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165B1 -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165B1
KR102544165B1 KR1020220068992A KR20220068992A KR102544165B1 KR 102544165 B1 KR102544165 B1 KR 102544165B1 KR 1020220068992 A KR1020220068992 A KR 1020220068992A KR 20220068992 A KR20220068992 A KR 20220068992A KR 102544165 B1 KR102544165 B1 KR 10254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tumbler
unit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훈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2006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Abstract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로 구성되되, 적어도 일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상부노즐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노즐유닛의 위치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하부노즐유닛;를 포함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NOZZLE FOR TUMBLER WASHER}
본 발명은 텀블러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용 세척기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에 대한 배치와 각 개별적 노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스타벅스(커피 전문점)는 1회용 종이컵에 의한 환경 문제를 줄이기 위해 이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험 중에 있다. 이런 친환경 캠페인에 따라 개인용 컵, 즉 텀블러의 사용 또한 급증하는 추세이다. 텀블러(Tumbler)는 컵과, 컵의 개방 부분을 덮어서 음료수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텀블러는 대부분 스테인리스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보온, 보냉 성능을 제공한다.
한편, 요즘 텀블러에 대한 제조 업체가 많아지면서, 텀블러용 빨대를 구비한 컵과 뚜껑이 하나의 세트(set)로 유통되기도 한다. 다만, 텀블러는 휴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깨끗한 세척과 아울러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텀블러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좁고 깊은 컵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기나 용기에 비해 세척이 어렵다. 또한, 텀블러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컵과 뚜껑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거꾸로 세워두고 완전하게 건조시켜야 한다.
텀블러의 세척은 기존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 공공장소 또는 커피 전문점 등 업소에는 텀블러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가 전무하다. 따라서, 텀블러 사용자는 스스로 컵 등을 세척한 후, 재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상당한 번거로움으로 인해 텀블러의 보편적 사용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03315호 텀블러 세척기 및 텀블러를 이용한 연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Tumbler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tion service using tumbl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09819호 텀블러 및 빨대 동시 세척 가능한 일체형 세척 솔{Integral wash brush for simultaneous washing of tumblers and straw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520호 텀블러 세척 장치{TUMBLER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텀블러용 세척기의 세척 성능 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노즐 배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수의 잔수로 인한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 배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세척수 및 헹굼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여 세척 및 헹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노즐 배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노즐 특히 노즐팁의 형상 등을 설계 변경하여 노즐의 용도 및 기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노즐에 대한 조립 공정을 개선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로 구성되되, 적어도 일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상부노즐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노즐유닛의 위치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하부노즐유닛;를 포함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노즐부는 노즐관부; 및 상기 노즐관부에 결합되며, V자형 분사홈과 상기 분사홈의 중앙에 형성되는 분사공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노즐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팁은 상단에 상기 분사홈이 미리 설정되는 각도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분사헤드부; 및 상기 분사헤드부의 하단에 연통되며, 상기 노즐관부에 삽입 결합되는 팁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팁바디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관부에 대한 상기 노즐팁의 결합 방향를 지시하는 방향지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헤드부는 물 분사가 연직 방향으로 양 방향 대칭성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형헤드부 및 물 분사가 연직 방향과 소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양 방향 대칭성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형헤드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모듈은 텀블러용 뚜껑을 세척하는 뚜껑세척부; 상기 뚜껑세척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텀블러용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부; 및 텀블러용 빨대를 