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699B1 - 스팀피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스팀피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699B1
KR102358699B1 KR1020210122226A KR20210122226A KR102358699B1 KR 102358699 B1 KR102358699 B1 KR 102358699B1 KR 1020210122226 A KR1020210122226 A KR 1020210122226A KR 20210122226 A KR20210122226 A KR 20210122226A KR 102358699 B1 KR102358699 B1 KR 10235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itcher
feature
main body
steam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섭
Original Assignee
(주)플레토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레토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플레토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1012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피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음료 제조 시 우유거품을 만들거나 우유를 데우는데 사용된 스팀피쳐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스팀피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 테이블(600) 상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61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200);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팀피쳐(700)를 받쳐주는 받침부재(300); 상기 받침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팀피쳐(7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400);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300) 위에 엎어놓은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피쳐 세척장치{Apparatus for cleaning steaming pitcher}
본 발명은 스팀피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음료 제조 시 우유거품을 만들거나 우유를 데우는데 사용된 스팀피쳐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스팀피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 등과 같은 음료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판매하는 커피전문점 또한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커피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여러 종류의 커피 또는 음료는 오로지 바리스타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숙련 바리스타와 전문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따라 음료 맛이 결정되고, 매장의 매출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커피전문점 운영비용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의 하나가 인건비 지출이며,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커피자판기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를 통해 만족스러운 맛의 커피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로봇에 의해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무인 커피음료 제조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제어실이 형성되고, 상부에 유리커버가 결합되는 부스; 상기 부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음료를 추출하는 자동 음료제조머신; 상기 부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 음료제조머신에서 추출된 음료를 컵에 담아 배출하는 핸들링 로봇; 상기 부스의 전방에 설치되며, 고객에 의해 입력되는 음료에 대한 주문정보를 입력받고, 결제 완료된 주문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주문단말기; 상기 부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주문단말기에서 주문하는 고객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주문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음료 주문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고객단말기; 및 상기 주문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음료 주문정보를 핸들링 로봇에 전송하여 해당 음료의 제조를 요청하고, 음료 주문 완료 시 고객단말기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촬영수단 및 고객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분석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음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라떼 등의 커피음료 제조 시 우유거품을 만들거나 우유를 데우는데 사용된 스팀피쳐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핸들링 로봇에 의해 스팀피쳐를 파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게 하여 스팀피쳐 내에 남아있는 우유거품을 세척기에 버리고, 이후 세척기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스팀피쳐의 내부를 세척한 후 스팀피쳐를 원래 위치에 내려놓는다.
특히, 스팀피쳐의 세척은, 핸들링 로봇에 의해 스팀피쳐를 파지한 상태에서 로봇암의 동작에 의해 스팀피쳐를 세척기의 세척노즐을 향해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스팀피쳐의 내부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음료 제조시스템의 테이블에 별도의 세척수조를 설치하고, 세척수조 내측에 세척노즐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테이블의 사용 면적을 줄여 테이블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시스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7090호(2020.11.30.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팀피쳐 세척장치가 테이블에 매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테이블의 사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팀피쳐 세척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조시스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내면이 나사 구조로 형성되며, 테이블(600) 상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6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테이블(600) 상에 관통 형성된 상기 삽입홀(610)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외면이 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 구조에 결합되며,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단턱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210)와 내면에 형성되는 다단 구조의 걸림턱(220)을 포함하는 고정플랜지(200);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중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3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격자 형태로 복수 개의 배수공(320)이 형성되고, 스팀피쳐(70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300); 상기 받침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팀피쳐(7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4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중공(31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300) 위에 엎어 놓은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50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300)의 하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지지대(330)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3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41)이 형성된 지지판(340)이 결합되며, 상기 세척노즐(500)은 상기 지지판(3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는 중앙에 엎어진 상태의 스팀피쳐(700)가 수용되도록 수용공(410)이 형성되고, 일측에 스팀피쳐(700)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안착홈(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세척된 스팀피쳐(700)에 열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800)는, 본체(100)의 