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745A - 외과 시술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외과 시술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745A
KR20210073745A KR1020190164311A KR20190164311A KR20210073745A KR 20210073745 A KR20210073745 A KR 20210073745A KR 1020190164311 A KR1020190164311 A KR 1020190164311A KR 20190164311 A KR20190164311 A KR 20190164311A KR 20210073745 A KR20210073745 A KR 20210073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duction
guide
shaft hous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380B1 (ko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주)세신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신정밀 filed Critical (주)세신정밀
Priority to KR102019016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3Sleeves, i.e. non-rotating parts surrounding the bit shaft, e.g. the sleeve forming a single unit with the bit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8Motors;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1Special drive shafts, e.g. flexible 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는, 시술 공구의 선단을 노출시키면서 시술 공구를 둘러싸는 유도팁 관; 유도팁 관에 적어도 하나의 단편(斷片) 관으로 결합되어 시술 공구를 둘러싸는 유도연결 관; 및 유도연결 관에 결합되어 시술 공구 및 구동축을 덮는 축 하우징을 포함하고, 유도팁 관과 유도연결 관과 축 하우징은, 시술 공구를 따라, 외부적으로 볼 때 대기(大氣)에 그리고 내부적으로 볼 때 시술 공구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외과 시술 핸드피스{SURGICALLY-TREATING HANDPIECE}
본 발명은, 길고 곧은 형상(long and straight shape)의 시술 공구와 함께, 시술 공구에 대해 예각(銳角) 이상을 이루면서 모터부로부터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시술 핸드피스는, 정형외과, 구강외과, 성형외과 등에서 뼈의 절단, 뼈의 천공, 뼈의 다듬질, 또는 뼈에 보조 금속물을 고정하기 위한 가공 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는, 정형외과에서, 다리, 팔, 대퇴부, 척추 등의 외상(traumatology)으로 인한 골절환자의 수술 시 사용되거나, 구강외과 또는 성형외과에서 악교정 수술 또는 양악 수술 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외과 시술 기구 핸드피스는, 치과,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등 기타 외과 수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100)는, 가이드 관(60)과 케이스(80)와 시술 공구(90)를 도 1과 같이 갖는다. 상기 가이드 관(60)은, 제1 내지 제3 베어링 부재(10, 30, 50)와 함께 제1 및 제2 부싱 부재(20, 40)를 도 2와 같이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부싱 부재(20, 40)는, 가이드 관(60)에서, 제1 내지 제3 베어링 부재(10, 30, 5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80)는 가이드 관(60)과 결합하여 가이드 관(60)에 구동축(70)을 노출시킨다. 상기 시술 공구(90)는, 가이드 관(60)에 삽입되어 제1 내지 제3 베어링 부재(10, 30, 50)와 제1 및 제2 부싱 부재(20, 40)를 관통하고 케이스 관(80)의 구동축(70)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시술 공구(90)는 케이스(80)에서 구동축(70)과 둔각(鈍角; α)을 이룬다. 상기 구동축(70)과 시술 공구(90)의 결합 후,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100)는 모터부(도면에 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모터의 회전축을 케이스(80)의 구동축(70)에 연결시켜 모터의 구동시 회전축의 회전에 구동축(70)과 시술 공구(90)를 연동시킨다.