세척하는 빨대세척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노즐유닛은 상기 컵세척부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세척 성능 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 배치 구조로 인해 세척수의 잔수로 인한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 및 헹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특히 노즐팁의 형상 등을 설계 변경하여 노즐의 용도 및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대한 조립 공정을 개선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텀블러용 세척기에 세척모듈이 추가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를 저면에서 바라 본 저면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배치를 보여주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하부노즐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분사헤드부를 갖는 노즐팁에 대한 사시도.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텀블러용 세척기에 세척모듈이 추가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저면에서 바라 본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배치를 보여주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하부노즐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는 본체부(100), 상부노즐유닛(200), 하부노즐유닛(300), 세척모듈(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텀블러용 세척기는 텀블러용 컵(미도시), 텀블러용 뚜껑(미도시) 및 텀블러용 빨대(미도시)를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세척은 세척(washing)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헹굼(rinsing), 건조(drying) 등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세척 및 헹굼은 수세식으로,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노즐을 통한 분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체부(100)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하우징이나 케이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런 본체부(100)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힌지 회동하는 도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상면과 하면(바닥면)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육면체(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텀블러용 세척기는 어느 일 설치 장소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노즐유닛(200)은 본체부(100)의 상면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1000)로 구성되되, 적어도 일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에서, 노즐 배치 구조에 대한 평면도를 참고할 때, 상부노즐유닛(200)은 본체부(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으로 편중되어 배치된다. 이는, 세척수가 상부노즐유닛(200)을 통해 분사된 이후, 피세척대상이 그 잔수로 인해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피세척대상은 텀블러용 컵, 텀블러용 뚜껑 및 텀블러용 빨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다.
예를 들어, 피세척대상이 본체부(100)의 전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경우, 상부노즐유닛(200)은 본체부(100)의 후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즐부(10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부노즐유닛(300)에 대한 언급 이후 상술한다.
하부노즐유닛(300)은 본체부(10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1000)로 구성되되, 상부노즐유닛(200)의 위치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노즐유닛(300)을 구성하는 어느 일 노즐부(1000)는 상부노즐유닛(200)을 구성하는 어느 일 노즐부(1000)와 서로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 관계가 아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노즐유닛(300)과 상부노즐유닛(200)은 서로 대향 배치되지 않는다.
하부노즐유닛(300)은 상부노즐유닛(200)과 달리 잔수로 인한 피세척대상에 대한 재오염의 문제점이 없는 바, 피세척대상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세척 및 헹굼 효과를 더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노즐부(1000)는 노즐관부(1100), 노즐팁(1200), 고정브라켓(1300), 조임너트부(1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관부(1100)는 예를 들어 직관, 곡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노즐관부(1100)는 노즐부(1000)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노즐팁(1200)과 피세척대상 사이의 적정 거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노즐관부(1100)의 일단에는 가이드홀(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홀(1110)은 'L'자 형상으로 노즐관부(1100)에 노즐팁(1200)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노즐관부(1100)에 대한 노즐팁(1200)의 결합 위치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팁(1200)은 노즐관부(1100)에 결합되며, V자형 분사홈(1211)과 분사홈(1211)의 중앙에 형성되는 분사공(1212)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노즐팁(1200)은 분사헤드부(1210), 팁바디부(1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헤드부(1210)는 상단이 돔(dome)형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헤드부(1210)는 상단에 분사홈(1211)이 미리 설정되는 각도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분사홈(1211)은 미리 설정되는 절개각(d1)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각(d1)은 분사홈(1211)을 구성하는 양 측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분사홈(1211)은 양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V자형으로 절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절개각(d1)은 5도 이상 3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각(d1)은 10도 이상 2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각(d1)은 15도 이상 2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노즐부(1000)에서 분사되는 물(세척수 또는 헹굼수)은 전방을 향해 방사(360도) 방향이 아닌 특정 폭을 갖는 직선형(특정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는, 피세척대상의 어느 일 부분을 향한 집중적인 분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부(1000)는 세척모듈(400) 중 어느 일 부분을 향해 직선형 분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분사공(1212)은 원형이 아닌 모양일 수 있다. 