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98B1 -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 Google Patents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198B1
KR102578198B1 KR1020220118264A KR20220118264A KR102578198B1 KR 102578198 B1 KR102578198 B1 KR 102578198B1 KR 1020220118264 A KR1020220118264 A KR 1020220118264A KR 20220118264 A KR20220118264 A KR 20220118264A KR 102578198 B1 KR102578198 B1 KR 10257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stant rice
electric pot
container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석
Original Assignee
하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석 filed Critical 하우석
Priority to KR102022011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65D81/3423Packages shrinking in hot water, e.g. for boiling ha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22Cooking rice di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내부에 즉석밥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을 밀봉하도록 부착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는 전기포트 안에 수용 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커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에는 젓가락을 끼울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INSTANT RICE CONTAINER FOR ELECTRIC POT}
본 발명은 전기포트에 넣어 직접 데울 수 있는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식품은 취식이 간편하여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널리 애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즉석식품은 뜨거운 물이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워 먹을 수 있게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레토르트 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석식품의 일 예로 즉석밥은 전자레인지 등에서 간편하게 데워 먹을 수 있도록 한 간편밥인데, 밥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즉석밥의 수요는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즉석밥은 여행이나 야외활동과 같이 취사에 제한이 있을 때 필수적으로 챙겨가는 즉석식품으로 자리를 잡은 것은 물론 가정에서도 급하게 밥을 지어야 하는 상황에 대비한 보관식품으로도 수요가 높다.
상온에서 보관한 즉석밥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로 데워야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가장 간편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끓는 물에 담가서 따뜻하게 데우기도 한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나온 즉석밥은 전자레인지나 냄비에 넣고 데우는 것을 상정한 용기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이런 용기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를 테면, 모텔이나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에서는 객실에 별도의 취사시설이 없고 전자레인지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화재의 위험 때문에 가열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피나 녹차를 마실 수 있도록 마련된 전기포트가 거의 유일한 수단인데, 현재의 즉석밥 용기로는 전기포트를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99829호 (2020.12.31 등록)
본 발명은 모텔이나 호텔과 같은 숙박업소에 비치된 전기포트를 이용하여 직접 즉석밥을 데우기에 적합한 즉석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내부에 즉석밥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을 밀봉하도록 부착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는 전기포트 안에 수용 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커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에는 젓가락을 끼울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는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은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서로 대향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에 대향하는 밑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안에 보관되는 보조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측벽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는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은 반원통의 절개면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밑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의 반원주면 상에는 평평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는, 복수의 반원통 용기가 절취되어 서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반원통 용기가 하나의 원통형 용기를 이루었을 때의 사이즈가 전기포트 안에 수용 가능한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는 전기포트 안에 넣고 물을 끓여서 즉석밥을 바로 데울 수 있고, 또한 실링커버의 파지부에 구비된 관통홀에 젓가락을 끼워서 전기포트의 입구에 걸어놓음으로써 전기포트 안으로 손을 넣어서 즉석밥 용기를 꺼낼 필요가 없게 되어 수증기로 인한 화상이나 열감 없이 안전하게 전기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즉석밥 용기를 전기포트에 넣어 데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보조용기를 포함하는 즉석밥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즉석밥 용기가 절취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즉석밥 용기 2개를 전기포트에 넣어 데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포트 안에 넣고 바로 데워먹기에 적합한 즉석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내부에 즉석밥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을 밀봉하도록 부착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는 전기포트 안에 수용 가능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링커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나아가 상기 파지부에는 젓가락을 끼울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즉석밥 용기는 전기포트 안에 넣고 물을 끓여서 즉석밥을 바로 데울 수 있고, 또한 실링커버의 파지부에 구비된 관통홀에 젓가락을 끼워서 전기포트의 입구에 걸어놓음으로써 전기포트 안으로 손을 넣어서 즉석밥 용기를 꺼낼 필요가 없게 되어 수증기로 인한 화상이나 열감 없이 안전하게 전기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10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전후나 상하좌우의 방향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삼는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은 전기포트(200) 안에 넣고 바로 데워먹기에 적합한 즉석밥 용기(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즉석밥 용기(100)는 내부에 즉석밥을 수용하는 일정 체적의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110)와, 용기 본체(110)의 개구면을 밀봉하도록 부착되는 실링커버(1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10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용기 본체(110)는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용기 본체(110)의 개구면은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는 전기포트(200) 안에 수용 가능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보통의 전기포트(200)는 대략 1리터 이상의 용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130g이나 210g 용량 정도의 즉석밥은 전기포트(200)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로 용기 본체(110)를 쉽게 설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즉석밥 용기(100)는 전기포트(200) 안에 들어가야 하므로,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인 용기 본체(110)의 최대지름이 전기포트(200)의 주수입구 지름보다 작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용기 본체(110)의 개구면에 부착되는 실링커버(120)는 즉석밥의 보존을 위해 용기 본체(110)의 내부를 밀봉해야 하며, 취식할 때는 용기 본체(110)에서 말끔이 분리되어야 한다. 실링커버(120)를 손으로 잡아 제거하기 쉽도록, 실링커버(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밥 용기(100)는, 파지부(122)에는 젓가락(300)을 끼울 수 있는 관통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즉석밥 용기(100)를 전기포트(200)에 넣어 데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용기 본체(110)의 사이즈는 전기포트(200)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이므로, 즉석밥 용기(100)는 전기포트(200) 안으로 깊숙히 들어가 끓는 물 안에 충분히 잠길 수 있다.
