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791A -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 Google Patents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791A
KR20160126791A KR1020150058315A KR20150058315A KR20160126791A KR 20160126791 A KR20160126791 A KR 20160126791A KR 1020150058315 A KR1020150058315 A KR 1020150058315A KR 20150058315 A KR20150058315 A KR 20150058315A KR 20160126791 A KR20160126791 A KR 2016012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cket
jockey
elastic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982B1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서포트의 인양과 설치시 자키와 서포트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자키와 서포트의 손상을 막고 자키의 이탈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건축물 등의 파손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10)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나사봉(12)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구(13)와; 상기 나사봉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봉의 둘레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관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높이조절구에 지지되는 소켓(14)과;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턱(15)과; 상기 소켓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 노브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포트(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 노브, 상기 나사봉의 상기 높이조절 노브 위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노브에 지지되는 소켓,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턱, 상기 소켓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 노브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자키 베이스(10)와; 내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 중공부가 형성된 형태이며,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 이상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탄성 자키 베이스의 상기 나사봉에 끼워지면서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서포트관(2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TENSION JOCKEY BASE AND SUPPORT HAVING THIS SAME}
본 발명은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포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서포트의 인양과 설치시 자키와 서포트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자키와 서포트의 손상을 막고 자키의 이탈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건축물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을 제공하는 거푸집이 사용된다. 상기 거푸집은 단일 지지대(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단일 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보편적으로 건물의 각층 천정은 균일한 높이를 이루고 있어 몰탈 타설을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기성품의 서포트를 이용하여 왔다.
특히 콘크리트 철골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완료시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여야 하는데 이때 작업용 발판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를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서포트가 가설된다.
서포트는 저부가 지면에 직접 지지되거나 높이 조정을 위한 자키 베이스를 통해 지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전자의 서포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서포트보다 단면적이 큰 지지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취급(보관, 운반 등)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가 변형되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자키 베이스를 서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 다양한 크기의 자키 베이스를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자키(1)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2), 베이스판(2) 위에 세워지는 나사봉(3), 나사봉(3)에 나사 체결되어 나사봉(3)을 따라 승강하는 높이조절구(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자키(1)는 서포트(5)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시스템 서포트라 하여 다수의 수직형 서포트(5)와 수평재 및 경사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제품[거푸집(6)과 결합되어 거푸집(6)을 지지함]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수직형 서포트(5)의 저부에 자키(1)가 결합되어 일체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서포트(5)는 자키(1)에 결합되는 소켓(7)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소켓(7)은 나사봉(3)의 큰 외경으로 이루어져 나사봉(3)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높이조절구(4)에 지지되면서 서포트(5)와 리벳팅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소켓(7)이 나사봉(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봉(3)의 상단부에는 소켓(7)의 이탈방지를 위한 지지턱(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자키(1)와 서포트(5)에 따르면, 서포트(5)와 연결되는 소켓(7)은 지지턱(8)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높이조절구(4)에 지지된 상태이며, 따라서, 서포트(5)는 소켓(7)을 통해 높이조절구(4)에 지지된다. 서포트(5)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 높이조절구(4)를 양방향으로 돌려 소켓(7)을 상승시키거나 반대로 하강시켜 서포트(5)를 높이거나 낮추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자키와 서포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높이조절구(4)와 소켓(7)의 지지턱(8)에 지지되지 않도록 지지턱(8)의 아래에 위치하며 따라서, 이 상태에서 서포트(5)를 인양하는 경우 소켓(7)이 상승하다가 지지턱(7)에 충돌하게 된다. 서포트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하여 소켓(7)에 의한 지지턱(8)의 잦은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키(1)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키(1)와 서포트(5)의 이탈 현상이 발생되며 특히 서포트(5)의 인양 운반 중에는 자키(1)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자키(1)의 이탈 현상이 더욱 심해지게 되고 이때 지면으로 낙하하는 자키(1)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건축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802165호)은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세워지며 서포트를 포함하는 구조물이 연결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와 상기 구조물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마주하는 일측이 힌지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며 자유단부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구조물을 조이는 제1,2클램프 편, 상기 제1,2클램프 편의 저부에 내경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회전안내홈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안내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봉과 상기 구조물을 서로 결속하는 클램프인 자키 베이스이며, 자키 베이스와 서포트를 필요시 결합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서포트와 자키 베이스를 취급(설치, 운반 등)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자재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기존 자키 베이스의 간단한 구조 개선을 통해서는 제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제조설비를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이 약하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1489386호)는 내부에 서포트 삽입홈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의 저부와 상부 중에서 일측 이상에 상기 서포트 삽입홈을 통해 결합되는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소켓 본체를 상기 서포트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와; 상기 소켓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중에서 일측 이상에 상기 소켓 본체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의 