분사공(1212)은 V자형 분사홈(1211)의 하단 양 측면 중앙에 분사홈(1211)과 연통되어 개구되는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분사공(1212)은 단일 평면이 아닌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즉, 분사공(1212)은 분사홈(1211)의 절개각(d1)에 따라 다른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분사헤드부를 갖는 노즐팁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분사헤드부(1210)는 제1형헤드부(1210(a)) 및 제2형헤드부(1210(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형헤드부(1210(a))는 물 분사가 연직 방향으로 양 방향 대칭성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형헤드부(1210(a))는 분사홈(1211)이 분사헤드부(1210)(제1형헤드부)의 상단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런, 제1형헤드부(1210(a))의 분사홈(1211)은 노즐관부(110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커팅되어 형성된다. 도면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형헤드부(1210(a))는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제1형헤드부(1210(a))를 통해 노즐부(1000)는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형헤드부(1210(b))는 물 분사가 연직 방향과 소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양 방향 대칭성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형헤드부(1210(b))는 분사홈(1211)이 분사헤드부(1210)(제2형헤드부)의 상단에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형헤드부(1210(b))의 분사홈(1211)은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형헤드부(1210(b))를 통해 분사되는 물은 대각선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은 30도 이상 6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은 35도 이상 5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은 40도 이상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형헤드부(1210(b))는 분사홈(1211)의 경사각에 따라 분사공(1212)의 분사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제1형헤드부(1210(a)) 및 제2형헤드부(1210(b))의 절개각(d1)은 전술한 헤드부와 동일한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팁바디부(1220)는 분사헤드부(1210)의 하단에 연통되며, 노즐관부(1100)에 삽입 결합된다. 팁바디부(1220)는 내측에 분사공(1212)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팁바디부(1220)의 외주면에는 노즐관부(1100)에 대한 노즐팁(1200)의 결합 방향를 지시하는 방향지시돌기(1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향지시돌기(1221)는 노즐관부(1100)에 대한 노즐팁(1200)의 최종적인 결합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팁바디부(1220)의 하단 외주면에는 오링(o-ring)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오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00)은 노즐부(1000)가 본체부(100)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브라켓(1300)이 본체부(100)에 관통하면서 고정브라켓(1300)의 외주면(또는 외측면) 일부가 본체부(100)에 끼움 결합되면, 고정브라켓(1300)은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노즐부(1000)의 용도에 따라 고정브라켓(1300)의 일단으로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유입된다. 또한, 고정브라켓(1300)의 타단에는 노즐관부(1100)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조임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브라켓(1300)의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관부(1100)가 고정브라켓(1300)에 삽입되면 조임너트부(1400)를 이용하여 노즐관부(1100)를 고정브라켓(1300)에 조임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텀블러용 세척기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척모듈(400)은 텀블러용 뚜껑을 세척하는 뚜껑세척부(410)와, 뚜껑세척부(41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텀블러용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부(420) 및 텀블러용 빨대를 세척하는 빨대세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세척부(410)는 텀블러용 뚜껑을 세척하는 구성요소이다. 뚜껑세척부(410)는 텀블러용 뚜껑이 챔버 내측으로 인입되면 회전 과정에서 세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410)는 지지원판, 힌지축, 개폐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원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힌지축은 지지원판 사이에 환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원판은 서로 이격되어, 지지원판 사이에는 텀블러용 뚜껑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판은 힌지축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 개폐판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판에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세척부(410)는 복수 개의 개폐판이 결합되어 챔버(chamber)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판은 4개일 수 있다.
