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23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23A
KR20210062823A KR1020190150952A KR20190150952A KR20210062823A KR 20210062823 A KR20210062823 A KR 20210062823A KR 1020190150952 A KR1020190150952 A KR 1020190150952A KR 20190150952 A KR20190150952 A KR 20190150952A KR 20210062823 A KR20210062823 A KR 20210062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ck
inclined surface
support pa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박영환
김진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2823A/ko
Publication of KR2021006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식기세척기에서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랙과, 횡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횡 와이어와, 종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종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횡 와이어 또는 종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와 굴곡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세척대상을 안정적으로 수납하고 세척대상간 충돌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랙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이하, 세척대상이라 함)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측공간에서 세척대상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개방되어 세척대상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도어가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터브의 내측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터브의 내측공간에는 세척대상을 수납할 수 있는 랙(Rack)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랙에는 세척대상이 다양한 위치로 수납될 수 있다. 특히, 세척대상은 세로로 나란히 수납될 수 있다.
세척대상은 랙에 수납되어 식기세척기 내부로 배치되며 세척된다. 이때, 분사암에서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고,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경우 노즐에서 고온고압의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고압의 세척수 또는 고온고압의 스팀이 분사될 경우, 세척대상은 임의로 이동될 수 있다. 세척대상이 임의로 이동됨에 따라 다른 세척대상과 충돌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기로 구성된 그릇의 경우 다른 세척대상과 충돌하여 깨질 우려가 있고, 금속칼의 경우 다른 세척대상과 충돌하여 다른 세척대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한편, 식기세척기는 서양에서 발명된 장치이다. 서양권에서는 조리도구가 접시를 주로 사용하여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랙은 접시만을 주로 수납하기 위하여 일정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반면, 동양권의 경우 접시, 그릇, 쟁반의 여러가지 조리도구가 존재하며, 상기 조리도구는 크기도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식기세척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크기의 접시/그릇/쟁반을 동시에 수납하기위한 적합한 구성이 아니라는 문제점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접시/그릇/쟁반을 세워서 수납할 수 없으므로, 상/하로 적재할 수밖에 없으므로, 안쪽의 세척대상에는 세척수가 충분히 분사될 수 없어 세척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세척대상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척운전 중에 세척대상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많은 세척대상을 수납할 수 있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 터브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랙을 포함한다. 상기 랙은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와이어, 일 측이 측면 와이어와 연결되고 횡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 와이어, 일 측이 측면와이어와 연결되고 횡 와이어와 적어도 한번 이상 교차되고 종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종 와이어를 포함하고, 횡 와이어는 랙의 바닥면으로붙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부와 제1지지부와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랙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제1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된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는 랙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된 제1수평면, 제1수평면의 양 끝단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한다. 제2지지부는 랙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되고 제1수평면보다 낮게 배치된 제2수평면과, 제2수평면의 양 끝단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한다.
횡 와이어는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측이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와 점점 멀어지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3경사면 및 제3경사면의 상단에서 랙의 바닥면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4경사면을 구비하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 와이어는 적어도 2 이상의 횡 와이어와 교차하고 횡 와이어의 사이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제7굴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높이차를 가지고 배치되므로, 폭이 좁은 접시뿐만 아니라 폭이 넓은 그릇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세척대상을 안정적으로 수납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제3굴곡부 및 제4굴곡부를 구비한 제3지지부를 포함하여, 대형의 세척대상이 제1지지부/제2지지부 뿐만 아니라 제3지지부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수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셋째, 제5경사면 및 제6경사면을 구비한 제4지지부를 포함하여, 소형의 세척대상을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수납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제7굴곡부를 구비한 종와이어를 포함하여, 횡 와이어와의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세척대상을 안정적으로 수납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랙이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랙의 사시도,
도 4는 횡 와이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5은 종 와이어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6은 세척대상 중 그릇이 거치된 상태의 랙을 도시한 도,
도 7은 도 6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6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세척대상 중 접시가 거치된 상태의 랙을 도시한 도,
도 10은 도 9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도 9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세척대상 중 그릇이 제4지지부에 거치된 상태의 랙을 도시한 도,
도 13은 세척대상의 기울기에 따라 세척대상에 남는 잔수량을 도시한 도,
도 14a, 1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랙이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5a는 회동하기 전의 가변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5b는 회동한 후의 가변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a는 측면지지부의 상단에 캡이 포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b는 측면지지부의 상단에 굴곡부를 포함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가변랙과 랙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도시한 확대도,
도 18a는 회동하기 전의 가변랙의 측면지지부와 횡 와이어가 대형 세척대상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b는 회동한 후의 가변랙의 측면지지부와 횡 와이어가 소형 세척대상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세척대상 중 와인잔이 거치된 상태의 랙을 도시한 도,
도 20은 봉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봉 거치대에 와인잔의 수납방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사용되는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전면(F) 방향은 x축과 동일하다 볼 수 있고, 우측(Ri) 방향은 y축과 동일하다 볼 수 있고, 상측(U) 방향은 z축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실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를 구비한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대상을 수납하는 랙(100)을 구비하고,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세척모듈(30)을 구비한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도어(20)는 터브(10)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의 상방과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와 터브(10)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2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회전축(미도시)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31)를 포함한다. 섬프(31)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3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섬프(3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세척노즐(34)은 랙(100)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세척노즐(34a)은 터브(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세척노즐(34b)은 상측 랙(100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측 랙(100a)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세척노즐(34c)은 하측 랙(100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하측 랙(100b)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31)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2)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포함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연결관(3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절환밸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로 공급된 세척수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집수된다. 섬프(31)에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32)로 유동하며 가압된다. 세척펌프(32)에서 가압된 세척수는 절환밸브(35)로 유동하며 복수의 연결관(33)에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세척수는 연결관(33)을 유동하여 세척노즐(34)로 압송된다. 세척노즐(34)로 압송된 세척수는 터브(10)로 분사되며,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다시 집수된다.
