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978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978A
KR20210075978A KR1020217008204A KR20217008204A KR20210075978A KR 20210075978 A KR20210075978 A KR 20210075978A KR 1020217008204 A KR1020217008204 A KR 1020217008204A KR 20217008204 A KR20217008204 A KR 20217008204A KR 20210075978 A KR20210075978 A KR 20210075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formation processing
cooking utensil
utensi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타카 스즈키
히로아키 오가와
토비아스 신카렉
가즈키 오치아이
노리코 도츠카
가나코 와타나베
쇼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75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K9/205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여 경고 출력, 혹은 조리 기구의 교환 제어 등을 행하는 구성을 실현한다.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는다. 적정 판정부는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유저에 대하여, 표시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의한 경고를 출력한다. 또는, 조리 실행자인 조리 로봇에,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리 기구를 이용한 조리를 행할 때에, 조리 기구의 선택이나 교환, 혹은 소독 등의 처리를 유저 또는 로봇에게 실행시켜, 위생적인 조리를 실현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요즘, 다양한 요리에 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유저는, 레시피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레시피를 취득하여 다양한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를 이용한 처리에 대하여 개시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9-54042호 공보)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은, 레시피 정보뿐만 아니라, 유저의 이용 가능한 조리 기구 등도 고려한 조리 공정을 제안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조리 기기나 조리 기구 정보를 등록한 조리 기기 데이터베이스와, 유저 소유의 조리 기기의 개수 등을 등록한 유저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가 이용 가능한 조리 방법을 선택하여 유저에게 제시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다양한 식재를 이용한 요리를 행하는 경우, 식칼이나 도마를 돌려쓰면, 고기나 생선 등의 균이 생식용의 샐러드 등의 야채 등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조리에 의해 완성된 요리를 먹으면 식중독의 위험성이 있다.
레시피 정보의 제공 서비스는 다수, 존재하지만, 위생면에 대하여 고려한 기구의 선택, 교환, 소독 등에 관한 정보는, 유저에게 충분히 통지되지 않기 때문에, 금후, 위생면에서의 문제가 다발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54042호 공보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위생면을 담보한 조리 기구의 사용을 행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람이나 로봇이 다양한 조리 기구를 이용한 조리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조리 기구를 감시함과 함께, 조리 기구의 선택이나 교환, 혹은 소독 등의 처리를 유저 또는 로봇에게 실행시킴으로써, 위생적인 조리를 실현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조리를 실행하는 조리 로봇과,
상기 조리 로봇이 실행하는 조리를 감시하는 조리 감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고,
상기 조리 감시 장치는,
상기 조리 로봇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고,
적정 판정부가,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조리를 실행하는 조리 로봇과,
상기 조리 로봇이 실행하는 조리를 감시하는 조리 감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고,
상기 조리 감시 장치가,
상기 조리 로봇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적정 판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5 측면은,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고,
적정 판정부에,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시키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적정 판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의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의 출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다양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나 컴퓨터·시스템에 대하여, 컴퓨터 가독의 형식으로 제공하는 기억 매체, 통신 매체에 의해 제공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가독의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나 컴퓨터·시스템 상에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가 실현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이고,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 것에 한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여 경고 출력, 혹은 조리 기구의 교환 제어 등을 행하는 구성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는다. 적정 판정부는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유저에 대하여, 표시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의한 경고를 출력한다. 또는, 조리 실행자인 조리 로봇에,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본 구성에 의해,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여 경고 출력, 혹은 조리 기구의 교환 제어 등을 행하는 구성이 실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조리 기구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조리 기구 상태 정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출력하는 경고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조리 기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조리 기구의 소독, 세정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조리 기구의 소독, 세정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조리 기구의 소독, 세정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조리 기구의 소독, 세정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조리 기구의 소독, 세정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항목을 따라서 행한다.
1.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의 구성과 처리에 대해서
2.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3.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의 구성과 처리에 대해서
4.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5.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행하는 구성예에 대해서
6.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7. 본 개시의 구성의 정리
[1.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의 구성과 처리에 대해서]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조리 감시 장치)는, 이하의 2개의 구성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구성예 1)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
(구성예 2)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
이들 각 구성예에 대해서, 순차, 설명한다. 먼저,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의 구성과 처리에 대하여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인 조리 감시 장치(10)와, 키친 시스템(30)을 도시하고 있다.
키친 시스템(30)에서는 유저(사람)(20)가 조리를 행한다.
조리 감시 장치(10)는, 유저(사람)(20)가, 위생면에 문제가 있는 조리 기구를 이용할 가능성을 검출한 경우, 얼러트(경고)를 출력하여, 위험한 조리 기구의 이용을 회피시키고, 조리 기구의 교환이나 소독을 실행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위생면을 담보한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키친 시스템(30)에는, 조리 기구 수납부(40)가 구비되고, 다양한 조리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고기 자르는 식칼, 야채 식칼, 소형 식칼, 국자, 고기 자르기 전용 도마, 야채 전용 도마 등, 다양한 조리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유저(20)는, 이들 조리 기구로부터 자유롭게 이용 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
키친 시스템(30)에는 카메라(33)가 마련되어, 조리대에서의 조리의 모습을 촬영한다. 촬영 화상은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냄새 센서, 휘도 센서, 음성 센서(마이크) 등, 다양한 센서(34)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센서 정보도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키친 시스템(30)에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형식의 입출력부(UI)(35)가 마련되어 있고, 유저(20)는, 이 입출력부(UI)(35)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할 수 있다.
조리 감시 장치(10)는, 카메라(33), 센서(34)의 검출 정보나, 입출력부(UI)(35)를 통한 유저 입력 정보 등으로부터, 유저(20)의 조리 대상의 식재 정보와,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정보를 해석하여,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인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얼러트(경고)를 출력한다.
얼러트(경고)는, 도면에 도시하는 키친 시스템(30)의 입출력부(UI)(35), 스피커(38), 사이렌(39) 등을 이용하여 출력된다.
유저(20)는, 얼러트 출력에 따라,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이 아님을 알아차리고, 조리 기구의 교환, 혹은 소독, 수세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날고기를 자른 식칼로 생야채 샐러드용 야채를 자른다고 하는 비위생의 조리가 방지되어, 위생적인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감시 장치(10)의 중요한 처리의 하나는, 유저(20)의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인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고기용 식칼로 고기를 자른 후, 소독이나 수세 등을 행하지 않고 야채를 자르려는 경우,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이 아니라고, 즉 매칭되지 않았다고 판정하여 얼러트를 출력한다.
