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537A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537A
KR20220108537A KR1020210011651A KR20210011651A KR20220108537A KR 20220108537 A KR20220108537 A KR 20220108537A KR 1020210011651 A KR1020210011651 A KR 1020210011651A KR 20210011651 A KR20210011651 A KR 20210011651A KR 20220108537 A KR20220108537 A KR 2022010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washing
ai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성
이재훈
김강신
조세래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537A/ko
Priority to PCT/KR2022/001239 priority patent/WO2022164157A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내측으로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세척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워터노즐과, 상기 거치대의 외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중심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워터노즐과,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워터노즐과, 상기 제1워터노즐, 상기 제2워터노즐, 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거치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 하측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장치{Washing Aparatus}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액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컵이나 용기 등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장이나 커피숍에서 주로 사용되는 컵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용기나 젖병 등은, 자주 사용되는 점에서, 개별적으로 신속하고, 깨끗한 세척이 요구된다. 다만, 식기세척기는, 컵이나 용기등을 포함하는 다량의 식기를 한 번에 세척할 수 있는 장치로, 개별적인 컵 등을 빠르게 세척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랙의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배치되고 있어, 컵 내부의 주요오염부위를 집중적으로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 KR 10-2008-0016285호는, 컵을 단독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컵을 세척하는 영역과, 헹굼하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어, 한 번에 컵을 세척 및 헹굼할 수 없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되더라도, 컵이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KR 20-0471733호는, 컵을 세운상태에서, 컵의 내부와 외부를 세척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세척만이 가능하며, 헹굼이나 건조는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할 수 있는 컵의 종류나 크기가 한정되어, 다양한 컵이나, 용기를 세척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들은, 별도의 솔이나, 세척날개 등으로 컵 등의 내부를 세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의 세척은, 컵의 내부면의 마찰로 인한 컵 등의 세척대상물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컵 등의 내부만을 주로 세척하므로, 컵의 내부 이외에서 주로 오염이 발생하는 컵의 입구단 외부에 대한 오염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장치는, 구조적으로 세척을 시키므로, 컵 내부의 찌든 때나, 물때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 및 세척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컵 등의 세척대상물의 전체 구성을 빠르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척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척대상물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내측으로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세척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워터노즐과, 상기 거치대의 외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중심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워터노즐과,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워터노즐과, 상기 제1워터노즐, 상기 제2워터노즐, 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거치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 하측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세척수를 이용하여, 컵 등의 대상물의 내측과 외측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섬프에서 집수되는 물을 상기 펌프로 보내는 집수관을 포함하여, 세척수를 순환하여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워터펌프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1워터노즐로 공급하는 제1워터공급관과, 상기 워터펌프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2워터노즐 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 공급하는 제2워터공급관과, 상기 제1워터노즐, 상기 제2워터노즐, 및 상기 제3워터노즐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제1워터노즐 또는 제2, 3워터노즐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워터공급관을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워터공급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여, 제1워터노즐 또는 제2, 3워터노즐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워터공급관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관은, 상기 제2워터공급관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순환하여 대상물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제를 통한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에어노즐과,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에어노즐과, 상기 제1에어노즐 또는 상기 제2에어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여, 세척된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1워터노즐이 배치되는 노즐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노즐은, 상기 노즐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대상물의 내측부분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노즐은,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벽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에어노즐이 배치되어, 대상물의 외측부분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에서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제1에어노즐로 공급하는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에어펌프에서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2에어노즐로 공급하는 제2에어공급관과, 상기 제2에어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에어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2에어노즐로 보내는 에어분배기를 포함하여, 대상물의 외측부분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1워터노즐이 배치되는 노즐지지대와, 상기 노즐지지대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하여, 대상물의 내측부분을 스팀으로 세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워터노즐이 세척대상물의 내측면을 세척하고, 제2워터노즐이 세척대상물의 입구단 외주면을 세척하며, 