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995A -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 Google Patents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995A
KR20210073995A KR1020190164877A KR20190164877A KR20210073995A KR 20210073995 A KR20210073995 A KR 20210073995A KR 1020190164877 A KR1020190164877 A KR 1020190164877A KR 20190164877 A KR20190164877 A KR 20190164877A KR 20210073995 A KR20210073995 A KR 2021007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pper plate
support
du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969B1 (ko
Inventor
김홍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Priority to KR102019016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9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판넬부와 상판의 간단한 조립을 통한 일체화를 통해 독립적인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판의 상/하면 교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판의 수명 및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이 'ㄷ'자 형태로 연결설치된 판넬부; 판넬부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선단지지덕트; 판넬부의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지지브래킷; 선단지지덕트에 형성된 상판결합홈내로 전단부가 끼움결합되고, 지지브래킷의 체결홀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후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판; 상판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홀에 끼움결합되는 슬리브; 지지브래킷의 체결홀과 상판의 관통홀을 통해 슬리브에 나사결합되어 상판을 지지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독립적인 작업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지고, 판넬부에 대한 상판의 손쉬운 분해조립에 의해, 상판의 상/하면 교체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Assembly desk having an independent workstation}
본 발명은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전면패널과 측면패널로 이루어진 판넬부의 작업공간내로 상판이 삽입 결합되어, 판넬부에 의한 독립적인 작업공간이 확보되면서도, 판넬부에 대한 상판조립 및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의 사무실에는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하여 사무실 분위기를 정돈하고 구성원의 업무 효율을 증대 시키기 위하여 파티션(사무용 칸막이)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된 파티션(사무용 칸막이) 사이에 사무원들의 책상이 배치되어 사무원들의 능률적인 업무수행, 작업공간에 대한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업무에 대한 집중력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파티션의 공간에 기존의 책상을 단순배치하여 사용할 경우, 책상의 크기와 파티션 공간이 일치하지 않아, 공간활용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공간에 대해서도 파티션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파티션 공간내에 기존 책상이 그대로 삽입설치될 경우, 책상 다리프레임으로 인해 파티션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판재와 상판이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행거타입(hanging type)의 책상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행거타입 책상은 양측 및 뒷편에 판재가 세워지고 이들 판재에 상판을 올려놓은 후 브래킷과 나사못(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판재에 대한 상판의 분해조립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부품의 증가로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행거타입 책상은 상판의 하부의 좁은 공간내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나사못(볼트)에 의해 상판을 브래킷에 고정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조립/분해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조립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행거타입 책상은 상판에 직접적으로 나사못(볼트)이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낙서, 칼작업, 오염 등에 의해 상판 표면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상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9674(2007.04.1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24215(2018.01.25)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59560(2006.12.1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24876(2004.03.16)
본 발명의 목적은 판넬부와 상판의 간단한 조립을 통한 일체화를 통해 독립적인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판의 상/하면 교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판의 수명 및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이 'ㄷ'자 형태로 연결설치된 판넬부; 판넬부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선단지지덕트; 판넬부의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지지브래킷; 선단지지덕트에 형성된 상판결합홈내로 전단부가 끼움결합되고, 지지브래킷의 체결홀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후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판; 상판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홀에 끼움결합되는 슬리브; 지지브래킷의 체결홀과 상판의 관통홀을 통해 슬리브에 나사결합되어 상판을 지지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독립적인 작업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지고, 판넬부에 대한 상판의 손쉬운 분해조립에 의해, 상판의 상/하면 교체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판넬부의 3면이 모두 패널로 이루어져 있어, 상판이 결합설치될 경우, 별도의 칸막이 설치없이도 독립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파티션(칸막이)의 별도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 및 책상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넬부에 상판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다리(상판지지대)가 필요없으며, 이를 통해 상판 하부에 쾌적하고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전단부가 선단지지덕트의 상판결합홈내로 끼움결합되고, 상판의 