조리 감시 장치(10)는,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적정한 조합에 관한 데이터, 즉, 매칭 데이터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유저(20)의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매칭 데이터의 구체예 및 이용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인 조리 감시 장치(10)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좌측에 키친 시스템(30), 우측에 조리 감시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키친 시스템(30)은, 데이터 입력부(31)와 데이터 출력부(32)를 갖는다.
데이터 입력부(31)는, 카메라(33), 센서(34), 입출력부(UI)(35)를 갖는다.
카메라(33)는, 조리대에서의 조리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 화상이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냄새 센서, 휘도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34)가 검출된 센서 정보도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터치 패널 형식의 입출력부(UI)(35)를 통한 유저 입력 정보도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센서는 조리 기구에도 구비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조리 기구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조리 기구의 예로서 식칼(41)과 도마(42)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조리 기구에도 센서(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센서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직접, 조리 감시 장치(10)에 센서 검출 정보를 송신한다.
센서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진동 검출 센서, 위치 센서, IMU(관성 계측 장치: Inertial Measurement unit) 등의 센서이고, 조리 기구의 움직임, 궤도, 위치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조리 감시 장치(10)에 송신한다.
또한, 조리 기구의 각각에는, 각 조리 기구의 식별 데이터인 기구 식별 데이터(45)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등록 상표)이다. 또한, 조리 기구의 각각에는, 조리 기구의 식별과 움직임을 해석하기 위한 컬러 마커(46)가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컬러 마커(46)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각 조리 기구의 위치나 움직임을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로 되돌아가, 조리 감시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감시 장치(10)는, 입출력 I/F(통신부)(101), 데이터 처리부(102), 기억부(103)를 갖는다.
데이터 처리부(102)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 식재 식별부(112), 조리 공정 해석부(113),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115)를 갖는다.
또한, 기억부(103)는,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 식재 식별용 사전(122), 레시피 정보(123),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를 갖는다.
또한, 기억부(103)의 저장 데이터는, 일부 또는 전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레시피 정보 등은, 외부의 레시피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부(102)의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이용하여, 키친 시스템(30)의 유저(20)가 이용 중 및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를 식별한다.
이 식별 처리는, 기억부(103)의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의 등록 데이터를 참조하여 행하여진다.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에는, 각 조리 기구의 화상 데이터, 기구 식별 데이터(QR 코드(등록 상표)) 대응의 코드 데이터 등이 등록되어 있고,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이들의 등록 데이터와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대조하여, 이용 기구를 식별한다.
식별된 이용 기구 정보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2)의 식재 식별부(112)는,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이용하여, 키친 시스템(30)의 유저(20)가 조리 중, 혹은 조리하려는 식재를 식별한다.
이 식별 처리는, 기억부(103)의 식재 식별용 사전(122)의 등록 데이터를 참조하여 행하여진다.
식재 식별용 사전(122)에는, 각 식재의 화상 데이터, 특징 정보(색, 형상, 냄새 등) 등이 등록되어 있고, 식재 식별부(112)는, 이들의 등록 데이터와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대조하여, 조리 대상의 식재를 식별한다.
식별된 식재 정보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조리 공정 해석부(113)는, 키친 시스템(30)의 입출력부(UI)(35)를 통해 유저(20)가 입력한 조리 예정인 요리명에 기초하여, 기억부(103)의 레시피 정보(123)로부터 레시피를 취득하여, 유저(20)가 조리 예정인 요리의 조리 공정을 취득하고, 해석한다.
또한, 카메라(33)나 센서(34) 등의 입력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조리 공정을 해석한다.
예를 들어, 요리가, 카레와 생야채 샐러드인 경우, 요리 공정으로서, 고기 자르기, 야채(당근, 감자, 양파 등) 자르기, 고기와 야채를 기름에 볶아 끓이기, ··등의 카레의 조리 공정과, 레터스, 토마토 등의 생야채를 자른다고 하는 샐러드의 조리 공정을 해석한다.
또한, 카메라(33)나 센서(34) 등의 입력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조리 공정을 해석한다.
이 조리 공정 해석 정보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하의 각 데이터를 입력한다.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이용 중 및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 정보,
식재 식별부(112)로부터, 조리 중 및 조리 예정의 식재 정보,
조리 공정 해석부(113)로부터, 조리 공정 해석 정보,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들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20)가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유저(20)가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하지 않다, 즉 매칭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입출력 I/F(101)를 통해 키친 시스템(30)의 데이터 출력부(32)를 구성하는 입출력부(UI)(35), 스피커(38), 사이렌(39)의 적어도 어느 것을 이용하여 얼러트(경고)를 출력하여, 조리 기구의 사용을 정지시킨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유저(20)가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 기억부(103)에 저장된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와,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를 참조한다.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일부의 기록 데이터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에는, 이하의 각 데이터가 기록된다.
(a) 요리명
(b) 식재
(c) 사용 조리 기구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에는, 이들의 각 데이터의 대응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c) 사용 조리 기구로서,
(c1) 조리 기구 명칭,
(c2) 조리 기구 ID,
(c3) 필요한 조리 기구 상태
이들이 기록된다.
또한, (c3) 필요한 조리 기구 상태로서,
(c31) 권장 상태
(c32) 허용 상태
이들의 상태 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유저(20)가, 쇼가야끼의 고기를 도마에 얹고, 조리 기구 수납부(40)로부터 1개의 식칼을 선택하여 손에 들었을 경우의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의 실행하는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하의 각 데이터를 입력한다.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 정보로서 조리 기구 수납부(40)로부터 취출한 식칼의 식별자(ID)와, 조리대에 놓여 있는 도마의 식별자(ID)를 입력한다.
식재 식별부(112)로부터, 조리 예정의 식재 정보로서 「돼지고기」를 입력한다.
조리 공정 해석부(113)로부터, 조리 공정 해석 정보로서 쇼가야끼 조리에 있어서의 「돼지고기의 고기 자르는 공정」을 입력한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들의 입력 정보와,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등록 데이터를 대조한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먼저, 조리 공정 해석부(113)로부터 입력한 조리 공정 해석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조리 공정이 쇼가야끼 조리에 있어서의 「돼지고기의 고기 자르는 공정」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식재 식별부(112)로부터 입력한 식재 정보로서 「돼지고기」가 도마 위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어서,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입력한 식칼의 식별자(ID)와, 도마의 식별자(ID)가,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에 있어서,
요리=쇼가야끼
식재=돼지고기
이 엔트리 중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입력한 식칼의 식별자(ID)가 「H001」이고, 또한, 도마의 식별자(ID)가 「M012」 또는 「M218」인 경우에는, 이들 조리 기구가,
요리=쇼가야끼
식재=돼지고기
이들의 조리 공정에 이용 가능한 조리 기구라고 판정한다.