그러나, 개별 환자와 관련된 시술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외과 시술 핸드피스(100)의 전체 길이를 신속하게 가변해야 하는 때. 상기 가이드 관(60)이 시술 공구(90) 상에서 케이스(80)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가이드 관으로 교체시켜야 하는데, 상기 가이드 관(60)과 케이스(80)의 분리는, 가이드 관(60)으로부터 제1 내지 제3 베어링 부재(10, 30, 50)와 제1 및 제2 부싱 부재(20, 40)의 분리도 수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관(60)과 케이스(80)의 분리는, 개별 환자에 적용되는 시술 시간을 길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60)은 하나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술 공구(90) 상에서 점진적인 길이 증가를 위해 어려운 가공으로 제작되거나 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60)은 점진적인 길이 증가에 따라 가공 한계에 빠르게 도달하기 때문에 시술 공구(90) 상에서 자유자재로 확장될 수 없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60)은 점진적인 길이 증가에 따라 시술 공구의 회전 편심 증가를 막기 위해 제1 내지 제3 베어링 부재(10, 30, 50)와 제1 및 제2 부싱 부재(20, 40)의 개수를 반드시 늘려야 하기 때문에 외과 시술 핸드피스(100)의 원가를 증가시킨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 관(60)은 제1 내지 제3 베어링 부재(10, 30, 50)와 제1 및 제2 부싱 부재(20, 40)를 동일 직경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가이드 관(60)의 두께 만큼 항상 두꺼워서 외과 시술 핸드피스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를 갖는다. 한편,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100)는 한국 공개특허특허공보 제10-2016-0012987호에 종래기술로서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특허공보 제10-2016-0012987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체 길이의 가변을 위해 가이드 관의 교체에 따른 개별 환자에 적용되는 시술 시간을 짧게 하고, 가이드 관의 길이 증가에 따라서, 가이드 관의 가공을 쉽게 하고, 가이드 관의 확장 기능을 자유자재로 보장하고, 가이드 관에 부속된 베어링 부재와 부싱 부재의 개수를 줄이고, 베어링 부재와 부싱 부재 상에서 가이드 관의 두께 한계를 최소화시키는데 적합한,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는, 길고 곧은 형상(long and straight shape)의 시술 공구와 함께, 상기 시술 공구에 대해 예각(銳角) 이상을 이루면서 모터부로부터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하도록, 상기 시술 공구의 선단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시술 공구를 둘러싸는 유도팁 관; 상기 유도팁 관에 적어도 하나의 단편(斷片) 관으로 결합되어 상기 시술 공구를 둘러싸는 유도연결 관; 및 상기 유도연결 관에 결합되어 상기 시술 공구 및 상기 구동축을 덮는 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서, 상기 시술 공구 주위에 위치되는 전방 베어링을 둘러싸며 상기 전방 베어링과 접촉하고,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축 하우징 가까이에서, 상기 시술 공구 주위에 위치되는 후방 베어링을 둘러싸며 상기 후방 베어링과 접촉하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은, 상기 시술 공구를 따라, 외부적으로 볼 때 대기(大氣)에 그리고 내부적으로 볼 때 상기 시술 공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서 상기 유도연결 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시술 공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으로부터 이격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일 단부와 타 단부를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시술 공구의 둘레를 향해 방사상으로 급격히 작아지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에서 상기 선단 베어링을 둘러싸고,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타 단부에서 상기 유도연결 관을 수용하여 상기 유도연결 관과 함께 상기 선단 베어링을 협지(挾持)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로 존재(存在)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에 상기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를 그리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축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유도연결 관을 외관 상으로 볼 때, 상기 유도팁 관으로부터 상기 축 하우징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축 하우징을 수용하여 상기 축 하우징과 함께 상기 후방 베어링을 협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에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를, 그리고 상기 제1 유도 연결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를, 그리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축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외관 상으로 볼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외관상으로 볼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으로부터 상기 축 하우징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상기 후단 베어링을 위치시켜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을 통해 상기 후단 베어링을 협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을 하나씩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중간 베어링에 제1 개별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2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제1 중간 베어링과 상기 제2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로 존재하면서,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이, 개별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볼 장착 텐션 로커(ball-equipped tension locker)를 구비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은, 상기 유도팁 관을 상기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에 그리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타 단부를 상기 축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수용시켜 절첩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유도연결 관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축 하우징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는, 유도팁 관 또는 유도연결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볼 이동제한 홈에 볼과 스프링을 구속시켜 상기 볼 이동제한 홈으로부터 상기 볼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되고, 상기 볼 수용 환형 홈은, 상기 시술 공구 상에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유도연결 관 또는 축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축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가지면서,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이, 개별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볼 장착 텐션 로커를 구비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은, 상기 유도팁 관을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에, 