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83B1 -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 Google Patents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83B1
KR102432883B1 KR1020210149379A KR20210149379A KR102432883B1 KR 102432883 B1 KR102432883 B1 KR 102432883B1 KR 1020210149379 A KR1020210149379 A KR 1020210149379A KR 20210149379 A KR20210149379 A KR 20210149379A KR 102432883 B1 KR102432883 B1 KR 10243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shing
tumbler
hou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훈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1014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83B1/ko
Priority to PCT/KR2021/017568 priority patent/WO202308031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텀블러를 구성하는 컵을 간단히 장착한 상태로 세척과 행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공공장소 또는 각종 음료 판매점 등에서 개인 소유용 텀블러를 이용해 위생적으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전면부가 개방되고 내부로 각종 구조물들을 수납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개방부에 힌지(21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200)와, 이 도어(200)의 내측으로 부착되는 브라켓트(300)와, 상기 브라켓트(300)에 부착되어 도어(200)가 개폐될 때 같이 회동이 이루어지는 세척유니트(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세척유니트(400)를 향해 세척수와 행굼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각각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500)들이 포함되며, 상기 세척유니트(400)의 컵을 장착시키기 위한 컵설치대(420)는 상부면에 복수의 배수홀(422)들이 뚫어지는 거치부재(421)를 일체로 성형하고,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cup mount of tumbler cleaner}
본 발명은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를 구성하는 컵을 간단히 장착한 상태로 세척과 행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공공장소 또는 각종 음료 판매점 등에서 개인 소유용 텀블러를 이용해 위생적으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컵을 장착하거나 교체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화상을 입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전문점 등에는 1회용 컵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개인용 컵, 즉 텀블러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텀블러(Tumbler)는 컵과, 컵의 개방부분을 덮어서 음료수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음료수의 보온 및 보냉 효과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텀블러 전용 빨대를 구비한 컵과 뚜껑이 하나의 셋트로 유통되고, 이를 구입하여 개인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텀블러는 주로 공공장소나 음료 전문 판매점에서 제공하거나 판매하는 커피 등 각종 음료수를 보관하여 섭취하고 있으며, 1회용이 아니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반복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깨끗한 세척과 아울러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텀블러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좁고 깊은 컵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기나 용기에 비해 세척이 어렵다.
종래에는, 단지 컵을 식기 세척기를 통해 다른 음식 용기와 같이 세척한 후 사용하고는 있으나, 공공장소 또는 음료 전문 판매 업소에서는 컵과 뚜껑을 포함한 빨대를 동시에 세척하는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직접 일일이 컵을 세척한 후 음료수 종류를 컵에 담아야 하는데, 텀블러는 직경이 좁고 깊은 컵 형태이므로 손으로 세척하는 작업이 어려워 불편함과 아울러, 텀블러 관리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2019-0001245호 (공개일자 2019년05월28일)
국내 등록 특허 제10-2141318호 (등록일자 2020년07월29일)
이러한 종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컵을 간단히 장착한 상태로 세척과 행굼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텀블러를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텀블러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시설 및 각종 음료수 판매점에 설치하여 이용자가 음료수를 컵에 담기 전에 간단하고 빠르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텀블러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생 관리를 통해 서비스 효과와 판매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텀블러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이 끝난 후 컵들을 꺼낼 때 천장에 남아있는 뜨거운 물들이 손위로 떨어져 부상이나 불편함을 겪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텀블러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전면부가 개방되고 내부로 각종 구조물들을 수납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개방부에 힌지(21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200)와,
이 도어(200)의 내측으로 부착되는 브라켓트(300)와,
상기 브라켓트(300)에 부착되어 도어(200)가 개폐될 때 같이 회동이 이루어지는 세척유니트(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세척유니트(400)를 향해 세척수와 행굼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각각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500)들이 포함되며,
상기 세척유니트(400)의 컵을 장착시키기 위한 컵설치대(420)는 상부면에 복수의 배수홀(422)들이 뚫어지는 거치부재(421)를 일체로 성형하고,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421)는 하단부에 비하여 상단부의 직경이 좁은 원뿔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421)에는 세척을 위해 안착되는 컵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세척수와 행굼수가 컵 외부로 배수되도록 경사면을 따라 안착돌기(425)들이 복수개 돌출 성형된다.
