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371A -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 Google Patents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371A
KR20210065371A KR1020190154012A KR20190154012A KR20210065371A KR 20210065371 A KR20210065371 A KR 20210065371A KR 1020190154012 A KR1020190154012 A KR 1020190154012A KR 20190154012 A KR20190154012 A KR 20190154012A KR 20210065371 A KR20210065371 A KR 2021006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soluble resin
acrylate
alkali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진
김태형
이수진
조대원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371A/ko
Publication of KR2021006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2Polymerisation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3C3-(meth)acrylate, e.g. (iso)prop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5C5-(meth)acrylate, e.g. pen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7C7-(meth)acrylate, e.g. heptyl (meth)acrylate or benz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9C9-(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수지의 경우, 잉크 제조 시 현저하게 개선된 색감과 저장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alkali water soluble resi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ree-component acid, and alkali water soluble resin thereof}
본 발명은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수지의 경우 특히, 수성 잉크 제조 시 현저하게 개선된 색감과 저장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알칼리 수용성 수지(Alkali-Soluble Resin, ASR)는 대부분 유기용제를 용매로 사용하고 있는 수성 잉크, 코팅, 바니쉬(Overprint Vanish, OPV), 에멀전 분야에 수성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칼리를 이용하여 물에 용해하여 제공되며, 한 분자 내에 친수성과 친유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안료를 분산하거나 유화 중합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분야의 수성화를 위하여 활발하게 개발이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7935호에서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산(acid)으로 2성분인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이 제공되어, 이를 혼합 사용하여 수용액을 만들 경우, 기존보다 낮아진 점도로 인해 고분자 유화제로 사용함에 있어 개선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027호는 알칼리 수용성 에멀전 고분자를 분산안정제로 사용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현탁중합법을 개시하고 있다.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류 및 비닐방향족 단량체등을 제공하여 우수한 중합 안정성, 반응 수율 및 생산성 등을 제공하며, 특히, 알칼리 수용성 에멀전을 분산안정제로 제공하고, 이를 수성 매질로부터 모두 회수되어 사용 용매의 재사용이 가능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4438호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고분자 유화제로 이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히,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고분자 유화제로 이용함으로써 낮은 박리 강도, 높은 초기 점착력 및 유지력을 가짐으로써 내구성 및 점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0047889호에서는 스티렌 또는 비닐 톨루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또는 무수말레산을 포함한 알칼리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방향족으로 치환된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시산과 올레핀의 공중 합체 및 중합체 분산액의 수지 성분으로 이들의 공중합에 기초한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들어서 알칼리 수용성 수지에 대한 개발은 다양하고 심도있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상기에서 언급한 특허의 경우, 수지에 제공되는 산으로 주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단일하거나 이중으로 사용한 수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수성 잉크분야에 적용 시, 안료의 흡유량이 높거나 안료를 고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저장안정성이 급격하게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유량이 높은 안료를 사용하거나 안료를 고함량으로 사용하였을 때, 색감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저장안정성을 높이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7935호 (2019.11.0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027호 (2013.01.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4438호 (2017.11.08)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0047889호 (1982.03.2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3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수성 잉크 제조에 적용하면 현저하게 개선된 색감과 저장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제1단량체, 스티렌계 제2단량체 및 (메타)아크릴계 제3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혼합 용매 및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성분의 산은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칼리 수용성 수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수지의 경우, 수성 잉크, 코팅제, 바니쉬(Overprint Vanish, OPV) 및 에멀전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3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수성 잉크 제조에 적용하면 현저하게 개선된 색감과 저장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2-1에 따른 RED 잉크 색감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1에 따른 BLACK 잉크 색감을 확인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량체는 모노머와 동일한 의미이며, 중합체는 단량체들이 중합반응한 것을 의미하며, 관능기라 함은 중합에 관여하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함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은 아크릴과 메타크릴을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칼리 수용성 수지(Alkali-Soluble Resin, ASR)는 3성분의 산(acid)을 포함하면서 스티렌계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중합하여 제조된다. 제조된 알칼리 수용성 수지는 수성 잉크, 코팅제, OPV(Overprint Vanish) 및 에멀전 분야등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수성 잉크분야에 적용되는 경우, 안료 바인더(Pigment binder)로서 안료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분산된 안료를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는 수성 잉크 제조 시 우수한 색감 및 저장안정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제1단량체, 스티렌계 제2단량체 및 (메타)아크릴계 제3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혼합 용매 및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량체의 3성분의 산은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을 포함한다. 