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536A -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펩티드 - Google Patents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펩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536A
KR20210060536A KR1020217010966A KR20217010966A KR20210060536A KR 20210060536 A KR20210060536 A KR 20210060536A KR 1020217010966 A KR1020217010966 A KR 1020217010966A KR 20217010966 A KR20217010966 A KR 20217010966A KR 20210060536 A KR20210060536 A KR 2021006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ncer
peptide
substituted
pro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코우지
요시코 야스다
아키라 카토
히로시 오치
Original Assignee
에포-메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포-메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포-메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505Erythropoietin [EP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항EpoR 펩티드를 제공한다.
식(1):
X1-SCH(A1)(A2)(A3)(A4)(A5)(A6)V(A7)(A8)-X2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은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며,
A1은 M, 혹은 할로겐 원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 비치환된 F, 페닐글리신 또는 페네틸글리신이며,
A2은 A, d-알라닌 또는 G이며,
A3은 P, 호모프롤린 또는 A이며,
A4은 M, L, A 또는 I이며,
A5은, T 또는 A이며,
A6은 M, 혹은 메틸 혹은 할로겐 원자로 치환 비치환된 W, F, Y, β-호모트립토판, α-나프틸알라닌, β-나프틸알라닌 또는 퀴놀릴알라닌이며,
A7은 C, 호모시스테인 또는 페니실라민이며,
A8은 K, R 또는 비존재이다]
의 구조를 갖는 펩티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펩티드
본 개시는, 신규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이하, "EpoR"이라고도 한다) 펩티드 및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적혈구의 분화와 증식에 관여하고, 다른 사이토카인과는 달리 혈구에서는 산생되지 않고, 신장 또는 간에서 산생되어 혈액 중으로 방출된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적혈구 전구 세포 중 적아구 버스트 형성 세포(BFU-E)와 적아구 콜로니 형성 세포(CFU-E)에 작용하여 그 분화와 증식을 촉진하고, 적혈구의 산생을 유도하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Krantz S.B., Blood, Vol.77, pp419-434(1991)). 에리트로포이에틴이 전구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와 결합하면, 시그널이 세포핵 내에 전달되어 적혈구의 분화, 즉 글로빈 mRNA의 세포 내 집적, 헤모글로빈의 산생, 적혈구의 증식이 일어난다고 여겨지고 있다 (D'Andrea A.D. et al., Cell, Vol.57, pp277-285(1989)). 그러나, 그 메커니즘의 상세에 대해서는 아직 해명되어 있지 않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점이 많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이 적아구에 관한 부위 이외의 조직에서 그 유전자를 발현하고 있는 부위로서, 착상 직후의 배체(Yasuda Y. et al., Develop. Growth Differ., Vol.35, pp711-722(1993)), 인간, 원숭이 및 마우스의 뇌(Marti H.H. et al., Eur.J.NeuroSci., Vol.8, pp666-676(1996)) 및 마우스 자궁(Yasuda Y. et al., J. Biol. Chem., Vol.273, pp25381-25387(1998))이 알려져 있다. 에리트로포이에틴은,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와 결합하여 작용할 수 있다.
Krantz S.B., Blood, Vol.77, pp419-434(1991) D'Andrea A.D. et al., Cell, Vol.57, pp277-285(1989) Yasuda Y. et al., Develop. Growth Differ., Vol.35, pp711-722(1993) Marti H.H. et al., Eur.J.NeuroSci., Vol.8, pp666-676(1996) Yasuda Y. et al., J. Biol. Chem., Vol.273, pp25381-25387(1998)
본 개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재되는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는,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제 또는 키트를 제공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사용 또는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는, 강한 EpoR 저해능, 높은 암세포 살상능, 낮은 정상 세포 살상능,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의 개선, 부작용의 저감, 특정한 부위에 대한 특이적인 이행능, 개선된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의 개선 및 높은 안정성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는, 증식성 질환,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하를 제공한다.
(항목 1)
CH3-CO-SCHFGPLTWVCK-NH2의 구조를 갖는 펩티드보다 개선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 -[SCHFGPLTWVCK]-의 구조를 갖는 펩티드에 기초하는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알파벳은 아미노산의 1문자 표시를 나타낸다.).
(항목 2)
식(I):
X1-SCH(A1)(A2)(A3)(A4)(A5)(A6)V(A7)(A8)-X2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며
A1은, -NH-CH(RA1)-CO-이며, 여기서, RA1은, (결합, 혹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구조를 가지며,
A2은, Ala, D-알라닌 또는 Gly이며,
A3은, Pro, 호모프롤린 또는 Ala이며,
A4은, Met, Leu, Ala 또는 Ile이며,
A5은, Thr 또는 Ala이며,
A6은, -NH-CH(RA1)-CO-이며, 여기서, RA1은, (결합, 혹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구조를 가지며,
A7은, Cys, 호모시스테인 또는 페니실라민이며,
A8은, Lys, Arg 또는 비존재이며,
펩티드 중의 2개의 황 원자는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X1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C(=O)R1이며,
X2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NR1 2이며,
각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킬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키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동일한 원자에 결합한 2개의 R1은 하나가 되어서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을 형성하고,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의 구조를 갖거나 또는
식(II):
X1-kcvwtl(B1)Gfhcs-X2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며
B1은, Gly 또는 D-프롤린이며, k, c, v, w, t, I, G, f, h, c 및 s는, 각각 아미노산을 나타내고, 대문자는 L체 또는 광학 이성체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D체를 나타내고,
펩티드 중의 2개의 황 원자는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X1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C(=O)R1이며,
X2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NR1 2이며,
각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킬,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키닐,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동일한 원자에 결합한 2개의 R1은 하나가 되어서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을 형성하고,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의 구조를 갖는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3)
A2이 Gly인 것,
A3이 Phe인 것,
A5이 Thr인 것,
A7이 Cys인 것 및
A8이 Lys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항목 2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4)
A1은, Tyr, p-플루오로페닐알라닌 또는 페네틸글리신인, 항목 2 또는 3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5)
A1은, Tyr인, 항목 2 또는 3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6)
A4은, Leu 또는 Met인, 항목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7)
A4은, Met인, 항목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8)
A6은, Trp, Met, 8-나프틸알라닌, 2-퀴놀릴알라닌, 5-클로로-Trp 또는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인, 항목 2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9)
A6은,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인, 항목 2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0)
A2이 Gly이며,
A3이 Phe이며,
A5이 Thr이며,
A7이 Cys이며,
A8이 Lys인,
항목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1)
X1이, -COOH, 벤조일기, 프로피오닐기 또는 p-플루오로페닐아세틸기인, 항목 2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2)
X2가 NH2인, 항목 2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3)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항목 14)
상기 증식성 질환이, 자궁선근증,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폐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두경부암(설암, 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신경초종, 신경아종, 신경교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간암, 신장암, 담관암, 자궁암(자궁체암, 자궁경암), 난소암, 방광암, 피부암, 혈관종,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갑상선암, 골종양, 혈관 섬유종, 망막 육종, 음경암, 소아 고형암, 카포시육종, AIDS에 기인하는 카포시육종, 상악동 종양, 섬유성 조직구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자궁근종, 골아 세포종, 골육종, 연골육종, 암성의 중피 종양 또는 백혈병인, 항목 13에 기재된 조성물.
(항목 15)
상기 증식성 질환이, 유방암, 췌장암, 간암,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항목 13에 기재된 조성물.
(항목 16)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7)
상기 증식성 질환이, 자궁선근증,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폐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두경부암(설암, 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신경초종, 신경아종, 신경교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간암, 신장암, 담관암, 자궁암(자궁체암, 자궁경암), 난소암, 방광암, 피부암, 혈관종,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갑상선암, 골종양, 혈관 섬유종, 망막 육종, 음경암, 소아 고형암, 카포시육종, AIDS에 기인하는 카포시육종, 상악동 종양, 섬유성 조직구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자궁근종, 골아 세포종, 골육종, 연골육종, 암성의 중피 종양 또는 백혈병인, 항목 16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8)
상기 증식성 질환이, 유방암, 췌장암, 간암,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항목 16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
(항목 19)
피검체에 있어서의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며,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의 유효량을 해당피검체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20)
상기 증식성 질환이, 자궁선근증,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폐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두경부암(설암, 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신경초종, 신경아종, 신경교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간암, 신장암, 담관암, 자궁암(자궁체암, 자궁경암), 난소암, 방광암, 피부암, 혈관종,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갑상선암, 골종양, 혈관 섬유종, 망막 육종, 음경암, 소아 고형암, 카포시육종, AIDS에 기인하는 카포시육종, 상악동 종양, 섬유성 조직구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자궁근종, 골아 세포종, 골육종, 연골육종, 암성의 중피 종양 또는 백혈병인, 항목 19에 기재된 방법.
(항목 21)
상기 증식성 질환이, 유방암, 췌장암, 간암,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항목 19에 기재된 방법.
(항목 22)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의 사용.
(항목 23)
상기 증식성 질환이, 자궁선근증,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폐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두경부암(설암, 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신경초종, 신경아종, 신경교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간암, 신장암, 담관암, 자궁암(자궁체암, 자궁경암), 난소암, 방광암, 피부암, 혈관종,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갑상선암, 골종양, 혈관 섬유종, 망막 육종, 음경암, 소아 고형암, 카포시육종, AIDS에 기인하는 카포시육종, 상악동 종양, 섬유성 조직구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자궁근종, 골아 세포종, 골육종, 연골육종, 암성의 중피 종양 또는 백혈병인, 항목 22에 기재된 사용.
(항목 24)
상기 증식성 질환이, 유방암, 췌장암, 간암,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항목 22에 기재된 사용.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의 1개 또는 복수의 특징은, 명시된 조합에 더하여, 추가로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는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형태 및 이점은, 필요에 따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서 이해된다고 당업자에게 인식된다.