세척펌프(32) 내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세척펌프(32)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분지되고 터브(10)의 일 측과 연통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노즐을 통해 터브(10)로 분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랙(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랙(100)은 세척대상을 거치하고 수납하는 장치로, 터브(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랙(100)은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랙(100)은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고,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다. 랙(100)의 복수의 와이어구조는 세척수가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와이어로 형성된다.
랙(100)은 측면 와이어(110)와 횡 와이어(120)와, 종 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와이어(110)는 랙의 측면(102)을 형성한다. 측면와이어(110)는 랙의 측면(102)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와이어(110)는 랙의 측면(102)을 형성함과 동시에 뼈대를 형성하며, 횡 와이어(120)와 종 와이어(130)를 지지한다.
측면와이어(110)의 전방의 일 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랙(100)을 터브(10)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세척이 끝난 후 랙(100)을 터브(10)로부터 당겨 꺼낼 수 있다.
횡 와이어(120)는 일 측이 상기 측면 와이어(110)와 연결되고, 횡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104)을 형성할 수 있다. 횡 와이어(120)는 상기 측면 와이어(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횡 와이어(120)의 일 측은 측면 와이어(110)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되고, 랙의 바닥면(104)을 따라 연장되고, 타 측은 반대편의 측면와이어(110)와 연결된다. 횡 와이어(120)는 y축을 따라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횡 와이어(120)는 측면와이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일 측이 상기 측면 와이어(110)와 연결되고, 종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104)을 형성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횡 와이어(120)와 적어도 한번 이상 교차된다. 종 와이어(130)는 상기 측면와이어(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종 와이어(130)의 일 측은 측면와이어(110)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되고, 랙의 바닥면(104)을 따라 연장되고, 타 측은 반대편의 측면와이어(110)와 연결된다. 종 와이어(130)는 x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측면와이어(110)의 전면 및 배면과 결합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횡 와이어(120)와 직교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횡 와이어(120)는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횡 와이어(120)는 좌우로 연장되고, 종 와이어(130)는 전후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반드시 직교할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를 포함한다.
랙(100)의 하부 일 측에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의 일 측에는 상기 바퀴와 연결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랙(100)의 좌측면 하부 및 우측면 하부에는 바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레일을 따라서 회동하며, 세척시 랙(100)을 터브(10) 내부로 수납하거나, 세척 후 랙(100)을 터브(10)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횡 와이어(120)의 형상을 설명한다.
횡 와이어(120)는 굴곡되거나 절곡되어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지지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횡 와이어(120)는 제1지지부(121)와 제3지지부(123)와 제4지지부(124)를 형성할 수 있고, 제2지지부(122)와 제3지지부(123)와 제4지지부(124)를 형성할 수 있다.
횡 와이어(120)는 랙의 바닥면(10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횡 와이어(120)는 상기 제1지지부(121)와 전후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랙의 바닥면(10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부(121)의 높이부다 낮게 돌출된 제2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는 세척대상의 전방과 후방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세척대상의 전방 하단과 후방 하단을 지지한다.
