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71B1 -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071B1
KR102661071B1 KR1020190025656A KR20190025656A KR102661071B1 KR 102661071 B1 KR102661071 B1 KR 102661071B1 KR 1020190025656 A KR1020190025656 A KR 1020190025656A KR 20190025656 A KR20190025656 A KR 20190025656A KR 102661071 B1 KR102661071 B1 KR 10266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basket
dishwasher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102A (ko
Inventor
김재준
김대정
한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71B1/ko
Priority to PCT/KR2020/002685 priority patent/WO2020180035A1/en
Priority to US16/803,133 priority patent/US11419479B2/en
Priority to EP20161187.8A priority patent/EP3705017B1/en
Publication of KR2020010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1 위치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3 위치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 단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인 잔을 거치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전면(前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바스켓은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같은 식기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스켓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들이 거치될 수 있다. 바스켓은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 타입 또는 메탈 와이어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스켓에는 와인 잔이 거치될 수 있다. 와인 잔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에 따른 일 부분은 얇은 손잡이 부분으로 마련되고, 길이 방향에 따른 다른 일 부분은 일반적인 컵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스켓은 와인 잔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와인 잔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장치를 구비하여야 했다. 바스켓에는 와인 잔을 거치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스켓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별도의 와인 잔 지지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스켓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와인 잔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1 위치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3 위치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 단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4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지지부재가 펼쳐지는 각도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펼쳐지는 각도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바스켓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에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식기의 일 부분을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딩부는 상기 식기의 일 부분이 고정되는 고정 홈 및 상기 고정 홈의 개구에 위치하며, 상기 식기의 일 부분이 고정 홈에 삽입될 때,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식기의 단부를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홀딩부는 소정 각도만큼 벤딩된 갈고리(Hook)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arm), 상기 제2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arm), 및 상기 제2 암을 상기 제1 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바스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프레임에 안착되는 식기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되어 지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지장치는 바스켓의 제1 와이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바스켓의 상기 제1 와이어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와이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지지하거나,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정지한 때, 상기 제2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1 모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2 모드, 및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지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3 모드로 설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 암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 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암은 상기 제1 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바스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질 때,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바스켓에 접힐 때,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바스켓에 접히게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지지하거나,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지게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바스켓에 장착되는 지지장치를 사용 시 펼치고, 미 사용 시 접을 수 있으므로, 바스켓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지지장치의 제1 지지부재가 와인 잔의 손잡이(stem) 부분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재가 와인 잔의 립 부분(lip portion)을 지지하므로, 와인 잔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2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와인 잔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3 모드로 설정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3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3 모드로 설정된 때,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식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지지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제1 지지부재에 식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제1 지지부재에 도 15에 도시된 식기와 다른 종류의 식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식기는 그릇, 컵, 커트러리(cutlery), 각종 조리 도구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방부(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바스켓(51,5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에는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은, 터브(12)의 내부 공간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스켓(51)과, 터브(12)의 내부 공간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바스켓(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스켓(51)은 제1 와이어(5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와이어(52)는 제2 와이어(5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스켓(51)은 제1 가이드 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바스켓(52)은 제2 가이드 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랙(13a) 및 제2 가이드 랙(13b)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벽(14)에 설치될 수 있다. 