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37B1 - 도로복구블록 - Google Patents

도로복구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837B1
KR100961837B1 KR1020090127562A KR20090127562A KR100961837B1 KR 100961837 B1 KR100961837 B1 KR 100961837B1 KR 1020090127562 A KR1020090127562 A KR 1020090127562A KR 20090127562 A KR20090127562 A KR 20090127562A KR 100961837 B1 KR100961837 B1 KR 10096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oad
binding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임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우 filed Critical 임선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37B1/ko
Priority to PCT/KR2010/0073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52952A2/ko
Priority to JP2012535145A priority patent/JP5460879B2/ja
Priority to US13/499,868 priority patent/US8858116B2/en
Priority to CN201080044520.2A priority patent/CN10257543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도로 포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여 시행하는 각종 도로 공사에서 제거된 포장면을 커버하기 위한 도로복구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거된 포장면 상부에 운반 및 설치, 해체가 간편하면서도 강한 체결이 가능한 블록을 설치하여 제거된 포장면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커버하여, 공사를 수행하는 중에도 사람 및 차량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여 공사로 인한 교통 정체발생을 차단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건설환경을 제공하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임시포장(가포장) 또는 이중포장으로 인한 자원 낭비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하여 건설사 원가 절감을 극대화시키고, 공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실공사를 방지하므로 궁극적으로 국가예산 절감을 도모하며, 국가재난시 도로 응급복구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한 도로복구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복구블록 {apparatus of road safety block}
본 발명은 도로의 기존 포장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단하거나 제거하여 지하에 관, 선, 구조물(맨홀)등을 매설하는 상·하수도, 가스, 전기, 통신분야의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 제거된 도로 포장면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커버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사로 인한 차량정체, 인명 및 차량 사고를 방지하고, 비산 먼지 발생을 억제하여 쾌적한 공사 환경을 조정하며, 다짐 불량으로 발생하는 공사의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다짐 기능을 제공하여 기존에 이중적으로 투입되었던 공사비를 절감하여 낭비되어오던 국가예산을 절감하며,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시공 및 해체가 간편하여 공정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안전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공사를 시공할 수 있도록 고무, 플라스틱, 금속, 합성수지등을 이용한 도로복구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로에서 행해지는 공사는 새로운 도로를 신설하거나 기존포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는 보수공사 및 도로의 지하에 상·하수도관 또는 가스관, 전선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매설을 위한 굴착공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도로의 각종 공사 중 대표적인 상·하수관 또는 가스관의 매설공 사는 아스콘, 콘크리트, 블록등의 기존포장을 소정의 폭만큼을 절단하고 절단면 사이의 포장을 제거하여 굴착을 시행한다.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이 이루어지면 모래를 부설하고 상·하수관 또는 가스관을 매설하며 양질의 흙으로 일정높이까지 되메우기를 한다. 이후 골재를 포설하여 동상방지층을 만들고 그 위에 아스콘이나 콘크리트 또는 블록등의 포장재를 포설하여 포장복구를 시행하게 된다.
이때, 공사 기간 동안에는 부득이 포장이 제거된 지면으로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현재공법은 기존 포장 두께보다 높이 골재를 포설하고 그 위에 부직포 및 나무판과 같은 임시 자재를 덮고 절개면 양측에 안전휀스나 라바콘등의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사람 및 차량을 통행시키고 있으나 이는 통로(인도 및 차도)를 협소하게 만들기 때문에 사람이나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고, 임시 자재는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쉽게 지면이 노출되어 많은 비산먼지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 또는 우수에 의한 침하나 침식으로 인해 지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인명 및 차량의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실제로 이와 같은 사고로 인한 보상이나 소송 등으로 공사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더욱이, 부직포 및 나무판 등과 같은 임시 자재는 우천시 공사지에 대한 우수 유입을 막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지면의 함수량이 높아져 다짐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직포 및 나무판 등과 같은 임시 자재는 야간에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이 쉽게 식별할 수 없으므로 사고의 위험은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각종 도로 공사에서 맨홀의 관리 및 안전 대책이 미흡한 상태여서 맨홀 부위의 사고가 빈번하며, 또한 맨홀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태이다. 