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935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935A
KR20090048935A KR1020070115048A KR20070115048A KR20090048935A KR 20090048935 A KR20090048935 A KR 20090048935A KR 1020070115048 A KR1020070115048 A KR 1020070115048A KR 20070115048 A KR20070115048 A KR 20070115048A KR 20090048935 A KR20090048935 A KR 20090048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storage
storage body
rotation
dish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019B1 (ko
Inventor
윤상헌
신갑수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식기의 수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식기세척기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수납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식기의 수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세척기의도어를 열고 내부의 식기수납체를 밖으로 인출하여 식기수납체에 식기를 수납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식기수납체를 식기세척기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식기세척기를 작동시키면 내부에 수납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소량의 수저, 나이프 또는 포크 등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특히, 이미 세척이 필요한 식기를 모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소량의 수저 등을 추가로 수납하려는 경우에, 다시 도어를 전개하고 식기수납체를 밖으로 인출하여 식기를 수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소량의 수저 등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식기를 간편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기수납체와, 상기 식기수납체 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회전수납부와, 일측은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수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수납부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에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왕복운동하는 일단이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는 타단이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는 상기 식기수납체를 구성하는 와이어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납부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수납부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식기수납체를 구성하는 와이어 중 하나에 걸림 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에서 상기 식기수납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걸이부가 상기 와이어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의 중간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식기수납체가 수용되는 터브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와 맞닿아 상기 회전수납부를 상기 식기수납체 측으로 밀어주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에 수납되는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기수납체와, 상기 식기수납체 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수납부 및, 상기 회전수납부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 더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국면에서, 식기수납체가 수용되는 터브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식기수납체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수납부 및, 상기 회전수납부 가 전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회전수납부에 수납된 식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편하고 안전하게 식기를 식기세척기 내부에 수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터브(18)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2)와, 상기 터브(18)를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브(18)는,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터브(18)와 같은 방향측이 개구된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며, 베이스(50)에 의하여 설치면으로부터 일 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터브(18) 내부에는 상하로 분리되는 다수개의 식기수납체(60)(70)가 제공되고, 상기 식기수납체(60)(70)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3)이 터브(18)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선반(11)(12)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4)(15)(24)이 구비되며, 상기 터브(18)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부측 노즐(14)(24)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유로(19)가 제공된다. 상기 터브(18)의 하측면에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7)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는 상기 터브(18)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18) 내부에 식기가 수용되어 세척 행정이 진행될 때, 개구된 전방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어(2)는, 하단부에서 상기 케이스(1)와 힌지결합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도어(2)의 소정 위치에는 배기팬(9)이 설치되며, 터브(18)의 내부 공기가 배기팬(9)에 의해서 강제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내측면에는 세제 투입구(10)가 구비되어 세척 행정 시, 세제가 세척수에 일정량이 섞여 공급된다.
한편, 상기 도어(2) 상부에는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콘트롤 패널(3)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트롤 패널(3)에는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 스위치(5)와, 상기 도어(2)를 열고 닫을 때 사용하는 도어 손잡이(4)와,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서 식기 세척기에 소정의 동작이 실시되는 기능 조작부(7)와, 식기세척기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8) 및, 식기세척기 내부의 고온 공기가 배출되는 스팀 배출구(6) 등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50)는 상기 터브(18)를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50) 내부 공간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고 이물을 걸러서 다시 분사시키는 섬프(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50) 내부의 공간에는 상기 터브(18)와 식기세척기의 외부를 연결하여 물을 터브(18)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로(22)와,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로(23)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기(20)와, 상기 스팀 발생기(20)에서 발생된 스팀이 터브(18)의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유로(21)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로(22)는 터브(18) 및 스팀 발생기(20)와 각각 연결되도록 분지된다. 그리고, 분지된 각각의 급수관로(22)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급수관로(22)를 개폐시키는 터브측 밸브(40)와 스팀 발생기측 밸브(41)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측 밸브(40)에 의해 터브측으로 공급되는 급수량이 제어되고, 상기 스팀측 밸브(41)에 의해 스팀 발생기(20)측으로 공급되는 급수량이 제어된다.