후단 양측이 상판을 관통하는 슬리브와 연결볼트에 의해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상판에 대한 고정볼트의 직접적인 체결이 없어 상판의 상/하면 교체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전단부는 끼움결합에 의해 지지되고, 상판의 후단 양측면만이 슬리브와 연결볼트의 관통결합에 의해 지지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의 수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상단 전단부 하측까지 작업자가 들어가서 조립하지 않아도 되고, 슬리브와 연결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판의 상/하부에서 자유롭게 조립이 가능하여 상판의 고정작업이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분해조립에 의해 판넬부로부터 상판의 분해가 가능하고, 상판이 상/하면에 관계없이 판넬부에 조립될 수 있어, 칼작업, 낙성, 오염 등등으로 인해 상판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손상된 표면을 하면으로 하고 하면을 상판의 상면(표면)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판수명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상면과 하면을 다른 디자인 또는 색상으로 형성할 경우, 일정시간 사용 후 상판을 뒤집어 설치하게 되면, 전체 분위기가 변경되어, 새로운 사무실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상/하면 교체사용이 가능하므로, 표면손상방지를 위해 별도의 유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유리의 이동 및 파손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유리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상/하면이 모두 표면으로 조립설치될 수 있어, 상판 후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구비하거나, 상판 후단부에 'ㄱ' 타입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조건에 맞게 상판의 조립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성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넬부와 상판의 결합이 용이하고, 판넬부와 상판이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서도 양자 간에 이격이 발생하거나 유동되는 현상이 없으며, 이를 통해 안정된 작업환경 속에서 작업자의 업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이나, 판넬부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판넬부 또는 새로운 상판의 교체를 위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할 경우에도 슬리브와 연결볼트의 분해만으로 판넬부와 상판이 분리 및 재결합되므로, 조립성 및 교체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넬부의 전면패널과 측면패널에 복수개의 메지홈이 형성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상판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전단부가 선단지지덕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각종 전선에 대한 배선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상판 하부를 깔금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덕트 및 지지브래킷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덕트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덕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및 연결볼트의 체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상/하면 교체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보강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전면과 양측면이 파티션 구조의 판넬부로 이루어져 있어 독립적인 작업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지고, 판넬부에 대한 상판의 손쉬운 분해조립에 의해, 상판의 상/하면 교체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덕트 및 지지브래킷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덕트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덕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및 연결볼트의 체결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상/하면 교체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보강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이 'ㄷ'자 형태로 연결설치된 판넬부(10); 판넬부의 전면패널(11)에 설치되는 선단지지덕트(20); 판넬부의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체결홀(32a)이 관통형성된 지지브래킷(30); 선단지지덕트(20)에 형성된 상판결합홈(29)내로 전단부(41)가 끼움결합되고, 지지브래킷의 체결홀(32a)에 연통되는 관통홀(44)이 후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판(40); 상판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홀(44)에 끼움결합되는 슬리브(50); 지지브래킷의 체결홀(32a)과 상판의 관통홀(44)을 통해 슬리브(50)에 나사결합되어 상판(40)을 지지브래킷(3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60);를 포함하여, 판넬부에 대한 상판의 분해조립을 통해 상판의 상/하면 교체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넬부(10)는 칸막이 기능 및 책상의 양측판과 앞가림막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판이 삽입결합되어지는 작업공간(13)이 확보되도록 전면패널(11)과 2개의 측면패널(12)이 'ㄷ'자 형상으로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지주(14)에 의해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은 그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며, 소정높이를 구비하고, 단일패널로 이루어지거나, 상/하단 패널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은 공지의 파티션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은 선단지지덕트(20)와 지지브래킷(30)의 연결설치 및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중간에 횡방향으로 메지홈(11a,12a)이 구비된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패널(11)과 2개의 측면패널(12)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5)과, 하부패널 (16)및 상부패널(15)과 하부패널(16)이 결합되고 길이방향(횡방향)으로 메지홈(11a,12a)이 형성된 중간프레임(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15)과 하부패널(16)은 단일패널, 단일패널에 직물 또는 쿠션재가 설치된 다중패널, 투명패널, 불투명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프레임(17)은 상측에 상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부패널(15)이 결합되는 상부결합홈(17a)과, 상부결합홈(17a)에 대칭되어지도록 형성되고 하부방향으로 개방되어 하부패널(16)이 결합되는 하부결합홈(17b)과, 양측면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길이방향(횡방향)으로 