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741A -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741A
KR20210068741A KR1020190158120A KR20190158120A KR20210068741A KR 20210068741 A KR20210068741 A KR 20210068741A KR 1020190158120 A KR1020190158120 A KR 1020190158120A KR 20190158120 A KR20190158120 A KR 20190158120A KR 20210068741 A KR20210068741 A KR 20210068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rip body
handle
truck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741A/ko
Priority to US17/038,663 priority patent/US11198382B2/en
Priority to CN202011137304.4A priority patent/CN112977222A/zh
Publication of KR2021006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Adjustable handle device of the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럭에 승하차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가변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사용자의 승하차를 위한 출입구가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승하차시 사용할 수 있는 핸들이 차체에 구비된다.
종래의 트럭 핸들은 차체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트럭의 종류에 따라 차체의 프론트 필러와 센터 필러에 배치되거나 또는 센터 필러에만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종래의 트럭 핸들(101,102)은 차체의 정해진 위치에 일정 사이즈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트럭 핸들을 사용자의 키, 팔길이 등과 같은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상하 길이와 높이 및 위치 등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하고, 그에 따라 트럭에 승하차하는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며, 또한 승하차하는 사용자의 자세가 불안정해짐에 의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트럭 핸들(101,102)의 하측단과 지면 사이에 거리(h)가 법규로 제한되어 있기는 하나, 사용자마다 신체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맞춤형으로 트럭 핸들(101,102)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변 핸들 장치는, 트럭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 열림시 차체 바깥쪽으로 회동되어 돌출되고 도어 닫힘시 도어에 밀려 차체 안쪽으로 복귀되는 그립바디 조립체;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가 차체 안쪽으로 복귀될 때 그립바디 조립체를 차체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그립바디 회동수단;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의 외측면에 그립바디 조립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 그립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는,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파이프 형태의 어퍼 그립바디;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어퍼 그립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의 로워 그립바디; 상기 어퍼 그립바디와 로워 그립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 그립바디의 자유단과 로워 그립바디의 자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센터 그립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터 그립바디의 상측바디부는 어퍼 그립바디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중첩되고, 상기 어퍼 그립바디의 자유단의 외측면에 상기 상측바디부와 어퍼 그립바디를 결합시키는 어퍼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터 그립바디의 하측바디부는 로워 그립바디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중첩되고, 상기 로워 그립바디의 자유단의 외측면에 상기 하측바디부와 로워 그립바디를 결합시키는 로워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핸들은 센터 그립바디의 센터바디부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그립핸들의 단부에는 그립핸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하여서 상기 그립핸들을 상기 센터바디부에 고정시키는 핸들 이동제어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 이동제어수단은, 외측면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그립핸들의 단부에 부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센터바디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홀드부에 맞물려서 고정되는 록킹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핀을 잡아당겨 상기 홀드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버튼;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핀을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록킹핀에 연결되어 상기 록킹핀을 홀드부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은, 레일을 구비하여 차체에 장착된 지지대;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로워 그립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부가 구비된 로드; 상기 제1 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는, 사용자마다 맞춤형으로 그립핸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럭에 승하차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핸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바디 조립체가 선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바디 회동수단에 의해 선회되는 로워 그립바디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바디 조립체가 차량 전후방향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 결합수단 및 로워 결합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이동제어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트럭 차체에 설치된 그립바디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바디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바디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종래의 트럭 핸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변 핸들 장치는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여러 사용자가 승하차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핸들 장치는 그립바디 조립체(1)와 그립바디 회동수단(5) 및 그립핸들(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트럭 차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도어의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쪽 차체 판넬에 구비된다.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의 열림시 차체의 바깥쪽으로 회동되어 돌출되고, 도어의 닫힘시 도어에 밀려서 차체의 안쪽으로 회동되어 복귀하게 된다.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도어의 열림시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5)이 제공하는 구동력(탄성복원력)에 의해 차체의 바깥쪽으로 회동되고, 도어의 닫힘시 도어에 밀려서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5)이 상기 구동력(탄성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그립바디 회동수단(5)을 작동시킨다.
