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345A -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위한 폐쇄된 선단부 및 슬릿을 갖는 카테터 - Google Patents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위한 폐쇄된 선단부 및 슬릿을 갖는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345A
KR20210061345A KR1020217007928A KR20217007928A KR20210061345A KR 20210061345 A KR20210061345 A KR 20210061345A KR 1020217007928 A KR1020217007928 A KR 1020217007928A KR 20217007928 A KR20217007928 A KR 20217007928A KR 20210061345 A KR20210061345 A KR 2021006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guide wire
distal end
proximal e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 레이 아이작슨
바트 디 피터슨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1006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61M25/0625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with a permanent connection to the needle hub, e.g. a guiding rail, a locking mechanism or a guard advancemen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61M2025/0047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the inner layer having a higher lubricity
    • A61M2025/0048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the inner layer having a higher lubricity with an outer layer made from silic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33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the seal being a passive seal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with or without an opening
    • A61M2039/064Slit-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3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fe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8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26Sli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장치가, 근위 단부(14) 및 원위 단부(16)를 포함할 수 있는 연결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숫놈형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연결부 내에 고정된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는 카테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는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를 통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는 폐쇄된 원위 단부(24) 및 폐쇄된 원위 단부에 인접한 슬릿(26)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정상 생리적 압력 하에서 폐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위한 폐쇄된 선단부 및 슬릿을 갖는 카테터
일반적인 건강 관리 절차인, 주입 요법은 맥관 접근 장치에 의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입원한, 가정 관리를 받는, 그리고 기타 환자는, 맥관 시스템 내로 삽입된 맥관 접근 장치를 통해서, 유체, 약제, 및 혈액 제품을 수용한다. 혈액 채취는, 맥관 접근 장치에 의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일반적인 건강관리 절차이다.
맥관 접근 장치는 환자의 말초 또는 중앙 맥관구조에 접근할 수 있다. 맥관 접근 장치는 짧은 기간(몇 일), 중간 기간(몇 주), 또는 긴 기간(몇 달 또는 몇 년)동안 내재될 수 있다. 맥관 접근 장치는 연속 주입 요법을 위해서 또는 간헐적인 요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유형의 맥관 접근 장치는 오버-더-니들 말초 정맥 카테터(over-the-needle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PIVC")이다. 그 명칭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오버-더-니들" PIVC는 날카로운 원위 선단부를 갖는 도입기 바늘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날카로운 원위 선단부는 환자의 피부 및 맥관구조를 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맥관구조 내로의 PIVC의 삽입은 도입기 바늘에 의한 맥관구조의 천공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입기 바늘 및 PIVC는 일반적으로, 도입기 바늘의 사면(bevel)이 환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대면되는 상태로, 환자의 피부를 통해서 맥관구조 내로 작은 각도로 삽입된다. 맥관구조 내의 도입기 바늘의 배치가 일단 확인되면, 임상의는 맥관구조 내의 유동을 일시적으로 막고 도입기 바늘을 회수하여, 추후의 유체 주입 및/또는 혈액 채취를 위한 제 위치에 PIVC를 남길 수 있다.