제1지지부(121)는 랙의 바닥면(10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지지부(121)는 랙의 바닥면(104)과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된 제1수평면(121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수평면(1212)은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수평면(1212)은 세척대상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수평면(1212)의 양 끝단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1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면(1214)은 제1수평면(1212)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경사면(1214)은 정면에서 볼 때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지지부(121)는 정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대상은 양쪽의 제1경사면(1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왼쪽 제1경사면(1214)은 왼쪽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세척대상에 가하고, 오른쪽 제1경사면(1214)은 오른쪽 상방을 향하는 세척대상에 가한다. 따라서, 세척대상은 제1지지부(121)의 상방에 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지지부(121)는 제1수평면(1212)의 양 끝단과 제1경사면(1214)의 연결점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1굴곡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굴곡부(1216)는 제1수평면(1212)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굴곡부(1216)는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제1굴곡부(1216)의 높이는 제1수평면(1212)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1수평면(1212)의 양 끝단은 제1수평면(1212)의 중앙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굴곡부(1216)는 세척대상이 제1수평면(1212)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척대상이 제1수평면(1212)에 의하여 지지될 때, 세척대상이 제1수평면(1212)을 따라 횡으로 임의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세척대상이 제1굴곡부(1216)에 도달하면 턱이 걸리게 되며, 그 턱을 넘기 위하여 더욱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 따라서, 세척수가 매우 강한 힘으로 분사되지 않는 한 제1굴곡부(1216)를 넘어 횡으로 이동할 수 없고, 제1수평면(1212)의 범위 내에서만 위치하며, 측방에 위치한 다른 세척대상과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1지지부(121)는 횡 와이어(1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21)는 횡 와이어(120)의 중앙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제3지지부(123)가 제1지지부(121)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큰 세척대상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122)는 랙의 바닥면(10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2지지부(122)는 랙의 바닥면(104)과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된 제2수평면(12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수평면(1222)은 제1수평면(1212)보다 바닥에서부터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제2수평면(1222)은 y축과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수평면(1212)과 제2수평면(1222)은 세척대상의 하부의 전/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122)는 제2수평면(1222)의 양 끝단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1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면(1224)은 제2수평면(1222)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경사면(1224)은 정면에서 볼 때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지지부(122)는 정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대상은 양쪽의 제1경사면(1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왼쪽 제1경사면(1214)은 왼쪽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세척대상에 가하고, 오른쪽 제1경사면(1214)은 오른쪽 상방을 향하는 세척대상에 가한다. 따라서, 세척대상은 제1지지부(121)의 상방에 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경사면(1224)은 제1경사면(1214)과 전후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경사면(1224)은 제1경사면(1214)과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면(1214)과 제2경사면(122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차원의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경사면(1214)과 제2경사면(1224)이 형성하는 2차원의 면에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도 있다.
제2수평면(1222)의 양 끝단과 제2경사면(1224)의 연결점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2굴곡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굴곡부(1226)는 제2수평면(1222)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굴곡부(1226)는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제2굴곡부(1226)의 높이는 제2수평면(1222)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2수평면(1222)의 양 끝단은 제2수평면(1222)의 중앙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굴곡부(1226)는 세척대상이 제2수평면(1222)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척대상이 제2수평면(1222)에 의하여 지지될 때, 세척대상이 y축을 따라 횡으로 임의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세척대상이 제2굴곡부(1226)에 도달하면 턱이 걸리게 되며, 그 턱을 넘기 위하여 더욱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 따라서, 세척수가 매우 강한 힘으로 분사되지 않는 한 제2굴곡부(1226)를 넘어 횡으로 이동할 수 없고, 제2수평면(1222)의 범위 내에서만 위치하며, 측방에 위치한 다른 세척대상과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2굴곡부(1226)는 제1굴곡부(1216)와 대향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세척대상은 제1굴곡부(1216)에 의하여 제1지지부(121) 및 제2지지부(122)의 중간에 안착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굴곡부(1226)에 의해 안착되므로, 모든 배치에서 제1지지부(121) 및 제2지지부(122)의 중간에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제2지지부(122)는 횡 와이어(1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2)는 횡 와이어(120)의 중앙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제3지지부(123)가 제2지지부(122)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큰 세척대상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는 x축을 따라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2)는 제1지지부(121)와 전후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지지부(122)는 제1지지부(121)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될 수 있다. 상-하 폭이 좁은 접시와 달리 그릇은 상-하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의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그릇까지 안정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횡 와이어(120)는 랙의 바닥면(10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3지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지지부(123)는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지지부(123)는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에 의해 지지되는 세척대상이 큰 경우에, 세척대상의 측면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또는, 제3지지부(123)는 자체적으로 세척대상을 지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3지지부의 양쪽에 종 와이어가 배치되는 경우, 양쪽의 종 와이어가 세척대상의 하단을 지지하고, 제3지지부가 세척대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다.
