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880A - 래싱 브리지 - Google Patents

래싱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880A
KR20210072880A KR1020190163075A KR20190163075A KR20210072880A KR 20210072880 A KR20210072880 A KR 20210072880A KR 1020190163075 A KR1020190163075 A KR 1020190163075A KR 20190163075 A KR20190163075 A KR 20190163075A KR 20210072880 A KR20210072880 A KR 2021007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horizontal support
breath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868B1 (ko
Inventor
전명진
박지형
송재원
도천수
안대영
유상범
장기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8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래싱 브리지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는 컨테이너선의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적층된 컨테이너를 고박 및 지지하는 래싱 브리지에 있어서, 갑판 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 복수의 수직지지대에 연결 및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 및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측부가 어느 하나의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브레싱을 포함하고, 브레싱은 내부가 빈 중공의 사각 튜브로 마련되며, 사각 튜브는 외측에 대향하는 전면과,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과, 전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후면을 포함하되, 브레싱과 수평지지대가 접하는 부위는 수평지지대의 측면이 브레싱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
본 발명은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박 및 지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게 된다. 컨테이너선은 가능한 많은 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선체의 화물창에 컨테이너를 적재시킨 후 해치 커버를 덮고, 해치 커버의 상측에도 컨테이너를 복수의 층으로 쌓아 운용하고 있다.
해치 커버의 상측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됨에 따라 무게중심이 높아져 풍랑이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풍랑에 의해 선체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강풍이 가해질 경우, 컨테이너가 선체로부터 이탈하거나 전복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선은 해치 커버의 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를 고박시키는 래싱 브리지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래싱 브리지는 선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다수의 수직 지지구조와,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구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래싱 브리지는 컨테이너로부터 전달되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되며, 선체의 흔들림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나아가, 래싱 브리지 역시 선체에 탑재되는 설비로서 선체의 중량과 무게 중심에 영향을 미치는 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박 및 지지함과 동시에 컨테이너선의 구조 안정성 및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894호(2013. 04. 04. 공개)
본 실시 예는 해치 커버의 상부에 복층으로 적층된 컨테이너들을 안정적으로 고박 및 지지할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컨테이너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컨테이너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장치의 경량화를 통해 선체의 구조 안정성 및 운용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적층된 컨테이너를 고박 및 지지하는 래싱 브리지에 있어서, 갑판 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대에 연결 및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측부가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브레싱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싱은 내부가 빈 중공의 사각 튜브로 마련되며, 상기 사각 튜브는 외측에 대향하는 전면과,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후면을 포함하되, 상기 브레싱과 상기 수평지지대가 접하는 부위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이 상기 브레싱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지지대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싱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브레싱과, 상기 제1 브레싱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브레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레싱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제1 수평보강대와,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양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되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경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후면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 브레싱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제2 수평보강대와,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양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되 상기 제1 경사지지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고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수평보강대의 후면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싱은 상기 제1 경사지지대 상단의 상향면과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제1 경사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브래킷은 상기 제1 경사지지대의 후방면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경사브래킷과,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상기 제1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1 경사지지대 상의 제1 부위의 후면과, 상기 제1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상의 제2 부위의 측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레싱은 상기 제2 경사지지대 상단의 상향면과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제2 경사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브래킷은 상기 제2 경사지지대의 후방면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경사브래킷과, 상기 제2 수평보강대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상기 제2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2 경사지지대 상의 제3 부위의 후면과, 상기 제2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상의 제4 부위의 측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는 해치 커버의 상부에 복층으로 적층된 컨테이너들을 안정적으로 고박 및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는 단순한 구조로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는 컨테이너로부터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는 컨테이너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일 지점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는 장치의 경량화를 통해 선체의 구조 안정성 및 운용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및 이에 연결되는 브레싱을 나타내는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D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D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D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100)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100)는 