터브(12)의 내벽(14)은 터브(12)의 우측벽의 내면 및 좌측벽의 내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2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제1 공급관(31)을 통해 후술할 제1 분사유닛(41)과 제2 분사유닛(42)으로 공급되거나, 제2 공급관(32)을 통해 후술할 제3 분사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히터(15)와,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41,4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41,42,43)은, 제1 바스켓(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유닛(41)과, 제1 바스켓(51) 및 제2 바스켓(5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분사유닛(42)과, 제2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분사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유닛(41)은 제1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분사유닛(42)은 제2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사유닛(41)은 제1 바스켓(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2 분사유닛(42)은 제1 바스켓(51) 및 제2 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 분사유닛(43)은 제1 분사유닛(41) 및 제2 분사유닛(42)과 달리 터브(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분사유닛(43)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따라서, 제3 분사유닛(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분사유닛(43)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4)은 대략 터브(12)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분사유닛(43)의 노즐(44)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6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제2 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60)는 홀더(64)에 의해 가이드 레일(62)에 구속되며,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와인 잔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바스켓(51)에 지지장치(10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지지장치(100)는 제2 바스켓(52)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1 바스켓(51) 및 제2 바스켓(52)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바스켓(51)에 지지장치(100)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며, 제1 바스켓(51)을 바스켓(51)이라 칭하고, 제1 와이어(51a)를 와이어(51a)라 칭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2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와인 잔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장치(100)는 바스켓(51)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장치(100)는 바스켓(51)의 일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110)와, 제1 지지부재(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바스켓(51)의 다른 일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120)와,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를 연동시키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의 제1 지지 와이어(51a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식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에 접힌 제1 위치와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식기세척기(1)가 식기를 세척할 때,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통과 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은 제1 지지부재(110)가 바스켓(51)에 대해 펼쳐진 때, 상면에 식기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지 와이어(51aa)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 결합부(112)는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지지 와이어(51a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에 접힌 때, 바스켓(51)에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13)는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13)는 제1 지지부재(110)가 바스켓(51)에 접힐 때, 고정 와이어(51ac)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집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때, 바스켓(51)의 회전제한 와이어(51ad)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제한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한부(111b)는 제1 프레임(111)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제한부(111b)에 의해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에 대한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에 대해 제1 각도(a)만큼 펼쳐질 수 있다. 제1 각도(a)는 대략 85°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110)는 와인 잔(O1)을 지지할 때, 와인 잔(O1)의 손잡이(stem) 부분을 고정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홀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딩부(115)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홀딩부(115)는 제1 프레임(111)의 테두리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 홈(115c)과, 고정 홈(115c)의 내부에 돌출되는 지지돌기(115a), 및 고정 홈(115c)의 개구에 위치하는 변형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인 잔(O1)의 손잡이 부분은 고정 홈(115c)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지지돌기(115a)와 변형부(115b)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변형부(115b)는 와인 잔(O1)의 손잡이 부분이 고정 홈(115c)에 삽입될 때, 변형될 수 있다. 즉, 변형부(115b)는 와인 잔(O1)의 손잡이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와인 잔(O1)의 손잡이 부분이 고정 홈(115c)에 삽입되었을 때, 와인 잔(O1)의 손잡이 부분을 고정 홈(115c)의 내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110)는 연결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결합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 결합부(117)에 연결부재(130)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제1 지지부재(110)는 연결부재(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제1 프레임(111)이 바스켓(51)에 접힌 때, 연결부재(130)가 수용되는 수용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18)은 연결부재(130)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제1 지지부재(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바스켓(51)의 제2 지지 와이어(51a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식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바스켓(51)에 접힌 제3 위치와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11)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식기세척기(1)가 식기를 세척할 때,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통과 홀(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제2 프레임(12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지 와이어(51ab)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결합부(122)는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지지 와이어(51a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때, 제1 지지부재(110)가 회전 제한됨에 따라,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120)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제1 지지부재(11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제1 지지부재(110)의 회전이 제한될 때, 제2 지지부재(120)의 회전도 함께 제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재(120)는 바스켓(51)에 대해 제2 각도(b)만큼 펼쳐질 수 있다. 제2 각도(b)는 대략 100°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는 와인 잔의 지지하는 부분이 상이하므로, 상호 상이한 각도로 바스켓(51)에 대해 펼쳐질 수 있다.
