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921A -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921A
KR20210063921A KR1020190152600A KR20190152600A KR20210063921A KR 20210063921 A KR20210063921 A KR 20210063921A KR 1020190152600 A KR1020190152600 A KR 1020190152600A KR 20190152600 A KR20190152600 A KR 20190152600A KR 20210063921 A KR20210063921 A KR 20210063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mitter
state information
temperatur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479B1 (ko
Inventor
김두수
Original Assignee
김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수 filed Critical 김두수
Priority to KR102019015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79B1/ko
Priority to PCT/KR2020/016708 priority patent/WO20211075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6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with provision for safeguarding the apparatus, e.g. against abnormal operation, against breakdow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은, 토양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지면 밑에 설치되고, 상기 지면 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정보, 상기 수분정보 및 상기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송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정보 송출기; 및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에 의하면, 식물이 조성되는 골프장, 야구장, 축구장, 공원, 놀이동산 등에서 토양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골프장을 이용하는 골퍼에게 홀컵까지 정확한 거리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 SYSTEM FOR MEASURING DISTANCE AND ANALYZING STATUS INFORMATION OF SOIL }
실시예들은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골프장, 축구장, 야구장, 공원, 놀이동산 등 식물이 조성된 곳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상태정보 송출기를 통하여 토양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가 식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골프(golf)는 스포츠의 일종으로 골프장 코스 위에 놓여진 골프볼을 클럽으로 타격하여 약속된 위치에 심어진 홀컵에 넣고,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打數)의 많고 적음으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이다.
골프는 골프 코스에서 행하여지는 바, 골프장은 들판·구릉·산림 등 약 66만 내지 100만 ㎡의 넓은 지역을 이용하여 정형(整形)되어 있고, 해변에 만들어지는 시사이드 코스와 내륙에 만들어지는 인랜드 코스 등이 있다.
골프코스는 숲이나 계곡, 연못, 작은 산 등의 장애물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형성되기도 하고, 자연의 강이나 바다를 이용하여 형성되기도 한다. 골프코스는 보통 골프볼을 처음 치기 시작하는 지역인 티잉그라운드를 비롯하여,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해저드, 퍼팅 그린, 홀 등으로 구성된다.
골프장의 코스와 경계는 보통 목책이나 말뚝으로 표시하는데, 경계 밖을 OB라고 하고, 볼을 쳐서 넣는 구멍인 홀의 수는 정규의 코스에서는 18개로서 18홀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전반의 9홀을 아웃코스라 하고 후반의 9홀을 인코스라 한다.
골프 코스의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 페어웨이(fairway), 퍼팅 그린(putting green), 러프(rough) 등에는 잔디가 심어져 관리된다.
잔디관리는 보통 골프장에 소속된 관리자가 업무를 수행한다.
골프장 관리자는 잔디깍는 기계를 이용하여 그린 지역, 러브 지역 등에 심어진 잔디를 설정된 길이가 유지되도록 예초하며, 잔디의 생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비료나 영양제를 살포하고,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농약을 살포하기도 한다.
또한 관리자는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손상된 잔디를 떼어 내어 이설하고, 모래를 뿌려 배토하고, 장애물로 설계된 벙커의 모래, 해저드 연못의 수질 등을 관리하며, 스프링쿨러를 이용해 물을 공급하고 잡초를 제거하고, 필드에 설치된 장비를 보수한다.
골프 코스에 심어진 잔디는 골프 코스의 지면의 상태 즉, 온습도, 지면의 염도 등에 따라서 생육 상태가 달라지므로 잔디의 생육 환경을 유지시키는 것은 잔디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업무 중 하나다.
골프 코스의 지면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으면 잔디의 생장이 멈출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 잔디가 마르거나 타서 죽을 수도 있다. 골프 코스의 지면에 영양분이 부족한 경우에 잔디의 생육이 멈출 수 있으며, 병충해에 취약해 질 수 있다.