도 4a는 일반적인 상부 식기수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반적인 하부 식기수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식기수납체는 식기세척기의 용량 및 그 배치구조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2인용 이상의 식기세척기에는 터브(18, 도 3참조)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식기수납체(6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식기수납체(70)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는 다수의 상부 와이어(wire)(62)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결합하여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부 식기수납체(6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부 손잡이(64)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를 식기세척기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반출할 때, 상기 상부 손잡이(64)를 잡은 상태로 상부 식기수납체(60)를 밀고 당길 수 있다.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부 와이어(62) 상에는 그릇, 접시 등을 옆으로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 타인(tine)(6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타인(66)은 상기 상부 와이어(62)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타인(66)은 복수 개가 일렬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하나의 상부 타인(66)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타인(66)이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바닥면을 가로질러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이렇게 일렬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이 모여 하나의 상부 타인(66) 집합체를 이룬다.
이때, 상기 일렬을 이루는 상부 타인(66) 집합체는 상기 상부 식기수납 체(60)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부 타인(66)이 구비되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타인(66) 사이에 그릇 또는 접시의 일측이 지지되며, 이웃하는 상부 타인(66) 집합체에 속하면서 상기 두 개의 상부 타인(66)에 대응하는 또 다른 두 개의 상부 타인(66)에 의하여 그릇의 타측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웃하는 상부 타인(66) 집합체 사이의 공간에 컵 등을 입구가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타인(66) 집합체 사이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부 와이어(62)는 수납되는 컵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수납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경우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그릇, 컵 등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 타인(66)의 배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 내부 일측에는 컵을 이단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컵 받침(6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컵 받침(69)은 측벽을 이루는 상부 와이어(62)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혀 있고, 사용하고자 할 때는 펼쳐져 그 위에 이단으로 컵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 양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가 레일(13, 도 2 참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이동부재(68)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상부 손잡이(64)를 잡고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를 밀거나 당기 면, 상기 상부 이동부재(68)가 레일(13, 도 2 참조)에 의해 안내되어 상부 식기수납체(6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는 상부 식기수납체(6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하부 와이어(wire)(72)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하부 식기수납체(7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부 손잡이(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와이어(72) 상에는 그릇, 접시 등을 옆으로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 타인(tine)(7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타인(76)도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그릇, 컵 등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 내부 일측에는 수저, 젓가락, 나이프 또는 포크 등의 수저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통(7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통(77)에는 세척수가 내부에 수납되는 수저류에 분사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납통(77)에 수저류를 수납시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 양측 하부에는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가 레일(13, 도 2 참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이동부재(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식기수납체(6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상기 하부 손잡이(74)를 잡고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하부 이동부재(78)가 레일(13, 도 2 참조)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하부 식기수납체(7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수납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수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수납체(100)는 다수의 와이어(wire)(102)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결합하여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기수납체(100)는 위에서 설명한 상부 식기수납체(60, 도 4a 참조)와 하부 식기수납체(70, 도 4b 참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식기수납체(100)는 2 개의 식기수납체(100)를 수용하는 식기세척기에서 상부 또는 하부 어느 곳에든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식기수납체(100)는 3 개 이상의 식기수납체(100)가 구비되는 대용량의 식기세척기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작은 사이즈의 식기세척기에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식기수납체(1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104)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식기세척기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반출할 때, 상기 손잡이(104)를 잡은 상태로 식기수납체(100)를 밀고 당길 수 있다.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 내부 일측에는 컵을 이단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컵 받침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컵 받침부(120)는 컵을 지지하는 지지부(122)와 상기 지지부(122)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124) 및 상기 연장부재(124)가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측벽 와이어(10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컵 받침부(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식기수납체(100) 양측에 2 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122)는 측벽을 이루는 와이어(102)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혀 있고, 사용하고자 할 때는 펼쳐져 그 위에 이단으로 컵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2)는 와이어가 골과 산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골이 형성하는 홈에는 와인잔의 하부가 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식기수납체(100)에 와인잔을 거꾸로 눕혀 수용할 때, 와인잔 하부를 상기 홈에 안착시켜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24)는 상기 지지부(122)에 컵이 올려지거나 와인잔 하부가 거치될 때, 컵의 일부가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측벽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126)는 상기 연장부재(124)를 구성하는 와이어와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측벽을 이루는 와이어가 각각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재(126)는 상기 연장부재(124)가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122)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며, 수용되는 컵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컵 받침부(12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양측벽에는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높이조절 버튼(107)과, 상기 높이조절 버튼(107)의 상햐 이동에 의하여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측벽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지지하는 잠금부재(10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기수납체(100) 양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 식기수납체(60)가 레일(13, 도 2 참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108)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4)를 잡고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이동부재(108)가 레일(13, 도 2 참조)에 의해 안내되어 상부 식기수납체(6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식기수납체(100) 전면 일측에는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수납부(15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 회전수납부(150)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도이다.