제2 프레임(121)에는 제2 지지부재(120)가 바스켓(51)에 대해 펼쳐진 때, 와인 잔(O1)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홀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홀딩부(125)는 제2 홀딩부(125)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홀딩부(125)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부(125a)와, 상대적으로 유연하거나 부드러운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두리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25a)의 단면의 크기는 제2 홀딩부(125) 전체 단면의 크기의 대략 절반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홀딩부(125)는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와인 잔(O1)의 립 부분을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홀딩부(125)는 이중 사출 방식 또는 중심부(125a)에 테두리부(125b)를 융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부(125b)는 대략 80℃ 내지 90℃의 열을 견딜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25b)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ity Poly Urethane, TPU)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홀딩부(125)는 소정 각도(C)만큼 벤딩된 갈고리(hook)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홀딩부(125)의 벤딩되는 각도(C)는 다양한 크기의 와인 잔(O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연결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결합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 결합부(127)에 연결부재(130)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제2 지지부재(120)는 연결부재(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일 단부가 제1 지지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가 제2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를 연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30)는 연결바디(131)와, 연결바디(131)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133) 및 연결바디(131)의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디(131)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바디(131)는 제1 지지부재(110)로부터 제2 지지부재(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3)는 제1 지지부재(110)의 제1 연결부재 결합부(1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4)는 제2 지지부재(120)의 제2 연결부재 결합부(1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장치(100)가 식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제2 지지부재(120)는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제4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가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지지장치(100)가 제1 모드에 있다고 칭할 수 있다. 지지장치(100)가 제1 모드에 있을 때, 와인 잔의 단부인 립 부분은 제2 지지부재(120)의 제2 홀딩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와인 잔의 손잡이 부분은 제1 지지부재(110)의 제1 홀딩부(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지지장치(100)가 와인 잔을 지지할 필요가 없을 때, 바스켓(51)의 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제1 지지부재(110)는 바스켓(51)에 접힌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제2 지지부재(120)는 바스켓(51)에 접힌 제3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가 바스켓(51)에 접힌 상태를 지지장치(100)가 제2 모드에 있다고 칭할 수 있다. 지지장치(100)가 제2 모드에 있을 때, 지지장치(100)가 차지하고 있던 바스켓(51)의 일 부분에 식기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바스켓(51)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재(120)는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제1 지지부재(110)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바스켓(51)에 마련되는 지지장치(100)에 의해, 필요 시 와인 잔을 견고하고 지지 고정할 수 있으며, 불필요 시 바스켓(51)의 일 측면에 접어둘 수 있어 지지장치(100)가 차지하던 자리에 식기를 추가로 거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3 모드로 설정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3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제3 모드로 설정된 때,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제1 지지부재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식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지지장치(100)와 달리, 연결부재(230)가 제1 암(231)과, 제2 암(232)과, 조인트(2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연결바디(131)로 이루어진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130)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230)는 제1 지지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231)과, 제2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232)과, 제2 암(232)을 제1 암(2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2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선 실시예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장치(200)는 제2 지지부재(120)만 바스켓(51)에 접고, 제1 지지부재(210)는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10)가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져 있으며, 제2 지지부재(120)가 바스켓(51)에 접힌 상태를 지지장치(200)가 제3 모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210)가 바스켓(51)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암(231)은 제1 지지부재(21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조인트(235)는 상승하게 되고, 제2 암(232)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 지지부재(12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암(231)은 제1 지지부재(210)의 수용홈(118)에 삽입될 때가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조인트(135)는 제1 지지부재(210)에 인접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고, 제2 암(232)은 제2 지지부재(120)를 바스켓(51)에 접히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지지장치(200)가 제3 모드에 있을 때, 제1 지지부재(210)는 연결부재(230)의 제1 암(23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1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9)는 수용홈(118)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홈(118)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재(219)는 제1 암(231)이 수용홈(118)에 삽입될 때는 가압 변형되고, 제1 암(231)이 수용홈(118)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는 다시 형상을 회복하여 제1 암(231)이 수용홈(11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200)는 제1 지지부재(210)는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지고, 제2 지지부재(120)는 바스켓(51)에 접힌 제3 모드에 있을 수 있으므로, 제1 지지부재(210)에 찻잔(O2)과 같은 높이가 낮은 물체를 거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1 