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755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755A
KR20210067755A KR1020190157679A KR20190157679A KR20210067755A KR 20210067755 A KR20210067755 A KR 20210067755A KR 1020190157679 A KR1020190157679 A KR 1020190157679A KR 20190157679 A KR20190157679 A KR 20190157679A KR 20210067755 A KR20210067755 A KR 2021006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inner pot
hanger member
hanger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839B1 (ko
Inventor
강승재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5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솥 내에 조리물과 물을 분리 수용할 수 있는 내솥, 및 내솥을 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행거 부재를 포함하여, 조리물로부터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솥 내에 조리물과 물을 분리 수용할 수 있는 내솥, 및 내솥을 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행거 부재를 포함하여, 조리물로부터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서, 현대인은 열량을 과잉섭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잉 열랑은, 비만이나 당뇨병,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들을 유발한다. 따라서, 저열량 및 질병치료 식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쌀 등에 포함된 당질(녹말)은 주요 탄수화물로서, 인류의 주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당질이 과잉 섭취될 경우, 상기와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쌀을 조리하여 밥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당질을 밥으로부터 분리시켜서 당분을 적게 함유한 밥을 지을 수 있는 조리 장치가 필요하다.
공개특허 제10-2018-01317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외솥 내에 조리물과 물을 분리 수용할 수 있는 내솥, 및 내솥을 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행거 부재를 포함하여, 조리물로부터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가 포함된 본체 내에 투입되는 외솥; 상기 외솥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을 상기 외솥 내에 거치시킬 수 있는 행거 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내솥은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외솥의 적어도 일 부분에 지지되어 거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내솥의 적어도 일 부분이 지지되어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이 상기 걸이부에 거치되면, 상기 내솥의 저면은 상기 외솥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한 상태가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솥은, 상부분의 적어도 일 위치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부재의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행거 부재는, 소정의 크기의 제1 내경을 갖는 제1 라인부, 및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내경을 갖는 제2 라인부을 포함하는 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라인부는 상기 받침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걸이부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라인부에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가이드 패킹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솥은, 솥 본체, 및 상기 솥 본체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행거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돌부는 상기 행거 부재의 상기 걸이부에 걸려져서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제1 라인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3 내경을 갖는 제3 라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솥은,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는, 쌀을 밥으로 조리하는 과정에서, 쌀에서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당질을 포함하는 저당 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취식자의 다이어트에 용이하며, 당뇨병 환자가 백미를 섭취할 수 있다. 특히, 소화장애를 겪는 취식자의 경우, 현미와 같은 잡곡 섭취가 어려운데,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에 의해서 밥을 지을 경우, 당질 함량이 낮아진 백미밥을 지을 수 있으므로, 소화장애를 겪는 취식자가 이러한 백미밥을 취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복잡한 기구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한 행거 부재와 내솥만으로 저당 밥을 지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조리 장치에 대해 추가되는 비용이 크지 않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솥 내에 내솥 및 행거 부재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행거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 는 외솥 내에 행거 부재와 내솥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은 내솥이 행거 부재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4 는 내솥이 행거 부재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행거 부재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 은 외솥 내에 행거 부재와 내솥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은 내솥이 행거 부재의 제3 라인부에 거치된 상태이며, 도 4 는 내솥이 행거 부재의 제2 라인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솥 내에 내솥 및 행거 부재가 투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솥(10) 내에 내솥(20) 및 행거 부재(100)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외솥(10), 내솥(20), 및 행거 부재(100)를 포함한다.
외솥(10)은 곡류 및 물을 담을 수 있는 솥 형태의 부재이다. 외솥(10)은 소정의 가열 장치가 구비된 본체(미도시)에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와 단면적을 갖는다. 외솥(10)은 가열 장치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기 적절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외솥(10)에는 지지부(12)가 구비된다. 지지부(12)는 외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지지부(12)는 외솥(10)의 상부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12)는 외솥(10)의 상부분에 형성되며 타 부분에 비해서 잘록하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내솥(20)은 외솥(10) 내에 투입되는 보울 형태의 부재이다. 내솥(20)은 솥 본체(22), 및 행거 돌부(26)를 포함한다.