골프 코스는 매우 넓은 면적을 가진다. 이러한 골프 코스에 심어진 잔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의 골프 코스를 관리자가 직접 돌아보면서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업무가 과중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골프 코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티잉 그라운드, 페어웨이, 퍼팅 그린, 러프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잔디관리도 해당 지역에 맞도록 기 설정된 정도로 정확하게 관리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관리자가 넓은 골프 코스를 일일이 모두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3439호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 야구장, 축구장, 공원, 놀이동산 등 식물이 조성된 곳의 토양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장의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과 연동하여 골프장을 이용하는 골퍼에게 홀컵까지 정확한 거리정보를 알려주는 골프장 거리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은, 토양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지면 밑에 설치되고, 상기 지면 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정보, 상기 수분정보 및 상기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송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정보 송출기; 및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골프장의 각 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상태정보 송출기는, 티잉 그라운드에 설치되는 제1 상태정보 송출기, 페어웨이 지역에 설치되는 제2 상태정보 송출기, 러프 지역에 설치되는 제3 상태정보 송출기, 및 그린 지역에 설치되는 제4 상태정보 송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린 지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4 상태정보 송출기는, 상기 그린 지역의 핀까지의 거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린 지역에 심어지는 홀컵 또는 상기 홀컵에 결합된 깃대 또는 깃발의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상태정보 송출기는 일조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서로 상이한 지역에 각각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은,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태정보 중계기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까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가 상기 상태정보 중계기에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상태정보 중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방식으로 식물 관리를 위한 경고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경고는 상기 온도정보, 상기 수분정보 및 상기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수분 범위 또는 염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온도정보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정보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표시되지만, 상기 토양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아지거나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분정보에 있어서, 상기 수분정보가 미리 설정된 수분량 이하로 내려간 경우 상기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염도정보에 있어서, 상기 염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염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경고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관리자가 해당 위치에 심어진 식물만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일조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서로 상이한 지역 각각에 대한 위치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온도는 10도이고 상기 제2 온도는 18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와 상기 송출부는 일체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식물이 조성된 지면에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송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정보송신부;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식물이 조성된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프로텍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프로텍터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골프공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로텍터의 단차부에 상기 프로텍터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내려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흡수하는 태양에너지 정보 및 상기 송출부가 소비하는 전력소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흡수하는 태양에너지량 정보와 상기 송출부가 소비하는 전력소비량의 차이값을 분석하여 상기 일조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은 골프장, 축구장, 야구장, 공원, 놀이동산 등 식물이 조성된 곳의 토양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골프장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과 연동하여 골프장을 이용하는 골퍼에게 홀컵까지 정확한 거리정보를 알려주는 골프장 거리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골프장 퍼팅 그린에 삽입 설치되는 홀컵의 일측에 부착된 상태정보 송출기의 개념도이다.
도 3b는 골프장 퍼팅 그린의 홀컵에 결합된 깃발에 부착된 상태정보 송출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정보 송출기의 하우징 밑면에 복수의 센서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정보 송출기가 잔디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골프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에 타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은 골프장, 야구장, 축구장, 공원, 놀이동산 등과 같이 식물이 조성된 지역의 토양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지면 밑에 설치되고, 상기 지면 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112)와, 상기 복수의 센서(112)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정보, 상기 수분정보 및 상기 염도정보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송출부(111)를 가지는 복수의 상태정보 송출기(110)를 포함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이 골프장에 설치된 형태를 예시로 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장소는 골프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잔디 등 식물의 조성이 필요한 곳이면 어느 곳이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은, 상기 골프장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중계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은 상기 상태정보 중계기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또는 염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또는 염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식물 관리를 위한 경고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태정보 송출기(110)와 상태정보 중계기 및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는 통신망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상태정보 중계기로 식물이 조성된 지역에서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복수의 센서(112)와 송출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12)는 토양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토양의 수분 정도를 센싱하는 수분센서 및 토양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출부(111)는 상태정보를 발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송출부(111)는 복수의 센서(112)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들이 수집한 지면 밑 토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또는 염도정보를 상태정보 중계기,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에 발송할 수 있다.
송출부(111)는 PCB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송출부(111)와, 상기 복수의 센서(112)와, 전원부(113)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커버케이스 등으로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출부(111)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uetooth Low Energy; BLE)를 기반으로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즉, 송출부(111)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E)을 통한 차세대 스마트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BLE 방식의 송출장치는 RFID에 비해 표준화되어 있어 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BLE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는 송출부(111)는 저전력으로 코인 배터리 하나 정도로 20년 이상 작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복수 개 설치된(예컨대, 골프장의 각 홀마다 설치된)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송출부(111)의 신호 전송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출부(111)는 임의의 통신 방식을 갖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망은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이 골프장에 적용되는 경우,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골프장의 각 홀마다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각 홀의 티잉 그라운드 지역, 페어웨이 지역, 러프 지역, 퍼팅그린 지역에 각각 설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식물의 생육조건을 고려하여 매설될 수 있다. 생육조건 중의 하나는 일조량이다.