형성된 메지홈(11a,12a)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프레임(17)은 플라스틱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력 및 경량성을 고려할 경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15) 및 하부패널(16)은 중간프레임의 상/하부결합홈(17a,17b)내로 끼움결합되어 일체로 연결되거나, 상/하부결합홈(17a,17b)내로 끼움결합된 후 볼트 등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일체로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지홈(11a,12a)은 선단지지덕트(20) 및 지지브래킷(30)의 위치설정을 위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의 중간부분(일예로 중간프레임)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메지홈(11a,12a)은 슬롯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입구부(11b,12b)와, 입구부(11b,12b)와 연통되어 선단지지덕트(20) 및 지지브래킷(30)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70,80) 일 예로, 티볼트(71,81)의 머리부가 삽입수용되어지는 수용부(11c,12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메지홈(11a,12a)은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에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서로 평행되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단지지덕트(20)는 판넬부의 전면패널(11)에 고정설치되어 상판의 선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단지지덕트(20)는 스크류나사(73) 또는 티볼트/너트(71,72) 등 공지의 고정수단(7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선단지지덕트(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나사(73)에 의해 전면패널(11)에 고정설치되거나, 전면패널(11)에 메지홈(11a)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볼트/너트(71,72)에 의해 전면패널의 메지홈(11a)에 연결설치되어, 상판(40)을 지지하는 기능, 각종 전원선 및 케이블 등등을 배선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선단지지덕트(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선 및 케이블이 수용되어지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덕트부(21)와, 덕트부(2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판의 전단부(41)가 삽입결합되어 지지되는 상판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부(21)는 고정수단(70)에 의해 전면패널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덕트부(21)는 고정수단(70)이 연결설치되는 고정홀(23a)이 구비된 제1패널(23)과, 제1패널(23)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3패널(25)과, 제1패널(23)의 하단과 제3패널(25)의 하단에 연결형성되는 제2패널(24)과, 제1,2,3패널(23,24,25)에 의해 양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수용공간(26)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부(21)의 제1,2,3패널은 하나의 패널에 의해 절곡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6)은 제1패널(23)과 제3패널(25)의 높이차에 의해 사용자 방향(B)으로 개방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지지부(22)는 상판의 하면(42)에 접촉지지되는 하측지지패널(27)과, 상기 하측지지패널(27)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상측지지패널(28)과, 상측지지패널(28)과 하측지지패널(27) 사이에 형성되어 상판의 전단부(41)가 삽입결합되는 상판결합홈(2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판결합홈의 높이(h)는 상판의 두께(t)에 대응되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부(22)는 덕트부 제1패널(23)의 절곡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덕트부 제1패널(23)은 도 5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절개부(23b)에 의해 중앙패널(23c)과, 2개의 날개패널(23d)로 분리형성되고, 중앙패널(23c)의 절곡에 의해 하측지지패널(27)이 형성되며, 날개패널 상단(23e)의 절곡에 의해 상측지지패널(28)이 형성되고, 절곡된 중앙패널(23b)과 날개패널 상단(23e)의 높이차에 의해 상판결합홈(29)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패널의 절곡에 의해 상측지지패널이 형성되고, 날개패널의 절곡에 의해 하측지지패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지지부(22)와 덕트부(21)가 하나의 패널에 의해 절곡형성될 경우, 선단지지덕트(20)의 제조성 및 생산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형성된 선단지지덕트(20)의 강성이 증대되어 상판(40)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30)은 상판(40)의 양측이 고정지지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나사(83) 또는, 티볼트/너트(81,82) 등 공지의 고정수단(80)에 의해 측면패널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래킷(3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나사(83)에 의해 측면패널(12)에 직접적으로 고정설치되거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패널(12)에 메지홈(12a)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티볼트/너트(81,82)에 의해 메지홈(12a)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30)은 도 2 및 도 6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31a)이 구비된 고정패널(31)과, 고정패널(31)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형성되고 상판의 하면(42)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스크류나사 등의 고정수단(80)에 의해 측면패널(12)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30)은 측면패널(12)에 메지홈(12a)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도 4 및 도 6의 (b),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31a)이 구비되고 양단에 메지홈(12a)내로 삽입지지되는 날개돌기(31b)가 형성된 고정패널(31)과, 고정패널(31)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형성되고 상판의 하면(42)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패널(12)은 티볼트/너트(81,82)에 의해 메지홈(12a)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고정패널(31)에는 고정수단(80)이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패널(32)에는 고정볼트(60)을 삽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32a)는 나사산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패널(31)은 고정수단(80)에 의해 측면패널에 각각 고정설치될 시, 측면패널(12)에 면접촉되어 지지되게 된다.