현재, 유체 주입 또는 혈액 인출을 위해서 PIVC의 사용에 있어서 몇 가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PIVC 또는 정맥은 좁을 수 있고, 압궤될 수 있고, 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막힐 수 있고, 그에 따라 PIVC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PIVC가 막히는 위험은 증가된 플러싱(flushing) 및 감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IVC는 또한 정맥으로부터 제거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고, 이는 침윤 또는 유출을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청구된 청구 대상은, 임의의 단점을 해결하는 또는 전술한 것과 같은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이러한 배경은 단지, 본원에서 설명된 일부 구현예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분야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배치되거나 내재된 말초 정맥 카테터("PIVC") 조립체를 통해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PIVC는, 정맥 내의 PIVC의 배치를 돕기 위해서 환자의 피부 및 맥관구조를 천공할 수 있는, 도입기 바늘에 의해서 환자의 정맥 내에 매우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막힘, 플러싱 및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폐쇄된 원위 단부 및 밸브를 갖는 제2 카테터의 이점을 제공하면서, PIVC를 배치하기 위한 도입기 바늘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폐쇄된 원위 단부 및 밸브를 갖는 제2 카테터가 PIVC를 통해서 환자의 정맥 내로 끼워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PIVC가 막히는 경향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혈액이 PIVC 내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의 밸브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은 유체 주입 또는 혈액 채취를 허용하기 위해서 양압 또는 음압 하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는 막힘 및 혈전 형성에 대해서 내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슬릿이 폐쇄될 수 있고 혈액이 정상적인 생리적 압력 하에서 제2 카테터 내로 확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를 포함하는 PIVC 조립체는, 예를 들어 임상의가 바뀔 때마다 한번씩 대신, 예를 들어 일주일에 한번씩과 같이 덜 빈번하게 플러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 및 밸브는, 예를 들어 매주 7일 그리고 매일 3차례(매주 총 21번의 플러싱)와 같은 많은 수의 플러싱으로부터, 예를 들어 매주 1번의 플러싱과 같은 적은 수의 플러싱으로, PIVC 조립체의 플러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러싱 감소는 감염 위험을 줄일뿐만 아니라, 임상의를 자유롭게 하여 건강 관리 환경의 다른 문제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PIVC의 하나의 단점은, 정맥 내의 그 길이 또는 연장을 포함하는, 몇몇 인자로 인해서 정맥의 외부로 용이하게 당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PIVC가 정맥의 외부로 당겨질 때, 이는 침윤 및/또는 유출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침윤 및 유출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PIVC의 원위 선단부가 정맥 외부로 당겨지는 경우에도, 제2 카테터는 PIVC보다 더 길 수 있고 더 정맥 아래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카테터가 정맥으로부터 제거되는 것 그리고 후속되는 침윤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는 심장에 도달할 정도로 길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제2 카테터가 초음파 및/또는 형광투시법이 없이도 몇 개의 단계만을 포함하는 단순한 배치 절차로 정맥 내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가 예시적 및 설명적인 것이고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도면에서 도시된 배열 및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 또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서 부가적인 구체성 및 상세 내용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기술할 것이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연결부 및 폐쇄된 원위 단부 및 슬릿을 갖는 예시적인 카테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도 1a의 슬릿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중의 개방 위치에서의 도 1a의 슬릿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d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혈액 채취 중의 개방 위치에서의 도 1a의 슬릿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안내 와이어 허브 및 예시적인 안내 와이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연결부와 커플링된 도 2의 안내 와이어 허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와 커플링된 도 1a의 연결부 및 도 2의 안내 와이어 허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바늘(needleless) 연결부 및 도 3b의 카테터 조립체와 커플링된 도 1a의 연결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3d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볼 특징부(ball feature)의 횡단면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 프로세스의 단계에서 제1 단편 및 제2 단편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연결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조립 프로세스의 다른 단계 중의 도 4a의 연결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도 4a의 연결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d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에 커플링된 도 4a의 연결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e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d의 선 4E-4E를 따른 도 4a의 연결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연결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푸시 탭(push tab)을 갖는 도 5a의 연결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연결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배치되거나 내재된 말초 정맥 카테터("PIVC") 조립체를 통해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PIVC는, 정맥 내의 PIVC의 배치를 돕기 위해서 환자의 피부 및 맥관구조를 천공할 수 있는, 도입기 바늘에 의해서 환자의 정맥 내에 매우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막힘, 플러싱 및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폐쇄된 원위 단부 및 밸브를 갖는 제2 카테터의 이점을 제공하면서, PIVC를 배치하기 위한 도입기 바늘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폐쇄된 원위 단부 및 밸브를 갖는 제2 카테터가 PIVC 내에 배치될 수 있고 PIVC를 통해서 환자의 정맥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여,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연결부(10) 및 예시적인 제2 