컨테이너(미도시)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컨테이너선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00)는 선체의 폭 방향, 다시 말해 좌우방향을 따라 갑판(10) 상에 설치되되, 해치 커버의 상측에 적층되는 컨테이너의 열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고박 및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100)는 갑판(10) 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와,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에 연결 및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120)와, 수직지지대(110) 및 수평지지대(12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컨테이너에 의한 수평방향 하중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브레싱(150)과, 브레싱(150)과 접하는 수평지지대(120)와 상측의 수평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복수의 쉬어플레이트(Shear plate,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대(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수직지지대(110)와, 후술하는 수평지지대(120) 및 브레싱(150)을 나타내는 확대된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지지대(110)는 갑판(10) 상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설치되되, 선수 측에 배열되는 제1 열 수직지지대(110a)와 선미 측에 배열되는 제2 열 수직지지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브레싱(150) 및 쉬어플레이트(140)는 선미 측에 배열되는 제2 열 수직지지대(11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열 수직지지대(110a) 및 제2 열 수직지지대(110b)는 선체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정중앙에 배치되는 제1 수직지지대(111)와, 제1 수직지지대(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지지대(112)와, 한 쌍의 제2 수직지지대(112)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내지 제7 수직지지대(11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직지지대(110)는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빈 중공의 사각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지지대(110) 중 적어도 일부는 해치 커버의 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지지대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수직지지대(112) 및 한 쌍의 제5 수직지지대(115)는 다른 수직지지대(110) 보다 상향 연장 형성됨으로써, 크레인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출입되는 해치 커버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선체의 최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7 수직지지대(117)는 제1 내지 제6 수직지지대(111, 112, 113, 114, 115, 116) 보다 상향 연장되고, 이에 인접하는 보조지지대(131) 역시 상향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열의 제7 수직지지대(117a)와 제2 열의 제7 수직지지대(117b) 사이에는 판 형상의 보강판(127)가 설치됨으로써, 풍랑 또는 바람에 의해 선체에 롤링(Rolling)이 발생 시 래싱 브리지(100) 및 선체의 양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구조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은 후술하는 제1 경사지지대(162)의 양측 하단과 제2 경사지지대(172)의 일측 하단이 함께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6 수직지지대(116)의 하단은 후술하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타측 하단이 함께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수평지지대(120)는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에 연결 및 지지되되, 복수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평지지대(120)는 제1 열 수직지지대(110a)와 제2 열 수직지지대(110b) 사이에 고정 설치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와 복층의 수평지지대(120)는 서로 격자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층으로 배치되는 수평지지대(120) 중 적어도 일부는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통로로서 제공되는 보도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지지대(120)는 기본적으로 선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은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저면은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와의 접촉부위을 증가시켜 체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외측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확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지지대(120)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1 수평지지대(12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제2 수평지지대(122)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3 내지 제5 수평지지대(123, 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 수평보강대(161) 및 제2 수평보강대(171)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2 수평지지대(122)는 인접하는 수직지지대(110) 사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지지대(130)에 의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은 후술하는 제1 수평보강대(161) 및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일부인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181a), 제1 경사브래킷(181b), 제1 경사지지대(162)의 후면 일부(181c)는 일체로 마련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1, 182)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일부인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182a), 제2 경사브래킷(182b), 제2 경사지지대(172)의 후면 일부(182c)는 일체로 마련되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2)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수평지지대(122)의 저면과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의 측면 사이에는 강성을 보완하는 제2 보강리브(1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강리브(19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은 제2 수평지지대(122)의 선수 측 측면의 하단 또는 선미 측 측면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어느 하나의 수직지지대(110)의 양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리브(192)는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체결력 및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제2 수평지지대(122)와 수직지지대(110)를 향할수록 확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지지대(130)는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서 직립하여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보조지지대(130)는 상측 단부가 제1 수평지지대(121)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측 단부가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에 고정되되,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서 수직지지대(110)와 보조지지대(130)가 서로 교차하면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대(130)는 수직지지대(110)와 마찬가지로, 선수 측에 배열되는 제1 열 보조지지대(130a)와 선미 측에 배열되는 제2 열 보조지지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외측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대(131)는 다른 보조지지대(130)보다 상향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적층된 컨테이너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래싱 브리지(100) 및 선체의 구조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선체의 좌측 및 우측에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지지대(131) 