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037B1 -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037B1
KR101397037B1 KR1020070124411A KR20070124411A KR101397037B1 KR 101397037 B1 KR101397037 B1 KR 101397037B1 KR 1020070124411 A KR1020070124411 A KR 1020070124411A KR 20070124411 A KR20070124411 A KR 20070124411A KR 101397037 B1 KR101397037 B1 KR 10139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ableware
dishwasher
pins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710A (ko
Inventor
윤상헌
신갑수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식기의 수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수납, 식기 수납체

Description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 내에 놓인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식기 표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떼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식기를 세척해주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식기는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간상에서 세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기는 식기 수납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터브에서 세척된다.
상기 식기 수납체에는 식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핀들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핀들의 간격들이 고정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핀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기 수납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식기를 수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간편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납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상기 식기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제1 지지체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 수납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은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기 수납폭을 분할할 수 있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 지지핀들과, 상기 제2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2 지지핀들은 적어도 일부가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이 함께 식기 수납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유닛은 상기 제1 지지핀들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제1 지지모드와, 상기 제2 지지핀들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제2 지지모드와, 상기 제1 지지핀과 제2 지지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제3 지지모드와,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이 모두 접혀진 상태로 사용되는 제4 지지모드의 형태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핀은 상기 제2 지지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제1 지지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핀은 상기 제1 수직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열을 따라 굽어지는 제1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제2 수직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열을 따라 굽어지는 제2 벤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를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고정장치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지지체유닛의 일단을 상기 수납체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제2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타단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의 타단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수납체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그리고 식기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식기 수납체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 수납체는 수납체 프레임,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식기의 수납을 위한 식기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갖는 제1 지지체 유닛, 상기 제1 지지체 유닛과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식기의 수납을 위한 식기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3 지지체 및 제4 지지체를 갖는 제2 지지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식기의 일측은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은 상기 제2 지지체 유닛에 의하여 지지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식기세척기 내부에 편리하게 수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예를 들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를 개폐하는 도어(120), 사용자가 상기 식기 세척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 또는 도어(120)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3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납되어 세척되는 공간인 세척실(150)이 터브(110)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터브(110)의 아래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00)가 배치된다.
상기 섬프(200)에는 상기 섬프(200)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210)와 오염된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200)에는 저수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섬프 히터(29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200)에는 신선한 물을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제1 급수관(250) 및 상기 섬프(200)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7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250)에는 상기 섬프(200)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1 급수 밸브(255)가 설치된다.
상기 터브(110)의 내부, 즉 상기 세척실(1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및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향해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암이 배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식기 수납체(160)와 제2 식기 수납체(17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식기 수납체(160)와 제2 식기 수납체(170)를 향해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각각 분사하는 제1 분사암(230)과 제2 분사암(220)이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세척실(150)의 상부에 서 하부로 분사하는 탑 노즐(240)이 상기 세척실(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상기 세척실(150)에는 상기 펌프(210)와 상기 분사암(230, 220)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될 뿐만 아니라, 스팀이 분사 또는 공급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상기 섬프(210)에 구비된 섬프 히터(290)와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스팀발생기(300)가 구비된다.
상기 스팀발생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급수관(250)과 연통되며, 스팀 공급관(280)에 의해 상기 터브(110) 내의 세척실(150)과 연통된다. 상기 제2 급수관(260)에는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2 급수 밸브(265)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발생기(300)는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로 급수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330), 상기 물탱크(300)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히터(310) 및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센서(320)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 센서(320)는 예를 들어 저수위와 고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저수위는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의 스팀 히터(3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며, 상기 고수위는 상기 스팀발생기(300)의 작동시 상기 물탱크(330)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
상기 세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컨트롤 패널(130), 상기 펌프(210),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300)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되는 식기 수 납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두 개의 식기 수납체, 즉 제1 식기 수납체와 제2 식기 수납체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식기 수납체와 제2 식기 수납체는 터브가 형성하는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식기 수납체와 제2 식기 수납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식기 수납체를 바탕으로 식기 수납체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식기 수납체는 수납체 프레임(171),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설치되고 식기의 수납을 위한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지지체(410) 및 제2 지지체(420)를 갖는 제1 지지체 유닛(400),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과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식기의 수납을 위한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3 지지체(510) 및 제4 지지체(520)를 갖는 제2 지지체 유닛(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기의 일측은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은 상기 제2 지지체 유닛(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은 식기 수납체의 외형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은 다수 개의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와이어는 격자모양을 이루면서 바스켓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의 하면에는 식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체 유닛들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유닛은 12개가 구비되며, 하나의 열에 두 개의 지지체 유닛이 배열되고, 상기 지지체 유닛들은 6개의 열을 이루고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가 수납되는 공간인 식기 수납폭을 상기 식기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제1 지지체 유닛(4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410)와,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체(4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기 수납폭을 분할할 수 있는 제2 지지체(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는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45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의 양측단을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은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 상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장치(6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을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7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장치(600)와 대응되는 걸림바(710)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720)와 걸림바(7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식기 수납체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장치(도 5의 900참조)를 포함한다.