제3워터노즐이 세척대상물의 외측면을 세척하여, 순환되는 세척수의 분사로, 컵 등의 세척대상물의 전체를 빠르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에어노즐이 세척대상물의 내측면을 건조하고, 제2에어노즐이 세척대상물의 외측면을 건조하여, 세척된 세척대상물을 건조까지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스팀노즐이 세척대상물의 내측면을 살균하여, 세척대상물의 주요오염부위를 살균세척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노즐, 에어노즐, 및 스팀노즐로 세척수, 공기, 및 스팀을 공급하는 워터펌프, 에어펌프, 및 스팀제너레이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지지대와 노즐프레임의 배치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워터노즐, 제2워너노즐, 제3워터노즐의 배치와, 제1워터노즐, 제2워너노즐, 제3워터노즐 각각으로 공급되는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워터노즐과, 제2에어노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와 노즐지지대의 배치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워터노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워터노즐의 배치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지지대와, 제1워터노즐, 제1에어노즐, 스팀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워터노즐, 제1에어노즐, 스팀노즐의 배치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세척장치에 거치될 수 있는 세척대상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지지대와 노즐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지지대와 연결관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설명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세척공간(10a)과 기계실(10b)을 형성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30), 세척공간(10a) 내측에 배치되는 세척대상물(또는 ‘대상물)이 배치되는 거치대(40), 세척공간(10a)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워터노즐(60, 62, 46), 세척공간(10a)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70, 72), 세척공간(10a)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80)을 포함한다. 세척장치(1)는, 거치대(40)의 하측에 배치되고, 거치대(4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50)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세척장치(1)의 세척공간(10a)에 배치되는 대상물(200)은, 일방향으로 입구(201)를 가지고, 입구(201)의 일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200)에는, 내측면(202)이 형성하는 부분에서, 액체등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공간(20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측공간(204)을 형성하지 않는 면에서 외측면(206)이 형성된다. 대상물(200)은, 입구(201) 주위에서 내측면(202)과 외측면(206)이 연결되는 입구단(20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상물은, 컵이나, 젖병 등 액체등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식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대상물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측면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다른 식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대상물은, 이하에서 설명할 노즐지지대(90)가 내측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일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대상물이 배치되는 세척공간(10a)을 형성한다. 케이스(10)는, 내측으로, 대상물이 배치되는 세척공간(10a)과, 세척공간(10a)으로 물, 스팀,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 배치되는 기계실(10b)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방에 배치되고, 도어(30)가 배치되는 도어홀(12a)이 형성되는 프론트케이스(12), 프론트케이스(12)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기계실(10b)을 형성하는 리어케이스(14),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의 상측을 커버하는 탑커버(16), 프론트케이스(12)와 이러케이스(10)의 하측을 커버하는 바닥커버(22)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프론트케이스(12) 내측에 배치되고, 도어(30)와 함께 세척공간(10a)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24)를 포함한다.
프론트케이스(12)는,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일측에 도어(30)가 배치되는 도어홀(12a)이 형성된다. 프론트케이스(12)의 내측 하부는, 리어케이스(14)의 내측 하부와 연결되어, 세척공간으로 스팀이나, 세척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프론트케이스(12)는, 리어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리어케이스(14)는, 프론트케이스(12)의 후방에 배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내측에는 이너케이스(2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24)의 전방으로 세척공간(10a)이 형성되고, 이너케이스(24)의 후방으로 기계실(10b)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내측에는, 세척공간으로 스팀이나, 세척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배치되는 기계실(10b)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와 이너케이스(24)의 사이공간으로 기계실(10b)이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16)는, 케이스(10)의 상측을 커버한다. 탑커버(16)에는, 세척장치(1)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패널(20)이 배치될 수 있다. 입력패널(20)에는, 세척장치(1)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24)는, 도어(30)에 대응하는 반원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케이스(24)는, 도어(30)와 세척공간(1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케이스(24)와 도어(30)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10a)은,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세척공간(10a)의 하측에는,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대(40)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는 복수의 그릴(42, 44)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대(4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그릴(42)과, 외측그릴(42) 내측에서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는 내측그릴(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대(40)의 중앙에는, 제1워터노즐(60)이 배치되도록 노즐홀(46)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40)는, 내측그릴(44)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섬프(50)에 연결되는 수직리브(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40)의 하측에는, 세척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섬프(50)가 배치된다. 섬프(50)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척공간(10a)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하부로 집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섬프(50)의 중앙에는, 섬프(50)에서 집수되는 물을 워터펌프(120)로 보내는 집수관(52)이 배치된다. 집수관(52)은, 노즐지지대(90)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집수관(52)은, 내부에 스팀공급관(82), 제1워터공급관(66), 및 제1에어공급관(74)이 배치될 수 있다. 