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048B1 -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 Google Patents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048B1
KR102114048B1 KR1020180156957A KR20180156957A KR102114048B1 KR 102114048 B1 KR102114048 B1 KR 102114048B1 KR 1020180156957 A KR1020180156957 A KR 1020180156957A KR 20180156957 A KR20180156957 A KR 20180156957A KR 102114048 B1 KR102114048 B1 KR 10211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pad
storage unit
washing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정
서윤석
Original Assignee
김연정
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정, 서윤석 filed Critical 김연정
Priority to KR102018015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47L15/006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with brushes or similar scrap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5Drying arrangements by using alternative heat sources, e.g. microwave o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형성된 도어(260)를 통하여 개폐되고, 컵(A)이 수납되는 수납부(220)를 구비한 하우징(210)과, 수납부(220)의 바닥면에서 컵(A)을 지지하는 지지패드(240)와, 수납부(220)에서 프레임 회전 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지지패드(24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내측에 세척수가 이동되는 관로가 구비된 회전 프레임(194)과, 회전 프레임(194)에서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 수개의 외부 노즐(192) 및 회전 프레임(194)에 고정되어 컵(A)의 외면에 세척시키는 복 수개의 외부 브러쉬(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AUTOMATIC CUP WASHER OF COMPACT TYPE}
본 발명은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컵 세척기는 도자기 컵 또는 스테인레스 컵을 복 수개 수납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버튼을 누르면 컵이 배출되고, 사용 후에 컵을 다시 세척기에 넣으면 세척기 내에서 컵이 자동으로 살균 및 세척되어 언제든지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컵을 보관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관될 수 있는 컵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원이 많은 사무실이나 관공서에서는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다. 그리고 최근에는 개인 컵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지고 있어 위와 같은 컵 세척기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개인용 컵을 세척할 수 있는 소형의 컵 세척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개인용 컵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개인용 컵 세척기는 사이즈가 한정됨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컵 세척기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컵의 외면 또는 내면을 세척하는 것으로 오염 원인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하거나, 세척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1964호(2007.12.28)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수의 공급 관로와 배수 관로가 탈부착 되어 소형화 및 이동이 용이한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의 외면과 내면을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해 세척하여 오염 물질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콤팩트용 자동 컵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형성된 도어를 통하여 개폐되고, 컵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수납부의 바닥면에서 컵을 지지하는 지지패드와, 수납부 내측에서 프레임 회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지패드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내측에 세척수가 이동되는 관로가 구비된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에서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 수개의 외부 노즐 및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컵의 외면에 세척시키는 복 수개의 외부 브러쉬와, 수납부 내에서 고정된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UV 램프와 발열되는 히터와 히터에서 발열된 열을 순환시키는 팬을 구비한 살균 건조부 및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 관로를 개폐시키는 제1밸브와 세척후 발생된 폐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관로를 개폐시키는 제2밸브와 세제 저장부와 공급 관로 사이를 개폐하는 제3밸브를 포함하는 관로 개폐부를 포함하고, 지지패드는 컵이 놓여지는 표면에서 함몰된 오목형의 입구면이 형성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중앙구와, 중앙구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열풍을 컵의 외면과 내면으로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통공 및 표면에서 돌출되어 컵의 미끌림이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마찰돌기를 포함하고, 중앙구 및 통공은 배수 관로에 연결되고, 수납부의 벽면 내측은 지지패드의 통공 및 지지패드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 관로에 각각 연결되어 히터 및 팬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수납부 및 배수 관로로 토출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세척수의 공급 관로와 배수 관로가 탈부착 되고, 내부에 세척수 및/또는 폐수를 보관하는 것이 아닌 실시간으로 공급 및 배수시킬 수 있고, 수압을 높이는 방식이 아닌 수압과 직접 접촉 방식의 조화를 통하여 수압을 높이기 위한 내부 구성을 보다 간략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의 외면과 내면에 직접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한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오염 물질의 완벽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수압 세척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지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내부 브러쉬 세척부와 외부 브러쉬 세척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살균 건조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지지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210)의 내측 수납부(220)에 수납된 컵(A)을 세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출력하는 조작부(120)와, 컵(A)(도 3 참조)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살균 건조부(130)와, 세척수의 공급 관로(252)와 배수되는 배수 관로(253)를 개폐시키는 관로 개폐부(140)와, 내부의 온도와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부(150)와, 컵(A)을 수납 및 지지하는 회전 프레임(194)을 회전시키는 프레임 회전 모터(160)와, 컵(A)의 외면을 세척하는 외부 브러쉬 세척부(170)와, 컵(A)의 내면을 세척하는 내부 브러쉬 세척부(180)와, 세척수를 컵(A)의 외면과 내면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수압 세척부(19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내측에 컵(A)이 수납 및 세척되는 공간을 갖는 수납부(220)가 형성되고, 외측에서 수납부(2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도어(260)가 형성된다.
