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974B1 - 식기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974B1
KR101879974B1 KR1020170011162A KR20170011162A KR101879974B1 KR 101879974 B1 KR101879974 B1 KR 101879974B1 KR 1020170011162 A KR1020170011162 A KR 1020170011162A KR 20170011162 A KR20170011162 A KR 20170011162A KR 101879974 B1 KR101879974 B1 KR 10187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receiving
tablewar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조운
천광우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mouldable materials, e.g. metals, cellulose derivatives,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2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r joined in rubber bodies, e.g. in soft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식기수용부; 및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수단으로서, 탄력성을 가지는 세척솔을 포함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 장치{APPARATUS FOR WASHINH DISH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기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염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식기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한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속이 깊게 파인 밥그릇을 완벽하게 세척하기에 충분치 못한 세척방법을 가지며, 보다 완벽하게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직접 수세미로 닦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핸드 드릴같은 모터에 수세미를 장착해 회전시킴으로써 식기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장치와 같은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모터에 솔을 장착해 회전시켜 식기를 세척하는 방법은 핸드드릴과 동일한 방법으로 손으로 쥘 수 있는 무게 내에서 모터에 솔을 장착해 회전시켜 식기를 닦는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결국 한 손으로 식기를 고정하고 장치를 구동해야 하므로 손 설거지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고, 손 설거지에 비해 나은 세척력을 기대하기 힘들다. 또한 이와 같은 기술은 직접 식기를 한 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장치를 파지하여 작동시켜야 했으므로, 식기의 정렬 및 장치의 작동을 위한 사용자의 시간 및 노력을 많이 필요로 했다.
한편, 1인가구 구성원의 경우에는 고가의 식기세척기를 구입하기에는 가격이 부담되고, 최소용량도 일반적으로 6인용이기 때문에 식기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1인 가구의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식기세척기 대다수는 다수의 식기를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값비싼 모터펌프를 통해 수압을 증가시켜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이에 따라 접시를 주로 사용하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밥그릇에 묻은 밥알이 완전히 제거 되지 않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또한 모터펌프의 가격이 비싸 식기세척기가 고가의 가전제품이 되는 주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염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식기 세척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식기수용부; 및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수단으로서, 탄력성을 가지는 세척솔을 포함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 및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로부터 상기 식기수용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는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로부터 상기 식기수용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부; 및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상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는 상기 수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수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솔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하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회전판과 상기 제1 회전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세척솔을 포함하는 제1 세척유닛; 및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상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회전판과 상기 제2 회전판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세척솔을 포함하는 제2 세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기수용부는, 식기의 투입 및 제거를 반복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구된 식기조와, 상기 식기조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기조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130 mm 내지 20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수용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식기수용부는 각각 몸체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솔은 상기 식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식기수용부와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솔을 포함하므로, 식기가 이물로 오염되어 있더라도 세척솔에 의해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세척솔는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척솔에 의해 식기를 세척하더라도 식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의 외형을 개력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식기 세척 장치의 식기수용부, 세척부 및 회전결합부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의 외형을 개력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식기 세척 장치의 식기수용부, 세척부 및 회전결합부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100)은 베이스(110)와, 몸체부(120)와, 수조부(130)와, 가열부(140)와, 온도감지부(150)와, 펌프부(미도시)와, 식기수용부(160)와, 수위감지부(170)와, 회전결합부(180) 및 세척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식기 세척 장치(100)가 놓일 수 있는 평면 상에 지지될 수 있는 판형 부재로서, 그 상부에는 후술하는 몸체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20)는 베이스(110)로부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구조물로서, 후술하는 식기수용부(16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20)는 베이스(110)로부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제1 프레임(121)과, 제1 프레임(121)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21) 내부에는 후술하는 수조부(1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적어도 한 쌍이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되어 있는 공간 사이에는 후술하는 식기수용부(160)를 몸체부(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회전결합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조부(130)는 식기수용부(160)에 수용되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조부(130)는 몸체부(120)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조부(130)는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21)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또는 그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별도의 용기일 수 있다.
