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573A -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573A
KR20210074573A KR1020190165381A KR20190165381A KR20210074573A KR 20210074573 A KR20210074573 A KR 20210074573A KR 1020190165381 A KR1020190165381 A KR 1020190165381A KR 20190165381 A KR20190165381 A KR 20190165381A KR 20210074573 A KR20210074573 A KR 2021007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heavy object
support member
hollow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703B1 (ko
Inventor
김대유
이상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7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7Pivot axis separated from colum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빔이나 보 등의 구조물에 탈 장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과, 상기 회동 지지 기둥에 삽입 설치하여 체인 블록 등 견인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전 설비가 고층에 위치하는 경우 전동기의 분해 정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동기 분해 정비 점검 시 바닥에 지지시켜 설치할 수 없고 빔이나 보,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층에서도 중량물(Motor 중량: 370kg)을 인력을 대신하여 용이하게 인양하고 방향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Portable supporting material for lifting weight}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업현장에서 고층에 위치한 발전 설비를 구성하는 전동기의 분해 정비 및 점검 시 빔이나 보, 구조물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예를 들면, Motor 중량: 370kg)에 대한 인양과 자세 전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 견인부재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특허 제10-1848739호 "완강기 지지대”와, 등록특허 제10-2007663호 “인양용 러그장치”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한 “완강기 지지대”는 창틀 내측면에서 옆으로 최대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인명 구조용으로, 고 중량물이나 화물 운반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인양용 러그장치”는, 인양 작업 현장의 환경에 맞추어 운반 및 설치를 할 수 있고, 인양 작업에 앞서 미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됨에 따라,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 단축과 인력 절감을 도모할 수 있지만, 바닥을 이용할 수 없는 고소 위치에서 고 중량물을 인양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어렵고, 고 중량물의 자세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층 옥상에 설치된 쿨링 파워 팬(Cooling Tower Fan) 또는 모터(Motor) 등의 상부에 인양 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는 현장에서 대형 크레인을 수배해야 하고 지상에 설치 후 고층에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정비 점검 중 소통 부재시 안전사고에 취약하고, 정비 점검 시마다 크레인의 수배에 따른 고비용 지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제10-1848739호 "완강기 지지대" (공고 2018.04.16.)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제10-2007663호 "인양용 러그장치" (공고 2019.08.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고층에 위한 발전 설비인 전동기의 분해 정비 및 점검 시 빔이나 보, 구조물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층 작업에서도 중량물의 인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예를 들면, Motor 중량: 370kg)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인양할 수 있고 정비 및 점검 중 중량물의 자세도 일정 범위 내에서 간단히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 인양 설비를 구축하지 않고서도 단위 작업 별로 이동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여러 대의 팬, 모터에 대한 작업인력 절감과 작업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빔이나 보 등의 구조물에 탈 장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과, 상기 회동 지지 기둥에 삽입 설치하여 체인 블록 등 견인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대는, 빔이나 보에 올려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절곡 바와, 상기 상부 절곡 바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절곡 바와, 상기 상부 절곡 바와 하부 절곡 바가 서로 대응하게 배치하되, 사각 형태가 되도록 대각선 위치에서 맞닿는 각각 상하부 플렌지를 통해 체결되도록 한 복수의 설치대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지지 기둥은, 상기 설치대의 상부 절곡 바의 코너측 상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높이로 형성되면서 기둥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을 구비한 중공 체결 플렌지와, 중량물이 거치될 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지지 기둥과 상부 절곡 바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턴버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거치대는, 중공 체결 플렌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 상단에 위치설정용 볼트가 삽입되도록 거치대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이 형성되는 맞대응 플렌지와, 상기 맞대응 플렌지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되면서 