그리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그리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상기 축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수용시켜 절첩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축 하우징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볼 장착 텐션 로커는, 유도팁 관 또는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제2 유도연결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볼 이동제한 홈에 볼과 스프링을 구속시켜 상기 볼 이동제한 홈으로부터 상기 볼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되고, 상기 볼 수용 환형 홈은, 상기 시술 공구 상에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제2 유도연결 관 또는 축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축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을 하나씩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중간 베어링에 제1 개별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2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제1 중간 베어링과 상기 제2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로 존재하면서 상기 유도팁 관 가까이에 암 나사부 그리고 상기 축 하우징 가까이에 숫 나사부를 가지는 때, 상기 유도연결 관의 상기 암 나산부는, 상기 유도팁 관의 숫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상기 숫 나사부는, 상기 축 하우징의 암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통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과 나사선 결합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의 숫 나사부는,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산부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는,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는, 상기 축 하우징의 암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을 하나씩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중간 베어링에 개별 제1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제1 중간 베어링과 상기 제2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는,
시술 공구 상에 유도팁 관과 유도연결 관과 축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면서 유도팁 관과 축 하우징 사이에 유도연결 관을 하나 또는 다수로 구비하고,
유도연결 관이 하나인 때, 유도팁 관과 유도연결 관과 축 하우징 바로 아래에 베어링 부재를 하나씩 위치시키거나,
유도연결 관이 다수인 때, 유도팁 관과 개별 유도연결 관과 축 하우징 바로 아래에 베어링 부재를 하나씩 위치시키므로,
전체 길이의 가변을 위해 전체에서 유도연결 관의 단순 교체에 따른 개별 환자에 적용되는 시술 시간을 짧게 하고,
유도연결 관의 길이 증가에 따라서, 단편 결합 방식을 채택하여 단편으로 이루어진 유도연결 관의 가공을 쉽게 하고, 단편 결합 방식에서 단편의 개수 증가만으로 유도연결 관의 확장 기능을 자유자재로 보장하고, 종래 기술의 부싱 부재를 물리적 및 기능적으로 대체하는 유도연결 관에 베어링 부재만을 부속시키고, 베어링 부재 주변과 베어링 부재 상에서 유도연결 관의 두께를 가변하여 베어링 부재 상에서 유도연결 관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P1' 역역에서 가이드 관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서 시술 공구와 구동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시술 공구를 제외한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 대한 변형 예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서 유도팁 관과 유도연결 관들과 베어링 부재들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서 전체 길이의 확장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 장치를 보여주는 이미지이고, 도 3은 도 2의 치과 치료 장치의 근관장 측정 모드에서 모터 하우징 핸드피스 조립체와 콘트라 앵글 핸드피스 조립체의 결합 관계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측면 이미지이며, 도 4는 도 2의 치과 치료 장치의 근관장 측정 모드에서 모터 하우징 핸드피스 조립체와 콘트라 앵글 핸드피스 조립체의 결합 관계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배면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며, 도 4는 도 3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서 시술 공구와 구동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고, 도 5는 도 3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의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서 시술 공구를 제외한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 대한 변형 예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서 유도팁 관과 유도연결 관들과 베어링 부재들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210)는, 길고 곧은 형상(long and straight shape)의 시술 공구(도 4의 200)와 함께, 시술 공구(200)에 대해 예각(銳角) 이상(도 4의 β)을 이루면서 모터부(도면에 미도시)로부터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전달받는 구동축(도 4의 190)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시술 공구(200)와 구동축(190)의 사잇각은, 도 4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각이거나 도 12와 같이 180°일 수 있다.
개략적으로 볼 때,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210)는,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을 도 3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유도팁 관(110)은, 시술 공구(200)의 선단을 노출시키면서 시술 공구(200)를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둘러싼다.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유도팁 관(110)에 적어도 하나의 단편(斷片) 관으로 결합되어 시술 공구(200)를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둘러싼다.
상기 축 하우징(195)은, 유도연결 관(175)에 결합되어 시술 공구(200) 및 구동축(190)을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덮는다. 여기서, 상기 유도팁 관(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공구(200)의 선단 가까이에서, 시술 공구(200) 주위에 위치되는 전방 베어링(120)을 둘러싸며 전방 베어링(120)과 접촉한다.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하우징(195) 가까이에서, 시술 공구(200) 주위에 위치되는 후방 베어링(180)을 둘러싸며 후방 베어링(180)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은,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공구(200)를 따라, 외부적으로 볼 때 대기(大氣)에 그리고 내부적으로 볼 때 시술 공구(200)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이후로, 상기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은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우선적으로, 상기 유도팁 관(110)은, 시술 공구(200)의 선단 가까이에서 유도연결 관(175)보다 더 작은 직경을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갖는다. 또한, 상기 유도팁 관(110)은, 시술 공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시술 공구(200)의 선단으로부터 이격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일 단부와 타 단부를 갖는다.