상기 거치부재(421)는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은 뚜껑챔버(410)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1풀리(610)와, 이 제1풀리(610)와 컵설치대(420)를 향해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브라켓트(300)에 회전 자유롭게 축설치되는 제2풀리(620)를 벨트(630)로 연결하여 하우징(100)에 부착된 구동모터(M)의 회전력이 컵설치대(420)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컵설치대(420)는 브라켓트(300)에 부착된 지지체(423)에 수직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로 축설치된 상태로 그 둘레에는 치차(424)들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풀리(620)에는 상기 컵설치대(420)의 둘레에 형성된 치차(424)와 결합되는 기어이빨(621)들이 마련되어 뚜껑챔버(410)가 구동모터(M)에 의해 선회될 때 제2풀리(620)의 기어이빨(621)이 컵설치대(420)의 치차(424)와 맞물림 상태로 회전되며 일정한 속도로 컵설치대(420)가 회전된다.
상기 세척수 및 헹금수 분사용 노즐(500)들은 컵설치대(420)에 컵이 장착된 위치에서 컵의 상부와 하부 및 측면부에서 각각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지되, 상기 분사용 노즐(5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 및 헹금수의 분사방향은 사선방향으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도어에 컵 세척을 위한 유니트가 부착되고, 도어가 개방될 때 외부로 오픈되어 세척 완료된 컵은 분리하고 새로운 세척이 필요한 컵을 장착한 후 도어를 닫게 되면 자동 세척과 행굼 및 잔수 제거와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텀블러 세척기는 캐비넷 구조의 프레임에 다수개 배열한 상태에서 공공시설이나 음료수 전문 판매장에 설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수를 담기 직전에 컵과 뚜껑 및 빨대를 모두 깨끗하게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세척수나 헹금수가 서로 엇갈리는 방향에서 사선으로 분사됨으로 분사수압에 의해 잔유수를 최소화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세척과 헹금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이면서 서비스 개선으로 인해 판촉 및 판매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1회용 컵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환경오염 방지와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 과정이 끝난 후 컵들을 꺼낼 때 부주의로 하우징 내부의 천장에 남아있는 뜨거운 물들이 손위로 떨어져 부상이나 불편함을 겪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이 모두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텀블러 세척기가 캐비넷 구조의 프레임에 배열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텀블러 세척기 외부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하우징의 개방부에 밀폐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어가 하우징의 개방부로부터 개방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어가 하우징으로부터 최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어 내측에 브라켓트를 통해 부착된 세척유니트의 상하부에 노즐들이 배칠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노즐들을 제거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배면도.
도 10은 뚜껑챔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세척유니트의 뚜껑챔버가 개방되어 뚜껑과 빨대 및 컵이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은 세척유니트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뚜껑챔버와 컵설치대가 동시 구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3은 거치대에 안착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14는 컵설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세척기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텀블러는 컵과, 컵의 개방부분을 덮어서 음료수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음료수의 보온 및 보냉 효과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텀블러 전용 빨대를 구비한 컵과 뚜껑이 하나의 셋트로 유통되고, 이를 구입하여 개인용으로 많이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텀블러 세척기는 예로서, 공공시설이나 음료수 전문 판매장에 설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수를 담기 직전에 컵과 뚜껑 및 빨대를 모두 깨끗하게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도 2는 텀블러 세척기의 외부 형상을 예로서 도시하고, 도 3은 도어(200)가 밀폐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어(200)가 개방될 때 브라켓트(300)를 통해 부착된 세척유니트(400)가 함께 회동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컵과 뚜껑 및 빨대를 세척유니트(400)에 장착하거나, 세척 완료된 후에는 인출이 가능한 상태를 종단면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도어(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은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전면부가 개방되고 내부로 각종 구조물들을 수납한 상태로 세척과 행굼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하우징(100)의 전면 개방부에는 힌지(210)를 통해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200)는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으로 중앙 부분은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재로 성형하여 내부가 투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세척 및 행굼 과정을 외부에서 관찰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도어(200)의 내측으로 부착되는 브라켓트(300)를 통해 세척유니트(400)가 고정 설치되어 도어(200)가 개폐될 때 세척유니트(400)가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및 도 5)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다수개의 노즐(500)들이 위치되어 상기 세척유니트(400)를 향해 세척수 및 행굼수를 각각 분사하게 된다.
