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145B1 -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6145B1 KR101936145B1 KR1020170095795A KR20170095795A KR101936145B1 KR 101936145 B1 KR101936145 B1 KR 101936145B1 KR 1020170095795 A KR1020170095795 A KR 1020170095795A KR 20170095795 A KR20170095795 A KR 20170095795A KR 101936145 B1 KR101936145 B1 KR 1019361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boom
- stand
- lifting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63B2708/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에 안착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과, 상기 수직 붐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을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붐 유닛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인양 붐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와, 상기 윈치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상기 안내 호이스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와 연결된 인양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를 끌어올리는 인양 유닛; 및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가 상기 선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양기상관측 표류부이의 효과적인 인양 및 점검을 위하여 운반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기상관측 표류부이의 효과적인 인양 및 점검을 위하여 운반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더 나은 자원 형성을 위한 해상 및 해중 시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해중림 어초의 효과 파악, 해상 및 해중 가두리 관리 및 도난 방지, 각종 해상 시설물의 모니터링 등은 해양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해양환경 조사는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이 선박을 이용하여 항해하고 해양을 직접 조사하고 샘플을 채취하여 검사하고 환경변화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은 비교적 그 숫자가 많지 않고 업무에 숙련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조사할 해역이 매우 넓고 해양은 기후변화가 심하여 안전 항해에도 매우 위협적인 동시에 선박으로 항해를 할 수 있는 날짜도 매우 제한적이므로 정작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조사 및 측정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해양의 급속한 기후 변화 등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조사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일부 개선한 것이 고정식 부이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부이(BUOY)는 계선부표(繫船浮漂)를 말하며, 해상의 특정 지역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되며 다양한 계측 및 관측장비를 구비하여, 바람, 기압, 기온, 습도, 수온, 파고, 유속 등이 포함되는 각종 해양환경 정보를 실시 간으로 취득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부이는 특정 해상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각종 부착생물이 기생하여 정밀한 고가 측정 장비들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훼손시키므로 주기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등과 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된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부이를 일정 기간마다 청소하고 점검하기 위하여 인양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지만, 이러한 장치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물론, 등록특허 제10-1135462호의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지만, 선행기술은 LNG 재기화 선박과 같이 매우 큰 규모의 선박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부이의 인양을 위한 도킹 등의 작업에 상당한 인력과 장비가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설치 공간을 매우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선체에서 임의의 장소로 옮겨 인양 작업을 실시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만큼 큰 규모를 가진 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해양기상관측 표류부이의 효과적인 인양 및 점검을 위하여 운반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에 안착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과, 상기 수직 붐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을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붐 유닛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인양 붐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와, 상기 윈치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상기 안내 호이스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와 연결된 인양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를 끌어올리는 인양 유닛; 및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가 상기 선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직 붐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편과, 상기 중심편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3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및 상기 제3 로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수직 붐의 상단부와 상기 인양 붐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붐에 대한 상기 인양 붐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윈치는, 상기 인양 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풀과, 상기 붐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연장편에 고정되어 상기 스풀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윈치 브라켓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윈치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스풀의 회전축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윈치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제1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레버와, 상기 제2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크랭크 레버와,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핸들과, 상기 제2 크랭크 레버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2 크랭크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일측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길이 조절되는 연장 로드와, 상기 연장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 또는 상기 설치 대상면 상의 구조물과 연결하여 상기 스탠드를 고박하는 고정 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1 보조 로드와, 상기 제2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2 보조 로드와, 상기 제1 보조 로드 및 상기 제2 보조 로드의 단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상기 선체 및 상기 설치 대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탠드를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에 안착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과, 상기 수직 붐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을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붐 