및 제7 수직지지대(117)는 수평보조대(128)를 통해 서로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 수평보조대(128)는 최외측의 제1 열 보조지지대(130a) 및 제1 열의 제7 수직지지대(117a)와, 제2 열 보조지지대(130b) 및 제2 열의 제7 수직지지대(117b) 사이에 마련되되, 선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방이 보조지지대(130) 및 수직지지대(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평지지대(121)의 저면과 복수의 수직지지대(110)의 측면 사이와, 제1 수평지지대(121)의 저면과 복수의 보조지지대(130)의 측면 사이에는 강성을 보완하는 제1 보강리브(19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강리브(19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은 제1 수평지지대(121)의 선수 측 측면의 하단 또는 선미 측 측면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어느 하나의 수직지지대(110) 및 보조지지대(13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리브(191)는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체결력 및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제1 수평지지대(121)와 수직지지대(110) 및 보조지지대(130)를 향할수록 확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브레싱(150)은 수직지지대(110)와 수평지지대(12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됨으로써, 적층된 복수의 컨테이너로부터 가해지는 수평방향 하중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브레싱(150)은 복수의 수직지지대(110) 중 선미 측에 배열되는 제2 열 수직지지대(110b)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배치되며 양측으로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1 브레싱(160)과, 제1 브레싱(16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양측으로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브레싱(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레싱(160, 170)은 내부가 빈 중공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B-B' 방향 단면도로서, 브레싱(150)의 단면 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브레싱(170)은 내부가 빈 중공의 튜브 또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되 단면이 사각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각 튜브는 래싱 브리지(100)의 외측인 선미 측에 대향하는 전면(a)과, 전면의 양측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b)과, 래싱 브리지(100)의 내측인 선수 측에 대향하도록 전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후면(c)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토대로 제1 및 제2 브레싱(160, 17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브레싱(160)은 래싱 브리지(10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상에서 제2 열의 제1 수직지지대(111b)가 접하는 부위에 마련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보강대(161)와, 제1 수평보강대(161)의 양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경사지지대(162)와, 한 쌍의 제1 경사지지대(162)의 상단 상향면과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제1 경사브래킷(181b)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평보강대(161)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보강대(161)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상 중앙부, 다시 말해 제2 열의 제1 수직지지대(111b)가 접하는 부위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선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보강대(161)의 두께는 수직지지대(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평보강대(161)는 제2 열의 제1 수직지지대(111b)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평보강대(16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161a)과, 한 쌍의 측면(161b)을 포함하되,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접하는 부위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a)에 의해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평보강대(161)는 전면(161a)과, 한 쌍의 측면(161b) 만을 구비하고, 후면부가 개방 또는 생략된 상태로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a)에 접하여 마련됨으로써,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a)이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제1 수평보강대(161)가 서로 접하는 부위를 부재의 중첩 없이 한 겹의 부재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래싱 브리지(10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지지대(162)는 제1 수평보강대(16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하방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경사지지대(162)는 제1 수평보강대(161)의 측단부로부터 제3 수직지지대(113)와 갑판(10)이 접하는 지점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갑판(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경사지지대(162)는 동일한 경사각(a)을 갖고 형성되어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지지대(162)의 두께는 수직지지대(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경사지지대(162)는 제2 열의 제2 수직지지대(112b)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지지대(162)의 경사각(a)은 후술하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경사각(b) 보다 작게 마련됨으로써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브레싱(160)의 좌우방향 너비는 선체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제2 브레싱(170)의 너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각각의 제1 경사지지대(162) 상단의 상향면과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는 강성을 보완하는 제1 경사브래킷(18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경사브래킷(181b)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은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제1 경사지지대(162)의 상단측 상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경사브래킷(181b)은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체결력 및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제1 경사지지대(162)에 근접할수록 확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경사브래킷(181b)은 제1 경사지지대(162)의 후방면(선수 측을 향하는 측면)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a)과,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연결되는 제1 경사지지대(162) 상의 제1 부위의 후면(181c)과,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상의 제2 부위의 측면(181d)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1)로 마련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부재의 중첩 없이 한 겹의 부재로 제1 경사브래킷(181b),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d),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181a) 및 제1 경사지지대(162) 일부분의 후면(181c)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래싱 브리지(100)의 경량화 및 생산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1 부위는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제1 경사지지대(16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경사지지대(162)의 후면 일부의 영역(181c)을 의미하며, 제2 부위는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제2 수평지지대(12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일부(181d)의 영역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제1 