끝 단에 걸림턱을 갖춘 지지대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에 의하면, 산업현장에서 고층에 위한 발전 설비인 전동기의 분해 정비 및 점검 시 빔이나 보, 구조물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층 작업에서도 중량물의 인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량물(예를 들면, Motor 중량: 370kg)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인양할 수 있고 정비 및 점검 중 중량물의 자세도 일정 범위 내에서 간단히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 인양 설비를 구축하지 않고서도 단위 작업 별로 이동시켜 설치한 후 이용할 수 있어서, 여러 대의 팬, 모터에 대한 인력 절감과 작업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는, 도 1에 나타낸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2)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이나 보 등의 구조물에 탈 장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대(20)와, 상기 설치대(20)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40)과, 상기 회동 지지 기둥(40)에 삽입 설치하여 체인 블록 등 견인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거치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설치대(20)는, 빔이나 보 등의 구조물에 올려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절곡 바(22)와, 상기 상부 절곡 바(22)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절곡 바(24)와, 상기 상부 절곡 바(22)와 하부 절곡 바(24)가 서로 대응하게 배치하되, 사각 형태가 되도록 대각선 위치에서 맞닿는 각각 상하부 플렌지(22a)(24a)를 통해 체결되도록 한 복수의 설치대 볼트(26)를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 지지 기둥(40)은, 상기 설치대(20)의 상부 절곡 바(22)의 코너측 상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높이로 형성되면서 기둥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42a)을 구비한 중공 체결 플렌지(42)와, 중량물이 거치될 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지지 기둥(40)과 상부 절곡 바(22)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턴버클(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동 거치대(60)는, 중공 체결 플렌지(42)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축(62)과, 상기 삽입축(62) 상단에 위치설정용 볼트(66)가 삽입되도록 거치대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64a)이 형성되는 맞대응 플렌지(64)와, 상기 맞대응 플렌지(64)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되면서 끝 단에 걸림턱(68a)을 갖춘 지지대 봉(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축(62)은, 지지대 봉(68)에 중량물의 하중이 걸리더라도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산업현장에서 옥상 등의 고층에 설치된 발전설비인 전동기의 정비 점검 시 쿨링 타워 팬 모터를 분해해야 하는데, 이때 이동식 지지부재(2)를 쿨링 타워 팬에 설치된 빔 또는 보에 설치한다.
먼저, 이동식 지지부재(2)의 설치 시 상부 절곡 바(22)를 보 또는 빔에 거치시키는데, 이때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40)이 수직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하부 절곡 바(24)를 상부 절곡 바(22)에 맞대응 시킨 후 상부 플렌지(22a)와 하부 플렌지(24a) 측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설치대 볼트(26)들을 체결시킨다. 상기 설치대 볼트(26)들의 체결로 설치대(20)는, 쿨링 타워 팬 상의 보 또는 빔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설치대(20)가 설치되면,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40)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 체결 플렌지(42)의 중공에 회동 거치대(60)의 삽입축(62)을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회동 거치대(60)는 삽입축(62)을 기준으로 작업자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중량물을 인양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걸림턱(68a)이 형성된 지지대 봉(68)에 체인블럭(도 3 참조)을 설치한 다음 인양하고자 하는 전동기 같은 중량물을 인양하면 된다. 또한, 이동식 지지부재(2)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한 후 자세 전환이나 회동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중량물을 당기거나 밀면 된다. 즉, 삽입축(62)을 기준으로 회동 거치대(60)의 지지대 봉(68)가 회전하게 되면서 중량물의 자세를 회동 범위 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을 인양한 후 지지대 봉(68)이 움직이지 않도록 맞대응 플렌지(64)와 중공 체결 플렌지(42)에 형성된 거치대 측 위치 설정용 볼트 홀(64a)과 기둥측 위치 설정용 볼트 홀(42a)을 관통할 수 있는 위치 설정용 볼트(66)를 삽입시켜 체결하여 두면 안전사고 방지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중량물이 인양한 상태에서 턴 버클(46)을 조이거나 이완시켜 줌으로써,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40)의 내구성 보강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식 지지부재(2)를 사용하여 작업을 마치면 설치 역순으로 분해한 후 또 다른 정비 점검 대상 중량물이 있는 곳에 이동시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동식 지지부재(2)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정비 점검 대상물의 인양수단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설치대 22: 상부 절곡 바
22a: 상부 플렌지 24: 하부 절곡 바
24a: 하부 플렌지 26: 설치대 볼트
40: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 42: 중공 체결 플렌지
42a: 기둥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 46: 턴버클