물론, 제5 지지체 유닛(830) 또는 제6 지지체 유닛(840)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831, 841)은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지 않고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장치(833, 84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자체를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시 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수납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가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체(410) 및 제2 지지체(4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고정장치(430)와, 상기 제1 지지체(410) 및 제2 지지체(42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고정장치(4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제1 몸체(431), 상기 제1 몸체(4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미도시), 상기 제1 몸체(431)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1 수용부(미도시)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홀더(433), 상기 제1 몸체(4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4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토퍼(435)는 일측 방향, 즉 도면상 좌측방향이 개방되어 있고, 다른 방향으로는 닫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체(410)가 도면상 좌측으로만 회전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스토퍼(435)는 상기 제1 지지체(410)가 우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제1 수용부(미도시)는 상기 제1 몸체(431)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수용부(미도시)는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일측 끝단과 대응되는 홀 또는 홈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43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홀더(43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직접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홀더(43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 또는 수납체 프레임(171)과 볼트-너트 결합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고정장치(440)는 제2 몸체(441), 상기 제2 몸체(44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미도시), 상기 제2 몸체(441)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2 수용부(미도시)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홀더(443), 상기 제2 몸체(4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4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토퍼(445)는 일측 방향, 즉 도면상 우측방향이 개방되어 있고, 다른 방향으로 닫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체(420)가 도면상 우측으로만 회전가능하다. 즉, 상기 제2 스토퍼(445)는 상기 제2 지지체가 좌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혀진다.
상기 제2 고정장치(4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수용부(미도시) 및 상기 제2 홀더(443)는 상기 제1 고정장치(430)에 구비되는 제1 수용부(미도시) 및 제1 홀더(433)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체(410)는 제1 지지바(411)와 상기 제1 지지바(411)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핀(413)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바(411)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장치(4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지지바(411)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장치(44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핀(413)들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제2 지지체(420)는 제2 지지바(421)와 상기 제2 지지바(421)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핀(423)들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바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장치(4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 지지바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장치(44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적어도 일부가 번갈아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이 함께 식기 수납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핀(413)은 상기 제1 지지핀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체(4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13a)와, 상기 제1 연장부(413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413b)와, 상기 제1 수직부(413b)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방향을 따라 굽혀지는 제1 벤딩부(41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핀(423)은 상기 제1 지지핀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핀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체(4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23a)와, 상기 제2 연장부(423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423b), 상기 제2 수직부(423b)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2 벤딩부(4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식기가 수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세 종류의 식기 즉, 제1 식기류(D1), 제2 식기류(D2), 및 제3 식기류(D3)가 식기 수납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모든 지지체 유닛들에 구비된 지지핀들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1 식기류(D1)는 제3 지지체 유닛(810)과 제4 지지체 유닛(8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제2 식기류(D2)는 제1 지지체 유닛(400)과 제2 지지체 유닛(5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또한, 제3 식기류(D3)는 제5 지지체 유닛(830)과 제6 지지체 유닛(84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 식기류(D1)가 2열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지지체 유닛(400)과 제6 지지체 유닛(840)에 구비된 지지핀들은 모두 접혀진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제1 식기류의 좌측 열은 제3 지지체 유닛(810)과 제 4 지지체 유닛(8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제1 식기류의 우측 열은 제2 지지체 유닛(500)과 제5 지지체 유닛(8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지지핀들이 상기 식기의 종류에 따라 접혀지거나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기가 수용되는 횡방향의 식기 수납폭을 조절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식기가 사용장의 의도에 따라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제1 식기류(D1)와 제4 식기류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4 식기류(D4)는 사발의 형태로써 다른 식기에 비하여 식기가 수납되는 방향을 따른 식기의 폭이 크다.
상기 제4 식기류는 제1 지지에 유닛과 제2 지지체 유닛(5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제4 식기류는 제1 지지체 유닛의 제1 지지체의 지지핀들과 상기 제2 지지체 유닛의 제1 지지체(4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제5 식기류(D5)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5 식기류는 프라이 팬을 비롯한 식기류 등과 같이 바닥이 넓은 식기에 해당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 유닛들에 구비된 모든 지지핀들은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지지핀들을 세우거나 눕혀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하나의 지지체 유닛, 즉 제1 지지체에 구비된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체에 구비된 제2 지지핀들이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드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410)에 구비된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체(420)에 구비된 제2 지지핀(423)들은 모두 직립한 상태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핀(413)과 제2 지지핀(423) 사이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지지모드가 제3 지지모드가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410)에 구비된 제1 지지핀(413)들에 의하여 상기 식기 수납폭이 결정되는 모드가 제1 지지모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핀(413)들은 직립한 상태로 식기가 수용되는 식기 수납폭을 형성함에 반하여,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눕혀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체(420)에 구비된 제2 지지핀(423)들에 의하여 상기 식기 수납폭이 결정되는 모드가 제2 지지모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직립한 상태로 식기 수납폭을 형성함에 반하여, 상기 제1 지지핀(413)들은 눕혀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이 모두 눕혀진 상태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모드가 제4 지지모드가 된다.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식기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식기가 수용되는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지지체 유닛에 구비된 상기 지지핀들을 4가지 모드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식기의 종류에 따라 식기를 식기 수납체에 수납하기가 훨씬 편리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는 식기들은 식기 수납체에 편리하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체 유닛의 요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70: 제2 식기 수납체
400: 제1 지지체 유닛 410: 제1 지지체
411: 제1 지지바 413: 제1 지지핀
420: 제2 지지체 421: 제2 지지바
423: 제2 지지핀 430: 제1 고정장치
433: 제1 홀더 435: 제1 스토퍼
440: 제2 고정장치 450: 베이스 프레임
500: 제2 지지체 유닛 600: 걸림장치