본 개시의 펩티드는, 강한 EpoR 저해능, 높은 암세포 살상능, 낮은 정상 세포 살상능,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의 개선, 부작용의 저감, 특정한 부위에 대한 특이적인 이행능, 개선된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의 개선 및 높은 안정성 중 1개 이상이 유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펩티드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증식성 질환,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이 치료 또는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합성 펩티드: (벤조일)-SCHFGPLTWVCK-NH2(GT-11255)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는 합성 펩티드: (p-플루오로페닐아세틸)-SCHFGPLTWVCK-NH2(GT-11256)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3은 합성 펩티드: (프로피오닐)-SCHFGPLTWVCK-NH2(GT-11257)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4는 합성 펩티드:AC-SCH(p-플루오로-Phe)GPLTWVCK-NH2(GT-11258)의 질량 분석의결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5는 합성 펩티드:Ac-SCH(p-클로로-Phe)GPLTWVCK-NH2(GT-11259)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6은 합성 펩티드:Ac-SCH(m-클로로-Phe)GPLTWVCK-NH2(GT-11260)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7은 합성 펩티드:Ac-SCHYGPLTWVCK-NH2(GT-11261)(서열 번호 10)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8은 합성 펩티드:Ac-SCH(페닐글리신)GPLTWVCK-NH2(GT-11262)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9는 합성 펩티드:AC-SCH(페네틸글리신)GPLTWVCK-NH2(GT-11263)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0은 합성 펩티드:AC-SCHFAPLTWVCK-NH2(GT-11264)(서열 번호 11)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1은 합성 펩티드:AC-SCHFaPLTWVCK-NH2(GT-11265)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2는 합성 펩티드:Ac-SCHFGALTWVCK-NH2(GT-11266)(서열 번호 12)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3은 합성 펩티드:Ac-SCHFG(호모프롤린)LTWVCK-NH2(GT-11267)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4는 합성 펩티드:Ac-SCHFGPATWVCK-NH2(GT-11268)(서열 번호 13)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5는 합성 펩티드:Ac-SCHFGPMTWVCK-NH2(GT-11269)(서열 번호 14)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6은 합성 펩티드:Ac-SCHFGPLTMVCK-NH2(GT-11270)(서열 번호 15)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7은 합성 펩티드:AC-SCHFGPLT(β-호모트립토판)VCK-NH2(GT-11271)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8은 합성 펩티드:Ac-SCHFGPLT(α-나프틸알라닌)VCK-NH2(GT-11272)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9는 합성 펩티드:Ac-SCHFGPLT(β-나프틸알라닌)VCK-NH2(GT-11273)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0은 합성 펩티드:Ac-SCHFGPLT(8-퀴놀릴알라닌)VCK-NH2(GT-11274)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1은 합성 펩티드:Ac-SCHFGPLT(6-클로로-Trp)VCK-NH2(GT-11275)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2는 합성 펩티드:Ac-SCHFGPLT(5-클로로-Trp)VCK-NH2(GT-11276)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3은 합성 펩티드:Ac-SCHFGPLTWV(호모시스테인)K-NH2(GT-11277)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4는 합성 펩티드:Ac-SCHFGPL TWV(페니실라민)K-NH2(GT-11278)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5는 합성 펩티드:Ac-kcvwtipGfhcs-NH2(GT-11279)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6은 합성 펩티드:Ac-kcvwtIGGfhcs-NH2(GT-11280)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7은 합성 펩티드:AC-SCH(3, 4-디플루오로-Phe)GPLT(8-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3)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8은 합성 펩티드:Ac-SCH(3, 4-디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4)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29는 합성 펩티드:Ac-SCH(3,4-디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05)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30은 합성 펩티드:AC-SCH(p-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6)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31은 합성 펩티드:Ac-SCH(p-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07)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32는 합성 펩티드:Ac-SCHYGPLT(2-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8)의 질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33은 합성 펩티드:Ac-SCHY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309)의 질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은 ESI-MS 측정값으로부터의 디컨벌루션값을 나타내고, 하단은 ESI-MS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3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펩티드에 120μM의 농도에 있어서의 인간 간암 유래 HepG2 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낸다. 횡축은, 각각, YS12, GT-11268, GT-11261, GT-11274, GT-11259, GT-11260, GT-11280, GT-11303, GT-11304, GT-11305, GT-11306, GT-11307, GT-11308, GT-11309, PBS(-) 처치 및 무처치를 나타낸다. 종축은, 1mm2의 구획 내에서 관찰된 사세포 수의 평균 및 표준 편차(n=3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35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펩티드에 60μM의 농도에 있어서의 인간 간암 유래 HepG2 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낸다. 횡축은, 각각, YS12, GT-11268, GT-11261, GT-11274, GT-11259, GT-11260, GT-11280, GT-11303, GT-11304, GT-11305, GT-11306, GT-11307, GT-11308, GT-11309, PBS(-) 처치 및 무처치를 나타낸다. 종축은, 1mm2의 구획 내에서 관찰된 사세포 수의 평균 및 표준 편차(n=3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3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펩티드에 30μM의 농도에 있어서의 인간 간암 유래 HepG2 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낸다. 횡축은, 각각, YS12, GT-11268, GT-11261, GT-11274, GT-11259, GT-11260, GT-11280, GT-11303, GT-11304, GT-11305, GT-11306, GT-11307, GT-11308, GT-11309, PBS(-) 처치 및 무처치를 나타낸다. 종축은, 1mm2의 구획 내에서 관찰된 사세포 수의 평균 및 표준 편차(n=3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3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펩티드에 15μM의 농도에 있어서의 인간 간암 유래 HepG2 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낸다. 횡축은, 각각, YS12, GT-11268, GT-11261, GT-11274, GT-11259, GT-11260, GT-11280, GT-11303, GT-11304, GT-11305, GT-11306, GT-11307, GT-11308, GT-11309, PBS(-) 처치 및 무처치를 나타낸다. 종축은, 1mm2의 구획 내에서 관찰된 사세포 수의 평균 및 표준 편차(n=3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38은 여러 가지의 합성 펩티드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WST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의 저해율을 나타낸다. 횡축은, 시험한 약제를 나타낸다. 결과는, 3개의 웰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39는 여러 가지의 합성 펩티드의 인간 백혈병 유래 ATL-2 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WST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의 저해율을 나타낸다. 횡축은, 시험한 약제를 나타낸다. 결과는, 3개의 웰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0은 여러가지 합성 펩티드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시험 개시 시의 종양 체적을 100%로 했을 경우의 각 시점에 있어서의 상대 종양 체적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대조는, 생리 식염수 투여이다. 결과는, 마우스 3 내지 5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1은 각 화합물의 CFU-E 형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형성된 CFU-E 수를 나타내고, 횡축은, 각각, (-)Epo:Epo 첨가 없음, Control:Epo만 첨가, GT-11269:Epo+GT-11269(100μM) 첨가, GT-11309:Epo+GT-11309(100μM) 첨가를 나타낸다. 결과는, 2개의 웰(10군데/웰)로부터 계측하여 작성한 상자 수염 그림으로 나타낸다.
도 42는 GT-11309의 Epo 의존성 암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WST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좌측 패널은, 0 내지 10U/mL의 Epo 존재 하에서의 인간 백혈병 유래 UT-7 세포의 증식성을 나타내고, 종축은, 450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우측 패널은, 1U/mL의 Epo 존재 하에서의 항Epo 항체(클론 R6), 항EpoR 항체(클론 713210) 혹은 GT-11309(각 항체는 1 내지 100μg/mL, GT-11309은 10 내지 100μM)의 첨가에 의한 UT-7 세포 증식에 대한 저해율을 나타낸다. 횡축은 시험한 약제를 나타낸다. 결과는, 3개의 웰의 평균±표준 편차로 나타낸다.
도 43은 GT-11269, GT-11309 및 GT-11350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WST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의 저해율을 나타낸다. 횡축은, 시험한 약제 및 그 농도(μM)을 나타낸다. 결과는, 3개의 웰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4는 GT-11350의 인간 유방암 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ATP량을 지표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각의 패널은 HCC1395(좌측) 및 HCC1806(우측)의 결과를 나타낸다. 각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농도에 있어서의 저해율을 나타내고, 횡축은, 시험한 농도(M)를 나타낸다. 결과는, 3개의 웰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5는 합성 펩티드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부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시험 개시 시의 종양 체적을 100%로 했을 경우의 각 시점에 있어서의 상대 종양 체적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하부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각 시점에 있어서의 체중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대조는, 생리 식염수 투여이다. 결과는, 마우스 4 내지 5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6은 합성 펩티드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종양 조직 체적당의 FVIII 양성 세포수를 세포 사이즈로 나누어서 나타내고, 횡축은, 각각, φ(세포 직경)> 50μm(large), 50μm>φ>10μm(medium), 10μm>φ(capillary)의 세포 사이즈를 나타낸다. 결과는, 마우스 3 내지 4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7은 합성 펩티드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헤마토크리트값(상부 패널) 및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하부 패널)를 나타내고, 횡축은, 피검 화합물을 나타낸다. 결과는, 마우스 3 내지 5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48은 GT-11350의 CFU-E 형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형성된 CFU-E수를 나타내고, 횡축은, 피검 화합물을 나타낸다. 결과는, 2개의 웰(10 군데/웰)로부터 계측하여 작성한 상자 수염 그림으로 나타낸다.
도 49는 각 용량(0.1mg, 0.2mg 및 0.4mg/일)의 GT-11350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부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시험 개시 시의 종양 체적을 100%로 했을 경우의 각 시점에 있어서의 상대 종양 체적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하부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각 시점에 있어서의 체중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대조는, 생리 식염수 투여이다. 결과는, 마우스 6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50은 GT-11350의 인간 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헤마토크리트값(상부 패널) 및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하부 패널)를 나타내고, 횡축은, 피검 화합물을 나타낸다. 결과는, 마우스 6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도 51은 1일 3회 및 1일 1회의 GT-11350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부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시험 개시 시의 종양 체적을 100%로 했을 경우의 각 시점에 있어서의 상대 종양 체적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하부 패널에 있어서, 종축은, 각 시점에 있어서의 체중을 나타내고, 횡축은, 투여 개시일부터의 경과일수를 나타낸다. 대조는, 생리 식염수 투여이다. 결과는, 마우스 6마리의 평균±표준 오차로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를 최선의 형태를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 단수형의 표현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그 복수형의 개념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수형의 관사(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는 "a", "an", "the" 등)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그 복수형의 개념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외에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문 용어 및 과학 기술 용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모순될 경우, 본 명세서(정의를 포함하여)가 우선한다.
(정의)
이하에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 및/또는 기본적 기술 내용을 적절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티드"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되며, 복수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중합체 및 그 수식체인 화합물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티드의 배열을 기재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N 말단(아미노 말단)을 좌측에, C 말단(카르복시 말단)을 우측에 배치한다. 예를 들어 AGTCI(알라닌-글리신-트레오닌-시스테인-이소류신)의 배열로 표현되는 펩티드에 있어서, 알라닌의 아미노기는 유리된 상태이며, 알라닌의 카르복실기는 글리신의 아미노기와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고, 이소류신의 아미노기는 시스테인의 카르복실기와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고, 이소류신의 카르복실기는 유리된 상태이다. 펩티드의 배열 말단에 화학기가 존재하는 경우, 펩티드 서열의 말단 아미노산의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실기와 그 화학기가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CH3-CO-SCHFGPLTWVCK-NH2의 구조에 있어서, N 말단의 세린의 아미노기는 CH3-CO-기와 결합을 형성하고 있고, C 말단의 리신 카르복실기는 -NH2기와 결합을 형성하고 있다. 수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틸화, 알킬(예를 들어 메틸)화, 할로겐(예를 들어 플루오로, 클로로) 치환 알킬(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틸)화, 알콕실(예를 들어 메톡실)화, 히드록시 루화, 할로겐화, 벤조티아졸릴화, 2 환(예를 들어 나프틸)화 및 헤테로환화(예를 들어 퀴놀릴화)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이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되고, 적혈구계 줄기 세포(전구 세포)에 작용하여 분화 유도를 자극하고, 적혈구 산생을 촉진하는 분자량 34,000 내지 46,000의 당 단백 호르몬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은, EPO 또는 Epo로도 표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되고, 에리트로포이에틴이 결합하는 수용체를 가리키고, 적혈구 이외에, 골수 세포, 백혈구, 말초·중추 신경 상에서 발현되고, EPO가 적혈구 상의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와 결합하면, 야누스키나아제 2(JAK2)를 활성화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는, EpoR로도 표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서의 "알킬기"는,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혹은 분지쇄 포화 히드로카르빌기를 가리킨다. 알킬기는, 대표적으로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C1-3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C1-4 알킬기의 예로서는, 전술한 C1-3 알킬기, 그리고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및 tert-부틸기를 수 있다. C1-6 알킬기의 예로서는, 전술한 C1-4 알킬기, 그리고 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추가예로서는, 헵틸기, 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알킬렌기"는, "알킬기"로부터 추가로 수소를 1개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2가기이다. 알킬렌기의 구체예로서는, -CH2-, -CH2CH2-, -(CH2)3-, -CH2CH(CH3)-, -(CH2)4-, -CH2CH2CH(CH3)-, -CH2CH(CH3)CH2-, -(CH2)5-, -CH2CH2CH2CH(CH3)-, -CH2CH2CH(CH3)CH2-, -(CH2)6-, -(CH2)7-, -(CH2)8-, -(CH2)9 및 -(CH2)10-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서의 "알케닐기"는,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직쇄 혹은 분지쇄 히드로카르빌기를 가리킨다. 알케닐기는, 대표적으로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고,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은, 내부(예를 들어 2-부테닐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이어도, 말단(예를 들어 1-부테닐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이어도 좋다. C2-4 알케닐기의 예로서는, 에테닐기(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부타디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C2-6 알케닐기의 예로서는, 전술한 C2-4 알케닐기, 그리고 펜테닐기, 펜타디에닐기, 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의 추가예로서는, 헵테닐기, 옥테닐기, 옥타 트리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알케닐렌기"는, "알케닐기"로부터 추가로 수소를 1개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2가기이다. 알케닐렌기의 구체예로서는, -CH=CH-, -CH=CH-CH2-, -CH=CH(CH2)2-, -CH2-CH=CH-CH2-, -CH=C(CH3)-CH2-, -CH=CH-CH=CH-, -CH=CH-(CH2)3-, -CH=CH-CH=CH-CH2-, -CH=CH-(CH2)4-, -CH=CH-(CH2)5-, -CH=CH-(CH2)6-, -CH=CH(CH2)7- 및 -CH=CH-(CH2)8-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알콕실기"는, -0-알킬의 1가기이다. 알콕실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C1-6 알콕실기 (즉, C1-6 알킬-0-), C1-4 알콕실기 (즉, C1-4 알킬-0-) 등을 들 수 있다. C1-4 알콕실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톡실기(CH30~), 에톡실기(CH3CH20-), n-프로폭실기(CH3(CH2)20-), 이소프로폭실기 ((CH3)2CHO-), n-부톡실기(CH3(CH2)30-), 이소부톡실기((CH3)2CHCH20-), tert-부톡실기 ((CH3)3CO-), sec-부톡실기(CH3CH2CH(CH3)0-) 등을 들 수 있다. C1-6 알콕실기의 구체예로서는, C1-4 알콕실기, n-펜틸옥실기(CH3(CH2)40-), 이소펜틸옥실기 ((CH3)2CHCH2CH20-), 네오펜틸옥실기 ((CH3)3CCH20-), tert-펜틸옥실기(CH3CH2C(CH3)20-), 1,2-디메틸프로폭실기(CH3CH(CH3)CH(CH3)0-)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지방족기"는, 알킬기, 알케닐기 및 알키닐기를 가리키고, 환상 탄화 수소기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헤테로 지방족기"는, 지방족기 중의 일부가 헤테로 원자(예를 들어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등)로 치환된 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아릴기"는, 환의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이며, 모든 환 원자가 탄소인, 단일 방향환 또는 축합 다환계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아릴기는, 6 내지 26개의 탄소 원자(6 내지 26원),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6 내지 20원),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6 내지 14원)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6 내지 12원)을 가질 수 있다. 아릴기는, 페닐기를 포함한다. 또한 아릴기는, 적어도 하나의 환이 방향족이며, 다른 환은 방향족이어도 방향족이 아니어도 좋은,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축합 다환계(예를 들어 2, 3 또는 4개의 환을 포함하는 환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축합 다환계는, 축합 다환계가 임의의 탄소환 부분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예를 들어 1, 2 또는 3개)의 옥소기에 의해 임의 선택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축합 다환계의 환은, 가수의 요건이 허용할 경우, 축합, 스피로 및 가교 결합을 개재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전형적인 아릴기로서, 페닐기, 인데닐기, 나프틸기,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기, 안트릴기, 피레닐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헤테로아릴기"는, 환 중에 적어도 1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단일 방향환 또는 축합 다환계를 가리키고, 그 헤테로 원자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헤테로아릴기는, 대표적으로는, 5 내지 26원일 수 있고,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5 내지 20원, 5 내지 14원, 5 내지 12원 또는 5 내지 10원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환 중에 약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 1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단일 방향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으로서,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옥사졸릴기, 푸릴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황 및 질소 원자는 또한, 환이 방향족이면, 산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또한, 앞서 정의한 헤테로아릴기가, 헤테로아릴(예를 들어 나프티리디닐, 예를 들어 1,8-나프티리디닐을 형성한다), 복소환(예를 들어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티리디닐, 예를 들어 1,2,3,4-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디닐을 형성한다), 탄소환(예를 들어 5,6,7,8-테트라히드로퀴놀릴을 형성한다) 및 아릴(예를 들어 인다졸릴을 형성한다)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환과 축합하여, 축합 다환계를 형성할 수 있는, 축합 다환계(예를 들어 2, 3 또는 4개의 환을 포함하는 환계)를 포함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헤테로아릴기(단일 방향환 또는 축합 다환계)는, 헤테로아릴환 중에 약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약 1 내지 6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다. 이러한 축합 다환계는, 축합환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 부분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의 옥소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축합 다환계의 환은, 가수의 요건이 허용할 경우, 축합, 스피로 및 가교 결합을 개재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축합 다환계의 개개의 환은, 서로에 대하여 임의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상기 축합 다환계의 결합점은, 축합 다환계의 헤테로아릴, 복소환, 아릴 또는 탄소환 부분을 포함한 축합 다환계가 임의의 위치, 그리고 탄소 원자 및 헤테로 원자(예를 들어 질소)를 포함한 축합 다환계가 임의의 적절한 원자에 존재할 수 있는 것다도 이해하기 바란다. 예시적인 헤테로아릴기로서, 퀴놀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피리딜기, 피롤릴기, 피라지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피라졸릴기, 티에닐기, 인돌릴기, 이미다졸릴기, 옥사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티아졸릴기, 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이소퀴놀릴기, 벤조옥사졸릴기, 인다졸릴기, 퀴녹살릴기, 퀴나졸릴기, 5,6,7,8-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벤조푸라닐기, 벤조이미다졸릴기, 티아나프테닐기, 피롤로[2,3-b]피리디닐기, 퀴나졸리닐-4(3H)-온기, 트리아졸릴기, 4,5,6,7-테트라히드로-1H-인다졸기 및 3b,4,4a,5-테트라히드로-1H-시클로프로파[3,4]시클로펜타[1,2-c]피라졸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별도로 지정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서의 "할로" 또는 "할로겐"은, 불소(플루오로), 염소(클로로), 브롬(브로모) 또는 요오드(요오드)를 가리킨다.