즉,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5)은 그립바디 조립체(1)가 차체 안쪽으로 회동되어 복귀될 때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어퍼 그립바디(11)와 로워 그립바디(12) 및 센터 그립바디(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퍼 그립바디(11)는 직선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의 제1 단부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어퍼 그립바디(11)의 제2 단부는 자유단이 된다.
상기 로워 그립바디(12)는 직선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워 그립바디(12)의 제1 단부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워 그립바디(12)의 제2 단부는 자유단이 된다. 이러한 로워 그립바디(12)는 어퍼 그립바디(11)의 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의 제1 단부 및 로워 그립바디(12)의 제1 단부는,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부재(2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핀부재(23,24)를 매개로 상기 브라켓부재(21,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 및 브라켓부재(21,22)를 관통한 핀부재(23,24)의 하측부에는, 너트부재(25,26)가 체결된다(도 12 참조).
상기 너트부재(25,26)는, 나일론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어퍼 그립바디(11) 및 로워 그립바디(12)의 회전시 브라켓부재(21,22)와의 접촉에 따른 마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마찰 발생에 의해 핀부재(23,24)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터 그립바디(13)는 대략 ㄷ 모양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터 그립바디(13)는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상측바디부(131)와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하측바디부(132) 및 상기 상측바디부(131)와 하측바디부(13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센터바디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바디부(131)는 직선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바디부(132)는 직선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로워 그립바디(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바디부(133)는 상측바디부(131)와 이어진 곡선형상부와 하측바디부(132)와 이어진 직선형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터바디부(133)의 곡선형상부에 그립핸들(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그립바디(13)는 어퍼 그립바디(11)와 로워 그립바디(12) 사이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상측바디부(131)는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에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측바디부(132)는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에 출입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측바디부(131)는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과 중첩될 수 있고, 하측바디부(132)는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바디부(131)와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이 중첩되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하측바디부(132)와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이 중첩되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의 가로 너비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의 가로 너비를 조절한 뒤에, 어퍼 그립바디(11)와 상측바디부(131)를 결합시키고 로워 그립바디(12)와 하측바디부(132)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의 외측면에 어퍼 결합수단(3)이 구비되고, 상기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의 외측면에 로워 결합수단(4)이 구비된다.
상기 어퍼 결합수단(3)은 상측바디부(131)와 중첩된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을 상측바디부(131)쪽으로 가압하여서 상기 상측바디부(131)와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워 결합수단(4)은 하측바디부(132)와 중첩된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을 하측바디부(132)쪽으로 가압하여서 상기 하측바디부(132)와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결합수단(3)은 어퍼 밴드부재(31)와 어퍼 조임부재(32) 및 어퍼 고정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밴드부재(31)는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 밴드부재(31)는,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링 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 조임부재(32)는 어퍼 밴드부재(31)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퍼 조임부재(32)는 상측바디부(131)와 중첩된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이 상기 상측바디부(131)를 가압하도록 상기 어퍼 밴드부재(31)를 조일 수 있다.
상기 어퍼 고정부재(33)는 어퍼 조임부재(32)의 작동을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고정부재(33)는 어퍼 조임부재(32)가 어퍼 밴드부재(31)를 조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 고정부재(33)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어퍼 조임부재(32)의 조임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 결합수단(4)은 로워 밴드부재(41)와 로워 조임부재(42) 및 로워 고정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워 결합수단(4)은, 로워 밴드부재(41)가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어퍼 결합수단(3)과 동일 작동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핸들(6)은 그립바디 조립체(1)의 외측면에 그립바디 조립체(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그립핸들(6)은 센터바디부(133)의 외측면에 센터바디부(13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그립핸들(6)은 센터바디부(133)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센터바디부(13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립핸들(6)의 하측 단부에는 그립핸들(6)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는 핸들 이동제어수단(7)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 이동제어수단(7)은 그립핸들(6)을 센터바디부(133)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이동제어수단(7)은 케이스(71), 록킹핀(73), 해제버튼(74), 및 스프링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는 센터바디부(133)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립핸들(6)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도록 부착되어 센터바디부(133)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케이스(71)는 케이스(71)의 전체 구간이 홀드부(134)와 중첩되거나 또는 케이스(71)의 일부 구간이 홀드부(134)와 중첩된다.