집수관(52)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크기는, 스팀공급관(82), 제1워터공급관(66), 및 제1에어공급관(74)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로 섬프(50)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집수관(52)의 하단은 워터펌프(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계실(10b)은, 프론트케이스(12)의 하측공간, 리어케이스(14)의 하측공간과, 리어케이스(14)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24)의 후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30)는, 프론트케이스(12)의 개구된 도어홀(12a)을 커버한다. 도어(30)는, 프론트케이스(12)가 형성하는 도어홀(1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30)는, 반원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30)는, 이너케이스(2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30)는, 이너케이스(24)와 동일한 곡률중심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어(30)는, 이너케이스(24)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도어홀(12a)을 개방할 때, 도어(30)는, 이너케이스(2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프론트케이스(12)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어(3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도어홀(12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30)의 상단과 하단은, 프론트케이스(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공간(10a)에서 비산되는 물이 도어(30)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고, 섬프(50)로 낙하될 수 있다.
세척장치(1)에는, 도어(3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도어기어(32a, 32b)와, 도어기어를 회전시키는 도어모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어기어(32a, 32b)는, 도어모터(34)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1도어기어(32a)와, 제1도어기어(32b)와 ?Ч갬? 회전하는 제2도어기어(32b)를 포함한다. 제1도어기어(32a)와 제2도어기어(32b)는 세척공간의 하측 중심에 배치된다. 제2도어기어(32b)는, 세척공간(10a)의 하부 중심에 배치되는 집수관(5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도어기어(32b)는, 평기어형상을 가지고, 집수관(52)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세척장치(1)에는, 제2도어기어(32b)와, 도어(30)를 연결하는 도어브릿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브릿지(36)는, 도어기어(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1)의 도어(3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조로, 도어모터(34)와, 도어모터(34)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1도어기어(32a)와, 도어(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도어기어(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어기어(32b)는, 랙기어의 형태로, 도어(3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워터노즐은, 대상물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워터노즐(60), 대상물의 입구단 외주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워터노즐(62), 및 대상물의 외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워터노즐(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워터노즐(60)은, 세척공간(10a)에 대상물이 배치될 때, 대상물의 내측공간에 배치된다. 제1워터노즐(60)은, 대상물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워터노즐(60)은, 세척공간의 하측 중심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도록 배치된다. 제1워터노즐(60)은, 제2워터노즐(62)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제1워터노즐(60)은 이하에서 설명할 노즐지지대(9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워터노즐(60)은,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워터노즐(60)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복수의 제1분사홀(60a, 6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워터노즐(6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분사홀(60a, 60b)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워터노즐(6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분사홀(60a, 60b)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1워터노즐(60)에는, 반구형상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1-1분사홀(60a)과 제1-1분사홀(60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1-2분사홀(6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워터노즐(60)에는, 복수의 분사홀(60a, 60b)이 형성되어, 대상물의 내측공간의 다양항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워터노즐(62)은 세척공간(10a)에 배치되는 대상물의 입구단의 외주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컵 등의 대상물의 경우, 대상물의 입구단 외주면에서 접촉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워터노즐(62)은, 대상물의 입구단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대상물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제2워터노즐(62)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1프레임(102)의 내주면(103)에 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복수개가 배치된다. 복수의 제2워터노즐(62)은, 제1프레임(102)의 내주면(103)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제2워터노즐(62)은, 노즐지지대(90)가 배치되는 중심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거치대(40)가 형성하는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제1워터노즐(6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제1워터노즐(60)이 배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워터노즐(62) 각각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복수의 제2분사홀(62a, 6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워터노즐(6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분사홀(62a, 62b)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형성된다. 제2워터노즐(6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분사홀(62a, 62b)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2워터노즐(62)에는, 반구형상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2-1분사홀(62a)과 제2-1분사홀(62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2분사홀(62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워터노즐(64)은, 세척공간(10a)에 배치되는 대상물의 외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3워터노즐(64)은, 대상물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3워터노즐(64)은, 제1워터노즐(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3워터노즐(64)은, 제1워터노즐(60) 상측에 배치되어, 제1워터노즐(6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3워터노즐(64)은, 세척공간(10a)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3워터노즐(64)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이하에서 설명할 회동부재(110)에 의해, 세척공간의 외측으로 비산될 수 있다.