도 6a 내지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크게,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기수납체(100)와, 상기 식기수납체(100) 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회전수납부(150)와, 일측은 상기 식기수납체(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60) 및,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식기수납체(100)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식기수납체(100)의 전면 일측에서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102)가 상기 식기수납체(100) 내측으로 구부러져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공간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공간상에 회전수납부(150)가 구비되면, 상기 식기수납체(100)와 회전수납부(150)가 합쳐져 직육면체의 바스켓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수납부(150)에는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데, 주로 수저,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 수저류가 수용되어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수납되는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15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152)은 상기 회전수납부(150) 외벽에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152)을 통해 세척수가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수용된 식기에 분사되어 식기가 세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식기수납체(100)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납부(150)에는 힌지결합부(158)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결합부(158)가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158)는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수납부(150) 후벽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힌지결합부(158)는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상기 식기수납체(100)와 맞닿는 측벽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 더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전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수납된 식기류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제한수단으로서, 일측은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6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소정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 더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150)를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가운데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160)는 2 개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수납부(150) 양 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회전수납부(15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60) 일단이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회동에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는 홈부(1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왕복운동 하는 일단이 상기 홈부(1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151)는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162)는 상기 홈부(151)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160)가 홈부(15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식기수납체(100)와 연결되는 타단이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60)의 회전부(164)는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102) 중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10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식기수납체(100)와 연결되는 일단은 힌지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회전수납부(150)와 연결되는 타단은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까지 회전할 때는, 상기 연결부재(160) 일단은 회전하고, 타단은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재(160)의 이탈방지부(162)가 상기 홈부(151) 상단까지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회전수납부(150)를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므로,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그 이상의 회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 올 때는, 상기 연결 부재(160) 일단은 이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이상의 회동은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전수납부(150)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수납부(15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핸들(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154)은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154)을 밀고 당김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회전수납부(15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154)은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수납되는 포크 등에 의해 사용자가 손을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부(170)는 상기 식기수납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102) 중 하나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부(170)는 상기 회전수납부(150)에서 상기 식기수납체(100)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72)와, 상기 걸이부(170)가 상기 와이어(102)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기부(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2)와 상기 돌기부(174)에 의해 상기 걸이부(170)는 전체적으로 후크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170)는 상기 회전수납부(15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수납부(150)의 중간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걸이부(170)에 의해 상기 와이어(102)에 걸려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핸들(154)을 약간 당기면, 상기 걸이부(170)가 상기 와이어(102)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앞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저,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수저류를 상기 회전수납부(150)에 간편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핸들(154)을 밀어주거나 도어(2, 도 2 참조)를 닫으면,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걸이부(170)가 상기 와이어(102)에 걸려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납부(150)는 상기 도어(2, 도 2 참조)가 닫힐 때, 상기 도어(2, 도 2 참조)와 맞닿아 상기 회전수납부(150)를 상기 식기수납체(100) 측으로 밀어주는 돌출부(15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56)는 상기 회전수납부(150) 