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047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047A
KR20230031047A KR1020210113424A KR20210113424A KR20230031047A KR 20230031047 A KR20230031047 A KR 20230031047A KR 1020210113424 A KR1020210113424 A KR 1020210113424A KR 20210113424 A KR20210113424 A KR 20210113424A KR 20230031047 A KR20230031047 A KR 20230031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ell
supporter
support
wash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김미영
손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047A/ko
Priority to PCT/KR2022/012652 priority patent/WO2023027506A1/ko
Publication of KR2023003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용 랙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은, 세척대상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홀더, 및 프레임에 결합하고, 홀더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홀더는, 서포터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에서 서포터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의 자세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식기를 수납하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측공간에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개방되어 식기를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도어가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터브의 내측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터브의 내측공간에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랙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랙에는 식기가 다양한 위치로 수납될 수 있다. 특히, 식기는 세로로 나란히 수납될 수 있다.
랙은 비교적 좁은 공간에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무게를 가진 식기, 조리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랙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치되는 식기에서 오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수납용 랙은 프레임, 홀더 및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세척대상물인 식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가로와이어, 세로와이어, 리브, 손잡이부 및 타인(tine)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홀더는 랙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비교적 큰 식기를 홀더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랙에 큰 식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서포터는 프레임에 결합하고, 홀더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서포터는 와이어를 구부려서 형성하고, 프레임의 가로와이어 또는 세로와이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홀더는 지지바와 사이드암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는 길이방향이 수납용 랙의 제1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암은 지지바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서포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지지바는 사이드암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한 매쉬(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는 와이어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용 랙은, 식기세척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인접하는 제1가장자리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홀더는 제1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는 제1셀, 제2셀, 가이드셀 및 지지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은 프레임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셀은 제1셀로부터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셀은 제1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사이드암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지지셀은 제2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사이드암과 접촉하여 홀더의 하중을 적어도 일부 지지하여 홀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사이드암은 제1파트 및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는 일단부에서 지지바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파트는 제1파트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가이드셀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릿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파트와 제2파트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셀은 홀더가 서포터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2파트의 슬릿홀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파트는 지지셀에 걸려서 지지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파트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부는 제1파트의 일부가 벤딩(bending)되어 형성되고, 지지셀이 안착될 수 있다. 제2걸림부는 제1파트의 길이방향으로 제1걸림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1파트의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되고, 지지셀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홀더는 서포터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에서 서포터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의 자세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셀이 제1걸림부에 안착된 경우와 지지셀이 제2걸림부에 안착된 경우 각각에 있어서, 홀더의 서포터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용 랙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은, 세척대상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홀더, 및 프레임에 결합하고, 홀더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홀더는, 서포터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에서 서포터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의 자세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수납용 랙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더를 수납용 랙에 대하여 적절할 각도로 배치하고, 다양한 형상, 크기를 가진 식기를 홀더를 사용하여 수납용 랙에 수납함으로써, 수납용 랙의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구비한 홀더를 사용하여 식기를 거치할 경우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각각의 식기의 크기, 형상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용 랙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식기의 랙에 대한 경사진 정도를 조절하여, 식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식기의 자세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식기세척기의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일부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서포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서포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홀더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홀더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홀더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홀더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10), 상기 터브(1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20) 및 상기 터브(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 랙(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실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를 구비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인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랙(100)을 구비하고,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모듈(30)을 구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터브(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의 상방과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와 터브(10)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2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31)를 포함한다. 섬프(31)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3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섬프(3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세척노즐(34)은 랙(100)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세척노즐(34a)은 터브(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세척노즐(34b)은 상측 랙(100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측 랙(100a)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세척노즐(34c)은 하측 랙(100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하측 랙(100b)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31)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연결관(3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밸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로 공급된 세척수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집수된다. 섬프(31)에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32)로 유동하며 가압된다. 세척펌프(32)에서 가압된 세척수는 전환밸브(35)로 유동하며 복수의 연결관(33)에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세척수는 연결관(33)을 유동하여 세척노즐(34)로 압송된다.
