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010A -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조성물 및 식물 병원체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조성물 및 식물 병원체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010A
KR20210071010A KR1020217012455A KR20217012455A KR20210071010A KR 20210071010 A KR20210071010 A KR 20210071010A KR 1020217012455 A KR1020217012455 A KR 1020217012455A KR 20217012455 A KR20217012455 A KR 20217012455A KR 20210071010 A KR20210071010 A KR 2021007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omposition
phytophthora
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반 데르 레리
사피위 타가비
안토니 앤드류 데빈
재현 이
Original Assignee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9/05342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69297A1/en
Publication of KR2021007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식물상의 식물 병원체(들), 예를 들어 진균성 및 박테리아성 병원체를 방제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ATCC 수탁번호 PTA-122162로서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식물, 특히 식물의 지상 부분에 적용된다. 조성물은 1.3 : 1.0 내지 3.0 : 1.0의 상대 중량비로 이투린 및 펜기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신규 균주,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의 완충제를 포함하는 농업상 조성물 및 상응하는 농축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조성물 및 식물 병원체 방제 방법
현재 개시된 대상은 식물 병원체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병을 치료하기 위해 식물 또는 식물 주변 토양에 적용하기 위한 분리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트리티스(Botrytis) 종, 푸사리움(Fusarium) 종, 리족토니아(Rhizoctonia) 종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진균성 식물 병원체(식물병원체)은 농업 및 원예 산업에서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식물 해충의 한 유형이다. 화학 작용제는 진균성 식물 병원체를 방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화학 작용제의 사용은 높은 비용, 효능 부족, 진균 중 내성 균주의 출현, 및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 영향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화학적 처리는 무차별적인 경향이 있으며 처리 대상이 되는 식물 병원체 외에도 유익한 박테리아, 진균 및 절지동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의 식물 해충은 농업 및 원예 산업에서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에르위니아(Erwinia) 종, 크산토모나스(Xanthomonas) 종, 및 슈도모나스(Pseudomonas) 종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박테리아성 식물 병원체이다. 병원성 진균과 유사하게, 이들 박테리아성 병원체를 치료하기 위한 화학 작용제의 사용은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식물의 병원성 진균 및 박테리아를 방제하기 위해 생물농약으로 적용될 수 있는 미생물이 바람직하고 농업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높은 수요가 있다.
바실러스(Bacillus) 종의 일부 구성원은 생물방제 균주로 보고되었으며 일부는 시판 제품에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현재 생물방제 시판 제품에 사용되는 균주로는 바이엘 크롭사이언스(Bayer CropScience)에서 생산하는 세레나데®(Serenade)의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QST713과 세르티스(Certis)에서 생산한 더블 니켈(Double Nickel)의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D747이 있다. 또한, 현재 생물자극제 시판 제품에 사용되는 바실러스 균주에는 아비텝(ABiTEP GmbH)에서 생산 한 리조비탈®(RhizoVital®) 42의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FZB42가 포함된다.
더욱이, WO 2016/109396 A1은 식물 성장에 유익하고 진균성 및 박테리아성 감염과 같은 식물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TI472를 개시한다.
추가로, WO 2016/109395 A1은 식물 성장에 유익하고 진균성 및 박테리아성 감염과 같은 식물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TI301을 개시한다.
또한, WO 2015/023662 A1은 진균성 식물 병원체의 성장 및/또는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생물학적 살충제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관련 기술 분야에서는 표적 질병 및 각각의 원인 병원체에 대한 특이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다양한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생물학적 살충제의 효능과 효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식물 병원체의 성장을 방제하고 이에 의해 식물병을 완화 또는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미생물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딸기 식물 토양으로부터 새로운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의 분리에 있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균주는 ATCC에 기탁되어 있고 수탁번호는 PTA-122162이다, 실시예 1 참조.
적어도 1종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식물에서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 식물의 일부 및/또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식재될 생육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의 지상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상의 진균성 식물 병원체(들) 및/또는 박테리아성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a)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b) 예를 들어, 적합한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로 완충제를 포함하는,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를 포함하는 농업상 조성물이 제공된다. 농업상 조성물은 병원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거나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병원성 감염에 민감한 식물을 치료하기 위한 적용에 특히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각각 1.3 : 1.0 내지 3.0 : 1.0 범위, 예컨대 1.5 : 1.0 내지 2.8 : 1.0 범위의 상대적 비율로 이투린 및 펜기신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농업상 조성물을 위한 농축물이 제공되며 농축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a)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b)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 예를 들어 적합한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로 완충제를 포함하는 배지.
따라서 현재 개시된 대상을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였으므로, 이제 다음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활성을 미처리 대조군 및 시판 제품인 세레나데® 옵티뭄(Optimum)과 비교한 탈착된 고추 잎 디스크(Detached Pepper Leaf Disk)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각각 FCC1256 및 RTI472 배양물로부터의 이투린, 서펙틴, 펜기신 및 에리신 A/S의 전형적인 비율을 보여준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명칭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FCC1256"은 수탁번호 PTA-122162하에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박테리아 균주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물을 지칭한다, 실시예 1 참조. 본원에 설명된 방법, 조성물 등에서, 균주는 박테리아 균주의 분리된 포자로서, 박테리아 균주의 포자를 포함하는 발효 브로쓰로서, 박테리아 균주의 포자를 포함하는 가공된 발효 생성물로서, 박테리아 균주의 분리된 영양 세포로서, 박테리아 균주의 영양 세포를 포함하는 발효 브로쓰로서, 및 박테리아 균주의 영양 세포를 포함하는 가공된 발효 생성물로서의 형태들 중 하나 또는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물"은 단일 종의 유기체를 함유하는 실험실 또는 발효 배양물, 즉 본원의 경우 사실상 전적으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박테리아 균주를 지칭한다. 이는 순수 배양물의 발효 브로쓰에 포함된 다른 모든 미생물이 오염물로 간주되어 무시할 수 있는 양으로만 존재하여 브로쓰의 물리적 및 화학적 조성에 측정 가능한 변화를 야기시키지 않음을 의미한다.
용어 "가공된 발효 생성물"은 발효 브로쓰의 농축물, 여과된 발효 브로쓰의 고형물, 재구성된 발효 브로쓰 농축물 및 건조된 발효 브로쓰(예를 들어 동결-건조된 혹은 분무-건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운스트림의 가공된 형태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C1256은 FCC1256의 포자를 포함하는 발효 브로쓰 또는 FCC1256의 포자를 포함하는 가공된 발효 생성물, 예컨대 발효 브로쓰의 농축물 또는 분무-건조된 발효 브로쓰로 존재한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물이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에 포함된다는 사실은 조성물 및 방법이 각각 다른 정의된 미생물 균주, 특히 다른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미생물 균주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 용어는 청구범위를 비롯한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식물"에 대한 언급은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식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용어 "포함하다",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은 문맥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배제적 의미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용어 "포괄하다" 및 그의 문법적 변형은 목록에서 항목의 언급이 열거된 항목에 치환되거나 부가될 수 있는 다른 유사 항목을 배제하지 않도록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목적상, 용어 "약"은 하나 이상의 수 또는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범위 내의 모든 수를 포함하고 제시된 수치 값 초과 및 미만의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그 범위를 변형시키는 모든 이러한 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점에 의한 수치 범위의 언급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수, 예를 들어 그의 분수를 포함한 전체 정수(예를 들어, 1 내지 5의 언급은 1, 2, 3, 4 및 5 뿐만 아니라 그의 분율, 예를 들어 1.5, 2.25, 3.75, 4.1 등을 포함함) 및 그 범위 내의 임의의 범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목적상, 용어 "대사물" 및 "대사물들"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에 의해 생산되는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화합물, 예컨대 이투린, 펜기신 및 서팩틴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투린", "펜기신" 및 "서팩틴"으로 지칭되는 대사물은 각각 다소 유사한 분자 구조의 부류를 나타낸다. 이투린, 펜기신 및 서팩틴을 포함하는 양 또는 비율이 언급되는 한, 양/비율은 각각의 대사물의 총량(중량)에 대한 것으로 의도된다. 양은 적합한 상업적 표준물을 사용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민감성 식물에서 병원성 감염에 대한 보호를 부여하기 위해 식물에 적용하기 위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식물 병원체를 방제하는 것은 감소된 병원성 감염, 식물 병원체에 대한 개선된 저항성(예를 들어 후속 공격에 대한 저항성), 개선된 묘목 성장력(vigor), 개선된 뿌리 발달, 개선된 식물 성장, 개선된 식물 건강, 증가된 수율, 개선된 외관, 또는 이들 조합으로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 식물의 일부 및/또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식재될 생육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상의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식물 병원체"는 진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바이러스-유사 유기체, 난균류, 형질세포종, 원생동물, 선충류 및 기생 식물을 포함한, 식물에서 감염성 질환을 야기하는 유기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식물 병원체는 진균 및 박테리아로부터 선택된다. 