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04A -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04A
KR20210069904A KR1020190159715A KR20190159715A KR20210069904A KR 20210069904 A KR20210069904 A KR 20210069904A KR 1020190159715 A KR1020190159715 A KR 1020190159715A KR 20190159715 A KR20190159715 A KR 20190159715A KR 20210069904 A KR20210069904 A KR 20210069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lateral flow
test line
feline
anti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725B1 (ko
Inventor
주후돈
김남호
김현정
김소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벳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벳
Priority to KR102019015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시료가 측방 유동하는 다공성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매트릭스에서 상기 시료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이한 캡처 에이전트가 고정된 제1 테스트라인 및 제2 테스트라인과, 상기 다공성 매트릭스의 상류에 형성되고 항원-형광 접합체와 항체-형광 접합체를 포함하는 접합 패드를 구비한다. 제1 테스트라인은 상기 항원-형광 접합체를 면역 반응에 의해 검출하는 항체가 고정되며, 상기 제2 테스트라인은 상기 항체-형광 접합체를 면역 반응에 의해 검출하는 면역항체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혈증(viremia)에 상관없이 반려동물의 다양한 바이러스 항원-항체를 동시에 진단하여 감염성 질환의 감염 여부를 동시에 진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Lateral flow assay strips for simultaneously testing antigens and antibodies and lateral flow assay cartridg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병원체를 검사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형광을 사용하여 병원체의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경우 증상에 대한 직접적인 호소가 어려우므로 질병 감염 초기에 정확한 질병 및 치료법에 대한 진단이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임상 증상을 보이는 질환군에 대한 복합 스크리닝이 요구된다. 이러한 복합 스크리닝은 원인 감염원의 특징에 따라서 감염원 항원 또는 감염원 특이 항체를 진단에 사용한다.
감염원 진단에 특정 감염원의 항원과 특이항체를 복합 진단하는 경우 항원을 측정하는 진단키트와 항체를 측정하는 진단키트의 반대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하나의 진단키트에 복합적용에는 기술적인 한계점이 존재한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제한적인 혈액 채취에 의하여 여러 가지 질병의 동시진단이 제한적이며, 종래 하나의 카트리지에 항원-항체 복합 진단을 적용한 제품이 존재하지만, 눈으로 직접 확인을 하여야 하므로 신뢰도의 한계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0639776 "측방 유동 정량 검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트립과 레이저유발 표면형광 검출 장치 및 소형 스캐너" 2.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069391 “고양이 레트로바이러스 탐지용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탐지키트”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감염성 질환의 다양한 바이러스 항원-항체를 동시에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기 위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있어서, 시료가 측방 유동하는 다공성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매트릭스에서 상기 시료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이한 캡처 에이전트가 고정된 제1 테스트라인 및 제2 테스트라인과, 상기 다공성 매트릭스의 상류에 형성되고 항원-형광 접합체와 항체-형광 접합체를 포함하는 접합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테스트라인은 상기 항원-형광 접합체를 면역 반응에 의해 검출하는 항체가 고정되며, 상기 제2 테스트라인은 상기 항체-형광 접합체를 면역 반응에 의해 검출하는 면역항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원-형광 접합체와 항체-형광 접합체는 란탄계열의 원자 형광체 또는 유기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에 고정된 항체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항체이고,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에 고정된 항체는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 IgG)이다. 상기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 IgG)는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체 또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 항체를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포함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를 다른 측면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제공함으로써, 바이러스혈증(viremia)에 상관없이 반려동물의 다양한 바이러스 항원-항체를 동시에 진단하여 감염성 질환의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석 스트립에서 테스트라인 및 컨트롤라인에서의 반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과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을 보호하는 하우징이 결합한 카트리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100)은 모세관 유동을 허용하는 다공성 매트릭스(110)를 바탕으로 형성된다. 다공성 매트릭스(110)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니트로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샘플 패드(120)는 인가되는 시료와 검출 버퍼가 혼합된 액상 시료(104)를 흡수하여 다공성 매트릭스(110)로 흐르도록 한다. 다공성 매트릭스(110) 상에서 샘플 패드(120)로부터 하류(downstream) 방향으로 컨트롤라인(140), 테스트라인들(150, 160)이 위치한다. 테스트라인(150), 테스트라인(160) 및 컨트롤라인(140)에는 캡처 에이전트가 물리흡착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캡처 에이전트는 분석물질에 반응하는 특정 항체, 항원, 또는 일정한 서열의 핵산에 교잡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일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매트릭스(110)의 하류 단부에는 흡수패드(170)가 배치된다. 흡수 패드(170)는 과량의 액상 시료(104)를 흡수하고, 다공성 매트릭스(110)를 따라 측방 유동을 유지한다.