컵세척부(420)는 텀블러용 컵을 세척하는 구성요소이다. 컵세척부(420)는 텀블러용 컵이 거꾸로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되더라도 텀블러용 컵이 전복되지 않고 세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컵세척부(420)는 세척을 위해 텀블러용 컵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컵세척부(420)는 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거치부재는 원뿔대 형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텀블러용 컵의 입구 내측면은 거치부재의 외측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재의 외측 경사면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배수용 개구가 환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의 외측 경사면에는 경사 방향으로 장형의 이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텀블러용 컵의 내측 공간으로 분사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는 세척 또는 헹굼 이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이격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빈 틈을 통해 텀블러용 컵의 외부로 흘러 나갈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컵세척부(420)는 텀블러용 컵의 흔들림 및 거치부재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컵지지대 및 컵바닥면지지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컵지지대는 거치부재의 상면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컵지지대는 텀블러용 컵의 깊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컵바닥면지지부는 텀블러용 컵의 내측 바닥면과 적어도 일 지점 이상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컵바닥면지지부는 컵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뚜껑세척부(410)와 컵세척부(420)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매개되어 단일모터부만을 사용하더라도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동력전달부는 구동력이 뚜껑세척부(410)와 컵세척부(420)에 각각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410)의 회동축은 컵세척부(420)의 회동축과 서로 수직 관계에 있다.
빨대세척부(430)는 텀블러용 빨대가 삽입되거 고정되는 나선형고정부 및 빨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뚜껑세척부(410), 컵세척부(420) 및 빨대세척부(430)는 본체부(100)의 전면 도어부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노즐유닛(200)은 컵세척부(420)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컵세척부(420)의 상측에는 세척용(c) 노즐부(1000)와 헹굼용(r) 노즐부(100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용(c) 노즐부(1000)와 헹굼용(r) 노즐부(100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더 편중되어 배치된다. 이는, 세척수에 대한 잔수가 세척용(c) 노즐부(1000)를 통해 연직 하방으로 낙수되면서 텀블러용 컵 및 텀블러용 뚜껑이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부노즐부(1000)는 전술한 것처럼, 복수 개의 노즐부(1000)로 구성된다. 이 때, 각 노즐부(1000)는 용도 및 기능에 따라 노즐관부(110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또는, 각 노즐부(1000)를 구성하는 분사헤드부(1210)는 제1형헤드부(1210(a))와 제2형헤드부(1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컵내부세척노즐(310)은 컵세척부(420)의 하측에 배치되어 텀블러용 컵의 내측면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부(100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컵내부세척노즐(310)은 컵세척부(42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단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관부(1100)의 길이는 더 연장되어 컵내부세척노즐(310)을 구성하는 노즐팁(1200)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컵내부세척노즐(310)에 사용되는 노즐팁(1200)은 제2형헤드부(1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컵외부세척노즐(220)(320)은 컵세척부(420)의 외측에 배치되어 텀블러용 컵의 외측면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부(1000)로 이루어진다. 컵외부세척노즐(220)(320)은 본체부(100) 중 컵세척부(420)의 외측 공간에 배치되어 컵세척부(420)를 향해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관부(1100)의 길이는 더 연장되어 컵외부세척노즐(220)(320)을 구성하는 노즐팁(1200)의 상단은 컵내부세척노즐(310)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에에서 컵외부세척노즐(220)(320)에 사용되는 노즐팁(1200)은 제2형헤드부(1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부노즐유닛(200) 및 하부노즐유닛(300)은 제2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노즐부는 빨대세척부(430)의 연직 상방 및 연직 하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제2노즐부는 제2노즐팁(332)을 포함한다. 제2노즐팁(332)의 단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오목홈의 중앙에는 원형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홈의 중앙에서 일정 반경 떨어진 위치에는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형 분사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노즐팁(332)은 전방으로 직진 방향 뿐만 아니라, 방사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본체부 200: 상부노즐유닛
300: 하부노즐유닛 400: 세척모듈

310: 컵내부세척노즐 220, 320: 컵외부세척노즐