복수 개의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심어지는 위치는 일조량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이 골프장에 적용되었을 때, 페어웨이의 언듈레이션에 의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경사면의 방향, 경사도 등에 의하여 일조량이 달라지며, 일조량의 차이는 식물의 생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설치 위치 및 배치 구조는 이러한 경사면의 방향, 경사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페어웨이에서 숲풀, 나무 등에 의하여 그늘진 경우에 해당 지점은 다른 지점과 비교하여 일조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지점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조건이 다르다. 따라서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매설 위치는 이러한 숲풀, 나무 등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조량을 고려하여 배치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태정보 송출기(110)를 설정값 이상 일조량의 차이가 나는 지점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다. 예컨대 페어웨이의 언듈레이션에 의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경사면과 평지는 일조량에 차이가 있는데 그 차이가 설정값 보다 크다면 경사면과 평지 각각 하나씩 상태정보 송출기(1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웨이 지점에는 일조량을 고려하여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설치 갯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태정보 중계기는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한 뒤에 수신한 상태정보와 대응하는 온도정보, 수분정보, 염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정보 중계기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이 설치된 지역의 지상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태정보 중계기는 실시예에 따라서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수신기는 와이파이장치 또는 LTE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태정보 중계기는 와이파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자에 골프장은 와이파이 통신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와이파이장치를 통하여 식물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태정보 중계기는 LTE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LTE 라우터는 통신사에서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상태정보 중계기는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서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가지고 휴대하고 다니면서 실시간으로 상태정보 중계기로부터 골프장의 식물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상세하게는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상태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토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염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해당 정보와 관련한 위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심어진 위치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같은 페어웨이 더라도 일조량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 나는 서로 다른 지역에 각각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심어져 있다면, 이 각각 심어진 지역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130)에는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해당 위치에 심어진 식물만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30)는 서버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30)는 관리자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는 골프 코스에서 잔디의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의미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골프 코스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잔디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100)이 골프장에 적용되는 경우, 골프장의 잔디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잔디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골프장 잔디상태와 관련한 정보와 해당 잔디상태 정보와 대응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상태정보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에게 경고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경고는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가 각각 기 설정된 온도 범위, 수분 범위 및 염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온도가 설정된 제1 온도와,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는 단지 온도정보만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표시되지만, 제1 온도보다 낮아지거나, 제2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경고의 방식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시각적 방식은 사용자 단말기(130)에 푸시알림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와 제2 온도는 기 설정되는 값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 10도와 18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10도 미만이거나 18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경고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수분정보 역시 기 설정된 수분량 이하로 내려간 경우에 경고가 수행될 수 있으며, 염도정보 역시 기 설정된 염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경고가 수행될 수 있다.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하여 위 정보를 확인하고 적절한 시간에, 정확한 지역에, 식물에 관수하거나 적절한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에는 토양의 온도가 제1 온도와,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는 단지 온도정보가 그래프 또는 액셀표 방식의 차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지만, 제1 온도보다 낮아지거나, 제2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는 해당 이상 온도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방식 등으로 칼라를 달리하여 시각적인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에는 올라오는 상태 정보들이 누적될 수 있다. 즉, 그래프 또는 액셀 표처럼 누적되어 저장되다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정보값이 올라온 경우에는 해당 정보값에 대하여는 칼라가 변화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온도가 15도 였으면 기본 칼라로 표시하지만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칼라를 빨간색으로 변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정보가 19도 이면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30)에는 팝업창이 뜨는 등 푸시알람이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해당 상황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관리자는 바로 잔디 등 식물의 관리 업무에 착수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골프장 퍼팅 그린에 삽입 설치되는 홀컵의 일측에 부착된 상태정보 송출기의 개념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린 지역에 설치되는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핀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골퍼에게 실시간으로 정확한 거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그린 지역에 심어지는 홀컵(200)장치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송출부(111)를 통하여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정보도 함께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130)를 골퍼가 휴대하고 있는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홀컵(200)으로부터 자신의 위치까지 거리정보를 전송받아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식물의 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위치정보가 직접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130)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골퍼가 휴대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를 관리자가 휴대하는 경우,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거리 이하의 단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대해서는 상태정보 