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251A -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 Google Patents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251A
KR20210076251A KR1020190166718A KR20190166718A KR20210076251A KR 20210076251 A KR20210076251 A KR 20210076251A KR 1020190166718 A KR1020190166718 A KR 1020190166718A KR 20190166718 A KR20190166718 A KR 20190166718A KR 20210076251 A KR20210076251 A KR 2021007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enter rail
center
locking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인
김병우
유지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251A/ko
Priority to US16/801,970 priority patent/US11414905B2/en
Priority to DE102020203441.9A priority patent/DE102020203441A1/de
Priority to CN202010200198.3A priority patent/CN112983153B/zh
Publication of KR2021007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05B85/045Strikers for bifurca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5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pair of bifurca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7Bolts rotating about an axis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8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05D2015/10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에 직선형 센터 레일이 장착된 차량에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 레버 간 락킹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는, 센터 롤러부에 센터 레일의 폭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레버와 제2 레버가 포함되고, 제1 레버가 센터 레일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한 후 제2 레버와 락킹되는 제1 자세와, 제2 레버가 센터 스윙암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한 후 제1 레버와 락킹되는 제2 자세를 오가면서 도어의 유동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LOCKING STRUCTURE FOR CENTER RAIL OF OPPOSED TYPE SLIDING DOOR}
본 발명은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에 직선형 센터 레일이 장착된 차량에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 레버 간 락킹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차실 개폐 도어 중 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와 리어 슬라이딩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 또는 도어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차실 개폐 도어는,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 도어의 중부를 지지하는 센터 레일(10)이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도어(1)를 구성하는 도어 인너 판넬(6)과 도어 아웃터 판넬(7) 사이 공간으로 도어 글라스(3)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런데, 곡선형 센터 레일(10)이 도어(1)에 장착되면 센터 레일(10)의 일단은 굴곡되어 도어 아웃터 판넬(7)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센터 레일(10)의 일단이 굴곡된 영역(도 2의 X 참조)에는 도어 인너 판넬(6)과 도어 아웃터 판넬(7)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결국 도어 글라스(3)가 장착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즉, 상술한 곡선형 센터 레일(10)이 장착된 차량에는 플래그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4) 및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디비젼 찬넬(5a, 5b)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제약되고, 상술한 부품 추가 적용으로 인한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곡선형 센터 레일이 장착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558413호(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가 있다.
제10-0558413호(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도어에 직선형 센터 레일을 적용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간단한 구성으로 직선형 센터 레일에 락킹 또는 언락킹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발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는, 슬라이딩 도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직선형 센터 레일; 상기 센터 레일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센터 롤러부; 및 상기 센터 롤러부 및 차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센터 스윙암;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롤러부는 상기 센터 레일의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을 회전 가능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센터 레일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한 후 상기 제2 레버와 락킹되는 제1 자세와,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센터 스윙암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한 후 상기 제1 레버와 락킹되는 제2 자세를 오가되,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센터 레일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서 걸림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에 직선형 센터 레일이 적용됨으로써 디자인 자유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는 그 구성 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되므로, 고장난 부품만 분리하여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의 락킹 또는 언락킹 동작으로 센터 롤러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곡선형 센터 레일이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가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와 레버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레버 및 제2 레버가 제1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1 레버 및 제2 레버가 제2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는 슬라이딩 도어(1)(이하, '도어'라 한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직선형 센터 레일(100)(이하 '센터 레일'이라 한다)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도어(1)는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는 프론트 도어 및/또는 리어 도어의 센터 레일(100)에 적용된다. 따라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각각 적용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같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가 프론트 도어 또는 리어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1)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가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레일(100)은 직선형이다. 즉, 도어(1)에 장착된 곡선형 센터 레일(10)과 달리 직선형 센터 레일(100)은 도어(1)의 도어 인너 판넬(6) 및 도어 아웃터 판넬(7)과 평행하고, 센터 레일(100)의 일단은 도어(1)의 내측 방향을 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1)의 도어 인너 판넬(6)과 도어 아웃터 판넬(7) 사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직선형 센터 레일(100)을 도어(1)에 장착하는 것이 곡선형 센터 레일(10)을 도어(1)에 장착하는 것 보다 디자인 자유도가 증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터 레일(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센터 레일 홈(101)이 형성되고, 센터 레일 홈(101)은 후술할 센터 롤러부(200)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터 롤러부(200)의 이동 경로가 된다.