60: 회동 거치대 62: 삽입축
64: 맞대응 플렌지 64a: 거치대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
66: 위치설정용 볼트 68: 지지대 봉
68a: 걸림턱

Claims (4)

  1. 빔이나 보 등의 구조물에 탈 장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대(20)와,
    상기 설치대(20)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중공형 회동 지지 기둥(40)과,
    상기 회동 지지 기둥(40)에 삽입 설치하여 체인 블록 등 견인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거치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20)는,
    빔이나 보에 올려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절곡 바(22)와,
    상기 상부 절곡 바(22)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절곡 바(24)와,
    상기 상부 절곡 바(22)와 하부 절곡 바(24)가 서로 대응하게 배치하되, 사각 형태가 되도록 대각선 위치에서 맞닿는 각각 상하부 플렌지(22a)(24a)를 통해 체결되도록 한 복수의 설치대 볼트(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 기둥(40)은,
    상기 설치대(20)의 상부 절곡 바(22)의 코너측 상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높이로 형성되면서 기둥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42a)을 구비한 중공 체결 플렌지(42)와,
    중량물이 거치될 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지지 기둥(40)과 상부 절곡 바(22)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턴버클(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거치대(60)는,
    중공 체결 플렌지(42)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축(62)과,
    상기 삽입축(62) 상단에 위치설정용 볼트(66)가 삽입되도록 거치대 측 위치설정용 볼트 홀(64a)이 형성되는 맞대응 플렌지(64)와
    상기 맞대응 플렌지(64) 상부에 수평으로 연장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되면서 끝 단에 걸림턱(68a)을 갖춘 지지대 봉(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KR1020190165381A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KR10233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81A KR102334703B1 (ko)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81A KR102334703B1 (ko)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73A true KR20210074573A (ko) 2021-06-22
KR102334703B1 KR102334703B1 (ko) 2021-12-02

Family

ID=7660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381A KR102334703B1 (ko)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2887A (en) * 2021-09-09 2023-05-17 Emox As Crane arm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491A (ko) * 2012-02-22 2013-08-30 최철순 에어 밸런스 아암
KR101848739B1 (ko) 2017-03-31 2018-04-16 육송(주) 완강기 지지대
KR101936145B1 (ko) * 2017-07-28 2019-04-03 (주)대한엔지니어링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KR102007663B1 (ko) 2018-10-31 2019-08-06 (주)수산인더스트리 인양용 러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491A (ko) * 2012-02-22 2013-08-30 최철순 에어 밸런스 아암
KR101848739B1 (ko) 2017-03-31 2018-04-16 육송(주) 완강기 지지대
KR101936145B1 (ko) * 2017-07-28 2019-04-03 (주)대한엔지니어링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KR102007663B1 (ko) 2018-10-31 2019-08-06 (주)수산인더스트리 인양용 러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2887A (en) * 2021-09-09 2023-05-17 Emox As Crane arm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703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6314A1 (en) clamps
US11680411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CN101449422A (zh) 活动式移动通信塔架
KR102334703B1 (ko)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JP4716948B2 (ja)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JP2010228827A (ja) 移動式搬送装置
KR20140147642A (ko) 건축용 서포트
KR20110014341A (ko)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JP2019128034A (ja) 作業台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102120026B1 (ko) Gis용 기재의 설치, 철거 및 운반용 체인 블록 지그장치
KR20160126791A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JP3250764B2 (ja) 建物の外装カーテンウォール組立装置
KR101846788B1 (ko) 발전용 보일러 수냉벽 긴급 보수용 조립식 곤도라 시스템 및 사용방법
US7367461B2 (en) Movable girder mounted jib
JP2010236226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2079531B1 (ko) 지붕이 형성된 옥외용 갠트리 크레인
KR200329414Y1 (ko) 건축용 갱폼 인양기
JP4079061B2 (ja) 吊り足場
CN218809755U (zh) 一种玻璃起重吊运设备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JPH10139385A (ja) 昇降旋回器
JP2006322169A (ja) 塔状構造物の解体に使用される仮連結治具及びこの仮連結治具を使用した塔状構造物の解体工法
JP3152380B2 (ja) 外壁パネルの施工方法
EP3533750B1 (en) Girder beam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and method
KR20190051589A (ko)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