별도로 지정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서의 "할로알킬기"는, 수소 원자 중 1개 이상이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할로알킬기의 예로서는, -CCl3-CFCl2-CF2Cl-CCl2CCl3-CH2F-CHF2-CH2Cl-CH2Br-CH(Cl)CH2Br-CH2CH(F)CH2Cl 등을 들 수 있다. "할로알케닐기", "할로알키닐기" 및 "할로 지방족기"등도, 전술한 "할로알킬기"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서의 "탄소환" 또는 "탄소환식기"란, 완전히 포화하고 있거나 또는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포함하지만, 방향족이 아닌 단환식, 2환식, 3환식 또는 그것을 초과하는 다환식의 탄화 수소기를 가리킨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소환식기는, 단환식의 C3-9 탄화 수소기, 2 환식의 C8-12 탄화 수소기 또는 3환식의 C10-16 탄화 수소기일 수 있다. 상기 탄소환식기에 있어서의 임의의 개별의 환은, 3 내지 7개의 환 원자를 가질 수 있다. 탄소환식기의 예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노닐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시클로프로페닐기, 시클로부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헵테닐기, 시클로옥테닐기, 시클로노네닐기 등의 시클로알케닐기 및 시클로프로피닐기, 시클로부티닐기, 시클로펜티닐기, 시클로헥시닐기, 시클로헵티닐기, 시클로옥티닐기, 시클로노닐기 등의 시클로알키닐기, 그리고,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탄소환식기에 있어서는, 가능한 경우, 어느 환 원자가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해도 좋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경우, 단독 또는 다른 기의 일부로서의 "복소환", "복소환기" 또는 "복소환식기"는, 그 환계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환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완전히 포화되어 있거나 또는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포함하지만 방향족이 아닌, 단환식, 2환식, 3환식 또는 그것을 초과하는 다환식의 환계를 가리킨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소환" 또는 "복소환식기"는, 3 내지 14개의 환 원자를 가지며, 여기서, 1개 이상의 환 원자는, 산소, 황, 질소 또는 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이며, 그 환계에 있어서의 각 환은, 3 내지 8개의 환 원자를 포함한다.
복소환식기의 예로서는, 2-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 3-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 2-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기, 3-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기, 2-모르폴리노기, 3-모르폴리노기, 4-모르폴리노기, 2-티오모르폴리노기, 3-티오모르폴리노기, 4-티오모르폴리노기, 1-피롤리디닐기, 2-피롤리디닐기, 3-피롤리디닐기, 1-테트라히드로피페라지닐기, 2-테트라히드로피페라지닐기, 3-테트라히드로피페라지닐기, 1-피페리디닐기, 2-피페리디닐기, 3-피페리디닐기, 1-피라졸리닐기, 3-피라졸리닐기, 4-피라졸리닐기, 5-피라졸리닐기, 1-피페리디닐기, 2-피페리디닐기, 3-피페리디닐기, 4-피페리디닐기, 2-티아졸리디닐기, 3-티아졸리디닐기, 4-티아졸리디닐기, 1-이미다졸리디닐기, 2-이미다졸리디닐기, 4-이미다졸리디닐기, 5-이미다졸리디닐기 등의 단환, 그리고 3-1H-벤즈이미다졸-2-온기, 3-(1알킬)-벤즈이미다졸-2-온기, 인돌리닐기,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기,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기, 벤조티올란기, 벤조디티안기 및 1,3-디히드로-이미다졸-2-온기 등의 2환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소환식기에 있어서는, 가능한 경우, 어느 환 원자가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해도 좋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불포화"는, 어떤 부분이,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헤테로 지방족기", "복소환", "복소환식기", "헤테로아릴기" 및 "아릴렌기"가 치환되어 있는 경우, 치환 가능하면, 헤테로 원자 상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어떤 기가 "치환되어 있는", 경우, 그 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수소 이외의 기(치환기)로 치환되고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치환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1개 또는 복수이다. 또한, 특별히 지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각각의 기의 설명은 그 기가 다른 기의 일부분 또는 치환기일 경우에도 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C1-6 알킬기가 있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 그 치환기의 탄소 수는, 그 알킬기의 탄소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산"이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되고, 카르복실기 및 아미노기를 하나의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대표적으로는, 아미노산은, α아미노산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β아미노산 및 γ아미노산 등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의 거리가 보다 이격된 아미노산이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나타내지 않으면, 아민산은, L체의 광학 이성체를 나타내고, D체일 경우에는, 최초에 D(혹은, d)를 부치거나(예를 들어 D-Ala (혹은, d-Ala)) 또는 소문자의 알파벳(예를 들어 a)으로 나타낸다. 이하에 아미노산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지만, 그 밖의 아미노산도 본 명세서에서 기도된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에 기재되는 것 이외의 예시적 아미노산으로서, 호모프롤린, 페닐글리신, 페네틸글리신, α-나프틸알라닌, β-나프틸알라닌, β-호모트립토판, 퀴놀릴알라닌, 호모시스테인, 페니실라민, 사르코신, 오르니틴, 시트룰린, 히드록시프롤린, 그리고 상기 천연형 아미노산의 수식체(수식 아미노산) 및 비천연형 아미노산의 수식체(수식 아미노산)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2
또 다른 아미노산으로서, 이하의 수식 아미노산도 들 수 있다.
·NH2-CH(R')-COOH[식 중, R’은, (결합, 혹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예를 들어 C1-5))-(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예를 들어 C1-3),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메톡실기(예를 들어 C1-3),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예를 들어 5 내지 18원환, 및/또는 단환, 2환 혹은 3환식))의 구조를 갖는다]
·NH2-CH(R')-COOH[식 중, R’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예를 들어 C1-5))이다]
Figure pct00003
[식 중, R’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예를 들어 C3-8)이다]
·NH2-CH(R)-COOH [식 중, R’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예를 들어 C1-8))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중 어느 1개의 탄소 원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SH를 가져도 된다]
·NH2-CH(R')-COOH [식 중, R’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예를 들어 C1-10))이며, 여기서, 임의의 1, 2 또는 3개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존적 치환"이란, 펩티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을 다른 성질의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것을 가리키고, 펩티드의 성질은 보존적 치환 전후에서 유사하다는 것이 예측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존적 치환은, 이하의 아미노산 군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을 같은 군 내의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것이다.
·군 1: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
·군 2: 세린 및 트레오닌
·군 3: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및 호모트립토판, 페닐글리신, 페네틸글리신, 벤조티아졸릴알라닌, α-나프틸알라닌, β-나프틸알라닌, 퀴놀릴알라닌, 피리딜알라닌, 벤조피라졸릴알라닌 및 그 방향환 상의 1개 또는 2개의 수소 원자가 메틸기, 메톡실기, 히드록실기 혹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아미노산
·군 4: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및 오르니틴
·군 5: 시스테인, 메티오닌, 호모시스테인 및 페니실라민
·군 6: 프롤린 및 호모프롤린
·군 7: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군 8: 글루타민 및 아스파라긴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존적 치환은, 원래의 아미노산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CH2-부분의 제거, 아미노산 중 어느 1개의 부분에 대한 -CH2-또는 -CH3 부분의 부가, 원래의 아미노산 중 어느 1개의 수소 원자의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알콕실기(예를 들어 메톡실기), 히드록실기 혹은 할로겐 원자에 의한 치환 또는원의 아미노산 중의 방향환의 어느 한 위치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 1개의 제거 또는 부가에 의한 환의 축소 또는 확대 중 어느 것의 수식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에 의해 치환하는 것이다.