컨트롤라인(140)은 테스트라인들(150, 160)의 사이, 테스트라인(150)의 상류 또는 테스트라인(160)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라인(140)에는 양성 또는 음성 대조군 시약 또는 캡처 에이전트가 고정된다.
다공성 매트릭스(110) 상에서 샘플 패드(120)의 하류에 접합 패드(conjugate pad)(130)가 더 구비된다. 접합 패드(130)는 둘 이상의 상이한 검출 항체 또는 검출 항원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항체 또는 검출 항원은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체,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항원 또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 항원이다. 각각의 검출 항체 또는 검출 항원은 상이한 표적 항원 또는 표적 항체에 대해 특이적이며,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체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원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반응하고,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항원은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항체에 대해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 항원은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에 대해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각각의 검출 항체 또는 검출 항원은 하나 이상의 검출 가능한 표지에 접합하여, 항원-형광 접합체 또는 항체-형광 접합체로 접합 패드에 존재하게 된다. 각각의 표지는 상이한 스펙트럼 방사를 포함하고, 각각의 검출 항체와 형광체가 결합한 항체-형광 접합체 또는 검출 항원과 결합한 항원-형광 접합체는 그의 표적 분석물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검출 가능한 표지는 금 나노입자, 착색된 라텍스 비드, 탄소 나노입자, 셀레늄 나노입자, 은 나노입자, 퀀텀닷(quantum dots), 업 변환 형광체(up converting phosphors), 유기 형광체(organic fluorophores)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업 변환 형광체는 란탄계열의 형광체 란탄(Lanthanum : La), 세륨 (Cerium : Ce), 프라세오디뮴 (Praseodymium : Pr), 네오디뮴 (Neodymium : Nd), 프로메튬 (Promethium : Pm), 사마륨 (Samarium : Sm), 유로퓸(Europium : EU), 가돌리늄(Gadolinium : Gd), 터븀(Terbium : Tb), 디스프로슘 (Dysprosium : Dy), 홀뮴 (Holmium : Ho), 어븀 (Erbium : Er), 이터븀(Ytterbium : Yb), 루테튬 (Lutetium : Lu)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유기형광체는 600-800nm의 발광하는 형광체일 수 있다.
도 2는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100)에서 테스트라인(150), 테스트라인(160), 및 컨트롤라인(140)에서 시료와 검출 버퍼가 혼합된 액상 시료(104)의 반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시료는 고양이의 전혈, 혈청 또는 혈장일 수 있다.
접합 패드(130)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체(154),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항원(161) 또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 항원(163)을 고감도 원자 형광체 또는 유기 형광체를 접합한 형광 접합체들(155, 167, 169)를 구비한다.
테스트라인(150)에는 캡처 에이전트(capture agent)로서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항체(152)가 고정되어 있고, 테스트라인(160)에는 캡처 에이전트(capture agent)로서 고양이 항체(Feline IgG)를 검출하는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162)가 고정되어 있으며, 컨트롤라인(160)에는 캡처 에이전트(capture agent)로서 치킨 면역글로블린 와이(chicken IgY)(142)가 고정되어 있다.