상기 세척유니트(400)는 텀블러의 컵과 뚜껑 또는 빨대가 각각 수납되도록 하여 노즐(500)들을 통해 세척과 행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로서, 텀블러의 뚜껑들이 내부로 수납되는 뚜껑챔버(410)와 컵설치대(420)가 포함된다.
또, 상기 세척유니트(400)는 브라켓트(300)에 부착되는 지지대(431)에 의해 세워지는 빨대끼움용 코일스프링(4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빨대끼움용 코일스프링(430)의 내부로 개인 휴대용 빨대를 끼워 설치하게 되면, 그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여 주변에 배치된 노즐(500)로부터 세척수와 행굼수가 분사될 때 스프링의 틈새를 통해 빨대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세척과 행굼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빨대끼움용 코일스프링(430)를 지지하기 위해 브라켓트(300)에 부착되는 지지대(431)의 하부를 막혀지게 하여 빨대가 낙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1에서와 같이 빨대끼움용 코일스프링(430)의 하단에 거리를 두고 별도의 받침대(432)를 더 설치하여 빨대가 낙하되어 세척위치로부터 위치가 벗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432)를 통해 빨대를 세척유니트(400)의 하부로 최대한 위치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의 입에 접촉되는 부분에서 더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위생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세척유니트(400)의 상부와 하부에 세척수와 행굼수를 각각 분출시키는 다수의 노즐(500)들이 배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노즐(500)들을 삭제한 상태의 세척유니트(400)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상기 뚜껑챔버(410)는 텀블러 중에 주로 뚜껑을 세척하기 위한 용기로서, 브라켓트(300)의 일측, 즉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드럼 형상을 이루도록 수개의 개폐판(411)들이 조합되어 구성된다.(도 10)
이 뚜껑챔버(410)는 브라켓트(300)에 베어링(도시없음)을 통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개폐판(411)은 원호형상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4개가 연결되어 원을 이루는 경우 약 1/4의 원주 크기로 일측에는 힌지축(416)에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413)가 마련되고, 중앙 부분에는 세척수와 행굼수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다수의 창(412)들이 반복 성형된 걸름망 구조로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챔버(410)는 복수개의 개폐판(411)들이 서로 연결되어 드럼 형상의 뚜껑 세척용기를 구성하게 되며, 각 개폐판(411)들은 양쪽 지지원판(415)들 사이에서 힌지축(41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고, 이 구동모터(M)의 동력이 중간기어(110)를 거쳐서 뚜껑챔버(410)의 외측에 축 설치된 피니언(418)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것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 구동모터(M)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접점으로 도어(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개방되면 전기를 단락하여 회전을 멈추게 되고, 도어(200)를 사용자가 폐쇄상태로 회동시키게 되면 하우징(100) 내부 세척 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스위치 접점으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뚜껑챔버(410)는 피니언(418)과 함께 도어(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중간기어(110)으로부터 피니언(418)은 분리되어 동력이 차단되고, 다시 폐쇄방향으로 도어(200)가 이동되면 도 3에서와 같이 피니언(418)과 중간기어(110)는 치차 결합되어 구동모터(M)의 회전 동력이 뚜껑챔버(410)로 전달되는 것이다.
원통형의 뚜껑챔버(410)를 구성하는 단위 개폐판(411)들은 비틀림스프링(414)들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300)에 위치 고정되는 다수개의 안내롤러(417)들에 의해 개폐판(411)들은 도어(200)의 상부 방향을 제외한 위치에서는 개폐되지 못하도록 접촉시키게 된다.