하지만, 맨홀의 경우 통상 맨홀은 원통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구조물은 바닥에 매립되고 그 상단에 금속 재질의 맨홀 뚜껑이 결합되는 형태를 취하는데, 이 맨홀 뚜껑은 특정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편리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공사시 사용되는 맞춤형 커버를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제거된 포장면에 설치된 임시 자재는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쉽게 찢어지고 파손되어 쉽게 골재 또는 지면이 노출되어 많은 비산먼지를 발생시키고 포장복구시까지 기간이 긴 경우 이에 대한 빈번한 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른 인력 및 자재의 낭비가 발생하고 공사 현장이 깨끗하지 못하여 도시 환경을 저해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포장면보다 높이 포설한 골재는 포장복구시 설계된 포장 깊이에 맞게 제거하여야 하며 롤러 및 램머등의 장비로 충분한 다짐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포장재를 포설하여 포장복구를 시행하여야한다. 이때 제거된 골재는 재활용이 어려워 이로 인해 자재 낭비가 발생하게 되며 추가적인 장비 및 인원이 투입되어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고, 특히 도심지의 경우 당일 복구를 원칙으로 하고 있어 공사 구간이 짧은 경우 포장복구에 너무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 건설사들의 부담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로 포장전 포장면에 대해 원만한 다짐을 하였다 하여도 포장 복구 후 자연 침하나 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추가 다짐에 의한 침하가 발생되고, 특히, 도로 절단면과 인접한 지반은 다짐에 취약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하자가 이 부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하자 발생시 추가적인 보수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공사비 부담이 배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2차적인 다짐으로 인한 하자 발생을 줄이기 위해 임시포장(가포장)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임시 포장의 경우 원포장시 임시포장재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폐기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자원낭비 및 환경파괴의 원인이 되므로 결국 국가 예산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많은 안전시설 투입비용과 공사구간의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이 불가능하고 차량 병목현상이 발생되는 도로굴착공사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각종 공사지에 부직포나 나무판 등과 같은 임시 자재를 사용하여 커버하는 경우 바닥이 쉽게 내려앉으면서 골을 만들기 때문에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시 각종 사고가 발생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와 같은 임시 자재를 사용하여 각종 도로의 공사지를 커버하는 경우 통행이 불편하고, 도시 환경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잦은 보수가 필요하고, 파손에 의한 지면 노출로 많은 먼지가 발생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천시 부직포와 같은 임시 자재를 사용하여 각종 도로의 공사지를 커버하는 경우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지 못하여 지반의 함수율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다짐이 불가능해지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와 같은 임시 자재는 야간에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시 식별이 어려운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로의 어려운 현장 시공여건에서 바닥의 부실한 다짐으로 인하여 지반침하 발생과 같은 종래의 부실공사를 방지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각종 공사지의 맨홀부의 안전 대책이 미흡한 종래 문제점 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로의 각종 공사지에서 굴착면의 통행을 위하여 기존포장높이보다 높게 보조기층재(골재)를 포설하여 임시 통행이 가능하게 하고 포장복구시 다시 굴착하여 기존 자재를 제거하는데 추가적인 장비를 사용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로의 각종 공사지에서 굴착면의 통행을 위하여 임시포장(가포장)을 실시할 경우 폐기물이 발생하고 자재를 낭비하게 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각종 굴착 공사로 형성된 도로 공사지를 커버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임시포장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구비하되, 상기 블록은 횡 방향으로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일 측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일 측에는 결속홈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공사지의 바닥 다짐을 위한 다짐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을 종 방향으로 상호 결합을 위하여 봉과 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결속돌기는 블록몸체의 상면이 측 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 형성하고, 결속홈은 블록몸체의 반대측에 상기 결속돌기가 안착되도록 단이지게 홈을 형성한 것과, 결속돌기는 블록몸체의 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하고, 결속홈은 결속돌기의 반대측 블록몸체에 요입된 홈으로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의 양단에는 단부 받침용 블록과 길이조절용 블록이 결합되어 도로 절단면을 완전히 커버 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을 횡 방향 결속에 있어서 지그재그로 결속하여 길이 방향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결속돌기의 양측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결속홈의 중앙부위에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블록의 결속에 있어 횡 방향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걸속돌기의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결속홈에 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의 양단에 결합되는 단부 받침용 블록과 길이조절용 블록의 하부에는 도로 절단면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집중 다짐판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은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형성하되, 곡면과 평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은 표면에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도로 절단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은 표면에 야간 식별이 용이한 유색 또는 형광의 물질이 도색되거나, 야간 및 