상기 유도팁 관(110)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팁 관(100)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유도팁 관(110)의 일 단부에서 시술 공구(200)의 둘레를 향해 방사상으로 급격히 작아지는 외경을 갖는다. 상기 유도팁 관(110)은, 유도팁 관(110)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서 선단 베어링(120)을 둘러싸고, 유도팁 관(110)의 타 단부에서 유도연결 관(175)을 수용하여 유도연결 관(175)과 함께 선단 베어링(120)을 협지(挾持)한다.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유도팁 관(110)과 축 하우징(195) 사이에 하나로 존재(存在)하는 때, 유도팁 관(110)에 유도연결 관(175)의 일 단부를 그리고 유도연결 관(175)의 타 단부에 축 하우징(195)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고,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의 결합 상태에서, 유도연결 관(175)을 외관 상으로 볼 때, 유도팁 관(110)으로부터 축 하우징(195)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외경을 거지고, 축 하우징(195)을 수용하여 축 하우징(195)과 함께 후방 베어링(180)을 협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유도팁 관(110)과 축 하우징(195) 사이에 하나로 존재(存在)하는 때, 도 3 또는 도 5의 유도 연결관(17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유도팁 관(110)과 축 하우징(195)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도연결 관(130)과 제2 유도연결 관(170)을 가지는 때, 유도팁 관(110)에 제1 유도연결 관(130)의 일 단부를, 그리고 제1 유도 연결 관(130)의 타 단부에 제2 유도연결 관(170)의 일 단부를, 그리고 제2 유도연결 관(170)의 타 단부에 축 하우징(195)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의 결합 상태에서, 제1 유도연결 관(130)을 외관 상으로 볼 때, 제1 유도연결 관(130)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의 결합 상태에서, 제2 유도연결 관(170)을 외관상으로 볼 때, 제1 유도연결 관(130)으로부터 축 하우징(195)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외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제1 유도연결 관(130)을 하나로 가지는 때, 제1 유도연결 관(130)과 제2 유도연결 관(170)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도 5의 140)을 가지고, 중간 베어링(140) 바로 위에서 중간 베어링(140)에 제1 유도연결 관(130)을 접촉시키고, 제2 유도연결 관(170)과 축 하우징(195) 사이에 후단 베어링(180)을 위치시켜 제2 유도연결 관(170)과 축 하우징(195)을 통해 후단 베어링(180)을 협지한다.
상기 전방 베어링(120)과 중간 베어링(140)과 후방 베어링(180)은, 유도팁 관(110)과 제1 유도연결 관(130)과 제2 유도연결 관(170)에 개별적으로 도 6과 같이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도 7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베어링(180)은, 도 6 및 도 7에서, 제2 유도연결 관(170)에 고정되어 있지만, 제2 유도연결 관(170)에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제1 유도연결 관(130, 150)을 복수로 가지는 때, 유도팁 관(110)과 축 하우징(195) 사이에서, 축 하우징(195)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130)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140)을 하나씩 가지고, 도 5를 고려해 볼 때, 제1 중간 베어링(140) 바로 위에서 제1 중간 베어링(140)에 제1 개별 전방 유도연결 관(130)을 접촉시킨다.
또한, 상기 유도연결 관(175)은, 유도팁 관(110)과 축 하우징(195) 사이에서, 축 하우징(195)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150)과 제2 유도연결 관(170)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160)을 가지고, 도 5를 고려해 볼 때, 제2 중간 베어링(160) 바로 위에서 제2 중간 베어링(160)에 제1 후방 유도연결 관(150)을 접촉시킨다.
상기 전방 베어링(120)과 제1 중간 베어링(140)과 제2 중간 베어링(160)과 후방 베어링(180)은, 도 6 및 도 7을 고려해 볼 때, 유도팁 관(110)과 제1 전방 유도연결 관(130)들과 제1 후방 유도연결 관(150)과 제2 유도연결 관(170)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도, 상기 후방 베어링(180)은, 도 6 및 도 7에서, 제2 유도연결 관(170)에 고정되어 있지만, 제2 유도연결 관(170)에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30)가 도 3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21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30)에서 유도팁 관(240)과 유도연결 관(305)과 축 하우징(310)의 연결 방법은, 외과 시술 핸드피스(210)에서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의 연결 방법과 다르다. 여기서도, 상기 유도연결 관(305)은 적어도 하나의 단편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연결 관(305)이, 유도팁 관(240)과 축 하우징(310) 사이에 하나의 단편 관으로 존재하면서, 유도팁 관(240)과 유도연결 관(305)이, 개별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볼 장착 텐션 로커(ball-equipped tension locker; L)를 구비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240)과 유도연결 관(305)과 축 하우징(310)은, 유도팁 관(240)을 유도연결 관(305)의 일 단부에 그리고 유도연결 관(305)의 타 단부를 축 하우징(310)에 순차적으로 수용시켜 절첩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유도연결 관(305)은, 유도팁 관(240)과 축 하우징(310) 사이에 하나로 존재(存在)하는 때, 유도 연결관(3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팁 관(240)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L)의 볼(B)은, 유도연결 관(305)의 볼 수용 환형 홈(G2)에 끼워진다. 상기 유도연결 관(305)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L)의 볼(B)은, 축 하우징(310)의 볼 수용 환형 홈(G2)에 끼워진다.