테스트라인(150)과 테스트라인(160)에 고정되는 캡처 에이전트(152,162)는 테스트라인들(150, 160) 간에 서로 같은 캡처 에이전트들(152, 162)이 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액상 시료(104)가 샘플패드(120)에 인가되어 다공성 매트릭스(110)에서 측방 유동할 때, 접합 패드(130)의 형광 접합체(155)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153)와 접합한 후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항체(152)가 고정된 테스트라인(150)에 포획된다. 형광 접합체(167)는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체(164)와 접합한 후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162)가 고정된 테스트라인(160)에 포획된다. 형광 접합체(169)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 항체(165)와 접합한 후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162)가 고정된 테스트라인(160)에 포획된다. 그리고 업 변환 형광체(up converting phosphors) 중에서 란탄계열의 유로퓸(Europium : EU) 원자형광체가 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chicken IgY)과 접합한 형광 접합체(147) 유로퓸 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 컨쥬게이트(Eu-Anti chicken IgY conjugate)와 600-800nm의 파장에서 발광하는 유기형광체와 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chicken IgY)와 접합한 형광 접합체(149) F-Anti chicken IgY conjugate는 컨트롤라인(140)의 캡처 에이전트(142)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chicken IgY)에 포획된다.
컨트롤라인(140)에 포획된 형광 접합체들(147, 149)의 상기 원자형광체와 상기 유기형광제의 형광 결과는 서로 다른 파장대와 다른 발광 시간을 가지며, 서로 다른 파장대와 다른 발광 시간의 결과로 각각의 형광신호 데이터가 형성된다.
동일한 형광체 사용시 발생되는 편차(variation)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대와 다른 발광 시간의 형광을 이용하며, 상기와 같은 형광체들을 형광 측정 기계인 형광 측방 유동 면역분석기(Lateral flow immunoassay : LFI) 등과 같은 측정 장치에서 두 가지 광학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렇게 측정된 각각의 형광체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이용하여 연산한다.
컨트롤라인(140)에 포획된 형광체(146) 또는 형광체(156)에서 방출되는 빛은 광학계(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신호 분석을 통해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100)에서 액상 시료(104)가 정상적으로 측방 유동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측방 유동 정도의 기준값으로 사용된다.
테스트라인(150)에 포획된 형광체(156)에서 생성되는 빛은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154)의 양을 표시하며, 테스트라인(150)에 포획된 형광체(156)에서 생성되는 빛의 양을 계산하여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154)의 양을 측정한다.
테스트라인(160)에 포획된 형광체(168)에서 생성되는 빛은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체(164)의 양을 표시하며, 테스트라인(160)에 포획된 형광체(166)에서 생성되는 빛은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 항체(165)의 양을 표시한다. 테스트라인(160)에 포획된 형광체(168) 또는 형광체(166)에서 생성되는 빛의 양을 계산하여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체(164) 또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 항체(165)의 양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측방 유동형 분석 스트립(100)을 통해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체(164),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153) 또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 항체(165)를 한 번에 검출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감염대상이 되는 개체의 면역력이나, 개체의 상황에 따라 혈액에 항원이 존재하거나 이미 감염되어 혈액 속에 항원이 존재하지 않는 바이러스혈증(viremia)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함으로써 바이러스혈증에 의한 차이에도 상관없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세 가지 바이러스를 동시에 검출할 경우 검체상에서 서로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간섭 반응을 없애는 것과 동시에 형광 신호를 유지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나노입자의 다공성 매트릭스(110) 상에서의 이동 및 항원 항체 반응이 원활히 진행하게 하여야 하며, 고양이 혈액 시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특이적 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멀티 형광 분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형광 잔상 교차반응의 최소화를 위하여 파장(wave length)과 방출(emission)시간 영역이 다른 형광을 멀티 형광으로 적용하고, 테스트라인 간격의 사이가 형광 신호의 포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영향을 주지 않고 유체의 흐름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테스트라인들(150, 160) 간의 규격인 2 내지 3mm의 간격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접합 패드에 있어서 과량의 형광 접합체가 액상시료에서 재용해가 용이하고, 유동이 탁월한 규격의 유리섬유 패드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항원 또는 항체가 형광체와 결합한 형광 접합체 간의 비특이 제어를 위해 blocking agent를 적정량 접합 패드에 적용하였다.