부위(181c)가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제1 경사지지대(16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제1 경사지지대(162)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구획되고, 제2 부위(181d)가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제2 수평지지대(12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제2 수평지지대(122)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게 구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구획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경사브래킷(181b)에 연결되는 제1 경사지지대(162) 후면 상 일부의 영역과, 제1 경사브래킷(181b)에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측면 상 일부의 영역을 포함한다면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경사지지대(162)의 중단부에는 강성을 보완하도록 보강플레이트(151)가 개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151)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면 및 하면이 용접에 의해 제1 경사지지대(162)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플레이트(151)는 제1 경사지지대(162)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1 경사지지대(16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의 D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브레싱(170)은 제1 브레싱(16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되며, 각각의 제2 브레싱(170)은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상에서 제2 열의 제4 수직지지대(114b)와 제5 수직지지대(115b) 사이의 중앙부에 마련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보강대(171)와, 제2 수평보강대(171)의 양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172)와,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172)의 상단 상향면과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제2 경사브래킷(182b)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평보강대(171)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평보강대(171)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상에서 제2 열의 제4 수직지지대(114b)와 제5 수직지지대(115b) 사이의 중앙부위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선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보강대(171)의 두께는 수직지지대(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평보강대(171)는 제2 열의 제4 수직지지대(114b)와 제5 수직지지대(115b)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지지대(130b)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보강대(171) 및 이와 연결되는 보조지지대(130b)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마련되되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수평보강대(17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171a)과, 한 쌍의 측면(171b)을 포함하되,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접하는 부위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에 의해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수평보강대(171)는 전면(171a)과, 한 쌍의 측면(171b) 만을 구비하고, 후면부가 개방 또는 생략된 상태로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됨으로써,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2a)이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제2 수평보강대(171)가 서로 접하는 부위를 부재의 중첩 없이 한 겹의 부재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래싱 브리지(10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172)는 제2 수평보강대(17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하방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2 경사지지대(172)는 제2 수평보강대(171)의 측단부로부터 제3 수직지지대(113)와 갑판(10)이 접하는 지점 및 제6 수직지지대(116)와 갑판(10)이 접하는 지점을 향해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갑판(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172)는 동일한 경사각(b)을 갖고 형성되어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지지대(172)의 두께는 수직지지대(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경사지지대(172)는 제2 열의 제4 수직지지대(114b) 및 제5 수직지지대(115b)를 각각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지지대(172)의 경사각(b)은 제1 경사지지대(162)의 경사각(a) 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제2 브레싱(170)의 좌우방향 너비는 제1 브레싱(160)의 너비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풍랑 또는 바람에 의해 선체가 흔들릴 경우 적층된 컨테이너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래싱 브리지(100)의 중앙부 보다 측부에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경사지지대(162)의 경사각(a)을 선체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경사각(b) 보다 작게 마련함으로써, 선체의 중앙부로부터 발생되는 수평방향 하중을 제1 브레싱(160)을 통해 래싱 브리지(100)의 측부로 원활하게 분산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는 래싱 브리지(100)의 측부에는 보다 촘촘하게 배치되는 제2 브레싱(170) 및 격자형태의 지지구조에 의해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경사지지대(172) 상단의 상향면과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는 강성을 보완하는 제2 경사브래킷(18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경사브래킷(182b)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은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제2 경사지지대(172)의 상단측 상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경사브래킷(182b)은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체결력 및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제2 수평지지대(122)와 제2 경사지지대(172)를 향할수록 확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경사브래킷(182b)은 제2 경사지지대(172)의 후방면(선수 측을 향하는 측면)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2a)과,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연결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 상의 제3 부위의 후면(182c)과,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상의 제4 부위의 측면(182d)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로 마련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부재의 중첩 없이 한 겹의 부재로 제2 경사브래킷(182b),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2d),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182a) 및 제2 경사지지대(172) 일부분의 후면(182c)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래싱 브리지(100)의 경량화 및 생산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3 부위는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제2 경사지지대(17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후면 일부의 영역(182c)을 의미하며, 제4 부위는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제2 수평지지대(12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일부의 영역(182d)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제3 부위(182c)가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제2 경사지지대(17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제2 