유닛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인양 붐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와, 상기 윈치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상기 안내 호이스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와 연결된 인양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를 끌어올리는 인양 유닛; 및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가 상기 선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표류부이의 효과적인 인양 및 점검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운반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고정시킬 구조물만 있다면 어디든 숙련도에 상관없이 설치한 후 인양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직 붐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편과, 상기 중심편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3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및 상기 제3 로드에 구비됨으로써, 선체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표류부이의 인양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수직 붐의 상단부와 상기 인양 붐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붐에 대한 상기 인양 붐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베어링을 더 구비함으로써, 인양된 표류부이를 선체의 특정 위치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윈치는, 상기 인양 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풀과, 상기 붐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연장편에 고정되어 상기 스풀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윈치 브라켓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윈치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스풀의 회전축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윈치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제1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레버와, 상기 제2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크랭크 레버와,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핸들과, 상기 제2 크랭크 레버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2 크랭크 핸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숙련도에 상관없이 안전한 환경하에서 제반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의 예방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일측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길이 조절되는 연장 로드와, 상기 연장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 또는 상기 설치 대상면 상의 구조물과 연결하여 상기 스탠드를 고박하는 고정 패들을 포함함으로써, 요동이 심한 해상 작업의 특성상 안정적인 장치의 고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인양 및 운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낙하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1 보조 로드와, 상기 제2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2 보조 로드와, 상기 제1 보조 로드 및 상기 제2 보조 로드의 단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상기 선체 및 상기 설치 대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탠드를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를 더 구비함으로써, 선체의 설치 대상면을 포함한 특정 위치에 대하여 스탠드가 더욱 확실하고 견고하게 고박될 수 있게 하므로, 추락이나 낙하 사고의 염려없이 안정적인 제반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주요부인 스탠드에 구비되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주요부인 스탠드에 구비되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주요부인 스탠드(100)에 구비되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탠드(100)와 붐 유닛(200)과 인양 유닛(300) 및 고정 유닛(5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스탠드(100)는 선박의 선체(400)에 안착되는 것으로, 후술할 붐 유닛(200)과 고정 유닛(500)이 장착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고 장치 전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붐 유닛(200)은 스탠드(100)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210)과, 수직 붐(210)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22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인양 유닛(300)은 붐 유닛(200)에 장착되는 윈치(310)와, 인양 붐(220)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320)와, 윈치(310)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안내 호이스트(320)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331)와 연결된 인양고리(330)를 포함하며, 인양고리(330)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600)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아울러, 고정 유닛(500)은 스탠드(100)에 구비되며, 스탠드(100)가 선체(4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스탠드(100)는,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직 붐(210)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편(140)에 제1, 2, 3 로드(110, 120, 130)가 연결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로드(110)는 중심편(140)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체(400)의 설치 대상면(410)상에 접촉되는 것이다.
제2 로드(120)는 중심편(140)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 대상면(410)상에 접촉되는 것이다.
제3 로드(130)는 중심편(140)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 대상면(410)상에 접촉되고, 제1 로드(110) 및 제2 로드(120)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후술할 고정 유닛(500)은 제1 로드(110)와 제2 로드(120) 및 제3 로드(130)에 구비될 것이다.
또한, 스탠드(100)는, 양단부가 각각 수직 붐(210) 및 제1 로드(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 바(112)와, 양단부가 각각 수직 붐(210) 및 제2 로드(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 바(122)와, 양단부가 각각 수직 붐(210) 및 제3 로드(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 바(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바(112)와 제2 지지 바(122) 및 제3 지지 바(132)는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스탠드(1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스탠드(100)는, 제1 지지 바(112)의 상단부 끝면에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조절홀(1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수직 붐(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상부 지지편(2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조절홀(111)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조절봉(1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제1 로드(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하부 지지편(1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지지 바(11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 회동편(1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제2 지지 바(122)의 상단부 