가열부(140)는 수조부(130)에 수용된 물을 세척이 용이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40)는 예를 들어, 수조부(130) 내에 위치하는 히팅 코일일 수 있다. 가열부(140)는 후술하는 온도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수조부(130) 내의 물의 온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가 70 ℃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부(140)는 구동이 되어 수조부(130)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온도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가 70 ℃에 도달하면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부(140)는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며, 가열부(140)의 작동시작을 선택하는 작동신호를 가열부(14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가 작동시작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치는 몸체부(120) 상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온도감지부(150)는 수조부(13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50)는 예를 들어, 수조부(130) 내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펌프부(미도시)는 수조부(130)로부터 후술하는 식기수용부(16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펌프부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펌프일 수 있다. 펌프부는 온도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수조부(130) 내의 물의 온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가 70 ℃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펌프부의 작동이 정지되어 수조부(130) 내의 물을 식기수용부(160)에 펌핑하지 않으며, 온도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가 70 ℃에 도달하면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펌프부가 구동되어 수조부(130) 내의 물을 식기수용부(160)로 펌핑하여 공급할 수 있다. 펌프부는 후술하는 수위감지부(170)를 통해 감지된 수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감지부(170)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식기수용부(160) 내의 미리 정한 높이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펌프부는 구동이 지속되어 수조부(130)로부터 식기수용부(160)로 물을 공급하며, 수위감지부(170)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식기수용부(160) 내의 미리 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 펌프부는 구동이 정지되어 식기수용부(160)으로의 물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식기수용부(160)는 세척이 필요한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용공간 내에 수조부(130)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식기는 예를 들어, 그릇류, 접시류일 수 있다. 식기수용부(160)는 식기조(161)와, 개폐부재(162) 및 베이스판(163)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조(16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식기의 투입 및 제거를 반복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식기조(161)는 예를 들어, 상방이 개구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식기조(161)의 직경은 130 mm 내지 20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기조(161)의 직경을 130 mm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소형 컵부터 해서 국 그릇 내지 접시 등까지 모두 수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식기조(161)의 직경을 200 mm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조(161)에 수용되는 식기가 아주 작더라도 세척 과정에서의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식기 세척 장치(100)를 좁은 실내 공간에 비치하는 경우에도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식기조(161)의 소재는 예를 들어, 진동 및 충격에 견딜 수 있으며 내부식성을 가지는 강화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도 이용될 수 있다. 식기조(161)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162)의 힌지축(162a)을 지지할 수 있는 힌지부(161a)가 형성될 수 있다.
식기조(161)의 하면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암(182)이 연결되며, 식기조(161)의 하면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2 회전암(183)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암(182) 및 제2 회전암(183)은 식기조(161)의 하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식기조(161)는 제1 회전암(182) 및 제2 회전암(183)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개폐부재(162)는 식기조(161)의 개구되어 있는 상방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 부재로서, 일단부가 식기조(16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재(162)의 일단부에는 힌지축(162b)이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축(162b)이 힌지부(161a)의 홈 상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개폐부재(162)의 일단부는 식기조(16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판(163)은 식기조(16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부재로서, 제2 회전암(183)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판(163)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1 세척유닛(191)이 베이스판(16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수용부(160)는 복수 개 마련되어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식기수용부(160) 또한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열될 수 있다. 복수의 식기수용부(120)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122)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결합부(18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식기수용부(160)는, 회전결합부(180)에 의하여 몸체부(1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식기수용부(160)는 각각 사이즈를 달리 하여, 밥그릇과 같은 크기가 작은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소형 식기수용부부터 냄비 또는 후라이팬과 같은 크기가 큰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대형 식기수용부까지 다양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몸체부(120)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170)는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상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170)는 예를 들어, 식기조(161) 내부의 미리 정한 높이에 위치하는 위치하여 물을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일 수 있다. 수위감지부(170)는 식기수용부(160) 상에 수용되는 식기가 충분히 세척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결합부(180)는 식기수용부(160)를 몸체부(1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유닛일 수 있다. 회전결합부(180)는 축(181)과, 제1 회전암(182) 및 제2 회전암(183)을 포함할 수 있다.