경사지지대(172)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구획되고, 제4 부위(182d)가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제2 수평지지대(122)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제2 수평지지대(122)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게 구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구획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경사브래킷(182b)에 연결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 후면 상 일부의 영역과, 제2 경사브래킷(182b)에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측면 상 일부의 영역을 포함한다면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경사지지대(172)의 중단부에는 강성을 보완하도록 보강플레이트(151)가 개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151)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면 및 하면이 용접에 의해 제2 경사지지대(172)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플레이트(151)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2 경사지지대(17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레싱(160)의 양측 하단부는 제2 브레싱(170)의 하단부 중 선체의 중앙측에 근접하는 내측 하단부와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레싱(160)의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부와, 제2 브레싱(170)의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172) 중 선체의 중앙측으로 하방 연장되는 내측의 제2 경사지지대(172) 하단부는 서로 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와 함께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부는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 일측면에 접하는 제1 접촉면과, 갑판(10)에 접하는 제1 저면을 구비하고,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는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 타측면에 접하는 제2 접촉면과, 갑판(10)과 접하는 제2 저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에 의해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부와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와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가 서로 접할 수 있으며, 제1 저면과 제2 저면에 의해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부와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와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가 함께 갑판(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부와, 선체의 중앙측으로 하방 연장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와,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는 하나의 지점에서 서로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갑판(10) 상에 브레싱(150) 및 지지대를 설치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경사지지대(162)와 제2 경사지지대(172)와 제3 수직지지대(113)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거나 전달되는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 및 흡수될 수 있다.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 상향면과 제3 수직지지대(113)의 측면 사이, 제1 경사지지대(162)의 하단 하향면과 갑판(10) 사이,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 상향면과 제3 수직지지대(113)의 측면 사이,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 하향면과 갑판(10) 사이에는 강성을 보완하는 복수의 보강브래킷(195)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보강브래킷(195)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대 또는 갑판(10)과의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체결력 및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지지대와 갑판(10)을 향할수록 확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브래킷(195)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경사지지대(162)와 제2 경사지지대(172)와 제3 수직지지대(113) 및 갑판(10)에 모두 접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브레싱(170)의 하단부 중 선체의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외측 하단부는 제6 수직지지대(116)의 하단부와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 브레싱(170)의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172) 중 선체의 측면에 근접하게 하방 연장되는 외측의 제2 경사지지대(172) 하단부는 제6 수직지지대(116)의 하단부와 함께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는 제6 수직지지대(116)의 하단부 일측면에 접하는 제3 접촉면과, 갑판(10)에 접하는 제3 저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3 접촉면에 의해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와 제6 수직지지대(116)의 하단부가 서로 접할 수 있으며, 제3 저면에 의해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와 제3 수직지지대(113)의 하단부가 함께 갑판(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선체의 측면으로 하방 연장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부와, 제6 수직지지대(116)의 하단부는 하나의 지점에서 서로 접하여 갑판(10)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갑판(10) 상에 브레싱(150) 및 지지대를 설치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경사지지대(172)와 제6 수직지지대(116)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거나 전달되는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 및 흡수될 수 있다.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 상향면과 제6 수직지지대(116)의 측면 사이, 제2 경사지지대(172)의 하단 하향면과 갑판(10) 사이, 제6 수직지지대(116)와 갑판(10) 사이에는 강성을 보완하는 복수의 보강브래킷(195)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보강브래킷(195)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대 또는 갑판(10)과의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체결력 및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지지대와 갑판(10)을 향할수록 확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브래킷(195)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경사지지대(172)와 제6 수직지지대(116) 및 갑판(10)에 모두 접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해치 커버의 상측에 적층되는 컨테이너는 래싱 로드(미도시)에 의해 래싱 브리지(100)와 연결 및 체결됨으로써 컨테이너를 고박 및 지지하게 되는데, 풍랑 및 바람에 의해 선체에 진동 또는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래싱 브리지(100) 상에서 래싱 로드와 연결되는 부위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100)는 래싱 로드 또는 턴버클(미도시)이 연결 및 지지되는 부위에 안정적인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쉬어플레이트(140)(Shear plate)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쉬어플레이트(140)(Shear plate)는 양단이 각각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서 직립하여 고정 설치되되, 상대적으로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내력을 갖는 제1 수평보강대(161) 및 제2 수평보강대(171)가 마련되는 부위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쉬어플레이트(140)는 제1 브레싱(160)의 상단부를 이루는 제1 수평보강대(161) 또는 제2 브레싱(170)의 상단부를 이루는 제2 수평보강대(171)가 접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부위와 제1 수평지지대(121) 사이에 직립하여 고정 설치되는 메인 쉬어플레이트(141)와, 메인 쉬어플레이트(141)의 양측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 쉬어플레이트(142)를 포함한다.