한 변형에서, 식물 병원체는 진균성 식물 병원체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변형에서, 식물 병원체는 박테리아성 식물 병원체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 식물의 일부 및/또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식재될 생육지에 적용하여 녹 진균, 보트리티스 종 (예컨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보트리티스 스쿠아모살(Botrytis squamosal)), 에르위니아 종 (예컨대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딕키아(Dickeya) 종 (예컨대 딕키아 다단티이(Dickeya dadantii), 딕키아 솔라니(Dickeya solani)), 아그로박테리움 (Agrobacterium) 종 (예컨대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크산토모나스 종 (예컨대 크산토모나스 악소노포디스(Xanthomonas axonopodis),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병원체변종 카로타에(Xanthomonas campestris pv. carotae), 크산토모나스 프루니(Xanthomonas pruni), 크산토모나스 아르보리콜라(Xanthomonas arboricola),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 병원체변종 오리자에(Xanthomonas oryzae pv. oryzae)), 크실렐라(Xylella) 종 (예컨대 크실렐라 파스티디오사(Xylella fastidiosa)), 칸디다투스(Candidatus) 종 (예컨대 칸디다투스 리베리박터(Candidatus liberibacter)), 푸사리움 종 (예컨대 푸사리움 콜모룸(Fusarium colmorum),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사리움 옥시스포룸 에프. 종 쿠벤스(Fusarium oxysporum f. sp. cubense), 푸사리움 옥시스포룸 에프. 종 리코페르시시(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푸사리움 비르굴리포르메(Fusarium virguliforme)), 스클레로티니아(Sclerotinia) 종 (예컨대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스클레로티니아 미노르(Sclerotinia minor), 스클레로티니아 호메오카르파(Sclerotinia homeocarpa)), 세르코스포라(Cercospora)/세르코스포리디움(Cercosporidium) 종, 운시눌라(Uncinula) 종 (예컨대 운시눌라 네카토르(Uncinula necator)), 포도스파에라(Podosphaera) 종 (예컨대 포도스파에라 류코트리차(Podosphaera leucotricha), 포도스파에라 클란데스틴(Podosphaera clandestine)), 포몹시스(Phomopsis) 종 (예컨대 포몹시스 비티콜라(Phomopsis viticola)), 알테르나리아(Alternaria) 종 (예컨대 알테르나리아 테누이씨마(Alternaria tenuissima), 알테르나리아 포르리(Alternaria porri), 알테르나리아 알테르나테(Alternaria alternate), 알테르나리아 솔라니(Alternaria solani), 알테르나리아 테누이스(Alternaria tenuis)), 슈도모나스 종 (예컨대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병원체변종 토마토(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피토프토라(Phytophthora) 종 (예컨대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 parasitica), 피토프토라 소자에(Phytophthora sojae), 피토프토라 카프시시(Phytophthora capsici), 피토프토라 시나몬(Phytophthora cinnamon), 피토프토라 프라가리아에(Phytophthora fragariae), 피토프토라 라모룸(Phytophthora ramorum), 피토프토라 팔미바라(Phytophthora palmivara), 피토프토라 니코티아나에(Phytophthora nicotianae)), 파코프소라 (Phakopsora) 종 (예컨대 파코프소라 파키리지(Phakopsora pachyrhizi), 파코프소라 메이보미아에(Phakopsora meibomiae)),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종 (예컨대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Aspergillus flavus), 아스페르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 우로미세스(Uromyces) 종 (예컨대 우로미세스 아펜디쿨라투시(Uromyces appendiculatusi)),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 종 (예컨대 클라도스포리움 헤르바룸(Cladosporium herbarum)), 리조푸스(Rhizopus) 종 (예컨대, 리조푸스 아리주스(Rhizopus arrhizus)), 리족토니아 종, (예컨대,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리족토니아 제아에(Rhizoctonia zeae), 리족토니아 오리자에(Rhizoctonia oryzae), 리족토니아 카리타에(Rhizoctonia caritae), 리족토니아 세레알리스(Rhizoctonia cerealis), 리족토니아 크로코룸(Rhizoctonia crocorum), 리족토니아 프라가리아에 (Rhizoctonia fragariae), 리족토니아 라미콜라(Rhizoctonia ramicola), 리족토니아 루비(Rhizoctonia rubi), 리족토니아 레구미니콜라(Rhizoctonia leguminicola)), 마크로포미나(Macrophomina) 종 (예컨대, 마크로포미나 파세올리나(Macrophomina phaseolina)), 마그나포르테 (Magnaporthe) 종 (예컨대,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Magnaporthe grisea), 마그나포르테 오리자에 (Magnaporthe oryzae)), 미코스파에렐라(Mycosphaerella) 종 (예컨대, 미코스파에렐라 그라미노콜라(Mycosphaerella graminocola), 미코스파에렐라 피지엔시스(Mycosphaerella fijiensis) (블랙 시가토가(Black sigatoga)), 미코스파에렐라 포미(Mycosphaerella pomi), 미코스파에렐라 시트리(Mycosphaerella citri)), 모닐리니아(Monilinia) 종 (예컨대 모닐리니아 프루티콜라(Monilinia fruticola), 모닐리니아 바시니이코림보시(Monilinia vacciniicorymbosi), 모닐리니아 락사(Monilinia laxa)),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 종 (예컨대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des), 콜레토트리쿰 아쿠타툼(Colletotrichum acutatum), 콜레토트리쿰 칸디둠(Colletotrichum candidum)), 디아포르테 (Diaporthe) 종 (디아포르테 시트리 (Diaporthe citri)), 코리네스포라(Corynespora) 종 (예컨대 코리네스포라 카시이콜라(Corynespora cassiicola)), 김노스포란기움(Gymnosporangium) 종 (예컨대 김노스포란기움 주니페리-비르기니아나에(Gymnosporangium juniperi-virginianae)), 쉬조티리움(Schizothyrium) 종 (예컨대 쉬조티리움 포미(Schizothyrium pomi)), 글로에오데스(Gloeodes) 종 (예컨대 글로에오데스 포미게나(Gloeodes pomigena)), 보트리오스파에리아(Botryosphaeria) 종 (예컨대 보트리오스파에리아 도티데아 (Botryosphaeria dothidea)), 네오브라에아(Neofabraea) 종, 윌소노미세스(Wilsonomyces) 종 (예컨대 윌소노미세스 카르포필루스(Wilsonomyces Carpophilus)), 스파에로테카(Sphaerotheca) 종 (예컨대 스파에로테카 마쿨라리스(Sphaerotheca macularis), 스파에로테카 판노사(Sphaerotheca pannosa)), 에리시페(Erysiphe) 종, 스타고노스포라(Stagonospora) 종 (예컨대 스타고노스포라 노도룸(Stagonospora nodorum)), 피티움(Pythium) 종 (예컨대 피티움 울티뭄(Pythium ultimum), 피티움 아파니더마툼(Pythium aphanidermatum), 피티움 이레귤라룸(Pythium irregularum), 피티움 울로숨(Pythium ulosum), 피티움 루트리아리움(Pythium lutriarium), 피티움 실바티움(Pythium sylvatium)), 벤투리아(Venturia) 종 (예컨대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 베르티실리움(Verticillium) 종, 우스틸라고(Ustilago) 종 (예컨대 우스틸라고 누다(Ustilago nuda), 우스틸라고 마이디스(Ustilago maydis), 우스틸라고 시타미네아(Ustilago scitaminea)), 클라비셉스(Claviceps) 종 (예컨대 클라비셉스 푸프레아(Claviceps puprrea)), 틸레티아(Tilletia) 종 (예컨대 틸레티아 트리티시 (Tilletia tritici), 틸레티아 라에비스(Tilletia laevis), 틸레티아 호르리드(Tilletia horrid), 틸레티아 콘트로베르사(Tilletia controversa)), 포마(Phoma) 종 (예컨대 포마 글리시니콜라(Phoma glycinicola), 포마 엑시구아(Phoma exigua), 포마 린감(Phoma lingam)), 코클리오볼루스(Cocliobolus) 종 (예컨대 코클리오볼루스 사티부스(Cocliobolus sativus)), 가에우마노미세스(Gaeumanomyces) 종 (가에우마노미세스 가미니스(Gaeumanomyces gaminis)), 콜레토트리쿰(Colleototricum) 종, 리코스포리움 (Rhychosporium) 종 (예컨대 리코스포리움 세칼리스(Rhychosporium secalis)), 바이오폴라리스(Biopolaris) 종, 헬민토스포리움(Helminthosporium) 종 (예컨대 헬민토스포리움 세칼리스(Helminthosporium secalis), 헬민토스포리움 마이디스(Helminthosporium maydis), 헬민토스포리움 솔라이(Helminthosporium solai), 헬민토스포리움 트리티시-레펜티스(Helminthosporium tritici-repentis)), 및 그의 임의의 아종 변이체를 포함한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병원체를 방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보트리티스 스쿠아오마스(Botrytis squaomas),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iearum), 푸사리움 옥시스포룸, 푸사리움 비굴리포르메(Fusarium viguliforme),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 피토프토라 소자에, 피토프토라 카프시시, 피토프토라 시나몬, 피토프토라 프라가리아에, 피토프토라 라모룸, 피토프토라 팔미바라, 피토프토라 니코티아나에,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 스클레로티니아 미노르, 스클레로티니아 호메오카르파,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Aspergillus favus),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병원체변종 토마토(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에르위니아 아밀로바라(Erwinia amylovara), 리족토니아 솔라니, 크산토모나스 유베시카토리아(Xanthomonas euvesicatoria), 및 그의 임의의 하위종 변이체를 비롯한 그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병원체를 방제하는데 적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고추 회색 곰팡이(pepper Grey Mold)(보트리티스 시네레아), 고추 피토프토라 브라이트(pepper Phytophthora Blight)(피토프토라 카프시카(Phytophthora capsica)), 토마토 푸사리움 크라운 로트(Tomato Fusarium crown rot)(푸사리움 종), 애플 파이어 브라이트(Apple Fire Blight)(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토마토 박테리아 스펙크(Tomato Bacterial Speck)(슈도모나스 시린가에), 고추 박테리아 반점 질환(크산토모나스 유베시카토리아), 대두 탈피(리족토니아 솔라니)와 같은 식물 병원체에 의해 야기된 질환을 방제하기 위해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의 맥락에서 어구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것"은 방법 또는 조성물이 사용되지 않는 상응하는 조건에 비해 식물 병원체(들)의 성장의 적어도 10 % 감소,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30 % 감소, 또는 적어도 50 % 감소, 또는 적어도 70 % 감소, 또는 적어도 80 % 감소, 또는 적어도 90 % 감소, 또는 본질적으로 성장의 제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후자의 경우에, 성장의 제거는 식물 병원체(들)의 시각적 제거를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 3, 5, 6 및 7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식물 병원체의 방제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의 유형을 입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조성물은 옥수수, 단옥수수, 종자용 옥수수, 사일리지 콘, 필드 콘, 쌀, 밀, 보리, 수수, 아스파라거스, 블루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로간베리, 허클베리, 크랜베리, 구즈베리, 엘더베리, 건포도, 케인베리, 부시베리, 브로콜리, 양배추, 콜리플라워, 브루셀 콩나물, 콜라드, 케일, 겨자 잎, 콜라비, 오이, 캔털루프, 멜론, 머스크멜론, 스쿼시(Squash), 수박, 호박, 가지, 양파, 마늘, 샬롯, 오렌지, 자몽, 레몬, 귤, 탄젤로, 포멜로, 고추, 토마토, 그라운드 체리, 토마틸로, 오크라, 포도, 양상추, 셀러리, 시금치, 파슬리, 라디키오, 콩, 녹두, 스냅콩, 껍질콩, 콩류, 건두류, 가르반조콩, 리마콩, 완두, 병아리콩, 말린완두, 렌틸콩, 카놀라, 피마자, 코코넛, 목화, 아마, 기름야자, 올리브, 땅콩, 유채, 잇꽃, 참깨, 해바라기, 대두, 사과, 야생능금, 배, 퀸스(Quince), 메이호(May haw), 당근, 감자, 고구마, 카사바, 비트, 생강, 서양고추냉이, 무, 인삼, 순무, 살구, 체리, 송도복숭아, 복숭아, 자두, 말린 자두, 딸기, 아몬드, 피스타치오, 피칸, 호두, 개암, 밤, 캐슈, 너도밤나무 열매, 버터너트, 마카다미아, 키위, 바나나, (블루) 용설란, 풀, 잔디풀, 포인세티아, 밤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사탕수수, 및 사탕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넓은 범위의 식물에서 식물 병원체에 의해 야기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식물은 대두, 콩, 스냅콩, 밀, 목화, 옥수수, 고추, 토마토, 감자, 카사바, 포도, 딸기, 바나나, 땅콩, 스쿼시, 호박, 가지, 및 오이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식물은 사과, 아스파라거스, 베이베리, 베어베리, 블랙베리, 하이부쉬 및 로우부쉬 블루베리, 초크체리, 건포도, 엘더베리, 구스베리, 허클베리, 링곤베리, 로간베리, 뽕나무, 핀체리, 라즈베리, 살라베리, 사스카툰베리, 산자나무 및 야생 라즈베리, 블랙베리 또는 라즈베리, 포도, 딸기, 퍼지 키위, 브로콜리, 중국 브로콜리, 브로콜리 라브, 양송이, 양배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콜라드, 케일, 콜라비, 미주나, 겨자 잎, 겨자 시금치 및 평지 채소(rape greens), 양파, 마늘, 부추, 샬롯 및 쪽파, 셀러리, 캔털루프, 중국 호리병박, 오이, 식용 호리병박, 멜론, 머스크멜론, 호박, 스쿼시, 수박, 가지, 꽈리, 오크라, 고추류, 토마틸로 및 토마토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식물은 고추, 오이, 사과, 아스파라거스, 바나나, 감귤류, 키위, 멜론, 복숭아, 배, 파인애플, 인과류, 석류, 셀러리, 양파, 마늘, 포도, 리크(leaks), 샬롯, 쪽파, 브로콜리, 양배추, 콜리플라워, 조롱박, 토마토, 감자, 밀, 벼 또는 콩류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적어도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식물, 식물의 일부 및/또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식재될 생육지, 예를 들어 식물의 잎, 식물의 껍질, 식물의 과실, 식물의 꽃, 식물의 종자, 식물의 뿌리, 식물의 자른 가지, 식물의 접목한 가지, 식물을 둘러싸는 토양 또는 성장 배지; 식물의 종자를 토양 또는 성장 배지에 파종하기 전의 토양 또는 성장 배지; 또는 식물을 식재하기 전의 토양 또는 성장 배지, 식물 자른 가지, 또는 토양 또는 성장 배지중의 식물의 접목한 가지에 적용된다.