축(181)은 길게 연장되어 있는 원기둥형 부재로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제22 프레임(122) 상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암(182)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축(181)이 삽입될 수 있는 축공(18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암(182)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지점부터 타단부까지는 일단부보다 낮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암(182)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에 의해 일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은 식기조(161)의 하부 하면에 위치하여 식기조(16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회전암(182)은 축(181)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 회전암(182)에 결합되는 식기조(161) 또한 축(18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회전암(182)의 내부에는 수조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이동하여 식기조(161)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식기조(161)에는 제1 회전암(182)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와 연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암(183)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식기조(161)의 하부 상면에 위치하여 식기조(161)의 하부를 사이에 두고 제1 회전암(182)과 짝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식기조(161)는 제1 회전암(182) 및 제2 회전암(183)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세척부(190)는,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수단으로서 탄력성을 가지는 세척솔(191b, 192b)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솔(191b, 192b)은 식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솔(191b, 192b)은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식기조(161)의 내부공간을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솔의 양과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이로써, 세척솔(191b, 192b)이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에 내에서 회전하더라도 식기가 그 수용공간 내에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부(190)는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전판(191a, 19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솔(191b, 192b)은 회전판(191a, 192b)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부(190)는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하단부에서 회전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제1 세척유닛(191)과,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상단부에서 회전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제2 세척유닛(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척유닛(191)은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하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회전판(191a)과, 제1 회전판(191a)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세척솔(19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판(191a)는 식기수용부(160)의 베이스판(163)의 상부에 위치하며 베이스판(163)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판(191a)은 구동부(미도시), 예를 들어 소정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판(191a)의 회전에 의해 제1 세척솔(191b)은 식기조(161)에 수용되는 식기의 하부 측을 세척할 수 있다.
제2 세척유닛(192)은 식기수용부(160)의 수용공간 상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회전판(192a)과, 제2 회전판(192a)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세척솔(19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판(192a)는 식기수용부(160)의 개폐부재(162)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조(162)의 상방을 폐쇄한 상태의 개폐부재(162)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판(192a)은 구동부(미도시), 예를 들어 소정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전판(192a)의 회전에 의해 제2 세척솔(192b)은 식기조(161)에 수용되는 식기의 상부 측을 세척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식기수용부(160)로의 식기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식기조(160)를 축(181)을 중심으로 몸체부(120)에 대하여 수평하게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폐부재(162)를 식기조(161)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전시킨 뒤 식기를 식기조(161)에 투입할 수 있다. 그 다음 개폐부재(162)를 식기조(161)에 대하여 하방으로 회전시켜 식기조(161)의 개구부를 폐쇄시킨 뒤 식기조(160)가 몸체부(12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위치로 몸체부(120)에 대하여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다량의 식기를 세척하고자 한다면 복수의 식기수용부(160)에 전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작동시작을 선택하면,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 가열부(140)가 구동하게 된다.
이후에 온도감지부(150)가 수조부(130) 상의 물의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 예를 들어 70℃ 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면,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 가열부(140) 구동은 정지하게 되며 펌프부는 구동하게 된다.
펌프부의 구동에 따라 수조부(130) 상의 물은 제1 회전암(182)의 유로를 통해 식기조(161)에 공급될 수 있다.
이후에 수위감지부(170)가 식기조(161) 상의 수위가 미리 정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면,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 펌프부 구동은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세척유닛(191, 192)의 회전판(191a, 192a)이 미리 정한 시간 동안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191a, 192b)의 회전에 따라 세척솔(191b, 192b) 또한 회전하게 되어 식기조(161)에 수용된 식기를 상부 및 하부에서 골고루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세척유닛(191, 192) 회전판(191a, 192a)이 미리 정한 시간 동안의 회전을 마친 다음에는 식기조(161) 상의 세척을 마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식기 세척 장치(100)의 물의 배출 유로는 제1 회전암(182) 상의 물의 공급 유로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물의 공급 유로와 별도의 유로를 제1 회전암(182) 상에 마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100)는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식기수용부(160)와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솔(191b, 192b)을 포함하므로, 식기가 이물로 오염되어 있더라도 세척솔(191b, 192b)에 의해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세척솔(191b, 192b)는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척솔(191b, 192b)에 의해 식기를 세척하더라도 식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압 물 분사를 이용한 식기를 세척하는 기술은 고압 물 분사를 위해 고가의 고압 펌프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식기 세척 장치(100)는 세척솔(191b, 192b)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며 고가의 고압 펌프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상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식기 세척 장치
110: 베이스
120: 몸체부
130: 몸체부
140: 수조부
150: 온도감지부
160: 식기수용부
170: 수위감지부
180: 회전결합부
190: 세척부

Claims (12)

  1.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식기수용부;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수단으로서, 탄력성을 가지는 세척솔을 포함하는 세척부; 및
    길게 연장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수용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식기수용부는 각각 몸체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식기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 및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식기 세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로부터 상기 식기수용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는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물의 온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식기 세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로부터 상기 식기수용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부; 및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상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는 상기 수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수위를 기초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식기 세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솔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식기 세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하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회전판과 상기 제1 회전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세척솔을 포함하는 제1 세척유닛; 및
    상기 식기수용부의 수용공간 상단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회전판과 상기 제2 회전판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세척솔을 포함하는 제2 세척유닛;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수용부는, 식기의 투입 및 제거를 반복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구된 식기조와, 상기 식기조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조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130 mm 내지 200 mm 인, 식기 세척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솔은 상기 식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식기 세척 장치.