세척장치(1)는, 제1워터노즐(60), 제2워터노즐(62), 또는 제3워터노즐(64)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공급관(65, 66, 68)을 포함한다. 워터공급관(66, 68)은, 워터펌프(120)와 연결되는 메인워터공급관(65)과, 메인워터공급관(65)에서 분지되어 제1워터노즐(60)과 연결되는 제1워터공급관(66)과, 메인워터공급관(65)에서 분지되어 제2워터노즐(62)과 제3워터노즐(64)에 연결되는 제2워터공급관(68)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세척장치(1)는, 제1워터노즐(60), 제2워터노즐(62), 및 제3워터노즐(6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밸브(69a, 69b)를 포함한다. 밸브(69a, 69b)는, 제1워터공급관(66)을 개폐하는 제1밸브(69a)와, 제2워터공급관(68)을 개폐하는 제2밸브(6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워터노즐(60)은, 제1워터공급관(66)을 통해 워터펌프(120)와 연결된다. 제1워터공급관(66)은, 이하에서 설명할 노즐지지대(9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과 제3워터노즐(64)은, 제2워터공급관(68)을 통해 워터펌프(120)와 연결된다. 제2워터공급관(68)은, 노즐프레임(100)과 연결되어, 제2워터노즐(62)과 제3워터노즐(64)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노즐은, 대상물의 내측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에어노즐(70)과, 대상물의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에어노즐(72)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에어노즐(70)은, 제1워터노즐(6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에어노즐(70)은, 노즐지지대(90)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1에어노즐(70)은, 노즐지지대(9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에어노즐(72)은, 세척공간(1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18)에 배치된다. 탑커버(16)의 하측에는, 세척공간(1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18)이 배치된다. 탑커버(16)와 상부벽(18) 사이에는, 제2에어노즐(72)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에어공급관(7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에어노즐(72)은, 에어분배기(78)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분배기(78)는, 제2에어공급관(76)과 연결되어, 제2에어공급관(76)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2에어노즐(72)로 보낼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에어분배기(78)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하측면에 복수의 제2에어노즐(72)이 배치된다. 에어분배기(78)는, 일측에서 제2에어공급관(76)과 연결된다. 에어분배기(78)의 내측에는, 제2에어공급관(76)에서 유입된 공기를 복수의 제2에어노즐(72) 각각으로 보내는 분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벽(18)에는, 복수의 제2에어노즐(72)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에어노즐(72)은, 제3워터노즐(64)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2에어노즐(72)은, 세척공간(10a)을 향해 공기를 분사한다. 제2에어노즐(72)은, 하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한다.
제1에어노즐(70)은, 제1에어공급관(74)을 통해 에어펌프(122)와 연결된다. 제1에어공급관(74)은, 노즐지지대(9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에어노즐(72)은, 제2에어공급관(76)을 통해 에어펌프(122)와 연결된다. 제2에어공급관(76)은, 기계실(10b)의 후방공간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2에어공급관(76)은, 상부면(92)과 탑커버(16)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다. 제2에어공급관(76)은, 복수의 제2에어노즐(72)이 형성되는 에어분배기(78)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팀노즐(80)은, 제1워터노즐(60)과 제1에어노즐(7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스팀노즐(80)은, 노즐지지대(9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스팀노즐(80)은, 세척공간(10a)에 배치되는 대상물의 내측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한다. 스팀노즐(80)은, 거치대(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스팀노즐(80)은, 스팀공급관(82)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124)와 연결된다. 스팀공급관(82)은, 노즐지지대(90)의 내측에 배치된다.