조작부(120)는 하우징(210)의 일면에 설치되어 동작중 또는 정지상태, 센서부(150)에서 감지된 내부 상태 정보가 출력되고, 명령(예를 들면, 전원온/오프, 세척 시간 예약 및 설정, 세척과 살균 및 건조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설정된 복 수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51)와, 내부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 감지 센서(152)는 컵(A)의 수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컵(A)이 수납되는 지지패드(240)의 중량과, 폐수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수 관로(253)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51)의 감지신호와 중량 감지 센서(152)의 감지신호는 제어부(110)로 출력되고, 제어부(110)는 이를 통하여 조작부(120)에 내부 온도 및 중량(또는 컵(A)의 수납 여부, 폐수의 잔류 여부)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관로 개폐부(140)와 수압 세척부(190) 및 프레임 회전 모터(16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로 개폐부(140)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 관로(252)를 개폐시키는 제1밸브(141)와, 세척후 발생된 폐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관로(253)를 개폐시키는 제2밸브(142)와, 세제 저장부(230)와 공급 관로(252) 사이를 개폐하는 제3밸브(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 관로(252)는 하우징(210)의 외면에서 공급 호스(310)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제1연결구(251)에서 연장되어 후술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외부 노즐(192) 및 내부 노즐(193)로 분기 및 연장된다.
배수 관로(253)는 하우징(210)의 외면에서 배수 호스(320)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제2연결구(254)에서 폐수가 모여지는 하우징(210)의 수납부의 하측으로 연장 및 연결된다.
또한, 공급 호스(310)는, 예를 들면, 정수기에서 연결될 수 있고, 배수 호스(320)는 배수구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 호스(310)와 배수 호스(320)의 체결 방식 및 기구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도면과 설명을 최소화 하였다.
제1밸브(141)와 제2밸브(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공급 관로(252) 및 배수 관로(253)를 개폐시킨다. 예를 들면, 제1밸브(141)는 조작부(120)의 전원 온 명령 또는 설정된 예약 시간이 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온 되어 공급 호스(310)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수압 세척부(190)로 안내하고, 오프 명령 또는 설정된 오프 시간이 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오프된다.
또한, 제2밸브(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온 되어 수납부(220)에 고여진 폐수를 배수 호스(320)로 배출되도록 배수 관로(253)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중량 감지 센서(152)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폐수 발생 여부 및 폐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제2밸브(142)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컵(A)의 세척을 위한 세제가 공급하는 세제 저장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저장부(230)는, 예를 들면, 액상(또는 분말) 세제가 저장되는 탱크로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3밸브(143)가 온 되면 공급 관로(252)에 세제를 공급한다. 그러므로 외부 노즐(192) 및 내부 노즐(193)은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한다.
프레임 회전 모터(160)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외부 노즐(192)이 구비되고, 내측에 세척수의 공급 관로(252)가 형성된 회전 프레임(194)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 프레임(194)은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컵(A)을 지지하는 지지패드(240)가 수납되는 공간 및/또는 지지패드(240)를 지지하기 위하여 패드 지지홈(195)이 형성되고, 외부 노즐(192)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내측에 관로가 형성된다.
즉, 회전 프레임(194)은 양측 끝단에서 각각 공급 관로(252)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 노즐(192)로 안내한다. 또한, 회전 프레임(194)은 세척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프레임 회전 모터(160)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회전 프레임(194)은 회전시에 공급 관로(252)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180도 회전되는 것이 아닌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급 관로(252)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프레임(194)은 공급 관로와 각각 연결되거나 내부 관로가 상호 연결되는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회전 프레임(194)은 원통형의 내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패드 지지홈(195)은 회전 프레임(194)의 양측 끝단 중 수납부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호 대향되어 단차를 형성 후 절곡되어 공급 관로(252)로 연장된다. 패드 지지홈(195)은 이와 같이 단차 후 절곡된 형상을 통하여 지지패드(240)의 흔들림이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패드(240)의 외측에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지패드의 지지 및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수압 세척부(190)는 펌프(191)와, 컵(A)의 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노즐(192)과, 컵(A)의 내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내부 노즐(193)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노즐(192)은 하우징(210)의 내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프레임(194)에 정렬되어 펌프(191)가 구동되어 공급 관로(252)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컵(A)의 외면에 분사한다.