흐린날씨에만 작동하도록 빛 감지 센서가 부착된 LED 등과 같은 발광체가 홈에 삽입되어 야간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블록의 자체 중량 감소를 위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량감소용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 공사지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을 단차 없이 커버하기 위해 원형, 반원 및 사분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결합 구성한 맨홀블럭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맨홀블럭은 맨홀 뚜껑 받침을 수용하며 맨홀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맨홀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한 맨홀 뚜껑용 블럭과, 상기 뚜껑용 블럭과 맨홀주변의 지면을 커버하기 위한 맨홀 주변용 블록으로 구성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기존 도로복구판넬(복공판)의 설치가 힘들고 무겁고 운반이 불편한 문제점을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며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각종 도로의 공사지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커버함으로써,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면서 강한 결속력을 갖기 때문에 신속한 공사가 가능하며,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여 유지관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각종 도로의 공사지를 커버하여 쾌적한 공사 현장을 조성하고 비산먼지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각종 도로 공사에 의한 주민 피해를 줄이고 친환경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맨홀 및 맨홀 뚜껑의 위치에 일정하게 대응하는 맞춤형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공사중 맨홀과 맨홀 뚜껑에 대한 관리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로복구블록에 의하면 각종 도로의 공사지를 일정 기간동안 커버하여 충분한 자연침하를 유도하고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바닥을 스스로 다져지도록 함으로써, 포장복구시 기존 자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며 롤러나 램머와 같은 장비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다져진 바닥 위에 바로 포장재(아스콘이나 블록 등)를 깔 수 있어 자재의 낭비를 막고 공사비를 절감시킬수 있으며, 취약한 다짐부위의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공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각종 굴착 공사의 도로 공사지를 커버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임시포장면을 형성하는 블록(100)을 구비하되, 상기 블록(100)은 횡 방향으로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일 측에는 결속돌기(130)를 형성하고 다른 일 측에는 결속홈(140)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공사지의 바닥 다짐을 위한 다짐부(4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100)을 종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봉과 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거나, 전력공급선(920)을 설치할 수 있게 연결구멍(15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100)의 결속에 있어 횡 방향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걸속돌기(130)의 미끄럼방지돌기(132)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결속홈(140)에 미끄럼방지홈(14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100)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부받침블록(300), 제거된 포장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 조절용블록(20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100)은 도로의 각종 공사지의 바닥 위에 안착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110)이 형성되어 보행이나 주행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한다.
상기 블록(100) 표면에는 도 2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좌우 우수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100) 표면의 빗물을 표면 좌우로 유도시키며, 상기 블록(100)이 전후 또는 좌우로 연결되면 도로 절단면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직각방향 우수홈(120)이 상호간 연결되어 상기 블록(100)이 설치된 도로의 우수를 굴착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블록(100) 표면에는 도 4a 내지 도 4b 에서와 같이 야간식별용 유색 및 형광물질을 표면에 도색하거나, LED 등과 같은 발광체(900)를 삽입할 수 있는 발광체홈(170)에 삽입하여 야간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록(100) 표면에 삽입되는 LED 등과 같은 발광체(900)는 도 8 에서와 같이 빛 감지 센서(1000)를 부착하여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만 작동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차전진 또는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원부(110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게 하며, 발광체(900)의 상면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발광 체 보호커버(910)를 구비하며, 빛 감지 센서(1000)의 상면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센서 보호커버(10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는 , 920: 전력공급선
상기 블록(100)은 제거된 포장 면의 폭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b 에서와 같이 결속돌기(130)와 도 5a 내지 도 5b 에서와 같이 이를 수용하는 결속홈(140)이 있어 둘 이상이 전후 또는 좌우로 연결되어지도록 하되,
블록(100)을 횡 방향 결속에 있어서 지그재그로 결속하여 길이 방향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결속돌기(130)의 양측에 걸림턱(131)을 형성하고, 결속홈(140)의 중앙부위에 걸림턱(131)이 걸려지는 걸림홈(141)을 형성하여 구성하여 도 2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각각의 개체가 상하로 물리도록 결합되어 유동이 없도록하고, 단부에 길이조절용블록(200)을 설치하여 제거된 포장 폭이 완전하게 커버되도록 한다.