Claims (12)

  1. 수납체 프레임;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상기 식기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지지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에 구비되어 식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1지지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의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다수의 제2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수납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상기 제2 지지핀들은 적어도 일부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이 함께 식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유닛은 상기 제1 지지핀들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공간을 결정하는 제1 지지모드와, 상기 제2 지지핀들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공간을 결정하는 제2 지지모드와, 상기 제1 지지핀과 제2 지지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공간을 결정하는 제3 지지모드와,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이 모두 접혀진 상태로 사용되는 제4 지지모드의 형태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핀은 상기 제2 지지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제1 지지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식기 수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핀은 상기 제1 수직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열을 따라 굽어지는 제1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제2 수직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열을 따라 굽어지는 제2 벤딩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 수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를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식기 수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유닛은 상기 고정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장치 및 제2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홀더;
    상기 제1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지지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수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홀더;
    상기 제1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지지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수납체.
  12. 삭제
KR1020070124411A 2007-12-03 2007-12-03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39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411A KR101397037B1 (ko) 2007-12-03 2007-12-03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411A KR101397037B1 (ko) 2007-12-03 2007-12-03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710A KR20090057710A (ko) 2009-06-08
KR101397037B1 true KR101397037B1 (ko) 2014-06-27

Family

ID=4098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411A KR101397037B1 (ko) 2007-12-03 2007-12-03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1223B1 (it) * 2010-07-23 2013-07-12 Indesit Co Spa Cestello per lavastoviglie
KR101290375B1 (ko) * 2010-09-02 201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9199300A (zh) * 2018-10-11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其碗篮
US11642002B1 (en) 2022-04-13 2023-05-0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adjustable tin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324A (ja) * 1996-01-30 1997-08-0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カゴ
KR19990075791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식기세척기의 바구니
JP2005334552A (ja) 2004-05-31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KR20070039542A (ko) * 2004-07-23 2007-04-12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다양한 방법으로 도기를 담기 위한 도기 바스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324A (ja) * 1996-01-30 1997-08-0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カゴ
KR19990075791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식기세척기의 바구니
JP2005334552A (ja) 2004-05-31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KR20070039542A (ko) * 2004-07-23 2007-04-12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다양한 방법으로 도기를 담기 위한 도기 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710A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260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tine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1054186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136628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39703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US9265402B2 (en)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support for large and small bowls
US20160198926A1 (en) Fluid circulation system for dishwasher appliances
EP4260789A1 (en) Dishwasher and adjustable tine assembly
US9138126B2 (en) Height adjustable condui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US11730339B2 (en) Article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1484177B2 (en) Dishwasher appliance water valve mounting bracket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CN212234362U (zh) 自动洗碗机
JPH11290261A (ja) 食器洗浄機用食器籠
KR20100032202A (ko) 세척기기의 랙 어셈블리
KR200376006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랙 받침대 시스템
JP3615211B2 (ja) 食器洗浄機
JP3615211B6 (ja) 食器洗浄機
KR101879974B1 (ko) 식기 세척 장치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