세척노즐(34)로 압송된 세척수는 터브(10)로 분사되며,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다시 집수된다.
세척펌프(32) 내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세척펌프(32)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분지되고 터브(10)의 일 측과 연통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노즐을 통해 터브(10)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측 랙(100a)과 하측 랙(100b)에 공통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측 랙(100a)과 하측 랙(100b)은 랙(100)으로 지칭하고, 이하에서는 랙(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일부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은 프레임(110), 홀더(120) 및 서포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세척대상물인 식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가로와이어(111), 세로와이어(112), 리브(113), 손잡이부(114) 및 타인(115)(tine)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와이어(111)와 세로와이어(112)는 랙(100)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로와이어(111)와 세로와이어(112)는 가장자리부위는 절곡됨으로써, 식기를 수납하는 3차원적 공간을 랙(100)에 형성할 수 있다.
리브(113)는 프레임(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가로와이어(111)의 양 단부가 결합할 수 있다. 리브(113)는 가로와이어(111)와 세로와이어(112)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14)는 양단부가 상기 리브(113)에 결합하여, 상기 리브(113)와 함께 가로와이어(111)와 세로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14)를 잡고 랙(100)을 수납공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타인(115)은 가로와이어(111)와 세로와이어(112) 상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랙(10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타인(115)은 다양한 크기, 형성을 가진 식기를 편리하게 거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홀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홀더(120)는 랙(10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비교적 큰 식기를 홀더(120)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랙(100)에 큰 식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서포터(130)는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하고, 상기 홀더(120)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서포터(130)는 와이어를 구부려서 형성하고, 프레임(110)의 가로와이어(111) 또는 세로와이어(112)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홀더(120)는 지지바(121)와 사이드암(1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121)는 길이방향이 상기 수납용 랙(100)의 제1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암(122)은 상기 지지바(121)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서포터(13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암(122)은 지지바(12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식기는 지지바(121)에 접촉하도록 랙(100)에 수납될 수 있고, 지지바(121)는 식기의 하중을 적어도 일부 지탱할 수 있다. 지지바(121)의 양단에 결합되는 사이드암(122)은 식기 및 지지바(121)의 하중을 적어도 일부 지탱할 수 있다.
지지바(121)는 상기 사이드암(12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기는 지지바(121)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지지바(121)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지지바(121)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은 크기가 변할 수 있고, 따라서, 지지바(121)를 제2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진 식기를 홀더(120)에 거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납용 랙(100)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1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더(120)를 수납용 랙(100)에 대하여 적절할 각도로 배치하고, 다양한 형상, 크기를 가진 식기를 홀더(120)를 사용하여 수납용 랙(100)에 수납함으로써, 수납용 랙(100)의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프레임(110)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한 매쉬(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로와이어(111)와 세로 와이어는 복수로 결합하고 이들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매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130)는 상기 와이어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130)가 받는 식기의 하중 등의 외력은 가로와이어(111)와 세로 와이어를 통해 프레임(110) 전체에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수납용 랙(100)은, 상기 식기세척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1)의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인접하는 제1가장자리(101)에는 손잡이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120)는 상기 제1가장자리(101)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장자리(10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한 경우, 홀더(120)에 지지되어 수납되는 크기가 큰 식기는 수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랙(100)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랙(100)에 수납된 식기를 들어올리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한 경우, 랙(100)에 수납된 식기들 전체를 한눈에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터(130)는 제1셀(131), 제2셀(132), 가이드셀(133) 및 지지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131)은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셀(132)은 상기 제1셀(131)로부터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셀(133)은 상기 제1셀(13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사이드암(12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지지셀(134)은 상기 제2셀(13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사이드암(122)과 접촉하여 상기 홀더(120)의 하중을 적어도 일부 지지하여 상기 홀더(12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와 