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583A -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583A
KR20210067583A KR1020190157356A KR20190157356A KR20210067583A KR 20210067583 A KR20210067583 A KR 20210067583A KR 1020190157356 A KR1020190157356 A KR 1020190157356A KR 20190157356 A KR20190157356 A KR 20190157356A KR 20210067583 A KR20210067583 A KR 2021006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reclining
height
s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9015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583A/ko
Publication of KR2021006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 유닛과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도 조절을 위한 하이트 유닛을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단일의 코어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유닛,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유닛, 및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 사이에서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에 대한 록킹 또는 언록킹상태를 각각 조절하는 캠레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Seat reclining device with adjustable height}
본 발명은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 조절기능과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도 조절기능을 단일의 코어유닛으로서 수행할 수 있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좌면부, 및 좌면부에 대해 특정 각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등받이부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는 하이트 장치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와 하이트 장치는 각각 별개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져 시트의 프레임에 대해 독립된 위치로 설치되기 때문에, 시트의 제작에 필요로 하는 부품의 수량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시트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데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자동차의 시트는 리클라이닝 장치와 하이트 장치를 시트의 프레임에 대해 별개의 위치로 장착해야 하므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치를 생산하고 조립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046900호 등록특허 제10-129457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 유닛과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도 조절을 위한 하이트 유닛을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단일의 코어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유닛,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유닛, 및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 사이에서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에 대한 록킹 또는 언록킹상태를 각각 조절하는 캠레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설치되는 섹터투스, 상기 섹터투스와 치결합되는 리클라이닝투스, 및 상기 섹터투스에 설치되고 시트의 백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이트 유닛은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설치되는 링크바아, 상기 링크바아에 설치되는 링크투스, 및 상기 링크투스와 치결합되는 하이트투스를 구비하며, 상기 캠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을 언록킹상태로 전환하는 제1웨지부, 및 상기 하이트 유닛을 언록킹상태로 전환하는 제2웨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리클라이닝투스는 상기 캠레버의 제1웨지부와 접촉 가능한 수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이트투스는 상기 캠레버의 제2웨지부와 접촉 가능한 수압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캠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닝투스와 상기 하이트투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캠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제1웨지부와 상기 제2웨지부는 반대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캠레버의 중심에 대한 상기 제1웨지부와 상기 제2웨지부의 원주방향 위치는 무효구간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의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섹터투스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닝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리클라이닝가이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클라이닝투스는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축방향 결합을 위한 가이드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섹터투스를 설치하는 마운팅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브래킷은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섹터투스는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하이트투스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가이드돌기와의 축방향 결합을 위해 가이드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와 상기 가이드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섹터투스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 사이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섹터투스와 상기 하이트투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투스와 상기 하이트투스 사이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 조절을 수행하는 리클라이닝 유닛과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도 조절을 수행하는 하이트 유닛을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단일의 코어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코어유닛의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리클라이닝 유닛과 하이트 유닛이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단일의 코어유닛으로 구성되어 시트의 한 부분에 한정하여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외관미 향상과 함께 부품의 점유공간 축소에 따른 차실내 레이아웃 상의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프레임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대한 구성부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대한 구성부품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캠레버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한 리클라이닝투스의 축방향 연동이동과 그에 따른 섹터투스와 리클라이닝투스 사이의 치결합 해제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캠레버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한 하이트투스의 축방향 연동이동과 그에 따른 링크투스와 하이트투스 사이의 치결합 해제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의 쿠션프레임(10)과 백프레임(12) 사이의 힌지부위에 설치되어 좌면부에 대한 높이 조절기능과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 조절기능을 단일의 코어유닛(1)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쿠션프레임(10)은 시트의 좌우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이들 사이에는 링크바아(14)가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링크바아(14)의 양단부에는 링크아암(16)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링크아암(16)의 타단부는 시트레일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 조절시 상기 링크아암(16)의 경사각은 종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유닛(1)은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유닛,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유닛, 및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 사이에서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이들에 대한 록킹 또는 언록킹상태를 각각 조절하는 캠레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코어유닛(1)은 리클라이닝 유닛과 하이트 유닛 및 캠레버(20)를 동축상으로 배치하고 시트 프레임에 대해 단일의 공간으로 내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시트의 쿠션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 섹터투스(30), 상기 섹터투스(30)와 치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클라이닝투스(40), 및 상기 섹터투스(30)에 설치되고 시트의 백프레임(12)에 고정되는 가이드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섹터투스(30)는 내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내치부(31)를 구비한다.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는 상기 섹터투스의 내치부(31)와 치결합되는 외치부(41)를 외주면에 구비한다.
상기 하이트 유닛은 시트의 쿠션프레임(10)에 설치되는 링크바아(14), 상기 링크바아(14)에 설치되는 링크투스(60), 및 상기 링크투스(60)와 치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트투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하이트 유닛은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리클라이닝 유닛과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바아(14)는 링크아암(16)의 일단부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링크투스(60)는 링크바아(14)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외치부(61)를 구비한다. 상기 하이트투스(70)는 상기 링크투스(60)의 외치부(61)와 치결합되는 내치부(71)를 내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구비한다.