230, 330: 빨대세척노즐 240, 340: 뚜껑세척노즐
410: 뚜껑세척부 420: 컵세척부
430: 빨대세척부
1000: 노즐부
1100: 노즐관부 1200: 노즐팁
1110: 가이드홀 1210: 분사헤드부
1211: 분사홈 1212: 분사공
1220: 팁바디부 1221: 방향지시돌기
1210(a): 제1형헤드부 1210(b): 제2형헤드부
1300: 고정브라켓 1400: 조임너트부
d1: 절개각 c: 세척용
r: 헹굼용
332: 제2노즐팁

Claims (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로 구성되되, 적어도 일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상부노즐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노즐유닛의 위치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하부노즐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모듈은
    텀블러용 뚜껑을 세척하는 뚜껑세척부;
    상기 뚜껑세척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텀블러용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부; 및
    텀블러용 빨대를 세척하는 빨대세척부;을 포함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노즐관부; 및
    상기 노즐관부에 결합되며, V자형 분사홈과 상기 분사홈의 중앙에 형성되는 분사공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노즐팁;을 포함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은
    상단에 상기 분사홈이 미리 설정되는 각도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분사헤드부; 및
    상기 분사헤드부의 하단에 연통되며, 상기 노즐관부에 삽입 결합되는 팁바디부;를 포함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팁바디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관부에 대한 상기 노즐팁의 결합 방향를 지시하는 방향지시돌기가 형성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헤드부는
    물 분사가 연직 방향으로 양 방향 대칭성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형헤드부 및 물 분사가 연직 방향과 소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양 방향 대칭성을 갖고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형헤드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즐유닛은 상기 컵세척부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지 않는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KR1020220068992A 2022-06-07 2022-06-07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KR10254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92A KR102544165B1 (ko) 2022-06-07 2022-06-07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92A KR102544165B1 (ko) 2022-06-07 2022-06-07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165B1 true KR102544165B1 (ko) 2023-06-15

Family

ID=8676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92A KR102544165B1 (ko) 2022-06-07 2022-06-07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1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44A (ja) * 1991-07-05 1993-01-19 Akira Ito シヤワー式洗浄機
KR101465174B1 (ko) * 2014-05-27 2014-11-25 주식회사 수성개발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44A (ja) * 1991-07-05 1993-01-19 Akira Ito シヤワー式洗浄機
KR101465174B1 (ko) * 2014-05-27 2014-11-25 주식회사 수성개발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09819호 텀블러 및 빨대 동시 세척 가능한 일체형 세척 솔{Integral wash brush for simultaneous washing of tumblers and straw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03315호 텀블러 세척기 및 텀블러를 이용한 연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Tumbler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tion service using tumbl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520호 텀블러 세척 장치{TUMBLER WAS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5298B2 (en) Wash/rinse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20140251494A1 (en) Cup support and dispensing device
EP0559466B1 (en) Tableware washing machine
KR20080027732A (ko) 식기 세척기
KR102544165B1 (ko) 텀블러용 세척기의 노즐 배치 구조
KR102544170B1 (ko) 텀블러 세척기용 세척 유닛
US20030164413A1 (en) Gadget for washing mixing containers
KR102493157B1 (ko) 식기세척기
KR20220108538A (ko) 세척장치
KR102432883B1 (ko) 텀블러 세척기의 컵설치대
KR102432881B1 (ko) 텀블러 세척기
KR102432884B1 (ko) 텀블러 세척기의 뚜껑세척챔버 개폐장치
AU2017437705A1 (en) Dishwasher spray arm assembly
JP3549095B2 (ja) 食器洗い機
CN218247151U (zh) 喷淋装置及清洗设备
WO2018113912A1 (en) Washing liquid distrubution device for a dishwasher
CN219206802U (zh) 一种用于清洗机的喷淋结构及清洗机
JP3481135B2 (ja) 食器洗い機
KR200312064Y1 (ko) 식기세척기용 분사수단의 구조
KR0139161Y1 (ko) 식기세척기용 수저바구니
KR20220108536A (ko) 세척장치
CN115299830A (zh) 喷淋结构
JP2021194451A (ja) 食器洗浄機
KR200443138Y1 (ko) 초음파 세척기
KR20210098686A (ko) 초음파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