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471A -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 Google Patents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471A
KR20210066471A KR1020190155752A KR20190155752A KR20210066471A KR 20210066471 A KR20210066471 A KR 20210066471A KR 1020190155752 A KR1020190155752 A KR 1020190155752A KR 20190155752 A KR20190155752 A KR 20190155752A KR 20210066471 A KR20210066471 A KR 20210066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activator
smart buoy
buoy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790B1 (ko
Inventor
곽명신
김기선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5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7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가지어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부유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 표면에 도포되는 형광체 페인트를 포함하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 페인트는 형광체, 활성제 및 공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는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과 알루미나(Al2O4)의 비율이 0.1~1:1의 몰비가 되도록 하고, 상기 활성제 및 공활성제는 각각 상기 형광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 12중량부 및 0.001 ~ 11중량부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Smart Buoy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이에 의한 경제적 손실까지 다양한 피해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해양 생물들이 폐어구에 의해 걸리거나 갇혀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약 3천 800억원에 이를 정도이며, 폐어구로 인해 선박이 좌초되는 등의 해양사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어구와 연결된 부이를 해수면에 부유시킴으로써, 어구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안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어구와 부이 사이의 연결줄이 끊어지거나, 외부에서 부이와 어구를 도난해갈 경우, 부이와 어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야간에는 부이나 어구를 회수하려고 하더라도 육안으로 부이를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이를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면서 부이의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형광체, 활성제, 공활성제를 포함하는 형광체 페인트를 스마트부이에 도포함으로써, 야간에도 스마트부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형광체 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가지어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부유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 표면에 도포되는 형광체 페인트를 포함하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 페인트는 형광체, 활성제 및 공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는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과 알루미나(Al2O4)의 비율이 0.1~1:1의 몰비가 되도록 하고, 상기 활성제 및 공활성제는 각각 상기 형광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 12중량부 및 0.001 ~ 11중량부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활성제는 유로퓸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공활성제는 스트론튬,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주석 및 비스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광성이 우수하며 발광 지속시간이 매우 긴 형광체 페인트가 스마트부이에 도포되어 식별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에서 송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구를 관리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페인트가 도포된 스마트 부이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100) 및 어선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구를 관리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광역통신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100)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200)은 스마트부이(100), 어선(210), 어선용관제시스템(250), 육상기지국(220), 육상관제시스템(230) 및 관리선박(미도시)을 포함한다.
스마트부이(100)는 어구와 연결된 상태로 위성(240)으로부터 현재 위치의 GPS신호를 수신하여 좌표정보를 어선(210)으로 송신하거나, 연결된 어구가 유실되면, 어구 유실정보를 어선(210)으로 송신한다. 스마트부이(100)는 장시간 해수면에 부유해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좌표정보를 어선(2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부이(100)는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좌표 및 어구 유실정보를 어선(2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저전력광역통신은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사용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망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저전력광역통신으로는 작은 대역폭 및 넓은 통신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마트부이(100)의 소모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어선(210)은 어선용게이트웨이(215)를 포함한다.
어선용게이트웨이(215)는 스마트부이(100)로부터 수신받은 좌표 및 어구유실 정보를 어선용관제시스템(250)으로 송신하거나 육상기지국(220)으로 송신한다. 어선용게이트웨이(215)는 이더넷에 기초하여 어선용관제시스템(250)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어선용관제시스템(250)은 어선(210)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어구 유실여부 및 스마트부이(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스마트부이(100)와 어구를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어선용관제시스템(250)은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형태로 스마트부이 위치 및 어구 유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어선용관리시스템(250)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테블릿 형태의 이동형 모니터링 단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육상기지국(220)은 어선(21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육상관제시스템(230)으로 송신한다.
육상관제시스템(230)은 육상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육상에서 어구 유실여부 및 스마트부이(100)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어구가 유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부이(100)의 위치 및 유실된 어구의 예상위치를 관리선박(미도시)으로 송신하여 관리선박이 유실된 어구를 회수할 수 있도록 통제한다. 육상관제시스템(230)은 LTE 통신에 기초하여 육상기지국(220)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리선박(미도시)은 스마트부이(100)의 좌표 및 유실된 어구 정보를 수신하여 부이 및 어구를 회수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선박의 역할을 어선(210)이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스마트부이(100)는 센서(310), 어구식별부(320), 안테나부(330), GPS부(340), 저전력광역통신부(350), 제어부(360) 및 전원부(370)를 포함한다.