센터 레일(100)에는 그 폭방향으로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가 형성된다.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는 센터 레일(100)의 일측에 형성되는데, 도어(1)가 리어 도어라면 도 5를 기준으로 센터 레일(100)의 오른쪽 위치에 형성되고, 도어(1)가 프론트 도어라면 도 5를 기준으로 센터 레일(100)의 왼쪽 위치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도 7은 도 6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센터 롤러부(200)는 슬라이더(210), 하단 레버 지지부(220) 및 상단 레버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210)에는 베어링(21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어링(212)은 센터 레일 홈(101)에 안착되어 센터 레일 홈(101)의 내측벽에 닿으면서 회전이 가능하다. 슬라이더(210)에는 후술할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단 레버 지지부(220)가 형성된다. 하단 레버 지지부(220)에는 제1 레버 중심핀(242), 제2 레버 중심핀(244) 및 회전 제한 부재(246)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 제한 부재(246)에는 회전 제한 중심핀(247)이 삽입되나, 회전 제한 부재(246)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단 레버 지지부(220)에는 하단 스윙암 연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슬라이더(210)에는 하단 레버 지지부(220)를 마주보도록 상부에 위치한 상단 레버 지지부(23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단 레버 지지부(230)에는 제1 레버 중심핀(242), 제2 레버 중심핀(244) 및 회전 제한 중심핀(247)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단 레버 지지부(230)에 연결된 제1 레버 중심핀(242), 제2 레버 중심핀(244) 및 회전 제한 중심핀(247)은 상하단 레버 지지부(220, 23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단 레버 지지부(230)에는 상단 스윙암 연결홀(232)이 형성된다.
슬라이더(210)는 센터 스윙암(2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센터 스윙암(250)에는 상단 스윙암 연결홀(232) 및 하단 스윙암 연결홀(미도시)과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스윙암 연결핀(234)이 삽입되면 슬라이더(210)와 센터 스윙암(250)이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센터 스윙암(250)은 차체(2)에 고정 장착된 스윙암 브라켓(255)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터 스윙암(250)에는 센터 레일(100)의 폭 방향으로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센터 스윙암(250)이 회전하면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도 같이 회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레버(260)는 제1 레버 삽입홀(261),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262), 걸림부(264), 제1 락킹부(266) 및 제1 락킹홈(267)을 포함한다.
제1 레버(260)에는 제1 레버 중심핀(2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레버 삽입홀(26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레버 삽입홀(261)에 제1 레버 중심핀(242)이 삽입되면 제1 레버(260)는 제1 레버 중심핀(24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레버(260)는 제1 레버 중심핀(242)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레버 중심핀(242)이 고정되고 제1 레버(26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262)는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가 삽입되는 부위로, 제1 레버(260)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262)의 양측에는 제1 삽입 가이드 돌기(263a, 263b)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의 제1 삽입 가이드 돌기(263a)는 타측의 제1 삽입 가이드 돌기(263b) 보다 그 길이가 길다.
걸림부(264)는 회전 제한 부재(246)에 걸리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걸림부(264)는 걸림면(264-1)을 포함하는데, 제1 레버(260)가 회전하다가 걸림면(264-1)이 회전 제한 부재(246)에 닿으면 회전이 제한된다.
제1 락킹부(266)는 제2 레버(270)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1 락킹부(266)는 대략 경사진 형상의 제1-1 락킹 형성면(266-1)과 제1-2 락킹 형성면(266-2)에 의해 형성된다. 제1-1 락킹 형성면(266-1)과 걸림면(264-1)은 서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만나 걸림홈(265)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2 락킹 형성면(266-2)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제1 락킹홈(267)은 제2 레버(270)에 걸리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진다. 제1 락킹홈(267)은 제1-2 락킹 형성면(266-2)과 대략 경사진 형상의 제1-3 락킹 형성면(267-1)에 의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레버(270)는 제2 레버 삽입홀(271), 제2 스트라이커 삽입부(272), 제2 락킹부(276) 및 제2 락킹홈(277)을 포함한다.