내부 노즐(193)은 뒤집힌 상태로 수납된 컵(A)의 내면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내부 노즐(193)은 지지패드(240)를 연통하여 컵(A)의 내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즉, 내부 노즐(193)은 뒤집혀진 상태로 지지패드(240)에 올려진 컵(A)의 내면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하여 지지패드(240)의 하측에 위치된다.
지지패드(24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지지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패드(240)는 뒤집힌 상태에서 수납된 컵(A)을 지지하도록 회전 프레임(194)의 패드 지지홈(195)에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패드(240)는 컵(A)의 미끌림이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이 높은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드(240)는 내부 노즐(193)과 내부 브러쉬(182)가 승하강되도록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중앙구(241)와, 중앙구(241)를 중심으로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된 통공(242)을 포함한다.
중앙구(241)는 중시부에서 관통 형성되어 하측으로부터 내부 노즐(193)이 돌출 또는 위치되고, 내부 브러쉬(182)가 승하강되도록 형성된다.
통공(242)은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되, 히터(132) 및 팬(133)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이동되는 유로(135)로 연결된다. 즉, 통공(242)은 열풍을 컵(A)의 내면과 외면으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앙구(241)와 통공(242)은 배수 관로(253)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컵(A)의 외면과 내면으로 각각 분사된 세척수는 지지패드(240)의 중앙구(241)와 통공(242)을 통하여 배수 관로(253)로 배출된다.
또한, 지지패드(240)는 표면에 마찰력을 강화하고, 형상의 변형을 통하여 세척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지지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패드(240)의 다른 실시예는 오목형으로서 함몰된 형상의 입구면(241a)이 형성되는 중앙구(241)와, 복 수개의 통공(242)과, 표면에서 돌출되어 컵(A)의 미끌림이나 이동을 방지하는 복 수개의 마찰돌기(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구(241)는 컵(A)이 놓여지는 표면에서 함몰된 오목형의 입구면(241a)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목형의 입구면(241a)은 폐수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지지패드의 상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다.
마찰돌기(243)는 복 수개가 오와 열로서 정렬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컵(A)이 놓여 진다 하더라도 세척수의 압력과, 브러쉬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이동되거나 넘어짐을 방지한다. 즉, 마찰돌기(243)는 컵(A)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어 컵(A)을 고정 시킬 수 있다.
외부 브러쉬 세척부(170)와 내부 브러쉬 세척부(18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외부 브러쉬 세척부와 내부 브러쉬 세척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브러쉬 세척부(170)는 컵(A)의 외면에 접촉 및 회전되어 세척시키는 복 수개의 외부 브러쉬(172)와, 외부 브러쉬(172)를 회전시키는 외부 세척 구동 수단(171)을 구비한다.
외부 브러쉬(172)는 회전 프레임(194) 또는 수납부(220)의 벽면 및/또는 천정면에서 복 수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회전된다. 즉, 본 발명은 세척수의 분사 압력에 의한 세척 방식외에 외부 브러쉬(172)를 컵(A)의 외면과 직접 접촉시켜 세척하기에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외부 세척 구동 수단(17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 브러쉬(172)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된다. 외부 세척 구동수단(171)은 외부 회전축(172a)으로 외부 브러쉬(172)에 연결되어 회전시킨다.
내부 브러쉬 세척부(180)는 컵(A)의 내면에 접촉되어 세척하는 내부 브러쉬(182)와, 내부 브러쉬(182)를 회전시키는 내부 세척 구동 수단(181)을 포함한다.
내부 브러쉬(182)는 전진, 승강 또는 하강되어 컵(A)의 내면에서 회전되어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여기서 내부 브러쉬(182)는 지지패드(240)의 중앙구(241)를 통하여 뒤집힌 상태로 수납된 컵(A)의 내면으로 진입 후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내부 브러쉬(182)는 승, 하강 및 회전되는 내부 회전축(182a)에 의해 지지된다.