상기 홀드부(134)는 센터바디부(133)의 하측부(즉, 직선형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홀드부(134)는 센터바디부(133)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출형 리브(134a)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71)의 외측면에는 록킹핀(73)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72)과 상기 회전축(72)을 감싸는 하우징(75)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핀(73)은 케이스(71)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센터바디부(133)의 홀드부(134)에 맞물려서 고정될 수 있다. 록킹핀(73)의 단부가 리브(134a) 사이에 삽입될 때 케이스(71)는 홀드부(13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케이스(71)의 이동이 차단됨에 의해 그립핸들(6)이 센터바디부(133)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해제버튼(74)은 상기 회전축(72)을 통해 케이스(7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해제버튼(74)은 회전축(72)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핀(73)을 잡아당겨서 홀드부(13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75)은 케이스(71)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록킹핀(73)과 회전축(72)을 작동가능하게 덮어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76)는 록킹핀(73)을 홀드부(134)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하우징(75)과 록킹핀(7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76)의 양측 단부는 각각 하우징(75)과 록킹핀(73)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록킹핀(73)이 홀드부(134)에서 분리될 때 상기 스프링부재(76)는 하우징(75)쪽으로 가압되어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부재(76)는 압축되면서 록킹핀(73)을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력(탄성복원력)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그립핸들(6)은, 센터바디부(133)의 곡선형상부 구간에서 정상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센터바디부(133)와 일정 간극을 두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5)은 지지대(51)와 로드(52)와 탄성부재(53) 및 스토퍼(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1)는 차체의 바닥부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지지대(51)는 로드(52)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레일(511)과 탄성부재(53)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512)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52)는 제1 조인트유닛(55)이 구비된 제1 단부(521)와 제2 조인트유닛(56)이 구비된 제2 단부(5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단부(521)는 무빙브라켓(54) 및 제1 조인트유닛(55)을 통해 상기 레일(5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단부(522)는 제2 조인트유닛(56)을 통해 로워 그립바디(12)의 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조인트유닛(56)은, 로워 그립바디(12)의 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서, 로드(52)가 탄성부재(53)에 밀려 로워 그립바디(12)를 차체의 바깥쪽으로 선회시킬 때, 로드(52)의 제2 단부(522)가 상기 브라켓(121)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조인트유닛(56)과 브라켓(121)의 회전축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인트유닛(55)은, 상기 브라켓(121) 대신 무빙브라켓(54)에 장착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2 조인트유닛(56)과 동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브라켓(54)은 상기 레일(51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3)의 양측 단부는 각각 지지블록(512)과 상기 무빙브라켓(54)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3)는 무빙브라켓(54)을 가압함에 의해 로드(52)의 제1 단부(521)를 레일(51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53)는 로드(52)의 제1 단부(521)를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대(5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3)는 레일(511)의 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레일(51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3)는 레일(51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무빙브라켓(54)의 슬라이딩을 중단시킴으로써 로드(52)의 제1 단부(521)가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3)에 의해 로드(52)의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로워 그립바디(12)를 포함한 그립바디 조립체(1)의 회동각도 및 돌출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가 차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이 제한됨에 의해, 사용자가 그립핸들(6)을 잡고 승하차할 때 지속적인 안정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핸들(6)의 외측면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논슬립 그립부(6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논슬립 그립부(61)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논슬립 그립부(61)는 사용자의 손가락 간격을 고려하여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차체 판넬에 설치될 때 출입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의 후방에도 그립바디 조립체(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앞서 설명한 그립바디 조립체(1)와 동일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를 선회시키기 위한 그립바디 회동수단(5)을 생략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1')는 차체에 고정된 어퍼 그립바디(11')와 로워 그립바디(12') 및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와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그립바디(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와 로워 그립바디(12')는 브라켓부재(21',22')을 통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터 그립바디(13')의 외측에는 핸들 이동제어수단(7')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그립핸들(6')이 배치된다.