상기 블록(100)은 도 2 에서와 같이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개 이상의 자체중량감소용 구멍(160)이 형성되어 자체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상기 블록(100)의 도 5a 내지 도 5b 에서와 같이 하부에는 바닥(20)의 효율적인 다짐을 위하여 블록(100)에 접한 다짐판 상부(430)와 다짐판 상부의 축소된 형상을 가진 다짐판 하부(440)가 뿔 또는 기둥형태로 형성된 다짐판(410)이 하나 이상 구성되어 다짐부(400)를 형성한다. 상기 다짐부(400)의 다짐판(410)은 블록(100)과 일체형이거나 도 7a 내지 도 7b 와 같이 다짐부(400) 기능을 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다짐판(410)이 블록(100) 하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록(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용 블록(200)과 단부지지용 블록(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짐부(400)의 경우는 이 부위의 다짐이 취약하기 때문에 도로 절단면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 집중 다짐판(420)이 결합되어 취약한 다짐을 보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짐부(40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각다짐판(410)으로 구성하며, 상기 사각다짐판(410)과 집중 다짐판(420)은 블록(100)의 하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다짐판 상부(430)에 다짐판지지부(45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다짐판지지부(450)의 단부에는 블록(100)에 형성한 다짐구홈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460)을 형성하며, 다침판 하부(440)은 사각 또는 원형 돌출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 에서와 같이 맨홀(700)이 있는 도로 공사지의 경우에서는 도 1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맨홀 뚜껑용 블록(500)이 형성되며, 맨홀 뚜껑용 블록(500)은 도 11 내지 도 12 에서와 같이 맨홀 뚜껑(8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느 각도에서도 맨홀 뚜껑 받침(810)을 수용하는 뚜껑 받침수용홈(5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맨홀 뚜껑(800)을 수용한 형상은 맨홀(700) 원주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맨홀 뚜껑(8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맨홀(7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맨홀 뚜껑용 블록(500)은 도 10 내지 도 11 에서와 같이 맨홀 주변용 블록(600)의 맨홀 뚜껑용 블록 수용홈(610)에 결합되어지도록 맨홀 주변 블록 수용 돌기(520)가 형성된다.
상기 맨홀 주변용 블록(600)은 도 10 내지 도 12 에서와 같이 맨홀(700)을 수용할 수 있는 맨홀 수용용 단턱(620)이 있으며, 이 단턱(620)을 통해 맨홀(700)을 수용하고 맨홀(700) 주변의 지반을 다지며, 공사지의 맨홀부가 완전히 커버되도록 형성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을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2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3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2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3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도 2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요부 사시도.
도 6b는 도 3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요부 사시도.
도 7a는 도 2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요부 사시도.
도 7b는 도 3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2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a는 도 5a 또는 도 5b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b는 도 5a 또는 도 5b가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요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이 적용된 도로복구블록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포장(아스콘, 콘크리트, 블록), 20: 바닥, 30: 상하수관
100: 블록
110: 요철, 120: 직각방향 우수홈, 121: 좌우 우수홈
130: 결속돌기, 131: 걸림턱 132 : 미끄럼방지돌기
140: 결속홈, 141: 걸림홈 142 : 미끄럼방지홈
150: 연결구멍
160: 중량감소용홈, 170: 야간식별물질 삽입 홈
200: 길이조절용블록
300: 단부받침용블록
400: 다짐부
410: 사각다짐판, 420: 집중 다짐판
430: 다짐판 상부, 440: 다짐판 하부
450: 다짐판지지부, 460: 이탈방지돌기
500: 맨홀 뚜껑용 블록
510: 맨홀 뚜껑 받침수용홈, 520: 맨홀 주변 블록 수용돌기
600: 맨홀 주변용 블록
610: 맨홀 뚜껑용 블록 수용홈, 620: 맨홀 수용용 단턱
700: 맨홀
800: 맨홀 뚜껑 810: 맨홀 뚜껑 받침
900: 발광체(LED), 910: 발광체 보호커버, 920: 전력공급선
1000: 빛 감지센서, 1010: 센서 보호커버
1100: 전원부(전지함)

Claims (6)

  1. 도로의 각종 굴착 공사의 도로 공사지를 커버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임시포장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구비하되,
    상기 블록은 횡 방향으로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일 측에는 결속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일 측에는 결속홈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공사지의 바닥 다짐을 위한 다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복구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결속돌기는 블록몸체의 상면이 측 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 형성하고, 결속홈은 블록몸체의 반대 측에 상기 결속돌기가 안착되도록 단이지게 홈을 형성한 것과,
    결속돌기는 블록몸체의 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하고, 결속홈은 결속돌기의 반대측 블록몸체에 요입된 홈으로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복구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 방향으로 상호 결합을 위하여 봉과 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의 양단에는 단부 받침용 블록과 길이조절용 블록이 결합되어 도로 절단면을 완전히 커버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복구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횡 방향 결속에 있어서 지그재그로 결속하여 길이 방향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결속돌기의 양측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결속홈의 중앙부위에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블록의 양단에 결합되는 단부 받침용 블록과 길이조절용 블록의 하부에는 도로 절단면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집중 다짐판이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블록의 결속에 있어 횡 방향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걸속돌기의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결속홈에 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복구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형성하되, 곡면과 평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은 표면에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도로 절단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은 표면에 야간 식별이 용이하게 형광의 물질이 도색된 것과 야간 및 흐린 날씨에만 작동하도록 빛 감지 센서가 부착된 발광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비하며,
    상기 블록의 자체 중량 감소를 위한 중량감소용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복구블록.