상기 날개돌기(31b)는 티볼트/너트(81,82)에 의한 고정패널(31)의 고정설치시, 메지홈(12a)내로 삽입되어지도록 고정패널(31)의 양단에서 측면패널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날개돌기(31b)는 메지홈(12a)내로 삽입설치되어, 상판을 통해 지지브래킷의 지지패널(32)에 하중이 전달될 경우, 메지홈 입구부의 상단(12d)에 날개돌기의 상단(31c)이 접촉지지되거나, 메지홈 입구부의 하단(12e)에 날개돌기의 하단(31d)이 접촉지지되어, 상판(40)에 대한 고정패널(31)의 지지력 즉, 상판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상판(40)은 판넬부의 작업공간(13)내로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도 4,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41)가 선단지지덕트의 상판결합홈(29)내로 끼움결합되고, 후단 양측이 지지브래킷의 지지패널(32)에 안착지지되어 슬리브(50) 및 연결볼트(6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상판(40)은 후단 양측에 슬리브 및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44)이 상/하면(43,4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패널(32)에 안착될 시, 상판의 관통홀(44)은 지지패널의 체결홀(32a)에 연통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40)은 상/하면(43,42)이 모두 책상 상면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판넬부(10)에 고정설치될 시, 작업공간(13)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판넬부 측면패널의 횡방향 길이(L) 보다 작은 상판 폭길이(W)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40)은 상/하면이 모두 표면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교체조립되어질 수 있으므로, 도 8 의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후단부(46)가 소정의 곡률을 구비하거나, 상판 후단부가 'ㄱ' 타입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조건에 맞게 상판의 조립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판(40)은 지지패널(32)에 하면(42)이 안착되도록 위치시킨 후, 전면패널(11)방향으로 상판(40)을 밀어서 수평이동시켜 선단지지덕트의 상판결합홈(29)내로 상판의 전단부(41)가 끼움결합되도록 한 다음, 슬리브(50) 및 연결볼트(60)에 의해 지지브래킷(30)에 상판 후단 양측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판넬부(10)에 상판(40)이 고정설치될 경우, 상판의 전단부(41)는 판넬부의 전면패널(11)에 거의 밀착되어지도록 설치되고, 상판의 측단부(45)는 판넬부의 측면패널(12)에 밀착되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판넬부의 작업공간(13)내에 상판(40)이 고정설치되면, 상판(40)에 의해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이 일체로 연결되게 되어, 판넬부(10)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슬리브(50)는 상판(40)과 지지브래킷(30)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및, 상판의 연결부위에 대한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수려한 외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슬리브(50)는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의 상면(43)에 슬리브 머리(51)가 접촉지지되고, 나사홀(53)이 구비된 슬리브 몸체(52)가 상판의 관통홀(44)내로 끼움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연결볼트(60)는 지지브래킷의 체결홀(32a) 및, 상판의 관통홀(44)을 통해 슬리브의 나사홀(53)에 체결되어 상판(40)을 지지브래킷(30)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부(10)의 측면패널(12)에 각각 조립된 지지브래킷(30)에 양측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판 하면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보강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보강대(90)는 일정 길이 이상의 상판이 판넬부의 작업공간(13)내에 조립설치될 경우, 상판의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측면패널에 조립된 지지브래킷에 양측단이 볼트 또는 용접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지지브래킷(30)과 함께 상판(4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부의 전면패널 메지홈에, 티볼트와 너트에 의해 선단지지덕트가 조립되고, 측면패널 메지홈에 또다른 티볼트와 너트에 의해 지지브래킷이 조립되며, 상판의 양측을 지지브래킷에 거치시킨 후, 상판을 선단지지덕트 방향으로 밀어, 선단지지덕트의 상판결합홈내로 상판 전단부를 끼움결합시키고, 상판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한 슬리브 및 연결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판을 지지브래킷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판넬부 (11) : 전면패널
(11a) : 메지홈 (11b) : 입구부
(11c) : 수용부 (12) : 측면패널
(12a) : 메지홈 (12b) : 입구부
(12c) : 수용부 (12d) : 메지홈 입구부 상단
(12e) : 메지홈 입구부 하단 (13) : 작업공간
(14) : 지주 (15) : 상부패널