세척장치(1)는, 세척공간(10a) 내측에 배치되는 제1워터노즐(60), 제1에어노즐(70), 및 스팀노즐(80)이 배치되는 노즐지지대(90)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노즐지지대(90)는, 내부에 배치되는 스팀공급관(82), 제1워터공급관(66), 제1에어공급관(74)을 지지한다. 노즐지지대(90)는, 원기둥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스팀공급관(82), 제1워터공급관(66), 제1에어공급관(74) 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노즐지지대(90)의 상부면(92)에는 스팀공급관(82)의 단부에 배치되는 스팀노즐(80), 제1워터공급관(66)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워터노즐(60), 및 제1에어공급관(74)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에어노즐(70)이 배치된다.
노즐지지대(90)는, 거치대(40)의 노즐홀(46)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지지대(90)는, 하단이 거치대(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단이 거치대(40)의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지지대(90)의 상부면(92)은, 거치대(40)보다 상측으로 이격배치된다.
노즐지지대(90)는, 거치대(40)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노즐지지대(90)는, 내부에 스팀공급관(82), 제1워터공급관(66), 제1에어공급관(74) 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바디(94), 지지대바디(94)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베이스(96), 지지대베이스(96)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지지대바디(94) 주위로 배치되는 대상물을 고정하는 홀더(9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바디(94)는, 원기둥형상을 가지고, 상부에 스팀노즐(80), 제1워터노즐(60), 및 제1에어노즐(70)이 배치된다. 지지대베이스(96)는, 일측에서 거치대(40)의 수직리브(48)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98)는, 노즐지지대(9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홀더(98)는, 거치대(40)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지지대바디(9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세척장치(1)는, 제2워터노즐(62)과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되는 노즐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노즐프레임(100)은, 세척공간(10a)의 하측에서 중심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워터노즐(62)과 세척공간(10a)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워터노즐(64)의 배치를 지지할 수 있다.
노즐프레임(100)에는, 일측에 노즐지지대(9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노즐지지대(9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워터노즐(62)이 배치되고, 타측에 노즐지지대(9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된다.
노즐프레임(100)은, 노즐지지대(9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제2워터노즐(62)이 배치되는 제1프레임(102)과, 제1프레임(102)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되는 제2프레임(104)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02)은,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2)의 내주면(103)에는, 제2워터노즐(62)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거치대(4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2워터노즐(62)은, 거치대(40)보다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2워터노즐(62)은, 제1프레임(102)의 내주면(103)에서 복수개가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2워터노즐(62)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워터노즐(62)은, 제1프레임(102)의 내주면(103)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도 10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워터노즐(62)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2)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세척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2)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유로는, 복수의 제2워터노즐(62)과 연결되어, 제2워터노즐(62)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2프레임(104)은, 제1프레임(102)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2프레임(104)은, 세척공간(10a)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프레임(104)은, 제2프레임(104)은, 세척공간(10a)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3워터노즐(6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104)은, 제1프레임(10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106)과, 수직프레임(106)의 상단에서 밴딩되어 노즐지지대(9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108)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08)은, 수직프레임(106)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밴딩되어, 연장된다. 수평프레임(108)에는,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된다. 제3워터노즐(64)은, 제1워터노즐(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3워터노즐(64)은, 제1워터노즐(60)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수평프레임(108)의 단부에는, 제3워터노즐(6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며, 제3워터노즐(6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비산시키는 회동부재(1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회동부재(110)는, 제2프레임(104)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회동부재(110)는, 수평프레임(108)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회동부재(110)는,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수평프레임(108)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회동부재(110)는, 제3워터노즐(6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며, 제3워터노즐(6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하측으로 비산시킨다.