도 9 및 도 11은 브라켓트(300)에 부착된 안내롤러(417)들이 뚜껑챔버(410)의 둘레에 다수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롤러(417)들은 뚜껑챔버(410)의 상부를 제외한 양쪽 측면부과 저면부 둘레에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M)의 동력으로 뚜껑챔버(4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단위 개폐판(411)들중 상부에 위치되는 개폐판(411)은 안내롤러(417)가 배치되어 있지 않게 되므로 비틀림스프링(414)의 탄력에 의해 상부측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 개방된다.(도 11)
그리고, 계속 회전되면서 안내롤러(417)의 위치에서 비틀림스프링(414)의 탄력을 누르면서 가압하는 결과로 원통형상의 챔버로 형태가 변형된다.
이러한 뚜껑챔버(410)의 내부에는 주로 텀블러의 뚜껑을 삽입하게 되며,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노즐(500)을 통해 세척수와 행굼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출하면서 세척과 행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세척수와 행굼수는 개폐판(411)들에 형성된 다수개의 창(412)을 통해 뚜껑챔버(410)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과 행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노즐(500)에서 분출되었던 세척수와 행굼수는 하우징(100)의 바닥으로 모여져 드레인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뚜껑챔버(410)의 일측에는 상기 컵설치대(420)가 배치된다.
컵설치대(420)는 텀블러의 주로 컵을 안착시켜 세척과 행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컵장착부 역할로서, 브라켓트(300)에 부착되어 뚜껑챔버(410)와 같이 도어(200)가 개방될 때 같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컵설치대(420)의 상부에는 하단부에 비하여 상단부의 직경이 좁은 원뿔형상의 거치부재(421)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거치부재(421)에는 원활한 배수와 잔수 제거를 위해 복수의 배수홀(422)들이 뚫어진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421)에는 세척을 위해 안착되는 컵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세척수와 행굼수가 컵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착돌기(425)를 돌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안착돌기(425)들은 경사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성형된다.
또, 상기 거치부재(421)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사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되는 컵들을 원뿔형으로 된 거치부재(421)에 끼워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500)을 통해 세척과 행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421)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지봉(426)의 상단에 컵받침대(427)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컵받침대(427)은 유연성을 갖춘 우레탄소재로 십자형 평판형을 이루게 하여 거치부재(421)에 안착되는 컵의 내경에 관계없이 유연하게 굽힘 변형을 이루면서 안착된 컵의 상단을 안정적으로 잡아 줄 수 있게 된다.
즉, 컵받침대(427)는 유연성을 갖춘 십자형상으로 갖춰져 있어 컵을 안정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그 주변에 배치되는 노즐(500)로부터 세척수 및 행굼수가 비교적 고압으로 분출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컵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거치부재(42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세척수는 세정액이 담겨진 용기(4)로부터 펌프(5)를 통해 공급관(6)들을 따라 공급되며, 행굼수는 주로 상수도와 직접 연결하거나, 별도의 행굼수 용기에 저장한 상태로 펌프와 공급관(6)들을 통해 적정 수압으로 노즐(500)들을 통해 분출시키게 된다.
한편, 컵설치대(420)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주로 접촉되는 부위에 해당되므로, 다른 부위에 비하여 특별히 더 깨끗한 세척이 요구된다.
따라서, 컵설치대(420)에 안착된 컵의 입구부 주변에 배치되는 노즐(500)들은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는 물론, 컵의 입구부와 상부 및 측면에 설치된 노즐(500)이 설치되는에, 상기 노즐(500)의 분사방향이 사선방향(경사각을 갖춘 방향)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세척액과 행굼수를 분출시키도록 설치되어 있어 세척수나 헹금수의 잔수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도 13)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600)을 통해 상기 컵설치대(42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컵의 둘레에 부착될 수 이물질 등을 고르게 세척시킬 수 있게 된다.(도 12)
동력전달수단(600)은 뚜껑챔버(410)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1풀리(610)와, 이 제1풀리(610)와 컵설치대(420)를 향해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브라켓트(300)에 회전 자유롭게 축설치되는 제2풀리(620)를 벨트(630)로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컵설치대(420)는 브라켓트(300)에 부착된 지지체(423)에 수직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로 축설치되며, 둘레에는 치차(424)들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제2풀리(620)에는 상기 컵설치대(420)의 둘레에 형성된 치차(424)와 결합되는 기어이빨(621)들이 마련되어 뚜껑챔버(410)가 구동모터(M)에 의해 선회될 때 동력전달수단(600)을 통해 제2풀리(620)의 기어이빨(621)이 컵설치대(420)의 치차(424)와 맞물림 상태로 회전되며 일정한 속도로 컵설치대(4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유니트(400)에 장착된 컵과 뚜껑 및 빨대에 세척과 행굼 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일정시간 동안 구동모터(M)가 더 동작되면서 뚜껑챔버(410)와 컵설치대(42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컵과 뚜껑 주변에 부착되어 있는 물기를 털어서 제거하는 잔수 제거과정이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척과 행굼이 완료된 컵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제품의 경우에도 및 잔수제거 과정과 노즐(500)들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컵에는 잔수가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되므로, 즉시 음료수를 컵에 담는 용기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세척과 행굼과정에서 컵과 뚜껑 및 빨대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또는 LED로 된 살균램프(L)가 더 설치된다.