(16) : 하부패널 (17) : 중간프레임
(20) : 선단지지덕트
(21) : 덕트부 (22) : 상판지지부
(23) : 제1패널 (23a) : 고정홀
(23b) : 절개부 (23c) : 중앙패널
(23d) : 날개패널 (23e) : 날개패널 상단
(24) : 제2패널 (25) : 제3패널
(26) : 수용공간 (27) : 하측지지패널
(28) : 상측지지패널 (29) : 상판결합홈
(30) : 지지브래킷 (31) : 고정패널
(31a) : 고정홀 (31b) : 날개돌기
(31c) : 날개돌기 상단 (31d) : 날개돌기 하단
(32) : 지지패널 (32a) : 체결홀
(40) : 상판 (41) : 전단부
(42) : 하면 (43) : 상면
(44) : 관통홀 (45) : 측단부
(50) : 슬리브 (51) : 슬리브 머리
(52) : 슬리브 몸체 (53) : 나사홀
(60) : 연결볼트 (70,80): 고정수단
(71,81): 티볼트 (72,82): 너트
(73,83): 스크류나사
(90) : 지지보강대
(100) : 조립식 책상

Claims (9)

  1. 전면패널(11)과 측면패널(12)이 'ㄷ'자 형태로 연결설치된 판넬부(10);
    판넬부의 전면패널(11)에 설치되는 선단지지덕트(20);
    판넬부의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체결홀(32a)이 관통형성된 지지브래킷(30);
    선단지지덕트(20)에 형성된 상판결합홈(29)내로 전단부(41)가 끼움결합되고, 지지브래킷의 체결홀(32a)에 연통되는 관통홀(44)이 후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판(40);
    상판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홀(44)에 끼움결합되는 슬리브(50);
    지지브래킷의 체결홀(32a)과 상판의 관통홀(44)을 통해 슬리브(50)에 나사결합되어 상판(40)을 지지브래킷(3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60);를 포함하여,
    판넬부에 대한 상판의 분해조립을 통해 상판의 상/하면 교체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선단지지덕트(20)는, 전선 및 케이블이 수용되어지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덕트부(21)와, 덕트부(2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판의 전단부(41)가 삽입결합되는 상판결합홈(29)이 구비된 상판지지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3. 청구항 1 에 있어서;
    판넬부(10)의 전면패널(11)은, 중간에 횡방향으로 메지홈(11a)이 구비되고,
    선단지지덕트(20)는, 전선 및 케이블이 수용되어지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덕트부(21)와, 덕트부(2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판의 전단부(41)가 삽입결합되는 상판결합홈(29)이 구비된 상판지지부(22)를 포함하여,
    티볼트/너트(71,72)에 의해 덕트부(21)가 메지홈(11a)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덕트부(21)는, 고정홀(23a)이 구비된 제1패널(23)과, 제1패널(23)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3패널(25)과, 제1패널(23)의 하단과 제3패널(25)의 하단에 연결형성되는 제2패널(24)과, 제1,2,3패널(23,24,25)에 의해 양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수용공간(26)을 포함하고,
    상판지지부(22)는, 상판의 하면(42)에 접촉지지되는 하측지지패널(27)과, 상기 하측지지패널(27)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상측지지패널(28)과, 상측지지패널(28)과 하측지지패널(27) 사이에 형성되어 상판의 전단부(41)가 삽입결합되는 상판결합홈(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판지지부(22)는, 덕트부 제1패널(23)의 절곡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덕트부 제1패널(23)은, 상단이 절개부(23b)에 의해 중앙패널(23c)과, 2개의 날개패널(23d)로 분리형성되고, 중앙패널(23c)의 절곡에 의해 하측지지패널(27)이 형성되며,
    날개패널 상단(23e)의 절곡에 의해 상측지지패널(28)이 형성되고, 절곡된 중앙패널(23b)과 날개패널 상단(23e)의 높이차에 의해 상판결합홈(29)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판지지부(22)는, 덕트부 제1패널(23)의 절곡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덕트부 제1패널(23)은, 상단이 절개부(23b)에 의해 중앙패널(23c)과, 2개의 날개패널(23d)로 분리형성되고, 중앙패널(23c)의 절곡에 의해 하측지지패널(27)이 형성되며,
    중앙패널의 절곡에 의해 상측지지패널이 형성되고, 날개패널의 절곡에 의해 하측지지패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지지브래킷(30)은 고정홀(31a)이 구비된 고정패널(31)과, 고정패널(31)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형성되고 상판의 하면(42)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스크류나사(83)에 의해 측면패널(12)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8. 청구항 1 에 있어서;
    판넬부(10)의 측면패널(12)은, 중간에 횡방향으로 메지홈(12a)이 구비되고,
    지지브래킷(30)은, 고정홀(31a)이 구비되고 양단에 메지홈(12a)내로 삽입지지되는 날개돌기(31b)가 형성된 고정패널(31)과, 고정패널(31)의 상측에 일체로 절곡형성되고 상판의 하면(42)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32)을 포함하여, 티볼트/너트(81,82)에 의해 측면패널(12)의 메지홈(12a)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슬리브(50)는, 상판의 상면(43)에 슬리브 머리(51)가 접촉지지되고, 나사홀(53)이 구비된 슬리브 몸체(52)가 상판의 관통홀(44)내로 끼움결합되어 설치되고,