송출기(110)에서 사용자 단말기(130)로 상태정보가 직접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특정 거리를 초과하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대해서는 상태정보 송출기(110)에서 상태정보 중계기를 거친 뒤에 사용자 단말기(130)로 상태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30)를 골퍼가 휴대하는 경우, 골퍼가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단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30)로 직접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130)에는 잔디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골프장을 이용하여 골프를 즐기는 골퍼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130)에는 거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골퍼의 사용자 단말기(13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골퍼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골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홀에서 골프 게임 진행과 관련된 홀컵(200)까지의 거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1번 홀의 퍼팅 그린에 설치된 홀컵(200)에 제1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부착되고, 2번 홀의 퍼팅 그린에 설치된 홀컵(200)에 제2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부착된 경우, 골퍼가 1번 홀의 페어웨이 지점에서 퍼팅 그린 지점으로 이동하면(즉, 사용자 단말기(130)가 제1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영역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제1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자신의 위치로부터 홀컵(200)까지의 거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1번 홀을 홀아웃하고, 2번 홀에서 페어웨이에 도달하게 되면 골퍼는 2번 홀의 퍼팅 그린의 홀컵(200) 일측면에 부착 설치된 제2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자신의 위치로부터 2번 홀의 퍼팅 그린의 홀컵(200)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핀의 위치정보(또는, 이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BLE 또는 다른 상이한 기술에 기반하여 위치정보(또는, 이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린 지역에 설치되는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관리자에게 해당 홀의 그린 지역의 잔디상태 또는 토양상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골퍼에게는 그린의 홀컵(200)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전송하므로 하나의 장치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용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홀컵(200)의 측면 또는 밑면에 부착 설치되므로 홀컵(20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실시간으로 정확한 핀까지의 거리정보를 골퍼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홀컵(220)에 대한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결합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홀컵(200)의 다른 방향의 표면, 또는 깃발의 상단, 중앙 또는 하단이나 깃대 등 핀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위치에 부착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b는 골프장 퍼팅 그린(1)의 홀컵(200)에 결합된 깃대(300)에 부착된 상태정보 송출기(110)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깃대(300)의 상단 부근에 부착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깃대(300)의 중앙이나 하단 등 다른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깃대(300)에 결합된 깃발(4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홀컵(200)을 제작 시 상태정보 송출기(110)와 일체로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은 골프장의 잔디관리를 위하여 잔디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골프장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티잉 그라운드에 심어져 제1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제1 상태정보 송출기, 페어웨이에 심어져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상태정보 송출기, 러프에 심어져 제3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제3 상태정보 송출기, 및 그린에 심어져 제4 신호를 송신하는 제4 상태정보 송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상태정보 송출기는 홀컵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골퍼에게 정확한 거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린에 심어지는 홀컵 또는 상기 홀컵에 결합되는 깃대 또는 깃발의 일 측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서버(120)로 잔디 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토양상태정보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정보 송출기의 하우징 밑면에 복수의 센서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식물이 조성된 지면(S)에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120)과, 상기 식물이 조성된 지면(S)에 삽입 설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120)의 하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면(S) 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1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상기 하우징(1120)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복수의 센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1130)가 수집한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또는 염도정보를 가공하여 송출하는 송출부(111; 도 2)와, 상기 송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3; 도 2)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정보송신부,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부, 및/또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송신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GPS 방식으로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위치정보송신부에 의한 위치정보 전송방식이 GPS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송출함으로써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송출하는 토양상태정보가 골프장 코스의 어느 위치에 조성된 식물에 대한 정보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상태정보 송출부는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부를 구비하여 자연재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부를 구비하여 미세먼지가 나쁜 경우에 골프장 또는 골퍼는 라운드 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진감지부와 공기질측정부는 국가 안전망 서버에 지진정보 및 미세먼지 등 오염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일조량 정보를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다. 일조량은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일조량 정보를 분석하여 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조량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 모듈(1200)을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태양전지 모듈(1200)이 흡수하는 태양에너지 정보와 송출부 등 PCB가 소비하는 전력소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의 프로그램은 상태정보 송출기(110)로부터 태양전지 모듈(1200)이 받아들이는 단위시간당 태양에너지량 정보와 송출부 등 PCB가 소비하는 전력소비량의 차이값을 분석하여 일조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조량 정보를 통하여 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상기 하우징(1120)과 상기 복수의 센서(1130)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식물이 조성된 지면(S)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20)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프로텍터(1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20)은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송출부 및/또는 전원부의 일부와, 위치정보송신부, 지진감지부, 공기질측정부 등이 일체로서 설치되는 PCB 기판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우징(1120)은 전체로서 외부와 폐쇄되도록 성형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1120)은 일측 케이스와 타측 케이스를 조립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20)의 밑면으로 복수의 센서(1130)가 돌출되도록 조립된다.