한편, 예를 들어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입력한 식칼의 식별자(ID)가 「H001」 이외, 혹은, 도마의 식별자(ID)가 「M012」 또는 「M218」 이외인 경우에는, 유저(20)가 이용하려는 조리 기구가,
요리=쇼가야끼
식재=돼지고기
이들의 조리 공정에 이용 가능한 조리 기구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경고를 출력한다.
즉, 키친 시스템(30)의 데이터 출력부(32)의 입출력부(UI)(35), 스피커(38), 사이렌(39)의 적어도 어느 것을 이용하여 얼러트를 출력하여, 조리 기구의 사용을 정지시킨다.
또한,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입력한 식칼의 식별자(ID)가 「H001」이고, 또한, 도마의 식별자(ID)가 「M012」 또는 「M218」인 경우에는, 이들 조리 기구가,
요리=쇼가야끼
식재=돼지고기
이들의 조리 공정에 이용 가능한 조리 기구라고 판정되지만, 이 경우,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추가로, 이들 유저의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의 상태를 확인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에는,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을 쇼가야끼의 돼지고기를 자르기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의,
(c3) 필요한 상태로서,
(c31) 권장 상태=소독 완료
(c32) 허용 상태=세정 완료(수세)
이들의 각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의 현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억부(103)에 저장된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를 참조한다.
기억부(103)에 저장된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의 기록 데이터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리 기구에 대해서,
(a) 조리 기구 명칭,
(b) 조리 기구 ID,
(c) 현재의 상태,
이들의 각 데이터가 대응지어져서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a) 조리 기구 명칭=고기 자르는 식칼,
(b)조리 기구 ID=H001,
이 조리 기구의 (c) 현재의 상태는, 「소독 완료」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에는,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을 쇼가야끼의 돼지고기를 자르기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의 (c3) 필요한 상태로서,
(c31) 권장 상태=소독 완료
(c32) 허용 상태=세정 완료(수세)
이들의 각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는,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의 현재의 상태로서 「소독 완료」가 등록되어 있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들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그 밖의 조리 기구인 도마에 대해서도,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c3) 필요한 상태((c31) 권장 상태 또는 (c32) 허용 상태)와, 도 5에 도시하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 기록된 (c) 현재의 상태를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하면, 도마도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경고 출력은 행하지 않는다.
단, 예를 들어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입력한 유저가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의 어느 것에 대해서,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c3) 필요한 상태와,
도 5에 도시하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 기록된 (c) 현재의 상태,
이들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조리 기구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정하여 경고 출력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로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에는,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을 쇼가야끼의 돼지고기를 자르기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의 (c3) 필요한 상태로서,
(c31) 권장 상태=소독 완료
(c32) 허용 상태=세정 완료(수세)
이들의 각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는, 식칼 식별자(ID)=「H001」의 식칼의 현재의 상태로서 「사용 후」가 등록되어 있다.
「사용 후」란 다른 식재의 조리에 사용한 후, 소독도 수세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들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식칼 식별자(ID)=「H001」의 부엌칼을 이용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 유저(20)에게 얼러트(경고)를 출력한다.
이 경우의 얼러트(경고) 출력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예는, 키친 시스템(30)의 입출력부(UI)(35)에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의 일례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경고=선택한 식칼은, 소독 또는 수세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조리 기구를 교환하거나, 또는 사용 전에 이하 중 어느 처리를 행하여 주십시오.
(a) 소독(권장)
(b) 수세
유저(20)는, 이 경고 표시에 의해,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식칼이, 이대로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경고에 따라서 식칼의 교환, 혹은 소독 또는 수세를 행한다.
또한, 이 유저(20)에 의한 식칼의 소독 또는 수세의 처리는, 카메라(33)에 의해 촬영되어, 데이터 처리부(102)의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115)에 입력되고,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115)가, 기억부(103) 내의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의 등록 데이터를 갱신하고, 식칼의 현재의 상태를 소독 완료 또는 수세 완료로 변경한다.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115)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가 식별한 조리 기구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그 조리 기구에 관한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 기록된 현재의 상태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10)은, 유저가 이용하려는 조리 기구의 전체에 대해서, 현재, 조리하려는 식재의 조리에 이용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얼러트를 출력하여 유저에게 교환, 또는 소독, 수세 등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고기나 생선의 균이, 생식용의 야채에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이어서,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10)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른 처리는,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인 조리 감시 장치(10)의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따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 기능을 갖는 C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 처리로서 행할 수 있다.
이하,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의 각 스텝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1)
먼저, 스텝 S101에 있어서, 사용 조리 기구의 식별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1 내지 S104의 처리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이용하여, 키친 시스템(30)의 유저(20)가 이용 중 및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를 식별한다.
이 식별 처리는, 기억부(103)의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의 등록 데이터를 참조하여 행하여진다.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에는, 각 조리 기구의 화상 데이터, 기구 식별 데이터(QR 코드(등록 상표)) 대응의 코드 데이터 등이 등록되어 있고,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이들의 등록 데이터와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대조하여, 이용 기구를 식별한다.
또한,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예를 들어 조리 센서(34)인 기구에 구비된 통신 기능을 구비한 IMU 디바이스나 컬러 마커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산출되는 기구의 공간 위치 궤적의 해석으로부터, 대상 기구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을 행한다.
IMU의 경우, 각 시각에서의 가속도, 자세각 가속도를 알 수 있으므로, 그것들을 적산 처리함으로써 각 시각에서의 공간 위치 자세의 추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구의 식별 처리 시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1) 사용 중인 조리 기구의 궤적 시계열 데이터와, 사용 중이 아닌 조리 기구의 궤적 시계열 데이터를 학습 샘플로서 사용하는 2치 판별 학습 처리,
(A-2) 상기의 궤적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공간 좌표가 조리대 에어리어 내에 수렴되고, 또한, 속도 성분이 일정 이상인지 여부를 역치 처리하여 이용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처리,
(B) 조리 기구에 사람이 파지한 것을 검지하는 센서의 검출 정보를 이용한 검출 처리.
(스텝 S102)
이어서, 스텝 S102에 있어서, 조리 기구 식별부(111)가 스텝 S101에서 실행한 사용 조리 기구의 식별 결과인 식별 스코어와, 미리 규정된 역치(Th1)를 비교한다.