센서(310)는 스마트부이(100)에 연결된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한다. 센서(310)는 압력센서 또는 자성체 센서일 수 있다. 압력센서는 스마트부이(100)와 어구가 연결된 어구결합부의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어구 유실여부를 감지한다. 즉, 압력센서는 어구결합부에서 어구가 끊어지게 되면, 어구가 끊어짐으로써 감소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자성체 센서는 스마트부이(100)와 어구가 연결된 어구결합부의 자성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한다.
어구식별부(320)는 스마트부이(100) 및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여러 개의 스마트부이(100) 및 어구를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해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복수 개의 스마트부이(100) 중 특정 스마트부이(100)에서 어구를 유실한 경우 식별정보를 통해 관제시스템에서 어구가 유실된 스마트부이 및 유실된 어구를 식별할 수 있다.
안테나부(330)는 GPS부(320) 및 저전력광역통신부(350)와 연결된 GPS 안테나(334) 및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338)를 포함한다.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338)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한고, GPS 안테나(334)는 다이폴 안테나의 상단에 위치 할 수도 있다. 또는, 안테나부(330)는 GPS 안테나(334)와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338)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밴드 형태의 안테나일 수 있다.
GPS부(340)는 GPS 안테나(334)를 통해 위성(24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부이(100)의 GPS 좌표를 도출한다.
저전력광역통신부(350)는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338)를 통해 어선(210) 및 관제센터에게 스마트부이(100)의 식별정보, 좌표정보 및 어구 유실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360)는 센서(310)로부터 어구 유실여부를 수신하여 어구가 유실된 경우 유실정보를 저전력광역통신부(350)를 통해 어선(210) 및 관제센터로 송신한다.
전원부(370)는 스마트부이(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위와 같이 도 3에서 설명한 센서부(310), 어구식별부(320), GPS부(340), 저전력광역통신부(350) 및 제어부(360)는 스마트부이(100)의 소모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저전력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페인트가 도포된 스마트부이(1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부이(100)는 몸체부(500) 및 부유체부(420)를 포함한다.
몸체부(500)는 외부 통신 및 육안 식별력을 제공하는 제1 영역(510)과 GPS좌표 및 어구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제2 영역(520)으로 구분된다.
제1 영역(510)은 내부에 안테나부(330)를 포함하고 있고, 제1 영역(510)의 외부 표면에는 형광체 페인트(410)가 도포된다.
형광체 페인트(410)는 스마트부이(100)의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제1 영역(510) 표면에 도포되며, 형광체, 활성제, 공활성제를 포함한다.
형광체는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과 알루미나(Al2O4)의 비율이 0.1~1:1의 몰비가 되도록 하고, 활성제, 공활성제 및 붕산은 각각 형광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 ~ 12중량부, 0.001 ~ 11중량부 및 1 ~ 9중량부 만큼 포함되도록 한다.
[화학식 1] Mn·Al2O4
위의 화학식은 형광체에 대한 것으로써, M은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이고, 위의 식에서 n은 0.1 내지 1.0의 숫자이다.
위의 화학식으로 정의되는 형광체와 함께 첨가되는 활성제와 공활성제는 형광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 12중량부, 0.001 ~ 11중량부 만큼 첨가하여 분쇄혼합한 다음, 형광체가 고휘도의 발산광 및 장시간의 발광효과를 갖도록 형광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및 1 ~ 9중량부 만큼 첨가한다. 그리고 소성도중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가스 또는 환원성가스의 분위기에서 13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함으로써, 형광체 페인트(410)가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활성제는 유로퓸 산화물일 수 있고, 공활성제는 스트론튬,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주석 및 비스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시약급의 알루미나(Al2O3) 50.98g(0.5mol)과 스트론튬카보네이트(SrCO3) 73.815g(0.5mol), 산화유로피움(Eu2O3) 0.71g(0.002mol)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 1.194g(0.0032mol), 산화이트리움(Y2O3) 0.5g(0.0022mol)을 첨가한 혼합물을 볼밀을 사용하여 미분쇄하면서 12시간동안 혼합한다.