카테터(12)를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는 근위 단부(14) 및 원위 단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의 원위 단부(16)는, 유밀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서, 내재되는 PIVC 조립체의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활주형 또는 나사산형(thread)의 숫놈형 또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와 같은,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의 원위 단부(16)는, 카테터(12)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연결부(10)를 카테터 어댑터에 커플링시키게 할 수 있는, 자유 회전 칼라를 갖는 숫놈형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숫놈형 루어 어댑터(18)를 갖는 연결부(10)의 원위 단부(16)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는, 예를 들어 혈액 수집 장치, 유체 주입 장치, 또는 무바늘 연결부에 커플링될 수 있는, 활주형 또는 나사산형의 숫놈형 또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와 같은, 다른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암놈형 루어 어댑터(20)를 갖는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근위 단부(22)가 연결부(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연결부(10)의 원위 단부(1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폐쇄된 원위 단부(24) 및 폐쇄된 원위 단부(24)에 인접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는 슬릿(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상적인 생리적 압력 하에서, 슬릿(26)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폐쇄된 원위 단부(24)는 둥글거나 총알-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전부 또는 일부가 규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26)을 포함하는 제2 카테터(12)의 일부가 규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26)을 포함하는 제2 카테터(12)의 일부가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카테터(12)는 16g 또는 18g PIVC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외경이 약 0.052 내지 0.054 인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외경이 약 0.036 내지 0.039 인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외경이 약 0.034 내지 0.036 인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재되는 PIVC 조립체를 통해서 제2 카테터(12)를 끼우기 위해서, 제2 카테터(12)가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가 PIVC 내에 꼭 맞게 피팅(snugly fit)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치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길이가 약 3 인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길이가 약 5 인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약 2 내지 5 인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1b를 참조하면, 슬릿(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26)은 카테터(1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배향된 길이방향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2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릿(26)의 대향 면들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26)은 정상 생리적 압력 하에서 폐쇄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밀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체가 슬릿(26)을 통해서 유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막힘 및 혈전 형성에 대해서 내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슬릿(26)이 정상적인 생리적 압력 하에서 폐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혈액이 제2 카테터(12)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PIVC 조립체는, 예를 들어 임상의가 바뀔 때마다 한번씩 대신, 예를 들어 일주일에 한번씩과 같이 덜 빈번하게 플러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 및 슬릿(26)은, 예를 들어 매주 7일 그리고 매일 3차례(매주 총 21번의 플러싱)와 같은 많은 수의 플러싱으로부터, 예를 들어 매주 1번의 플러싱과 같은 적은 수의 플러싱으로, PIVC 조립체의 플러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러싱 감소는 감염 위험을 줄일뿐만 아니라, 임상의를 자유롭게 하여 건강 관리 환경의 다른 문제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압력차에 응답하여, 슬릿(26)이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내로의 유체의 주입 중에 슬릿(26)이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로부터의 혈액의 채취 중에 슬릿(26)이 개방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의 근위 단부(28)가, 근위 단부(34) 및 원위 단부(36)를 갖는 안내 와이어 허브(3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는 안내 와이어 허브(32)의 원위 단부(3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는, 카테터(12) 내에 배치될 때 경직성(stiffening)을 제공하기 위한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의 근위 단부(34)는, 활주형 또는 나사산형의 숫놈형 또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와 같은,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34)는, 식염수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시스템을 사전-프라이밍(pre-prime)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의 원위 단부(36)는, 활주형 또는 나사산형의 숫놈형 또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와 같은,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숫놈형 루어 어댑터(38)를 갖는 안내 와이어 허브(32)의 원위 단부(36)를 도시한다.
