형성하여 궤도를 따라 순환하면서 슬라이드 프레임(120)을 끌고 진퇴시켜주는 체인(164)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이 구동기어(162)와 종동기어(163), 체인(164)을 이용한 동력전달체계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구동모터(161)의 회전력을 넓은 범위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에 적용하기 유리하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체계에는 고장 시를 대비하여 구동기어(162) 또는 종동기어(163)와 치합되는 보조기어(165)와, 상기 보조기어(615)의 중심부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단부 머리에는 렌치홈(166a)이 형성된 조작볼트(166)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구동모터(161)의 작동없이도 수작업을 통해 슬라이드 프레임(120) 및 발판(13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판(130)이 본체 케이싱(110) 내부로 인입되지 않아 차량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본체 케이싱(110)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휠(122)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가 ㄷ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휠(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방향 홈(122a)에 대응하여 인입되는 삼각돌기 단면의 레일(140a,140b)을 구비한다. 이로써 슬라이드 프레임(120)의 휠(122)이 경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으며, 특히 레일(140a,140b)이 경사면을 갖는 삼각돌기 단면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휠(122)과 레일(140a,140b)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서 고착되는 고질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모듈(150)은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전측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며 상기 발판(130)의 진퇴 시 그 측단부를 접촉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모듈(150)은 독특한 형상을 갖는 모듈본체(151)와, 상기 모듈본체(151)에 설치되어 발판(130)의 양측단부를 각각 안정적으로 3점 지지하는 상부 롤러(152), 하부 롤러(153) 및 측부 롤러(1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모듈(150)의 모듈본체(151)는 일면에 부분적으로 요입되어 상기 측부 롤러(154)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입홈(151d)과, 일면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이격공간(151a)을 두고 돌출되어 상부 롤러(152)와 하부 롤러(153)가 설치되는 상부 돌부(151b) 및 하부 돌부(151c)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돌부(151b)와 하부 돌부(151c) 사이의 이격공간(151a)은 발판(130)의 측단부가 부분 인입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발판(130)의 측단부와 측부 롤러(154)와 간섭없이 접촉하도록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모듈(150)의 상부 롤러(152) 및 하부 롤러(153)는 상기 모듈본체(151)의 상부 돌부(151b) 및 하부 돌부(151c)에 설치된 수평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판(130)의 측단부 상면과 하면을 접촉하여 지지한다. 이로써 상기 발판(130)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듈(150)의 측부 롤러(154)는 상기 모듈본체(151)의 요입홈(151d)에 설치된 수직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판(130)의 측단부 측변을 접촉하여 지지한다. 이로써 상기 발판(130)의 좌우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처럼 상부 롤러(152) 및 하부 롤러(153), 측부 롤러(154)에 의해 발판(130)의 양측단부가 각각 3점 지지된 상태가 되면 발판(130)의 이동 시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감지모듈(170)은 발판(130)의 선단변을 따라 설치되어 전방 장애물을 감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모듈(17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라인형의 감지센서(171)와, 상기 감지센서(171)의 설치와 보호를 위해 상기 감지센서(171)를 수용하는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고 몸체 일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L자 단면의 끼움돌기(172b)를 구비하는 튜브부재(172)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튜브부재(172)의 구성에 따라 상기 발판(130)의 선단부 몰드(111)에는 상기 끼움돌기(172b)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111a)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감지모듈(170)을 간단히 설치 가능하며 발판(130)의 선단변 전체에 대하여 장애물 접촉에 따른 감지기능이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71)는 접촉압에 의해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라인형의 센서일수도 있지만, 상기 튜브부재(172)에 대한 접촉 시 발생하는 공기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 감지센서(171)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공기압 감지센서(171)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튜브부재(172)의 중공 중 일단을 차단하고 반대편 타단에 공기압 감지센서(171)를 간단히 설치하면 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180)는 동력전달용 체인(164)의 처짐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장력조절부재(18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케이싱(110)을 가로 질러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8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81)에서 체인(164)이 지나는 인근 지점에 힌지(182a) 결합된 형태로 설치되는 V자형 링크(182)와, 상기 링크(18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체인(164)을 치합된 상태로 당기면서 상기 체인(164)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용 기어(18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81)에 설치되어 링크(182)의 타단부를 당겨주는 스프링(1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81)를 중심으로 링크(182), 장력조절용 기어(184)와 스프링(183)이 하나로 결합된 모듈로 구비되는 것이 설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본체 케이싱 120: 슬라이드 프레임
130: 발판 140: 가이드부재
150: 가이드모듈 161: 구동모터
162: 구동기어 163: 종동기어
164: 체인 165: 보조기어
166: 조작볼트 170: 감지모듈
180: 장력조절부재

Claims (8)