식별 스코어란, 조리 기구 식별부(111)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스코어이다.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조리 기구의 식별을 실행할 때, 식별 결과와, 그 식별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함께 생성한다.
식별 스코어가 미리 규정된 역치(Th1) 미만인 경우, 즉,
식별 스코어<Th1
상기 식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상기 식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3 내지 S104를 생략하여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3 내지 S104)
스텝 S102에 있어서,
식별 스코어<Th1
상기 식이 성립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조리 기구 식별부(111)는, 유저에 대하여, 사용 조리 기구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입출력부(UI)(35)(=터치 패널)에 조리 기구 리스트를 제시하여, 유저에게 사용할 조리 기구를 선택하게 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이 유저 입력 정보를 취득하고, 사용 조리 기구를 특정한다.
또한, 유저에 대한 사용 조리 기구 정보의 입력 요구나 유저에 의한 입력은, 음성 데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즉 스피커(38)로부터의 음성 출력으로 입력 요구를 행하고, 마이크(센서(34))를 통한 유저 발화를 입력하여 음성 해석을 실행해도 된다.
스텝 S101 내지 S104에 있어서, 조리 기구 식별부(111)가 식별한 사용 조리 기구 정보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스텝 S105)
이어서, 스텝 S105에 있어서, 조리 대상의 식재 식별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5 내지 S108의 처리는, 식재 식별부(112)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식재 식별부(112)는,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이용하여, 키친 시스템(30)의 유저(20)가 조리 대상으로 할 식재를 식별한다.
이 식별 처리는, 기억부(103)의 식재 식별용 사전(122)의 등록 데이터를 참조하여 행하여진다.
식재 식별용 사전(122)에는, 각 식재의 화상 데이터, 특징 정보(색, 형상, 냄새 등) 등이 등록되어 있고, 식재 식별부(112)는, 이들의 등록 데이터와 키친 시스템(30)의 카메라(33)의 촬영 화상이나 센서(34)의 취득 정보를 대조하여, 조리 대상의 식재를 식별한다.
또한, 동일한 식재라도, 예를 들어 고기의 덩어리 상태인지, 한창 자르고 있는 상태인지, 자른 후의 상태인지의 상태에 대해서도 식별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별을 위해서는, 미리 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각 상태에 학습용 화상 샘플을 준비하여 많은 클래스 판별 학습을 딥 러닝이나 서포트 벡터 머신 등의 기계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이러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식재를 식별한 후에, 그 식재의 상태 식별을 행한다고 하는 계층적인 식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식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식재 식별부(112)에 있어서 식별된 식재 정보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스텝 S106)
이어서, 스텝 S106에 있어서, 식재 식별부(112)가 스텝 S105에서 실행한 식재 식별 결과인 식별 스코어와, 미리 규정된 역치(Th2)를 비교한다.
식별 스코어란, 식재 식별부(112)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스코어이다.
식재 식별부(112)는, 식재 식별을 실행할 때, 식별 결과와, 그 식별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맞춰서 생성한다.
식별 스코어가 미리 규정된 역치(Th2) 미만인 경우, 즉,
식별 스코어<Th2
상기 식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식재 식별부(112)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상기 식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식재 식별부(112)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7 내지 S108을 생략하여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스텝 S107 내지 S108)
스텝 S106에 있어서,
식별 스코어<Th2
상기 식이 성립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식재 식별부(112)에 의한 식별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식재 식별부(112)는, 유저에 대하여, 조리 대상의 식재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형의 입출력부(UI)(35)에 식재 리스트를 제시하여, 유저에게 조리할 식재를 선택하게 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이 유저 입력 정보를 취득하고, 조리 대상의 식재를 특정한다.
또한, 유저에 대한 정보 입력 요구나 유저에 의한 입력은, 음성 데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즉 스피커(38)로부터의 음성 출력으로 입력 요구를 행하고, 마이크(센서(34))를 통한 유저 발화를 입력하여 음성 해석을 실행해도 된다.
스텝 S105 내지 S108에 있어서, 식재 식별부(112)가 식별한 식재 정보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출력된다.
(스텝 S109)
이어서, 스텝 S109에 있어서, 카메라(33)나 센서(34) 등의 입력 정보나, 레시피 정보 등으로부터 조리 공정을 확인한다.
이 처리는, 조리 공정 해석부(113)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조리 공정 해석부(113)는, 키친 시스템(30)의 입출력부(터치 패널)(35)를 통해 유저(20)가 입력한 조리 예정인 요리명에 기초하여, 기억부(103)의 레시피 정보(123)로부터 레시피를 취득하여, 유저(20)가 조리 예정인 요리의 조리 공정을 취득하고, 해석한다.
또한, 카메라(33)나 센서(34) 등의 입력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조리 공정을 해석한다.
현재, 어느 조리 공정에 있는지에 관한 확인 처리는, 스텝 S105 내지 S108에 있어서 식별된 식재나 식재의 상태와, 기억부(103)의 레시피 정보(123)로부터 취득한 레시피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는 조리 진행표와 각 공정에서의 사용 식재, 상태의 데이터를 대조함으로써 행한다.
기억부(103)의 레시피 정보(123)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레시피 ID: 1234
요리명: 쇼가야끼
조리 공정:
공정 1: 식재=돼지고기, 양=200g
조리법=식칼로 자르기,
식재의 목표 상태: 먹기 편한 사이즈(길이 사이즈 5cm),
공정 2: 식재=레터스,
조리법=식칼로 자르기,
식재의 목표 상태: 잘게 썰기,
공정 3: 식재=생강, 양=1조각(10g)
조리법=부엌칼로 자르는,
식재의 목표 상태: 잘게 다지기,
···
또한, 조리 개시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의 「공정 1」의 개시 전의 상태이다.
예를 들어, 현재, 키친 시스템(30)의 조리대에 놓여 있는 조리 대상 식재가 「돼지고기」이고, 그 상태가, 「먹기 편한 사이즈로 커트 완료」라면, 상기 레시피 데이터의 대조로, 「공정 1」이 끝난 상황이라고 판정한다.
각 공정의 개시 전에, 이하의 스텝 S110에 있어서, 「조리 대상 식재와 사용 기구의 매칭 판정」이 실행된다.
(스텝 S110)
이하의 스텝 S110 내지 S113의 처리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유저(20)가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생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위생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얼러트(경고)를 출력한다.
먼저, 스텝 S110에 있어서, 체크 대상으로 할 식재를 식별한다.