끝면에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조절홀(1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수직 붐(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상부 지지편(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조절홀(121)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조절봉(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제2 로드(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하부 지지편(1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지지 바(12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 회동편(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제3 지지 바(132)의 상단부 끝면에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조절홀(13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100)는, 수직 붐(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상부 지지편(211) 및 제2 상부 지지편(212)과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3 상부 지지편(2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조절홀(131)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조절봉(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100)는, 제3 로드(1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하부 지지편(1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지지 바(13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3 회동편(13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탠드(100)를 설치할 때, 선체(400) 갑판의 수평도나, 스탠드(100)가 고정 설치될 설치 대상면(410)의 형상 및 평탄도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작업자는 제1 상부 지지편(211)과 제2 상부 지지편(212)과 제3 상부 지지편(213)에 각각 제1 조절봉(113)과 제2 조절봉(123)과 제3 조절봉(133)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전에 길이 조절을 한 다음 체결함으로써, 스탠드(100)에 대한 수직 붐(210)의 경사각이나 수직도 등을 고려한 설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작업자는 제1 지지 바(112)와 제2 지지 바(122)와 제3 지지 바(132)에 대한 제1 조절봉(113)과 제2 조절봉(123)과 제3 조절봉(133)의 길이를 나사 회전시켜 적절히 조절한 다음, 제1 상부 지지편(211)과 제2 상부 지지편(212)과 제3 상부 지지편(213)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붐 유닛(200)은, 수직 붐(210)의 상단부와 인양 붐(22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 붐(210)에 대한 인양 붐(22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베어링(21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회전지지 베어링(215)은 비교적 중량물인 표류부이(600)를 후술할 윈치(310)를 이용하여 인양한 후 적은 힘으로 회전하며 선체(400)의 특정 위치로 옮기는 다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인양 붐(220)은, 수직 붐(210)의 상단부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로드(221)와, 회전 로드(221)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인양 로드(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내 호이스트(320)는 인양 로드(222)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윈치(310)는 회전 로드(221)에 장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인양 로드(222)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윈치(310)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인양 로프(331)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풀(311)과, 붐 유닛(2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연장편(201)에 고정되어 스풀(311)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윈치 브라켓(3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윈치(310)는, 스풀(311)의 양단부에서 회전력을 발생시켜 인양 로프(331)를 감아 표류부이(600)를 인양하기 위한 기초 구조로써, 스풀(311)의 회전축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윈치 브라켓(3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크랭크 샤프트(313)와, 스풀(311)의 회전축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윈치 브라켓(3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크랭크 샤프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윈치(310)는, 제1 크랭크 샤프트(313)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레버(315)와, 제2 크랭크 샤프트(314)의 단부로부터 제1 크랭크 레버(315)와 반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제1 크랭크 레버(315)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크랭크 레버(3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랭크 레버(315)와 제2 크랭크 레버(316)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크랭크 레버(315) 및 제2 크랭크 레버(316)와 동시에 직교하는 가상선을 가정할 때, 제1, 2 크랭크 레버(315, 316)와 동시에 연결되는 전술한 가상선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회전지지 베어링(215)의 직경보다는 커야할 것이다.
왜냐면, 작업자가 윈치(310)를 조작할 때 제1, 2 크랭크 레버(315, 316)가 회전지지 베어링(215)에 부딪히면 표류부이(600)의 원활한 인양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윈치(310)는, 제1 크랭크 레버(315)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핸들(317)과, 제2 크랭크 레버(316)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2 크랭크 핸들(318)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크랭크 핸들(317)과 제2 크랭크 핸들(318)을 각각 양손으로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인양 로프(331)를 감거나 푸는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치(310)는, 윈치 브라켓(312)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제1 크랭크 샤프트(313) 또는 제2 크랭크 샤프트(314)와 일체로 회전하는 평판 기어(319g)와, 평판 기어(319g)와 맞물리는 멈춤핀(319p)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윈치 브라켓(312)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회전 방지편(319r)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역회전 방지편(319r)은 스프링(이하 미도시)과 같은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mber)에 의하여 탄성지지 될 수 있다.
이때, 역회전 방지편(319r)은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력을 가하여 회동시켜 평판 기어(319g)와 멈춤핀(319p) 상호간의 맞물림을 해제해야만 소망하는 방향의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표류부이(600)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윈치(310)가 역회전하여 다시 바다로 빠져버리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하겠다.
한편, 고정 유닛(500)은,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탠드(100)의 일측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길이 조절되는 연장 로드(510)와, 연장 로드(5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선체(400)의 설치 대상면(410) 또는 설치 대상면(410) 상의 구조물과 연결하여 스탠드(100)를 고박하는 고정 패들(5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연장 로드(510)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3 로드(130)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부재이다.