제3지지부(123)는 상측이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와 점점 멀어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경사면(1232)과, 제3경사면(1232)의 상단에서 랙의 바닥면(104)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4경사면(12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3경사면(1232)은 제3지지부(123) 중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제3경사면(1232)은 제1경사면(1214) 또는 제2경사면(1224)과 종 와이어(13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경사면(1232)은 제1경사부 또는 제2경사부와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경사면(1232)은 제1경사부 또는 제2경사부와 하부가 가깝게 배치되고 상부가 더 멀게 배치되도록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3경사면(1232)은 세척대상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3경사면(1232)은 제1지지부(121)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세척대상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에는, 세척대상의 왼쪽 지지점에서는 오른쪽 상방으로 반력이 가해지고, 세척대상의 오른쪽 지지점에서는 왼쪽 상방으로 반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세척대상은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제4경사면(1234)은 제3지지부(123) 중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와 먼 곳에 위치한다. 제4경사면(1234)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지지부(123)는 제3경사면(1232)과 제4경사면(1234)을 연결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3굴곡부(1236)를 형성할 수 있다. 제3굴곡부(1236)는 제1굴곡부(1216)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3굴곡부(1236)는 매우 큰 세척대상을 지지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굴곡부(1236)의 상부는 세척대상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3굴곡부(1236)의 상부는 세척대상의 내둘레면의 양 쪽을 지지하여 세척대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안착되게 한다.
제3굴곡부(1236)와 제4경사면(1234)의 연결점에 배치되고, 제3굴곡부(1236)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4굴곡부(1237)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제4굴곡부(1237)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굴곡부(1237)는 아래로 볼록하게 굴곡질 수 있다. 제4굴곡부(1237)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굴곡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굴곡부(1236)와 제4굴곡부(1237)는 제3지지부(123)의 상단에서 'S'자로 굴곡져 형성될 수 있다.
제4굴곡부(1237)는 제3굴곡부(1236)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굴곡부(1237)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중앙에 위치한 제1지지부(121)에 거치된 세척대상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121)에 거치된 세척대상이 제3굴곡부(1236)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대상인 그릇은 제4굴곡부(1237)에 의해 안정적으로 걸려 지지될 수 있고, 제3굴곡부(1236)가 그릇의 내둘레면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제4굴곡부(1237)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제4지지부(124)에 거치된 세척대상의 일 측 끝단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4지지부(124)에 거치된 세척대상이 제3지지부(123)를 넘어 제1지지부(121)에 거치된 다른 세척대상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횡 와이어(120)는 제3지지부(123)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4지지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지지부(124)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경사면에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도 있고, 전후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세척대상을 끼워 거치할 수도 있다.
제4지지부(124)는 제4경사면(1234)의 측방에 배치되고, 랙의 바닥면(104)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5경사면(1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지지부(124)는 제5경사면(1242)의 상단에서 제1지지부(121)의 반대방향으로 하향하여 연장되는 제6경사면(12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5경사면(1242)은 제4경사면(1234)과 종 와이어(13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경사면(1242)은 제4경사면(1234)과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5경사면(1242)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6경사면(1244)은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에는 세척대상의 일단은 제6경사면(1244)이 시작되는 곳에 지지될 수 있다. 만일 세척대상이 큰 경우 제3지지부의 제4굴곡부(1237)에 세척대상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제6경사면(1244)은 제5경사면(1242)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하향하여 연장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6경사면(1244)은 바닥면과 25도 이상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6경사면(1244)은 바닥면과 30도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세척대상의 저면은 다소 돌출된 밑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된 밑둥에는 분사된 세척수가 고일 수 있다. 고인 세척수를 완전히 건조시키지 않는다면 얼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6경사면(1244)은 특정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 작동시 스팀세척시 그 열기로 잔수가 증발할 수 있으며, 건조운전시 잔수가 증발할 수 있고, 혹은 자연건조로 잔수가 증발할 수도 있다. 실험적으로 밑둥에 고인 잔수가 약 0.2g 정도일 때, 상기 증발에 의하여 잔수가 완전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6경사면(1244)을 25도 이상으로 할 때, 식시세척이 완전히 끝난 후 잔수가 완전히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는 상측 또는 하측에 세척노즐(34)이 배치되어 하방 또는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경사면의 경사가 급격할 경우에는 세척대상의 안쪽에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거나, 수압으로 인해 세척대상이 뒤집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6경사면(1244)은 30도를 넘지 않게 하여 세척효율을 유지하고, 세척대상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세척대상은 25도 내지 30도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제6경사면(1244)은 약 25도 내지 30도의 경사를 가지고, 제6경사면(1244)의 연장선 상에 제4굴곡부(1237)가 배치될 수 있다.