저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를 지면에 지지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서포트의 저부에 연결되는 자키 베이스를 고정하거나,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연결되는 거푸집 지지구를 고정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이며, 소켓을 서포트의 저부에 장착하여 서포트 자체에 지지면을 구성하지 않아도 서포트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서포트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자키 베이스의 크기에 상관없이 자키 베이스를 서포트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서포트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며, 서포트의 상부에 소켓을 연결하여 서포트에 거푸집 지지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압력과 하중에 의한 서포트의 휨 변형을 막고 서포트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넓은 작업 공간의 확보를 통해 작업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지만, 서포트가 고정구를 통해서만 자키의 나사봉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되므로 시스템 거푸집의 인양 등 운반시 자키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02165호 등록특허 제10-14893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포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서포트의 인양 운반 등에서 자키와 서포트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자키와 서포트의 손상을 막고 자키의 이탈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건축물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나사봉의 상기 높이조절구 위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구에 지지되며 서포트가 연결되도록 하는 소켓과;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소켓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 노브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포트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 노브, 상기 나사봉의 상기 높이조절 노브 위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노브에 지지되는 소켓,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턱, 상기 소켓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 노브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자키 베이스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관형이며,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 이상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탄성 자키 베이스의 상기 나사봉에 끼워지면서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서포트관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에 의하면, 자키와 소켓이 탄성부재(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높이조절구의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므로 서포트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소켓과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지지턱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소켓을 높이조절구에 밀착시켜 서포트의 인양과 설치시 소켓과 지지턱이 충돌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자키와 서포트의 손상 방지는 물론 서포트의 운반이나 취급시 자키의 이탈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건축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키 베이스의 내구성 향상으로 자키 베이스의 교체에 따른 비용손실을 줄이고 자키와 서포트 간의 충격 소음에 따른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키와 서포트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키와 서포트의 문제점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와 서포트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와 서포트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와 서포트관의 다른 결합을 보인 예시도.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10)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11)에 세워지는 나사봉(12)과; 나사봉(12)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구(13)와; 나사봉(12)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높이조절구(13)에 지지되는 소켓(14)과; 나사봉(12)의 상단부에 나사봉(12)의 둘레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15)과; 소켓(14)과 지지턱(15) 사이에 설치되어 소켓(4)을 높이조절구(13)에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16)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판(11)은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며, 또는 지면에 안착되면서 앵커를 통해 지면에 정착될 수도 있도록 하나 이상의 앵커홀이 구성될 수 있다.
나사봉(12)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이며 세워진 상태에서 저부가 용접 등을 통해 베이스판(11)에 고정된다.
높이조절구(13)는 나사봉(12)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너트 형태이며 높이조절 조작이 용이하도록 둘레부에 노브(봉 형태 등)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14)은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나사봉(12)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서포트관(20)과 함께 자유로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경이 나사봉(12)의 외경보다 큰 형태이다.
지지턱(15)은 서포트관(20)과의 유격조정을 통해 서포트관(2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소켓(14)과 코일스프링(16)이 나사봉(12)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나사봉(12)보다 큰 단면적의 판재로서 나사봉(12)의 상단부에 용접되거나 암나사가 구비된 너트 형태로 이루어져 나사봉(12)에 나사체결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코일스프링(16)은 나사봉(12)의 둘레부에 끼워지며 상부는 지지턱(15)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부는 소켓(14)의 상면에 지지된다.
코일스프링(16)은 그 길이가 나사봉(1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소켓(14)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소켓(14)이 높이조절구(13)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길이와 탄성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자키 베이스를 갖는 서포트(100)는 자키(10) 및 자키(10)의 소켓(14)에 결합되는 서포트관(20)으로 구성된다.
자키(10)는 전술한 구성[베이스(11), 나사봉(12), 높이조절구(13), 소켓(14), 지지턱(15)]으로 이루어진다.
서포트관(20)는 예컨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알루미늄의 관이며, 길이방향의 일측 이상에 자키(10)가 결합된다. 서포트관(20)과 자키(10)의 결합방식으로 소켓(14)과 서포트관(20)을 리벳팅(30)(도 3참고)하여 결합하는 방식, 소켓(14)과 서포트관(20)을 용접하는 방식, 소켓(14)과 서포트관(20)을 리벳팅 및 용접하는 방식,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서포트관(20)과 소켓(14) 및 나사봉(12)을 관통하는 핀(40)(볼트와 너트 포함)방식 등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서포트관(20)과 소켓(14) 및 나사봉(12) 모두가 회전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을 관통하는 결합방식이 가능한 것이며 단 나사봉(12)에는 서포트관(20)의 높이조절을 위하여 상하 종방향의 레일(12a)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서포트관(20)은 소켓(14)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소켓(1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키 및 서포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자키(10)의 초기 상태라 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구(13)는 회전력이 부여되지 않는 한 나사봉(12)에 나사 체결되어 위치가 변하지 않으며 따라서 높이조절구(13)와 지지턱(15)이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턱(15)에 일측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14)이 높이조절구(13)에 밀착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서포트(100) 다수개가 거푸집(200)에 결합되는 시스템 거푸집 또는 다수개의 서포트(100)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거푸집을 인양하면 거푸집(200)에 서포트(100)의 상단이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키(10)가 하강하려 하게 되며 이때, 자키(10)의 자중에 의해 코일스프링(16)이 압축되고, 코일스프링(16)이 압축되어 소켓(14)이 지지턱(15)을 향해 이동한다 하여도 코일스프링(16)에 의해 소켓(14)이 지지턱(15)에 충돌하지 않는다.