이때, 연장 로드(5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순차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고정 패들(520)은, 연장 로드(510)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 로드(510)와 직교되게 연장되는 고정 연장편(523)의 양단부에 제1, 2 턴 버클 조립체(521, 522)가 구비되고, 제1, 2 턴 버클 조립체(521, 522)에는 탈착 연결편(524)이 구비된다.
제1 턴 버클 조립체(521)는 고정 연장편(523)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양단부가 각각 각자 또는 동시에 회전 가능하며, 제2 턴 버클 조립체(522)는 고정 연장편(523)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양단부가 각각 각자 또는 동시에 회전 가능한 것이다.
탈착 연결편(524)은 제1 턴 버클 조립체(521) 및 제2 턴 버클 조립체(522) 각각의 단부를 상호 분리 또는 결합시키도록, 제1 턴 버클 조립체(521) 및 제2 턴 버클 조립체(522)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우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 형상으로 제1, 2 턴 버클 조립체(521, 522)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탈착 연결편(524)을 서로 겹쳐 고정한 상태에서, 선체(400)의 특정 구조물에 걸림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서로 겹쳐진 탈착 연결편(524)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고, 제1, 2 턴 버클 조립체(521, 522)를 고정 연장편(523)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용 로프나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선체(400)의 특정 구조물에 고박시키는 등의 작업 준비를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유닛(500)은, 스탠드(100)를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2 보조 로드(530, 540)와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보조 로드(530)는 제1 로드(110)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것이며, 제2 보조 로드(540)는 제2 로드(120)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는 제1 보조 로드(530) 및 제2 보조 로드(540)의 단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선체(400) 및 설치 대상면(410)에 밀착되어 스탠드(10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는, 도 4와 같이 제1 보조 로드(530) 및 제2 보조 로드(540)의 단부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는 조인트(552)를 포함하는 보조 회동바(551)와, 보조 회동바(551)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편(553)과, 밀착 고정편(553)의 끝면을 감싸며 선체(400) 또는 설치 대상면(410)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을 가진 밀착 패드(5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는 밀착 패드(554) 표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설치 대상면(410)에 미끄러지지 않고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는, 도 5와 같이 보조 회동바(551) 및 고정편(553)과 함께, 고정편(553)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정편(553)과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1 밀착편(555)과, 고정편(553)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밀착편(555)과 서로 마주보는 제2 밀착편(556)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는, 고정편(553)에 대하여 고정된 제1 밀착편(555)에 대하여, 제2 밀착편(556)이 제1 밀착편(555)으로부터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고정편(5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553r)을 따라 이동하며 제2 밀착편(556)과 연결되는 이동편(556m)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는, 제1 밀착편(555)과 제2 밀착편(556)을 서로 연결하며, 제2 밀착편(556)이 제1 밀착편(555)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스프링(557)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2 밀착편(555, 556)의 구조는 설치 대상면(410) 상에 돌출된 난간이나 기둥을 포함한 각종 돌출 구조물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됨으로써, 스탠드(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스탠드(100)를 선체(400)의 설치 대상면(4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유닛(500)을 조작하여 설치 대상면(41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 수직 붐(210)에 대하여 인양 붐(220)을 회전시키고, 윈치(310)를 조작하여 인양 로프(331)를 풀어서 해상에 부유중인 표류부이(600)에 인양고리(320)를 조준한다.