복수의 센서(1130)는 온도정보를 수집하는 온도센서, 습도정보를 수집하는 습도센서 및/또는 염도정보를 수집하는 염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정보, 습도정보 및 염도정보는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본적 상태정보로서 복수의 센서(130)는 이 정보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수집하는 것이다.
하우징(1120)의 윗면에는 프로텍터(1110)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1110)는 골프장 잔디에 상태정보 송출기(110)가 설치된 경우 골퍼나 골프공의 충격에 의하여 하우징(1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텍터(1110)는 충격에 강한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상태정보 송출기가 잔디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는 골프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의 상태정보 송출기에 타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태정보 송출기(110)는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텍터(1110) 부분은 지면(S)에 노출되고, 복수의 센서(1130)와 하우징(1120)은 지면(S)에 설치되는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1110)는 강성이 있는 재질로서 잔디가 조성된 지면(S) 상에서 마치 맨홀 뚜껑처럼 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1130)는 지면(S)에서 일정한 깊이에 끝단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태정보 송출기(110)의 송출부는 토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므로, 센서(113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센서(1130)의 끝단이 지면(S)으로부터 깊이 위치하도록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는 복수의 센서(1130)가 수집한 토양상태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해서 전원을 필요로 한다. 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실시예에 따라서 하우징(1120) 내부에 전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는 배터리일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태양전지 모듈(12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는 상기 프로텍터(11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1200)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력으로 변환한 뒤에 이를 송출부 등 PCB로 공급할 수 있다. 송출부는 매우 적은량의 전원을 소비하므로 태양전지 모듈(1200)은 크기가 클 필요도 없다.
실시예에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1200)은 골프공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로텍터(1110)의 단차부(1112)에 상기 프로텍터(11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내려가 설치될 수 있다. 단차부(1112)의 일측과 타측의 간격은 골프볼(B)이 타격하더라도 태양전지 모듈(1200)에는 닿지 않을 정도의 간격이며 충분하다
본 발명의 프로텍터(1110)에는 송출부로부터 무선 정보의 송출이 원활하도록 관통구(111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111)는 프로텍터(1110)의 상면과 밑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프로텍터(110)의 밑면에 배치된 하우징(112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관통구(1111)의 위치는 프로텍터(1110)의 어디에라도 무방하다. 다만, 신호가 송출되는 부분에 근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110: 상태정보 송출기
111: 송출부
112, 1130: 복수의 센서
113: 전원부
120: 서버
130: 사용자 단말기
200: 홀컵
1110: 프로텍터
1111: 관통구
1112: 단차부
1120: 하우징
1200: 태양전지 모듈
S: 지면
B: 골프볼

Claims (11)

  1. 토양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지면 밑에 설치되고, 상기 지면 밑의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온도정보, 상기 수분정보 및 상기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송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정보 송출기; 및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온도정보, 수분정보 및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골프장의 각 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상태정보 송출기는, 티잉 그라운드에 설치되는 제1 상태정보 송출기, 페어웨이 지역에 설치되는 제2 상태정보 송출기, 러프 지역에 설치되는 제3 상태정보 송출기, 및 그린 지역에 설치되는 제4 상태정보 송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그린 지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4 상태정보 송출기는, 상기 그린 지역의 핀까지의 거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린 지역에 심어지는 홀컵 또는 상기 홀컵에 결합된 깃대 또는 깃발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상태정보 송출기는 일조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서로 상이한 지역에 각각 설치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태정보 중계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까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가 상기 상태정보 중계기에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상태정보 중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방식으로 식물 관리를 위한 경고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경고는 상기 온도정보, 상기 수분정보 및 상기 염도정보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수분 범위 또는 염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온도정보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정보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표시되지만, 상기 토양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아지거나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경고를 수행하고,
    상기 수분정보에 있어서, 상기 수분정보가 미리 설정된 수분량 이하로 내려간 경우 상기 경고를 수행하며,