도 3은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100)과 하우징들(10, 20)을 결합한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30)의 상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방유동 분석 카트리지(30)는 형광 LFI에 주입하는 부분과 손잡이 부분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손잡이 유도체(13)를 포함한다. 시각적으로 주입 방향 인지가 가능한 화살표 표시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측방유동 분석 카트리지(30)를 이용한 실험 수행시 실수할 수 있는 확률을 줄여 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100)과 하우징들(10, 20)을 결합한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30)는 검체를 흡수하여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100), 서로 결합 되어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100)을 내장하는 하부 하우징(20)과 상부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0)에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100)이 고정될 수 있는 단측 고정부(21)가 양측에 위치하며, 상부 하우징(10)과 대응하여 결합하는 지지부(24)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0)에는 샘플 패드(120) 대응하여 형성되는 검체 투입구(11), 다공성 멤브레인(110)과 컨트롤라인(140) 및 테스트라인들(150, 160)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과 표시창(12), 손잡이를 유도하는 손잡이 유도체(13)와 하부 하우징(20)과 대응하여 결합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 NC)막에 캡처 에이전트로 항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항체, 항 고양이 항체( Anti-Feline IgG IgG : a-fIgG)를 각각의 제1 테스트라인과 제2 테스트라인에 점적하고, 대조선 위치에는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chicken IgY)를 점적한 후 37℃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준비한다.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원과 유기형광체 형광비드를 반응시켜 형광체와 항원이 접합된 형광접합항체를 준비하고,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항원과 고감도 형광체 형광비드를 반응시켜 형광체와 항원이 접합된 형광 접합체를 준비하며, 항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항체와 고감도 형광체를 반응시켜 형광체와 항체가 접합된 형광접합항체를 준비한다. 이때 고감도 형광체는 란탄계열의 형광체 유로퓸(Europium : EU) 원자형광체가 도입된 세라믹 입자인 형광비드를 사용하여 형광 접합체를 준비하고, 600-800nm의 파장에서 발광하는 유기형광체가 도입된 세라믹 입자인 형광비드를 사용하여 형광 접합체를 준비한다. 또한 형광체 발광에 대한 기준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chicken IgY)과 접합한 형광 접합체(147)인 유로퓸-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 컨쥬게이트(Eu-Anti chicken IgY conjugate)와 600-800nm의 파장에서 발광하는 유기형광체와 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chicken IgY)과 접합한 형광 접합체(149) 에프-항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 컨쥬게이트(F-Anti chicken IgY conjugate)를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5종류의 형광접합항체를 유리섬유로 된 접합 패드(130)에 분사하여 흡수시킨 후 건조하여 접합 패드를 준비한다.
상기 건조하여 준비한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NC)막을 지지대위에 놓고, 시료가 인가되는 샘플 패드, 접합 패드, 흡수패드를 제1 테스트라인, 제2 테스트라인 및 컨트롤라인에 겹치지 않으면서 측방 유동하는 방향에 순서대로 놓을 수 있도록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조립하여 준비한다.
비교예 1.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에 감염된 고양이의 혈액을 채취하여 제1 시료를 준비한다.
상기 제1 시료의 임상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고양이 전혈, 혈청 또는 혈장에서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 (FIV) 항체의 검출을 위한 효소 연결 면역 흡착 분석(ELISA) 장치인 “ViraCHEK® / FIV”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측정에 관련한 순서 및 시료는 기존에 제공되는 VirachekFIV 측정 방법을 준수한다.
비교예 2.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감염된 고양이의 혈액을 제취하여 제2 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제2 시료의 임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FeLV 항원의 검출을 위한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 (ELISA) 장치인 “ViraCHEK® / FeLV”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측정에 관련한 순서 및 시료는 기존에 제공되는 ViraCHEK® / FeLV 측정 방법을 준수한다.
비교예 3.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에 감염된 고양이의 혈액을 채취하여 제3 시료를 준비한다.
상기 제3 시료의 임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 형광 분석( (Immunofluorescence assay : IFA)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예 1.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시료를 측정하되, 50㎕의 제1 시료를 추출용액 1000㎕에 넣고 10회 이상 흔들어 섞어 시료를 준비한다.
상기 추출용액은 간섭 반응이나 비특이 반응을 막기 위한 반응 억제제 및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다. 또한 시료를 희석하여 키트에서 전개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검출 버퍼의 조성은 3% BSA, 1% Sucrose, 100mM Tris-HCl, 0.5% 세정제(계면활성제, detergent) 및 증류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스트당 사용한 양은 1ml이다.