(스텝 S111 내지 S113)
이어서,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스텝 S111에 있어서, 체크 대상 식재와, 이 식재의 조리에 사용하는 사용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생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하의 각 데이터를 입력한다.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이용 중 및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 정보,
식재 식별부(112)로부터, 조리 중 및 조리 예정의 식재 정보,
조리 공정 해석부(113)로부터, 조리 공정 해석 정보,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들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20)가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유저(20)가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 기억부(103)에 저장된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와,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를 참조한다.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 요리명
(b) 식재
(c) 사용 조리 기구
이들의 대응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c) 사용 조리 기구로서,
(c1) 조리 기구 명칭,
(c2) 조리 기구 ID,
(c3) 필요한 조리 기구 상태
이들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c3) 필요한 조리 기구 상태로서,
(c31) 권장 상태
(c32) 허용 상태
이들의 상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는,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조리 기구에 대해서,
(a) 조리 기구 명칭,
(b) 조리 기구 ID,
(c) 현재의 상태,
이들의 각 데이터가 대응지어져서 기록되어 있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c3) 필요한 상태와,
도 5에 도시하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 기록된 (c) 현재의 상태,
이들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조리 기구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정(스텝 S112="아니오")하여, 스텝 S113에 있어서 얼러트 출력을 실행하고, 조리 기구의 사용을 정지시켜서, 스텝 S101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들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조리 기구는 적정하다고 판정(스텝 S112="예")하여, 스텝 S114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11 내지 S113의 처리는, 스텝 S110에 있어서, 체크 대상 식재가 복수, 검출된 경우에는, 모든 식재에 대하여 순차, 또는 병렬로 실행한다.
(스텝 S114)
스텝 S112에 있어서, 식재에 대한 조리 기구는 적정하다고 판정(스텝 S112="예")한 경우에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스텝 S114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유저(20)가 선택한 조리 기구에 의한 조리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스텝 S114에서는, 이 유저(20)의 조리에 의해, 조리 공정이 종료되었는지, 혹은, 조리 공정이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지를 판정한다.
이 처리는, 조리 공정 해석부(113)가 실행한다.
조리 공정이 다음 공정으로 이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01로 되돌아가, 다음 공정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유저의 조리에 의해, 조리 공정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플로를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에 대하여, 위생적으로 문제가 없는 적정한 조리 기구가 선택되어서 사용되게 된다.
즉,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10)는, 각 식재에 대해서, 유저가 사용하는 조리 기구가 적정, 즉 위생면에서 문제가 없는지를 검증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얼러트를 출력하여 유저에게 교환, 또는 소독, 수세 등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고기나 생선의 균이, 생식용의 야채에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의 구성과 처리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조리 감시 장치)는, 이하의 2개의 구성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구성예 1)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
(구성예 2)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
이하,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의 구성과 처리에 대하여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인 조리 감시 장치(10)와, 조리 로봇(50)을 도시하고 있다.
조리 로봇(50)은 로봇 암(51)을 갖고, 사람 대신에 로봇 암(51)이 동작하여 조리를 행한다.
조리 감시 장치(10)는, 조리 로봇(50)이, 위생면에 문제가 있는 조리 기구를 이용할 가능성을 검출한 경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조리 로봇(50)에 출력한다.
조리 로봇(50)은, 이 제어 정보를 따라,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한다.
또한, 도 9에는, 조리 감시 장치(10)와 조리 로봇(50)을 별도 구성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일체화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의 생성, 출력은 생략되어, 1개의 장치 내에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을 실행하여, 그 판단 하에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이 실행된다.
조리 로봇(50)에는, 조리 기구 수납부(40)가 구비되고, 다양한 조리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고기 자르는 식칼, 야채 식칼, 소형 식칼, 국자, 고기 자르기 전용 도마, 야채 전용 도마 등, 다양한 조리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조리 로봇(50)은 로봇 암(51)을 이용하여, 이들 조리 기구로부터 자유롭게 이용 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리 로봇(50)에는, 카메라(33)가 마련되고, 조리대에서의 조리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 화상이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냄새 센서, 휘도 센서, 음성 센서(마이크) 등, 다양한 센서(34)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센서 정보도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된다.
또한, 조리 로봇(50)에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형식의 입출력부(UI)(35)가 마련되어 있고, 조리 로봇(50)은, 이 입출력부(UI)(35)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조리 감시 장치(10)에 입력할 수 있다.
조리 감시 장치(10)는, 이들의 카메라(33), 센서(34)의 검출 정보나, 입출력부(UI)(35)를 통한 조리 로봇(50)으로부터의 입력 정보 등으로부터, 조리 로봇(50)의 조리 대상의 식재의 정보와,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정보를 해석하고,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인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조리 기구의 사용을 정지시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조리 로봇(50)에 출력한다.
또한, 예를 들어 사람이 조리 로봇(50)의 동작을 감시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먼저 설명한 사람이 조리를 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고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고에 따라서 감시자는, 조리 로봇(50)이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정확하게 실행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얼러트는, 도면에 도시하는 조리 로봇(50)의 입출력부(UI)(35), 스피커(38), 사이렌(39) 등을 이용하여 출력된다.
조리 로봇(50)은, 조리 감시 장치(10)로부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입력하면, 조리 기구의 교환, 혹은 소독, 수세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날고기를 자른 식칼로 생야채 샐러드용의 야채를 자른다고 하는 비위생적 조리가 방지되어, 위생적인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도, 조리 감시 장치(10)의 중요한 처리의 하나는, 조리 로봇(50)이 조리하는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인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고기용 식칼로 고기를 자른 후, 소독하지 않고 야채를 자르려는 경우,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 조합이 아니라고, 즉 매칭되지 않았다고 판정하여, 조리 기구의 사용을 정지시켜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조리 로봇(50)에 출력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경고를 출력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인 조리 감시 장치(10)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좌측에 조리 로봇(50), 우측에 조리 감시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조리 로봇(50)은, 데이터 입력부(31)와 데이터 출력부(32), 조리 기구 제어부(53)를 갖는다.
데이터 입력부(31)는, 카메라(33), 센서(34), 입출력부(UI)(35)를 갖는다.
데이터 출력부(32)는, 입출력부(UI)(35), 스피커(38), 사이렌(39)을 갖는다.
이들의 구성은,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조리 기구 제어부(53)는, 조리 감시 장치(10)로부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입력했을 때에,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한다.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설명한다.
조리 감시 장치(10)는, 입출력 I/F(통신부)(101), 데이터 처리부(102), 기억부(103)를 갖는다.