제5경사면(1242)의 상단에서 제6경사면(1244)과 연결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5굴곡부(1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굴곡부(1246)는 제6경사면(1244)에 거치된 세척대상이 y축을 따라 안쪽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제5굴곡부(1246)는 제6경사면(1244)에 거치된 세척대상이 x축을 따라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제6경사면(1244) 상에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6굴곡부(12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굴곡부(1247)는 제6경사면(1244)에 거치된 세척대상이 x축을 따라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제5굴곡부(1246) 또는 제6굴곡부(1247)는 다양한 세척대상에 대하여, 세척대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즉, 크기가 큰 세척대상은 제5굴곡부(1246)에 걸려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크기가 작은 세척대상은 제6굴곡부(1247)에 걸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전후방향 축인 x축에 평행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종 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적어도 2이상의 횡 와이어(120)와 교차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횡 와이어(120)와 함께 랙의 바닥면(104)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고, 세척대상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지지부(124)의 바깥쪽, 제3지지부(123)와 제4지지부(124) 사이, 제1지지부(121)와 제3지지부(123) 사이에 각각 종 와이어(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세척대상의 좌측하단 및 우측하단은 종 와이어(130)가 지지할 수 있다.
종 와이어(130)는 제1지지부(121)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지지부(121) 양측의 종 와이어(130)는 세척대상의 좌측하단 및 우측하단을 지지한다.
종 와이어(130)는 제3지지부(123)와 제4지지부(1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지지부(123)와 제4지지부(124)의 사이에 배치된 종 와이어(130)가 세척대상의 좌측 하단을 지지하고, 제3지지부(123)의 안쪽에 배치된 종 와이어(130)가 세척대상의 우측 하단을 지지하고, 제3지지부(123) 또는 제4지지부(124)가 세척대상의 일 측을 지지하여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종 와이어(130)는 횡 와이어와(120)의 사이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7굴곡부(1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굴곡부(1302)의 최고점은 양쪽의 횡 와이어(120) 중 후방의 횡 와이어(120)에 가깝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7굴곡부(1302)는 전방의 기울기가 완만하고 후방의 기울기가 급하다. 제7굴곡부(1302)는 편중되게 배치되는 바, 세척대상을 전방으로 밀착하여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 와이어(130)를 따라 세척대상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대상(그릇)의 거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릇의 전방 하부는 제2지지부(122)에 지지되고, 그릇의 후방 하부는 제1지지부(121)에 지지되고, 그릇의 양 측방은 제3지지부(123)에 지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릇의 전방 하부는 제2지지부(122) 중 제2경사면(1224)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릇의 좌측 하부는 안쪽으로 반력을 받으며, 그릇의 우측 하부도 안쪽으로 반력을 받으므로, 그릇은 제2지지부(122)의 중앙에 안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릇의 후방 하부는 제1지지부 중 제1굴곡부(1216)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릇은 좌측 제1굴곡부(1216)와 제2굴곡부(1226)에 지지되므로, 제1지지부(121)의 중앙에 안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릇의 양 측면은 제3지지부(123)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릇의 둘레부는 제4굴곡부(1237)에 걸릴 수 있고, 그릇의 내둘레면은 제3굴곡부(12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지지부(123) 사이에 위치한 제1지지부(121)의 중앙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릇의 무게중심 우측에는 제1지지부(121)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릇의 무게중심 좌측에는 제3지지부(123)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그릇은 회전하지 못하고 안정적으로 랙(10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척대상(접시)의 거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시의 전방 하부는 제1지지부(121)와 종 와이어(130)에 지지되고, 접시의 후방 하부는 제2지지부(122)에 지지되고, 접시의 양 측방은 제3지지부(123)에 지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7굴곡부의 최고점(1304)이 후방으로 치우쳐저 있으므로, 접시는 제7굴곡부의 전방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접시의 정면 하단은 제2지지부(122)에 지지되고, 접시의 배면 하단은 제7굴곡부(1302)에 지지된다. 무게중심은 좌측 제7굴곡부(1302)와 우측 제7굴곡부(1302)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시는 중앙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접시의 양 측면은 제3지지부(123)에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시의 배면의 양 측면은 제3굴곡부(12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지지부(123)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만약 접시가 도 10에 도시한 접시보다 작은 경우에는 접시의 양 측면은 제3지지부(123)에 지지될 수 없다. 이때에는 접시의 배면 하단은 제1지지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기는, 접시의 배면의 좌측하단은 좌측 제1굴곡부(1216)에 지지되고, 접시의 배면의 우측하단은 우측 제1굴곡부(1216)에 지지될 수 있다. 접시의 무게중심은 좌측 제1굴곡부(1216)와 우측 제1굴곡부(1216) 사이에 위치하므로, 접시는 제1지지부(121)의 중앙에 안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랙(100)에 부착되고 대형 세척대상들을 거치하는 가변랙(200)을 설명한다.