상기 흔들어서 준비된 시료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샘플 패드에 넣고 12분간 반응시킨다. 상기 12분간 반응시킨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형광 측방 유동 면역분석기(Lateral flow immunoassay : LFI) “Vetchroma” (제조업자 : 애니벳)에 장착하여 결과를 측정한다.
측정예 2.
측정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비교예 2에서 준비한 제2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측정예 3.
상기 측정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상기 비교예3에서 준비한 제3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비교예 1과 측정예 1, 비교예 2와 측정예 2, 비교예 3과 측정예 3의 결과를 비교한 표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도시하였다.
predicate'(VIRACHEK)
Positive Negative Total Sensitivity Specificity
FIV Ab Positive 68 1 69 97.1% 99.0%
Negative 2 103  105
Total 70 104 174
predicate0VIRACHEK)
Positive Negative Total Sensitivity Specificity
FeLV Ag Positive 62 1 63 95.4% 98.9%
Negative 3 89  92
Total 65 90 155
predicate (IFA)
Positive Negative Total Sensitivity Specificity
FCoV Ab Positive 39 5 44 90.7% 95.4%
Negative 4 103  107
Total 43 108 151
표 1 내지 표 3에서 민감도(Sensitivity)는 병증이 있는 시료 및 개체가 검사를 했을 때 양성판정을 받는 비율로, 각 (+)군의 실제 검출된 검출시료수를 전체 (+)군 시료수로 나눈 값이다.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상기 특이도(Specificity)는 병증이 없는 시료 및 개체가 검사를 했을 때 음성판정을 받는 비율로, 각 (-)군의 실제 검출된 검출시료수를 전체 (-)군 시료수로 나눈 값이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 하우징 11 : 검체 투입구
12 : 결과 표시창 13 : 손잡이 유도체
14 : 지지부 20 : 하부 하우징
21 : 단측 고정부 24 : 지지부
100 : 분석 스트립 104:액상 시료
110 : 다공성 매트릭스 120 : 샘플 패드
130 : 접합 패드 140 : 컨트롤라인
142 : 치킨 면역글로불린 와이
146 : 형광체 148 : 형광체
156 : 형광체 166 : 형광체
168 : 형광체 147 : 형광 접합체
149 : 형광 접합체 155 : 형광 접합체
167 : 형광 접합체 169 : 형광 접합체
150 : 테스트라인
152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체
153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원
161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항체
160 : 테스트라인 161 :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항원
162 : 항 고양이 항체 163 :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 항원
164 :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 항체
165 :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
170 : 흡수 패드

Claims (5)

  1.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있어서,
    시료가 측방 유동하는 다공성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매트릭스에서 상기 시료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이한 캡처 에이전트가 고정된 제1 테스트라인 및 제2 테스트라인과,
    상기 다공성 매트릭스의 상류에 형성되고 항원-형광 접합체와 항체-형광 접합체를 포함하는 접합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테스트라인은 상기 항원-형광 접합체를 면역 반응에 의해 검출하는 항체가 고정되며, 상기 제2 테스트라인은 상기 항체-형광 접합체를 면역 반응에 의해 검출하는 면역항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형광 접합체와 항체-형광 접합체는 란탄계열의 원자형광체 또는 유기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라인에 고정된 항체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 FeLV) 항체이고,
    상기 제2 테스트라인에 고정된 항체는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 IgG)인 것을 특징으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 고양이 항체(anti-Feline IgG IgG)는 고양이 면역결핍증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FIV) 항체 또는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 FCoV) 항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포함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KR1020190159715A 2019-12-04 2019-12-04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KR10235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15A KR102350725B1 (ko) 2019-12-04 2019-12-04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15A KR102350725B1 (ko) 2019-12-04 2019-12-04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04A true KR20210069904A (ko) 2021-06-14
KR102350725B1 KR102350725B1 (ko) 2022-01-14

Family

ID=7641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15A KR102350725B1 (ko) 2019-12-04 2019-12-04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7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145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필메디 탄성체를 갖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해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방법
CN115825434A (zh) * 2022-09-30 2023-03-21 杭州瑞测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抗原抗体联检的可凝集猫红细胞的猫艾滋检测试剂卡及其检测方法