한 변형에서, 본 발명은 식물의 지상 부분에 ATCC 수탁번호 PTA-122162로서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상의 진균성 식물 병원체(들) 및/또는 박테리아성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어구 "식물의 지상 부분에 적용하는 것" 등은 식물의 줄기(들), 잎(들), 꽃(들) 및/또는 과실(들)을 목표로 하여 식물에 대한 조성물의 적용을 지칭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적용은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또는 식재될 생육지, 예를 들어 식물의 뿌리계 또는 식물의 뿌리계 주위의 토양, 또는 식물(또는 식물 부분)이 식재될 토양을 목표로 하며; 이는 집합적으로 "식물 주위의 토양에 적용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 식물의 일부 및/또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식재될 생육지에 적용하는 것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분무 적용에 의해, 적하에 의해, 분말을 뿌림으로써(분말 적용), 발포체의 적용(발포체 적용)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식물의 지상 부분에 적용하기 위해, 분무 적용 또는 분말 적용이 특히 흥미로운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식물 주위의 토양에 적용하기 위해, 분무 적용, 적하, 분말 적용 및 발포체 적용에 의한 적용이 흥미로울 수 있다. 한 변형에서, 식물 주위의 토양에 대한 적용은 종자 식재와 관련하여 적하 또는 발포체 적용에 의한 고랑내(in-furrow) 적용에 의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병원성 감염은 하기 중 하나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대두 녹병 진균(파코프소라 파키리지, 파코프소라 메이보미아에) 및 식물은 대두;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 및 식물은 포도, 딸기 또는 고추;
알테르나리아 종 (예를 들어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및 식물은 토마토 또는 감자;
콩 녹병(우로미세스 아펜디쿨라투스) 및 식물은 콩;
마이크로스파에라 디푸사(Microsphaera diffusa)(대두 분말병) 및 식물은 대두;
미코스파에렐라 피지엔시스(블랙 시가토가) 또는 푸사리움 옥시스포룸 에프. 종 쿠벤스(Fusarium oxysporum f. sp. cubense)(파나마(Panama)병), 및 식물은 바나나;
크산토모나스 종 또는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 병원체변종 오리자에, 및 식물은 벼;
크산토모나스 악소노포디스 및 식물은 카사바;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및 식물은 토마토;
흰가루병 및 식물은 조롱박;
서던 화이트 곰팡이(Southern White Mold) 및 식물은 땅콩 포함;
반점병(세르코스포라 세르코스포리디움) 및 식물은 땅콩;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밀 헤드 스카브(Wheat Head Scab)) 및 식물은 밀;
미코스파에렐라 그라미니콜라(Mycosphaerella graminicola)(셉토리아 트리티시(Septoria tritici)반점), 및 식물은 밀;
스타고노스포라 노도룸(글룸 반점병 및 셉토리아 노도룸(Septoria nodorum) 반점병), 및 식물은 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및 식물은 사과, 배 및 기타 인과류로부터 선택됨;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 및 식물은 사과, 배 및 기타 인과류로부터 선택됨;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백색 곰팡이), 및 식물은 스냅콩 또는 감자;
스클레로티니아 호메오카르파(달러 반점)(dollar spot)) 및 식물은 잔디풀을 포함;
또는
리족토니아 솔라니 및 식물은 밀, 벼, 잔디, 대두, 옥수수, 콩과식물 및 채소 작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언급된 실시양태의 한 변형에서, 식물 병원체(들)는 식물의 지상 부분에 대한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방제된다.
본원의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유효량으로 적용된다. 용어 "유효량"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원체를 방제하는 데 충분한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비율이 4.0x109 CFU/ha 내지 4.0x1017 CFU/ha, 예컨대 4.0x1010 CFU/ha 내지 4.0x1016 CFU/ha의 범위이도록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영양 세포보다는 그의 포자 형태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액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1.0x106 CFU/mL 내지 1.0x1012 CFU/mL, 예컨대 1.0x107 CFU/mL 내지 1.0x1011 CFU/mL의 농도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적용된 조성물이 액체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현탁액, 현탁액 농축물(SC), 오일 분산액(OD) 및 발포체로부터 선택된 액체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고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1.0x106 CFU/g 내지 1.0x1012 CFU/g, 예컨대 1.0x107 CFU/g 내지 1.0x1011 CFU/g의 농도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적용된 조성물이 고체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살분성 분말(DP), 수분산성 과립(WG)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용된 조성물은 1.3 : 1.0 내지 3.0 : 1.0, 예컨대 1.5 : 1.0 내지 2.8 : 1.0 범위의 상대 중량비율로 이투린 및 펜기신을 포함하고, 이러한 범위 내의 모든 측정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질, 실시양태 및 변형은 하기에 제목 "본 발명의 농업상 조성물" 하에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농업상 조성물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성물 및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그의 실시양태는 상기 설명된 방법에서 특히 유용하지만, 이러한 적용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표제 하에 설명된 조성물은 즉시 사용가능한 조성물인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즉시 사용가능한 농업상 조성물에 도달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송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는 저장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등 사용하기 전에 희석에 적합한 농축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농축 제제는 하기에 제목 "농업상 조성물을 위한 농축물" 하에 추가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a)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및 b)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를 포함하는 농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농업적으로 적합한"은 그 자체로(즉 추가의 활성 성분의 임의의 의도적인 포함 없이) 제제 배지가 농업 조성물이 적용되도록 의도되는 식물 또는 식물들에 대해 유의한 해로운 효과를 갖지 않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는 관심 식물 부분에 적용될 유효량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 농업상 용도에 적합한 임의의 이러한 제제 배지를 포함한다.
제제 배지는 액체 또는 고체 담체, 뿐만 아니라 계면 활성제, 보존제, 함습제, 건조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분산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자외선 광 보호제, 드리프트-제어제, 분무 침착 보조제, 자유-유동제, 완충제, 및 증점제, 및 그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담체의 예는 물, 동물성 오일 및 유도체, 미네랄 오일 및 유도체, 식물성 오일 및 유도체, 알콜, 폴리올, 트리글리세리드, 천연 및 합성 중합체 및 그의 비이온성 유도체 등이 있다. 고체 담체의 예는 미네랄, 점토, 실리카, 무기 및 유기 염, 당, 전분, 왁스, 분쇄된 동물 껍질, 섬유, 겉껍질 및 분말을 포함한 식물 물질 등이 있다.