제2 레버(270)에는 제2 레버 중심핀(24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레버 삽입홀(27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레버 삽입홀(271)에 제2 레버 중심핀(244)이 삽입되면 제2 레버(270)는 제2 레버 중심핀(244)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레버(270)는 제2 레버 중심핀(244)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레버 중심핀(244)이 고정되고 제2 레버(270)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스트라이커 삽입부(272)는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가 삽입되는 부위로, 제2 레버(270)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의 형상을 갖는다. 제2 스트라이커 삽입부(272)의 양측에는 제2 삽입 가이드 돌기(273a, 273b)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의 제2 삽입 가이드 돌기(273a)는 타측의 제2 삽입 가이드 돌기(273b) 보다 그 길이가 길다.
제2 락킹부(276)는 제1 레버(260)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2 락킹부(276)는 대략 경사진 형상의 제2-1 락킹 형성면(276-1)과 제2-2 락킹 형성면(276-2)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1 락킹 형성면(276-1)은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제2-2 락킹 형성면(276-2)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제2 락킹부(276)는 제1 락킹홈(267)에 삽입 가능하다.
제2 락킹홈(277)은 제1 레버(260)에 걸리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진다. 제2 락킹홈(277)은 제2-2 락킹 형성면(276-2)과 대략 경사진 형상의 제2-3 락킹 형성면(277-1)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락킹부(266)는 제2 락킹홈(277)에 삽입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버(270)에는 제2 스프링 단부 삽입홀(275)이 형성된다. 제2 스프링 단부 삽입홀(275)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와 레버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에는 회전에 의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레버 스프링(280)이 연결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레버 스프링(280)은 2 개의 코일 스프링인 제1 스프링(281)과 제2 스프링(285)이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레버 스프링(280)은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스프링(281)에는 제1 레버 중심핀(2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스프링 삽입홀(282)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281)의 일단은 제2 스프링(285)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절곡된 형상의 제1 스프링 단부(283)가 형성된다.
제2 스프링(285)에는 제2 레버 중심핀(24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스프링 삽입홀(286)이 형성된다. 제2 스프링(285)의 일단은 제1 스프링(281)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절곡된 형상의 제2 스프링 단부(287)가 형성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난 제1 스프링 단부(283) 및 제2 스프링 단부(287)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서, 이를 스프링 평형 상태라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281)은 제1 레버(26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스프링(285)은 제2 레버(27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스프링 단부(283)는 제1 레버(260)의 제1-1 락킹 형성면(266-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제2 스프링 단부(287)는 제2 레버(270)의 제2 스프링 단부 삽입홀(275)에 삽입된다.
도 12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레버 및 제2 레버가 제1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1 레버 및 제2 레버가 제2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F1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1)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262)에는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가 삽입되고, 제1 락킹부(266)는 제2 락킹홈(277)에 삽입되며(락킹 상태), 걸림부(264)는 회전 제한 부재(24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1)에 F1 방향으로 외력이 더 작용해도 도어(1)는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다. 여기서, 제1 레버(260)는 센터 레일(100)과 대략 수직되는 자세를 취하고 제2 레버(270)는 센터 레일(100)과 대략 평행한 자세를 취하는데, 이를 제1 자세라 한다.
제1 자세에서 제1 스프링 단부(283)는 걸림홈(265)에 걸린 상태이고, 제2 스프링 단부(287)는 제2 스프링 단부 삽입홀(275)에 삽입된 상태이다. 여기서,제2 스프링(285)은 스프링 평형 상태이나, 제1 스프링(281)은 제1 스프링 단부(283)가 스프링 평형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회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레버(260)에는 제1 스프링(28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이 작용한다. 다만, 제1 레버(260)와 제2 레버(270)가 서로 락킹된 상태이므로, 제1 레버(2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F2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센터 스윙암(250)이 회전하면서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가 제2 스트라이커 삽입부(272)에 삽입된다. 여기서, 일측의 제2 삽입 가이드 돌기(273a)가 타측의 제2 삽입 가이드 돌기(273b) 보다 길이가 더 기므로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의 삽입이 용이하다.