기계실(10b)에는, 제1워터노즐(60), 제2워터노즐(62), 또는 제3워터노즐(64)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120)와, 스팀노즐(8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제너레이터(124)와, 제1에어노즐(70) 또는 제2에어노즐(72)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122)가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워터펌프(120)는, 리어케이스(14)의 후방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워터펌프(120)는, 집수관(52)과 연결되어, 집수관(52)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제1워터노즐(60), 제2워터노즐(62), 또는 제3워터노즐(64)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워터펌프(120)는,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124)는, 워터펌프(120)와 연결되어, 워터펌프(120)에서 압송되는 물의 일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124)는, 워터펌프(120)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의 일부를 가열하여, 스팀노즐(80)로 공급할 수 있다.
기계실(10b)에는, 세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워터공급관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126)가 배치된다. 디스펜서(126)는, 세제공급관(128)으로, 워터공급관과 연결된다. 세제공급관(128)은, 디스펜서(126)와 제2워터공급관(68)을 연결한다. 디스펜서(126)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공급관(128)과 제2워터공급관(68)을 통해 세척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를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된 세척장치와 차이점을 기준으로 세척장치를 설명한다.
세척장치는, 제2워터노즐(62)과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되는 노즐프레임(100)과, 제1워터노즐(60a, 60b)이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지지대(90a, 90b)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노즐프레임(100)은, 제2워터노즐(62)이 배치되는 제1프레임(102)과 제1프레임(102)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3워터노즐(64)이 배치되는 제2프레임(104)을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노즐프레임(100)은, 제1프레임(102)에 고정되고, 복수의 노즐지지대(90a, 90b)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연결프레임(130)은, 거치대(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은, 제1프레임(102)의 일단과 타단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은, 복수의 노즐지지대(90a, 90b)와 연결된다. 복수의 노즐지지대(90a, 90b)는, 연결프레임(13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연결프레임(13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형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130)에는, 제1노즐지지대(90a)와, 제1노즐지지대(90a)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노즐지지대(90b)가 연결된다.
도 16를 참조하면, 제1노즐지지대(90a)에는, 제1-1워터노즐(60a), 제1-1에어노즐(70a), 및 제1스팀노즐(8-a)이 배치되고, 제2노즐지지대(90b)에는, 제1-2워터노즐(60b), 제1-2에어노즐(70b), 및 제2스팀노즐(80b)이 배치된다.
도 16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130)에는, 제1-1워터노즐(60a)과 제1-2워터노즐(60b)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워터공급관(66), 제1-1에어노즐(70a)과 제1-2에어노즐(70b)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에어공급관(74), 제1스팀노즐(80a)과 제2스팀노즐(80b)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82)이 배치된다.
연결프레임(130) 내부에 배치되는 제1워터공급관(66)은, 제1-1워터공급관(66a)과 제1-2워터공급관(66b)으로 분지된다. 제1-1워터공급관(66a)은 제1-1워터노즐(60a)로 연결되고, 제1-2워터공급관(66b)은 제1-2워터노즐(60b)로 연결된다.
연결프레임(130) 내부에 배치되는 제1에어공급관(74)은, 제1-1에어공급관(74a)과 제1-2에어공급관(74b)으로 분지된다. 제1-1에어공급관(74a)은 제1-1에어노즐(70a)로 연결되고, 제1-2에어공급관(74b)은 제1-2에어노즐(70b)로 연결된다.
연결프레임(130) 내부에 배치되는 스팀공급관(82)은, 제1스팀공급관(82a)과 제2스팀공급관(82b)으로 분지된다. 제1스팀공급관(82a)은 제1스팀노즐(80a)로 연결되고, 제2스팀공급관(82b)은 제2스팀노즐(80b)로 연결된다.