내부 세척 구동 수단(181)은 제어부(110)의 구동명령에 따라 내부 브러쉬(182)를 승강 후 회전시키고, 세척 종료 명령에 따라 내부 회전축(182a)을 하강시킨다. 이를 위하여 내부 세척 구동 수단(181)은 회전 모터와 승강 모터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살균 건조부(13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살균 건조부(13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수납된 컵(A)의 세척 완료 후 자동으로 살균 및 건조 과정을 진행하거나, 조작부(120)의 명령에 따른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살균 및/또는 건조과정만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살균 건조부(130)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UV램프(131)와,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132) 및 팬(133)을 구비한다.
UV램프(131)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자외선을 출력하여 컵(A)을 살균 소독한다. 여기서 UV램프(131)는 하우징(210)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134)에 고정된다.
고정 프레임(134)은 수납부(220)에서 회전 프레임(194)과 함께 설치되어 지지패드(240)를 중심으로 상하 및 측 방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막대형의 바(Bar)로서 형성되거나, 회전 프레임(194) 및 지지패드(240)가 설치되는 수납부(220)의 천정면과 벽면에 해당될 수 있다.
히터(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전원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고, 팬(13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회전되어 하우징(210)의 내면에 바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히터(132)와 팬(133)에 의해 발생된 열풍은 하우징(2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컵(A)의 내외면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히터(132)와 팬(133)은 고정 프레임(134) 및 회전 프레임(194)이 설치된 수납부(220)의 벽면 내측에 설치된다. 수납부(220)의 벽면 내측은 상술한 지지패드(240)의 통공(242) 및 배수 관로(253)으로 연결되는 유로(135)가 형성된다. 즉, 유로(135)는 지지패드(24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 관로(253)에 연결되어 수납부 내부와, 컵(A) 뿐만 아니라 배수 관로(253)의 수분까지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 관로(253)는 제2밸브(142)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열풍이 유입됨에 따라 건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고,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정수기 또는 기타 시설에 연결된 공급 호스(310)를 제1연결구(251)에 체결하고, 배수 호스(320)를 제2연결구(254)에 체결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260)를 개방한 뒤에 컵(A)을 뒤집은 상태에서 지지패드(240)의 상면에 올려놓고, 도어(260)를 닫는다.
이때, 제어부(110)는 중량 감지 센서(152)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컵(A)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조작부(1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하여 세척부터 살균 건조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세척 또는 선택시간 동안 보관 가능한 살균 건조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조작부(120)를 통하여 입력한 구동 명령(예를 들면, 세척 명령)을 수신하면, 제1밸브(141)를 구동시켜 공급 관로(252)를 개방하고, 프레임 회전 모터(160)를 가동시킨다. 여기서, 제3밸브(14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관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세척수는 세제 저장부(230)에서 공급된 액상(또는 분말)의 세제가 혼합된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194)은 프레임 회전 모터(160)에서 연결된 회전축(161)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 프레임(194)에 고정된 복 수개의 외부 노즐(192)들은 공급 관로(252)를 통하여 공급된 세척수를 컵(A)의 외면에 분사한다. 내부 노즐(193)은 지지패드(240)의 중앙구(241)를 통하여 세척수를 컵(A)의 내면으로 분사한다.
또한, 외부 브러쉬(172)와 내부 브러쉬(18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 외부 세척 구동 수단(171)과 내부 세척 구동 수단(181)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외부 브러쉬(172)는 회전 프레임(194)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브러쉬(172)와, 외부 노즐(192)은 회전 프레임(194)에 고정되어 회전되면서 컵(A)의 외면을 세척한다.