WO2023080535A1 (ko) * 2021-11-05 2023-05-11 바디텍메드(주) Sars-cov-2에 대한 중화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776B1 (ko) 2004-01-05 2006-10-27 바이오메드포토닉스 주식회사 측방 유동 정량 검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트립과 레이저유발 표면형광 검출 장치 및 소형 스캐너
KR101069391B1 (ko) 2008-08-25 2011-09-30 베트올 (주) 고양이 레트로바이러스 탐지용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탐지키트
KR20160074756A (ko) * 2014-12-18 2016-06-29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공수병 바이러스 p 단백을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 또는 항원 검출 및 중화항체가 측정 시험을 위한 용도
KR20170077600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 및 이에 대한 항체의 동시 진단을 위한 조성물, 키트 및 방법
KR101807871B1 (ko) * 2016-08-30 2017-12-12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유로퓸 입자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
KR20190117350A (ko) * 2018-04-06 2019-10-16 바디텍메드(주)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776B1 (ko) 2004-01-05 2006-10-27 바이오메드포토닉스 주식회사 측방 유동 정량 검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트립과 레이저유발 표면형광 검출 장치 및 소형 스캐너
KR101069391B1 (ko) 2008-08-25 2011-09-30 베트올 (주) 고양이 레트로바이러스 탐지용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탐지키트
KR20160074756A (ko) * 2014-12-18 2016-06-29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공수병 바이러스 p 단백을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 또는 항원 검출 및 중화항체가 측정 시험을 위한 용도
KR20170077600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 및 이에 대한 항체의 동시 진단을 위한 조성물, 키트 및 방법
KR101807871B1 (ko) * 2016-08-30 2017-12-12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유로퓸 입자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
KR20190117350A (ko) * 2018-04-06 2019-10-16 바디텍메드(주)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145A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필메디 탄성체를 갖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해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방법
WO2023080535A1 (ko) * 2021-11-05 2023-05-11 바디텍메드(주) Sars-cov-2에 대한 중화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20230065789A (ko) 2021-11-05 2023-05-12 바디텍메드(주) SARS-CoV-2에 대한 중화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N115825434A (zh) * 2022-09-30 2023-03-21 杭州瑞测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抗原抗体联检的可凝集猫红细胞的猫艾滋检测试剂卡及其检测方法
CN115825434B (zh) * 2022-09-30 2023-08-22 杭州瑞测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抗原抗体联检的可凝集猫红细胞的猫艾滋检测试剂卡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725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725B1 (ko)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검사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하는 측방 유동 분석 카트리지
JP6521525B2 (ja) ウイルス感染及び細菌感染の一体検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3721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103791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CN101999076B (zh) 免疫分析装置和免疫分析方法
EP3475702B3 (en) Measuring trail by lateral flow immunoassay
CN111033226A (zh) 用于定量分析的新型通用检验系统
US20220146502A1 (en) High-sensitivity assay
US89622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KR102133752B1 (ko)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CN112798795A (zh) 用于检测阻断分析物的测定
US20210311044A1 (en) Multi-assay rapid diagnostic panel
KR20210021316A (ko) 측면 유동 분석기의 신호-증폭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170336404A1 (en) Rapid immunoassays
US11668710B2 (en) Assays for the detection of a blocking analyte
KR20210067690A (ko) 오리 간염 바이러스 및 오리 장염 바이러스의 고감도 시분할형광을 이용한 동시 검사방법
KR102347135B1 (ko) 시분해 형광분석을 이용한 노로바이러스 측방 유동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N212904930U (zh) 一种用于免疫层析法检测的设备和检测试条
CN212904935U (zh) 用于免疫层析法检测的设备和检测试条
CN101175996A (zh) 半定量免疫色谱装置
EP4060342A1 (en) Lateral flow assays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US20050153277A1 (en) Immunochemical assay device
WO2022027088A1 (en) Lateral flow device and uses thereof
CN117347624A (zh) 一种荧光淬灭免疫层析试纸条及其制备方法
KR20220007021A (ko) 라텍스 비드, 링커 및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시약 및 이를 포함하는 래피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