실시양태에서, 제제 배지는 적합한 담체 및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그의 변형에서, 제제 배지는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농업상 조성물은 이투린 및 펜기신을 범위 내의 모든 측정치를 포함하여 1.3 : 1.0 내지 3.0 : 1.0, 예컨대 1.5 : 1.0 내지 2.8 : 1.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현탁액, 현탁액 농축물(SC), 오일 분산액(OD), 발포체, 살분성 분말(DP), 수분산성 과립(WG)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영양 세포의 형태보다는 포자의 형태로 적합한 제제 중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제는 FCC1256의 포자를 포함하는 발효 브로쓰 또는 FCC1256의 포자를 포함하는 가공된 발효 생성물, 예컨대 발효 브로쓰의 농축물 또는 분무-건조된 발효 브로쓰의 분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농업상 조성물은 액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1.0x106 CFU/mL 내지 1.0x1012 CFU/mL, 예컨대 1.0x107 CFU/mL 내지 1.0x1011 CFU/mL의 농도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농업상 조성물이 액체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현탁액, 현탁액 농축물(SC), 오일 분산액(OD) 및 발포체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농업상 조성물은 고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1.0x106 CFU/g 내지 1.0x1012 CFU/g, 예컨대 1.0x107 CFU/g 내지 1.0x1011 CFU/g의 농도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농업상 조성물이 고체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살분성 분말(DP), 수분산성 과립(WG)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FCC1256을 미생물,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살곤충제, 살진균제, 살선충제, 살박테리아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와 조합하여 전달하는 방법에서, 조성물은 액체, 오일 분산액, 먼지, 건조 습윤성 분말, 살포성 과립 또는 건조 습윤성 과립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농업상 조성물은, 제제 배지 이외에도, 미생물 또는 화학적 살곤충제, 살진균제, 살선충제, 살박테리아제, 식물 성장 조절제, 또는 식물 성장 촉진제 중 1종 또는 그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는 하기와 같다:
살곤충제: A0) 아그리가타, 알-포스파이드, 암블리세이우스, 아펠리누스, 아피디우스, 아피돌레테스, 아르티미시닌, 오토그라파 칼리포르니카 NPV, 아조시클로틴,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종 아이자와이(Aizawai),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종 쿠르스타키(kurstaki),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베타-시플루트린, 비술탑, 브로플루트리네이트, 브로모포스-e,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캡사이신, 카르탑, 셀라스트루스-추출물, 클로르벤주론,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플루아주론, 크니디아딘, 크리올라이트, 시아노포스, 시할로트린, 시헥사틴, 시페르메트린, 닥누사, DCIP, 디클로로프로펜, 디코폴, 디글리푸스, 디글리푸스+닥누사, 디메타카르브, 에마멕틴, 엔카르시아, EPN, 에레트모세루스, 에틸렌-디브로마이드, 유칼립톨, 페나자퀸, 페노부카르브(BPMC), 펜피록시메이트,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 플루펜진, 포르메타네이트, 포르모티온, 푸라티오카르브, 감마-시할로트린, 마늘 쥬스, 과립증-바이러스, 하르모니아, 헬리오티스 아르미게라 NPV, 인돌-3-일부티르산, 아이오도메탄, 철, 이소카르보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펜포스-m, 이소프로카르브, 이소티오에이트, 린단, 리우양마이신, 마트린, 메포스폴란, 메트알데히드, 메타리지움-아니소플리아에, 메타미도포스, 메톨카르브(MTMC), 미렉스, m-이소티오시아네이트, 모노술탑, 미로테시움 베루카리아(myrothecium verrucaria), 날레드, 네오크리소카리스 포르모사(neochrysocharis formosa), 니코틴, 니코티노이드, 오메토에이트, 오리우스, 옥시마트린, 파에실로미세스, 파라티온-e, 파스테우리아, 페로몬, 인산, 포토랍두스, 폭심, 피토세이울루스, 피리미포스-e,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Plutella xylostella) GV, 폴리헤드로시스(polyhedrosis)-바이러스, 폴리페놀-추출물, 칼륨-올레에이트, 프로페노포스, 프로술러,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레트린, 피리다펜티온, 피리미디펜, 피리프록시펜, 퀼라이-추출물, 퀴노메티오네이트, 로테논, 사포닌, 사포노지트, 나트륨-플루오실리케이트, 술플루라미드, 황, 테부피림포스, 테플루트린, 테메포스, 테트라디폰, 티오파녹스, 티오메톤, 트랜스제닉스(예를 들어, Cry3Bb1), 트리아자메이트, 트리코더마, 트리코그람마, 트리플루무론, 베르티실리움, 베르트린, 카파-비펜트린, 카파-테플루트린, 디코로메조티아즈, 브로플라닐리드, 피라지플루미드를 비롯한 다양한 살곤충제; A1) 알디카르브, 알라니카르브, 벤푸라카르브, 카르바릴,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메티오카르브, 메토밀, 옥사밀, 피리미카르브, 프로폭수르 및 티오디카르브를 포함한 카르바메이트 부류; A2) 아세페이트,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술포톤, 에티온,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타미다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옥시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피리미포스-메틸, 퀴날포스, 테르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트리아조포스 및 트리클로르폰을 포함하는 유기포스페이트의 부류; A3) 시클로디엔 유기염소 화합물 부류 예컨대 엔도술판; A4) 에티프롤, 피프로닐, 피라플루프롤 및 피리프롤을 포함한 피프롤 부류; A5)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및 티아메톡삼을 포함한 네오니코티노이드 부류; A6) 스피노신의 부류 예컨대 스피노사드 및 스피네토람; A7)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이베르멕틴, 레피멕틴 및 밀베멕틴을 포함한 멕틴 부류로부터의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화제; A8) 유충 호르몬 모방체, 예컨대 히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르브 및 피리프록시펜; A9) 선택적 호모프테란 섭식 차단제, 예컨대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및 피리플루퀴나존; A10) 진드기 성장 억제제 예컨대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및 에톡사졸; A11) 미토콘드리아 ATP 신타아제의 억제제 예컨대 디아펜티우론, 펜부타틴 옥시드 및 프로파르기트; 산화적 인산화의 탈커플링제 예컨대 클로르페나피르; A12)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채널 차단제 예컨대 벤술탑, 카르탑 히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및 티오술탑 나트륨; A13) 비스트리플루론, 디플루벤주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및 테플루벤주론 포함, 벤조일우레아 부류로부터의 키틴 생합성 0형 억제제; A14) 키틴 생합성 유형 1의 억제제 예컨대 부프로페진; A15) 탈피 교란제 예컨대 시로마진; A16) 엑디손 수용체 효능제 예컨대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및 크로마페노지드; A17) 옥토파민 수용체 효능제 예컨대 아미트라즈; A18)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전자 수송 억제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플루페네림, 시에노피라펜, 시플루메토펜, 히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또는 플루아크리피림; A19) 전압-의존성 나트륨 채널 차단제, 예컨대 인독사카르브 및 메타플루미존; A20) 지질 합성의 억제제 예컨대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및 스피로테트라마트; A21) 플루벤디아미드, 프탈아미드 화합물 (R)-3-클로르-N1-{2-메틸-4-[1,2,2,2-테트라플루오르-1-(트리플루오르메틸)에틸]페닐}-N2-(1-메틸-2-메틸술포닐에틸)프탈아미드 및 (S)-3-클로르-N1-{2-메틸-4-[1,2,2,2-테트라플루오르-1-(트리플루오르메틸)에틸]페닐}-N2-(1-메틸-2-메틸술포닐에틸)프탈아미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및 시안트라닐리프롤을 포함한 디아미드의 부류로부터의 리아노딘 수용체-조정자; A22) 미지의 또는 불특정 작용 방식의 화합물, 예컨대 아자디라크틴, 아미도플루메트, 비페나제이트, 플루엔술폰, 피페로닐 부톡시드, 피리달릴, 술폭사플로르; 또는 A23)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비펜트린, 시플루트린, 람다-시할로트린, 시페르메트린, 알파-시페르메트린, 베타-시페르메트린, 제타-시페르메트린, 델타메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페르메트린, 실라플루오펜 및 트랄로메트린을 포함한, 피레트로이드 부류로부터의 나트륨 채널 조정자.
살진균제/살박테리아제: B0) 벤조빈디플루피르, 아니티페로노스포릭, 아메톡트라딘, 아미술브롬, 구리 염(예를 들어, 수산화구리,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과황산구리), 보스칼리드, 티플루마지드, 플루티아닐, 푸랄락실, 티아벤다졸, 베노다닐, 메프로닐, 이소페타미드, 펜푸람, 빅사펜, 플룩사피록사드, 펜플루펜, 세닥산, 쿠목시스트로빈, 에녹사스트로빈, 플루페녹시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트리클로피리카르브, 페나민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피리벤카르브, 멥틸디노캅, 펜틴 아세테이트, 펜틴 클로라이드, 펜틴 히드록시드, 옥시테트라시클린, 클로졸리네이트, 클로로네브, 테크나젠, 에트리디아졸, 아이오도카르브, 프로티오카르브,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Melaleuca alternifolia)로부터의 추출물, 루피누스 알부스 doce(Lupinus albus doce)로부터의 추출물, BLAD 폴리펩티드, 피리속사졸, 옥스포코나졸, 에타코나졸, 펜피라자민, 나프티핀, 테르비나핀, 발리다마이신, 피리모르프, 발리페날레이트, 프탈리드, 프로베나졸, 이소티아닐, 라미나린, 레이노우트리아 사칼리넨시스(Reynoutria sachalinensis)로부터의 추출물, 아인산 및 염, 테클로프탈람, 트리아족시드, 피리오페논, 유기 오일, 중탄산칼륨, 클로로탈로닐, 플루오로이미드; B1) 비테르타놀, 브로무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닐코나졸, 에폭시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펜부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클로부타닐, 펜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시메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티코나졸, 프로클로라즈, 페푸라조에이트, 이마잘릴, 트리플루미졸, 시아조파미드, 베노밀, 카르벤다짐, 티아벤다졸, 푸베리다졸, 에타복삼, 에트리디아졸 및 히멕사졸, 아자코나졸, 디니코나졸-M,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유니코나졸, 1-(4-클로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탄올 및 이마잘릴술페이트를 포함한 아졸; B2) 아족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메틸 (2-클로로-5-[1-(3-메틸벤질옥시이미노)에틸]벤질)카르바메이트, 메틸 (2-클로로-5-[1-(6-메틸피리딘-2-일메톡시이미노)에틸]벤질)카르바메이트 및 메틸 2-(오르토-(2,5-디메틸페닐옥시메틸렌)-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아세트아미드 및 3-메톡시-2-(2-(N-(4-메톡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이미도일술파닐메틸)-페닐)-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한 스트로빌루린; B3) 카르복신, 베날락실, 베날락실-M, 펜헥사미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메탈락실, 메페녹삼, 오푸라세, 옥사딕실, 옥시카르복신, 펜티오피라드, 이소피라잠, 티플루자미드, 티아디닐, 3,4-디클로로-N-(2-시아노페닐)이소티아졸-5-카르복스아미드,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플루메토베르, 플루오피콜리드(피코벤즈아미드), 족사미드, 카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메트, 만디프로파미드,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이닐옥시]-3-메톡시페닐)에틸)-2-메탄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아미드,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이닐옥시]-3-메톡시-페닐)에틸)-2-에탄술포닐아미노-3-메틸부티르아미드, 메틸 3-(4-클로로페닐)-3-(2-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N-(4'-브로모바이페닐-2-일)-4-디플루오로메틸-메틸티아졸-δ카르복스아미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바이페닐-2-일)-4-디플루오로메틸-2-메틸티아졸-5-카르복스아미드, N-(4'-클로로-3'-플루오로비페닐-2-일)-4-디플루오로메틸-2-메틸-티아졸-5-카르복스아미드, N-(3\4'-디클로로-4-플루오로바이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4'-디클로로-5-플루오로바이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2-시아노-페닐)-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르복스아미드, 2-아미노-4-메틸-티아졸-5-카르복스아닐리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인단-4-일)-니코틴아미드, N-(2-(1,3-디메틸부틸)-페닐)-1,3-디메틸-5-플루오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 '-클로로-3',5-디플루오로-바이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4'-클로로-3',5-디플루오로-바이페닐-2-일)-3-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4'-디클로로-5-플루오로-바이페닐-2-일)-3-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5-디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3',5-디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3-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시스-2-바이시클로프로필-2-일-페닐)-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트랜스-2-바이시클로프로필-2-일-페닐)-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플루오피람,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히드록시-벤즈아미드, 옥시테트라시클린, 실티오팜, N-(6-메톡시-피리딘-3-일) 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아미드, 2-아이오도-N-페닐-벤즈아미드, N-(2-비시클로-프로필-2-일-페닐)-3-디플루오르메틸-1-메틸피라졸-4-일카르복스아미드를 포함한 카르복스아미드; B4) 플루아지남, 피리페녹스, 부피리메이트, 시프로디닐, 페나리몰, 페림존, 메파니피림, 누아리몰, 피리메타닐, 트리포린,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펜프로피딘,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옥틸리논, 프로베나졸,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아닐라진, 디클로메진, 피로퀼론, 프로퀴나지드, 트리시클라졸, 2-부톡시-6-아이오도-3-프로필크로멘-4-온, 아시벤졸라르-S-메틸, 캅타폴, 캅탄, 다조메트, 폴페트, 페녹사닐, 퀴녹시펜, N,N-디메틸-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인돌-1-술포닐)-[1,2,4]트리아졸-1-술폰아미드, 5-에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2,7-디아민, 2,3,5,6-테트라클로로-4-메탄술포닐-피리딘,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르보니트릴,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니코틴아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니코틴아미드, 디플루메토림, 니트라피린, 도데모르프아세테이트, 플루오로이미드, 블라스티시딘-S, 키노메티오나트, 데바카르브, 디펜조쿼트, 디펜조쿼트-메틸술파트, 옥솔린산 및 피페랄린을 포함한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B5) 만코제브, 마네브, 메탐, 메타술포카르브, 메티람, 페르밤, 프로피네브, 티람, 지네브, 지람, 디에토펜카르브, 이프로발리카르브, 벤티아발리카르브,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파모카르브 히드로클로라이드, 4-플루오로페닐 N-(1-(1-(4-시아노페닐)-에탄술포닐)부트-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3-(4-클로로-페닐)-3-(2-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티릴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한 카르바메이트; 또는 B6) 구아니딘, 도딘, 도딘 유리 염기, 이미녹타딘, 구아자틴, 카수가마이신, 옥시테트라시클린 및 그의 염, 스트렙토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A, 비나파크릴, 디노캅, 디노부톤, 디티아논, 이소프로티올란, 펜틴 염, 에디펜포스, 이프로벤포스, 포세틸, 포세틸-알루미늄, 아인산 및 그의 염, 피라조포스, 톨클로포스-메틸, 디클로플루아니드, 플루술파미드, 헥사클로로-벤젠, 프탈리드, 펜시쿠론, 퀸토젠,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메틸, 톨릴플루아니드,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메트라페논 및 스피록사민, 구아자틴-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디클로로펜, 펜타클로로페놀 및 그의 염, N-(4-클로로-2-니트로-페닐)-N-에틸-4-메틸-벤젠술폰아미드, 디클로란, 니트로탈-이소프로필, 테크나젠, 바이페닐, 브로노폴, 디페닐아민, 밀디오마이신, 옥신구리, 프로헥사디온 칼슘, N-(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 아세트아미드, 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2-메틸-5-트리플루오르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N'-(5-디플루오르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및 플루인다피르를 포함한, 기타 살진균제.