솥 본체(22)는 외솥(10) 내에 투입될 수 있도록 외솥(1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와, 외솥(1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솥 본체(22)에는 배수구(24)가 구비된다. 배수구(24)는 솥 본체(2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천공된 홀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솥(20) 내에 물이 담겨지면 물은 배수구(24)를 통해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구(24)는 솥 본체(22)의 외측 둘레면, 및/또는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돌부(26)는 내솥(20)의 외측 상단부에 구비된다. 행거 돌부(26)는 내솥(20)의 외측 방향으로 솥 본체(22)보다 더 돌출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행거 돌부(26)는 내솥(20)의 양 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내솥(20)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사용자가 내솥(20)을 들어 옮기기 용이하도록 하는 소정의 그립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립 수단(미도시)은, 내솥(20)의 솥 본체(22)의 내측에 구비되는 소정의 돌기일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구멍이 형성된 툴(일 예로, 주걱)을 이용하여, 상기 돌기를 걸어서 내솥(20)을 잡아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행거 부재(100)는 외솥(10) 내에 투입된 내솥(20)을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서 거치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행거 부재(100)는 받침부(102)와 걸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02)는 외솥(10)에 지지되어 받쳐지는 부분이다. 일 예로, 받침부(102)는 외솥(10)의 지지부(12)에 놓여져서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아울러, 걸이부(104)는 내솥(20)의 적어도 일 부분(실시예에 의하면, 행거 돌부(26))을 걸어서 지지하여, 내솥(20)을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들어 올리는 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행거 부재(100)의 구체적인 형태를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행거 부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행거 부재(100)는 전체적으로 둥근 고리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행거 부재(100)는 소정의 행거 링(hanger ring)일 수 있다.
상기 행거 부재(100)는, 제1 라인부(110)와, 제2 라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부(110)는, 소정의 크기의 제1 내경(L1)을 갖는 부분이다. 제1 라인부(110)는 상기 받침부(102)를 구성한다.
아울러, 제2 라인부(120)는, 상기 제1 내경(L1)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내경(L2)을 갖는 부분이다. 제2 라인부(120)는 상기 걸이부(104)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라인부(110)와 제2 라인부(120)는 각각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갖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행거 부재(100)는 단일한 하나의 링 형태의 부재로 구성되되, 각 부분의 내경이 상이하도록 절곡(또는 만곡)되어, 제1 라인부(110)와 제2 라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인부(110)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2 개 구비되며, 제2 라인부(120)는 상기 2 개의 제1 라인부(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라인부(120)도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2 개 구비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마주보는 제1 라인부(110) 사이의 거리(즉, 상기 제1 내경(L1)의 2 배 거리)는, 내솥(20)의 행거 돌부(26)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2 라인부(120) 사이의 거리(즉, 상기 제2 내경(L2)의 2 배 거리)는, 내솥(20)의 솥 본체(22)의 내경보다는 크고, 내솥(20)의 행거 돌부(26)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다. 따라서, 내솥(20)을 행거 부재(100)에 투입시켰을 때, 행거 돌부(26)가 제2 라인부(120) 상에 위치하면 내솥(20)의 행거 돌부(26)가 제2 라인부(12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라인부(110)에는 가이드 패킹(13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패킹(130)은 제1 라인부(110)를 둘러싸는 대롱 형태의 패킹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킹(130)은 탄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4 는 외솥(10) 내에 행거 부재(100)와 내솥(20)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은 내솥(20)이 행거 부재(10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4 는 내솥(20)이 행거 부재(100)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100)를 외솥(10) 내에 넣으면, 큰 내경을 갖는 부분인 제1 라인부(110)는 외솥(10)의 지지부(12) 상에 놓여서 지지된다. 따라서 행거 부재(100)가 외솥(10)의 지지부(12)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라인부(110)에 가이드 패킹(130)이 구비되면 가이드 패킹(130)이 외솥(10)의 지지부(12)와 맞닿아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달성된다. 또한, 행거 부재(100)와 외솥(10) 사이의 마찰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과 같이, 내솥(20)이 행거 부재(10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바닥면 상에 놓여 지지된다.