서포터(13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와 서포터(13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사이드암(122)은 제1파트(1221) 및 제2파트(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221)는 일단부에서 상기 지지바(121)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파트(1221)는 지지바(121)와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파트(1222)는 상기 제1파트(1221)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셀(133)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릿홀(1222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파트(1221)와 제2파트(12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222a)은 제2파트(1222)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벤딩(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릿홀(1222a)은 홀더(120)의 가이드셀(13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셀(133)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셀(133)은 상기 홀더(120)가 상기 서포터(13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파트(1222)의 상기 슬릿홀(1222a)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셀(133)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릿홀(1222a)을 구비하는 제2파트(1222)와 상기 제2파트(1222)를 포함하는 사이드암(122)은 가이드셀(133)에 대하여 회전 및 직선운동할 수 있다. 다만, 사이드암(122)은 가이드셀(133)에 의해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릿홀(1222a)을 구비하는 사이드암(122)과 상기 사이드암(122)에 결합하는 지지바(121)도 상기 가이드셀(133)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셀(133)은 홀더(120)의 회전과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파트(1221)는 지지셀(134)에 걸려서 상기 지지셀(1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1221)는 제1걸림부(1221a) 및 제2걸림부(1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부(1221a)는 상기 제1파트(1221)의 일부가 벤딩(bending)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셀(134)이 안착될 수 있다. 제2걸림부(1221b)는 상기 제1파트(1221)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1221a)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파트(1221)의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셀(134)이 안착될 수 있다.
제1걸림부(1221a)와 제2걸림부(1221b)는 제1파트(12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와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된 각각의 경우에, 홀더(120) 전체의 회전각도, 수납부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 위치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홀더(120)는 상기 서포터(13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130)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의 자세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셀(134)이 상기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된 경우와 상기 지지셀(134)이 상기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된 경우 각각에 있어서, 상기 홀더(120)의 서포터(130)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된 경우에는 홀더(120)는 랙(100)에 대하여 수납용 랙(100)의 전후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가 급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20)에 의해 지지되어 랙(100)에 수납되는 식기도 수납용 랙(100)의 전후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가 급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지지셀(134)이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된 경우에는 홀더(120)는 랙(100)에 대하여 수납용 랙(100)의 전후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20)에 의해 지지되어 랙(100)에 수납되는 식기도 수납용 랙(100)의 전후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와 제2걸림부(1221b)에 각각 안착된 경우에 홀더(120)의 지지바(121)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공간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지지셀(134)이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공간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각각의 경우에 홀더(120)에 수납되는 식기의 크기와 자세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되어 홀더(120)의 지지바(121)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홀더(120)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는 예를 들어, 조리용 팬과 같은 비교적 큰 식기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되어 상기 공간이 비교적 작은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조리용 팬 중 팬의 깊이가 비교적 얕은 프라이팬이 상기 홀더(120)에 지지되어 수납용 랙(100)에 수납될 수 있다.
팬의 깊이가 얕은 프라이팬을 홀더(120)에 거치하는 경우,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되도록 하여 프라이팬을 수납하는 공간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프라이팬은 안정적으로 상기 수납용 랙(1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홀더(120)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는 수납용 랙(100)에 대한 경사진 정도가 비교적 급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때, 홀더(120)에 의해 수납된 식기는 오염도가 비교적 낮은 그릇일 수 있다. 분사부(183, 18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비교적 급한 경사도를 가진 자세를 취하는 그릇에 부딪혀 오물을 세척하고 원활하게 식기의 표면을 흘러내리고, 이에 따라 건조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지지셀(134)이 제1걸림부(1221a)에 안착되어 홀더(120)의 지지바(121)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홀더(120)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지셀(134)이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되어 상기 공간이 비교적 큰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조리용 팬 중 팬의 깊이가 비교적 깊은 웍(wok)이 상기 홀더(120)에 지지되어 수납용 랙(100)에 수납될 수 있다.