  1. 차량의 출입문 하부에 설치되어 승객의 탑승을 돕기 위한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로서,
    전면이 개구된 출입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
    양측단부에 휠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프레임;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진출 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출입구를 통해 인출되어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고 후퇴 시 상기 본체 케이싱에 인입되도록 한 발판;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진퇴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선단부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여 궤도를 형성하여 상기 궤도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끌고 진퇴시켜주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체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전측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는 각각 상기 발판의 진퇴 시 상기 발판의 측단부를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모듈이 더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일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모듈본체, 상기 모듈본체에 설치된 수평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측단부 상면과 하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발판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하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와, 상기 모듈본체에 설치된 수직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측단부 측변을 접촉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발판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측부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의 모듈본체는 일면에 부분적으로 요입되어 상기 측부롤러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입홈과, 일면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이격공간을 두고 돌출되어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가 설치되는 상부 돌부 및 하부 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보조기어와, 상기 보조기어의 중심부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단부 머리에는 렌치홈이 형성된 조작볼트를 더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없이도 수작업을 통해 슬라이드 프레임 및 발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 양측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휠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방향 홈에 대응하여 인입되는 삼각돌기 단면의 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휠이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며, 휠과 레일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선단변을 따라 설치되어 전방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라인형 감지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발판의 선단변을 따라 선단변 모서리부까지 감싼 형태로 설치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고, 몸체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라인형의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부재가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눌리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의 선단부 몰드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대응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을 가로 질러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체인이 지나는 인근 지점에 힌지결합되는 V자형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을 치합된 상태로 당기면서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조절용 기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의 타단부를 당겨주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모듈형태의 장력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KR1020190167558A 2019-12-16 2019-12-16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KR10232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58A KR102320721B1 (ko) 2019-12-16 2019-12-16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PCT/KR2019/017802 WO2021125368A1 (ko) 2019-12-16 2019-12-16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58A KR102320721B1 (ko) 2019-12-16 2019-12-16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403A true KR20210076403A (ko) 2021-06-24
KR102320721B1 KR102320721B1 (ko) 2021-11-03

Family

ID=7647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58A KR102320721B1 (ko) 2019-12-16 2019-12-16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0721B1 (ko)
WO (1) WO20211253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5738A (zh) * 2021-09-22 2021-11-30 东风越野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上车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20410783A1 (en) * 2021-06-25 2022-12-29 Hyundai Motor Company Ramp system of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317A (ko) * 1995-12-27 1997-07-26 전성원 자동차의 타이밍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090052833A (ko) 2008-10-20 2009-05-26 이바도 출력제어기능을 갖는 무선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권한부여 시스템
KR101022041B1 (ko) * 2008-10-31 2011-03-16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램프
KR20190053385A (ko) * 2017-11-10 2019-05-20 황성공업 주식회사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381Y2 (ja) * 1992-08-13 1998-12-02 東進物産株式会社 車輌用電動格納式補助ステップの制御装置
CN201354040Y (zh) * 2008-12-23 2009-12-02 林会明 车用无障碍通道双电机导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317A (ko) * 1995-12-27 1997-07-26 전성원 자동차의 타이밍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090052833A (ko) 2008-10-20 2009-05-26 이바도 출력제어기능을 갖는 무선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권한부여 시스템
KR101022041B1 (ko) * 2008-10-31 2011-03-16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램프
KR20190053385A (ko) * 2017-11-10 2019-05-20 황성공업 주식회사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0783A1 (en) * 2021-06-25 2022-12-29 Hyundai Motor Company Ramp system of vehicle
CN113715738A (zh) * 2021-09-22 2021-11-30 东风越野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上车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368A1 (ko) 2021-06-24
KR102320721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910B1 (ko) 전동식 스텝장치
US5380144A (en) Deployable vehicle access ramp
US10106069B2 (en) Retractable step having a lifting and ramp function
KR102320721B1 (ko)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용 탑승 보조장치
US7934736B2 (en) Boarding and/or access aid for vehicles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US10800435B2 (en) Safety footboard for rail transit platform
CN103010240B (zh) 轨道客车车体
US20160074261A1 (en) Vehicle wheelchair lift
EP3589524B1 (de) Schiebetritt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oder für ein schienenfahrzeug
KR102044445B1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100900590B1 (ko) 차량용 보조 발판 장치
CN104386068B (zh)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的防撞结构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JP6018713B2 (ja) 旅客搭乗橋
KR10185481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200422025Y1 (ko) 차량용 보조발판의 구조
JP2018172076A (ja) 車両用乗降装置
KR200261407Y1 (ko) 전철차량용 보조발판
KR20120118317A (ko) 어린이통학 버스용 보조발판장치
CN216139984U (zh) 一种交通设备及其电动伸缩踏板装置
KR200351311Y1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200489413Y1 (ko) 승강장의 안전발판
US20220218541A1 (en) Control device of vehicle, vehicle, and method of activating door to open and close and slope plate to deploy
JP2003335158A (ja) 身体障害者用車両
CN217455837U (zh) 一种安全性能强的客车翻转踏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