상기 어퍼 그립바디(11')의 자유단의 외측면에는 어퍼 결합수단(3')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로워 그립바디(12')의 자유단의 외측면에는 로워 결합수단(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터 그립바디(13')의 센터바디부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 핸들 장치의 작동상태를 일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 도어가 열리게 되면 그립바디 조립체(1)가 그립바디 회동수단(5)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선회되면서 차체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트럭 도어가 열리는 경우, 그립바디 회동수단(5)의 탄성부재(53)가 복원되면서 로워 그립바디(12)를 선회시키게 되고, 상기 로워 그립바디(12)와 결합되어 있는 센터 그립바디(13) 및 그립핸들(6)도 차체 바깥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센터 그립바디(13)의 상측바디부(131)와 하측바디부(132)는, 어퍼 결합수단(3) 및 로워 결합수단(4)에 의한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어퍼 그립바디(11)와 로워 그립바디(12)의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립핸들(6)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그립핸들(6)은 핸들 이동제어수단(7)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센터 그립바디(1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그립핸들(6)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사용자가 승하차시 그립핸들(6)을 보다 최적화된 조건에서 그립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트럭에 승하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그립바디 조립체 11 : 어퍼 그립바디
12 : 로워 그립바디 121 : (로워 그립바디용) 브라켓
13 : 센터 그립바디 131 : 상측바디부
132 : 하측바디부 133 : 센터바디부
134 : 홀드부 134a : 리브
21,22 : 브라켓부재 23, 24 : 핀부재
25, 26 : 너트부재 3 : 어퍼 결합수단
31 : 어퍼 밴드부재 32 : 어퍼 조임부재
33 : 어퍼 고정부재 4 : 로워 결합수단
41 : 로워 밴드부재 42 : 로워 조임부재
43 : 로워 고정부재 5 : 그립바디 회동수단
51 : 지지대 511 : 레일
512 : 지지대의 지지블록 513 : 스토퍼
52 : 로드 521 : 로드의 제1 단부
522 : 로드의 제2 단부 53 : 탄성부재
54 : 무빙브라켓 55 : 제1 조인트유닛
56 : 제2 조인트유닛 6 : 그립핸들
61 : 논슬립 그립부 7 : 핸들 이동제어수단
71 : 케이스 72 : 회전축
73 : 록킹핀 74 : 해제버튼
75 : 하우징 76 : 스프링부재

Claims (10)

  1. 트럭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 열림시 차체 바깥쪽으로 회동되어 돌출되고 도어 닫힘시 도어에 밀려 차체 안쪽으로 복귀되는 그립바디 조립체;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가 차체 안쪽으로 복귀될 때 그립바디 조립체를 차체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그립바디 회동수단;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의 외측면에 그립바디 조립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 그립핸들;
    을 포함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바디 조립체는,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파이프 형태의 어퍼 그립바디;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어퍼 그립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의 로워 그립바디;
    상기 어퍼 그립바디와 로워 그립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 그립바디의 자유단과 로워 그립바디의 자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센터 그립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터 그립바디의 상측바디부는 어퍼 그립바디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중첩되고, 상기 어퍼 그립바디의 자유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측바디부와 어퍼 그립바디를 결합시키는 어퍼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터 그립바디의 하측바디부는 로워 그립바디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중첩되고, 상기 로워 그립바디의 자유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측바디부와 로워 그립바디를 결합시키는 로워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핸들은 센터 그립바디의 센터바디부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그립핸들의 단부에는 그립핸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하여서 상기 그립핸들을 상기 센터바디부에 고정시키는 핸들 이동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핸들 이동제어수단은,
    외측면에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그립핸들의 단부에 부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센터바디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홀드부에 맞물려서 고정되는 록킹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핀을 잡아당겨 상기 홀드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핀을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록킹핀에 연결되어 상기 록킹핀을 홀드부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은,
    레일을 구비하여 차체에 장착된 지지대;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로워 그립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부가 구비된 로드;