이제 도 3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는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는,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에 커플링된 안내 와이어 허브(32)에 응답하여, 제2 카테터(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는, 제2 카테터(12)가 유체 전달 및/또는 혈액 채취를 위해서 정맥 내의 제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제2 카테터(12) 내의 임의의 굽힘부를 통해서 및/또는 용기 기하형태(vessel geometry)를 통해서 밀어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경직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는 제2 카테터(12)의 폐쇄된 원위 단부(2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의 원위 단부(40)는 제2 카테터(12)의 폐쇄된 원위 단부(24) 부근까지 또는 그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3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내재되는 PIVC 조립체(42)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VC 조립체(42)는 카테터 어댑터(44) 및 카테터 어댑터(44)로부터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PIVC(4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VC(46)의 근위 단부(51)가 카테터 어댑터(4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44)는 격막(미도시)과 같은 혈액 제어 특징부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수의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VC(42)는 "오버-더-니들"일 수 있다. 그 명칭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오버-더-니들" PIVC(42)는 날카로운 원위 선단부를 갖는 도입기 바늘(미도시)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날카로운 원위 선단부는 환자의 피부 및 정맥(48)을 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맥관구조 내로의 PIVC(42)의 삽입은 도입기 바늘에 의한 정맥(48)의 천공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입기 바늘 및 PIVC(42)는 작은 각도로 피부를 통해서 환자의 정맥(4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정맥(38) 내의 PIVC(42)의 배치가 일단 확인되면, 임상의는 정맥(48) 내의 유동을 일시적으로 막고 도입기 바늘을 회수하여, 추후의 유체 주입 및/또는 혈액 채취를 위한 제 위치에 PIVC(42)를 남길 수 있다. 바늘 조립체의 비제한적인 예가,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SAFETY CLIP"이라는 명칭의, 2017년 4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481,166호에 설명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의 원위 단부(16)가 PIVC 조립체(42)의 루어 연결부와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를 PIVC(46)를 통해서 카테터 어댑터(44)의 근위 단부(14) 및 카테터(12)의 연장부에 커플링시키기에 앞서서, 안내 와이어 허브(32) 및 연결부(10)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 및 연결부(10)가 제조 중에 및/또는 포장 전에 함께 커플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안내 와이어 허브 및 연결부를 포장으로부터 제거할 때, 안내 와이어 허브(32) 및 연결부(10)가 이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VC 조립체(42)가 정맥(48) 내로 삽입되고 도입기 바늘이 제거된 후에, 이전에 커플링된 안내 와이어 허브(32)를 가질 수 있는 연결부(10)가 카테터 어댑터(44)의 근위 단부(14)에 커플링될 수 있고, 카테터(12)가 PIVC(46)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2) 내에 배치된 안내 와이어(30)가 PIVC 조립체(42)를 통한 그리고 정맥(48) 내로의 카테터(12)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가 카테터 어댑터(44)에 커플링될 때,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약 1 인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약 2 인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약 1 내지 2 인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약 2 내지 3 인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약 1 인치 미만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PIVC(46)의 원위 단부(50)를 넘어서 약 2 인치 초과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심장에 도달할 정도로 길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제2 카테터(12)가 초음파 및/또는 형광투시법이 없이도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몇 개의 단계만을 포함하는 단순한 배치 절차로 정맥(48) 내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연결부(10)로부터 약 3 내지 5 인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연결부(10)로부터 약 5 인치 미만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는 연결부(10)로부터 약 5 인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3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2)를 PIVC 조립체(42)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안내 와이어(30)가 사용된 후에, 안내 와이어(30)는 안내 와이어 허브(32)를 연결부(10)로부터 커플링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가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로부터 제거된 후에, 유체 주입 장치 및/또는 혈액 채취 장치가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에 커플링될 수 있고, 유체 주입 및/또는 혈액 채취가 PIVC 조립체(42) 및 카테터(12)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VC(46)를 통한 고압 유체 주입을 위해서, 연결부(10)가 PIVC 조립체(42)로부터 커플링 해제될 수 있고 제2 카테터(12)가 PIVC(4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바늘 연결부(52) 또는 다른 유형의 연결부가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바늘 연결부(52)는, 안내 와이어 허브(32)가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로부터 제거된 후에,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가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로부터 제거된 후에, 유체 주입 장치 및/또는 혈액 채취 장치가 무바늘 연결부(52)에 커플링될 수 있고, 유체 주입 및/또는 혈액 채취가 PIVC 조립체(42) 및 카테터(12)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양한 유형의 무바늘 연결부(52)가 사용될 수 있다. 무바늘 연결부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가,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VASCULAR ACCESS DEVICE SEPTUM VENTING"이라는 명칭의, 2007년 11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8,066,670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제 도 3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30)의 원위 단부(40)가 둥근 또는 볼 특징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특징부(54)는 매끄러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폐쇄된 원위 단부(24)는 안내 와이어(30)가 볼 특징부(54)를 포함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특징부(54)는 폐쇄된 원위 단부(24)와 접촉될 수 있고, 정맥(48) 내로 제2 카테터(12)를 미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특징부(54)는 제2 카테터(12)의 폐쇄된 원위 단부(24)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는 단일체적으로(monolithically)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는 다수의 단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예시적인 연결부(55)가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55)는 도 1 내지 도 3의 연결부(10)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55)는 연결부(10)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는 