충분히 혼합된 혼합물을 여과한 다음 얻어진 케이크를 건조하고 용제로서 붕산 2.524g(전체무게에 대한 2%에 해당됨)을 첨가 혼합하고 건조분말을 전기로에서 2%의 수소를 함유하는 수소 질소 혼합가스를 흘려보내면서 700℃, 800℃, 900℃, 1000℃, 1140℃, 1200℃, 1300℃, 1400℃까지 각각 승온시킨 다음, 3시간동안 소성한 후 서서히 냉각시켜 형광체 페인트(420) 화합물을 얻었다.
위의 제조방법과 같이 1300℃에서 소성된 형광체 페인트(410) 화합물은 분쇄가 용이하였으며, 씨에스-5 크로마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을 한 결과 최고파장이 녹색의 파장대인 52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형광체 페인트 화합물(410)과 종래의 황화아연과 구리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형광체 페인트 화합물의 발광지속시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50㎜×50㎜×10㎜의 크리스탈용기에 각각 채우고, 축광화합물이 채워진 각각의 시료를 20시간이상 광을 차단하여 보관한 다음 25Watt의 등을 이용하여 20㎝의 거리에서 15분간 광을 투사한 후, 빛을 차단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잔광휘도를 토폰 비엠-5(TOPON BM-5) 렌즈의 시도 2°로 측정한 결과 육안에 의하여 인식이 가능한 빛의 세기인 0.3mCd/㎡ 이하로 떨어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종래의 형광체 페인트 화합물은 대략 180분에 불과한 것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형광체 페인트 화합물은 1000분 이상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1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광체 페인트 화합물은 녹색의 광을 발산하는 페인트 화합물로서 기존의 황화아연계 페인트 화합물에 비하여 월등히 오랜시간동안 발광을 하고 있으므로, 페인트 화합물을 스마트부이에 도포할 경우 종래에 비해 식별력이 향상될 수 있다.
몸체부(500)의 제2 영역(520)은 내부에 센서(310), 어구식별부(320), GPS부(340), 저전력광역통신부(350), 제어부(360) 및 전원부(370)를 포함하고 있고, 외부는 하단에 어구결합부(430)를 포함하며, 부유체부(420)와 결합된다.
제2 영역(520)의 내부에 포함되는 센서(310), 어구식별부(320), GPS부(340), 저전력광역통신부(350), 제어부(360) 및 전원부(370)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어구결합부(430)는 몸체부 제2 영역(520) 하단에 위치하여 어구와 연결된다. 어구결합부(430)와 연결된 어구가 유실될 경우 제2 영역(520) 내부에 있는 구성을 통해 스마트부이(100) 위치 및 어구 유실정보를 어선(210) 및 관제센터로 송신한다.