다음으로, 표류부이(600)가 인양고리(320)에 걸리면 작업자는 윈치(310)를 조작하여 인양 로프(331)를 감아서 표류부이(600)를 설치 대상면(410)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까지 인양한 다음, 다시 인양 붐(220)을 수직 붐(210)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인양한 표류부이(600)를 설치 대상면(410)의 특정 위치상에 이동시킨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윈치(310)를 조작하여 인양 로프(331)를 풀어 표류부이(600)를 설치 대상면(410)에 내려놓고, 다음 작업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400)에 안착되는 스탠드(100); 스탠드(100)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210)과, 수직 붐(210)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220)을 포함하는 붐 유닛(200); 붐 유닛(200)에 장착되는 윈치(310)와, 인양 붐(220)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320)와, 윈치(310)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안내 호이스트(320)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331)와 연결된 인양고리(330)를 포함하며, 인양고리(330)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600)를 끌어올리는 인양 유닛(300); 및 스탠드(100)에 구비되며, 스탠드(100)가 선체(4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표류부이(600)의 효과적인 인양 및 점검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운반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고정시킬 구조물만 있다면 어디든 숙련도에 상관없이 설치한 후 인양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0)는, 수직 붐(210)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편(140)과, 중심편(140)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체(400)의 설치 대상면(410)상에 접촉되는 제1 로드(110)와, 중심편(140)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 대상면(410)상에 접촉되는 제2 로드(120)와, 중심편(140)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 대상면(410)상에 접촉되고, 제1 로드(110) 및 제2 로드(120)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3 로드(130)를 포함하며, 고정 유닛(500)은 제1 로드(110)와 제2 로드(120) 및 제3 로드(130)에 구비됨으로써, 선체(40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표류부이(600)의 인양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붐 유닛(200)은, 수직 붐(210)의 상단부와 인양 붐(22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 붐(210)에 대한 인양 붐(22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베어링(215)을 더 구비함으로써, 인양된 표류부이(600)를 선체(400)의 특정 위치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윈치(310)는, 인양 로프(331)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풀(311)과, 붐 유닛(2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연장편(201)에 고정되어 스풀(311)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윈치 브라켓(312)과, 스풀(311)의 회전축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윈치 브라켓(3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크랭크 샤프트(313)와, 스풀(311)의 회전축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윈치 브라켓(3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크랭크 샤프트(314)와, 제1 크랭크 샤프트(313)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레버(315)와, 제2 크랭크 샤프트(314)의 단부로부터 제1 크랭크 레버(315)와 반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제1 크랭크 레버(315)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크랭크 레버(316)와, 제1 크랭크 레버(315)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핸들(317)과, 제2 크랭크 레버(316)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2 크랭크 핸들(318)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숙련도에 상관없이 안전한 환경하에서 제반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의 예방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유닛(500)은, 스탠드(100)의 일측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길이 조절되는 연장 로드(510)와, 연장 로드(5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선체(400)의 설치 대상면(410) 또는 설치 대상면(410) 상의 구조물과 연결하여 스탠드(100)를 고박하는 고정 패들(520)을 포함함으로써, 요동이 심한 해상 작업의 특성상 안정적인 장치의 고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인양 및 운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낙하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유닛(500)은, 제1 로드(110)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1 보조 로드(530)와, 제2 로드(120)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2 보조 로드(540)와, 제1 보조 로드(530) 및 제2 보조 로드(540)의 단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선체(400) 및 설치 대상면(410)에 밀착되어 스탠드(100)를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550)를 더 구비함으로써, 선체(400)의 설치 대상면(410)을 포함한 특정 위치에 대하여 스탠드(100)가 더욱 확실하고 견고하게 고박될 수 있게 하므로, 추락이나 낙하 사고의 염려없이 안정적인 제반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해양기상관측 표류부이의 효과적인 인양 및 점검을 위하여 운반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스탠드
110...제1 로드
111...제1 조절홀
112...제1 지지 바
113...제1 조절봉
114...제1 하부 지지편
115...제1 회동편
120...제2 로드
121...제2 조절홀
122...제2 지지 바
123...제2 조절봉
124...제2 하부 지지편
125...제2 회동편
130...제3 로드
131...제3 조절홀
132...제3 지지 바
133...제3 조절봉
134...제3 하부 지지편
135...제3 회동편
140...중심편
200...붐 유닛
201...연장편
210...수직 붐
211...제1 상부 지지편
212...제2 상부 지지편
213...제3 상부 지지편
215...회전지지 베어링
220...인양 붐
221...회전 로드
222...인양 로드
300...인양 유닛
310...윈치
311...스풀
312...윈치 브라켓
313...제1 크랭크 샤프트
314...제2 크랭크 샤프트
315...제1 크랭크 레버
316...제2 크랭크 레버
317...제1 크랭크 핸들
318...제2 크랭크 핸들
319g...평판 기어
319p...멈춤핀
319r...역회전 방지편
320...안내 호이스트
330...인양고리
331...인양 로프