가변랙(200)은 랙(100)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회동시 측면와이어(1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공간에 대형 세척대상들을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가변랙(200)의 하단은 랙(10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중심축(O)을 형성하고,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가변랙(200)과 측면와이어(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도마, 프라이팬 등 대형 세척대상이거나 비전형 세척대상들을 거치할 수 있다.
회전중심축(O)은 가변랙(200)의 하부를 형성하고 랙(100)의 하단과 체결된다.
가변랙(200)이 회동시, 가변랙(200)과 측면와이어(1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가변랙(200)과 랙의 바닥면(104) 사이에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가변랙(200)은 측면와이어(110)와 랙의 바닥면(104) 사이의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척대상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가변랙 암(210)은 회전중심축(O)과 결합되고, 가변랙(200)의 측면을 형성한다. 가변랙 암(210)은 회전중심축(O)에 결합되는 하부암(211)과, 하부암(211)과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암(212)과, 하부암(211)과 상부암(212)을 연결하는 연결암(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변랙 암은 하부암(211)과 연결암(213)과 상부암(21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암(211)은 가변랙(200)의 측면을 형성하고, 하단은 회동하는 회전중심축(O)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부암(212)은 가변랙(200)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부암(212)의 하단은 하부암(211)의 상단의 바깥쪽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상부암(212)은 하부암(211)에 비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상부암(212)의 연장선과 하부암(211)의 연장선은 가변랙(200)의 상측에서 교차될 수 있다.
연결암(213)은 횡으로 연장하여, 하부암(211)의 상단과 상부암(212)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암(213)과 하부암(211)의 연결부는 굴곡질 수 있고, 연결암(213)과 상부암(212)의 연결부도 굴곡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암(211)은 회전중심축(O)을 따라 일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도 15a는 가변랙(200)이 작동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암(211)은 수직축(z1)보다 외측으로 더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암(211)은 수직축(z1)보다 외측으로 7도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다. 하부암(211)은 수직측(z1)보다 외측으로 더 기울여져 배치됨으로써 랙의 수납공간이 시각적으로 넓게 보이는 효과가 있고, 그 경사부에 세척대상을 더 많이 거치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상부암(212)의 하단은 측면 와이어(110)와 접촉할 수 있다. 가변랙 암은 하단이 랙(100)에 체결되나 상단은 체결되지 않으므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암(212)의 하단은 측면와이어(110)와 접촉하여 측면와이어(110)에 지지됨으로써 진동을 감소시켜 세척대상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가변랙(200)이 회동하기 전에는 상부암(212)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가변랙(200)이 작동하기 전에 상부암(212)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함으로써, 세척대상이 랙의 측면(102)을 넘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가능한 범위 내에 세척대상이 배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5b는 가변랙(200)이 작동한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암(211)은 회전중심축(O)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수직축(z1)보다 내측으로 더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암(211)은 회전중심축(O)을 기준으로 30도 회전할 수 있고, 수직축(z1)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23도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다. 하부암(211)은 내측으로 기울여져 배치됨으로써, 가변랙(200)과 측면 와이어(11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고, 가변랙(200)과 랙 바닥면 사이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세척대상을 더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변랙(200)이 회동한 후, 상부암(212) 및 연결암(213)은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변암과 측면 와이어(110) 사이에 세척대상이 거치된 경우, 상기 굴곡부에 걸려 전-후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세척대상을 안착시켜 세척대상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4,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측면지지부(214)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측면지지부(214)는 상기 한 쌍의 하부암(211)과 하부암(211) 사이에서 전후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회전중심축(O)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측면지지부(214)의 하단은 회전중심축(O)과 결합하고,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세척대상의 하부는 랙의 바닥면(104)에 지지되고, 세척대상의 측면은 측면지지부(214)에 지지될 수 있다. 대형 세척대상의 경우에는 도 1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변랙(200)을 회동시키지 않고 거치할 수 있고, 소형 세척대상의 경우에는 도 1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변랙(200)을 회동시켜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측면지지부(214)의 상단의 종류를 설명한다.