부유체부(420)는 몸체부의 제 2영역(520)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가지여 스마트부이(100)에 부력을 부여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부이
200: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
210: 어선
220: 육상기지국
230: 육상관제시스템
240: 위성
250: 어선용관제시스템
260: 관리선박
310: 센서
320: 어구식별부
330: 안테나부
334: GPS 안테나
338: 저전력광역통신 안테나
340: GPS부
350: 저전력광역통신부
360: 제어부
370: 전원부
410: 형광체 페인트
420: 부유체부
430: 어구결합부
500: 몸체부
510: 제 1 영역
520: 제 2 영역

Claims (3)

  1.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가져 부력을 부여하는 부유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 표면에 도포되는 형광체 페인트를 포함하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 페인트는
    형광체, 활성제, 공활성제 및 붕산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는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과 알루미나(Al2O4)의 비율이 0.1~1:1의 몰비가 되도록 하고,
    상기 활성제, 공활성제 및 붕산은 각각 상기 형광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 12중량부, 0.001 ~ 11중량부 및 1 ~ 9중량부 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유로퓸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활성제는 스트론튬,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주석 및 비스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KR1020190155752A 2019-11-28 2019-11-28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KR102345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52A KR102345790B1 (ko) 2019-11-28 2019-11-28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52A KR102345790B1 (ko) 2019-11-28 2019-11-28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71A true KR20210066471A (ko) 2021-06-07
KR102345790B1 KR102345790B1 (ko) 2021-12-31

Family

ID=7637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52A KR102345790B1 (ko) 2019-11-28 2019-11-28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7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374A (ko) * 2007-10-31 2009-05-07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세라믹 함유 도료가 피복된 친환경 어구용 납발돌의 제조방법
KR20100004798A (ko) * 2008-07-04 2010-01-13 (주) 더몰론코리아 세라믹 코팅 철강재 봉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716425B1 (ko) * 2015-04-23 2017-03-15 김현범 폴리우레탄 피복층이 코팅된 저비중 친환경 스티로폼 부재의 제조방법
KR20180126270A (ko) * 2017-05-17 2018-11-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용 실리카계 복합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31024A (ko) 2017-05-31 2018-12-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테로스틸벤의 생산 방법
KR101955326B1 (ko) * 2017-03-10 2019-03-12 (주)경인이피에스 코팅층 및 보호층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374A (ko) * 2007-10-31 2009-05-07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세라믹 함유 도료가 피복된 친환경 어구용 납발돌의 제조방법
KR20100004798A (ko) * 2008-07-04 2010-01-13 (주) 더몰론코리아 세라믹 코팅 철강재 봉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716425B1 (ko) * 2015-04-23 2017-03-15 김현범 폴리우레탄 피복층이 코팅된 저비중 친환경 스티로폼 부재의 제조방법
KR101955326B1 (ko) * 2017-03-10 2019-03-12 (주)경인이피에스 코팅층 및 보호층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6270A (ko) * 2017-05-17 2018-11-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용 실리카계 복합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31024A (ko) 2017-05-31 2018-12-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테로스틸벤의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790B1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7096B2 (en) Near infrared doped phosphors having a zinc, germanium, gallate matrix
US20120261617A1 (en) Near infrared doped phosphors having an alkaline gallate matrix
TW200927886A (en) Red line emitting complex fluoride phosphors activated with Mn4+
KR20170045301A (ko) 석류석형 형광가루와 제조방법 및 이 형광가루를 함유하는 장치
Lu et al. Reduction of Mn 4+ to Mn 2+ in CaAl 12 O 19 by co-doping charge compensators to obtain tunable photoluminescence
KR102345790B1 (ko) 식별력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CN103774222B (zh) 一种用于白光LED的Eu3+/Dy3+掺杂NaYF4单晶体及其制备方法
WO2002083814A1 (en) Alkali earth aluminate-silicate photoluminescent pigment which is activated by rare-earth elements
CN103897695B (zh) 一种适用于近紫外光激发的橙红色稀土长余辉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254895B (zh) 硅铝酸盐绿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3881705A (zh) 铈、铽或铕共掺激活的硅铝酸盐蓝绿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3396796B (zh) 一种锑酸盐长余辉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2373062B (zh) 一种适于白光led应用的氟硅酸盐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3468252B (zh) 紫外光及蓝光激发的硅酸盐荧光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051175B (zh) 镧系镓酸盐发光材料及制备方法
CN103468251A (zh) 一种led用硅酸盐绿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3820855B (zh) 一种用于白光LED的Tb3 +/Sm3 +掺杂LiLuF4单晶体及其制备方法
KR102345835B1 (ko) 그립감이 향상된 스마트부이
CN103965894B (zh) 一种白光led用硅酸盐单基质白光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2191056B (zh) 硅酸盐红色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Cho et al. Development of a long-range marine communication system for fishery buoy searching
CN103497769B (zh) 一种适合于近紫外光或蓝光激发的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3059840B (zh) 一种白色超长余辉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492426B (zh) 一种钒酸盐黄色荧光粉、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514147A (zh) 一种夜光涂层绳索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