도 4 와 같이, 행거 부재(100)의 제1 라인부(110)가 외솥(10)의 지지부(12)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라인부(120) 상에 상기 내솥(20)의 행거 돌부(26)를 올려 놓으면, 내솥(20)이 들어 올려져서,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거치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100)를 포함한 조리 장치를 사용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내솥(20)에 쌀을 담아서 세척한다. 쌀 세척 과정에서, 내솥(20)에 형성된 배수구(24)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므로, 쌀 세척을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세척한 쌀을 옮길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이어서, 외솥(10)에 물을 담는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외솥(10)에 담겨지는 물의 양은 조리하고자 하는 밥이 필요로 하는 적정한 물의 용량보다 많을 수 있다. 예컨대, 2 인분의 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내솥(20)에 담겨지는 쌀의 양은 2 인분일 수 있고, 외솥(10)에 담겨지는 물의 양은 3 인분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세척된 쌀이 담겨진 내솥(20)을 외솥(10)에 투입하고, 행거 부재(100)를 외솥(10)에 설치한다. 이때, 내솥(20)은 행거 부재(100)에 거치되어 있지 않고, 외솥(10)의 바닥면 상에 놓인 상태이다. 이 상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이다.
이어서, 외솥(10)과 내솥(20)을 가열 장치가 구비된 본체 내에 투입한 후, 뚜껑을 닫고 가열 장치를 작동시켜서 1차 취사를 진행한다. 1차 취사는 물이 끓어서 물 내에 담겨진 쌀이 가열되는 끓임 형태의 조리일 수 있다. 1차 취사가 진행됨에 따라서 당질을 함유한 당질수가 쌀에서 생성된다. 즉, 쌀 내의 당질이 물로 빠져나와서 당질수로 이루어진 밥물이 생성된다. 물론, 쌀은 밥물 내에 담겨져 있다.
일정시간 동안 1차 취사를 진행하여 1차 취사가 완료되면, 조리 장치 내의 압력이 빠질 수 있다. 아울러, 조리 장치 내의 압력이 빠진 후에는 뚜껑이 개방된다.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내솥(20)을 들어서 행거 부재(100)에 거치시킨다. 내솥(20)을 행거 부재(100)에 거치시키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내솥(20)의 행거 돌부(26)를 행거 부재(100)의 제2 라인부(120)(걸이부(104)) 상에 걸어서 거치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내솥(20)을 들어 옮기는 것은 소정의 툴과 내솥(20)에 구비된 그립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뚜껑을 개방하는 단계와, 내솥(20)을 행거 부재(100)에 거치시키는 단계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할 수 있다.
내솥(20)의 행거 돌부(26)가 행거 부재(100)의 걸이부(104) 상에 걸어져 거치되면, 내솥(20)이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들어 올려지는 형태의 거치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이다. 따라서, 외솥(10) 내의 밥물로부터 내솥(20) 내의 밥이 들어 올려져서 빠져나온다. 아울러, 내솥(20) 내의 (중간 조리된)밥으로부터 내솥(20)의 배수구(24)를 통해 밥물이 배수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본체의 뚜껑을 닫고 가열 장치를 작동시켜서 2차 취사를 수행한다. 현재 상태에서는, 내솥(20) 내에 담겨진 밥은 외솥(10)에 담겨져 있는 밥물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이다. 따라서, 2차 취사는 외솥(10) 내의 밥물이 끓어서 생성된 스팀에 의해서 내솥(20) 내의 밥이 마저 조리되는 스팀 조리 형태의 조리일 수 있다.
2차 취사가 일정 시간 동안 진행되어 2차 취사가 완료되면 조리가 완료된다.