    상기 염도정보에 있어서, 상기 염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염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경고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관리자가 해당 위치에 심어진 식물만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일조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서로 상이한 지역 각각에 대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10도이고 상기 제2 온도는 18도인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와 상기 송출부는 일체로 결합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식물이 조성된 지면에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송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정보송신부;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식물이 조성된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프로텍터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골프공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로텍터의 단차부에 상기 프로텍터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내려가 설치되는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송출기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흡수하는 태양에너지 정보 및 상기 송출부가 소비하는 전력소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흡수하는 태양에너지량 정보와 상기 송출부가 소비하는 전력소비량의 차이값을 분석하여 일조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KR1020190152600A 2019-11-25 2019-11-25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KR10228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00A KR102285479B1 (ko) 2019-11-25 2019-11-25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PCT/KR2020/016708 WO2021107568A1 (ko) 2019-11-25 2020-11-24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00A KR102285479B1 (ko) 2019-11-25 2019-11-25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21A true KR20210063921A (ko) 2021-06-02
KR102285479B1 KR102285479B1 (ko) 2021-08-02

Family

ID=7613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00A KR102285479B1 (ko) 2019-11-25 2019-11-25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5479B1 (ko)
WO (1) WO2021107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6626B1 (fr) * 2021-09-06 2024-01-05 Lojelis Holding Accessoire destine a la reception d’une balle de golf equipe d’au moins un capteur et dispositif de gestion d’un terrain de golf pourvu d’au moins un tel accessoi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883A (ko) * 2012-11-08 2014-05-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식물 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53439A (ko) 2013-11-08 2015-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용 토양환경 모니터링 수직침투-라이시미터
KR101848892B1 (ko) * 2017-05-24 2018-04-13 (주)이레이티에스 홀 컵과 깃대로 이루어진 홀 컵 구조물 기반의 골프장 거리 측정 시스템
KR20180106355A (ko) * 2017-03-20 2018-10-01 고창용 골프장의 환경 제어시스템
KR20190107319A (ko) * 2018-03-12 2019-09-20 김영준 비거리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거리 측정 방법
KR102046606B1 (ko) * 2019-05-03 2019-12-02 김두수 잔디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837B1 (ko) * 2009-10-26 2010-06-08 임선우 도로복구블록
KR101184301B1 (ko) * 2010-02-05 2012-09-21 김길호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US9872445B2 (en) * 2010-09-30 2018-01-23 The Toro Company Turf management
KR101219176B1 (ko) * 2011-04-29 2013-01-0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KR101338519B1 (ko) * 2012-05-22 2014-01-02 (주)제이앤씨세기 골프장의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883A (ko) * 2012-11-08 2014-05-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식물 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53439A (ko) 2013-11-08 2015-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용 토양환경 모니터링 수직침투-라이시미터
KR20180106355A (ko) * 2017-03-20 2018-10-01 고창용 골프장의 환경 제어시스템
KR101848892B1 (ko) * 2017-05-24 2018-04-13 (주)이레이티에스 홀 컵과 깃대로 이루어진 홀 컵 구조물 기반의 골프장 거리 측정 시스템
KR20190107319A (ko) * 2018-03-12 2019-09-20 김영준 비거리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거리 측정 방법
KR102046606B1 (ko) * 2019-05-03 2019-12-02 김두수 잔디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479B1 (ko) 2021-08-02
WO2021107568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606B1 (ko) 잔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69780B1 (ko) 잔디관리 시스템
US11178829B2 (en) Turf management
US20160262355A1 (en) Animal movement mapping and movement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CN110050619A (zh) 基于精准气象保障技术的无人机甘蔗病虫害防治喷药方法
KR20180057674A (ko) 고도로-국지화된 기상/환경 데이터
KR102285479B1 (ko)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CN10810786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果园监测软件系统
KR102172493B1 (ko) 골프장용 드론 운영시스템
CN106569449A (zh) 一种复合定位的运动实时监控方法及其设备
US20230072775A1 (en) Accessory intended for receiving a golf ball equipped with at least one sensor and device for managing a golf cours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h accessory
KR102324748B1 (ko) 논 수위알림 장치
KR101338519B1 (ko) 골프장의 관리시스템
CN206879672U (zh) 绿化带喷灌自动控制系统
Mendes et al. Coverage Characterization of LoRaWAN Sensor Networks for Citrus Orchard Monitoring
Sui Use of soil moisture sensors for irrigation scheduling
WO2018192863A1 (en) A dynamically adaptive pace of play monitor module, system and method thereof
Cheal Repeatability of cover estimates?
KR20200120168A (ko) 골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50421A (ja) ゴルフ場の管理システム
CN108782189A (zh) 一种园林绿化养护装置
KR20170136714A (ko) 인조 잔디 구장의 칩 유실 판별 및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
ES2915258B2 (es) Sensor, sistema y metodo para medir la calidad de la aplicacion de agroquimicos en terrenos de cultivo
KR200296362Y1 (ko) 원샷 온 그린 골프시스템
KR200455675Y1 (ko) 조수 퇴치용 전기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