그리고 내부 브러쉬(182)는 내부 세척 구동 수단(181)의 승강 모터에 의해 내부 회전축(182a)이 승강 되면서 지지패드(240)의 중앙구(241)를 통하여 컵(A)의 내측으로 진입된다. 그리고 내부 브러쉬(182)는 세정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분사됨과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내부 세척 구동 수단(181)의 회전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컵(A)의 내면을 세척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제1밸브(141)가 온 된 이후에 중량 감지 센서(152)로부터 배수 관로(253)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을 초과하면, 또는 제1밸브(141)가 온 됨과 동시에 제2밸브(142)를 온시켜 배수 관로(253)를 개방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시간을 측정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제1밸브(141)와 제3밸브(143)를 오프시켜 세척수의 분사를 차단하고, 제2밸브(142)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폐수를 배수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중량 감지 센서(152)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배수 관로(253)가 설정된 중량 이하가 되면, 제2밸브(142)를 오프 시켜 배수 관로(253)를 차단하고, 히터(132)와 팬(133) 및 UV 램프(13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UV 램프(131)는 발광되어 컵(A)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히터(132)와 팬(133)에서 발생된 열풍은 내부 유로(135)를 통하여 컵(A)의 내면 및 외면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여기서 열풍은 배수 관로(253)의 온도까지 상승시킴에 따라 배수 관로(253)의 수분 역시 증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살균 및 건조 과정은 사용자가 조작부(120)를 통하여 임의대로 설정한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거나, 자동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척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아닌 컵(A)을 장시간 동안 보관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하여 보관 또는 살균 및 건조 메뉴를 선택한 뒤에 온도와 시간을 설정한 뒤에 스위치를 온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조작부(120)에서 수신된 명령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UV램프(131)와 히터(132) 및 팬(133)을 작동시켜 장시간/단시간 동안 보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51)를 통하여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히터(132)와 팬(133)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현재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히터(132)를 오프시키고, 팬(133)만 가동시키고,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라면 히터(132)와 팬(133)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세척 방식이 아닌 브러쉬의 직접 접촉에 따른 컵(A)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외부의 수도관(또는 정수기)에 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물을 공급 받는 방식임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제어부 120 : 조작부
130 : 살균 건조부 131 : UV 램프
132 : 히터 133 : 팬
134 : 고정 프레임 135 : 유로
140 : 관로 개폐부 141 : 제1밸브
142 : 제2밸브 143 : 제3밸브
150 : 센서부 151 : 온도센서
152 : 중량 감지 센서 160 : 프레임 회전 모터
161 : 회전축 170 : 외부 브러쉬 세척부
171 : 외부 세척 구동 수단 172 : 외부 브러쉬
172a : 외부 회전축 180 : 내부 브러쉬 세척부
181 : 내부 세척 구동 수단 182 : 내부 브러쉬
190 : 수압 세척부 191 : 펌프
192 : 제1외부 노즐 193 : 내부 노즐
194 : 회전 프레임 195 : 패드 지지홈
210 : 하우징 220 : 수납부
230 : 세제 저장부 240 : 지지패드
241 : 중앙구 242 : 통공
243 : 마찰돌기 251 : 제1연결구
252 : 공급 관로 253 : 배수 관로
254 : 제2연결구 260 : 도어
310 : 공급 호스 320 : 배수 호스
A : 컵

Claims (5)

  1. 일면에 형성된 도어(260)를 통하여 개폐되고, 컵(A)이 수납되는 수납부(220)를 구비한 하우징(210);
    수납부(220)의 바닥면에서 컵(A)을 지지하는 지지패드(240);
    수납부(220)에서 프레임 회전 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지지패드(24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내측에 세척수가 이동되는 관로가 구비된 회전 프레임(194);
    회전 프레임(194)에서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 수개의 외부 노즐(192);
    회전 프레임(194)에 고정되어 컵(A)의 외면에 세척시키는 복 수개의 외부 브러쉬(172);
    수납부(220) 내에서 고정된 고정 프레임(134)에 고정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UV 램프(131)와, 발열되는 히터(132)와, 히터(132)에서 발열된 열을 순환시키는 팬(133)을 구비한 살균 건조부(130); 및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 관로(252)를 개폐시키는 제1밸브(141)와, 세척후 발생된 폐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관로(253)를 개폐시키는 제2밸브(142)와, 세제 저장부(230)와 공급 관로(252) 사이를 개폐하는 제3밸브(143)를 포함하는 관로 개폐부(140); 를 포함하고,
    지지패드(240)는
    컵(A)이 놓여지는 표면에서 함몰된 오목형의 입구면(241a)이 형성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중앙구(241);
    중앙구(241)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열풍을 컵의 외면과 내면으로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통공(242); 및
    표면에서 돌출되어 컵(A)의 미끌림이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마찰돌기(243);를 포함하고,
    중앙구(241) 및 통공(242)은 배수 관로(253)에 연결되고,
    수납부(220)의 벽면 내측은
    지지패드(240)의 통공(242) 및 지지패드(24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 관로(253)에 각각 연결되어 히터(132) 및 팬(133)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수납부(220) 및 배수 관로(253)로 토출시키는 유로(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패드(240)를 연통하여 뒤집혀진 상태로 수납된 컵(A)의 내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내부 노즐(193); 및
    지지패드(240)를 연통하여 승강 및 회전되어 컵(A)의 내면을 세척하는 내부 브러쉬(182);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 호스(31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구(251)에서 회전 프레임(194)과 내부 노즐(193)로 연장 및 분기되는 공급 관로(252)에 연결되어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 프레임(194)은