이러한 조리 과정을 거침에 따라서, 밥으로부터 당질이 분리된 저당 밥이 조리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행거 부재(100)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행거 부재(200)가 제1 라인부(210), 제2 라인부(220), 및 가이드 패킹(130) 외에 제3 라인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며, 제2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200)의 제3 라인부(2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라인부(240)는, 제1 라인부(21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경(L1)보다 작은 제3 내경(L3)을 갖고 연장되는 바텀 라인(242)과, 상기 바텀 라인(242)의 양 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라인부(210) 또는 제2 라인부(22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라인(24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내경(L3)은 상기 제2 내경(L2)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3 라인의 바텀 라인(242)은 하부 걸이부를 구성하며, 제2 라인은 상부 걸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 및 7 은 외솥(10) 내에 행거 부재(200)와 내솥(20)이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은 내솥(20)이 행거 부재(200)의 제3 라인부(240)에 거치된 상태이며, 도 4 는 내솥(20)이 행거 부재(200)의 제2 라인부(220)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과 같이, 내솥(20)이 행거 부재(200)의 제3 라인부(24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거치된다. 그러나, 내솥(20)이 비교적 아래에 위치하므로, 내솥(20) 및 내솥(20) 내의 쌀이 물에 담겨질 수 있다.
도 7 과 같이, 행거 부재(200)의 제1 라인부(210)가 외솥(10)의 지지부(12)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라인부(220) 상에 상기 내솥(20)의 행거 돌부(26)를 올려 놓으면, 내솥(20)이 더 위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상태로 거치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200)를 포함한 조리 장치를 사용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200)를 포함한 조리 장치를 사용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에서는, 1차 취사 과정이 제1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100)를 포함한 조리 장치를 사용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과 상이하다. 한편, 다른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200)를 이용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의 1차 취사 과정에서는, 제3 라인부(240)의 바텀 라인(242) 상에 외솥(10)의 행거 돌부(26)를 올려 놓아서, 외솥(10)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솥(20)이 소정 높이만큼 들어 올려진 상태로 거치된 상태에서 1차 취사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1차 취사를 수행하면, 1차 취사 과정에서. 쌀로부터 추출되어 분리된 당질이 내솥(20) 아래에 침전될 수 있다. 즉, 당질의 분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1차 취사를 마친 후 제2 라인부(220) 상에 외솥(10)의 행거 돌부(26)를 올려 놓으면 밥물(당질수)에서 내솥(20)이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2차 취사를 수행하면 스팀 취사가 수행된다.
따라서, 1차 취사 과정에서 당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므로, 내솥(20)과 외솥(10)의 사이의 마찰 발생이 방지되며 내솥(20)과 외솥(10)의 코팅을 보호할 수 있다.
도 8 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외솥(10) 내에 내솥(20) 및 행거 부재(100, 200)가 투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서, 내솥(20)이 지지 돌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서, 내솥(20)이 지지 돌부(3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며, 제3 실시예에 의한 내솥(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지 돌부(30)는 내솥(20)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하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돌부(30)는 탄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솥(10) 내에 내솥(20)을 넣었을 때,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바닥면 상의 소정 높이에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의한 행거 부재(100)를 이용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저당 밥의 조리 과정과 유사하다. 즉, 1차 취사 과정에서 내솥(20)이 외솥(10)의 바닥면 상의 소정 높이에 이격되게 위치하며, 따라서 1차 취사 조리 과정에서 당질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내솥(20)의 바닥면이 외솥(10)의 내면에서 이격되므로, 내솥(20)과 외솥(10)의 코팅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는, 쌀을 밥으로 조리하는 과정에서, 쌀에서 당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당질을 포함하는 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취식자의 다이어트에 용이하며, 당뇨병 환자가 백미를 섭취할 수 있다. 특히, 소화장애를 겪는 취식자의 경우, 현미와 같은 잡곡 섭취가 어려운데,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에 의해서 밥을 지을 경우, 당질 함량이 낮아진 백미밥을 지을 수 있으므로, 소화장애를 겪는 취식자가 이러한 백미밥을 취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는, 복잡한 기구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한 행거 부재(100, 200)와 내솥(20)만으로 저당 밥을 지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조리 장치에 대해 추가되는 비용이 크지 않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외솥