400...선체
410...설치 대상면
500...고정 유닛
510...연장 로드
520...고정 패들
521...제1 턴 버클 조립체
522...제2 턴 버클 조립체
523...고정 연장편
524...탈착 연결편
530...제1 보조 로드
540...제2 보조 로드
550...보조 고정 어셈블리
551...보조 회동바
552...조인트
553...고정편
553r...레일
554...밀착 패드
555...제1 밀착편
556...제2 밀착편
556m...이동편
557...코일스프링
600...표류부이
110...제1 로드
111...제1 조절홀
112...제1 지지 바
113...제1 조절봉
114...제1 하부 지지편
115...제1 회동편
120...제2 로드
121...제2 조절홀
122...제2 지지 바
123...제2 조절봉
124...제2 하부 지지편
125...제2 회동편
130...제3 로드
131...제3 조절홀
132...제3 지지 바
133...제3 조절봉
134...제3 하부 지지편
135...제3 회동편
140...중심편
200...붐 유닛
201...연장편
210...수직 붐
211...제1 상부 지지편
212...제2 상부 지지편
213...제3 상부 지지편
215...회전지지 베어링
220...인양 붐
221...회전 로드
222...인양 로드
300...인양 유닛
310...윈치
311...스풀
312...윈치 브라켓
313...제1 크랭크 샤프트
314...제2 크랭크 샤프트
315...제1 크랭크 레버
316...제2 크랭크 레버
317...제1 크랭크 핸들
318...제2 크랭크 핸들
319g...평판 기어
319p...멈춤핀
319r...역회전 방지편
320...안내 호이스트
330...인양고리
331...인양 로프
400...선체
410...설치 대상면
500...고정 유닛
510...연장 로드
520...고정 패들
521...제1 턴 버클 조립체
522...제2 턴 버클 조립체
523...고정 연장편
524...탈착 연결편
530...제1 보조 로드
540...제2 보조 로드
550...보조 고정 어셈블리
551...보조 회동바
552...조인트
553...고정편
553r...레일
554...밀착 패드
555...제1 밀착편
556...제2 밀착편
556m...이동편
557...코일스프링
600...표류부이
Claims (6)
- 선박의 선체에 안착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과, 상기 수직 붐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을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붐 유닛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인양 붐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와, 상기 윈치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상기 안내 호이스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와 연결된 인양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를 끌어올리는 인양 유닛; 및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가 상기 선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직 붐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편과,
상기 중심편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3 로드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직 붐 및 상기 제1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 바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직 붐 및 상기 제2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 바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직 붐 및 상기 제3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 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1 보조 로드와,
상기 제2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2 보조 로드와,
상기 제1 보조 로드 및 상기 제2 보조 로드의 단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상기 선체 및 상기 설치 대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탠드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보조 로드 및 상기 제2 보조 로드의 단부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보조 회동바와, 상기 보조 회동바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끝면을 감싸며 상기 선체 또는 상기 설치 대상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을 가진 밀착 패드를 포함하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및 상기 제3 로드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와 상기 제2 지지 바 및 상기 제3 지지 바는 각각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선박의 선체에 안착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는 수직 붐과, 상기 수직 붐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 붐을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붐 유닛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인양 붐의 말단에 구비된 안내 호이스트와, 상기 윈치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상기 안내 호이스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인양 로프와 연결된 인양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에 걸린 해양관측용의 표류부이를 끌어올리는 인양 유닛; 및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가 상기 선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직 붐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편과,
상기 중심편의 좌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1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중심편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설치 대상면상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3 로드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직 붐 및 상기 제1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 바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직 붐 및 상기 제2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 바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직 붐 및 상기 제3 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 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1 보조 로드와,
상기 제2 로드의 단부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제2 보조 로드와,