그런데, 즉석밥 용기(100)를 전기포트(200) 안에 넣어서 끓는 물에 직접 데우게 되면, 가열이 다 끝난 후에 즉석밥 용기(100)를 꺼내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즉석밥 용기(100)를 꺼낼 때 끓는 물과 수증기 때문에 뜨거운 열감으로 고통을 느끼고 심할 경우에는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를 피하려고 물이 식을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에 끓는 물을 버린다면, 다른 즉석밥을 데워야 하는 경우에 또 그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즉석밥 용기(100)는 실링커버(120)의 파지부(122)에 젓가락(300)을 끼울 수 있는 관통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10)가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무게 균형을 위해 파지부(122)가 서로 대향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파지부(122)의 관톨홀을 통해 젓가락(300)을 끼운 상태에서 즉석밥 용기(100)를 전기포트(200) 안에 넣으면 젓가락(300)이 주수입구에 걸쳐진다. 이에 따라, 즉석밥 용기(100)는 젓가락(300)에 매달린채 전기포트(200) 안에 들어가게 되며, 가열이 끝나면 젓가락(300)을 들어올림으로써 화상의 위험 없이 즉석밥 용기(100)를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즉석밥 용기(100)는 전기포트(200)의 끓는 물과 수증기에 의한 고통이나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끓는 물을 버리지 않기 때문에 몇 개의 즉석밥이라도 빠르게 데울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젓가락(300)에 매달린 즉석밥 용기(100)는 전기포트(200) 안에서 떠있기 때문에 가열되는 물의 대류가 원활히 일어나 즉석밥 용기(100)를 빠르고 고르게 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의 가열판에 의한 용기 본체(110)의 파손이나 변형의 염려가 없다는 장점도 가진다.
도 3은 보조용기(140)를 포함하는 즉석밥 용기(1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인 용기 본체(110)의 개구면에 대향하는 밑면에는 오목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오목부(130) 안에 보관되는 보조용기(1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보조용기(140)는 용기 본체(110) 밑면의 오목부(130)에 끼워져 고정되는 추가적인 용기로서, 보조용기(140) 안에는 각종 반찬이나 후식 등이 들어갈 수 있다. 즉석밥을 취식할 때 동반되는 반찬이나 후식을 담은 보조용기(140)를 용기 본체(110)에 끼워 한몸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공간을 절약하고 정리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보조용기(140)에 담긴 음식을 함께 데울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용기 본체(110)에 보조용기(140)를 끼운 상태 그대로 전기포트(200)에 넣어 함께 가열하는 것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
보조용기(140)는 반복 사용이 가능한 용기이거나, 또는 일회용 용기일 수도 있다. 또한, 각종 반찬이나 후식이 담긴 보조용기(140)를 별도의 상품으로 판매하여 즉석밥과 함께 패키지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매출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조용기(140)를 담는 오목부(130)는 그 둘레를 감싸는 측벽(132)을 구비하는데, 이 측벽(132)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측벽(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벽(132') 사이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끓는 물의 흐름이 오목부(130) 안으로도 원활히 일어나도록 하여 즉석밥이 균일하게 데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제2 실시형태는 용기 본체(110)가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용기 본체(110)의 개구면은 반원통의 절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의 용기 본체(110)는, 이를 테면 대나무통밥에 유사한 형태를 가진 것인데, 반원통의 절개면에 개구면이 형성됨으로써 취식하기에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전기포트(200) 안에 넣기에 적합한 기다란 형태를 지니고 있다. 용기 본체(110)가 반원통 형상을 이룸에 따라 관통홀(124)이 형성된 파지부(122)는 용기 본체(110)의 반원형 밑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며, 무게 균형상 파지부(122)는 하나만 구비되어도 충분하다.