상기 캠레버(20)는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을 언록킹상태로 전환하는 제1웨지부(21), 및 상기 하이트 유닛을 언록킹상태로 전환하는 제2웨지부(22)를 구비한다. 즉, 상기 캠레버(20)는 리클라이닝 유닛과 하이트 유닛 사이에서 이들과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리클라이닝 유닛과 하이트 유닛에 대한 록킹상태를 각각 언록킹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캠레버(20)는 중심부위에 조작축(미도시)을 축이음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세레이션부(23)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세레이션부(23)는 조작축과의 축결합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캠레버(2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조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웨지부(21)는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섹터투스(30)와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웨지부(21)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갖추고 있어, 상기 캠레버(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에 대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는 상기 캠레버(20)의 제1웨지부(21)와 접촉 가능한 수압면(42)을 구비하는 데,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수압면(42)은 상기 캠레버(20)의 제1웨지부(21)와의 접촉시 축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캠레버(20)의 제1웨지부(21)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수압면(42)은 각각의 부재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2웨지부(22)는 상기 하이트투스(70)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링크투스(60)와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2웨지부(22)는 제1웨지부(21)와 반대되는 다른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갖추고 있어, 상기 캠레버(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하이트투스(70)에 대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이트투스(70)는 상기 캠레버(20)의 제2웨지부(22)와 접촉 가능한 수압면(72)을 구비하는 데, 상기 하이트투스(70)의 수압면(72)은 상기 캠레버(20)의 제2웨지부(22)와의 접촉시 축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캠레버(20)의 제2웨지부(22)와 상기 하이트투스(70)의 수압면(72)은 각각의 부재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캠레버(20)에 있어, 제1웨지부(21)와 제2웨지부(22)는 각각 리클라이닝투스(40)와 하이트투스(70)를 향해 상호 반대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캠레버(20)의 중심에 대한 제1웨지부(21)와 제2웨지부(22)의 원주방향 형성위치는 무효구간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무효구간은 상기 캠레버(20)의 일방향 회전시 반대편 부위에 위치한 웨지부와 수압면 사이에서 접촉에 의한 축방향 가압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상기 캠레버(20)의 중심에 대한 제1웨지부(21)와 제2웨지부(22) 사이의 이격되는 각도구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캠레버(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웨지부(21)는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수압면(42)과의 접촉을 통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제2웨지부(22)는 상기 하이트투스(70)의 수압면(72)과는 비접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캠레버(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웨지부(22)는 상기 하이트투스(70)의 수압면(72)과의 접촉을 통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웨지부(21)는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수압면(42)과는 비접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섹터투스(30)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닝가이드(80)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리클라이닝가이드(80)는 링형상의 부재로서,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81)를 구비하고,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는 외주면에 상기 리클라이닝가이드(80)의 가이드돌기(81)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홈(4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리클라이닝가이드(80)의 가이드돌기(81)는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3)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캠레버(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81)와 가이드홈(43)은 각각의 부재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프레임(10)에 대해 상기 섹터투스(3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쿠션프레임(10)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래킷(9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브래킷(90)은 상기 섹터투스(30)와의 결합을 위해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91)를 구비하고, 상기 섹터투스(30)는 상기 가이드돌기(91)와 결합되는 관통구멍(32)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이트투스(70)는 외주면에 상기 마운팅브래킷(90)의 가이드돌기(91)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이드홈(7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마운팅브래킷(90)의 가이드돌기(91)는 상기 섹터투스(30)의 관통구멍(32)과의 결합을 통해 섹터투스(3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이트투스(70)의 가이드홈(73)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캠레버(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이트투스(70)가 축방향 이동할 때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91)와 관통구멍(32) 및 가이드홈(73)은 각각의 부재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와 상기 가이드링(50) 사이의 축방향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섹터투스(30)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 사이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0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100)는 상기 섹터투스(30)의 내치부(31)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외치부(41) 사이를 록킹상태로 치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에 대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탄성부재(100)는 상기 캠레버(20)에서 제1웨지부(21)가 형성되는 보스부위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중공의 접시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섹터투스(30)와 상기 하이트투스(70) 사이의 축방향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투스(60)와 상기 하이트투스(70) 사이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1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2탄성부재(110)는 상기 링크투스(60)의 외치부(61)와 상기 하이트투스(70)의 내치부(71) 사이를 록킹상태로 치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하이트투스(70)에 대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2탄성부재(110)는 상기 캠레버(20)에서 제2웨지부(22)가 형성되는 보스부위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중공의 접시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이트투스(70)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과 도 4에 있어, 미설명 부호 120은 링크바아(14)의 외주면에 대해 백프레임(12)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먼저, 상기 캠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웨지부(21)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수압면(42) 사이의 접촉에 따른 축방향 이동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는 축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섹터투스(30)의 내치부(31)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외치부(41) 