전면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납부(150)와 상기 도어(2, 도 2 참조)가 직접 맞닿아 긁히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걸이부(170) 대신 푸쉬스위치(push switch) 방식의 스위치부(미도시)를 채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전수납부(150)를 직접 밀거나 도어(2, 도 2 참조)를 닫으면,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스위치부에 의해 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회전수납부(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수납부(150)를 밀면 스위치부에서 고정이 해제되어 회전수납부(150)가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식기를 식기수납체에 간편하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4a는 일반적인 상부 식기수납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일반적인 하부 식기수납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수납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회전수납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도어
3 : 콘트롤 패널 4 : 도어 손잡이
5 : 전원 스위치 6 : 스팀 배출구
7 : 기능 조작부 8 : 디스플레이부
9 : 배기팬 10 : 세제 투입구
11, 12 : 선반 13 : 레일
14, 15, 24 : 노즐 16 : 섬프
17 : 필터 18 : 터브
19 : 세척수유로 20 : 스팀 발생기
21 : 스팀공급유로 22 : 급수관로
23 : 배수관로 40 : 터브측 밸브
41 : 스팀측 밸브 50 : 베이스
100 : 식기수납체 102 : 와이어
104 : 손잡이 106 : 잠금부재
107 : 높이조절 수단 108 : 이동부재
120 : 컵 받침부 122 : 지지부
124 : 연장부재 126 : 가이드 부재
150 : 회전수납부 151 : 홈부
152 : 통공 154 : 핸들
156 : 돌출부 158 : 힌지결합부
160 : 연결부재 162 : 이탈방지부
164 : 회전부 170 : 걸이부
172 : 연장부 174 : 돌기부

Claims (17)

  1.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기수납체;
    상기 식기수납체 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회전수납부;
    일측은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수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수납부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에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왕복운동하는 일단이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는 타단이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식기수납체를 구성하는 와이어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수납부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식기수납체를 구성하는 와이어 중 하나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의 타측을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에서 상기 식기수납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걸이부가 상기 와이어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의 중간 높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식기수납체가 수용되는 터브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와 맞닿아 상기 회전수납부를 상기 식기수납체 측으로 밀어주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에 수납되는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기수납체;
    상기 식기수납체 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수납부; 및
    상기 회전수납부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 더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일측은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수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회전수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에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왕복운동하는 일단이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와
    상기 식기수납체와 연결되는 타단이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식기수납체가 수용되는 터브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식기수납체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수납부; 및
    상기 회전수납부가 전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회전수납부에 수납된 식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수납체를 구성하는 와이어 중 하나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수납부를 상기 식기수납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와 맞닿아 상기 회전수납부를 상기 식기수납체 측으로 밀어주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70115048A 2007-11-12 2007-11-12 식기세척기 KR10142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48A KR101422019B1 (ko) 2007-11-12 2007-11-12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48A KR101422019B1 (ko) 2007-11-12 2007-11-1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35A true KR20090048935A (ko) 2009-05-15
KR101422019B1 KR101422019B1 (ko) 2014-07-23

Family

ID=4085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48A KR101422019B1 (ko) 2007-11-12 2007-11-1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39A (ko) * 2018-07-18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5243595A (zh) * 2020-03-12 2022-10-25 美诺两合公司 用于洗碗机的餐具抽拉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849Y1 (ko) * 1985-10-08 1989-08-30 최익선 칼꽂이
EP1773175A2 (de) * 2004-07-23 2007-04-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eckablage in geschirrspülmaschin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39A (ko) * 2018-07-18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5243595A (zh) * 2020-03-12 2022-10-25 美诺两合公司 用于洗碗机的餐具抽拉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19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610B2 (en) Dishwasher and method
JP2011078572A (ja) 食器洗浄機
KR20110038366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20090048935A (ko) 식기세척기
JP2019030513A (ja) 食器洗い機
JP2019030514A (ja) 食器洗い機
KR20090054116A (ko) 식기세척기
JP2008125701A (ja) 食器洗い機
JP2004254830A (ja) 食器洗浄機
KR20090058162A (ko) 식기세척기용 칼 수납 케이스
WO2020071005A1 (ja) 食器カゴおよびこれを備える食器洗い機
KR20170021600A (ko) 식기 세척기
JPH09271460A (ja) 食器洗浄機
JP2007236800A (ja) 食器洗い機
JP2007135650A (ja) 食器洗い機
JPH11290261A (ja) 食器洗浄機用食器籠
KR20130092484A (ko) 식기 세척기
JP2006061358A (ja) 食器洗い機
KR101286440B1 (ko) 식기 세척기의 식기 랙 구조
JPH10146310A (ja) 食器洗浄機
KR20090000891U (ko) 식기 세척기용 수저 바스켓
JPH09103398A (ja) 食器洗浄機
JPH11192197A (ja) 食器洗浄・乾燥機及びそれに用いるラック
JP2621539B2 (ja) 食器洗浄機
KR20070008811A (ko) 식기 세척기의 수저류 수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