측면지지부(214)의 일 실시예로, 도 1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측면지지부(214)는 1자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지지부(214)의 다른 실시예로, 도 1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측면지지부(214)는 상단에 캡(214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214)는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는 바 진동이 발생하면 측면지지부(214)의 끝단이 세척대상을 손상시킬 문제가 있기 때문에, 측면지지부(214)의 상단에 캡(2142)을 씌워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측면지지부(214)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측면지지부(214)의 상단에 외측으로 굴곡진 굴곡부(2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2141)는 연결암(213)과 전-후로 중첩되게 외측으로 굴곡질 수 있다. 측면지지부(214)의 상단이 외측으로 굴곡짐으로서 측면지지부(214)에 의해 세척대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굴곡부(2141)는 연결암(213)과 전-후로 중첩되는 부분이 외측으로 굴곡됨으로써, 측면지지부의 굴곡부(2141)가 돌출되지 않아 세척대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회전중심축에서 상기 측면지지부(214)의 상단의 굴곡부까지의 높이(H1)는 회전중심축에서 연결암까지의 높이(H2)보다 낮지 않을 수 있다. 측면지지부의 굴곡부(2141)가 연결암(213)보다 낮게 배치되면 하부암(211)보다 돌출되어 세척대상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측면지지부의 굴곡부(2141)를 연결암(213)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하거나 연결암(213)보다 높게 배치하여, 상부암(212)보다 돌출되지 않게 하여 세척대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가변랙(200)의 체결부재(232)와 스토퍼(231)를 설명한다.
가변랙(200)은 하단은 체결부재(232)에 의해 랙(100)과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232)는 가변랙(200)을 랙의 바닥면(104)에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체결부재(232)는 가변랙(200)의 양 측 하단에 배치된다. 체결부재(232)는 회전중심축의 일부가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중심축은 체결부재(232)에 일부가 인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변랙(200)은 스토퍼(23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31)는 가변랙(200)의 회동하는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스토퍼(231)는 회전중심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31)는 회전중심축에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31)는 회전중심축에서부터 하부암(211)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231)는 체결부재(232)에 인입된 회전중심축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31)는 하부암(211)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토퍼는 하부암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 하부암과 회전중심축과 스토퍼가 형성하는 각도(θ4)는 9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랙(200)의 행정각도가 30도라고 할 때, 회동 전의 스토퍼와 랙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30도일 수 있고, 하부암(211)과 회전중심축과 스토퍼가 형성하는 각도(θ4)는 67도일 수 있다.
스토퍼(231)는 하부암(211)의 행정각도를 한정함으로써, 가변암과 랙 측면 사이의 공간 및 가변암과 랙 하부면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보다 많은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가변랙(200)은 뒤집개, 주걱, 와인잔 등 긴 자루를 갖는 세척대상들을 거치할 수 있는 봉 거치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봉 거치대(220)는 가변랙(200)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 홈을 형성하여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다. 도 19는 와인잔의 스템을 끼워 거치하는 봉 거치대(220)를 구비한 랙(100)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긴 자루를 갖는 세척대상들을 끼워 거치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세척대상의 일 측은 봉 거치대(220)에 끼워지며, 세척대상의 타 측 하단은 랙의 바닥면(104)에 지지되어 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봉 거치대(220)는 후면판(222)과 전면판(224)의 골에 세척대상을 배치하며, 탄성부재로 세척대상을 고정한다.
후면판(22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2221)을 형성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마루(2222)를 형성한다. 전면판(224)은 후면판(222)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2241)을 형성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마루(2242)를 형성한다. 탄성부재는 후면판의 마루(2222)와 전면판의 마루(224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면판의 마루(2222) 또는 후면판의 마루(2242) 중 적어도 한 곳에는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탄성부재는 돌출부에 의해 체결되고, 돌출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세척대상은 전면판 및 후면판의 골(2221,2241)에 인입된다. 세척대상의 일 측은 전면판 및 후면판의 골(2221,2241)에 인접하며, 타 측은 탄성부재에 인접한다. 세척대상의 3면은 골과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하게 고정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봉 거치대(220)와 상부암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3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랙(200)이 작동하여 30도 회동하는 경우, 봉 거치대(220)와 랙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30도가 된다. 제4지지부(124)가 랙의 바닥면(104)에서 30도 경사지게 형성된다고 하면, 봉 거치대(220)와 제4지지부(124)는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봉 거치대(220)는 횡 와이어(120)의 적어도 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봉 거치대(220)와 제4지지부(124)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 봉 거치대(220)에 고정된 세척대상의 바닥면은 모든 면적이 제4지지대에 지지되므로, 안정하게 고정되어 세척대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지지부(124)는 횡 와이어(120)의 일부를 구성하고 랙의 바닥면(104)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봉 거치대(220)는 횡 와이어(120)의 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지지부(124)는 횡 와이어(120)의 일부를 구성하고 랙의 바닥면(104)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가변랙(200)이 회동시 랙의 측면(102)과 제4지지부(124)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터브
20: 도어 30: 세척모듈
31: 섬프 32: 세척펌프
33: 연결관 34: 세척노즐
35: 절환밸브
100: 랙 102: 랙의 측면
104: 랙의 바닥면 110: 측면와이어
120: 횡 와이어 121: 제1지지부
1212: 제1수평면 1214: 제1경사면
1216: 제1굴곡부
122: 제2지지부 1222: 제2수평면
1224: 제2경사면 1226: 제2굴곡부
123: 제3지지부 1232: 제3경사면
1234: 제4경사면 1236: 제3굴곡부
1237: 제4굴곡부
124: 제4지지부 1242: 제5경사면
1244: 제6경사면 1246: 제5굴곡부
1247: 제6굴곡부
130: 종 와이어 1302: 제7굴곡부
1304: 제7굴곡부의 최고점
200: 가변랙 211: 하부암
212: 상부암 213: 연결암
214: 측면지지부 220: 봉 거치대
301: 접시 311: 와인잔
321: 그릇 331: 프라이팬
θ5: 제1경사면과 수직축이 형성하는 각도
θ6: 제3경사면과 수직축이 형성하는 각도
θ7: 제6경사면과 수평축이 형성하는 각도
θ8: 제7굴곡부의 전방면과 수직축이 형성하는 각도
θ9: 제7굴곡부의 후방면과 수직축이 형성하는 각도
X: X축 Y: Y축 Z: Z축
z1: 수직축 O: 회전중심축

Claims (17)

  1.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랙;
    상기 랙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와이어;
    일 측이 상기 측면 와이어와 연결되고, 횡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 와이어;