산(acid)의 경우, 통상적으로 알칼리 수용성 수지에서 물에 용해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하고, 알칼리 수용성 수지가 수성 잉크에 적용되는 경우 안료의 분산과 안정화에 기여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2성분의 산이 주로 제공됨에 비하여, 본 발명은 3성분의 산이 제공되어 수성 잉크에 적용되는 경우 흡유량이 높은 안료를 사용하거나 안료를 고함량 사용하더라도 저장 안정성을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산가(Acid Value)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단량체로 제공되는 스티렌계는 수지의 경도 (Hardness)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에 포함되어 있는 벤젠고리가 안료와 흡착하는 역할을 하여 분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색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스티렌계로는 예를 들어서, 스티렌 (styrene), α-메틸 스티렌(alpha-methyl styrene), m-메틸 스티렌(m-methyl styrene), p-메틸 스티렌(p-methyl styrene) 및 비닐 톨루엔(vinyl styren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styrene) 및 α-메틸 스티렌(alpha-methyl styrene)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단량체의 (메타)아크릴계는 수지의 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Tg)를 제어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타)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량체, 제2단량체 및 제3단량체의 중량비는 30내지 40: 45 내지 55: 5 내지15 로 제공될 수 있다. 제1단량체의 중량비가 45를 초과하면 저장안정성이 떨어지고, 30미만인 경우 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잉크의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제2단량체의 경우 55를 초과거나 45 미만인 경우 내화학성과 경도의 물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제3단량체의 경우, 15를 초과하거나 분산력에서는 유리하나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고, 5 미만인 경우, 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 조절이 어렵다.
따라서, 산을 포함하는 단량체와 스티렌계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상기와 상기 범위로 제공한 경우, 이를 수성 잉크 제조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저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장기간 보관 시에도 안료의 침강, 응집, 잉크 고화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우수한 저장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실시예의 결과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용매 1 내지 20 중량부 및 반응 개시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용매는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 및 증류수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의 경우, 용매와 수지 간의 반응, 예를 들어 에스테르화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점도, 반응기 내부의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 증류수의 중량비는 1 내지 10:1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1로 제공되어 수지의 점도, 반응기 내부 온도, 압력 등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n-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 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n-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n-부틸 에테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 개시제는 단량체들의 중합반응을 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서, 아조계 개시제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응개시제는 아조계 반응개시제가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서,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니트릴), 디메틸-2,2' -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2-(카르바모일아조)-이소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반응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계 반응개시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 퍼옥사이드, 시틀로헥사논 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록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들 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및 α,α'-비스(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m-돌루오일 퍼옥사이드,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 카보네이트, 디메톡시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3-메틸-3-메톡시부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 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및 디-t-부틸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은 CSTR(Continuous Stirring Tank Reactor)를 이용하여 연속 벌크 중합으로 진행된다. 탱크 반응기 내 체류 시간은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분자량, 산가 및 수지의 색도 등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연속 중합은 15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칼리 수용성 수지가 제공된다.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산가 120 내지 240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3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 5,000 내지 20,000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00 내지 17,0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윤활제, 이형제, 커플링제 등이 필요에 따라 추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수지의 경우, 수성 잉크, 코팅제, 바니쉬(Overprint Vanish, OPV) 및 에멀전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잉크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용액점도는 1,000 내지 20,000으로 제공된다. 상기 범위의 용액점도를 제공하여, 용매의 증발의 방지하고, 적절한 분산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색감과 저장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실시예의 표2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50℃ 내지 150℃로 제공된다. 이에 알칼리 수용성 수지가 유화제로 작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분산성, 상용성 및 중합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의 경우,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방법인 시차 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또는 동적 점탄성(D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로 측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조예>
제조예 1: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제조
스티렌(Styrene) 41.5g, 알파메틸 스티렌(Alpha Methyl Styrene) 9.2g, 아크릴산(Acrylic acid) 23.6g,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7.2g,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 1.8g,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8.7g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t-부틸페록시벤조에이트(t-BPB) 0.071g 및 혼합 용매(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DPM) 6.8g, 물(DW) 1.2g)를 첨가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1L의 SUS 반응기를 이용하여 약 222℃의 온도에서 체류시간 20분의 연속 벌크 중합을 진행하여 수지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1: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제조
스티렌(Styrene) 41.5g, 알파메틸 스티렌(Alpha Methyl Styrene) 9.2g, 아크릴산(Acrylic acid) 21.5g,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11.1g,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8.7g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t-부틸페록시벤조에이트 0.071g 및 혼합 용매(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DPM) 6.8g, 물(DW) 1.2g)를 첨가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량체 조성물을 제외하고는 실험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속중합을 실시하여 수지를 수득하였다.