상기 제1 보조 로드 및 상기 제2 보조 로드의 단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상기 선체 및 상기 설치 대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탠드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보조 로드 및 상기 제2 보조 로드의 단부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보조 회동바와, 상기 보조 회동바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편과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1 밀착편과, 상기 고정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밀착편과 서로 마주보는 제2 밀착편을 포함하는 보조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 및 상기 제3 로드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와 상기 제2 지지 바 및 상기 제3 지지 바는 각각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수직 붐의 상단부와 상기 인양 붐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붐에 대한 상기 인양 붐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인양 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풀과,
상기 붐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연장편에 고정되어 상기 스풀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윈치 브라켓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윈치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스풀의 회전축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윈치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제1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레버와,
상기 제2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와 반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크랭크 레버와,
상기 제1 크랭크 레버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크랭크 핸들과,
상기 제2 크랭크 레버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2 크랭크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일측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길이 조절되는 연장 로드와,
상기 연장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설치 대상면 또는 상기 설치 대상면 상의 구조물과 연결하여 상기 스탠드를 고박하는 고정 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5795A KR101936145B1 (ko) | 2017-07-28 | 2017-07-28 |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5795A KR101936145B1 (ko) | 2017-07-28 | 2017-07-28 |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6145B1 true KR101936145B1 (ko) | 2019-04-03 |
Family
ID=6616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5795A KR101936145B1 (ko) | 2017-07-28 | 2017-07-28 |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614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4573A (ko) * | 2019-12-12 | 2021-06-2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
KR20220157236A (ko) * | 2021-05-20 | 2022-11-29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이동형 수중무인이동체 인양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9767U (ko) * | 1992-02-17 | 1993-09-23 | 하복진 | 이동식 소형 크레인 |
KR101135462B1 (ko) | 2007-01-26 | 2012-04-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
KR20160121196A (ko) * | 2015-04-10 | 2016-10-1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용 크레인 장치 |
-
2017
- 2017-07-28 KR KR1020170095795A patent/KR101936145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9767U (ko) * | 1992-02-17 | 1993-09-23 | 하복진 | 이동식 소형 크레인 |
KR101135462B1 (ko) | 2007-01-26 | 2012-04-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
KR20160121196A (ko) * | 2015-04-10 | 2016-10-1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용 크레인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4573A (ko) * | 2019-12-12 | 2021-06-2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
KR102334703B1 (ko) * | 2019-12-12 | 2021-12-0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
KR20220157236A (ko) * | 2021-05-20 | 2022-11-29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이동형 수중무인이동체 인양 장치 |
KR102542773B1 (ko) * | 2021-05-20 | 2023-06-12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이동형 수중무인이동체 인양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6145B1 (ko) |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 |
US20120160146A1 (en) | Fairlead latch device | |
US2022012695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 mooring line | |
KR102400054B1 (ko) |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 |
US9919769B2 (en) | Device for interconnecting a first tether and a second tether | |
KR20150065442A (ko) |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20120118729A (ko) | 해양 앵커링 윈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
KR101702516B1 (ko) |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 |
US8181589B2 (en) | Gravity anchor | |
US20100098498A1 (en) | Anchor system for offshore dynamically positioned drilling platform | |
US4246860A (en) | Method for anchor retrieval | |
CN109230858A (zh) | 一种移动式海底脐带缆、软管及电缆的海上存储、运输系统 | |
CN109029535B (zh) | 船载水上水下一体化测量系统的平台装置 | |
KR102659975B1 (ko) | 반자동 또는 자동 계류 시스템을 갖춘 선박 및 방법 | |
KR20140002178U (ko) | 인양용 선박의 4점 계류장치 | |
RU2809879C1 (ru) |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едов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 |
KR102133992B1 (ko) | 소형선박용 윈치 장치의 구조 | |
JP2017086546A (ja) | ワイヤ張力調整装置 | |
KR101702515B1 (ko) |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 |
CN220186465U (zh) | 一种用于水下实时成像系统的固定装置 | |
CN218844988U (zh) | 一种快速拆卸的海事紧索具 | |
JPS5932579A (ja) | 定位置に保持自在な輸送台船 | |
WO2022239580A1 (ja) | 係留システム及び係留方法 | |
CN118529191A (zh) | 船体吸附式低阻力海洋环境监测设备搭载系统和方法 | |
JP2018189372A (ja) | 高分解能三次元音波探査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