코일스프링(16)은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포트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 높이조절구(13)의 정방향 회전시 압축되어 높이조절구(13)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으며 따라서 높이조절구(13)에 의해 소켓(14)이 상승하여 서포트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서포트의 높이를 낮출 경우 높이조절구(13)의 역방향 회전시 팽창되어 높이조절구(13)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으며 따라서 높이조절구(13)에 의해 소켓(14)이 하강하여 서포트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포트(100)의 높이조절을 구속하지 않아 서포트(100)를 설계높이로 맞출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외에 자키(10)와 서포트관(20)의 충돌을 막아 자키(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다.
10 : 자키, 11 : 베이스판
12 : 나사봉, 13 : 높이조절구
14 : 소켓, 15 : 지지턱
16 : 코일스프링, 20 : 서포트관

Claims (4)

  1.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나사봉(12)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구(13)와;
    상기 나사봉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봉의 둘레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관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높이조절구에 지지되는 소켓(14)과;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턱(15)과;
    상기 소켓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 노브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자키 베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나사봉을 감싸면서 상하부가 각각 상기 지지턱과 상기 소켓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턱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구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자키 베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의 판재이며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자키 베이스.
  4.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 노브, 상기 나사봉의 상기 높이조절 노브 위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노브에 지지되는 소켓, 상기 나사봉의 상단부에 상기 나사봉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턱, 상기 소켓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높이조절 노브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자키 베이스(10)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관형이며,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 이상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탄성 자키 베이스의 상기 나사봉에 끼워지면서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서포트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자키 베이스를 포함하는 서포트.
KR1020150058315A 2015-04-24 2015-04-24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KR10167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15A KR101673982B1 (ko) 2015-04-24 2015-04-24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15A KR101673982B1 (ko) 2015-04-24 2015-04-24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91A true KR20160126791A (ko) 2016-11-02
KR101673982B1 KR101673982B1 (ko) 2016-11-08

Family

ID=5751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315A KR101673982B1 (ko) 2015-04-24 2015-04-24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452A (zh) * 2021-06-11 2021-08-10 杭州萧宏建设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复杂工况下跨河钢管大跨径多线叠加用支架
EP4053358A1 (en) * 2021-03-04 2022-09-07 Worxsafe AB A telescopic edge protection po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09Y1 (ko) * 2017-02-14 2018-09-04 김윤수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1928033B1 (ko) * 2018-04-04 2018-12-11 정동근 브러싱 타입 건축공사용 지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87Y1 (ko) * 2002-09-10 2002-12-12 홍재철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100802165B1 (ko)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200461108Y1 (ko) * 2012-04-04 2012-06-29 김종호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KR101489386B1 (ko) 2013-07-19 2015-02-06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87Y1 (ko) * 2002-09-10 2002-12-12 홍재철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100802165B1 (ko)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200461108Y1 (ko) * 2012-04-04 2012-06-29 김종호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KR101489386B1 (ko) 2013-07-19 2015-02-06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3358A1 (en) * 2021-03-04 2022-09-07 Worxsafe AB A telescopic edge protection post
US11795725B2 (en) 2021-03-04 2023-10-24 Worxsafe Ab Telescopic edge protection post
CN113235452A (zh) * 2021-06-11 2021-08-10 杭州萧宏建设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复杂工况下跨河钢管大跨径多线叠加用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82B1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KR101902134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설치 장치
JP4307235B2 (ja) 架線吊り上げ装置
KR100976562B1 (ko) 갱폼 안전 인양 장치
US20190031473A1 (en) Lifting fastener
US20140304965A1 (en) Hoi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2018048450A (ja) 吊り足場の支持構造、支持方法及び構築方法
EP2643670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esting the load-supporting capability of a lifting fixture
EP0338142B1 (en) Stanchion or post
JP2006124064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張力調整装置
KR20140003819U (ko) 반목용 높이조정장치
JP3140486U (ja) 架線吊り上げ装置
JP2017165578A (ja) エレベーターのコンペンロープ引き上げ装置
KR102334703B1 (ko)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KR20160000312A (ko) 비계
KR10221331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 정비용 대차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101489386B1 (ko)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JP6446075B2 (ja) 養生ネットの架設方法
KR102334708B1 (ko) 단축 제매기용 인양장치
KR20100006474U (ko) 탄성 조정 핀 지그
JP2020105706A (ja) 部材仮受用治具
KR101652066B1 (ko) 중량 구조물의 승강 제어장치
KR102599396B1 (ko) 갱폼의 안전 인양을 위한 자동 해체장치 및 이를 갖는 갱폼 시스템
CN217205280U (zh) 装配式连墙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