살선충제: C1) 베노밀, 클로에토카르브, 알독시카르브, 티르페이트, 디아미다포스, 페나미포스, 카두사포스, 디클로펜티온, 에토프로포스, 펜술포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헤테로포스, 이사미도포프, 이사조포스, 포스포카르브, 티오나진, 이미시아포스, 메카르폰, 아세토프롤, 벤클로티아즈, 클로로피크린, 다조메트, 플루엔술폰, 1,3-디클로로프로펜(텔론(telone)), 디메틸 디술피드, 메탐 나트륨, 메탐 칼륨, 메탐 염(모든 MITC 발생기), 메틸 브로마이드, 생물학적 토양 개량제(예를 들어, 겨자 종자, 겨자 종자 추출물), 토양의 스팀 훈증,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ITC), 디메틸 술페이트, 푸르푸알(알데히드).
식물 성장 조절제: D1) 항옥신, 예컨대 클로피브르산, 2,3,5-트리-아이오도벤조산; D2) 옥신(Auxins), 예컨대 4-CPA, 2,4-D, 2,4-DB, 2,4-DEP, 디클로르프로프(dichlorprop), 페노프로프(fenoprop), IAA, IBA, 나프탈렌아세트아미드,α-나프탈렌아세트산, 1-나프톨, 나프톡시아세트산, 나프텐산칼륨, 나프텐산나트륨, 2,4,5-T; D3) 시토키닌, 예컨대 2iP, 벤질아데닌, 4-히드록시페네틸 알콜, 키네틴, 제아틴; D4) 고엽제, 예컨대 칼슘 시안아미드, 디메티핀, 엔도탈, 에테폰, 메르포스, 메톡수론, 펜타클로로페놀, 티디아주론, 트리부포스; D5) 에틸렌 억제제, 예컨대 아비글리신, 1-메틸시클로프로펜; D6) 에틸렌 방출제, 예컨대 ACC, 에타셀라실, 에테폰, 글리옥심; D7) 살생식자류, 예컨대 펜리다존, 말레산 히드라지드; D8) 지베렐린, 예컨대 지베렐린, 지베렐산; D9) 성장 억제제, 예컨대 아브시스산, 안시미돌, 부트랄린, 카르바릴, 클로르포늄, 클로르프로팜, 디케굴락, 플루메트랄린, 플루오리다미드, 포사민, 글리포신, 이소피리몰, 자스몬산, 말레산 히드라지드, 메피쿼트, 피프록타닐, 프로히드로자스몬, 프로팜, 티아오지안, 2,3,5-트리-아이오도벤조산; D10) 모르팍틴, 예컨대 클로르플루렌, 클로르플루레놀, 디클로르플루레놀, 플루레놀; D11) 성장 지연제, 예컨대 클로르메쿠아트, 다미노지드, 플루르프리미돌, 메플루이디드, 파클로부트라졸, 테트시클라시스, 유니코나졸; D12) 성장 자극제, 예컨대 브라시놀리드, 브라시놀리드-에틸, DCPTA, 포르클로르페누론, 히멕사졸, 프로술러, 트리아콘탄올; D13) 미분류 식물 성장 조절제, 예컨대 바크메데쉬, 벤조플루오르, 부미나포스, 카르본, 염화콜린, 시오부티드, 클로펜세트, 시안아미드, 시클라닐리드, 시클로헥시미드, 시프로술파미드, 에포콜레온, 에틸클로제이트, 에틸렌, 푸펜티오우레아, 푸랄란, 헵토파르길, 홀로술프, 이나벤피드, 카레타잔, 납 아르세네이트, 메타술포카르브, 프로헥사디온, 피다논, 신토펜, 트리아펜테놀, 트리넥사팍).
식물 성장 촉진제: E1).
농업상 조성물을 위한 농축물
본 발명은 또한 a)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b) 예를 들면 적합한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로 완충제를 포함하는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를 포함하는, 농업상 조성물을 위한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농업상 제제는 농축물을 농업상 조성물에 대해 상기 추가로 명시된 바와 같은 적합한 액체 담체, 특히 수성 담체로 적절하게 희석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용어 "수성 담체"는 주로 물을 기초로 하고 5 중량 % 이하의 물이 없는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는 액체 담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희석은 물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희석은 1 : 10 내지 1 : 5000, 예컨대 1 : 20 내지 1 : 1000의 농축물-대-담체 중량비이다.
실시양태에서, 농축물은 현탁액 농축물(SC 또는 SD), 초저부피 현탁액(SU), 종자 처리 현탁액(FS), 오일 분산액(OD), 페이스트(PA), 겔(GD), 수분산성 과립(WG), 살포성 분말(DP), 수분산성 정제(WT), 슬러리 처리를 위한 수분산성 분말(WS)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제제이다.
전형적으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영양 세포의 형태보다는 포자의 형태로 적합한 제제 중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제는 FCC1256의 포자를 포함하는 발효 브로쓰 또는 FCC1256의 포자를 포함하는 가공된 발효 생성물, 예컨대 발효 브로쓰의 농축물 또는 분무-건조된 발효 브로쓰의 분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농축물은 액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농축물 중에 1.0x108 CFU/mL 내지 1.0x1014 CFU/mL, 예컨대 1.0x109 CFU/mL 내지 1.0x1013 CFU/mL의 농도로 존재한다.
농축물이 액체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농축물은 현탁액 농축물(SC 또는 SD), 초저부피 현탁액(SU), 종자 처리 현탁액(FS), 오일 분산액(OD), 페이스트(PA), 겔(GD), 특히 현탁액 농축물(SC) 및 오일 분산액(OD)으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농축물은 고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은 농축물 중에 1.0x108 CFU/g 내지 1.0x1014 CFU/g, 예컨대 1.0x109 CFU/g 내지 1.0x1013 CFU/g의 농도로 존재한다.
농축물이 고체 형태인 실시양태에서, 농축물은 수분산성 과립(WG), 살분성 분말(DP), 수분산성 정제(WT), 슬러리 처리를 위한 수분산성 분말(WS) 및 습윤성 분말(WP), 특히 습윤성 분말(WP) 및 수분산성 과립(WG)으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농축물은 이투린 및 펜기신을 범위 내의 모든 측정치를 포함하여 1.3 : 1.0 내지 3.0 : 1.0, 예컨대 1.5 : 1.0 내지 2.8 : 1.0 범위의 상대적 중량비로 포함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원에 개시된 대상의 대표적인 실시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본 발명 및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적 수준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본원에 개시된 대상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많은 변화, 변형 및 변경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방법
이투린, 펜기신 및 서팩틴의 확인
3개 모든 리포펩티드 패밀리의 동시 검출을 허용하는 스크리닝 구배를 갖는 C18 칼럼을 사용하여 역상 LC-DAD에 의해 샘플을 분석하였다. 이동상은 0.1 % 포름산과 미리혼합된 물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졌다. 화합물을 인증된 표준물과 비교한 그의 체류 시간 및 UV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확인하였다.
콜로니-형성 단위(CFU)의 결정
샘플의 CFU(액체 샘플의 경우 CFU/mL 및 고체 샘플의 경우 CFU/g으로 표현됨)는 BS EN 15784: 2009 ("Animal feeding stuffs.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presumptive Bacillus spp.")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서열 분석을 통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로서의 박테리아 분리물의 확인
본원에서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으로 지정된 식물 연관 박테리아 균주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오트리빌(Autryville)의 딸기 식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균주는 미국 버지니아주 마나사스(Manassas) 소재의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ATCC)에서 특허 절차상 미생물 기탁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항 하에 2015년 5월 12일에 기탁되었고, 수탁번호 PTA-122162를 보유하였다.
먼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전체 게놈 서열 데이터를 채굴하여 계통발생학적 배정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표현형 마커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선택되는 유전자는 둘 다 단일 카피이고, 게놈 내에 단지 1개의 카피의 유전자가 존재하며, 세포에 대한 코어 하우스키핑 기능을 갖는다. RAST 주석 파일로부터 선택된 6 개의 유전자는 DNA-의존적 RNA 폴리머라제 베타 서브유닛(rpoB), DNA 복구 재조합효소 A(recA 2), DNA 미스매치 복구 단백질 S(mutS), 글리세롤 흡수 촉진제 단백질(glpF), DNA 자이레이스 서브유닛 B(gyrB) 및 DNA 샤페론 K(dnaK)였다. 각각의 선택된 유전자에 대해, 바실루스(Bacillus) 속(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클러스터 및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클러스터)에 대한 게놈의 대표적인 균주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FCC1256은 고도로 보존된 16S rRNA 및 rpoB 유전자의 서열 분석을 통해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의 새로운 균주로서 확인되었다.