    수납부(220)에서 지지패드(240)의 미끌림의 방지 및 지지패드(240)가 수납되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양측에서 단차 형성된 패드 지지홈(19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20180156957A 2018-12-07 2018-12-07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211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57A KR102114048B1 (ko) 2018-12-07 2018-12-07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57A KR102114048B1 (ko) 2018-12-07 2018-12-07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048B1 true KR102114048B1 (ko) 2020-05-25

Family

ID=7091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57A KR102114048B1 (ko) 2018-12-07 2018-12-07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04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699B1 (ko) * 2021-09-14 2022-02-08 (주)플레토로보틱스 스팀피쳐 세척장치
KR20220068486A (ko) * 2020-11-19 2022-05-26 이동하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KR20220089444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한미엔지니어링 텀블러 세척기
WO2022164157A1 (ko) * 2021-01-27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장치
KR102432883B1 (ko) * 2021-11-03 2022-08-12 김태훈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WO2022164156A3 (ko) * 2021-01-27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장치
WO2022164158A3 (ko) * 2021-01-27 2022-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장치
WO2022203102A1 (ko) * 2021-03-26 2022-09-29 박길상 컵 세척소독장치
GB2607696A (en) * 2021-04-09 2022-12-14 Iquique Ltd Cup washing apparatus
WO2024071780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컵세척기
WO2024071781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컵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816Y2 (ja) * 1981-02-06 1985-11-11 富士通株式会社 同軸線
KR200290194Y1 (ko) * 2002-04-16 2002-09-26 이민수 용기세척기
KR100791964B1 (ko) 2006-12-11 2008-01-07 최기창 개인컵 자동세척장치
JP5652684B2 (ja) * 2010-04-14 2015-01-14 キム,ソン−ス コップ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816Y2 (ja) * 1981-02-06 1985-11-11 富士通株式会社 同軸線
KR200290194Y1 (ko) * 2002-04-16 2002-09-26 이민수 용기세척기
KR100791964B1 (ko) 2006-12-11 2008-01-07 최기창 개인컵 자동세척장치
JP5652684B2 (ja) * 2010-04-14 2015-01-14 キム,ソン−ス コップ洗浄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486A (ko) * 2020-11-19 2022-05-26 이동하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KR102410403B1 (ko) * 2020-11-19 2022-06-20 이동하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KR20220089444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한미엔지니어링 텀블러 세척기
KR102431481B1 (ko) * 2020-12-21 2022-08-11 주식회사 한미엔지니어링 텀블러 세척기
WO2022164156A3 (ko) * 2021-01-27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장치
WO2022164157A1 (ko) * 2021-01-27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장치
WO2022164158A3 (ko) * 2021-01-27 2022-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장치
WO2022203102A1 (ko) * 2021-03-26 2022-09-29 박길상 컵 세척소독장치
GB2607696A (en) * 2021-04-09 2022-12-14 Iquique Ltd Cup washing apparatus
KR102358699B1 (ko) * 2021-09-14 2022-02-08 (주)플레토로보틱스 스팀피쳐 세척장치
KR102432883B1 (ko) * 2021-11-03 2022-08-12 김태훈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WO2024071780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컵세척기
WO2024071781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컵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048B1 (ko)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US5979472A (en) Toy washer and disinfector device
KR101283870B1 (ko) 식기 세척기의 살균 제어 방법
US9339167B2 (en) Dishwasher
CA2159579C (en) Portable single-cup washer
US7165562B2 (en)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US9211049B2 (en) Dishwasher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US20140283880A1 (en) Dishwash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31017B2 (e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spiral air flow for drying
KR101324485B1 (ko) Uv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CN103807962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空气加湿器
KR100686198B1 (ko) 컵 세척장치
KR101396999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80104265A (ko) 스마트형 자동 보틀세정장치
KR101259114B1 (ko) 식기세척기
KR101317336B1 (ko) 식기 세척기
KR102060142B1 (ko) 세척, 건조,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JP2949170B2 (ja) 食器洗浄装置
USRE28135E (en) Solid smooth-surface article washing device
KR200363483Y1 (ko) 컵 세척장치
KR100859035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WO2016186411A1 (ko) 수세미 세척 장치
KR20210067258A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US20230279600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washing and drying a reusabl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