연결부(55)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55)는,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은 제조 중에 및/또는 포장 전에 함께 커플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위 단편 및 근위 단편을 포장으로부터 제거할 때,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이 사전-조립되어 있거나 이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이 스냅 피팅, 간섭 피팅, 접착, 용접,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을 통해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이 단일체적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단편(58)은, 제2 카테터(12)의 근위 단부(2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관형 요소(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요소(60)가 제2 카테터(12)의 근위 단부(22) 내에 꼭 맞게 피팅되도록, 관형 요소(60)가 제2 카테터(1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요소(60)는 중공형일 수 있고, 안내 와이어(30)가 관형 요소(60)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요소(60)는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테터(12) 내로 삽입된 관형 요소(6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길이가 일정할 수 있거나, 제2 카테터(12)의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55)는 사용 시에 또는 사용 직전에 제2 카테터(12)의 길이를 수작업으로 변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12)의 길이가 희망하는 임상적으로 관련된 길이가 되도록, 사용자는 카테터(12)의 근위 단부(22)를 다듬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어서, 다듬어진 제2 카테터(12)가 관형 요소(60) 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어서,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이 함께 커플링되어 유밀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테터(12) 내로 완전히 삽입된 관형 요소(60)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2 카테터(12)는 원위 단편(56)을 통해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단계가 제조 중에 및/또는 포장 전에 실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의 원위 단부(16)가 숫놈형 루어 어댑터(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는, 유체 주입 장치, 혈액 채취 장치, 무바늘 연결부(52), 또는 다른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4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단편(56)은 근위 단편(58)에 커플링되어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편(56) 및 근위 단편(58)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피팅을 통해서 커플링될 수 있다. 이제 도 4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연결부(10) 및 제2 카테터(12)는,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카테터 어댑터(44)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32)는 연결부(10)의 근위 단부(14)에 커플링될 수 있고, 안내 와이어(30)는 제2 카테터(12)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편(56)은, 예를 들어 환형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는, 압축 요소(6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 요소(63)는 원위 단편(56)의 내강(lumen)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 요소(63)의 길이가 관형 요소(60)의 길이보다 길거나, 그와 같거나, 그보다 짧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 요소(63)는 주입 중에, 고압 하에서, 및/또는 제2 카테터(12)가 팽윤될(swell) 때 제2 카테터(12)를 관형 요소(60) 상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 요소(63)는 관형 요소(60)의 위치에서 제2 카테터(12)의 근위 단부(22)에 반경방향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는, 근위 단부(22) 내의 관형 요소(6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근위 단부(22)가 관형 요소(60)로부터 빠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 요소(63)는 고압에 대한 백업 유밀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5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연결부(64)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64)는 도 1 내지 도 3의 연결부(10) 및/또는 도 4의 연결부(55)를 포함하거나 그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64)는 연결부(10) 및/또는 연결부(55)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10) 및/또는 연결부(55)는 연결부(64)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64)의 원위 단편(56)이 카테터 어댑터(4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64)의 근위 단편(14)은, 예를 들어 혈액 수집 장치, 유체 주입 장치, 또는 무바늘 연결부에 커플링될 수 있는, 활주형 또는 나사산형의 숫놈형 또는 암놈형 루어 어댑터와 같은, 루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암놈형 루어 어댑터(20)를 갖는 연결부(64)의 근위 단부(14)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바늘 연결부(52)는,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놈형 루어 어댑터(2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제 도 5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64)는, 근위 단편(58)의 날개형 부분(6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파지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5c를 참조하면, 원위 단편(56)과 근위 단편(58) 사이의 예시적인 스냅 피팅이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400)이 블록(402)에서 시작될 수 있다. 블록(402)에서, 제1 카테터는 내재되는 PIVC 조립체의 제2 카테터를 통해서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카테터는 도 1 내지 도 5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된 제2 카테터(12)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카테터 및 PIVC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5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된 PIVC(46) 및 PIVC 조립체(42)에 각각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카테터의 근위 단부가 도 1 내지 도 3의 연결부(10), 도 4의 연결부(55), 또는 도 5의 연결부(64)와 같은 연결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카테터는 폐쇄된 원위 단부 및 폐쇄된 원위 단부에 인접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이 정상 생리적 압력 하에서 폐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록(402) 후에 블록(404)이 계속될 수 있다.