사이의 치결합은 해제상태로 전환되므로, 리클라이닝 유닛은 록킹상태에서 언록킹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되어 시트의 백프레임(12)에 대한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캠레버(2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웨지부(21)에 의한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수압면(42)에 가해졌던 축방향 이동력이 사라지게 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10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섹터투스(30)의 내치부(31)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40)의 외치부(41) 사이의 치결합은 체결상태로 전환되므로, 리클라이닝 유닛은 언록킹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되어 시트의 백프레임(12)에 대한 경사각도는 셋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캠레버(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웨지부(22)와 상기 하이트투스(70)의 수압면(72) 사이의 접촉에 따른 축방향 이동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하이트투스(70)는 축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링크투스(60)의 외치부(61)와 상기 하이트투스(70)의 내치부(71) 사이의 치결합은 해제상태로 전환되므로, 하이트 유닛은 록킹상태에서 언록킹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되어 시트의 쿠션프레임(10)에 대한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캠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웨지부(22)에 의한 상기 하이트투스(70)의 수압면(72)에 가해졌던 축방향 이동력이 사라지게 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11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투스(60)의 외치부(61)와 상기 하이트투스(70)의 내치부(71) 사이의 치결합은 체결상태로 전환되므로, 하이트 유닛은 언록킹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되어 시트의 쿠션프레임(10)에 대한 높이는 셋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코어유닛
10-쿠션프레임 12-백프레임
14-링크바아 16-링크아암
20-캠레버 21-제1웨지부
22-제2웨지부 23-세레이션부
30-섹터투스 31-내치부
32-관통구멍
40-리클라이닝투스 41-외치부
42-수압면 43-가이드홈
50-가이드링
60-링크투스 61-외치부
70-하이트투스 71-내치부
72-수압면 73-가이드홈
80-리클라이닝가이드 81-가이드돌기
90-마운팅브래킷 91-가이드돌기
100-제1탄성부재 110-제2탄성부재

Claims (10)

  1. 시트의 등받이부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유닛;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시트의 좌면부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유닛; 및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 사이에서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과 상기 하이트 유닛에 대한 록킹 또는 언록킹상태를 각각 조절하는 캠레버를 구비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설치되는 섹터투스;
    상기 섹터투스와 치결합되는 리클라이닝투스; 및
    상기 섹터투스에 설치되고 시트의 백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이트 유닛은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설치되는 링크바아;
    상기 링크바아에 설치되는 링크투스; 및
    상기 링크투스와 치결합되는 하이트투스를 구비하며,
    상기 캠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을 언록킹상태로 전환하는 제1웨지부; 및
    상기 하이트 유닛을 언록킹상태로 전환하는 제2웨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투스는 상기 캠레버의 제1웨지부와 접촉 가능한 수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이트투스는 상기 캠레버의 제2웨지부와 접촉 가능한 수압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닝투스와 상기 하이트투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캠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제1웨지부와 상기 제2웨지부는 반대되는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의 중심에 대한 상기 제1웨지부와 상기 제2웨지부의 원주방향 위치는 무효구간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투스의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섹터투스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닝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리클라이닝가이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클라이닝투스는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축방향 결합을 위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섹터투스를 설치하는 마운팅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브래킷은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섹터투스는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투스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가이드돌기와의 축방향 결합을 위해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투스와 상기 가이드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섹터투스와 상기 리클라이닝투스 사이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섹터투스와 상기 하이트투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투스와 상기 하이트투스 사이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90157356A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210067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56A KR20210067583A (ko)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56A KR20210067583A (ko)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83A true KR20210067583A (ko) 2021-06-08

Family

ID=7639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56A KR20210067583A (ko)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4760A1 (de) 2022-06-13 2023-12-14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78B1 (ko) 2012-06-28 2013-08-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046900B1 (ko) 2013-12-02 2019-11-21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78B1 (ko) 2012-06-28 2013-08-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046900B1 (ko) 2013-12-02 2019-11-21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4760A1 (de) 2022-06-13 2023-12-14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EP4292873A1 (de) 2022-06-13 2023-12-20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404B2 (en) Seat
JP2008516651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3434779B2 (ja) 乗り物シート用関節機構
JP2007501036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装置
WO2016013564A1 (ja) 車両用シート
JP2007501036A5 (ko)
CN105189195B (zh) 用于车辆座椅的制动配件和车辆座椅
KR20210067583A (ko)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JP6039457B2 (ja) オットマン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H06141949A (ja) アームレストの角度調整機構
JP6334307B2 (ja) 車両用シート
JP5239031B2 (ja) リアシート装置
JP355517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JP2011088586A (ja) 車両用シート
JP6724656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422816B1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H02228914A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2071474B1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KR101073457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664066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유닛
KR102110158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H10109575A (ja) 車両用シートの回転調整機構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