보존적 치환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에 있어서도,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이 원래의 펩티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티드에 대해서 "디술피드 결합"이란, 1개의 펩티드 분자 내에 형성되는 S-S 결합을 가리킨다. 전형적으로는, 디술피드 결합은, 2개의 시스테인 잔기에 각각 존재하는 황 원자끼리의 사이에 형성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펩티드 분자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황 원자간의 결합이 디술피드 결합이라고 칭해진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펩티드 분자 내의 디술피드 결합은, 펩티드의 측쇄에 존재하는 황 원자 사이에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약 성분"이란, 의약을 구성할 수 있는 임의의 성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유효 성분(그 자체가 약효를 나타내는 것), 첨가 성분(그 자체는, 약효를 기대되지 않고 있지만, 의약으로서 포함되는 경우 일정한 역할(예를 들어 부형제, 활택제, 계면 활성제 등)을 행하는 것이 기대되는 성분), 아쥬반트(유효 성분의 약효를 증강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의약 성분은, 단독의 물질이어도 좋고, 복수의 물질이나 제의 조합이어도 좋다. 유효 성분과 첨가 성분과의 조합, 아쥬반트와 유효 성분과의 조합 등의 임의의 조합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효 성분"은, 의도되는 약효를 발휘하는 성분을 말하며, 단독 또는 복수의 성분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첨가 성분"이란, 약효를 기대하고 있지 않지만, 의약으로서 포함되는 경우 일정한 역할을 하는 임의의 성분을 말하며,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캐리어, 희석제, 부형제, 완충제, 결합제, 폭파제, 희석제, 향미료, 윤활제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의약 성분은 정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제되었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중량%의, 동형의 생물학적 인자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검체(자)"란, 본 개시의 치료 등의 대상이 되는 대상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제", "제" 또는 "인자"(모두 영어에서는 agent에 상당한다)은, 광의로는,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어떤 물질 또는 다른 요소(예를 들어 광, 방사능, 열, 전기 등의 에너지)이어도 좋다. 그러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단백질, 폴리펩티드, 올리고펩티드, 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티드, 핵산(예를 들어 cDNA, 게놈 DNA와 같은 DNA, mRNA와 같은 RNA를 포함한다),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지질, 유기 저분자(예를 들어 호르몬, 리간드, 정보 전달 물질, 유기 저분자, 콤비너토리얼 케미스트리로 합성된 분자, 의약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저분자(예를 들어 저분자 리간드 등) 등), 이들의 복합 분자를 들 수 있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료"란, 어느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해서, 그러한 상태로 된 경우에, 그러한 질환 또는 장애의 악화를 방지, 바람직하게는 현 상황 유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감,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실 또는 퇴치시키는 것을 말하며, 환자의 질환, 혹은 질환에 수반하는 1개 이상의 증상의, 증상 개선 효과 혹은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사전에 진단을 하여 적절한 치료를 행하는 것은 "컴패니언 치료"라고 하며, 그것을 위한 진단약을 "컴패니언 진단약"이라고 하는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료약(제)"란, 광의로는, 목적의 상태를 치료할 수 있는 모든 약제를 말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치료약"은, 유효 성분과,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1개 혹은 그 이상의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어도 좋다. 의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효 성분과 상기 담체를 혼합하고, 제제학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알려지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치료약은,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사용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유효 성분 단독이어도 좋고, 유효 성분과 임의의 성분과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담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체 또는 액체(예를 들어 완충액)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방"이란, 어느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해서, 그러한 상태가 되기 전에, 그러한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개시의 약제를 사용하여, 진단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본 개시의 약제를 사용하여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을 하거나, 혹은 예방을 위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방약(제)"란, 광의로는, 목적의 상태를 예방할 수 있는 모든 약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키트"란, 통상 2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고, 제공되어야 할 부분(예를 들어 검사약, 진단약, 치료약, 표지, 설명서 등)이 제공되는 유닛을 말한다. 안정성 등 때문에, 혼합되어 제공되지 않아야 하고,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할 때에, 이 키트의 형태는 바람직하다. 그러한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제공되는 부분(예를 들어 검사약, 진단약, 치료약)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혹은, 시약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기재하는 지시서 또는 설명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시서"는, 본 개시를 사용하는 방법을 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것이다. 이 지시서는, 본 개시의 의약 등을 투여하는 것을 지시하는 문언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지시서에는, 투여 형태(예를 들어 경구, 주사 등에)를 지시하는 문언이 기재되어 있어도 좋다. 이 지시서는, 본 개시가 실시되는 국가의 감독 관청(예를 들어 일본이라면 후생 노동성, 미국이라면 식품 의약품국(FDA) 등)이 규정한 양식에 따라 작성되고, 그 감독 관청에 의해 승인을 받았다는 것이 명기된다. 지시서는, 소위 첨부 문서(package insert)이며, 통상은 종이 매체로 제공되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자 매체(예를 들어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홈페이지, 전자 메일)와 같은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진단"이란, 피검체에 있어서의 질환, 장애, 상태 등에 관련하는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동정하고, 그러한 질환, 장애, 상태의 현 상황 또는 미래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협의로는, "진단"은, 현 상황을 진단하는 것을 말하지만, 광의로는 "조기 진단", "예측 진단", "사전 진단"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의약 등으로서의 처방 수순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 공지이며, 예를 들어 일본 약전, 미국 약전, 다른 국가의 약전 등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있으면, 과도한 실험을 하지 않고, 사용해야 할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
이하에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 제공되는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보다 좋은 이해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는 이하의 기재로 한정되어야 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 중의 기재를 참작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이들 실시 형태에 대해서, 당업자는 적절히, 임의의 실시 형태를 조합할 수 있다.
<항EpoR 펩티드의 구조>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항EpoR 펩티드를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는,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과 비교하여 1개 이상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서, 예를 들어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에 기초하는 수식 펩티드에 관한다. 수식 펩티드는, -[SCHFGPLTWVCK]-라고 하는 기본 구조를 가지며, 그 구조를 갖는 펩티드에 기초하는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수식 펩티드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의 염은,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이 임의의 부분(펩티드의 아미노 말단 및 카르복시 말단 포함)에 적어도 하나의 수식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식, 혹은 3개의 수식 또는 4개의 수식 혹은 수식의 수식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는,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에 있어서의 아미노 말단, 카르복시 말단, F 및 W에 대응하는 부분 중 1개, 2 개, 3 개 또는 전부에 수식을 포함한다.
다른 국면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이하의 식(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식(I):
X1-SCH(A1)(A2)(A3)(A4)(A5)(A6)V(A7)(A8)-X2(서열 번호 1)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은, -NH-CH(RA1)-CO-이며, 식 중, RA1은, (결합, 혹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구조를 갖는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은, -NH-CH(RA1)-CO-이며, 식 중, RA1은, -(결합, 혹은 C1-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콕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5 내지 18원의 단환, 2 환 혹은 3환식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며, 여기서,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수의 상기 치환기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상에 존재해도 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은, -NH-CH(RA1)-CO-이며, 식 중, RA1은, (결합, 혹은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콕실기(예를 들어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단환 혹은 2환식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예를 들어 벤젠, 나프탈렌, 피리딘, 티오펜 또는 벤조티오펜))이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은, Met, 혹은 메틸기,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Phe, Tyr, 페닐글리신 또는 페네틸글리신이며, 여기서, 임의의 위치 또한 임의의 수의 메틸기,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혹은 히드록실기가 방향환 상에 존재해도 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에 있어서의 방향환상의 메틸기,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혹은 히드록실기는, 메타 위치(m-), 파라 위치(p-) 또는 이들의 조합 (3,4-) 상에 존재해도 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은, Phe, Tyr, p-플루오로-Phe, p-클로로-Phe, m-클로로-Phe, 3,4-디플루오로-Phe, 페닐글리신 또는 페네틸글리신이다. 어떠한 이론에 속박되는 것을 요망하는 것은 아니지만, 항EpoR 펩티드가 EpoR와 결합했을 때, A1의 잔기는 EpoR의 지용성 포켓에 상당하는 위치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항EpoR 펩티드에 있어서, A1이, p-플루오로-Phe, Tyr, 페네틸글리신 또는 클로로 치환 Phe일 경우에 비교적 높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A1의 잔기와 EpoR 사이에서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A1에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2은, -NH-CH(RA2)-CO-이며, 식 중, RA2은, -(H, 혹은 C1-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2은, Ala, D-Ala 또는 Gly이다. A2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3은, -NH-CH(RA3)-CO-이며, 식 중, RA3은, -(H, 혹은 C1-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3은,
Figure pct00004
이며, 여기서의 RA3은, C3-8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3은, Pro, 호모프롤린 또는 Ala이다. A3에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바람직하게는, 식(I)의 펩티드는,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구조를 갖는 펩티드보다 개선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4은, -NH-CH(RA4)-CO-이며, 식 중, RA4은, -(H, 혹은 C1-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여기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중 어느 1개의 탄소 원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4은, Met, Leu, Ala 또는 Ile이다. 식(I)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는, A4은, Met 또는 Leu이다. A4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5은, -NH-CH(RA5)-CO-이며, 식 중, RA5은, -(H, 혹은 C1-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여기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중 어느 1개의 수소 원자는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5은, Thr 또는 Ala 다. A5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강한 EpoR 저해능, 높은 암세포 살상능, 낮은 정상 세포 살상능,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의 개선, 부작용의 저감, 특정한 부위에 대한 특이적인 이행능, 개선된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의 개선 및 높은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NH-CH(RA6)-CO-이며, 식 중, RA1은, (결합, 혹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콕실기(예를 들어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구조를 갖는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NH-CH(RA6)-CO-이며, 식 중, RA6은, -(결합, 혹은 C1-5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콕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5 내지 18원의 단환, 2환 혹은 3환식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며,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수의 상기 치환기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상에 존재해도 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NH-CH(RA6)-CO-이며, 식 중, RA6은, -(결합, 혹은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기)-(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C1-3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콕실기(예를 들어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5 내지 18원의 단환 혹은 2환식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예를 들어 벤젠, 인돌, 나프탈렌, 벤조티아졸 및 퀴놀린))이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Met, 혹은 메틸기, 메톡실기, 히드록실기 혹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Trp, Phe, Tyr, β-호모트립토판, 벤조티아졸릴알라닌, α-나프틸알라닌, β-나프틸알라닌 또는 퀴놀릴알라닌이며, 여기서, 임의의 위치 또한 임의의 수의 메틸기, 메톡실기, 히드록실기 혹은 할로겐 원자가 방향환 상에 존재해도 되고, 벤조티아졸릴알라닌은, 2-벤조티아졸릴알라닌, 4-벤조티아졸릴알라닌, 5-벤조티아졸릴알라닌, 6-벤조티아졸릴알라닌 또는 7-벤조티아졸릴알라닌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퀴놀릴알라닌은, 2-퀴놀릴알라닌, 3-퀴놀릴알라닌, 4-퀴놀릴알라닌, 5-퀴놀릴알라닌, 6-퀴놀릴알라닌, 7-퀴놀릴알라닌 또는 8-퀴놀릴알라닌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Trp, Met, β-호모트립토판, 2-벤조티아졸릴알라닌, α-나프틸알라닌, β-나프틸알라닌, 6-클로로-Trp, 5-클로로-Trp, 2-퀴놀릴알라닌 또는 8-퀴놀릴알라닌이다. 식(I)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Trp, Met, 8-나프틸알라닌, 2-퀴놀릴알라닌, 5-클로로-Trp 또는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이며,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일 수 있다. A6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7은, -NH-CH(RA7)-CO-이며, 식 중, RA7은, -(H, 혹은 C1-8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여기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중 어느 1개의 탄소 원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SH기를 갖는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7은, Cys, 호모시스테인 또는 페니실라민이다. A7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8은, -NH-CH(RA8)-CO-이며, 식 중, RA8은, -(C1-10의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식 중, 임의의 1, 2 또는 3개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이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8은, Lys, Arg 또는 비존재이다. A8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C(=O)R1이며, 여기서, R1은,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킬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키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COOH, 프로피오닐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조일기 혹은 페닐 아세틸기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Gly-Thr-Tyr, Thr-Tyr, Tyr, Phe, Ala, Trp 또는 이들의 아미노 말단이 직쇄 혹은 분지쇄 C1-5 아실기로 치환된 부분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벤조일기 또는 p-플루오로페닐아세틸기이다. X1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2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또는 -NR1 2이며, 여기서, 각 R1은,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킬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키닐,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동일한 원자에 결합한 2개의 R1은 하나가 되어서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을 형성하고,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2은, Pro-GIn-Gly, Pro-Gln, Pro 또는 이들의 카르복시 말단이 아미드로 치환된 부분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2은, NH2이다. X2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펩티드 중의 임의의 2개의 황 원자는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8 중의 황 원자가 다른 황 원자(예를 들어 아미노 말단으로 2번째의 Cys 중의 황 원자)와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다.
식(I)의 실시 형태에서는, A1 내지 A8, X1 및 X2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기도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식(I)에 있어서의 SCH(A1)(A2)(A3)(A4)(A5)(A6)V (A7)(A8)(서열번호 1)의 부분은, SCHFGPLTWVCK(서열 번호 2)의 구조로부터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또는 8개의 아미노산만큼 치환된 구조를 가지며,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SCHFGPLTWVCK(서열 번호 2)의 구조로부터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미노산만큼 치환된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식(I)에 있어서의 SCH(A1)(A2)(A3)(A4)(A5)(A6)V(A7)(A8)의 부분은, SCHFGPLTWVCK(서열 번호 2)의 구조로부터 A1, A6 또는 이들의 조합만이 치환된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식(I)에 있어서의 SCH(A1)(A2)(A3)(A4)(A5)(A6)V(A7)(A8)의 부분은, SCHFGPLTWVCK(서열 번호 2)가 아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Ac-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구조에 있어서의 -Ac, -NH2, F 및 W 중 1개, 2개, 3개 또는 전부에 수식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F 및/또는 W에 있어서의 수식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Ac-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보다 개선된 활성(예를 들어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Ac 및/또는 -NH2에 있어서의 수식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당해 수식을 포함하지 않는 펩티드의 활성(예를 들어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 등)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상기 -Ac, -NH2, F 및 W의 수식과는 독립적으로, Ac-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구조에 있어서의 -Ac, -NH2, F 및 W 이외의 아미노산에 수식을 포함하고, 이들의 수식은, 당해 수식을 포함하지 않는 펩티드의 활성(예를 들어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 등)을 유지한 채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열 번호 9에 있어서의 L을 A로 변경하도록 수식하면 펩티드의 친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상기 식(I)에 있어서의 SCH(A1)(A2)(A3)(A4)(A5)(A6)V(A7)(A8)(서열 번호 1) 부분의 각 아미노산이, 모두 D-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또한 아미노산의 순서가 반대로 된 구조를 가지며, X1 및 X2는 상기와 동일한 정의의 펩티드이다. 이러한 펩티드는, 예를 들어 대사에 있어서 다른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식(I)의 실시 형태에서는, A2은 Gly이며, A3은 Phe이며, A5은 Thr이며, A7은 Cys이며, 또한 또는 A8은 Lys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식(I)의 실시 형태에서는, A1은, Tyr, p-플루오로페닐알라닌 또는 페네틸글리신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Tyr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식(I)의 실시 형태에서는, A4은, Leu 또는 Met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Met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식(I)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Trp, Met, 8-나프틸알라닌, 2-퀴놀릴알라닌, 5-클로로-Trp 또는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일 수 있다. 하나의 보다 구체적인 식(I)의 실시 형태에서는, A6은,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이하의 식(II)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다.