블록(404)에서, 연결부는 내재되는 PIVC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가 내재되는 PIVC 조립체에 커플링될 때, 제1 카테터가 제2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비록 구분된 블록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희망하는 구현예에 따라, 방법(400)의 다양한 블록들이 부가적인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고, 더 적은 블록들로 조합될 수 있고, 또는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연결부가 내재되는 PIVC 조립체에 커플링될 때, 안내 와이어 허브를 연결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커플링 해제하고 안내 와이어를 제1 카테터 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 허브 및 안내 와이어는 도 1 내지 도 5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된 안내 와이어 허브(32) 및 안내 와이어(30)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환자의 맥관구조 내에 배치한 후의 오래된 시간에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서 또는 혈액을 환자로부터 채취하기 위해서 연결부와 커플링된 내재되는 PIVC 조립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랜 시간은 약 4, 6, 8, 10, 12, 24, 또는 72 시간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랜 시간은 1 주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랜 시간은 1 달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카테터는, 형광투시법 또는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고도,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가 예시적 및 설명적인 것이고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도면에서 도시된 배열 및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 또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예 및 조건적인 언어는 당업계에 기여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가 제공하는 본 발명 및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독자를 돕기 위한 교육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그러한 특별히 언급된 예 및 조건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0)

  1. 장치이며: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연결부로서, 상기 연결부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숫놈형 루어 어댑터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내에 고정되는 근위 단부를 갖는 카테터로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연결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는 폐쇄된 원위 단부 및 상기 폐쇄된 원위 단부에 인접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정상 생리적 압력 하에서 폐쇄되는, 카테터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근위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안내 와이어 허브;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안내 와이어로서, 상기 안내 와이어는 상기 안내 와이어 허브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상기 안내 와이어 허브 내에 고정되는, 안내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카테터의 폐쇄된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볼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근위 단부가 암놈형 루어 어댑터를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암놈형 루어 어댑터에 커플링된 무바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단일체적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함께 커플링된 원위 단편 및 근위 단편을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단편 및 상기 근위 단편이 스냅 피팅 또는 간섭 피팅으로 함께 커플링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단편은 상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 내에 배치되는 관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요소는 상기 관형 요소가 상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 내에 꼭 맞게 피팅되도록 상기 카테터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근위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안내 와이어 허브;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안내 와이어로서, 상기 안내 와이어는 상기 안내 와이어 허브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상기 안내 와이어 허브 내에 고정되는, 안내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와이어는 상기 관형 요소를 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관형 요소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가 규소로 구성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외경이 0.034 내지 0.036 인치인,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가 제1 카테터이고, 카테터 어댑터 및 상기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제2 카테터를 포함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숫놈형 루어 어댑터는 상기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1 카테터는 상기 제2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터는 상기 제2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약 1 내지 2 인치만큼 연장되는, 장치.
  16. 방법이며:
    제1 카테터를,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의 제2 카테터를 통해서 그리고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카테터의 근위 단부가 연결부 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카테터는 폐쇄된 원위 단부 및 상기 폐쇄된 원위 단부에 인접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정상 생리적 압력 하에서 폐쇄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에 커플링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에 커플링될 때 제1 카테터가 상기 제2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에 커플링될 때, 상기 제1 카테터는 상기 제2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약 1 내지 2 인치만큼 연장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에 커플링될 때, 안내 와이어 허브를 상기 연결부의 근위 단부로부터 커플링 해제하고 안내 와이어를 상기 제1 카테터 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와이어의 근위 단부가 상기 안내 와이어 허브 내에 고정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상기 환자의 맥관구조 내에 배치한 후 적어도 6시간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서 또는 혈액을 환자로부터 채취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와 커플링된 상기 내재되는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터가, 형광투시법 또는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삽입되는, 방법.