제2 레버(270)는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레버(270)가 회전하면 제1 락킹부(266)는 제2 락킹홈(267)에서 인출되고(언락킹 상태), 제1 레버(260)는 제1 스프링(281)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262)로부터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가 인출된다.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가 계속해서 회전하다가 제1-2 락킹 형성면(266-2)과 제2-1 락킹 형성면(276-1)이 맞닿게 되면 제2 락킹부(276)는 제1 락킹홈(267)에 삽입되고(락킹 상태), 제2 삽입 가이드 돌기(273a)는 회전 제한 부재(24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10)는 센터 레일(100)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도어(1)는 열리게 된다. 여기서, 제1 레버(260)는 센터 레일(100)과 대략 평행한 자세를 취하고 제2 레버(270)는 센터 레일(100)과 대략 수직되는 자세를 취하는데, 이를 제2 자세라 한다.
이때, 제1 스프링(281)은 제1 스프링 단부(283)가 스프링 평형 상태가 되도록 걸림홈(265)에서 제1-1 락킹 형성면(266-1)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스프링(285)은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제2 레버(270)에는 제2 스프링(285)에 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이 작용한다. 다만, 제1 레버(260)와 제2 레버(270)가 서로 락킹된 상태이므로, 제2 레버(27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어(1)가 열린 상태(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닫힌 상태(도 12에 도시된 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 F1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슬라이더(21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다가,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가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262)에 삽입된다. 여기서, 일측의 제1 삽입 가이드 돌기(263a)가 타측의 제1 삽입 가이드 돌기(263b) 보다 길이가 더 기므로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의 삽입이 용이하다.
제1 레버(260)는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103)에 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레버(260)가 회전하면 제2 락킹부(276)는 제1 락킹홈(267)에서 인출되고(언락킹 상태), 제2 레버(270)는 제2 스프링(285)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스트라이커 삽입부(272)로부터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가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스윙암(250)이 더 회전하면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253)는 완전히 인출된다.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가 계속해서 회전하다가 제1-2 락킹 형성면(266-2)과 제2-3 락킹 형성면(277-1)이 맞닿게 되면 제1 락킹부(266)는 제2 락킹홈(277)에 삽입되고(락킹 상태), 걸림부(264)는 회전 제한 부재(246)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는 제1 자세를 취하고, 도어(1)에 F1 방향으로 외력이 더 작용해도 도어(1)는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에 F1 및 F2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제1 레버(260) 및 제2 레버(270)가 서로 락킹된 제1 자세 및 제2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 도어(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도어 2 : 차체
3 : 도어 글라스 4 : 플래그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5a, 5b : 디비젼 찬넬 6 : 도어 인너 판넬
7 : 도어 아웃터 판넬 10 : 곡선형 센터 레일
100 : 직선형 센터 레일 101 : 센터 레일 홈
103 :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 200 : 센터 롤러부
210 : 슬라이더 212 : 베어링
220 : 하단 레버 지지부 230 : 상단 레버 지지부
232 : 상단 스윙암 연결홀 234 : 스윙암 연결핀
242 : 제1 레버 중심핀 244 : 제2 레버 중심핀
246 : 회전 제한 부재 247 : 회전 제한 중심핀
250 : 센터 스윙암 253 :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
255 : 스윙암 브라켓 260 : 제1 레버
261 : 제1 레버 삽입홀 262 : 제1 스트라이커 삽입부
263a, 263b : 제1 삽입 가이드 돌기 264 : 걸림부
264-1 : 걸림면 265 : 걸림홈
266 : 제1 락킹부 266-1 : 제1-1 락킹 형성면
266-2 : 제1-2 락킹 형성면 267 : 제1 락킹홈
267-1 : 제1-3 락킹 형성면 270 : 제2 레버
271 : 제2 레버 삽입홀 272 : 제2 스트라이커 삽입부
273a, 273b : 제2 삽입 가이드 돌기 275 : 제2 스프링 단부 삽입홀
276 : 제2 락킹부 276-1 : 제2-1 락킹 형성면
276-2 : 제2-2 락킹 형성면 277 : 제2 락킹홈
277-1 : 제2-3 락킹 형성면 280 : 레버 스프링
281 : 제1 스프링 282 : 제1 스프링 삽입홀
283 : 제1 스프링 단부 285 : 제2 스프링
286 : 제2 스프링 삽입홀 287 : 제2 스프링 단부

Claims (10)

  1. 슬라이딩 도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직선형 센터 레일;
    상기 센터 레일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센터 롤러부; 및
    상기 센터 롤러부 및 차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센터 스윙암;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롤러부는 상기 센터 레일의 폭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을 회전 가능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센터 레일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한 후 상기 제2 레버와 락킹되는 제1 자세와,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센터 스윙암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한 후 상기 제1 레버와 락킹되는 제2 자세를 오가되,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센터 레일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서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센터 스윙암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하면 상기 제2 레버와 상기 제1 레버는 락킹 해제 상태를 거친 후 상기 제2 자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센터 레일에 형성된 걸림 부위에 걸려 회전하면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락킹 해제 상태를 거친 후 상기 제1 자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레일에는 상기 제1 레버가 걸려 회전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된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스윙암에는 상기 제2 레버가 