다만, 제2 실시형태의 반원통형 용기 본체(110)는 개구면의 반대편이 반원주면을 이루기 때문에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여, 용기 본체(110)의 반원주면 상에 평평부(114)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테이블 위에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즉석밥 용기(100)가 절취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용기 본체(110)는 복수의 반원통 용기(112)가 개구면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개의 반원통 용기(112)는 연결된 사이마다 절취되어 하나씩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반원통 용기(112)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보관과 취급이 간편하며, 필요한 개수만큼씩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즉석밥 용기(100) 2개를 전기포트(200)에 넣어 데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반원통 용기(112)가 맞닿아 하나의 원통형 용기를 이루었을 때의 사이즈가 전기포트(200) 안에 한번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젓가락(300)으로 두 개의 반원통 용기(112)를 한번에 꿰어 동시에 전기포트(200)로 데울 수 있으므로 가열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즉석밥 용기 110: 용기 본체
112: 반원통 용기 114: 평평부
120: 실링커버 122: 파지부
124: 관통홀 130: 오목부
132: 측벽 140: 보조용기
200: 전기포트 300: 젓가락

Claims (8)

  1. 내부에 즉석밥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전기포트(200) 안에 수용 가능한 사이즈의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 구조의 용기 본체(110);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면을 밀봉하도록 부착되는 실링커버(120);
    상기 실링커버(120)의 양단에 한 쌍으로 대향배치되고, 젓가락(300)을 끼울 수 있는 관통홀(124)이 형성된 구조의 파지부(122);
    상기 용기 본체(110)의 개구면에 대향하는 밑면에 형성된 오목부(130);
    상기 오목부(130) 안에 보관되는 구조의 보조용기(140); 및
    상기 오목부(130)를 둘러싸도록, 용기 본체(110)의 하부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배치된 구조의 측벽(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118264A 2022-09-20 2022-09-20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KR10257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64A KR102578198B1 (ko) 2022-09-20 2022-09-20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64A KR102578198B1 (ko) 2022-09-20 2022-09-20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198B1 true KR102578198B1 (ko) 2023-09-12

Family

ID=8801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64A KR102578198B1 (ko) 2022-09-20 2022-09-20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1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82U (ko) * 1990-04-27 1992-01-14
KR200414773Y1 (ko) * 2006-02-10 2006-04-24 김종찬 휴대용 즉석 용기
KR200436753Y1 (ko) * 2006-10-26 2007-10-02 주식회사농심 즉석면용 용기
KR102199829B1 (ko) 2019-12-24 2021-01-07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즉석식품 가열 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82U (ko) * 1990-04-27 1992-01-14
KR200414773Y1 (ko) * 2006-02-10 2006-04-24 김종찬 휴대용 즉석 용기
KR200436753Y1 (ko) * 2006-10-26 2007-10-02 주식회사농심 즉석면용 용기
KR102199829B1 (ko) 2019-12-24 2021-01-07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즉석식품 가열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US4204609A (en) Cooking, serving and warm-keeping arrangement
US4646628A (en) Cooking utensil
US3347404A (en) Holder for multiple cooking containers
EP1348362B1 (en) High-functionality bowl structure
US20070261568A1 (en) Triangular frying pan
KR102578198B1 (ko)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US4323167A (en) Insulating container for cooking food
US1063609A (en) Domestic cooking vessel.
JP2002300966A (ja) 容器兼用蒸し器
US4117948A (en) Insulated server with cooperating pans
GB2049400A (en) Cooking vessel
JP3547126B2 (ja) 殻付き貝用蒸し鍋
CN215777269U (zh) 一种改进结构型组合多用的养生锅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CN217885699U (zh) 隔热炊具
JPH0556965B2 (ko)
CN211673853U (zh) 一种食物保温圈及保温装置
JP3224755U (ja) 複数品目同時加熱クッカー
CN214072872U (zh) 罐子和砂锅
CN218044720U (zh) 一种碗锅一体电炊具
KR102655243B1 (ko) 적층식 조리기구 세트
JP3203316U (ja) スチーム調理鍋フレームユニット
CN208590870U (zh) 电蒸锅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