KR1020217007928A 2018-09-20 2019-09-18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위한 폐쇄된 선단부 및 슬릿을 갖는 카테터 KR20210061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4006P 2018-09-20 2018-09-20
US62/734,006 2018-09-20
US16/573,731 US20200094023A1 (en) 2018-09-20 2019-09-17 Catheter having a closed tip and slit for a peripheral intranveous catheter assembly
US16/573,731 2019-09-17
PCT/US2019/051657 WO2020061148A1 (en) 2018-09-20 2019-09-18 Catheter having a closed tip and slit for a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345A true KR20210061345A (ko) 2021-05-27

Family

ID=6988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928A KR20210061345A (ko) 2018-09-20 2019-09-18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위한 폐쇄된 선단부 및 슬릿을 갖는 카테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00094023A1 (ko)
EP (1) EP3852858A1 (ko)
JP (1) JP2022502129A (ko)
KR (1) KR20210061345A (ko)
CN (1) CN112752588B (ko)
AU (1) AU2019343035A1 (ko)
BR (1) BR112021005180A2 (ko)
CA (1) CA3112589A1 (ko)
MX (1) MX2021002342A (ko)
SG (1) SG11202101892QA (ko)
WO (1) WO2020061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7571A4 (en) 2019-08-20 2023-11-29 Velano Vascular, Inc. FLUID TRANSFER DEVICES HAVING EXTENDED LENGTH CATHET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D1019938S1 (en) * 2021-05-14 2024-03-26 Tecnovet, S.L.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8942A (en) * 1980-10-20 1982-07-13 Fogarty Thomas J Dilatation catherter apparatus
US4549879A (en) * 1983-05-03 1985-10-29 Catheter Technology Corporation Valved two-way catheter
US4701166A (en) * 1983-05-03 1987-10-20 Catheter Technology Corp. Valved two-way catheter
US4581025A (en) * 1983-11-14 1986-04-08 Cook Incorporated Sheath
US4737152A (en) * 1986-07-02 1988-04-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ssembly
US4988356A (en) * 1987-02-27 1991-01-29 C. R. Bard, Inc. Catheter and guidewire exchange system
DE3721299A1 (de) * 1987-06-27 1989-01-12 Braun Melsungen Ag Kathetervorrichtung
DE8809319U1 (ko) * 1988-07-21 1988-09-01 Medinorm Ag Medizintechnische Produkte, 6607 Quierschied, De
US5215527A (en) * 1991-12-12 1993-06-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introducer assembly
CA2345921C (en) * 1998-06-12 2005-01-25 Cardiac Pacemakers, Inc. Modified guidewire for left ventricular access lead
US20020156430A1 (en) * 2001-04-19 2002-10-24 Haarala Brett T. Catheter slit valves
US7413564B2 (en) * 2003-03-06 2008-08-19 Medtronic, Inc. Slit valve catheters
JP2007175297A (ja) * 2005-12-28 2007-07-12 Toray Ind Inc カテーテル
US8066670B2 (en) 2006-11-06 2011-11-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scular access device septum venting
US20080294145A1 (en) * 2007-05-25 2008-11-27 Galt Medical Corporation Catheter hub with flushable lumen and guidewire
CA2721315A1 (en) * 2008-05-01 2009-11-05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Balloon deployment device and method
US8469928B2 (en) * 2009-02-11 2013-06-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lushable catheter assembly
JP2011050420A (ja) * 2009-08-31 2011-03-1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弁付きカテーテル
US8652104B2 (en) * 2010-06-25 2014-02-18 Smiths Medical Asd, Inc. Catheter assembly with seal member
US9254146B2 (en) * 2010-10-18 2016-02-09 Avent, Inc. Echogenic nerve block apparatus and system
US9272088B2 (en) * 2012-09-13 2016-03-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venous catheter ins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1892QA (en) 2021-04-29
CN112752588A (zh) 2021-05-04
MX2021002342A (es) 2021-04-28
CA3112589A1 (en) 2020-03-26
US20200094023A1 (en) 2020-03-26
BR112021005180A2 (pt) 2021-06-08
JP2022502129A (ja) 2022-01-11
AU2019343035A1 (en) 2021-05-20
EP3852858A1 (en) 2021-07-28
CN112752588B (zh) 2023-07-14
WO2020061148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4890B2 (ja) 多径カテーテルおよび関連する機器と方法
CN213048886U (zh) 输送装置和导管系统
JP7459098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のためのシリンジベースの送達装置
US7578803B2 (en) Multifunction adaptor for an open-ended catheter
CN211835625U (zh) 导管输送装置和导管系统
JPH07303697A (ja) ポートカニューレ装置
CN215914619U (zh) 扩展套件
CA3109517A1 (en) Systems of facilitating instrument delivery to a catheter assembly
US20140081242A1 (en) Valved catheter
KR20210061345A (ko) 말초 정맥 카테터 조립체를 위한 폐쇄된 선단부 및 슬릿을 갖는 카테터
US6605075B1 (en) Flushable hub
CN212090511U (zh) 无针通路连接器
CN115721838A (zh) 集成式静脉导管
CN219501806U (zh) 血管通路系统
CN215741220U (zh) 器械递送装置
WO2000048663A1 (en) Needleless injection site and guidewire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