식(II):
X1-kcvwtl(B1)Gfhcs-X2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다]
식(I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B1은, Gly 또는 D-프롤린이다. B1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C(=O)R1이며, 여기서, R1은,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킬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키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COOH, 프로피오닐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조일기 혹은 페닐 아세틸기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1은, Gly-Thr-Tyr, Thr-Tyr, Tyr, Phe, Ala, Trp 또는 이들의 아미노 말단이 직쇄 혹은 분지쇄 C1-5 아실기로 치환된 부분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는, 벤조일기 또는 p-플루오로페닐아세틸기이다. X1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식(II)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2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NR1 2이며, 여기서, 각 R1은,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킬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 혹은 분지쇄 C1-10 알키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동일한 원자에 결합한 2개의 R1은 하나가 되어서 R2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을 형성하고,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혹은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벤질,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2은, Pro-Gin-Gly, Pro-Gln, Pro 또는 이들의 카르복시 말단이 아미드로 치환된 부분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X2은, NH2이다. X2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구조를 갖는 항EpoR 펩티드는,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고 예측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상기에서 특정되는 구조를 갖는 펩티드에 있어서의 임의의 수(예를 들어 1, 2, 3, 4, 5 또는 6개)의 아미노산이 L체에서 D체로 치환된 펩티드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c-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에 있어서의 F 및 W 이외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이 D체다. 어떠한 이론에 속박되는 것을 요망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의 아미노산을 L체에서 D체로 치환함으로써 펩티드가 형성하는 시트 구조가 바뀌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D체 아미노산은 이 시트 구조를 유지하도록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L체가 D체로 치환된 펩티드도,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및 안정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이 원래의 펩티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Ac-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에 있어서의 F 및 W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이 D체일 수 있고,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펩티드의 활성이 변화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상기에서 특정되는 구조를 갖는 펩티드에 있어서의 임의의 수(예를 들어 1, 2, 3, 4, 5 또는 6개)의 아미노산이 보존적 치환된 펩티드이다. 이러한 보존적 치환을 포함하는 펩티드도, EpoR 저해능, 암세포 살상능, 정상 세포 살상능의 저감,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 부작용, 특정한 부위에 대한 이행능,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및 안정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이 원래의 펩티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이하의 구조 중 어느 것을 갖는 화합물이다(식 중, X1 및 X2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X1-SCHFGPLTWVCK-X2[서열 번호 2]
X1-SCH(p-플루오로-Phe)GPLTWVCK-X2
X1-SCH(p-클로로-Phe)GPLTWVCK-X2
X1-SCH(m-클로로-Phe)GPLTWVCK-X2
X1-SCH(3,4-디플루오로-Phe)GPLTWVCK-X2
X1-SCHYGPLTWVCK-X2[서열 번호 3]
X1-SCH(페닐글리신)GPLTWVCK-X2
X1-SCH(페네틸글리신)GPLTWVCK-X2
X1-SCHFAPLTWVCK-X2[서열 번호 4]
X1-SCHFaPLTWVCK-X2
X1-SCHFGALTWVCK-X2[서열 번호 5]
X1-SCHFG(호모프롤린)LTWVCK-X2
X1-SCHFGPATWVCK-X2[서열 번호 6]
X1-SCHFGPMTWVCK-X2[서열 번호 7]
X1-SCHFGPLTMVCK-X2[서열 번호 8]
X1-SCHFGPLT(6-클로로-Trp)VCK-X2
X1-SCHFGPLT(5-클로로-Trp)VCK-X2
X1-SCHFGPLT(β-호모트립토판)VCK-X2
X1-SCHFGPLT(α-나프틸알라닌)VCK-X2
X1-SCHFGPLT(β-나프틸알라닌)VCK-X2
X1-SCHFGPLT(8-퀴놀릴알라닌)VCK-X2
X1-SCHFGPLT(2-퀴놀릴알라닌)VCK-X2
X1-SCHF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X1-SCHFGPLTWV(호모시스테인)K-X2
X1-SCHFGPLTWV(페니실라민)K-X2
X1-SCH(3,4-디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X1-SCH(p-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X1-SCHY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X1-SCH(3,4-디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X2
X1-SCH(p-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X2X1-SCHYGPLT(2-퀴놀릴알라닌)VCK-X2
X1-SCH(3,4-디플루오로-Phe)GPLT(8-퀴놀릴알라닌)VCK-X2
X1-SCH(p-플루오로-Phe)GPLT(8-퀴놀릴알라닌)VCK-X2X1-SCHYGPLT(8-퀴놀릴알라닌)VCK-X2
X1-kcvwtlpGfhcs-X2
X1-kcvwtlGGfhcs-X2
X1-SCH(4-피리딜알라닌)GPLTWVCK-X2
X1-SCH(3-피리딜알라닌)GPLTWVCK-X2
X1-SCH(p-메톡시-Phe)GPLTWVCK-X2
X1-SCH(m-메톡시-Phe)GPLTWVCK-X2
X1-SCH(m-히드록시-Phe)GPLTWVCK-X2
X1-SCH(1-나프틸알라닌)GPLTWVCK-X2
X1-SCH(2-나프틸알라닌)GPLTWVCK-X2
X1-SCHF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X1-SCHFGPLT(3-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X1-SCHYGPM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X2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이하의 구조 중 어느 것을 갖는 화합물이다(식 중, Ac는 아세틸기이다).
Ac-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
(벤조일)-SCHFGPLTWVCK-NH2
(p-플루오로페닐아세틸)-SCHFGPLTWVCK-NH2
(프로피오닐)-SCHFGPLTWVCK-NH2
Ac-SCH(p-플루오로-Phe)GPLTWVCK-NH2
Ac-SCH(p-클로로-Phe)GPLTWVCK-NH2
Ac-SCH(m-클로로-Phe)GPLTWVCK-NH2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WVCK-NH2
Ac-SCHYGPLTWVCK-NH2[서열 번호 10]
Ac-SCH(페닐글리신)GPLTWVCK-NH2
Ac-SCH(페네틸글리신)GPLTWVCK-NH2
Ac-SCHFAPLTWVCK-NH2[서열 번호 11]
Ac-SCHFaPLTWVCK-NH2
Ac-SCHFGALTWVCK-NH2[서열 번호 12]
Ac-SCHFG(호모프롤린)LTWVCK-NH2
Ac-SCHFGPATWVCK-NH2[서열 번호 13]
Ac-SCHFGPMTWVCK-NH2[서열 번호 14]
Ac-SCHFGPLTMVCK-NH2[서열 번호 15]
Ac-SCHFGPLT(6-클로로-Trp)VCK-NH2
Ac-SCHFGPLT(5-클로로-Trp)VCK-NH2
Ac-SCHFGPLT(β-호모트립토판)VCK-NH2
Ac-SCHFGPLT(α-나프틸알라닌)VCK-NH2
Ac-SCHFGPLT(β-나프틸알라닌)VCK-NH2
Ac-SCHFGPLT(8-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FGPLT(2-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F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Ac-SCHFGPLTWV(호모시스테인)K-NH2
Ac-SCHFGPLTWV(페니실라민)K-NH2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Ac-SCH(p-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Ac-SCHY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p-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YGPLT(2-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8-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p-플루오로-Phe)GPLT(8-퀴놀릴알라닌)VCK-NH2
Ac-SCHYGPLT(8-퀴놀릴알라닌)VCK-NH2
Ac-kcvwtlpGfhcs-NH2
Ac-kcvwtlGGfhcs-NH2
Ac-SCH(4-피리딜알라닌)GPLTWVCK-NH2
Ac-SCH(3-피리딜알라닌)GPLTWVCK-NH2
Ac-SCH(p-메톡시-Phe)GPLTWVCK-NH2
Ac-SCH(m-메톡시-Phe)GPLTWVCK-NH2
Ac-SCH(m-히드록시-Phe)GPLTWVCK-NH2
Ac-SCH(1-나프틸알라닌)GPLTWVCK-NH2
Ac-SCH(2-나프틸알라닌)GPLTWVCK-NH2
Ac-SCHF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Ac-SCHFGPLT(3-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Ac-SCHYGPM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는, 보호기(예를 들어 포르밀기, 아세틸기 등의 C1-6 아실기 등)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보호기는, 분자 내의 아미노산 측쇄 상의 OH, NH2, SH 등에 도입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에는, 당쇄 또는 PEG쇄가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펩티드는, 염의 형태로 제공되어도 좋다. 염으로서는, 염기 부가염 및 산 부가염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이다. 산 부가염으로서, 예를 들어 무기산(예를 들어 염산, 인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과의 염, 유기산(예를 들어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염기 부가염으로서, 예를 들어 무기 염기(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암모늄 등)과의 염, 유기 염기(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 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는 용매화물의 형태이어도 좋다. 용매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글리세롤,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는, 프로드러그화되어 있어도 좋다. 프로드러그로서는, 생체 내의 생리 조건 하에서 효소적 반응(산화, 환원, 가수 분해 등) 또는 위산 등과의 반응을 일으켜 본 개시의 펩티드로 변환되는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프로드러그의 예로서, 본 개시의 펩티드의 아미노기가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된 화합물(예를 들어 에이코사노일화, 알라닐화, 펜틸아미노카르보닐화, (5-메틸-2-옥소-1,3-디옥솔렌-4-일)메톡시카르보닐화, 테트라히드로푸라닐화, 피롤리딜메틸화, 피발로일옥시메틸화, tert-부틸화된 화합물 등); 및 본 개시의 펩티드 수산기가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 붕산화된 화합물(예를 들어 아세틸화, 파르미토일화, 프로파노일화, 피발로일화, 숙시닐화, 푸마릴화, 알라닐화, 디메틸아미노메틸카르보닐화된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본 개시의 펩티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는, 공지된 펩티드의 합성법을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펩티드의 합성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고상 합성법, 액상 합성법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좋다. 즉, 본 개시의 펩티드를 구성할 수 있는 부분 펩티드 혹은 아미노산과 잔여 부분을 축합시키고, 생성물이 보호기를 갖는 경우는 보호기를 탈리함으로써 목적의 펩티드를 제조할 수 있다. 공지된 축합 방법이나 보호기의 탈리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1) 내지 (3)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1) 이즈미야 노부오 외, 펩티드 합성의 기초와 실험, 마루젠(주)(1985년)
(2) 실험 화학 강좌 제5판, 고분자 화학, 26권, 마루젠(주)(2007년)
(3) 노가미 야스요시 저 파트너 약품 제조학, 제2판, 난코도(2012년)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펩티드 합성에는, 통상 시판되는 펩티드 합성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을 기재로 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C 말단이 아미드화 되어 있는 펩티드를 얻기 위해서는 출발 원료의 수지로서, Fmoc-NH-SAL 수지(Rink amide 수지), MBHA 수지, Sieber amide 수지, PAL 수지, Ramage amide 수지 그리고 그것들의 아미노 관능기와 폴리스티렌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팽윤제나 링커를 도입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와, α-아미노기와 측쇄 관능기를 적당한 보호기(예를 들어 Boc, Fmoc)로 보호한 아미노산을 원료로서 사용하고, 목적으로 하는 펩티드의 배열대로, 공지된 각종 축합 방법에 따라 수지 상에서 축합시킨다. 반응의 마지막에 수지로부터 펩티드를 잘라냄과 동시에 각종 보호기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고희석 용액 중에서 분자 내 디술피드 결합 형성 반응을 실시하여, 목적으로 하는 펩티드를 취득한다. 보호기의 제거(탈리)나 수지로부터의 펩티드의 분리는,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의한 산 처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N 말단이 아실화되어 있는 펩티드는, 무수 아세트산 등과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수지로부터 분리된 조 펩티드는 공지된 각종 정제 수단을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펩티드 합성에 사용하는 아미노산
펩티드 합성에 사용하는 아미노산(천연 아미노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예를 들어 메르크, 와타나베 화학, Enamine Ltd., Bienta, ChemSpace, Sundia MediTech Company,Ltd., Combi-Blocks.Inc, AnalytiCon Discovery GmbH, PharmaBlock(Nanjing) R&D Co.,Ltd, Chemexpress Co.,Ltd., J&W Pharmlab,LLC, SAI Life Sciences Ltd, AstaTech, UkrOrgSyntez, Selleck Chemicals, WuXi AppTec, Vitas-M Laboratory,LTD., Bepharm, Life Chemicals Inc, Accela ChemBio Co.,Ltd., Apollo Scientific Ltd, NovoChemy Ltd, Key Organics Ltd(Bionet Research), Matrix Scientific, Toronto Reserch chemicals Inc., MAYBRIDGE, Chem-Impex International,Inc., Allychem, Pharmeks Ltd., Biorelevant, AOBChem, ACRO Biosystems, Maison Chemical, Advanced ChemBlocks,Inc., Bellen, Microsource Discovery Systems,Inc., Taros Chemicals GmbH&Co.KG, Senn Chemicals AG, Sinocompound Catalysts Co.,Ltd., Syngene International Ltd., BroadPharm, EDASA Scientific, Hi-tech chemistry corp. 등)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또한, 펩티드 합성에 사용하는 아미노산(천연 아미노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은, 당업자라면 임의의 공지된 합성법(예를 들어 스트레커 반응(Strecker, A.(1850 년). Ueber die kunstliche Bildung der Milchsaure und einen neuen,dem Glycocoll homologen Korper".Ann.75:27-45., Strecker,A.(1854년)."Ueber einen neuen aus Aldehyd-Ammoniak und Blausaure entstehenden Korper".Ann.91:349-351.))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펩티드 합성을 위해서, 소요되는 아미노산에 보호기(예를 들어 Boc 또는 Fmoc) 및/또는 표지(예를 들어 방사성 원자 또는 비오틴)을 도입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아미노산의 수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항EpoR 펩티드의 성능>