상기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L)는, 유도팁 관(240) 또는 유도연결 관(305)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볼 이동제한 홈(G1)에 볼(B)과 스프링(S)을 구속시켜 볼 이동제한 홈(G1)으로부터 볼(B)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상기 볼 수용 환형 홈(G2)은, 시술 공구(320) 상에 유도팁 관(240)과 유도연결 관(305)과 축 하우징(310)의 접힌 상태에서, 시술 공구(320)의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유도연결 관(305) 또는 축 하우징((310)의 둘레를 따라 유도연결 관(305) 또는 축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도연결 관(305)이, 유도팁 관(240)과 축 하우징(310) 사이에 제1 유도연결 관(260)과 제2 유도연결 관(300)을 가지면서,상기 유도팁 관(240)과 제1 유도연결 관(260)과 제2 유도연결 관(300)이, 개별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볼 장착 텐션 로커(L)를 구비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240)과 제1 유도연결 관(260)과 제2 유도연결 관(300)과 축 하우징(310)은, 유도팁 관(240)을 제1 유도연결 관(260)에, 그리고 제1 유도연결 관(260)을 제2 유도연결 관(300)에, 그리고 제2 유도연결 관(300)을 축 하우징(310)에 순차적으로 수용시켜 절첩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도팁 관(240)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L)의 볼(B)은, 제1 유도연결 관(260)의 볼 수용 환형 홈(G2)에 끼워진다. 상기 제1 유도연결 관(20)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L)의 볼(B)은, 제2 유도연결 관(300)의 볼 수용 환형 홈(G2)에 끼워진다. 상기 제2 유도연결 관(300)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L)의 볼(B)은, 축 하우징(310)의 볼 수용 환형 홈(G2)에 끼워진다.
상기 볼 장착 텐션 로커(L)는, 유도팁 관(240) 또는 제1 유도연결 관(260) 또는 제2 유도연결 관(300)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볼 이동제한 홈(G1)에 볼(B)과 스프링(S)을 구속시켜 볼 이동제한 홈(G1)으로부터 볼(B)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상기 볼 수용 환형 홈(G2)은, 시술 공구(320) 상에 유도팁 관(240)과 제1 유도연결 관(260)과 제2 유도연결 관(300)과 축 하우징(310)의 접힌 상태에서, 시술 공구(320)의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제1 유도연결 관(260) 또는 제2 유도연결 관(300) 또는 축 하우징(310)의 둘레를 따라 제1 유도연결 관(260) 또는 제2 유도연결 관(300) 또는 축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연결 관(305)은, 제1 유도연결 관(260)을 하나로 가지는 때, 제1 유도연결 관(260)과 제2 유도연결 관(300)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을 가지고,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중간 베어링에 제2 유도연결 관(300)을 접촉시킨다. 상기 전방 베어링(도 5의 120)과 중간 베어링과 후방 베어링((도 5의 180)은, 유도팁 관(240)과 제1 유도연결 관(260)과 제2 유도연결 관(300)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유도연결 관(305)은, 제1 유도연결 관(260, 280)을 복수로 가지는 때, 유도팁 관(240)과 축 하우징(310) 사이에서, 축 하우징(310)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260)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을 하나씩 가지고,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제1 중간 베어링에 제1 개별 전방 유도연결 관(260)을 접촉시킨다.
또한, 상기 유도연결 관(305)은, 유도팁 관(240)과 축 하우징(310) 사이에서, 축 하우징(310)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280)과 제2 유도연결 관(300)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을 가지고,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제2 중간 베어링에 제2 유도연결 관(300)을 접촉시킨다. 상기 전방 베어링(120)과 제1 중간 베어링과 제2 중간 베어링과 후방 베어링(180)은, 유도팁 관(240)과 제1 전방 유도연결 관(260)들과 제1 후방 유도연결 관(280)과 제2 유도연결 관(300)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시술 공구(3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유도팁 관(240)과 유도연결 관(305)과 축 하우징(310)에서 절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9의 "P2" 영역에서 유도팁 관과 유도연결 관, 또는 유도연결 관과 축 하우징의 분해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40)가 도 3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2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30)에서 유도팁 관(도면에 미도시)과 유도연결 관(도면에 미도시)과 축 하우징(도면에 미도시)의 연결 방법은, 외과 시술 핸드피스(210)에서 유도팁 관(110)과 유도연결 관(175)과 축 하우징(195)의 연결 방법과 다르다.