  6. 삭제
KR1020090127562A 2009-10-26 2009-12-19 도로복구블록 KR10096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7350 WO2011052952A2 (ko) 2009-10-26 2010-10-26 도로복구블록
JP2012535145A JP5460879B2 (ja) 2009-10-26 2010-10-26 道路復旧用ブロック
US13/499,868 US8858116B2 (en) 2009-10-26 2010-10-26 Road restoration block
CN201080044520.2A CN102575439B (zh) 2009-10-26 2010-10-26 道路修复块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692 2009-10-26
KR20090101692 2009-10-26
KR20090112314 2009-11-20
KR1020090112314 2009-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837B1 true KR100961837B1 (ko) 2010-06-08

Family

ID=4236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562A KR100961837B1 (ko) 2009-10-26 2009-12-19 도로복구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332B1 (ko) * 2013-02-14 2015-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102046606B1 (ko) * 2019-05-03 2019-12-02 김두수 잔디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107568A1 (ko) * 2019-11-25 2021-06-03 김두수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34Y1 (ko) 1999-10-06 2000-03-15 여인경 조립식 보도블럭
KR200233185Y1 (ko) 2001-02-14 2001-09-29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교접식 보도블록
KR200370302Y1 (ko)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지하철공사의 경사면 도로구간용 밀림방지 조립식 복공판
JP2009243046A (ja) 2008-03-28 2009-10-22 Sekisui Jushi Co Ltd 基礎用ブロック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34Y1 (ko) 1999-10-06 2000-03-15 여인경 조립식 보도블럭
KR200233185Y1 (ko) 2001-02-14 2001-09-29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교접식 보도블록
KR200370302Y1 (ko)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지하철공사의 경사면 도로구간용 밀림방지 조립식 복공판
JP2009243046A (ja) 2008-03-28 2009-10-22 Sekisui Jushi Co Ltd 基礎用ブロック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332B1 (ko) * 2013-02-14 2015-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동층 반응기용 분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유동층 반응기
KR102046606B1 (ko) * 2019-05-03 2019-12-02 김두수 잔디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226337A1 (ko) * 2019-05-03 2020-11-12 김두수 잔디 모니터링 시스템
CN113795317A (zh) * 2019-05-03 2021-12-14 金斗洙 草坪监控系统
JP2022530722A (ja) * 2019-05-03 2022-06-30 ス キム、ドゥ 芝生監視システム
US20220217930A1 (en) * 2019-05-03 2022-07-14 Doo Soo Kim Lawn monitoring system
JP7188835B2 (ja) 2019-05-03 2022-12-13 ス キム、ドゥ 芝生監視システム
CN113795317B (zh) * 2019-05-03 2023-03-10 金斗洙 草坪监控系统
US11841356B2 (en) * 2019-05-03 2023-12-12 Doo Soo Kim Lawn monitoring system
WO2021107568A1 (ko) * 2019-11-25 2021-06-03 김두수 거리측정 및 토양 상태정보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2952A2 (ko) 도로복구블록
KR101026836B1 (ko) 복공판 패널을 이용한 개착식 터파기 구조 및 개착식 터파기 시공방법
KR100961837B1 (ko) 도로복구블록
KR101606548B1 (ko) 투수기능을 갖는 측구용 덮개
KR20120013182A (ko) 다단굴착 및 복공판 패널을 이용한 개착식 터파기 구조 및 개착식 터파기 시공방법
KR101262585B1 (ko) 맨홀부 커버 장치를 활용한 맨홀부 복구 시스템
KR20100128980A (ko) 복공판
CN111778808A (zh) 一种智慧发光砖的路面铺设结构及其施工方法
US20120020738A1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Subsurface Condui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22254219A1 (en) Cable channel
CN211079810U (zh) 一种避免积水的沥青公路
KR101205553B1 (ko) 도로 가포장용 재생고무매트
CN111691255B (zh) 一种沿河市政道路施工方法及该施工方法使用的围挡
CN210737262U (zh) 道路板及装配式道路
KR20110132662A (ko) 아스콘포장블록
KR20050100131A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20110133815A (ko) 고무 다짐 블록
KR101229714B1 (ko) 맨홀부 복구블록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KR100889521B1 (ko) 재생고무매트를 이용하여 상하수관거가 매설되는 도로의 가포장방법
JP3112511U (ja) 道路仮復旧用敷設ブロックマット
KR20110009332A (ko) 도로복구판넬
CN216129911U (zh) 一种可周转重复利用的地坪排水系统
JPH11286983A (ja) 多目的街渠構造
CN212505716U (zh) 一种智慧发光砖的路面铺设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