비교예1-2: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제조
스티렌(Styrene) 41.5g, 알파메틸 스티렌(Alpha Methyl Styrene) 9.2g, 아크릴산(Acrylic acid) 32.6g,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8.7g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t-부틸페록시벤조에이트 0.071g 및 혼합 용매(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DPM) 6.8g, 물(DW) 1.2g)를 첨가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량체 조성물을 제외하고는 실험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속 벌크 중합을 실시하여 수지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1: 알칼리 수용성 수지 용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수득한 수지 30.0 중량부와 이온교환수 67.6 중량부를 혼합한 후 85℃로 가열하고 농도 28%의 암모니아수 2.4 중량부를 3회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리고 120분 동안 교반하여 알칼리 수용성 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알칼리 수용성 수지 용액의 제조
상기 비교예 1-1에 따라 수득한 수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칼리 수용성 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알칼리 수용성 수지 용액의 제조
상기 비교예 1-2에 따라 수득한 수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칼리 수용성 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1: 잉크 제조
상기 제조예 2-1에 따라 수득한 수지용액 45.0g, 이온교환수 63.8g, 소포제 0.8g, Glass bead(1.5mm) 100.0g을 500ml 유리병에 넣고 잘 섞어준다. 상기 배합물에 안료(Red: BASF사 D4240) 40.5g을 넣고 잉크 쉐이커에서 1시간 동안 분산한 다음 Glass bead를 걸어 잉크를 얻는다.
제조예 3-2: 잉크 제조
상기 제조예 2-2에 따라 수득한 수지용액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3: 잉크 제조
상기 제조예 2-3에 따라 수득한 수지용액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산가 측정>
실험예 1-1: 산가 측정
제조예 1과 비교예 1-1 및 1-2에 따라 수득한 각 수지 1.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0g에 용해시킨 후 농도 1%의 페놀프탈레인 용액 6 mL를 첨가하고 수산화칼륨 표준용액(KOH, 0.1M)으로 적정하여 산가를 측정한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잉크 물성 측정>
실험예 2-1: 잉크 색감 확인
선수 #600~800의 Hand proof 롤에 상기 제조예 3-1 내지 3-3에서 수득한 잉크를 스포이드로 2~4방울 취하여 올린 다음, 백상지 또는 크라프트지에 롤을 그어 육안으로 상대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 도 2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2: 잉크 색감 저장안정성 확인
제조예3-1 내지 3-3에 따라 수득한 잉크를 25
Figure pat00001
오븐에 저장하고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LV Type)를 이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경시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비교예 1-1 비교예 1-2
단량체
혼합물
조성
스티렌
(Styren)
41.5 41.5 41.5
α-메틸스티렌 9.2 9.2 9.2
아크릴산 23.6 21.5 32.6
메타크릴산 7.2 11.1 -
무수말레산 1.8 - -
에틸아크릴레이트 8.7 8.7 8.7
혼합용매 DPM 6.8 6.8 6.8
Water 1.2 1.2 1.2
개시제 t-BPB 0.071 0.071 0.071
반응온도(℃) 222 222 222
물성측정 수평균 분자량 4,359 3,490 4,394
중량평균 분자량 17,084 17,228 17,708
분자량 분포 3.92 4.94 4.03
산가 228.0 227.2 227.0
제조예 3-1 제조예 3-2 제조예 3-3
색감* 1~10 7 8 5
Red잉크
저장안정성
(cps)
D+0 150~180 150~180 150~180
D+1 2,500 5,000 Gel(30,000 이상)
D+2 20,000 Gel Gel
* 색감은 육안으로 상대 비교한 것으로 비교순위에 따른 점수임
* D+0, D+1, D+2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경시변화를 의미함
상기 표 1에 배합에 따른 단량체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무수말레산의 3성분의 산을 포함한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활용한 수성 잉크의 물성은 2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비교예 1-1와 1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비교예 1-2의 경우에 비하여, 물성이 우수한 것을 표 2에서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 1과 도면 2의 결과에 따른 육안 비교에서 비교적 우수한 색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용액점도값에 비추어 저장 안정성 역시 우수하게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3성분의 산을 포함하는 제1단량체, 스티렌계 제2단량체 및 (메타)아크릴계 제3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혼합 용매 및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 제2단량체 및 제3단량체의 중량비는 30 내지 40: 45 내지 55: 5 내지 15인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용매 1 내지 20 중량부 및 반응 개시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의 3성분의 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무수말렌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량체의 스티렌계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alpha-methyl styrene), m-메틸 스티렌(m-methyl styrene), p-메틸 스티렌(p-methyl styrene) 및 비닐 톨루엔(vinyl styren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량체의 (메타)아크릴계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개시제는 아조계 개시제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글리콜에테르계화합물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연속 벌크중합으로 진행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중합은 20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진행되는 연속 벌크 중합인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알칼리 수용성 수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20,000인 알칼리 수용성 수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용액점도는 1,000 내지 20,000인 알칼리 수용성 수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50℃ 내지 150℃인 알칼리 수용성 수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성 수지는 수성 잉크, 코팅제, 바니쉬 또는 에멀전에 적용이 가능한 알칼리 수용성 수지.