    일 측이 상기 측면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횡 와이어와 적어도 한번 이상 교차되고, 종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종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횡 와이어는,
    상기 랙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랙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랙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된 제1수평면; 및
    상기 제1수평면의 양 끝단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랙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수평면보다 낮게 배치된 제2수평면; 및
    상기 제2수평면의 양 끝단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1수평면의 양 끝단과 제1경사면의 연결점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1굴곡부를 포함하고,
    제2수평면의 양 끝단과 제2경사면의 연결점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2굴곡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제1수평면의 양 끝단은 제1수평면의 중앙보다 높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 와이어는,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와 점점 멀어지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3경사면; 및 상기 제3경사면의 상단에서 랙의 바닥면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4경사면;을 구비하는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3경사면과 상기 제4경사면을 연결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3굴곡부와,
    상기 제3굴곡부와 상기 제4경사면의 연결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3굴곡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4굴곡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 와이어는,
    상기 제4경사면의 측방에 배치되고, 랙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5경사면; 및
    상기 제5경사면의 상단에서 상기 1지지부의 반대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6경사면을 포함하는 제4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3경사면과 상기 제4경사면을 연결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3굴곡부와, 상기 제3굴곡부와 상기 제4경사면의 연결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3굴곡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4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경사면이 형성하는 연장선은 상기 제4굴곡부의 하측을 지나가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지부는,
    상기 제5경사면과 상기 제6경사면을 연결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5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경사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제6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 와이어는,
    적어도 2 이상의 횡 와이어와 교차하고,
    상기 횡 와이어의 사이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7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7굴곡부의 최고점은 상기 횡 와이어 중 후방의 횡 와이어에 가깝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종 와이어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 측방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 쪽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4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제3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 와이어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사이 및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5.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랙;
    상기 랙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와이어;
    일 측이 상기 측면 와이어와 연결되고, 횡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 와이어;
    일 측이 상기 측면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횡 와이어와 적어도 한번 이상 교차되고, 종으로 배치되어 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종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횡 와이어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세척대상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전후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세척대상의 타 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된 높이를 가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종 와이어는,
    적어도 2 이상의 횡 와이어와 교차하고,
    상기 2 이상의 횡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의 하부를 지지하고, 일 측으로 상승하는 경사를 가진 제7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횡 와이어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세척대상을 지지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90150952A 2019-11-22 2019-11-22 식기세척기 KR20210062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52A KR20210062823A (ko) 2019-11-22 2019-11-22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52A KR20210062823A (ko) 2019-11-22 2019-11-2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23A true KR20210062823A (ko) 2021-06-01

Family

ID=7637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52A KR20210062823A (ko) 2019-11-22 2019-11-2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28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506A1 (ko) * 2021-08-26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506A1 (ko) * 2021-08-26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071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US7673639B2 (en) Washing arm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1054186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US10610079B2 (en) Dishwasher having multiple spray arms for improved washing effectiveness
KR20150089403A (ko) 커트러리바스켓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JP2008073400A (ja) 食器洗い機
KR101155344B1 (ko) 식기 세척기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KR101235952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히터부
KR10139703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210062822A (ko) 식기세척기
JPH0910158A (ja) 食器洗浄機の食器カゴ
KR102091187B1 (ko) 식기세척기
EP3597095B1 (en) Dishwasher
KR102493157B1 (ko) 식기세척기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220108537A (ko) 세척장치
KR10127601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KR2008001259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0934697B1 (ko) 가변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용 랙
US20230130490A1 (en) Dishwasher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CN220876701U (zh) 碗篮组件和洗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