본 개시의 펩티드 성질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는,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와 비교하여 1개 이상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서, 예를 들어 인간 EpoR에 대한 보다 낮은 IC50, 암세포(예를 들어 HepG2 등의 암세포주)를 보다 저농도로 살상하는 능력, 정상 세포의 살상에 의해 고농도가 필요해지는 능력, 암세포를 보다 낮은 투여 빈도로 살상하는 능력, 특정한 부위(예를 들어 암 조직)로 보다 많이 이행하는 능력, 개선된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보관 시의 보다 높은 안정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질의 확인을 위한 시험은, 본 명세서의 기재를 참고로 하여, 배양 세포와의 접촉 시험, 동물 모델에 있어서의 투여 시험, 혈중 동태의 시험, 독성 평가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상기의 구조를 갖는 임의의 펩티드를 제작하고, 제작한 펩티드에 대해서 이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위에서 기재되는 것과 같은 특성의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를 특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120μM, 60μM, 30μM 또는 15μM의 당해 펩티드를 포함하는 용액 400μL 중에서 1.0 내지 1.5x103 개의 HepG2 세포를 24시간 반응 시킨 경우에, 1mm2의 구획 내의 TB(Trypan blue) 염색 양성 세포 수의 평균(예를 들어 10구획의 평균. 필요에 따라, n=2, 3 또는 보다 많은 레플리케이트간의 평균)이,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에 있어서의 결과와 동등하거나, 또는 이것을 상회하는 HepG2 세포 살상 능력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WST법에 의해 평가했을 경우에, 적어도 1종의 인간 암세포주(예를 들어 간암, 췌장암, 백혈병의 세포주)를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보다 강력하게 저해(예를 들어 살상)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간 암세포주와 150μM로 72시간 접촉시키고, WST법에 의해 평가했을 경우에,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보다 강력하게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ATP량을 지표로 세포 증식능을 평가했을 경우에, 적어도 1종의 인간 암세포주(예를 들어 유방암의 세포주)를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보다 강력하게 저해(예를 들어 살상)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간 암세포주와 30 또는 100μM로 72시간 접촉시키고, ATP량을 지표로 세포 증식능을 평가했을 경우에,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보다 강력하게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플레이트에 파종한 골수 세포(예를 들어 마우스)를 최종 농도 100μM의 항EpoR 펩티드 및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1U/mL)과 72시간 접촉시켰을 경우에,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1U/mL)만의 대조의 결과와 비교하여, CFU-E(Erythroid Colony Forming Unit)의 수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항EpoR 펩티드는, 약 5x106 세포의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ECACC, 96020930)를 우측 등부 피하에 이식한 6주령의 웅성 누드 마우스(BALB/cSlc-nu/nu)가, 종양 체적(V)=종양의 긴 직경(L)x 종양의 짧은 직경(W)2/2= 약 150 내지 200mm3에 달했을 때에 이 항EpoR 펩티드를 복강 내에 0.2mg/일로 주 2 혹은 3회의 레지멘으로 2 혹은 4주일 투여했을 경우에, 이하:
·비처치 대조와 비교하여 종양 체적 감소가 관찰되는 시기가, CH3-CO-SCHFGPLTWVCK-NH2(서열번호 9)의 펩티드 투여 시보다(예를 들어 1일 이상, 2일 이상, 3일 이상, 4일 이상, 5일 이상, 6일 이상 또는 7일 이상) 빠른,
·투여 개시 21일째의 종양 체적이, CH3-CO-SCHFGPLTWVCK-NH2(서열 번호 9)의 펩티드 투여 시 보다(예를 들어 약 10% 이상, 약 20% 이상, 약 30% 이상, 40%이상 또는 약 50%이상) 작은,
·투여 개시 21일째의 마우스 체중이, 비처치 대조와 비교하여 다르지 않는(예를 들어 대조와의 차이가, 10% 미만, 7% 미만, 5% 미만, 3% 미만, 2% 미만 또는 1% 미만),
·투여 개시 21일째의 헤마토크리트값이, 비처치 대조와 비교하여 다르지 않는(예를 들어 대조와의 차이가, 30% 미만, 20% 미만, 15% 미만, 10% 미만 또는 5% 미만),
·투여 개시 21 일째의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비처치 대조와 비교하여 다르지 않는(예를 들어 대조와의 차이가, 30% 미만, 20% 미만, 15% 미만, 10% 미만 또는 5% 미만),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펩티드는, 종양 세포 살상 효과가 확인되고, 이들 이외의 발견도 포함하여 고찰한 결과, 여러가지 질환(예를 들어 증식성 질환,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된다.
<조성물>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조성물은, 강한 EpoR 저해능, 높은 암세포 살상능, 낮은 정상 세포 살상능,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의 개선, 부작용의 저감, 특정한 부위에 대한 특이적인 이행능, 개선된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의 개선 및 높은 안정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조성물은, 증식성 질환,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임의의 첨가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 성분의 예로서, 예를 들어 캐리어,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용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무통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향미료, 흡착제, 습윤제를 들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당, 백당, D-만니톨, 전분,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탈크, 콜로이드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 백당, D-만니톨, 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자당, 젤라틴,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L-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주사 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 참깨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다. 용해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벤질,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 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등의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포도당, D-소르비톨, 염화 나트륨,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무통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히드록시 벤조산 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a-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조제된 주사액은 통상, 적당한 앰플에 충전된다. 투여 시에는, 주사용 조성물을 관용의 수성 희석제 중에 용해하여, 액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성 희석제로서는 포도당 수용액, 생리 식염수, 링거액, 영양 보급제액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에 인산 또는 그의 염이 포함되는 경우, 그 주사제 중의 인산 나트륨 혹은 인산 칼륨의 농도는 약 0.1mM 내지 500m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무균 제제로 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제조 전 공정을 무균으로 하는 방법, 감마선으로 멸균하는 방법, 방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키트는, (a)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형상 또는 동결 건조 형상으로 포함하는 용기와, 임의 선택으로, (b) 희석제 또는 재구성액을 포함하는 제2 용기와, 임의 선택으로, (c)설명서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키트는, (iii) 완충제, (iv) 희석제, (v) 필터, (vi) 바늘 및 (v) 시린지 중 1개 혹은 그것 보다 많이를 포함해도 좋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본 개시의 키트는, 본 개시의 키트를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한다. 적절한 용기로서, 예를 들어 병, 바이얼병(예를 들어 듀얼 챔버 바이얼), 시린지(듀얼 챔버 시린지 등) 및 시험관을 들 수 있다. 이 용기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여러가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본 개시의 키트는,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와는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용도>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이 용도는,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류머티즘, 켈로이드 또는 당뇨병 망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증식성 질환은, 자궁선근증, 악성 종양이나 양성 종양(예를 들어 원발성, 전이성 또는 재발성,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폐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두경부암(설암, 인두암, 후두암, 갑상선암), 뇌종양, 신경초종, 신경아종, 신경교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간암, 신장암, 담관암, 자궁암(자궁체암, 자궁경암), 난소암, 방광암, 피부암, 혈관종,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골종양, 혈관 섬유종, 망막 육종, 음경암, 소아 고형암, 카포시육종, AIDS에 기인하는 카포시육종, 상악동 종양, 섬유성 조직구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자궁근종, 골아 세포종, 골육종, 연골육종, 암성의 중피 종양, 백혈병 등의 종양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증식성 질환은, 폐암, 간암, 난소암, 췌장암, 신장암, 대장암, 흑색종, 뇌종양, 위암 및 유방암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식성 질환은, 유방암, 췌장암, 간암,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또는, 그 임의의 선택지로 이루어지는 하위 집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류, 포유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돼지, 원숭이, 인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혹은 키트의 사용 또는 임의의 적합한 용도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혹은 키트는, 강한 EpoR 저해능, 높은 암세포 살상능, 낮은 정상 세포 살상능, 낮은 투여 빈도에 있어서의 암세포 살상능 등의 약효의 개선, 부작용의 저감, 특정한 부위에 대한 특이적인 이행능, 개선된 흡수·분포·대사·배설 동태,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의 개선 및 높은 안정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는, 피검체에 있어서의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며,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해당 피검체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는,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자궁선근증)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사용을 제공한다.
함유량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약 0.1 내지 100중량%, 약 0.5 내지 50중량%, 약 1 내지 30중량%, 약 5 내지 20중량%, 약 10 내지 99.9중량%, 약 20 내지 90중량%, 약 0.1중량%, 약 0.2중량%, 약 0.5중량%, 약 1중량%, 약 2중량%, 약 5중량%, 약 10중량%, 약 20중량%, 약 50중량%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에 있어서,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약 10 내지 99.9중량% 또는 약 20 내지 90중량%일 수 있다.
투여 레지멘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1일당 체중 1kg 당의 본 개시의 펩티드로서 약 0.005 내지 50mg, 약 0.05 내지 10mg 또는 약 0.2 내지 4mg의 용량에 있어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투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 혹은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투여 빈도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일 3회, 1일 2회, 1일 1회, 격일, 3일에 1회, 4일에 1회, 5일에 1회, 격주, 2주일에 1회, 3주일에 1회, 4주일에 1회, 2개월에 1회, 3개월에 1회, 4개월에 1회, 5개월에 1회, 6개월에 1회 또는 1년에 1회의 빈도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 경로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투여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맥내, 국소, 근육내, 피하, 피내, 경피, 직장, 경질, 경구강 점막, 경폐 점막, 경비, 경안 또는 경구(경장) 등의 경로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제형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제, 주사제, 패치제, 마이크로니들, 좌제, 서방제, 정제(당의정, 필름 코팅정 포함), 산제, 과립제, 캡슐제(소프트 캡슐 포함) 등의 제형으로 만들 수 있다.
조합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는, 임의의 적합한 약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의 예로서, 예를 들어 내분비 요법약, 화학 요법제, 면역 요법제(BRM), 세포 증식 인자, 세포 증식 인자의 작용을 저해하는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내분비 요법약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스페스트롤, 디에틸스틸베스트롤, 클로로트리아니세린, 아세트산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 메게스트롤, 아세트산 클로르마디논, 아세트산 시프로테론, 다나졸, 알릴에스트레놀, 게스트리논, 메파르트리신, 라록시펜, 올메록시펜, 레보르메록시펜, 항에스트로겐(예, 시트르산 타목시펜, 시트르산 토레미펜 등), 필 제제, 메피티오스탄, 테스토로락톤, 아미노글루테티미드, LH-RH 아고니스트(예, 아세트산 고세렐린, 부세렐린, 류프로렐린 등), 드롤록시펜, 에피티오스타놀, 술폰산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아로마타아제 저해약(예, 염산 파드로졸,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엑세메스탄, 보로졸, 포르메스탄 등), 항안드로겐(예, 플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니루타미드등), 5-리덕타아제 저해약(예, 피나스테리드, 에프리스테리드 등), 부신 피질 호르몬계 약제(예,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등), 안드로겐 합성 저해약(예, 아비라테론 등),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의 대사를 늦추는 약제(예, 리아로졸 등)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요법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항암성 항생 물질, 식물 유래 항암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질소 머스타드, 염산 질소 머스타드-N-옥시드, 클로람부실,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티오테파, 카르보퀀, 토실산 임프로술판, 부술판, 염산 니무스틴, 미토브로니톨, 멜팔란, 다카르바진, 라니무스틴, 인산 에스트라무스틴 나트륨, 트리에틸렌멜라민,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스트렙토조신, 피포브로만, 에토글루시드, 카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미보플라틴, 네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알트레타민, 암바무스틴, 염산 디브로스피듐, 포테무스틴, 프레드니무스틴, 푸미테파, 리보무스틴, 테모졸로미드, 트레오 술판, 트로포스파미드, 지노스타틴스티말라머, 카르보퀀, 아도제레신, 시스테무스틴, 비제레신 등을 들 수 있다.
대사 길항제로서는, 예를 들어 머캅토퓨린, 6-머캅토퓨린리보시드, 티오이노신, 메토트렉세이트, 에노시타빈, 시타라빈, 시타라빈옥포스페이트, 염산 안시타빈, 5-FU계 약제(예, 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UFT, 독시플루리딘, 카르모푸르, 가로시타빈, 에미테푸르 등), 아미노프테린, 류코보린칼슘, 타블로이드, 부토신, 폴리네이트칼슘, 레보폴리네이트칼슘, 클라드리빈, 에미테푸르, 플루다라빈, 겜시타빈, 히드록시카르바미드, 펜토스타틴, 피리트렉심, 이독시우리딘, 미토구아존, 티아조푸린, 암바무스틴 등을 들 수 있다.