여기서도, 상기 유도연결 관은 적어도 하나의 단편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연결 관이, 유도팁 관과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의 단편 관으로 존재하면서 유도팁 관 가까이에 암 나사부(F) 그리고 축 하우징 가까이에 숫 나사부(M)를 가지는 때,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산부(F)는, 유도팁 관의 숫 나사부(M)와 나사선 결합하고,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M)는, 축 하우징의 암 나사부(F)와 나사선 결합한다.
한편, 상기 유도연결 관이, 유도팁 관과 축 하우징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통해, 유도팁 관과 축 하우징과 나사선 결합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의 숫 나사부(M)는, 제1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산부(F)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M)는, 제2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사부(F)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F)는, 축 하우징의 암 나사부(F)와 나사선 결합한다.
상기 유도연결 관은,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을 가지고,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중간 베어링에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제1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킨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중간 베어링과 후방 베어링은, 유도팁 관과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유도연결 관은,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유도팁 관과 축 하우징 사이에서,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을 하나씩 가지고,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제1 중간 베어링에 개별 제1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킨다.
또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유도팁 관과 축 하우징 사이에서,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을 가지고,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제1 후방 유도연결 관 또는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킨다.
상기 전방 베어링과 제1 중간 베어링과 제2 중간 베어링과 후방 베어링은, 유도팁 관과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서 전체 길이의 확장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서 전체 길이의 확장방법은 도 3 내지 도 8을 부분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의 전체 길이를 확장하기 전,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콘트라 앵글(contra angle)로 준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는, 시술 공구(X1) 상에 유도팁 관(S1)과 축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축 하우징은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에서 유도팁 관(S1)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는, 도 4를 고려해 볼 때, 시술 공구(X1)와 구동축(도면에 미도시)의 사잇각을 둔각(鈍角; β)으로 갖는다. 다음으로,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의 전체 길이를 확장하기 위해, 복수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360, 370, 380, 390)가 흐름 선(F1)을 따라 크기 순서로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외과 시술 핸드피스(360 또는 370 또는 380 또는 390)는 시술 공구(X1) 상에서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의 유도팁 관(S1)에 더하여 유도연결 관(365 또는 375 또는 385 또는 395)을 갖는다. 상기 유도연결 관(365 또는 375 또는 385 또는 395)은 단편 관(S2)의 개수를 늘리거나 동일한 개수의 단편 관(S2)에서 개별 단편 관(S2)의 길이를 증가시켜 전체 길이를 확장를 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팁 관(S1)과 유도연결 관(S2)과 축 하우징, 또는 유도팁 관(S1)과 유도연결 관(S2)들과 축 하우징은, 도 1 내지 도 8의 끼움 결합 방식을 채택하지만, 도 9의 절첩 결합 방식, 또는 도 10의 나사선 결합 방식, 또는 본딩 결합 방식, 또는 코킹(caulking) 결합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물론, 개별 외과 시술 핸드피스(360 또는 370 또는 380 또는 390)는 시술 공구(X1) 상에서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와 약간 다른 외형을 갖지만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보다 더 슬림한 형상을 갖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의 전체 길이를 확장하기 전,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스트레이트 앵글(straight angel)로 준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는, 시술 공구(X2) 상에 유도팁 관(T1)과 축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축 하우징은 외과 시술 핸드피스(350)에서 유도팁 관(T1)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는, 도 4를 고려해 볼 때, 시술 공구(X2)와 구동축(도면에 미도시)의 사잇각을 180°로 갖는다. 다음으로,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의 전체 길이를 확장하기 위해, 복수의 외과 시술 핸드피스(410, 420, 430, 440)가 흐름 선(F2)을 따라 크기 순서로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외과 시술 핸드피스(410 또는 420 또는 430 또는 440)는 시술 공구(X2) 상에서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의 유도팁 관(T1)에 더하여 유도연결 관(415 또는 425 또는 435 또는 445)을 갖는다. 상기 유도연결 관(415 또는 425 또는 435 또는 445)은 단편 관(T2)의 개수를 늘리거나 동일한 개수의 단편 관(T2)에서 개별 단편 관(T2)의 길이를 증가시켜 전체 길이를 확장를 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팁 관(T1)과 유도연결 관(T2)과 축 하우징, 또는 유도팁 관(T1)과 유도연결 관(T2)들과 축 하우징은, 도 1 내지 도 8의 끼움 결합 방식을 채택하지만, 도 9의 절첩 결합 방식, 또는 도 10의 나사선 결합 방식, 또는 본딩 결합 방식, 또는 코킹(caulking) 결합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물론, 개별 외과 시술 핸드피스(410 또는 420 또는 430 또는 440)는 시술 공구(X2) 상에서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와 약간 다른 외형을 갖지만 외과 시술 핸드피스(400)보다 더 슬림한 형상을 갖는다.