메인 쉬어플레이트(141)는 제1 수평보강대(161)가 접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부위와 제1 수평지지대(121)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메인 쉬어플레이트(141a)와, 각각의 제2 수평보강대(171)가 접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부위와 제1 수평지지대(121)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메인 쉬어플레이트(141b)를 포함한다. 또한, 서브 쉬어플레이트(142)는 제1 메인 쉬어플레이트(141a)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서브 쉬어플레이트(142a)와, 각각의 제2 메인 쉬어플레이트(141b)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서브 쉬어플레이트(142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쉬어플레이트(140)는 상단이 제1 수평지지대(121)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제2 수평지지대(12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열 수직지지대(110b) 및 제2 열 보조지지대(130b)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쉬어플레이트(140)는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쉬어플레이트(140)의 좌우방향 너비는 수직지지대(110) 또는 보조지지대(13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서브 쉬어플레이트(142a)가 연결되는 부위의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은 앞서 설명한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1)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a)과,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연결되는 제1 경사지지대(162) 상의 제1 부위의 후면(181c)과, 제1 경사브래킷(181b)과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상의 제2 부위의 측면(181d)과, 한 쌍의 제1 서브 쉬어플레이트(142a)가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상의 제5 부의의 측면(181e)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1)로 마련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5 부위는 한 쌍의 제1 서브 쉬어플레이트(142a)가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일부의 영역(181e)으로, 제2 부위(181d)의 양측으로 확장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로써, 부재의 중첩 없이 한 겹의 부재로 제1 경사브래킷(181b),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1d, 181e), 제1 수평보강대(161)의 후면(181a) 및 제1 경사지지대(162) 일부분의 후면(181c)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래싱 브리지(100)의 경량화 및 생산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서브 쉬어플레이트(142b)가 연결되는 부위의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은 앞서 설명한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2a)과,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연결되는 제2 경사지지대(172) 상의 제3 부위의 후면(182c)과, 제2 경사브래킷(182b)과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상의 제4 부위의 측면(182d)과, 한 쌍의 제2 서브 쉬어플레이트(142b)가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 상의 제6 부의의 측면(182e)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182)로 마련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6 부위(182e)는 한 쌍의 제2 서브 쉬어플레이트(142b)가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 일부의 영역으로, 제4 부위(182d)의 양측으로 확장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로써, 부재의 중첩 없이 한 겹의 부재로 제2 경사브래킷(182b), 제2 수평지지대(122)의 측면(182d, 182e), 제2 수평보강대(171)의 후면(182a) 및 제2 경사지지대(172) 일부분의 후면(182c)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래싱 브리지(100)의 경량화 및 생산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각각의 쉬어플레이트(140)는 제1 수평지지대(121)와 제2 수평지지대(12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안정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단 및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쉬어보강대(14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쉬어플레이트(140)의 하단에는 각각의 컨테이너와 연결 및 결속되는 래싱로드(미도시) 또는 턴버클(미도시)이 연결 및 지지되는 고정구(140a)가 좌우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40a)는 관통 형성됨으로써 래싱로드 또는 턴버클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래싱 브리지 110: 수직지지대
111: 제1 수직지지대 112: 제2 수직지지대
113: 제3 수직지지대 114: 제4 수직지지대
115: 제5 수직지지대 116: 제6 수직지지대
120: 수평지지대 121: 제1 수평지지대
122: 제2 수평지지대 130: 보조지지대
140: 쉬어플레이트 141a: 제1 메인 쉬어플레이트
141b: 제2 메인 쉬어플레이트 142a: 제1 서브 쉬어플레이트
142b: 제2 서브 쉬어플레이트 145: 쉬어보강대
150: 브레싱 151: 보강플레이트
160: 제1 브레싱 161: 제1 수평보강대
162: 제1 경사지지대 170: 제2 브레싱
171: 제2 수평보강대 172: 제2 경사지지대
181, 182: 플레이트 부재

Claims (5)

  1. 컨테이너선의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적층된 컨테이너를 고박 및 지지하는 래싱 브리지에 있어서,
    갑판 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대에 연결 및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측부가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브레싱;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싱은 내부가 빈 중공의 사각 튜브로 마련되며,
    상기 사각 튜브는
    외측에 대향하는 전면과,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후면을 포함하되,