급수구(1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에 체크밸브(811)가 구비되는 열풍공급관(810); 상기 열풍공급관(8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열풍공급관(810)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820); 및 상기 송풍기(8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열풍공급관(810)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UV램프(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테이블에 매립되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팀피쳐 세척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조시스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커피음료 제조시스템의 테이블(600) 상에 매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체(100), 고정플랜지(200), 받침부재(300), 유동방지 가이드(400) 및 세척노즐(5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 내면에는 고정플랜지(2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14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10)에는 세척노즐(500)에 연결되어 세척노즐(500)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인 세척수공급관(150)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20)에는 스팀피쳐(700)의 내부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로인 배수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UV램프(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UV램프(1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본체(100)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를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랜지(200)는 테이블(600) 상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61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랜지(200)는 테이블(600)의 삽입홀(61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하부 외면에는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140)와 결합되도록 수나사(230)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140)와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230)가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본체(100)와 고정플랜지(20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플랜지(200)는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단턱지게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내측에는 다단 구조의 걸림턱(220)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210)는 고정플랜지(200)가 테이블(600)의 삽입홀(610)에 삽입되는 경우, 그 저면이 테이블(6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걸림턱(220)은 받침부재(300)가 걸림 지지되어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고정플랜지(20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테이블(600)에 매립하여 설치함으로써 테이블(600)의 사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팀피쳐 세척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조시스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팀피쳐(700)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상기 받침부재(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세척노즐(5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통과시키도록 중공(310)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격자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배수공(32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스팀피쳐(700)를 받쳐주는 한편 세척노즐(5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는 상기 받침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팀피쳐(7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의 중앙에는 엎어진 상태의 스팀피쳐(700)가 수용되도록 수용공(4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의 일측에는 스팀피쳐(700)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안착홈(42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공(410)은 스팀피쳐(700)의 상부 둘레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420)은 상기 스팀피쳐(700)의 손잡이 상부면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팀피쳐(700)를 세척하기 위하여 스팀피쳐(700)를 받침부재(300)의 상부에 엎어서 올려놓는 경우,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에 의해 엎어진 상태의 스팀피쳐(700)가 안정적으로 안착 수용되면서 스팀피쳐(7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노즐(5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300) 위에 엎어놓은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세척노즐(500)은 상기 받침부재(300)에 수직으로 연결된 지지대(3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중공(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330)는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지대볼트/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노즐(500)의 하부에는 복수의 체결공(341)이 형성된 지지판(34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340)은 세척노즐(500)을 지지하는 판으로, 상기 지지대(330)의 하단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세척노즐(500)은 하부에 연결된 세척수공급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분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세척된 스팀피쳐(700)에 열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부(800)는 열풍공급관(810), 송풍기(820) 및 히터(830)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공급관(810)은 본체(100)의 급수구(1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에 체크밸브(811)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열풍공급관(810)은 세척노즐(500)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세척수공급관(150)에 별도로 마련된 고정구(8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세척노즐(500)에 의해 스팀피쳐(700)를 세척할 경우에는 체크밸브(811)를 폐쇄시켜 열풍의 공급을 차단하고, 스팀피쳐(700)를 세척한 이후에는 체크밸브(811)를 개방시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820)는 상기 열풍공급관(8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열풍공급관(810)으로 송풍시킨다.
상기 히터(830)는 상기 송풍기(8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열풍공급관(810)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상기 송풍기(8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고, 상기 히터(83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820)와 히터(830)에 의해 발생된 열풍은 상기 열풍공급관(810)을 통해 이송되어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피쳐 세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떼 등의 커피음료 제조 시 우유거품을 만들거나 우유를 데우는데 사용된 스팀피쳐(700)를 세척하기 위하여 테이블(600) 상에 설치된 핸들링 로봇이 스팀피쳐(7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팀피쳐(700)를 받침부재(300)의 상부에 엎어서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스팀피쳐(700)를 받침부재(3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팀피쳐 세척장치를 작동시킨다.
스팀피쳐 세척장치가 작동되면, 세척수공급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척노즐(500)을 통해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고압 분사된다.