항암성 항생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액티노마이신 D, 액티노마이신 C, 마이토마이신 C, 크로모마이신 A3, 염산 블레오마이신, 황산 블레오마이신, 황산 페플로마이신, 염산 다우노루비신, 염산 독소루비신, 염산 아클라루비신, 염산 피라루비신, 염산 에피루비신,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미스라마이신, 사르코마이신, 카르시노필린, 미토탄, 염산 졸비신, 염산 미톡산트론, 염산 이다루비신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유래 항암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토포시드, 인산 에토포시드, 황산 빈블라스틴, 황산 빈크리스틴, 황산 빈데신, 테니포시드,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비노렐빈 등을 들 수 있다.
면역요법제(BRM)로서는, 예를 들어 피시바니르, 쿠레스틴, 시조피란, 렌티난, 우베니멕스, 인터페론, 인터류킨,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 인자,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림포톡신, BCG 백신, 코리네박테리움파르붐, 레바미졸, 폴리사카라이드 K, 프로코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세포 증식 인자로서는, 대표적으로는, 분자량이 20,000 이하의 펩티드이고, 수용체와의 결합에 의해 저농도로 작용이 발휘되는 인자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EGF 또는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활성을 갖는 물질(예, EGF(상피 증식 인자), 헤레굴린(HER3 및 HER4 리간드 ) 등), (2) 인슐린 또는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활성을 갖는 물질(예, 인슐린, IGF(인슐린님 증식 인자)-1, IGF-2 등], (3) FGF(섬유 아세포 증식 인자) 또는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활성을 갖는 물질(예, 산성 FGF, 염기성 FGF, KGF(케라티노사이트 증식 인자), FGF-10 등), (4) 그 밖의 세포 증식 인자(예, CSF(콜로니 자극 인자), IL-2, NGF(신경 성장 인자), PDGF(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TGF-B(형질 전환 증식 인자 3), HGF(간세포 증식 인자), VEGF(혈관 내피 증식 인자)등) 등을 들 수 있다.
세포 증식 인자의 작용을 저해하는 약제로서는, 헤르셉틴(HER2 리셉터 항체)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약제의 예로서, 예를 들어 L-아스파라기나아제, 아세글라톤, 염산 프로카르바진, 프로토포르피린·코발트 착염, 수은 헤마토포르피린·나트륨, 토포이소메라아제 I 저해약(예, 이리노테칸, 토포테칸 등), 토포이소메라아제 II 저해약(예를 들어 소부족산 등), 리아제 저해약, 엔도텔린 길향약(예, ABT-627등), 분화 유도제(예, 레티노이드, 비타민 D류 등), 혈관 신생 저해약, α-블로커(예, 염산 탐술로신 등),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예, 염산 피오글리타존, (말레산)로시글리타존, GI-262570, JTT-501, MCC-555, YM-440, KRP-297, CS-011, FK-614,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 부티르산, 안지오텐신 II 길향약(예, 로사르탄, 에프로사르탄,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마르탄 등) 발사르탄, 텔미사르탄, 이르베사르탄, 타소사르탄, 올메사르탄 및 이들의 활성 대사물등), 암 항원, DNA, 렉틴, 당질, 지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약제와의 사용 시에는, 그것들의 투여 시기는 한정되지 않고,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투여해도 되고, 시간 차를 두고 투여해도 된다. 본 개시의 펩티드 또는 그의 염 혹은 프로드러그의 투약량은, 투여 대상, 투여 루트, 질환, 조합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펩티드 혹은 그의 염, 그 용매화물 또는 그 프로드러그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약제와의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두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단일 제제의 투여, 따로따로 제제화해서 얻어지는 2종 이상의 제제의 동일 또는 다른 투여 경로에서의 동시 또는 시간 차를 두고의 투여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또는"은, 문장 중에 열거되어 있는 사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채용할 수 있을 때에 사용된다. "혹은"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개의 값"의 "범위 내"라고 명기했을 경우, 그 범위에는 2개의 값 자체도 포함한다.
(일반 기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분자 생물학적 방법, 생화학적 방법, 미생물학적 방법, 바이오 인포매틱스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공지이며, 주지이며 또는 관용되는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과학 문헌, 특허, 특허 출원 등의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각각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과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원용된다.
이상, 본 개시를,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 설명해 왔다.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설명 및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목적으로 제공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 형태로도 실시예로도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기재한다. 시약류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중에 기재한 제품을 사용했지만, 타 메이커(Sigma-Aldrich, 후지 필름 와코준야쿠, 나카라이, R&D Systems, USCN Life Science Inc.등)의 동등품으로도 대용 가능하다.
(실시예 1:펩티드의 합성)
이하의 펩티드를 합성하였다. (괄호 내는 각 화합물의 호칭을 나타낸다.)
Ac-SCHFGPLTWVCK-NH2(YS12)[서열 번호 9]
(벤조일)-SCHFGPLTWVCK-NH2(GT11255)
(p-플루오로페닐아세틸)-SCHFGPLTWVCK-NH2(GT-11256)
(프로피오닐)-SCHFGPLTWVCK-NH2(GT-11257)
Ac-SCH(p-플루오로-Phe)GPLTWVCK-NH2(GT-11258)
Ac-SCH(p-클로로-Phe)GPLTWVCK-NH2(GT-11259)
Ac-SCH(m-클로로-Phe)GPLTWVCK-NH2(GT-11260)
Ac-SCHYGPLTWVCK-NH2(GT11261)[서열 번호 10]
Ac-SCH(페닐글리신)GPLTWVCK-NH2(GT-11262)
Ac-SCH(페네틸글리신)GPLTWVCK-NH2(GT-11263)
Ac-SCHFAPLTWVCK-NH2(GT-11264)[서열 번호 11]
Ac-SCHFaPLTWVCK-NH2(GT-11265)
Ac-SCHFGALTWVCK-NH2(GT-11266)[서열 번호 12]
Ac-SCHFG(호모프롤린)LTWVCK-NH2(GT-11267)
Ac-SCHFGPATWVCK-NH2(GT-11268)[서열 번호 13]
Ac-SCHFGPMTWVCK-NH2(GT-11269)[서열 번호 14]
Ac-SCHFGPLTMVCK-NH2(GT-11270)[서열 번호 15]
Ac-SCHFGPLT(β-호모트립토판)VCK-NH2(GT-11271)
Ac-SCHFGPLT(α-나프틸알라닌)VCK-NH2(GT-11272)
Ac-SCHFGPLT(β-나프틸알라닌)VCK-NH2(GT-11273)
Ac-SCHFGPLT(8-퀴놀릴알라닌)VCK-NH2(GT-11274)
Ac-SCHFGPLT(6-클로로-Trp)VCK-NH2(GT-11275)
Ac-SCHFGPLT(5-클로로-Trp)VCK-NH2(GT-11276)
Ac-SCHFGPLTWV(호모시스테인)K-NH2(GT-11277)
Ac-SCHFGPLTWV(페니실라민)K-NH2(GT-11278)
Ac-kcvwtlpGfhcs-NH2(GT-11279)
Ac-kcvwtlGGfhcs-NH2(GT-11280)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8-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3)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4)
Ac-SCH(3,4-디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05)
Ac-SCH(p-플루오로-Phe)GPLT(2-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6)
Ac-SCH(p-플루오로-Phe)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07)
Ac-SCHYGPLT(2-퀴놀릴알라닌)VCK-NH2(GT-11308)
Ac-SCHY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09)
상기 펩티드의 합성, 정제 및 확인은, 당쇄 공학 연구소(오사카)에 의뢰하였다. 천연 아미노산은 메르크(도이치)(Novabiochem(등록 상표)) 등으로부터 구입하고, 비천연 아미노산은 와타나베 화학 등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상기 펩티드 합성을 위한 아미노산(비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및 그 보호 아미노산은 임의의 적당한 공급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Rink Amide ChemMatrix(Biotage, 스웨덴)을 출발 원료로서 사용하고, 펩티드 자동 합성기(Prelude(Gyros Protein Technologies))에 의해 프로그램에 따르고, 이 수지로부터 상기 배열을 따라서 아미노산을 축합 반응에 의해 순차 연장하여, 목적으로 하는 보호 펩티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수지 상으로의 펩티드의 구축이 종료한 후, 보호 펩티드 수지를 건조하였다. 얻어진 보호 펩티드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보호기 및 수지 담체를 분리하였다. 수지 담체로부터 분리하여 얻어진 조 펩티드를 HPLC 시스템;Prominence UFLC(시마즈 세이사쿠쇼, 교토) 혹은 LaChrom Elite(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도쿄)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때, 이동상 A:0.1% TFA 수용액, 이동상 B:0.09% TFA/10% H20/90% MeCN이고 A/B 구배의 용매 조건을 사용하였다. 정제 펩티드(환원형)은 요오드 처리에 의해 조 펩티드(산화형)로 변환하여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시켰다.
합성한 각 펩티드에 대해서 질량 분석 측정을 행하여, 원하는 구조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33). MS에 의한 질량 분석 측정은, Synapt HDMS(Waters, 미국)을 사용하여 인퓨전으로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합성한 펩티드를 인간 간암 HepG2 세포에 접촉시켜, 현미경 관찰 하에서 과립의 누출을 확인했더니, GT-11259 및 GT-11260에서는 비교적 정도가 낮은 과립 누출이 관찰된 한편, GT-11258, GT-11261 및 GT-11274에서는 많은 과립누출이 관찰되었다. 이것으로부터, GT-11258, GT-11261 및 GT-11274의 펩티드는, 비교적 활성이 강하다는 것이 기대되었다.
(실시예 2:인간 간암 세포에 있어서의 인비트로 성능 평가)
합성한 펩티드의 성능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간 간암 유래 HepG2 세포를 사용한 합성 펩티드에 의한 치사 효과
이하의 피검 화합물에 대해서 시험을 행하였다 ; YS12, GT-11268, GT-11261, GT-11274, GT-11259, GT-11260, GT-11280, GT-11303, GT-11304, GT-11305, GT-11306, GT-11307, GT-11308 및 GT-11309.
HepG2 세포(ATCC, HB-8065)을 8웰 챔버 슬라이드(Nunc))에 뿌리고, 피검 화합물의 4개의 농도로 치사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양 조건; 10% 소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045-30285)을 사용하여, 37℃, 5% CO2-95% 공기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시험 농도; 120μM, 60μM, 30μM 및 15μM의 피검 화합물, 또한 대조로서 PBS(-)을 사용하였다.
세포 수; 35μL/well의 배지 중에 1.0 내지 1.5x103의 세포 수를 파종하였다.
배양 개시 16 내지 24시간 후에 각 피검 화합물(50μL/well)을 첨가하여 24 시간 반응시켰다.
치사 효과는, 0.1% Trypan blue 용액(TB 용액)에 의해 양성 염색을 나타낸 세포 수를 계수하고, 면적당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수순 1 내지 7과 같이 행하였다.
1. well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2. TB 용액 100uL을 well 내에 주입하고, 3분간 반응시켰다.
3. 2의 TB 용액을 제거하였다.
4. Bouin액(피크르산 포화 용액 15mL, 포르말린 원액 5mL, 빙초산 1mL) 10uL 을 주입하고, 믹서 상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5. PBS(-) 100uL로 4의 반응을 약화시키고, Bouin액을 제거하였다.
6. PBS(-)을, 각 well에 100ul 넣었다.
7. 현미경(도립 위상차 현미경, Nikon)으로 1구획(1mm2) 내의 TB 양성 세포를 계수하고, 10구획의 평균을 구하였다.
그 결과, 도 34 내지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GT-11268, GT-11261, GT-11274, GT-11259, GT-11260, GT-11280, GT-11303, GT-11304, GT-11305, GT-11306, GT-11307, GT-11308 및 GT-11309의 펩티드는, 모두 YS12과 동등하거나 또는 이것을 상회하는 HepG2 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GT-11261, GT-11259, GT-11303 내지 GT-11308의 펩티드 효과는 강력하였다. 이것으로부터, 이들의 펩티드는, 예를 들어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암, 자궁선근증) 및 당뇨병 망막증의 치료 용도에 있어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실시예 3:인간 췌장암 세포에 있어서의 인비트로 성능 평가)
합성한 펩티드의 인간 췌장암 세포에 대한 인비트로 성능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ECACC, 96020930)는, 10% 소태아 혈청(bio west, S182H-500) 및 1mM 피루브산 나트륨(gibco, 11360-070)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Sigma, R8758-500ML)를 사용하여, 37℃, 5% CO2-95% 공기 조건 하에서 계대 배양하였다(2회/주). 이 AsPC-1 세포를 0.05% 트립신-0.02% EDTA 용액(Sigma, T4174-100ML)을 사용하여 배양 디쉬로부터 회수하고, 상기 배지에 현탁 후,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3x103/0.05mL/웰). 밤새 배양한 후, 피검 화합물(총 43 화합물, 최종 농도 150μM)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였다(0.05mL/웰, 3웰/피검 화합물). 72시간 후, 각 웰의 세포 증식능을 WST법(도진 가가쿠 겐큐쇼, Cell Counting Kit-8)에 의해 측정하고,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의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WST법은, 수용성 테트라졸륨염 WST-8을 발색 시약으로서 사용하는 생세포 수 측정법이며, WST-8의 환원에 의해 발생하는 수용성 포르마잔을 생세포 수의 지표로 한다. 세포 중의 탈수소 효소에 의해 생산되는 NADH가 WST-8을 수용성 포르마잔으로 변환한다. 발생한 수용성 포르마잔은, 약 450nm에 극대 흡수를 가지므로, 이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를 측정함으로써 생세포 수가 나타난다. WST법에 있어서, 450nm의 흡수를 관찰하였다.