데이터 처리부(102)는, 조리 기구 식별부(111), 식재 식별부(112), 조리 공정 해석부(113),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115),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116)를 갖는다.
또한, 기억부(103)는,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 식재 식별용 사전(122), 레시피 정보(123),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03)의 저장 데이터는, 일부 또는 전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레시피 정보 등은, 외부의 레시피 정보 제공 서버로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부(102)의 조리 기구 식별부(111), 식재 식별부(112), 조리 공정 해석부(113),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115), 이들의 구성과, 기억부(103)의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121), 식재 식별용 사전(122), 레시피 정보(123),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 이들의 구성은,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처리부(102)의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116)는,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에는 없고, 본 실시예 고유의 구성이다.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116)는,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입출력 I/F(101)를 통해 조리 로봇(50)에 제어 정보(커맨드)를 출력한다.
즉,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에 있어서, 조리 로봇(50)이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하지 않다고, 즉 매칭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조리 로봇(50)에 출력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얼러트의 출력도 행한다. 얼러트 출력을 행할지 여부는, 유저가 설정 가능하다.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116)가 생성한 제어 정보(커맨드)는, 조리 로봇(50)의 조리 기구 제어부(53)에 입력된다. 조리 로봇(50)의 조리 기구 제어부(53)는, 조리 감시 장치(10)로부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입력하면,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의 조리 감시 장치(10)는, 조리 로봇(50)이 이용하려는 조리 기구의 전체에 대해서, 현재, 조리하려는 식재의 조리에 이용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조리 로봇(50)에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소독, 수세 등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고기나 생선의 균이, 생식용의 야채에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조리 로봇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이어서, 조리 로봇(50)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조리 감시 장치(10)가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른 처리는,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인 조리 감시 장치(10)의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따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 기능을 갖는 C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 처리로서 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흐름도는, 먼저 설명한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다른 점은, 도 8에 도시하는 스텝 S113의 「얼러트 출력」을, 스텝 S201의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출력」으로 변경한 점이다.
다른 스텝의 처리는, 먼저 설명한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의 스텝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상위점인 스텝 S201의 처리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1은, 스텝 S112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No의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실행된다.
스텝 S111 이하의 처리로부터 설명한다.
(스텝 S111 내지 S112)
다음 스텝 S111 내지 S112의 처리는,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스텝 S111에 있어서, 체크 대상 식재와, 이 식재의 조리에 사용하는 사용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생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하의 각 데이터를 입력한다.
조리 기구 식별부(111)로부터, 이용 중 및 이용 예정인 조리 기구 정보,
식재 식별부(112)로부터, 조리 중 및 조리 예정의 식재 정보,
조리 공정 해석부(113)로부터, 조리 공정 해석 정보,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이들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로봇(50)이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조리 로봇(50)이 조리하는 식재와 그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한지 여부, 즉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 기억부(103)에 저장된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와,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를 참조한다.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 요리명
(b) 식재
(c) 사용 조리 기구
이들의 대응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c) 사용 조리 기구로서,
(c1) 조리 기구 명칭,
(c2) 조리 기구 ID,
(c3) 필요한 조리 기구 상태
이들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c3) 필요한 조리 기구 상태로서,
(c31) 권장 상태
(c32) 허용 상태
이들의 상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는,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조리 기구에 대해서,
(a) 조리 기구 명칭,
(b) 조리 기구 ID,
(c) 현재의 상태,
이들의 각 데이터가 대응지어져서 기록되어 있다.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는,
도 4에 도시하는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124)의 (c3) 필요한 상태와,
도 5에 도시하는 조리 기구 상태 정보(125)에 기록된 (c) 현재의 상태,
이들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조리 기구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정(스텝 S112="아니오")한다.
이 판정 처리가 이루어지면, 스텝 S201로 진행한다.
한편, 이들이 일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조리 기구는 적정하다고 판정(스텝 S112="예")하여, 스텝 S114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11 내지 S112의 처리는, 스텝 S110에 있어서, 체크 대상 식재가 복수, 검출된 경우에는, 모든 식재에 대하여 순차 또는 병렬로 실행한다.
(스텝 S201)
스텝 S201은, 스텝 S112에 있어서,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114)가, 조리 로봇(50)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 기구의 조합이 적정하지 않다는, 즉 즉 매칭하고 있지 않고 위생면에서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낸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이다.
이 경우,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116)는, 스텝 S201에 있어서, 조리 기구의 사용을 정지시키고, 또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생성하여, 입출력 I/F(101)를 통해 조리 로봇(50)에 출력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얼러트의 출력도 행한다. 얼러트 출력을 행할지 여부는, 유저가 설정 가능하다.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116)가 생성한 제어 정보(커맨드)는, 조리 로봇(50)의 조리 기구 제어부(53)에 입력된다. 조리 로봇(50)의 조리 기구 제어부(53)는, 조리 감시 장치(10)로부터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커맨드)를 입력하면,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실행한다.
(스텝 S114)
스텝 S112에 있어서, 식재에 대한 조리 기구는 적정하다고 판정(스텝 S112="예")한 경우에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스텝 S114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조리 로봇(50)이 선택한 조리 기구에 의한 조리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스텝 S114에서는, 이 조리 로봇(50)의 조리에 의해, 조리 공정이 종료되었는지, 혹은, 조리 공정이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지를 판정한다.
이 처리는, 조리 공정 해석부(113)가 실행한다.
조리 공정이 다음 공정으로 이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01로 되돌아가, 다음 공정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조리 로봇(50)의 조리에 의해, 조리 공정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플로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조리 로봇(50)이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에 대하여, 위생적으로 문제가 없는 적정한 조리 기구가 선택되어서 사용되게 된다.
즉,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10)는, 각 식재에 대해서, 조리 로봇(50)이 사용하는 조리 기구가 적정, 즉 위생면에서 문제가 없는지를 검증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얼러트를 출력하여 조리 로봇(50)에게 교환, 또는 소독, 수세 등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고기나 생선의 균이, 생식용의 야채에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행하는 구성예에 대해서]
이어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행하는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리 로봇(50)이 조리를 행하는 구성에서는, 조리 로봇(50) 자신이 로봇 암(51)을 동작시켜서 조리 기구의 교환, 소독, 세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조리 기구 구성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2는, 조리 기구의 자동 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조리 기구 자동 교환 구성예 1은, 소위 서바이벌 나이프적인 기구를 갖는 조리 기구이다. 사용하지 않는 기구는 접어져서 기구 본체부에 저장되고, 사용하는 기구만이 작업 가능한 상태로서 노출되는 기구이다.