또한, 각각의 유전자에 대해 외집단 서열이 포함된다. 이들 외집단 서열은 계통발생학적 분기 박테리아의 게놈으로부터 채굴되어 계통발생학적 계산의 강건성의 지표를 제공한다.
각각의 참조 게놈을 먼저 NCBI로부터 다운로드하고, RAST 주석 파이프라인에 주석을 달았다. 생성된 주석 표 각각을 후속적으로 검색하여 선택된 하우스키핑 유전자 각각을 확인하고, 이어서 각각의 유전자에 대한 서열을 복사하고 MEGA 5.2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뉴클레오티드 정렬에 붙였다. 일단 각각의 유전자 서열이 정렬 내로 로딩되면, 모든 특이적 유전자 서열을 ClustalW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정렬하였다. 각각의 유전자 군을 정렬시킨 후, 이어서 각각의 서열이 동일한 수의 뉴클레오티드를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서열을 트리밍하였다. 이어서, 트리밍 단계 후에, 정렬된 서열을 사용하여 계통수를 생성하였다.
각각의 계통수를 1000 회 반복하여 계통발생학적 군의 강건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트리에 대해, FCC1256은 DSM7, RTI301 및 RTI472와 같은 다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와 정렬하고 트리를 형성한다. 이들 결과는 FCC1256이 실제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라는 것을 높은 신뢰도로 나타낸다.
다수의 병원체에 대한 FCC1256의 길항 효과가 또한 결정되었다. 하기 표 1은 결과의 요약을 제공한다.
표 1. 주요 식물 병원체에 대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길항 특성
Figure pct00001
또한, 다양한 조건 하에 시험관 내(in vitro) 및 다양한 식물에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길항 활성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실시예 3, 5, 6 및 7에 제공된다.
실험은 특히 활성 성분으로서 바실루스 벨레젠시스 QST713을 함유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세레나데®(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인크.)에 비해 식물 병원성 감염에 대한 보호 또는 그를 방제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능력을 보여준다.
실시예 2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발효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먼저 글리세롤 스톡으로부터 고체 869 배지 상으로 스트리킹하고, 이는 (1 L 안에) 10 g 트립톤, 5 g 효모 추출물, 1 g D-글루코스, 0.3 g CaCl2, 및 15 g 분말화 한천을 함유하였다. 30 ℃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단일 콜로니를 골라내어 (1 L 중) 10 g 펩톤, 6 g 효모 추출물, 2 g KCl 및 0.1 g MgSO4· 7H2O를 함유하는 50 mL의 배지를 갖는 250-mL 진탕 플라스크에 접종하였다. 오토클레이빙 후에, 하기 용액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5 mL의 20 % 글루코스, 1 mL의 1M CaCl2, 1 mL의 0.1 M MnCl2, 및 10 μL의 0.1 M FeSO4. 진탕 플라스크를 OD600이 1.0에 도달할 때까지 30 ℃ 및 200 rpm에서 진탕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펠릿을 발효기의 접종을 위해 수집하였다(작업 부피 1.5 L, 바이오플로(Bioflo) 320, 에펜도르프(Eppendorf)). 발효는 30 ℃에서 이루어졌고, 교반 속도는 800 rpm이었고, 공기 공급 속도는 2 L/min이었다. 발효 동안 샘플을 취하여 세포 성장, 세포 포자형성 및 대사산물 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168시간 발효 후, 대부분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세포가 포자형성되었고, 전체 배양 혼합물을 수확하였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참조 균주 QST713(세레나데® 시판 제품으로부터 수득된 바실루스 벨레젠시스 균주)을 상기 언급된 배양 배지에서 발효시켰다. OD600 측정을 사용하여, 발효 동안의 바이오매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균주 및 QST713에 대한 대사물 프로파일의 비교는 FCC1256이 동일한 조건 하에 QST713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비율로 이투린을 생산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사물 농축물의 추가 평가는 FCC1256이 약 3.3 : 1.4 : 1의(이투린 : 펜기신 : 서팩틴 중량비를 가졌고, 이는 잠재적으로 식물 병원체에 대한 균주의 길항 활성에 기여함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항미생물 특성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QST713을 플레이팅하고, TSA 플레이트에서 30 ℃에서 밤새(16-18 시간) 성장시켰다. 이어서, 단일 콜로니를 배지(성장 배지 H2O, 914.3 mL; NH4NO3, 8 g; Na2HPO4, 7.15 g; KH2PO4, 6.8 g; 효모 추출물 0.5 g; 4 mL 4 M KOH로 7.5로 조정함; 성장 배지 45 mL를 250-mL 배플 플라스크로 옮기고, 121 ℃ 에서 15 분 동안 오토클레이빙하였다. 오토클레이빙 후, 하기 용액을 각각의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0.1 M CaCl2 5 μL, 0.1M MnCl2 5 μL, 0.1 M FeSO4 35 μL, 0.1 M ZnCl2 5 μL, 1M MgSO4 100 μL, 글루코스 50 % 졸(최종 농도 40 g/L) 4 mL)를 첨가했고 연속 교반(220 rpm) 하에 30 ℃에서 16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균주를 GL 45 스레드(듀란®(Duran®), 독일) 및 50 mL 최종 작업 부피를 갖는 250-mL 배플 플라스크에서 성장시켰다.
총 14개의 잎 식물 병원체(12개의 진균 및 2개의 박테리아)가 본 연구 동안 사용되었다. 사용된 병원체, 성장 조건 및 배지의 사양을 표 2에 제시한다. 이 실험에 사용된 모든 잎 병원체는 트립티카제 대두 한천(TSA) 고체 배지에서 시험된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및 크산토모나스 악소노포디스를 제외하고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PDA) 고체 배지에서 시험하였다. 처리 전 각각의 병원체의 인큐베이션 시간은 3 내지 5 일로 다양하였다. 론 플레이트가 시험에 사용되는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및 크산토모나스 악소노포디스의 경우에는, 론 제조 전 5 일 동안 감자 덱스트로스 브로쓰(Potato Dextrose Broth)에서 셉토리아 트리티시를 배양하면서 869 배지 상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활성을 20 μL의 세포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적용은 여과되지 않은 발효된 물질을 사용하여 모든 병원체에 대해 삼중으로 수행하였다. 진균성 병원체에 대한 등급화 타이밍은 종에 따라 달라진다. 타이밍은 콜로니 가장자리가 대조군 스폿 플레이트 상에서 약 25 mm의 반경에 도달할 때에 상응하여야 한다. 평가를 위해, 반-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하기 4-규모 시스템(0-3)을 참조하며, 여기서 0: 항미생물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 약간의 효과가 야기되었지만 명백한 클리어링 구역이 없음; 2: 클리어링 구역이 명백함; 3: 큰 클리어링 구역이 존재함.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잎 병원체에 대한 FCC1256의 항미생물 특성
Figure pct00002
실시예 4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표현형 형질
길항 특성에 더하여, 다양한 표현형 형질을 또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에 대해 측정하고, 데이터를 하기 표 3에 제시한다. 검정을 하기 표 3에 본문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표 3. 표현형 검정: 식물호르몬 생산, 아세토인 및 인돌 아세트산(IAA),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영양 사이클링.
Figure pct00003
아세토인 시험. 배지 중 20 μL의 출발 배양물을 1 mL 메틸 레드 보그스 프로스카우어(Methyl Red Voges Proskauer) 배지(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39484)로 옮겼다. 배양물을 2 일 동안 30 ℃, 200 rpm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0.5 mL 배양물을 0.3 mL 5 % 알파-나프톨(시그마 알드리치 N1000)에 이어서 0.1 mL 40 % KOH와 혼합하였다. 인큐베이션 30 분 후에 샘플을 해석하였다. 적색의 발생은 아세토인 생성을 나타내었다. 비-접종된 배지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문헌 [Sokol et al., 1979,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9: 538-540]
키티나제 활성. 10 % 습윤 중량 콜로이드성 키틴을 변형된 PVK 한천 배지(리터 당 10 g 글루코스, 0.2 g 염화칼륨, 0.5 g 황산암모늄, 0.2 g 염화나트륨, 0.1 g 황산마그네슘 칠수화물, 0.5 g 효모 추출물, 2 mg 황산망가니즈, 2 mg 황산철 및 15 g 한천, pH 7, 오토클레이빙)에 첨가하였다. 박테리아를 이들 키틴 플레이트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클리어링 구역은 키티나제 활성을 나타낸다. 문헌 [N. K. S. Murthy& Bleakley, 2012. "Simplified Method of Preparing Colloidal Chitin Used for Screening of Chitinase Producing Microorganisms". The Internet Journal of Microbiology 10 (2)]
인돌-3-아세트산. 배지 중 20 μL의 출발 배양물을 0.5 g/L 트립토판(시그마 알드리치 T0254)으로 보충된 1 mL 1/10 869 배지로 옮겼다. 배양물을 4-5 일 동안 암실에서 30 ℃, 200 rpm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샘플을 원심분리하고, 0.1 mL 상등액을 0.2 mL 살코우스키(Salkowski) 시약(35 % 과염소산, 10 mM FeCl3)과 혼합하였다. 암실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분홍색을 띠는 샘플을 IAA 합성에 대해 양성으로 기록하였다. IAA(시그마 알드리치 I5148)의 희석액을 양성 비교로서 사용하였고; 비-접종된 배지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문헌 [Taghavi, et al., 2009,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5: 748-757]
프로테아제 활성. 박테리아를 10 % 우유로 보충된 869 배지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클리어링 구역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나타내였으며, 이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시사한다. 문헌 [Sokol et al., 1979,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9: 538-540]
포스페이트 가용화 시험. 박테리아를 리터 당 글루코스 10 g, 삼인산칼슘 5 g, 염화칼륨 0.2 g, 황산암모늄 0.5 g, 염화나트륨 0.2 g, 황산마그네슘 칠수화물 0.1 g, 효모 추출물 0.5 g, 황산망가니즈 2 mg, 황산철 2 mg 및 한천 15 g으로 이루어진 피코프스코야(Pikovskaya)(PVK) 한천 배지(pH 7) 상에 플레이팅하고, 오토클레이빙하였다. 클리어링 구역은 포스페이트 가용화 박테리아의 지표였다. 문헌 [(Sharma et al., 2011,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Research 1: 90-95]
실시예 5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상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길항작용
식물 병원체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영향을 예방 및/또는 개선시키는 FCC1256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고추에 대한 연구를 온실에서 수행하였다.
제제:
FCC1256의 분리된 포자를 100 % 소모 발효 브로쓰(SFB)중에서 1x108 CFU/mL의 농도로 제제화하였다(즉, 재구성된 발효 브로쓰 농축물). 영양소(리터 당 2 g 수크로스 + 1.5 g 효모 추출물 + 0.2 g MgSO4.7H2O)를 첨가해서 유사한 FCC1256 제제를 제조하였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TI472의 분리된 포자를 1x108 CFU/mL의 농도로 100 % 소모 발효 브로쓰(SFB)에서 유사하게 제제화하였다. 영양소(FCC1256에 대해 상기와 같음)를 첨가해서 유사한 RTI472 제제를 제조하였다.