이 살균램프(L)는 하우징(100)의 개방부를 도어(200)가 밀폐시킨 상태로 노즐(500)들을 통해 컵과 뚜껑 및 빨대에 세척과 행굼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점등되는 것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세척과 행굼이 완료되어 새로운 텀블러 교체를 위해 도어(200)가 개방되는 순간 스위치 단락을 통해 살균램프(L)는 OFF된다.
특히, LED로 된 살균램프(L)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살균효과가 우수하고 필요 에너지량이 비교적 적은 UV-C LED가 적합하며, UV-C LED에서 발생되는 파장에 의해 거치부재(421)에 장착된 컵과 뚜껑 및 빨대에 부착될 수 있는 세균이나 각종 바이러스를 살균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캐비넷 구조의 프레임(1)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좌우 복수로 진열된 상태로 예로서, 공공시설이나 음료수 전문 판매장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의 일측에는 컵에 남아 있던 내용물을 버리거나 손 등을 씻기 위한 싱크볼(2)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200)를 개방할 때 뚜껑챔버(410)와 컵설치대(420) 및 빨대끼움용 코일스프링(430)이 함께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며 텀블러 교체 또는 설치가 가능하게 하고, 도어(200)를 닫는 순간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과 행굼 및 살균과 잔수 배출 등이 모두 신속하게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수를 담기 직전에 컵과 뚜껑 및 빨대를 모두 깨끗하게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프레임 2 - 싱크볼
M - 구동모터 L - 살균램프
100 - 하우징
200 - 도어
300 - 브라켓트
400 - 세척유니트
410 - 개폐판
420 - 컵설치대
421 - 거치부재 422 - 배수홀
423 - 지지체 424 - 치자
425 - 안착돌기 426 - 지지봉
427 - 컵받침대
430 - 빨대끼움용 코일스프링
500 - 노즐
600 - 동력전달수단
610 - 제1풀리
620 - 제2풀리
630 - 벨트

Claims (7)

  1.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전면부가 개방되고 내부로 각종 구조물들을 수납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개방부에 힌지(21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200)와,
    이 도어(200)의 내측으로 부착되는 브라켓트(300)와,
    상기 브라켓트(300)에 부착되어 도어(200)가 개폐될 때 같이 회동이 이루어지는 세척유니트(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세척유니트(400)를 향해 세척수와 행굼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각각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500)들이 포함되며,
    상기 세척유니트(400)의 컵을 장착시키기 위한 컵설치대(420)는 상부면에 복수의 배수홀(422)들이 뚫어지는 거치부재(421)를 일체로 성형하고,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421)는 하단부에 비하여 상단부의 직경이 좁은 원뿔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421)에는 세척을 위해 안착되는 컵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세척수와 행굼수가 컵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경사면을 따라 안착돌기(425)들이 복수개 돌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기 거치부재(421)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지봉(426)의 상단에 컵받침대(42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421)는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은 뚜껑챔버(410)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1풀리(610)와, 이 제1풀리(610)와 컵설치대(420)를 향해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브라켓트(300)에 회전 자유롭게 축설치되는 제2풀리(620)를 벨트(630)로 연결하여 하우징(100)에 부착된 구동모터(M)의 회전력이 컵설치대(420)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컵설치대(420)는 브라켓트(300)에 부착된 지지체(423)에 수직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로 축설치된 상태로 그 둘레에는 치차(424)들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풀리(620)에는 상기 컵설치대(420)의 둘레에 형성된 치차(424)와 결합되는 기어이빨(621)들이 마련되어 뚜껑챔버(410)가 구동모터(M)에 의해 선회될 때 제2풀리(620)의 기어이빨(621)이 컵설치대(420)의 치차(424)와 맞물림 상태로 회전되며 일정한 속도로 