(2) 조리 기구 자동 교환 구성예 2는, 어태치먼트 기구를 갖는 조리 기구이다. 사용하지 않는 기구를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기구를 본체부로부터 뗄 수 있다.
사용하는 기구는 역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본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들은 착탈에 마그네트나 흡착, 나사 등 다양한 고정 기구에 의한 실현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13 이하를 참조하여, 조리 로봇(50)이 조리 기구의 소독이나 세정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조리 기구에 소독액(또는 세정액, 열탕 등) 분무부(201)를 마련한 구성이다. 이것은 조리 기구 본체에 액체 분무 기구를 마련한 것이고, 예를 들어 차의 프론트 윈도우의 윈도우 워셔 분무 기구와 같이, 조리 기구의 식재에 접촉하는 부분 전체에 소독액 또는 세정액을 분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4는, 소독액(또는 세정액, 열탕 등) 저류부(202)에, 조리 기구를 붙이는 구성이다. 조리 기구가 설치된 로봇 암(51)을 제어하고, 소독액(또는 세정액) 저류부(202)에, 조리 기구를 붙인다.
또한, 수도 꼭지로부터 소독액 등을 유출시켜서, 조리 기구에 유출 액체를 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5는, 조리 기구에 히터(203)를 장착한 구성이다. 히터(203)에 통전함으로써 조리 기구의 식재 맞닿음 부분을 고온으로 하여 살균한다.
도 16은, 조리 기구의 식재 맞닿음 부분에 버너(204)로부터 출력하는 불꽃을 닿게 하는 구성이다. 이 처리에 의해 조리 기구의 식재 맞닿음 부분을 고온으로 하여 살균한다.
도 17은, 소독액(또는 세정액, 열탕 등) 함침대(205)에, 조리 기구를 맞닿게 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조리 기구가 설치된 로봇 암(51)을 제어하고, 소독액(또는 세정액) 함침대(205)에 끼워진 영역에 조리 기구를 슬라이드시켜서 통과시킨다. 소독액(또는 세정액, 열탕 등) 함침대(205)는 예를 들어 스펀지, 천 등으로 구성된다.
[6.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조리 감시 장치(10)를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하드웨어는,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리 감시 장치(10)를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는, ROM(Read Only Memory)(302) 또는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나 데이터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시퀀스를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303)에는,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이들의 CPU(301), ROM(302) 및 RAM(303)은, 버스(3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버스(304)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각종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3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307)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306), 출력부(307)는, 키친 시스템이나 조리 로봇에 대한 데이터, 커맨드의 입출력에도 이용된다.
CPU(301)는, 입력부(306)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 결과를 예를 들어 출력부(3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부(308)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309)는, Wi-Fi 통신, 블루투스(등록 상표)(BT) 통신, 그 밖에 인터넷이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의 송수신부로서 기능하고,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3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311)를 구동하고, 데이터의 기록 혹은 판독을 실행한다.
[7. 본 개시의 구성의 마무리]
이상,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해석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라고 하는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한 것이고,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 범위의 란을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한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유저에 대하여, 표시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의한 경고를 출력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를 식별하는 식재 식별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식재 식별부가 식별한 식재와, 해당 식재의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조리 기구 식별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 식별부가 식별한 조리 기구와, 해당 조리 기구를 사용한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공정을 해석하는 조리 공정 해석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공정 해석부가 해석한 조리 공정 단위로,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장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 또는 센서에 의한 검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해석하여,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기구에 장착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조리에 이용되고 있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기구에 장착된 기구 식별 데이터 또는 컬러 마커를 포함하는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조리에 이용되고 있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식재와 조리 기구의 적정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저장한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를 저장한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를 참조하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현재의 조리 기구의 상태를 기록한 조리 기구 상태 정보를 저장한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조리를 실행하는 조리 로봇과,
상기 조리 로봇이 실행하는 조리를 감시하는 조리 감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고,
상기 조리 감시 장치는,
상기 조리 로봇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3) 상기 조리 감시 장치의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시스템.
(14) 상기 조리 감시 장치는,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를 식별하는 식재 식별부와,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조리 기구 식별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식재 식별부가 식별한 식재와, 상기 조리 기구 식별부가 식별한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12) 또는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시스템.
(15)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고,
적정 판정부가,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조리를 실행하는 조리 로봇과,
상기 조리 로봇이 실행하는 조리를 감시하는 조리 감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고,
상기 조리 감시 장치가,
상기 조리 로봇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적정 판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고,
적정 판정부에,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시키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적정 판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의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의 출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또한, 명세서 중에 있어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복합 구성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처리 시퀀스를 기록한 프로그램을,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된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인스톨하여 실행시키거나, 혹은, 각종 처리가 실행 가능한 범용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이라고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처리는, 기재에 따라서 시계열로 실행될 뿐만 아니라,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 혹은 필요에 따라 병렬적으로 혹은 개별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이고,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 것에 한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여 경고 출력, 혹은 조리 기구의 교환 제어 등을 행하는 구성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는다. 적정 판정부는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유저에 대하여, 표시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의한 경고를 출력한다. 또는, 조리 실행자인 조리 로봇에,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본 구성에 의해, 조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여 경고 출력, 혹은 조리 기구의 교환 제어 등을 행하는 구성이 실현된다.