12: 지지부
20: 내솥
22: 솥 본체
24: 배수구
26: 행거 돌부
30: 지지 돌부
100: 행거 부재
102: 받침부
104: 걸이부
110: 제1 라인부
120: 제2 라인부
130: 가이드 패킹
200: 행거 부재
210: 제1 라인부
220: 제2 라인부
230: 가이드 패킹
240: 제3 라인부
242: 바텀 라인
244: 사이드 라인

Claims (7)

  1. 가열 장치가 포함된 본체 내에 투입되는 외솥;
    상기 외솥 내에 투입되는 내솥; 및
    상기 내솥을 상기 외솥 내에 거치시킬 수 있는 행거 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내솥은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외솥의 적어도 일 부분에 지지되어 거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내솥의 적어도 일 부분이 지지되어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이 상기 걸이부에 거치되면
    상기 내솥의 저면은 상기 외솥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한 상태가 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은,
    상부분의 적어도 일 위치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부재의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부재는,
    소정의 크기의 제1 내경을 갖는 제1 라인부, 및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내경을 갖는 제2 라인부을 포함하는 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라인부는 상기 받침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걸이부를 구성하는 조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부에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가이드 패킹이 구비되는 조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솥 본체, 및
    상기 솥 본체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행거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돌부는 상기 행거 부재의 상기 걸이부에 걸려져서 지지될 수 있는 조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제1 라인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3 내경을 갖는 제3 라인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부를 갖는 조리 장치.
KR1020190157679A 2019-11-29 2019-11-29 조리 장치 KR10227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679A KR102275839B1 (ko) 2019-11-29 2019-11-29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679A KR102275839B1 (ko) 2019-11-29 2019-11-29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755A true KR20210067755A (ko) 2021-06-08
KR102275839B1 KR102275839B1 (ko) 2021-07-12

Family

ID=7639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679A KR102275839B1 (ko) 2019-11-29 2019-11-29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8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88Y1 (ko) * 2007-05-22 2008-12-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발효기능이 구비된 홍삼제조기
KR20120007345U (ko) * 2011-04-15 2012-10-24 김선태 찜기 겸용 채반
KR200475450Y1 (ko) * 2014-07-11 2014-12-02 현홍식 찜 용 조리 용기
KR20170122967A (ko) * 2016-04-28 2017-11-07 윤동원 회전 냄비
KR20180131757A (ko) 2017-06-01 2018-12-1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88Y1 (ko) * 2007-05-22 2008-12-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발효기능이 구비된 홍삼제조기
KR20120007345U (ko) * 2011-04-15 2012-10-24 김선태 찜기 겸용 채반
KR200475450Y1 (ko) * 2014-07-11 2014-12-02 현홍식 찜 용 조리 용기
KR20170122967A (ko) * 2016-04-28 2017-11-07 윤동원 회전 냄비
KR20180131757A (ko) 2017-06-01 2018-12-1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839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636B1 (en) Angel hair pasta basket
US5758569A (en) Poultry frying apparatus
TW483742B (en) System enabling cooking of foodstuff
WO2012150786A2 (ko) 면 조리용 압력솥
WO2020080738A1 (ko) 다기능 냄비
US1625999A (en) Domestic cooking vessel
US2867352A (en) Non-splatter covered skillet
KR102275839B1 (ko) 조리 장치
KR200493626Y1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냄비형 요리도구용 뚜껑
JPS596648B2 (ja) 鍋型調理器具
JP4727481B2 (ja) 調理器具
KR200467523Y1 (ko) 해물 찜 용 용기
WO2013081253A1 (ko) 라면용 조리용기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WO2017094244A1 (ja) 加熱調理器
CN212066509U (zh) 防溅防溢锅盖
US1688039A (en) Cooking utensil
CN205433277U (zh) 杠杆式火锅桌
CN217039800U (zh) 一种防止汤汁泼洒的煎锅
JP2012024321A (ja) フライパン
CN206324630U (zh) 一种防护型分离式锅具
US659145A (en) Cooking utensil.
CN211961746U (zh) 一种多功能蒸汽电饭煲
US1826366A (en) Pressure steam cooker
KR102578198B1 (ko)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