KR1020190154012A 2019-11-27 2019-11-27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KR20210065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12A KR20210065371A (ko) 2019-11-27 2019-11-27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12A KR20210065371A (ko) 2019-11-27 2019-11-27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71A true KR20210065371A (ko) 2021-06-04

Family

ID=7639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12A KR20210065371A (ko) 2019-11-27 2019-11-27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37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7889A2 (de) 1980-09-11 1982-03-24 BASF Aktiengesellschaft Alkalilösliche Harze auf Basis von Copolymerisaten aus monoolefinisch ungesättigten Carbonsäuren und durch Aromaten substituierten alpha-Olefinen und ihre Verwendung als Harzkomponente in Polymerdispersionen
KR101217027B1 (ko) 2010-04-19 2013-01-02 한국화학연구원 알칼리 수용성 고분자 에멀젼을 분산안정제로 사용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현탁중합법
KR101794438B1 (ko) 2016-02-03 2017-11-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고분자 유화제로 이용한 아크릴계 점착제 제조방법
KR102027935B1 (ko) 2017-01-20 2019-11-04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알칼리 수용성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에멀젼 중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7889A2 (de) 1980-09-11 1982-03-24 BASF Aktiengesellschaft Alkalilösliche Harze auf Basis von Copolymerisaten aus monoolefinisch ungesättigten Carbonsäuren und durch Aromaten substituierten alpha-Olefinen und ihre Verwendung als Harzkomponente in Polymerdispersionen
KR101217027B1 (ko) 2010-04-19 2013-01-02 한국화학연구원 알칼리 수용성 고분자 에멀젼을 분산안정제로 사용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현탁중합법
KR101794438B1 (ko) 2016-02-03 2017-11-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고분자 유화제로 이용한 아크릴계 점착제 제조방법
KR102027935B1 (ko) 2017-01-20 2019-11-04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알칼리 수용성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에멀젼 중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8960B (zh) 碱溶性树脂、其制备方法以及包含碱溶性树脂的乳液聚合物
JP6234221B2 (ja) 水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用アクリル系樹脂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水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KR20170129741A (ko) 감압 접착제
CN110023356B (zh) 改性聚烯烃系树脂
WO2016031883A1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樹脂組成物
JP2023029401A (ja) バイオマス(メタ)アクリル共重合体、それを含むコーティング剤及びインク組成物、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TWI666271B (zh) 包含惰性樹脂之放射線硬化性組成物及其用途
JP2005532464A (ja) カルボン酸変性ビニル系ポリマー組成物
KR20210065371A (ko) 3성분 산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알칼리 수용성 수지
KR20080086362A (ko) 중합로진, 중합로진에스테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및 이들의제조방법, 납땜용 플럭스, 솔더페이스트, 점착부여수지,점착부여수지에멀젼 및 점·접착제조성물
JP2013216809A (ja) 樹脂微粒子
CN1730576B (zh) 喷墨记录用水分散体
JP7031633B2 (ja) 粘着付与樹脂エマルジョン及び水系粘・接着剤組成物
JP5287555B2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6907932B2 (ja) 水系粘・接着剤用の粘着付与樹脂エマルジョン及び水系粘・接着剤組成物
CN103772666A (zh) 一种聚酯改性聚丙烯酸酯树脂及其制备方法
JP2005537363A (ja) ロジン−脂肪酸ビニルポリマー組成物
CN106397656B (zh) 一种水性疏水改性聚甲基丙烯酸盐分散剂的制备和应用
JP6301630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剤組成物
KR100477344B1 (ko) 잉크용 착색 수지의 수성 분산체
KR100477343B1 (ko) 착색 수지용 수성 분산체와 이를 이용한 수분산 착색 수지
JP6930103B2 (ja) 粘着付与樹脂エマルジョン、水系粘・接着剤組成物
CN111072863A (zh) 一种羟基水性丙烯酸酯聚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10040340A1 (en) Water-based ink
JP5063182B2 (ja) ビニル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