110; 유도팁 관, 130, 150, 170, 175; 유도연결 관
195; 축 하우징, 200; 시술 공구
210; 외과 시술 핸드피스

Claims (24)

  1. 길고 곧은 형상(long and straight shape)의 시술 공구와 함께, 상기 시술 공구에 대해 예각(銳角) 이상을 이루면서 모터부로부터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시술 공구의 선단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시술 공구를 둘러싸는 유도팁 관;
    상기 유도팁 관에 적어도 하나의 단편(斷片) 관으로 결합되어 상기 시술 공구를 둘러싸는 유도연결 관; 및
    상기 유도연결 관에 결합되어 상기 시술 공구 및 상기 구동축을 덮는 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서, 상기 시술 공구 주위에 위치되는 전방 베어링을 둘러싸며 상기 전방 베어링과 접촉하고,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축 하우징 가까이에서, 상기 시술 공구 주위에 위치되는 후방 베어링을 둘러싸며 상기 후방 베어링과 접촉하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은,
    상기 시술 공구를 따라, 외부적으로 볼 때 대기(大氣)에 그리고 내부적으로 볼 때 상기 시술 공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서 상기 유도연결 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시술 공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으로부터 이격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일 단부와 타 단부를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시술 공구의 둘레를 향해 방사상으로 급격히 작아지는 외경을 가지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팁 관은,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에서 상기 선단 베어링을 둘러싸고,
    상기 유도팁 관의 상기 타 단부에서 상기 유도연결 관을 수용하여 상기 유도연결 관과 함께 상기 선단 베어링을 협지(挾持)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로 존재(存在)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에 상기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를 그리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축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유도연결 관을 외관 상으로 볼 때, 상기 유도팁 관으로부터 상기 축 하우징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축 하우징을 수용하여 상기 축 하우징과 함께 상기 후방 베어링을 협지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에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를, 그리고 상기 제1 유도 연결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를, 그리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축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외관 상으로 볼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외관상으로 볼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으로부터 상기 축 하우징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외경을 가지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상기 후단 베어링을 위치시켜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을 통해 상기 후단 베어링을 협지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을 하나씩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중간 베어링에 제1 개별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2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제1 중간 베어링과 상기 제2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로 존재하면서,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이, 개별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볼 장착 텐션 로커(ball-equipped tension locker)를 구비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은, 상기 유도팁 관을 상기 유도연결 관의 일 단부에 그리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타 단부를 상기 축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수용시켜 절첩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유도연결 관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축 하우징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는,
    유도팁 관 또는 유도연결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볼 이동제한 홈에 볼과 스프링을 구속시켜 상기 볼 이동제한 홈으로부터 상기 볼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되고,
    상기 볼 수용 환형 홈은,
    상기 시술 공구 상에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유도연결 관 또는 축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축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가지면서,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이, 개별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볼 장착 텐션 로커를 구비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은, 상기 유도팁 관을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에, 그리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그리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상기 축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수용시켜 절첩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도팁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개별 볼 장착 텐션 로커의 볼은, 상기 축 하우징의 볼 수용 환형 홈에 끼워지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장착 텐션 로커는,
    유도팁 관 또는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제2 유도연결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볼 이동제한 홈에 볼과 스프링을 구속시켜 상기 볼 이동제한 홈으로부터 상기 볼을 부분적으로 돌출시켜 형성되고,
    상기 볼 수용 환형 홈은,
    상기 시술 공구 상에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과 상기 축 하우징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시술 공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제2 유도연결 관 또는 축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축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을 하나씩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중간 베어링에 제1 개별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2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제1 중간 베어링과 상기 제2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하나로 존재하면서 상기 유도팁 관 가까이에 암 나사부 그리고 상기 축 하우징 가까이에 숫 나사부를 가지는 때,