따라서,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스팀피쳐(700)의 내면이 깨끗하게 세척된다. 여기서, 스팀피쳐(700)에 분사된 후 아래로 떨어지는 폐수는 본체(100)의 배수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스팀피쳐(700)의 세척이 완료되면 건조부(800)를 작동시켜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열풍을 공급하여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급수구
120 : 배수구 130 : UV램프
140 : 암나사 150 : 세척수공급관
200 : 고정플랜지 210 : 테두리부
220 : 걸림턱 230 : 수나사
300 : 받침부재 310 : 중공
320 : 배수공 330 : 지지대
340 : 지지판 341 : 체결공
400 : 유동방지 가이드 410 : 수용공
420 : 안착홈 500 : 세척노즐
600 : 테이블 610 : 삽입홀
700 : 스팀피쳐 800 : 건조부
810 : 열풍공급관 811 : 체크밸브
820 : 송풍기 830 : 히터
840 : 고정구

Claims (9)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내면이 나사 구조로 형성되며, 테이블(600) 상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6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테이블(600) 상에 관통 형성된 상기 삽입홀(610)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외면이 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 구조에 결합되며,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단턱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210)와 내면에 형성되는 다단 구조의 걸림턱(220)을 포함하는 고정플랜지(200);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중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3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격자 형태로 복수 개의 배수공(320)이 형성되고, 스팀피쳐(70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300);
    상기 받침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팀피쳐(7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가이드(4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중공(31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300) 위에 엎어 놓은 스팀피쳐(700)의 내면을 향해 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50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300)의 하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지지대(330)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3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41)이 형성된 지지판(340)이 결합되며,
    상기 세척노즐(500)은 상기 지지판(3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가이드(400)는 중앙에 엎어진 상태의 스팀피쳐(700)가 수용되도록 수용공(410)이 형성되고, 일측에 스팀피쳐(700)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안착홈(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피쳐 세척장치는 세척된 스팀피쳐(700)에 열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800)는, 본체(100)의 급수구(1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에 체크밸브(811)가 구비되는 열풍공급관(810);
    상기 열풍공급관(8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열풍공급관(810)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820); 및
    상기 송풍기(8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열풍공급관(810)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UV램프(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피쳐 세척장치.
KR1020210122226A 2021-09-14 2021-09-14 스팀피쳐 세척장치 KR10235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226A KR102358699B1 (ko) 2021-09-14 2021-09-14 스팀피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226A KR102358699B1 (ko) 2021-09-14 2021-09-14 스팀피쳐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699B1 true KR102358699B1 (ko) 2022-02-08

Family

ID=8025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226A KR102358699B1 (ko) 2021-09-14 2021-09-14 스팀피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182U (en) * 1982-02-03 1983-10-10 Jong Kyeong Lee Cup washer
KR102093088B1 (ko) * 2020-01-15 2020-03-24 박노섭 무인 커피음료 제조시스템
KR102114048B1 (ko) * 2018-12-07 2020-05-25 김연정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2187090B1 (ko) 2020-05-07 2020-12-04 박노섭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182U (en) * 1982-02-03 1983-10-10 Jong Kyeong Lee Cup washer
KR102114048B1 (ko) * 2018-12-07 2020-05-25 김연정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2093088B1 (ko) * 2020-01-15 2020-03-24 박노섭 무인 커피음료 제조시스템
KR102187090B1 (ko) 2020-05-07 2020-12-04 박노섭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610B2 (en) Dishwasher and method
US8739688B2 (en) Device for supplying milk
US7165562B2 (en)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CA2393876C (en) Glass washer and chiller
US60855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water cooler reservoir
EP3430952B1 (en) Self-cleaning coffee machine
GB2184645A (en) Brewing device
US20110220159A1 (en) Beverage Dispensing Gun Cleaning Apparatus
US11045041B2 (en) Multiple compartment decanter for brewer having a rinsing system and versatile pivot
KR102358699B1 (ko) 스팀피쳐 세척장치
KR20190125628A (ko) 전자동 취반장치 및 전자동 취반운영시스템
US20220104681A1 (en) Dishwasher for cleaning items in the shape of drinking vessels and counter module with such a dishwasher
US20170095108A1 (en) Beverage brewer with adjustable shelf
US11786100B2 (en) Dishwashe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counter module for a counter system
CA2621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nd rinsing glassware
US20130064732A1 (en) Cast solid product dispenser
US20170065145A1 (en) Automatic washer for receptacles
KR101366286B1 (ko) 식기 세척기
US20230414059A1 (en) Dishwasher, in particular in the shape of a counter module for a counter system
US20240065516A1 (en) Uvc light for wash and/or rinse cycles of dishwashers
KR102106474B1 (ko) 세척 살균 장치
CN211213009U (zh) 一种用于摇杯的清洁装置
US20240108195A1 (en) Auto-opening holder for high speed reusable beverage container washing system
AU2022261884A1 (en) Dishwashe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counter module for a counter system
EP3945980A1 (en)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