걸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센터 레일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삽입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센터 롤러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삽입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삽입 가이드 돌기 중 일측에 형성된 제1 삽입 가이드 돌기는 타측에 형성된 제1 삽입 가이드 돌기 보다 길고, 복수의 제2 삽입 가이드 돌기 중 일측에 형성된 제2 삽입 가이드 돌기는 타측에 형성된 제2 삽입 가이드 돌기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레버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1 락킹부; 및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제2 레버에 걸리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락킹홈;을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락킹홈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2 락킹부; 및
    상기 제1 락킹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갖는 제2 락킹홈;을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롤러부에는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레버에는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 제한 부재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KR1020190166718A 2019-12-13 2019-12-13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KR20210076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718A KR20210076251A (ko) 2019-12-13 2019-12-13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US16/801,970 US11414905B2 (en) 2019-12-13 2020-02-26 Locking structure for a rectilinear center rail for opposite sliding doors
DE102020203441.9A DE102020203441A1 (de) 2019-12-13 2020-03-18 Verriegelungsstruktur für eine geradlinige Mittelschiene für gegenüberliegende Schiebetüren
CN202010200198.3A CN112983153B (zh) 2019-12-13 2020-03-20 用于对开式滑动门的直线型中部导轨的锁定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718A KR20210076251A (ko) 2019-12-13 2019-12-13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51A true KR20210076251A (ko) 2021-06-24

Family

ID=7608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718A KR20210076251A (ko) 2019-12-13 2019-12-13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4905B2 (ko)
KR (1) KR20210076251A (ko)
CN (1) CN112983153B (ko)
DE (1) DE102020203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95A (ko) * 2020-10-07 2022-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용 4절링크형 유동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13B1 (ko) 2004-06-19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714A (ja) * 1996-02-23 1997-09-0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スライド扉全開保持装置
JP4114851B2 (ja) * 2001-07-27 2008-07-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JP5040512B2 (ja) * 2006-10-27 2012-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100946496B1 (ko) * 2008-07-25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도어 구조
US8276316B2 (en) * 2009-06-23 2012-10-02 Shiroki Corporation Sliding door device
KR101886445B1 (ko) * 2012-10-19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542980B1 (ko) *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JP2016175522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13B1 (ko) 2004-06-19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83153A (zh) 2021-06-18
US11414905B2 (en) 2022-08-16
DE102020203441A1 (de) 2021-06-17
US20210180371A1 (en) 2021-06-17
CN112983153B (zh)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691B2 (en) Refrigerator
US11313163B2 (en) Link type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KR102603543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030016658A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구조
JP2016084078A (ja) 車両用ドア構造
CN112895858A (zh) 用于防止对开式滑动门摇动的结构
KR20210076251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US11603692B2 (en) Locking structure for rectilinear center rail for opposite sliding doors
US11525294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rom swaying
KR20200125003A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KR2021007488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방지를 위한 x자형 가이드 바 구조
KR100448766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262284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JP2019183415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JPH03260277A (ja) 丁番
KR20070044654A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23009368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0707436B1 (ko) 냉장고 도어의 사이드 개스킷 분리 장치
KR20040024367A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20060062515A (ko) 롤러식 도어 체커
KR100456517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차체에 대한 장착 구조
KR100432076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 안내구조
JPH094301A (ja) 中折りドア類の施解錠装置
KR20230061245A (ko)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
KR20230137017A (ko) 슬라이딩과 회전을 이용한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