KR1020170011162A 2017-01-24 2017-01-24 식기 세척 장치 KR10187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62A KR101879974B1 (ko) 2017-01-24 2017-01-24 식기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62A KR101879974B1 (ko) 2017-01-24 2017-01-24 식기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974B1 true KR101879974B1 (ko) 2018-07-18

Family

ID=6304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162A KR101879974B1 (ko) 2017-01-24 2017-01-24 식기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9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8602A (en) * 1933-05-22 1935-11-18 Hobart Mfg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for tumblers and the like
JPH0472333B2 (ko) * 1982-08-17 1992-11-18 Saneisha Seisakusho Kk
KR19980017477U (ko) * 1996-09-21 1998-07-06 이재승 고기구이판자동세척기
KR19980025407U (ko) * 1996-11-02 1998-08-05 성낙용 식기세척기
KR100434733B1 (ko) * 2001-11-15 2004-06-04 배병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JP2006247109A (ja) * 2005-03-10 2006-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KR101020359B1 (ko) * 2008-07-24 2011-03-08 김동원 수조식 자동 컵 세척기 및 수조식 자동 컵 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8602A (en) * 1933-05-22 1935-11-18 Hobart Mfg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for tumblers and the like
JPH0472333B2 (ko) * 1982-08-17 1992-11-18 Saneisha Seisakusho Kk
KR19980017477U (ko) * 1996-09-21 1998-07-06 이재승 고기구이판자동세척기
KR19980025407U (ko) * 1996-11-02 1998-08-05 성낙용 식기세척기
KR100434733B1 (ko) * 2001-11-15 2004-06-04 배병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JP2006247109A (ja) * 2005-03-10 2006-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KR101020359B1 (ko) * 2008-07-24 2011-03-08 김동원 수조식 자동 컵 세척기 및 수조식 자동 컵 세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165B1 (ko) 용기 세척기
KR101634172B1 (ko) 식기세척기
KR20110038366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20070040879A (ko) 식기 세척기용 판형 유로제어밸브 및 이를 적용한 식기세척기
KR101879974B1 (ko) 식기 세척 장치
KR20110000730U (ko)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CN104433987B (zh) 节水洗碗机
JP6948517B2 (ja) 食器洗い機
KR10139703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0567509B1 (ko) 식기 세척기
JP6868768B2 (ja) 食器洗い機
KR101397390B1 (ko)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KR101292552B1 (ko) 야채 세척 드럼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야채 겸용 식기 세척기
KR102112830B1 (ko) 이동식 초음파 세척기
CN208573653U (zh) 水槽洗碗机
KR101691444B1 (ko) 수세미 세척 장치
KR101366286B1 (ko) 식기 세척기
KR101625020B1 (ko) 식기세척기
KR20130001964U (ko) 자동 설거지 장치
CN215128220U (zh) 置物支架及洗碗机
CN214767233U (zh) 一种智能全自动清洗排污一体式刷锅机
CN220876701U (zh) 碗篮组件和洗涤设备
JPH08289868A (ja) 食器洗浄装置
CN110537886A (zh) 刷洗式自动洗碗机
JP6906142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