세레나데® 옵티뭄(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인크.)을 1x108 CFU/mL의 포자 농도로 적용하였다.
호리즌(호리즌 아게-프로덕츠(Horizon AG-Products))을 50 g a.i./ha의 비율로 적용하였다(테부코나졸(Tebuconazole)).
처치 적용 방법:
트랙 분무기를 사용하여 상기 설명된 제제 각각을 온실에서 28 일령 고추 식물에 접종하였다. 트랙 분무기는 276 kPa(40 psi)의 압력에서 단일 오버헤드 노즐(테제트 SS8001E 플랫 팬(TeeJet SS8001E Flat Fan))을 가졌다. 노즐 높이는 고추 식물 잎의 36 cm(14 ") 위였다. 적용 부피는 200 L/ha였고, 실험에서 반복 횟수는 6회 였다. 처치 식물을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은 대조군 식물과 함께 1회 접종하였다.
감염률:
처치 적용 1 일 후, 시험 식물을 500,000 분생포자/mL의 감염률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로 감염시켰다.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로 감염시킨지 3 일 후에, 질병 방제의 백분율(평균)을 상기 설명된 제제 각각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이는 동일한 속도로 적용시 RTI472 및 세레나데® 옵티뭄에 비해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우수한 방제를 나타낸다.
표 4. 세레나데® 옵티뭄 및 다른 참조물과 비교한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B.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대조군의 결과.
Figure pct00004
실시예 6
고추 피토프토라 브라이트에 대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길항작용
식물 병원체 고추 피토프토라 브라이트(피토프토라 카프시시)의 영향을 예방 및/또는 개선시키는 FCC1256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고추에 대한 연구를 온실에서 수행하였다.
제제:
FCC1256의 분리된 포자를 100 % 소모 발효 브로쓰(SFB) 중에서 1x108 CFU/mL의 농도로 제제화하였다(즉, 재구성된 발효 브로쓰 농축물). 영양소(리터 당 2 g 수크로스 + 1.5 g 효모 추출물 + 0.2 g MgSO4.7H2O)를 첨가해서 유사한 FCC1256 제제를 제조하였다.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TI472의 분리된 포자를 1x108 CFU/mL의 농도로 100 % 소모 발효 브로쓰(SFB)에서 유사하게 제제화하였다. 영양소 첨가(FCC1256에 대해 상기와 같음)에 의해 유사한 RTI472 제제를 제조하였다.
세레나데® 소일(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인크.)을 1x108 CFU/mL의 포자 농도로 적용하였다.
리도밀 골드(Ridomil Gold)(신젠타, 인크.(Syngenta, Inc.))를 0.5 lb a.i./에이커(메페녹삼(mefenoxam))의 속도로 적용하였다.
처치 적용 방법:
28 일령 고추 식물의 토양을 상기 설명된 제제 각각을 함유하는 물 10 mL로 드렌치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반복 수는 6회와 같았다. 처치 식물을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은 대조군 식물과 함께 1회 접종하였다.
감염률:
각각의 연구에 대해, 치료 적용과 동일한 날에, 시험 식물을 1 mL의 1,000 유주자/mL의 비율로 피토프토라 카프시시 FF157로 감염시켰다.
고추 피토프토라 브라이트(피토프토라 카프시시)로 식물을 감염시킨지 8 일 후, 각각의 처치에 대해 질병 방제의 백분율을 평가하였다. 질병 중증도 점수는 감염 후 8 일에 9.8(0= 건강함; 10= 사멸)이었다.
결과는 동일한 비율로 적용되었을 때 세레나데® 소일과 비교하여 FCC1256에 의한 고추 피토프토라 브라이트의 통계적으로 우수한 방제를 나타내었다.
표 5. 세레나데® 옵티뭄과 비교한 고추 피토프토라 브라이트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방제의 결과.
Figure pct00005
실시예 7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활성을 비처리 대조군 뿐만 아니라 시판 제품 세레나데 ® 옵티뭄과 비교하는 탈착된 고추 잎 디스크 검정
고추(피퍼 캅시쿰(Piper capsicum)) 식물을 온실에서 20-25 ℃에서 14-16 시간 일광으로 6-7 주 동안 성장시켰다. 각각의 식물로부터, 중간 부분으로부터의 4 개의 완전히 팽창된 잎을 수확하고, 습윤 여과지가 있는 페트리 접시에 놓았다. 잎에 물(비처리 대조군) 또는 세레나데® 옵티뭄의 현탁액(양성 대조군) 또는 FCC1256 발효물(2개의 상이한 배치)을 분무하였다. 이어서, 뚜껑을 페트리 접시에 놓고, 온실과 대략 동일한 성장 조건으로 설정된 성장 챔버에서 인큐베이션을 위해 두었다.
다음날, 500,000 개 포자/mL로 조정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포자 현탁액을 분무함으로써 잎을 접종하였다. 이어서, 페트리 접시를 다시 성장 챔버에 넣고, 4 일, 6 일 및 9 일 후에 평가하여 질병의 진행을 추적하였다.
결과를 도 1에 제시한다. 열 1은 세레나데® 옵티뭄 참조(2.8 kg/ha의 적용 당량)를 나타내고; 열 2는 비처리 접종 대조군을 나타내고; 열 3은 비처리 비접종 대조군을 보여주고, 열 4 및 5는 2개의 상이한 발효 배치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보여준다. 행 1 및 2는 접종 4 일 후의 결과를 보여준다. 행 5 및 6은 동일한 잎을 나타내지만 접종 후 6 일이고, 행 3 및 4는 다시 동일한 잎을 나타내나 접종 후 9 일이다.
육안 검사에 의해, 비처리 접종 대조군(열 2)의 잎은 심지어 4 일 후에도 고도로 손상되었고, 비처리 비접종 대조군(열 3)의 잎은 9 일 실험 내내 신선하게 유지되었다는 것이 명백하게 보인다. 세레나데® 옵티뭄 참조는 잎이 6 일 및 9 일 후에 고도로 손상됨으로써 3 일 후에 일부 병원체 방제를 나타내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FCC1256 발효물은 4 일 및 6 일 후에 매우 우수한 병원체 방제, 및 9 일 후에 허용가능한 방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a)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농축물
FCC1256의 농축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20 % FCC1256 발효물 농축물, 45 % 물, 30 % 글리세린(86.5 %), 5 % 마라스퍼스 AG(Marasperse AG)(나트륨 리그노술포네이트; 음이온성 분산제)를 혼합하고, pH를 HK2PO4· H2O/KH2PO4 완충제를 사용하여 6.0-7.5로 조정하였다. 최종 조성물의 포자 함량(FCC1256)은 전형적으로 1.0x1010 CFU/mL 내지 1.0x1012 CFU/mL의 범위였다.
(b)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농축물
FCC1256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50 % FCC1256 발효물 농축물, 4.8 % 물, 40 % 글리세린(86.5 %), 5 % 마라스퍼스 AG(Marasperse AG)(나트륨 리그노술포네이트; 음이온성 분산제), 0.1 % 소포제 및 0.1% 켈잔(Kelzan)(증점제)을 혼합하고, HK2PO4· H2O/KH2PO4 완충제를 사용하여 pH를 6.0-7.5로 조절하였다. 최종 조성물의 포자 함량(FCC1256)은 전형적으로 1.0x1010 CFU/mL 내지 1.0x1012 CFU/mL의 범위였다.
(c)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농업상 조성물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a) 또는 (b)의 농축물을 물로 1 : 12의 비율로 희석하여 농업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200-600 L/ha의 적용률로 적용가능하다.
실시예 9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에 대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항진균 활성을 비처리된 대조군 뿐만 아니라 다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와 비교하는 고추 식물 전체 검정
4개의 상이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FCC1256, DSM7, RTI472 및 RTI301을 유사한 조건 하에 발효시켰고(실시예 2 참조), 단 발효는 60 mL 배양물과 함께 500 mL 진탕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보다 작은 규모로 수행하였다. 성장 온도는 28 ℃였고, 교반은 200 rpm이었고, 인큐베이션 시간은 144 시간이었다. 발효는 각각 대략 1x107 CFU/mL의 포자 농도를 제공하였다.
고추 식물(피퍼 캅시쿰 변종 라무요 F1(Piper capsicum variety Lamuyo F1))을 아그로피노(Agrofino) 201 토양 기질을 사용하여 7x7x7 cm 플라스틱 화분에서 생산하였다. 이들은 시험 시점에서 6 주 령이었다. 160 ppm에서 N:P:K = 20:20:20의 비료를 줘서 2 일마다 식물의 급수를 제공하였다. 시험된 방식 당 6 개의 복제물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복제물은 1개의 식물(1 개의 포트)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식물을 1000 L/ha의 측정된 부피로 3-노즐 붐을 사용하여 실험실 분무기 내부에서 처리하였다. 각각의 4종의 상이한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FCC1256, DSM7, RTI472 및 RTI301을 탈염수 100 mL 중에 희석된 발효 브로쓰 20 mL의 용량으로 사용하고 아주반트 혼합물 0.2 % 부피/부피와 혼합하였다. 0.2 % 부피/부피 아주반트 혼합물을 갖고 바실루스 균주를 함유하지 않는 발효 배지를 또한 참조로서 평가하였다.
적용 후, 식물을 20 ℃, 70 % RH 및 16 시간 광-기간에 성장 챔버에 저장하였다. 살진균제 적용 24 시간 후에, 처치된 식물 상에 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접종물을 수동으로 분무하여 런-오프시킴으로써 접종을 수행하였다. 접종물 농도는 PDB 배지(보트리티스 시네레아 FF248의 균주) 내부에서 50,000 포자/mL였다. 접종 후, 식물을 20 ℃에서 듀챔버(빛 없음)에서 48 시간 동안 저장하여 감염되기 좋게 하였다. 이어서, 식물을 20 ℃, 70 % RH 및 16 시간 광-기간의 성장 챔버에 발병 등급까지 두었다.
접종 3 일 후에 질병 평가를 수행하고, 식물당 4 개의 완전히 발달된 잎에서 % 중증도를 평가하였다. 그 후, 화분당 평균 % 중증도를 계산하고(표 6에 보고됨), 시험된 균주의 효능을 애보트(Abott)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 대조군 A = 100 * ((% 중증도 A - % 처치되지 않은 중증도)/
% 처치되지 않은 중증도)
표 6.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RTI301, DSM7 및 RTI472와 비교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의 고추 회색 곰팡이(보트리티스 시네레아) 방제 결과.
Figure pct00006
참고문헌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특허, 및 다른 참고문헌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상기 대상은 이해의 명확성을 목적으로 예시 및 실시예의 방식으로 일부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특정 변화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음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7)

  1. ATCC 수탁번호 PTA-122162로서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 식물의 일부 및/또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성장하거나 식재될 생육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상의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방법.