지지부재(210)의 하측, 즉, 제2 지지부재(120)가 차지하던 공간에도 찻잔(O2)과 같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물체를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200)를 갖는 식기세척기(1)는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바스켓(51)에는 접시(O3)와 같은 물체도 함께 거치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지지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제1 지지부재에 식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제1 지지부재에 도 15에 도시된 식기와 다른 종류의 식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300)는 제1 지지부재(310)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314)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지지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2 지지부재(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부재(230)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연결부재(2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유닛(314)은 제1 프레임(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유닛(310)은 제1 프레임(311)의 제1 통과 홀(311a)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유닛(314)은 제1 프레임(311)이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때, 제1 프레임(311)에 안착되는 식기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제1 프레임(3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지지유닛(314)은 제1 프레임(311)이 바스켓(51)으로부터 펼쳐진 때, 제1 프레임(3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지지유닛(314)은 지지유닛 회전축(314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유닛(314)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유닛(314)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314)은 제1 지지부(314b)와, 제2 지지부(31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14b)와 제2 지지부(314c) 사이에는 식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공간(314d)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14c)는 제1 지지부(314b)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장치(300)가 제3 모드에 있을 때, 제1 지지부재(310)에는 물 컵(O4)과 같은 물체가 거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지부재(310)의 지지유닛(340)은 물 컵(O4)을 홀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컵(O4)의 립(Lip) 부분은 제1 지지부(314b)와 제2 지지부(314c)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 공간(314d)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장치(300)의 제1 지지지부재(310)에는 나이프와 같은 커트러리(O5)가 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커트러리(O5)는 지지유닛(314)의 제1 지지부(314b)와 제2 지지부(314c)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 공간(314d)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300)를 갖는 식기세척기(1)는 제1 지지부재(310)에 거치되는 식기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51, 52; 바스켓
100, 200, 300; 지지장치
110, 210, 310; 제1 지지부재
120; 제2 지지부재
130, 230; 연결부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가 수납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고, 상기 식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바스켓의 제1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1 위치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상기 제1 부분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바스켓의 제2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에 접힌 제3 위치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진 제4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회전축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 단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1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가 각각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펼쳐져 있을 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식기의 제1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식기의 상기 제1 부분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4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지지부재가 펼쳐지는 각도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펼쳐지는 각도와 상이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바스켓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에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식기의 일 부분을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딩부는,
    상기 식기의 일 부분이 고정되는 고정 홈; 및
    상기 고정 홈의 개구에 위치하며, 상기 식기의 일 부분이 고정 홈에 삽입될 때,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식기의 단부를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홀딩부는 소정 각도만큼 벤딩된 갈고리(Hook) 형상으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arm);
    상기 제2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arm); 및
    상기 제2 암을 상기 제1 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바스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프레임에 안착되는 식기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되어 지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25656A 2019-03-06 2019-03-06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66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56A KR102661071B1 (ko) 2019-03-06 2019-03-06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PCT/KR2020/002685 WO2020180035A1 (en) 2019-03-06 2020-02-25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US16/803,133 US11419479B2 (en) 2019-03-06 2020-02-27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EP20161187.8A EP3705017B1 (en) 2019-03-06 2020-03-05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56A KR102661071B1 (ko) 2019-03-06 2019-03-06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02A KR20200107102A (ko) 2020-09-16
KR102661071B1 true KR102661071B1 (ko) 2024-04-29

Family

ID=6977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56A KR102661071B1 (ko) 2019-03-06 2019-03-06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9479B2 (ko)
EP (1) EP3705017B1 (ko)
KR (1) KR102661071B1 (ko)
WO (1) WO2020180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1128A1 (de) * 2019-07-26 2021-01-28 BSH Hausgeräte GmbH Halter, Anordnung und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DE102019220277B3 (de) * 2019-12-19 2021-01-14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aufnahme