거치대(40)에는, 제1노즐지지대(90a)와 제2노즐지지대(90b)가 관통하는 2개의 노즐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노즐지지대(90a)와 제2노즐지지대(90b) 각각은, 제1워터공급관(66)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바디(94), 지지대바디(94)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베이스(96), 지지대베이스(96)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지지대바디(94) 주위로 배치되는 대상물을 고정하는 홀더(9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세척장치 10 : 케이스
10a : 세척공간 10b : 기계실
12 : 프론트케이스 14 : 리어케이스
24 : 이너케이스 30 : 도어
40 : 거치대 42 : 외측그릴
44 : 내측그릴 50 : 섬프
52 : 집수관 60 : 제1워터노즐
62 : 제2워터노즐 64 : 제3워터노즐
66 : 제1워터공급관 68 : 제2워터공급관
70 : 제1에어노즐 72 : 제2에어노즐
74 : 제1에어공급관 76 : 제2에어공급관
78 : 에어분배기 80 : 스팀노즐
82 : 스팀공급관 90 : 노즐지지대
92 : 상부면 94 : 지지대바디
96 : 지지대베이스 98 : 홀더
100 : 노즐프레임 102 : 제1프레임
104 : 제2프레임 106 : 수직프레임
108 : 수평프레임 110 : 회동부재
120 : 워터펌프 122 : 에어펌프
124 : 팀제너레이터 126 : 디스펜서

Claims (10)

  1. 내측으로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세척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워터노즐;
    상기 거치대의 외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중심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워터노즐;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워터노즐;
    상기 제1워터노즐, 상기 제2워터노즐, 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
    상기 거치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 하측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에서 집수되는 물을 상기 펌프로 보내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펌프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1워터노즐로 공급하는 제1워터공급관과;
    상기 워터펌프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2워터노즐 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 공급하는 제2워터공급관과;
    상기 제1워터노즐, 상기 제2워터노즐, 및 상기 제3워터노즐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워터공급관을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워터공급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세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워터공급관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관은, 상기 제2워터공급관과 연결되는 세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상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에어노즐;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에어노즐; 및
    상기 제1에어노즐 또는 상기 제2에어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1워터노즐이 배치되는 노즐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노즐은, 상기 노즐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노즐은, 상기 세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벽에는, 상기 제3워터노즐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에어노즐이 배치되는 세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에서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제1에어노즐로 공급하는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에어펌프에서 압송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2에어노즐로 공급하는 제2에어공급관과;
    상기 제2에어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에어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제2에어노즐로 보내는 에어분배기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1워터노즐이 배치되는 노즐지지대; 및
    상기 노즐지지대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하는 세척장치.
KR1020210011651A 2021-01-27 2021-01-27 세척장치 KR20220108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51A KR20220108537A (ko) 2021-01-27 2021-01-27 세척장치
PCT/KR2022/001239 WO2022164157A1 (ko) 2021-01-27 2022-01-24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51A KR20220108537A (ko) 2021-01-27 2021-01-27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37A true KR20220108537A (ko) 2022-08-03

Family

ID=8265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51A KR20220108537A (ko) 2021-01-27 2021-01-27 세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8537A (ko)
WO (1) WO2022164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1388A (en) * 2022-08-11 2024-02-14 Nudge Innovations Ltd Wash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4107B (zh) * 2013-08-20 2016-05-04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奶瓶消毒机
KR102496333B1 (ko) * 2016-06-30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6807571B2 (ja) * 2016-08-04 2021-01-06 株式会社琳聡堂 食器洗浄機
KR102114048B1 (ko) * 2018-12-07 2020-05-25 김연정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1970520B1 (ko) *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4157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3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rying and sanitizing produce
US9861260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tine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8721804B2 (en) Dishwasher with auxiliary washing agent dispensing system
EP2166917B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5191264A1 (en) Washer device for breast pump accessories
KR101026578B1 (ko) 식기 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KR20220108537A (ko) 세척장치
KR20220108538A (ko) 세척장치
KR100769777B1 (ko) 식기 세척기
EP1568304B1 (en) Dishwasher
KR20220108536A (ko) 세척장치
JP4210646B2 (ja) 食器洗浄液とすすぎ液を受容するための収集手段を備えた食器洗浄機
AU2005324065B2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KR101292552B1 (ko) 야채 세척 드럼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야채 겸용 식기 세척기
JP2019098260A (ja) 洗浄器
US11931780B2 (en) Bottle cleaner
TWI551258B (zh) 洗碗機
WO2018219470A1 (en) Liquid spraying device for a dishwasher with improved cleaning performance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JP2008229224A (ja) 食器洗い機
CN216324014U (zh) 奶瓶清洗机
JPH0833604A (ja) 食器洗浄機
KR20090048935A (ko) 식기세척기
JP2022103926A (ja) 洗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