컵설치대(42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및 헹금수 분사용 노즐(500)들은 컵설치대(420)에 컵이 장착된 위치에서 컵의 상부와 하부 및 측면부에서 각각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지되, 상기 분사용 노즐(5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 및 헹금수의 분사방향은 사선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KR1020210149379A 2021-11-03 2021-11-03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KR10243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79A KR102432883B1 (ko) 2021-11-03 2021-11-03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PCT/KR2021/017568 WO2023080318A1 (ko) 2021-11-03 2021-11-25 텀블러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79A KR102432883B1 (ko) 2021-11-03 2021-11-03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883B1 true KR102432883B1 (ko) 2022-08-12

Family

ID=8280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379A KR102432883B1 (ko) 2021-11-03 2021-11-03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8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47Y1 (ko) * 2003-12-15 2004-03-26 동양매직 주식회사 컵 세척 장치
KR20130005454U (ko) * 2012-03-08 2013-09-23 최명수 컵 세척기
JP2015205150A (ja) * 2014-04-22 2015-11-19 株式会社精研 全自動医療機器・器具洗浄滅菌装置
KR101970520B1 (ko) *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KR20190001245U (ko) 2017-11-17 2019-05-28 노형준 텀블러 세척장치
KR102114048B1 (ko) * 2018-12-07 2020-05-25 김연정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2141318B1 (ko) 2019-12-06 2020-08-04 정윤경 텀블러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47Y1 (ko) * 2003-12-15 2004-03-26 동양매직 주식회사 컵 세척 장치
KR20130005454U (ko) * 2012-03-08 2013-09-23 최명수 컵 세척기
JP2015205150A (ja) * 2014-04-22 2015-11-19 株式会社精研 全自動医療機器・器具洗浄滅菌装置
KR20190001245U (ko) 2017-11-17 2019-05-28 노형준 텀블러 세척장치
KR102114048B1 (ko) * 2018-12-07 2020-05-25 김연정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KR101970520B1 (ko) *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KR102141318B1 (ko) 2019-12-06 2020-08-04 정윤경 텀블러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706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baby bottles inside and out
KR100881712B1 (ko) 컵 세척기
KR100700539B1 (ko) 컵 세척 살균 보관기
WO2007063540A2 (en) Domestic bottle cleaner and sterilizer
US20180177377A1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US6508257B1 (en) Food washing apparatus with rotary agitator and method for washing food
KR20010107865A (ko) 자동 신발세척기
KR102432883B1 (ko)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KR102050696B1 (ko) 초음파 수저 세척장치 및 방법
KR102432881B1 (ko) 텀블러 세척기
KR20060089919A (ko) 컵 세척기
KR102432884B1 (ko) 텀블러 세척기의 뚜껑세척챔버 개폐장치
US5758675A (en) Dental appliance washer
KR20130005454U (ko) 컵 세척기
CN210369193U (zh) 一种坐便器座圈清理装置
JP2603294B2 (ja) 食器洗浄器
KR101916585B1 (ko) 화장용 브러쉬 자동세척기
WO2023080318A1 (ko) 텀블러 세척기
KR102544170B1 (ko) 텀블러 세척기용 세척 유닛
US3548844A (en) Washing machine for glassware
KR100376783B1 (ko) 컵 세척장치
KR200295646Y1 (ko) 젖병 세척기
KR200410634Y1 (ko) 소독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수(洗手)장치
KR102469774B1 (ko) 컵 세척소독장치
KR102544165B1 (ko)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