팬의 깊이가 깊은 웍을 홀더(120)에 거치하는 경우, 지지셀(134)이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되도록 하여 웍을 수납하는 공간의 크기를 늘임으로써, 웍은 안정적으로 상기 수납용 랙(1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홀더(120)의 위치에서 식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지셀(134)이 제2걸림부(1221b)에 안착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는 수납용 랙(100)에 대한 경사진 정도가 비교적 완만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때, 홀더(120)에 의해 수납된 식기는 오염도가 비교적 높은 식기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식기는 오염도가 비교적 높은 그릇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의 바닥면은 분사부(183, 184)와 마주보는 면적이, 도 10과 비교하여, 클 수 있다.
이렇게 그릇이 수납된 자세에서, 분사부(183, 184)는 그릇의 오염된 바닥면에 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오염도가 비교적 높은 그릇의 오물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걸림부(1221a)와 제2걸림부(1221b)를 구비한 홀더(120)를 사용하여 식기를 거치할 경우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각각의 식기의 크기, 형상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용 랙(100)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식기의 랙(100)에 대한 경사진 정도를 조절하여, 식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식기의 자세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식기세척기(1)의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20: 도어
100: 랙 101: 제1가장자리
102: 제2가장자리 110: 프레임
111: 가로와이어 112: 세로와이어
113: 리브 114: 손잡이부
115: 타인 120: 홀더
121: 지지바 122: 사이드암
1221: 제1파트 1221a: 제1걸림부
1221b: 제2걸림부 1222: 제2파트
1222a: 슬릿홀 130: 서포터
131: 제1셀 132: 제2셀
133: 가이드셀 134: 지지셀
183, 184: 분사부

Claims (10)

  1. 수납용 랙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랙은,
    세척대상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홀더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서포터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서포터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의 자세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길이방향이 상기 수납용 랙의 제1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서포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암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사이드암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한 매쉬(mesh)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와이어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셀;
    상기 제1셀로부터 절곡되는 제2셀;
    상기 제1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사이드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셀; 및
    상기 제2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사이드암과 접촉하여 상기 홀더의 하중을 적어도 일부 지지하여 상기 홀더의 위치를 유지하는 지지셀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은,
    일단부에서 상기 지지바와 결합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의 타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셀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릿홀을 형성하는 제2파트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셀은,
    상기 홀더가 상기 서포터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슬릿홀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는,
    상기 제1파트의 일부가 벤딩(bending)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셀이 안착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파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파트의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셀이 안착되는 제2걸림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셀이 상기 제1걸림부에 안착된 경우와 상기 지지셀이 상기 제2걸림부에 안착된 경우 각각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서포터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랙은,
    상기 식기세척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인접하는 제1가장자리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13424A 2021-08-26 2021-08-26 식기세척기 KR20230031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424A KR20230031047A (ko) 2021-08-26 2021-08-26 식기세척기
PCT/KR2022/012652 WO2023027506A1 (ko) 2021-08-26 2022-08-2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424A KR20230031047A (ko) 2021-08-26 2021-08-26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047A true KR20230031047A (ko) 2023-03-07

Family

ID=8532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424A KR20230031047A (ko) 2021-08-26 2021-08-26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1047A (ko)
WO (1) WO2023027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162A (ko) * 2021-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5725A1 (de) * 2004-07-23 2006-03-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variabler Vorrichtung zur Ablage von Spülgut
KR20060058298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CN107440664B (zh) * 2016-05-30 2020-12-18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安装在该洗碗机内用于支撑器具的支撑架
CN109363607A (zh) * 2018-11-12 2019-02-22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洗碗机碗篮组件及集成茶杯托架的洗碗机碗篮
KR20210062823A (ko) * 2019-11-22 202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506A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071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US7754024B2 (en) Crockery basket for a dishwasher machine, comprising an intensive washing zone
KR101269740B1 (ko) 세척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US8721804B2 (en) Dishwasher with auxiliary washing agent dispensing system
RU256459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US20200237179A1 (en) Fan-shaped spray detergent nozzle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102590134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20090057711A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39703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07000880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KR20210062822A (ko) 식기세척기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230060162A (ko) 식기세척기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10127601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070062656A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KR20230032374A (ko) 식기세척기
KR20230032764A (ko) 식기세척기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