    연결볼트(60)는, 지지브래킷의 체결홀(32a) 및, 상판의 관통홀(44)을 통해 슬리브의 나사홀(53)에 체결되어 상판(40)을 지지브래킷(30)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KR1020190164877A 2019-12-11 2019-12-11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KR10231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77A KR102311969B1 (ko) 2019-12-11 2019-12-11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77A KR102311969B1 (ko) 2019-12-11 2019-12-11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95A true KR20210073995A (ko) 2021-06-21
KR102311969B1 KR102311969B1 (ko) 2021-10-13

Family

ID=7660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77A KR102311969B1 (ko) 2019-12-11 2019-12-11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9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643A (ja) * 1995-05-23 1996-1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デスク用配電ユニット
KR100424876B1 (ko) 2001-08-17 2004-03-27 차준구 파티션 구조를 갖는 책상
KR200431374Y1 (ko) * 2006-09-08 2006-11-23 (주)에리트퍼니처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KR100659560B1 (ko) 2005-09-27 2006-12-20 노재원 파티션 겸용 책상
KR100709674B1 (ko) 2006-06-02 2007-04-19 (주)라운드파티션 책상용 스크린 파티션 결합시스템
JP2008086539A (ja) * 2006-10-02 2008-04-17 Itoki Corp 棚付き机における側面パネルの取付装置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1824215B1 (ko) 2015-09-22 2018-03-1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일체형 파티션을 갖는 조립식 책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643A (ja) * 1995-05-23 1996-1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デスク用配電ユニット
KR100424876B1 (ko) 2001-08-17 2004-03-27 차준구 파티션 구조를 갖는 책상
KR100659560B1 (ko) 2005-09-27 2006-12-20 노재원 파티션 겸용 책상
KR100709674B1 (ko) 2006-06-02 2007-04-19 (주)라운드파티션 책상용 스크린 파티션 결합시스템
KR200431374Y1 (ko) * 2006-09-08 2006-11-23 (주)에리트퍼니처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JP2008086539A (ja) * 2006-10-02 2008-04-17 Itoki Corp 棚付き机における側面パネルの取付装置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1824215B1 (ko) 2015-09-22 2018-03-1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일체형 파티션을 갖는 조립식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969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664B1 (en) Hybrid office panel construction for a modular office furniture system
DK167475B1 (da) Arbejdsbord med en indretning til udstyrselementer
AU2003202381B2 (en) Supporting spine structure for modular office furniture
KR102051776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541685B1 (ko) 벽체 선반
KR102311969B1 (ko)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US10349757B2 (en) Adapter, goods carrier and fastening system
KR101232840B1 (ko) 행거형 정보 표시장치
CN201286533Y (zh) 便携式展览器械
CN208900852U (zh) 组合式立柱
JP2008190153A (ja) 壁面構造
ES2728562T3 (es) Un kit para la renovación y ampliación de armarios eléctricos
KR101336598B1 (ko) 조립식 파티션
JP2011139961A (ja)
KR20090003896U (ko) 파티션 고정구
CN210902402U (zh) 一种可拆卸的组合式办公屏风
CN215888734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的安装装置
DK2674069T3 (en) workplace System
CN209364137U (zh) 一种固定支架
KR102662305B1 (ko) 수납장 도어용 거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CN219261977U (zh) 一种市政工程施工用防护组件
JP2011218185A (ja) デスクの仕切装置
KR19980019538U (ko) 조립식 칸막이
KR102108390B1 (ko)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KR200395062Y1 (ko) 제품진열 및 전시용 조립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