    상기 유도연결 관의 상기 암 나산부는, 상기 유도팁 관의 숫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유도연결 관의 상기 숫 나사부는, 상기 축 하우징의 암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유도연결 관과 제2 유도연결 관을 통해,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과 나사선 결합하는 때,
    상기 유도팁 관의 숫 나사부는,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산부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는,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암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의 숫 나사부는, 상기 축 하우징의 암 나사부와 나사선 결합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하나로 가지는 때,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하나의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상기 제1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연결 관은,
    상기 제1 유도연결 관을 복수로 가지는 때,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격하는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 사이에 제1 중간 베어링을 하나씩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중간 베어링에 개별 제1 전방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고,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축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축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는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 사이에, 제2 중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베어링 바로 위에서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 또는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을 접촉시키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베어링과 상기 제1 중간 베어링과 상기 제2 중간 베어링과 상기 후방 베어링은,
    상기 유도팁 관과 상기 제1 전방 유도연결 관들과 상기 제1 후방 유도연결 관과 상기 제2 유도연결 관에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KR1020190164311A 2019-12-11 2019-12-11 외과 시술 핸드피스 KR10233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11A KR102337380B1 (ko) 2019-12-11 2019-12-11 외과 시술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11A KR102337380B1 (ko) 2019-12-11 2019-12-11 외과 시술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45A true KR20210073745A (ko) 2021-06-21
KR102337380B1 KR102337380B1 (ko) 2021-12-09

Family

ID=7659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11A KR102337380B1 (ko) 2019-12-11 2019-12-11 외과 시술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50A (ko) * 2021-12-14 2023-06-21 (주)세신정밀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543A (ja) * 1991-09-20 1993-03-30 Olympus Optical Co Ltd レーザ装置
KR200271242Y1 (ko) * 2001-12-31 2002-04-09 이종환 레이저 치료기용 핸드피스
JP2005177150A (ja) * 2003-12-19 2005-07-07 Morita Mfg Co Ltd 医療用レーザ装置および医療用レーザ照射チップ
KR101395096B1 (ko) * 2012-12-13 2014-05-13 아이메디컴(주) 외과용 천공 드릴의 비트 지지 기구
KR20160012987A (ko) 2013-03-15 2016-02-03 알란 쥐. 엘만 전기 외과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543A (ja) * 1991-09-20 1993-03-30 Olympus Optical Co Ltd レーザ装置
KR200271242Y1 (ko) * 2001-12-31 2002-04-09 이종환 레이저 치료기용 핸드피스
JP2005177150A (ja) * 2003-12-19 2005-07-07 Morita Mfg Co Ltd 医療用レーザ装置および医療用レーザ照射チップ
KR101395096B1 (ko) * 2012-12-13 2014-05-13 아이메디컴(주) 외과용 천공 드릴의 비트 지지 기구
KR20160012987A (ko) 2013-03-15 2016-02-03 알란 쥐. 엘만 전기 외과용 핸드피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50A (ko) * 2021-12-14 2023-06-21 (주)세신정밀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380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469B2 (en) Surgical drill with curved burr attachment and method
US8273092B2 (en) Intramedullary nail distal targeting device
US8794100B2 (en) Remote-controlled actuator
DE60227288D1 (de) Chirurgisches rotierendes abrasionsgerät
JP2007252927A (ja) 角度の付いた外科用ドライバー
JP6647279B2 (ja) 工具に装着される切断アクセサリの位置合せを容易にするチャックを有する電動式外科用ハンドピース
JP2011056267A (ja) 内視鏡器具
KR102337380B1 (ko) 외과 시술 핸드피스
CN208114648U (zh) 一种应用机械臂的消化内镜机器人与消化内镜
KR20190011102A (ko)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US20170150879A1 (en) Bendable tube segment, bendable tube and insertion device
BR0212209A (pt) Mandril médico ou médico-dentário tendo uma seção traseira de eixo e uma seção dianteira de eixo, incluindo entre elas um ângulo obtuso
CN117617865A (zh) 一种远端柔性可变的内窥镜插管结构
KR102271427B1 (ko) 모터 내장 핸드피스
WO2016035672A1 (ja) 内視鏡
KR102645780B1 (ko)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핸드피스
JP2018521749A (ja) 手術用器具、特に、尿管鏡
US5618258A (en) Thumb ring for an endoscopic apparatus
WO2014013564A1 (ja) 医療用処置具
CN220158205U (zh) 一种可弯曲自动归位的内窥镜
JP2021058550A (ja) 内視鏡の操舵方法
JP2010088639A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828010B1 (ko) 길이를 가변하는 내시경의 구조
JP2000271064A (ja) 内視鏡
JPH08154943A (ja) 医療用レーザ治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