10: 조리 감시 장치
20: 유저
30: 키친 시스템
31: 데이터 입력부
32: 데이터 출력부
33: 카메라
34: 센서
35: 입출력부(UI)
38: 스피커
39: 사이렌
101: 입출력 I/F(통신부)
102: 데이터 처리부
103: 기억부
111: 조리 기구 식별부
112: 식재 식별부
113: 조리 공정 해석부
114: 식재-조리 기구 조합 적정(매칭) 판정부
115: 조리 기구 상태 해석부
116: 조리 기구 제어 커맨드 생성부
121: 조리 기구 식별용 사전
122: 식재 식별용 사전
123: 레시피 정보
124: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
125: 조리 기구 상태 정보
201: 소독액 분무부
202: 소독액 저류부
203: 히터
204: 버너
205: 소독액 함침대
301: CPU
302: ROM
303: RAM
304: 버스
305: 입출력 인터페이스
306: 입력부
307: 출력부
308: 기억부
309: 통신부
310: 드라이브
311: 리무버블 미디어

Claims (17)

  1.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유저에 대하여, 표시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의한 경고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판정부는,
    조리 실행자인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를 식별하는 식재 식별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식재 식별부가 식별한 식재와, 해당 식재의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조리 기구 식별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 식별부가 식별한 조리 기구와, 해당 조리 기구를 사용한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공정을 해석하는 조리 공정 해석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공정 해석부가 해석한 조리 공정 단위로,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장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 또는 센서에 의한 검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해석하여,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기구에 장착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조리에 이용되고 있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조리 기구에 장착된 기구 식별 데이터 또는 컬러 마커를 포함하는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조리에 이용되고 있는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식재와 조리 기구의 적정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저장한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를 저장한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식재-조리 기구 매칭 데이터를 참조하여, 식재와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현재의 조리 기구의 상태를 기록한 조리 기구 상태 정보를 저장한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조리를 실행하는 조리 로봇과,
    상기 조리 로봇이 실행하는 조리를 감시하는 조리 감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고,
    상기 조리 감시 장치는,
    상기 조리 로봇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감시 장치의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교환, 또는 세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감시 장치는,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를 식별하는 식재 식별부와,
    조리 기구를 식별하는 조리 기구 식별부를 갖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식재 식별부가 식별한 식재와, 상기 조리 기구 식별부가 식별한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5.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고,
    적정 판정부가,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적정 판정부는,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조리를 실행하는 조리 로봇과,
    상기 조리 로봇이 실행하는 조리를 감시하는 조리 감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고,
    상기 조리 감시 장치가,
    상기 조리 로봇의 조리 대상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적정 판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조리 로봇에 대하여,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고,
    적정 판정부에, 조리 대상이 되는 식재와, 조리에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대응을 검증하고,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시키는 적정 판정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적정 판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에 위생면의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경고의 출력, 또는 조리 기구의 이용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의 출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217008204A 2018-10-12 2019-09-2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20210075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3118 2018-10-12
JPJP-P-2018-193118 2018-10-12
PCT/JP2019/037880 WO2020075516A1 (ja) 2018-10-12 2019-09-26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78A true KR20210075978A (ko) 2021-06-23

Family

ID=7016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204A KR20210075978A (ko) 2018-10-12 2019-09-2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93083A1 (ko)
EP (1) EP3866081A4 (ko)
JP (1) JP7409314B2 (ko)
KR (1) KR20210075978A (ko)
CN (1) CN112771560A (ko)
WO (1) WO2020075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0637B (zh) * 2021-04-30 2022-09-13 广州富港生活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烹饪设备的清洁控制方法及装置、智能橱柜
CN113647797B (zh) * 2021-09-09 2023-06-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CN113876178B (zh) * 2021-09-10 2022-07-22 深圳市三利达电器科技有限公司 基于厨师机的智能加工控制方法及其系统
EP4241631A1 (de) * 2022-03-07 2023-09-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nsystem,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üchenmaschinensystems und steuerung für ein küchenmaschinen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4042A (ja) 2007-08-28 2009-03-12 Toshiba Corp 調理方法抽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5948C (zh) * 2001-09-29 2008-12-24 张晓林 自动烹调方法及系统
CN102609814A (zh) * 2012-02-09 2012-07-25 盛骏 一种用于肉类跟踪装置及跟踪监管方法
CN103230212B (zh) * 2012-03-02 2016-09-07 福州高奇智芯电源科技有限公司 烹饪电器系统、烹饪电器及烹饪电器用外部扩展装置
JP6054082B2 (ja) * 2012-07-23 201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299744B2 (ja) * 2013-02-28 2018-03-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CN103784044A (zh) * 2013-06-09 2014-05-14 张家港市南宝涂料装饰有限公司 一种厨房用具
CA2933095A1 (en) * 2014-02-20 2015-08-27 Mark Oleynik Methods and systems for food preparation in a robotic cooking kitchen
US20150302569A1 (en) * 2014-04-22 2015-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Sensing system for a cooktop appliance with airflow protected sensor
US10518409B2 (en) * 2014-09-02 2019-12-31 Mark Oleynik Robotic manipul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xecuting a domain-specific application in an instrumented environment with electronic minimanipulation libraries
CN204501750U (zh) * 2015-02-04 2015-07-29 安庆三维电器有限公司 一种特种刀具消毒柜
CN105128047B (zh) * 2015-08-21 2016-11-30 福建省速卖通电子商务有限公司 半自动切菜机
EP3389955A2 (en) * 2015-12-16 2018-10-24 MBL Limited Robotic kitchen including a robot, a storage arrangement and containers therefor
JP2017159279A (ja) * 2016-03-11 2017-09-14 大阪瓦斯株式会社 洗浄システム
CN205459992U (zh) * 2016-03-31 2016-08-17 王文礼 一种带显示功能的砧板干燥消毒器
CN105930659A (zh) * 2016-04-22 2016-09-0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方法和烹饪工具的推荐方法和系统
CN106308723A (zh) * 2016-08-25 2017-01-11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菜板清洗方法、系统及装置
CN106600479A (zh) * 2017-01-23 2017-04-26 南京小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菜品与餐具的对应方法、装置和系统
CN107592509A (zh) * 2017-10-23 2018-01-16 合肥盈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食品可视化监管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4042A (ja) 2007-08-28 2009-03-12 Toshiba Corp 調理方法抽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6081A1 (en) 2021-08-18
EP3866081A4 (en) 2021-11-24
JP7409314B2 (ja) 2024-01-09
JPWO2020075516A1 (ja) 2021-09-02
CN112771560A (zh) 2021-05-07
US20210393083A1 (en) 2021-12-23
WO2020075516A1 (ja)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93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417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cedure compliance
US111101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US20220160918A1 (en) Cleaning system of a medical imaging facility
AU2016370628A1 (en) Robotic kitchen including a robot, a storage arrangement and containers therefor
US11498099B2 (en) Verification of cleaning processes with electronically readable coded coupon
US11308788B2 (en) Hygiene management for reducing illnesses and infections caused by ineffective hygiene practices
KR20170061686A (ko) 전자 미소 조작 라이브러리들을 갖춘 기구화된 환경에서 도메인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 조작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62714A1 (en) Association of processed items with process logs
CN108255383A (zh) 用于清洗、消毒和/或杀菌商品的设备和方法
WO2017103804A1 (en) Sterilization method in a medical practice, preferably in a dental practice
EP38828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quality control of cooked dishes
WO2020075526A1 (ja) 調理システム、および調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200481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chedu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7184079A (zh) 智能烹饪系统及智能烹饪方法
EP3556266A1 (en)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61939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JPH11347107A (ja) 衛生管理システム
CN110991417A (zh) 厨具处理方法、装置和橱柜
JP2021106763A (ja) 医療器具の滅菌管理装置および滅菌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