    상기 브레싱과 상기 수평지지대가 접하는 부위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측면이 상기 브레싱의 후면을 형성하는 래싱 브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지지대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싱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브레싱과, 상기 제1 브레싱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브레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레싱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제1 수평보강대와,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양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되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경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후면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래싱 브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2 브레싱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제2 수평보강대와,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양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되 상기 제1 경사지지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고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경사지지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수평보강대의 후면은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래싱 브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싱은
    상기 제1 경사지지대 상단의 상향면과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제1 경사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브래킷은 상기 제1 경사지지대의 후방면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경사브래킷과, 상기 제1 수평보강대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상기 제1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1 경사지지대 상의 제1 부위의 후면과, 상기 제1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상의 제2 부위의 측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로 마련되는 래싱 브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싱은
    상기 제2 경사지지대 상단의 상향면과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완하는 제2 경사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브래킷은 상기 제2 경사지지대의 후방면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경사브래킷과, 상기 제2 수평보강대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상기 제2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2 경사지지대 상의 제3 부위의 후면과, 상기 제2 경사브래킷과 연결되는 상기 제2 수평지지대 상의 제4 부위의 측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로 마련되는 래싱 브리지.
KR1020190163075A 2019-12-09 2019-12-09 래싱 브리지 KR10260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075A KR102605868B1 (ko) 2019-12-09 2019-12-09 래싱 브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075A KR102605868B1 (ko) 2019-12-09 2019-12-09 래싱 브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880A true KR20210072880A (ko) 2021-06-18
KR102605868B1 KR102605868B1 (ko) 2023-12-21

Family

ID=7662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075A KR102605868B1 (ko) 2019-12-09 2019-12-09 래싱 브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8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894A (ko) 2011-09-27 2013-04-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101261659B1 (ko) * 2006-06-02 2013-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 래싱 브리지
KR101378897B1 (ko) * 2011-12-27 2014-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고박용 아이플레이트가 구비된 선박
CN209112393U (zh) * 2018-11-06 2019-07-16 南通中远海运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超大型集装箱船绑扎桥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59B1 (ko) * 2006-06-02 2013-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 래싱 브리지
KR20130033894A (ko) 2011-09-27 2013-04-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101378897B1 (ko) * 2011-12-27 2014-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고박용 아이플레이트가 구비된 선박
CN209112393U (zh) * 2018-11-06 2019-07-16 南通中远海运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超大型集装箱船绑扎桥结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ainer Ship CMA CGM TANYA(2017.5.25), 유튜브 동영상 URL: youtube.com/watch?v=OVSAipxpQVQ*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868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306931U (zh) 船用升降机平台结构
US20190023356A1 (en) Container Lashing Bridge
KR20210072891A (ko) 래싱 브리지
JP5015328B2 (ja) クロスビームを利用したコンテナ運搬船の隔壁構造物
KR20210072880A (ko) 래싱 브리지
KR20130129642A (ko) 컨테이너선 상부 스툴의 수직웨브
KR101727765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KR20210072892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78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77A (ko) 래싱 브리지
KR102605680B1 (ko) 래싱 브리지
US9415838B2 (en) Exoskeleton ship hull structure
KR20210072881A (ko) 래싱 브리지
KR102605874B1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90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79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76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94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93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95A (ko) 래싱 브리지
KR100897702B1 (ko) 크로스 빔을 이용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격벽구조
JP6594815B2 (ja) 船体構造
KR102719541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JP2014148323A (ja) Iso規格に準拠するコンテナ
RU216932U1 (ru)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со съемной крыш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