  2. ATCC 수탁번호 PTA-122162로서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의 지상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상의 진균성 식물 병원체(들) 및/또는 박테리아성 식물 병원체(들)를 방제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액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이 1.0x106 CFU/mL 내지 1.0x1012 CFU/mL의 농도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현탁액, 현탁액 농축물(SC), 오일 분산액(OD) 및 발포체로부터 선택된 액체 제제의 형태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고체 형태이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이 1.0x106 CFU/g 내지 1.0x1012 CFU/g의 농도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분진성 분말(DP), 수분산성 과립(WG)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고체 제제 형태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4.0x109 CFU/ha 내지 4.0x1017 CFU/ha의 비율로 적용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병원체(들)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보트리티스 스쿠아오마스(Botrytis squaomas),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사리움 비굴리포르메(Fusarium viguliforme),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 피토프토라 소자에, 피토프토라 카프시시(Phytophthora capsici), 피토프토라 시나몬(Phytophthora cinnamon), 피토프토라 프라가리아에(Phytophthora fragariae), 피토프토라 라모룸(Phytophthora ramorum), 피토프토라 팔미바라(Phytophthora palmivara), 피토프토라 니코티아나에(Phytophthora nicotianae),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스클레로티니아 미노르(Sclerotinia minor), 스클레로티니아 호메오카르파(Sclerotinia homeocarpa), 아스페르길루스 파부스(Aspergillus Favus),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병원체변종 토마토(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에르위니아 아밀로바라(Erwinia amylovara),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크산토모나스 유베시카토리아(Xanthomonas euvesicatoria)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고추, 오이, 사과, 아스파라거스, 베리류, 바나나, 감귤류, 키위, 멜론, 복숭아, 배, 파인애플, 인과류, 석류, 셀러리, 양파, 마늘, 포도, 리크(leaks), 샬롯, 쪽파, 브로콜리, 양배추, 콜리플라워, 조롱박, 토마토, 감자, 밀, 벼 및 콩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1.3 : 1.0 내지 3.0 : 1.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이투린 및 펜기신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적합한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로 완충제를 포함하는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A) ATCC 수탁번호 PTA-122162로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B) 적합한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로 완충제를 포함하는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
    를 포함하는 농업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1.3 : 1.0 내지 3.0 : 1.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이투린 및 펜기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현탁액, 현탁액 농축물(SC), 오일 분산액(OD), 발포체, 살분성 분말(DP), 수분산성 과립(WG)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제제인 조성물.
  15. A) ATCC 수탁번호 PTA-122162로 기탁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FCC1256, 및
    B) 적합한 담체, 계면 활성제, 및 임의로 완충제를 포함하는 농업적으로 적합한 제제 배지
    를 포함하는, 농업상 조성물을 위한 농축물.
  16. 제15항에 있어서, 현탁액 농축물(SC 또는 SD), 초저부피 현탁액(SU), 종자 처리 현탁액(FS), 오일 분산액(OD), 페이스트(PA), 겔(GD), 수분산성 과립(WG), 살분성 분말(DP), 수분산성 정제(WT), 슬러리 처리를 위한 수분산성 분말(WS) 및 습윤성 분말(WP)로부터 선택된 제제의 형태인 농축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이투린 및 펜기신을 1.3 : 1.0 내지 3.0 : 1.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포함하는 농축물.
KR1020217012455A 2018-09-28 2019-09-27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조성물 및 식물 병원체 방제 방법 KR20210071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8653P 2018-09-28 2018-09-28
US62/738,653 2018-09-28
PCT/US2019/053424 WO2020069297A1 (en) 2018-09-28 2019-09-27 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compositio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plant pathog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010A true KR20210071010A (ko) 2021-06-15

Family

ID=6842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55A KR20210071010A (ko) 2018-09-28 2019-09-27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조성물 및 식물 병원체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1528910B2 (ko)
EP (2) EP3855919B1 (ko)
JP (1) JP7353361B2 (ko)
KR (1) KR20210071010A (ko)
CN (2) CN116250545A (ko)
BR (1) BR112021005899A2 (ko)
CL (1) CL2021000711A1 (ko)
CR (1) CR20210152A (ko)
ES (1) ES2938736T3 (ko)
HR (1) HRP20230156T1 (ko)
HU (1) HUE061530T2 (ko)
IL (1) IL281620B2 (ko)
MA (1) MA53736A (ko)
MX (1) MX2021003474A (ko)
PE (1) PE20211401A1 (ko)
PL (1) PL3855919T3 (ko)
PT (1) PT3855919T (ko)
TW (1) TW202034771A (ko)
ZA (1) ZA202101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9866B (zh) * 2019-12-30 2022-08-16 华南理工大学 一种普洱茶树叶片内生芽孢杆菌及其应用
CN112029693B (zh) * 2020-09-30 2022-06-07 河南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株具有促生作用且同时防治芝麻茎点枯病和枯萎病的解淀粉芽孢杆菌及应用
CN113583907B (zh) * 2021-07-27 2023-04-25 天津市农业科学院 防治果蔬土传病害的生防芽孢杆菌及其制剂
CN113817634B (zh) * 2021-09-07 2023-01-17 江西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解淀粉芽孢杆菌Bam-6及其制剂和应用
CN113980836B (zh) * 2021-09-23 2022-09-09 中化化肥有限公司临沂农业研发中心 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草莓根腐病防治中的应用
CN114410498B (zh) * 2021-09-24 2024-01-26 成都特普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生物制剂、制备方法及其用途
CN114058541B (zh) * 2021-11-17 2022-10-28 河北农业大学 耐受农药酷拉斯的小麦纹枯病生防贝莱斯芽孢杆菌及应用
CN114287424B (zh) * 2022-01-10 2022-08-16 山东农业大学 挥发性物质在防治番茄颈腐根腐病中的应用
CN114933982B (zh) * 2022-03-25 2024-04-19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浙江省农业机械研究院)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防治甘薯茎根腐病中的应用
CN115010548B (zh) * 2022-04-07 2023-11-03 新疆惠森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专门针对梨火病菌拮抗生防中应用的生物复合肥料
CN115735588A (zh) * 2022-11-10 2023-03-07 广东省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一种提高龙眼荔枝交互嫁接成活率的方法
CN115927097A (zh) * 2022-11-24 2023-04-07 中国农业科学院烟草研究所(中国烟草总公司青州烟草研究所) 一株贝莱斯芽孢杆菌fc02、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240149B (zh) * 2023-04-07 2023-10-17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解淀粉芽胞杆菌及其防治芸豆普通细菌性疫病的应用
CN117603878B (zh) * 2023-12-01 2024-04-30 秦皇岛禾苗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643B2 (ja) 2011-08-23 2016-03-30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新規微生物及びこの新規微生物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資材
US9125419B2 (en) * 2012-08-14 2015-09-08 Marrone Bio Innovations, Inc. Bacillus sp. strain with antifungal, antibacterial and growth promotion activity
KR101447019B1 (ko) 2013-02-21 2014-10-07 (주)한국바이오케미칼 식물 병원균 방제기술, 방제방법 및 조성물
BR112016002766A8 (pt) * 2013-08-12 2020-02-04 Bio Cat Microbials Llc composições compreendendo cepas de bacillus e métodos para a preparação das referidas composições e para suprimir as atividades e o crescimento de fungos patogênicos de plantas
UY36476A (es) 2014-12-29 2017-06-30 Fmc Corp Composiciones de bacillus amyloliquefaciens rti301 y metodos de uso para beneficiar 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y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de las plantas
UY36335A (es) * 2014-12-29 2017-04-28 Fmc Corp Composiciones microbianas destinadas a ser utilizadas en combinación con insecticidas para suelos, para beneficiar 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KR20170100644A (ko) 2014-12-29 2017-09-04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ti472 조성물 및 식물 생장에 이롭고 식물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방법
MX2017008728A (es) 2014-12-29 2017-10-31 Fmc Corp Composiciones microbianas y metodos de uso para favorecer 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y tratar las enfermedades de las plantas.
ES2584538B1 (es) * 2015-03-27 2017-07-10 Industrias Químicas Del Vallés, S.A. Cepa de Bacillus amyloliquefaciens y uso en el control de enfermedades causadas por bacterias y hongos en las plantas
CN108004173B (zh) 2017-12-22 2021-06-04 福建省农业科学院农业生物资源研究所 解淀粉芽孢杆菌菌株及其产生的脂肽混合物与相关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00504A1 (en) 2020-04-02
HUE061530T2 (hu) 2023-07-28
EP3855919A1 (en) 2021-08-04
CL2021000711A1 (es) 2021-09-24
IL281620B1 (en) 2023-07-01
CR20210152A (es) 2021-09-24
CN116250545A (zh) 2023-06-13
US11528910B2 (en) 2022-12-20
TW202034771A (zh) 2020-10-01
EP4197335A1 (en) 2023-06-21
ZA202101901B (en) 2022-08-31
PE20211401A1 (es) 2021-08-02
CN113271780A (zh) 2021-08-17
PL3855919T3 (pl) 2023-06-05
PT3855919T (pt) 2023-03-03
IL281620B2 (en) 2023-11-01
MX2021003474A (es) 2021-09-10
BR112021005899A2 (pt) 2021-07-27
EP3855919B1 (en) 2022-11-30
JP7353361B2 (ja) 2023-09-29
US20230077291A1 (en) 2023-03-09
HRP20230156T1 (hr) 2023-03-31
IL281620A (en) 2021-05-31
JP2022501395A (ja) 2022-01-06
ES2938736T3 (es) 2023-04-14
MA53736A (fr) 2021-08-04
CN113271780B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55919B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compositio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plant pathogens
KR102465155B1 (ko) 바실러스 튜린지엔시스 rti545 조성물 및 식물 생장 이득 및 식물 해충 방제를 위한 사용 방법
RU2721966C2 (ru) Микроб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для улучшения роста растений и лечения болезней растений
US20180195138A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rti301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benefiting plant growth and treating plant disease
US20170196226A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rti472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benefiting plant growth and treating plant disease
US20180020676A1 (en) Bacillus velezensis rti301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benefiting plant growth and treating plant disease
JP2018502111A5 (ja) バチルス・アミロリケファシエンス(bacillus amyloliquefaciens)rti301組成物
US20160183532A1 (en) Microbial compositions for use in combination with soil insecticides for benefiting plant growth
CA3113257A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fcc1256 compositio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plant pathogens
TW201740812A (zh) 有益於植物生長及治療植物疾病之解澱粉芽孢桿菌rti301組合物及使用方法
TWI737609B (zh) 有益於植物生長及治療植物疾病之微生物組合物及使用方法
TW201740808A (zh) 解澱粉芽孢桿菌rti472組合物及其於使植物生長獲益及治療植物疾病之使用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