US11383549B2 (en) * 2020-01-31 2022-07-12 Mark Turner Painting tool holder
US11006814B1 (en) * 2020-06-04 2021-05-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temware support/cup shelf for dishwasher
KR20220005346A (ko) *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730339B2 (en) * 2020-12-07 2023-08-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rticle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1330961B1 (en) * 2020-12-07 2022-05-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with stemware holder assembly
DE102021116486A1 (de) * 2021-06-25 2022-12-29 Miele & Cie. Kg Halter für einen Spülkorb
US11786104B2 (en) * 2022-03-18 2023-10-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movable rack accessor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D1022357S1 (en) 2022-11-10 2024-04-09 Whirlpool Corporation Cup shelf for dishrack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0611C2 (de) * 1995-10-31 1999-08-12 Bosch Siemens Hausgeraete Ablage für einen Geschirrkorb einer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
SE511001C2 (sv) * 1997-04-03 1999-07-19 Gs Dev Ab Ställ för diskgods i diskmaskin
EP1275336A1 (en) * 2001-07-11 2003-01-15 Bonferraro S.p.A. Dishwasher rack with tip-up shelves provided with pull-out cutlery grids
US7051384B1 (en) * 2004-11-04 2006-05-30 Hickory Springs Manufacturing Company Foldable bed with foldable guardrail
EP1859722A1 (en) * 2006-05-25 2007-11-28 Bonferraro S.p.A. Multi-function shelf for dishwasher rack
KR20080044080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ATE546085T1 (de) * 2006-11-21 2012-03-15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Spülmaschinengestell
DE102006055346B4 (de) 2006-11-23 2008-10-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Aufbewahrungsbehälter für zu reinigendes Gut
KR101184455B1 (ko) * 2006-12-22 201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용기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EP2008570A1 (en) * 2007-06-28 2008-12-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eight-adjustable shelf assembly for a dishwasher basket
KR101397034B1 (ko) * 2007-11-2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S2358542T3 (es) * 2007-12-31 2011-05-1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Bandeja para su fijación a la cesta de un lavavajillas.
EP2103245A1 (en) * 2008-03-20 2009-09-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rack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featuring such a rack
DE102010031074A1 (de) 2010-07-07 2012-01-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Reihen von Haltemitteln für Geschirr
PL2658431T3 (pl) * 2010-12-29 2021-07-19 Arçelik Anonim Sirketi Zmywarka do naczyń zawierająca kosz
TR201106334A1 (tr) * 2011-06-27 2013-01-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bulaşık makinası.
DE102011085417B4 (de) * 2011-10-28 2016-05-12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CN202604765U (zh) * 2012-05-10 2012-12-19 美的集团有限公司 洗碗机用组合式刀杯托架
DE102013211564B4 (de) * 2013-06-19 2023-11-16 BSH Hausgeräte GmbH Glashalter für einen Geschirrkorb einer Geschirrspülmaschine, Geschirr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nd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3110531A1 (de) 2013-09-24 2015-04-09 Miele & Cie. Kg Gläserhalter für Geschirrspülmaschinen
WO2016034202A1 (en) * 2014-09-01 2016-03-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upport assembly
WO2016034201A1 (en) 2014-09-01 2016-03-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lding assembly
KR20170048383A (ko) * 2014-09-01 2017-05-08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홀딩 어셈블리
DE102014226808A1 (de) * 2014-12-22 2016-06-23 BSH Hausgeräte GmbH Haltevorrichtung, Spülgutaufnahme und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CN106539549A (zh) * 2015-09-17 2017-03-2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碗机
CN108294718B (zh) * 2018-04-16 2023-07-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杯托架、碗篮组件和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5017A1 (en) 2020-09-09
US11419479B2 (en) 2022-08-23
US20200281441A1 (en) 2020-09-10
WO2020180035A1 (en) 2020-09-10
EP3705017B1 (en) 2022-11-16
KR20200107102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071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CN110464282B (zh) 洗碗机
KR101054186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1290375B1 (ko) 식기 세척기
EP2898814B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US20230027235A1 (en) Dishwasher
EP3703544B1 (en) Fan-shaped spray detergent nozzle
KR102590134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JP2017018253A (ja) 食器洗浄乾燥機
CN113677249A (zh) 洗碗机
US20130104944A1 (en) Height adjustable condui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EP3386368B1 (en) Diverter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comprising such diverter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US20220022722A1 (en) Domestic dishwasher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JP6569085B2 (ja) 食器洗い機等の食器かご
KR100237690B1 (ko) 식기세척기용 수납바구니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US20230130490A1 (en) Dishwasher
US11589729B2 (en) Article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20210062822A (ko) 식기세척기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20230032374A (ko) 식기세척기
JP2017176321A (ja) 食器洗い機等の食器かご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