    상기 제1 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립바디 회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핸들의 외측면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논슬립 그립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KR1020190158120A 2019-12-02 2019-12-02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KR20210068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20A KR20210068741A (ko) 2019-12-02 2019-12-02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US17/038,663 US11198382B2 (en) 2019-12-02 2020-09-30 Variable handle device for getting on and off a vehicle
CN202011137304.4A CN112977222A (zh) 2019-12-02 2020-10-22 用于上下车辆的可变拉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20A KR20210068741A (ko) 2019-12-02 2019-12-02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741A true KR20210068741A (ko) 2021-06-10

Family

ID=7609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120A KR20210068741A (ko) 2019-12-02 2019-12-02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98382B2 (ko)
KR (1) KR20210068741A (ko)
CN (1) CN1129772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5742B (zh) * 2018-10-16 2022-06-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乘降辅助装置
CN113490613B (zh) * 2019-03-12 2023-05-23 沃尔沃卡车集团 可伸缩扶手装置
CN114670731B (zh) * 2022-05-05 2023-01-20 黄山捷利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全地域目标探测车用上车扶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364A (ja) * 2000-11-17 2002-05-2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US6974134B1 (en) * 2004-01-20 2005-12-13 Asc Industries, Inc. Folding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KR100552065B1 (ko) * 2004-06-15 2006-02-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드 파이프
KR100600129B1 (ko) * 2004-08-13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인너핸들 장착 구조
US8720924B2 (en) * 2005-10-31 2014-05-13 Phillip C. Ruehl Auxiliary step and hand hold system
US20070204437A1 (en) * 2006-03-01 2007-09-06 Hartmann Richard Jr Folding assist handle assembly
US20120222269A1 (en) * 2011-03-03 2012-09-06 Anderson Steven L Portable assist handle for vehicle entry and exit
DE102011006383A1 (de) * 2011-03-29 2012-10-0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Haltestang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US8613475B1 (en) * 2013-01-25 2013-12-24 DoMore Truck Company, LLC Deployable truck bed grab bar
KR20150045643A (ko) * 2013-10-21 2015-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승하차용 손잡이
US10457182B2 (en) * 2015-12-28 2019-10-29 Lippert Components, Inc. Integrated door frame and handle bracket
CN107933395B (zh) * 2017-10-25 2019-10-29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可拆卸扶手
US10946780B2 (en) * 2019-02-27 2021-03-16 Stromberg Carlson Products, Inc. Locking rotatable handrail for stairs
DE102020116388A1 (de) * 2019-06-28 2020-12-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hrzeugkabinenaufbau
JP7192762B2 (ja) * 2019-12-26 202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降用手すり
US11046226B1 (en) * 2020-03-30 2021-06-29 Donald Younce Pivoting handrail with safety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77222A (zh) 2021-06-18
US11198382B2 (en) 2021-12-14
US20210162905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8741A (ko) 트럭의 승하차용 가변 핸들 장치
KR101583952B1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US4561526A (en) Steering and support handle for wheeled luggage
US8585075B2 (en) Stroller and support-frame adjusting device
US8511629B2 (en) Mounting device
US4893835A (en) Vehicle seatbelt deflection device
US20120160617A1 (en) Baggage caster lock device
JPH0476686B2 (ko)
EP1228938A1 (en) Folding stroller
EP3002218A1 (en) Deployment mechanism for a deployable table
US20110062196A1 (en) Wagon and luggage pull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JP2007203084A (ja) 回動自在な引き具構造体
EP1310410A2 (en) Seat belt tongue with handle
US3006098A (en) Fishing rod handle with releasable reel and rod clamping mechanism
US11338766B2 (en) Webbing length adjustment device
JP4810301B2 (ja) 高さ調整機構及び子供用椅子
JP5174131B2 (ja) 車両用開閉扉の開閉操作装置
AU2019236738B2 (en) Caster wheel
JP4549644B2 (ja) ベビーカー
KR10175948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US20040035264A1 (en) Vehicle pedal depressor
JP7023073B2 (ja) 肘掛け装置
JP6338925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590020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