또한,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또 다른 후보 화합물 GT-11332 내지 GT-11340(이하에 각각의 구조를 나타낸다.)을 조제하여 이들 화합물의 활성도 평가하였다.
Ac-SCH(4-피리딜알라닌)GPLTWVCK-NH2(GT-11332)
Ac-SCH(3-피리딜알라닌)GPLTWVCK-NH2(GT-11333)
Ac-SCH(p-메톡시-Phe)GPLTWVCK-NH2(GT-11334)
Ac-SCH(m-메톡시-Phe)GPLTWVCK-NH2(GT-11335)
Ac-SCH(m-히드록시-Phe)GPLTWVCK-NH2(GT-11336)
Ac-SCH(1-나프틸알라닌)GPLTWVCK-NH2(GT-11337)
Ac-SCH(2-나프틸알라닌)GPLTWVCK-NH2(GT-11338)
Ac-SCHFGPL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39)
Ac-SCHFGPLT(3-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40)
그 결과,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GT-11257을 포함하는 총12개의 피검 화합물이, AsPC-1 세포에 대하여 강한 증식 저해 작용을 나타냈다.
(실시예 4:인간 백혈병 세포에 있어서의 인비트로 성능 평가)
합성한 펩티드의 인간 백혈병 세포에 대한 인비트로 성능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인간 T세포 백혈병 유래 ATL-2 세포(교토대학 마에다 히로시로부터 공여)는, 10% 소태아 혈청(biowest, S182H-500)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Sigma, R8758-500mL)를 사용하여, 37℃, 5% CO2-95% 공기 조건 하에서 계대 배양하였다(2회/주).이 ATL-2 세포를 배양 플라스크로부터 회수하고, 상기 배지에 현탁 후,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3x103/0.05mL/웰). 밤새 배양한 후, 피검 화합물(총32 화합물, 최종 농도 150μM)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였다(0.05mL/웰, 3웰/피검 화합물). 72시간 후, 각 웰의 세포 증식 등을 WST법(도진 가가쿠 겐큐쇼, Cell Counting Kit-8)에 의해 측정하고,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의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GT-11269, GT-11308 및 GT-11309 등이, ATL-2 세포에 대하여 강한 증식 저해 작용을 나타냈다.
(실시예 5:인 비보에 있어서의 펩티드 성능 평가)
합성한 펩티드의 인 비보 성능을 마우스 담암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ECACC, 96020930)를,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배양 및 회수하고, 10% 마트리겔(BD Bioscience, 354234)을 포함하는 상기 RPMI-1640 배지에 현탁시키고, 6주령의 웅성 누드 마우스(SL C, BALB/cSle-nu/nu)의 우측 등부 피하에 이식하였다 (5x106/0.1mL/마리),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종양의 긴 직경(L) 및 짧은 직경(W)을 계측하고, V=LxW2/2의 식으로 구한 종양 체적(V)이 150 내지 200mm3 전후에 달했을 때, 군을 나누어 피검 화합물(GT-11263을 포함하는 총 8화합물)을 투여하였다. 컨트롤 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투여는 복강 내(0.1mL/마리, 3 내지 5마리/피검 화합물)로 하고, 1일 3회 (1시간 간격, 총0.2mg/일), 주 3회로서 2주일 투여하였다. 종양 직경과 체중을 주 2회 계측하여 종양 증식의 상태와 피검 화합물 투여에 대한 영향을 모니터하였다.
그 결과,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GT-11263을 포함하는 총3종의 피검 화합물은, 마우스 담암 모델에 있어서 강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어떤 피검 화합물도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GT-11269 및 GT-11309은, 효과의 발현이 빠르고 강력하였다.
(실시예 6: 후보 화합물의 CFU-E 형성에 대한 영향)
GT-11269, GT-11309이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 기대되었으므로, 이들 화합물의 CFU-E 형성에 대한 영향을 시험하였다.
마우스(SLC, BALB/cSlc-nu/nu)의 대퇴골로부터 골수 세포를 채취하고, 1.2% 메틸셀룰로오스(Sigma, M0512), 30% 소태아 혈청(bio west, S182H-500), 1% 소 혈청 알부민(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017-25771), 0.1mM 2-머캅토에탄올(후지 필름 와코준야쿠, 131-14572), L-글루타민(Sigma, G7513),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후지 필름 와코준야쿠, 168-23191)을 포함하는 α-MEM 배지(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130-18621)에 현탁 후, 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3.2x105/2mL/웰, 2웰/피검 화합물), 피검 화합물(GT-11269 또는 GT-11309, 최종 농도 100M) 및 재조합 인간에리트로포이에틴(Epo, 1U/mL)을 첨가하여 72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DAB(diaminobenzidine tetrahydrochrolide, 도진 가가쿠 겐큐쇼, D006) 염색 후, 헤모글로빈 양성 세포를 CFU-E(Erythroid Colony Forming Unit)로 하여 현미경 하에 계측하였다.
결과를 도 41에 나타낸다.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에 의해, CFU-E 형성이 촉진되었다. 이 조건 하에서, 피검 화합물(GT-11269 및 GT-11309)은 모두 CFU-E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후보 화합물의 Epo 의존성 암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
유효하다는 것이 예측된 GT-11309에 대해서, Epo 의존성 암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인간 백혈병 유래 UT-7 세포(홋카이도 대학 후지타 히로시로부터 공여)는,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Epo, 2U/mL) 및 10% 소태아 혈청(bio west, S182-H-500)을 포함하는 D-MEM 배지(Sigma, D5796-500ML)을 사용하여, 37℃, 5% CO2-95% 공기 조건 하에서 계대 배양하여(2회/주), 총 9주일 배양하였다. 이 Epo 처치 UT-7 세포를 3회 세정하고,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1x104/웰). Epo(0 내지 10U/mL) 또는 Epo(1U/mL) 존재 하에 있어서의 항Epo 모노클로날 항체(클론 R6, 교토대학 마스다 히로시로부터 공여, 1 내지 100g/mL), 항EpoR 모노클로날 항체(클론 713210, R&D Systems, MAB3073, 1 내지 100μg/mL) 혹은 GT-11309(1 내지 100μM)을 첨가하였다. 4일간 배양한 후, 각 웰의 세포 증식능을 WST법(도진 가가쿠 겐큐쇼, Cell Counting Kit-8)에 있어서 450nm의 흡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42에 나타낸다. GT-11309은, 항 Epo 항체 및 항EpoR 항체와 마찬가지로 Epo 의존성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발견으로부터, 식(I)
X1-SCH(A1)(A2)(A3)(A4)(A5)(A6)V(A7)(A8)-X2
의 구조에 있어서, A1의 변이(예를 들어 Tyr), A4의 변이(예를 들어 Met), A6의 변이(예를 들어 2-벤조티아졸릴알라닌)가, 특히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8: 또 다른 후보 화합물)
GT-11269 및 GT-11309이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 예측되었으므로, 이들의 변이를 조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하의 구조를 갖는 GT-11350을 제작하였다.
Ac-SCHYGPMT(2-벤조티아졸릴알라닌)VCK-NH2(GT11350)
(실시예 8-1:각 용량에 있어서의 펩티드의 인비트로 성능)
GT-11269, GT-11309 및 GT-11350 에 대해서, 농도를 바꾸어 인비트로 성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ECACC, 96020930)를 배양 및 회수하여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3x103/0.05mL/웰), 밤새 배양한 후, 피검 화합물(10, 30 또는 100μM)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였다 (0.05mL/웰, 3웰/피검 화합물), 72시간 후, 각 웰의 세포 증식능을 WST법(도진 가가쿠 겐큐쇼, Cell Counting Kit-8)에 의해 측정하고,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각 피검 화합물의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43에 나타낸다. GT-11269, GT-11309 및 GT-11350은, AsPC-1 세포에 대하여 강한 증식 저해 작용을 나타냈다.
또한, GT-11350의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능도 시험하였다.
인간 유방암 유래 HCC1395 세포(ATCC, CRL-2327) 및 HCC1806(ATCC, CRL-2335)을 배양 및 회수하고, 38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1x103 및 3x103/0.04mL/웰). 밤새 배양한 후, GT-11350(0 내지 100μM)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였다(0.01mL/웰). 72시간 후, 각 웰의 세포 증식능을 CellTiter-Glo 2.0(Promega, G9242)을 사용하여 측정한 ATP량을 지표로, 컨트롤(피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웰)에 대한 세포 증식능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44에 나타낸다. GT-11350은, 유방암 세포주에 대하여도 증식 억제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8-2:인 비보 성능)
합성 펩티드의 인 비보 성능을 마우스 담암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실시예 5과 마찬가지로,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를 6주령의 웅성 누드마우스(SL C, BALB/cSle-nu/nu)의 우측 등부 피하에 이식하였다(5x106/0.1mL/마리).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종양의 긴 직경(L) 및 짧은 직경(W)을 계측하고, V=LxW2/2의 식으로 구한 종양 체적(V)이 150 내지 200mm3 전후에 달했을 때, 군을 나누어 피검 화합물(GT-11269, GT-11309 및 GT-11350)을 투여하였다. 컨트롤 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투여는 복강 내(0.1mL/마리, 5마리/피검 화합물 )로 하고, 1일 3회 (1시간 간격, 총 0.5mg/일), 주 2회로 하여 4주일 투여하였다. 종양 직경과 체중을 주 2회 계측하여 피검 화합물 투여의 영향을 모니터하였다(도 45).
동일한 프로토콜에서 GT-11309 또는 GT-11350을 투여한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해서, 최종 투여 6일째에 종양 조직을 적출하고, 그 일부를 Zamboni액으로 고정 후, 동결 절편을 제작하였다. 항제 VIII 인자(FVIII) 관련 항원 항체를 사용한 면역 조직 화학법으로 양성 세포 수를 측정하고, 종양 조직 내의 혈관 형성에 대한 피검 화합물의 작용을 검토하였다(도 46).
동일한 프로토콜에서 GT-11269, GT-11309 또는 GT-11350을 투여한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해서, 최종 투여 6일째에 채혈하고, 고속 원심기에 의한 모세관법으로 헤마토크리트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를 시판하고 있는 측정 키트(BioAssay Systems, DIHB-2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도 47).
또한, CFU-E 형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GT-11350을 1일 3회 (1시간 간격, 총 0.4mg/일), 주 2회로 하여 4주일 투여한 AsPC-1 담암 마우스의 대퇴골로부터 골수 세포를 채취하였다. 컨트롤 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골수 세포를 현탁시켜, 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3.2x105/2mL/웰). 플레이트에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Epo, 1U/mL)을 첨가하여 2일간 인큐베이션하였다. DAB(diaminobenzidine tetrahydrochrolide, 도진가가쿠 겐큐쇼, D006) 염색 후, 헤모글로빈 양성 세포를 CFU-E(Erythroid Colony forming Unit)로 하여 현미경 하에 계측하였다(도 48).
도 45에 대하여, 어떤 피검 화합물도, 마우스 담암 모델에 있어서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지만,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46에 대해서, 피검 화합물 투여군의 FVIII 양성 세포 수는 모두 컨트롤 군의 FVIII 양성 세포 수에 비교하여 감소하고 있고, 피검 화합물은 모두 혈관 형성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도 47에 대해서, 어떤 피검 화합물도 헤마토크리트값 및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48에 대해서, GT-11350을 투여한 마우스에 있어서 CFU-E 형성은 저해되어 있지 않았다.
(실시예 9: 용법·용량 검토)
GT-11350의 용법·용량을 검토하였다.
실시예 5과 마찬가지로,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를 6주령의 웅성 누드마우스(SLC, BALB/cSlc-nu/nu)의 우측 등부 피하에 이식하고, 종양 체적(V)이 150 내지 200 mm3 전후에 달했을 때, 군을 나누어 피검 화합물(GT-11350)을 투여하였다. 컨트롤 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투여는 복강 내(0.1mL/마리)로 하고, 1 일 3회(1시간 간격, 총 0.1mg, 0.2mg, 0.4mg/일), 주 2회로 하여 4주일 투여하였다. 종양 직경과 체중을 주 2회 계측하여 피검 화합물 투여의 용량에 의한 영향을 모니터하였다(도 49).
동일한 프로토콜로 GT-11350을 투여한 AsPC-1 담암 마우스에 대하여 최종 투여 4일 후에 채혈하고, 고속 원심기에 의한 모세관법으로 헤마토크리트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를 시판하고 있는 측정 키트(BioAssay Systems, DIHB-2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도 50).
도 49에 대해서, GT-11350은, 용량 의존적인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지만,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50에 대해서, 어떤 용량에 있어서도 헤마토크리트값 및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인간 췌장암 유래 AsPC-1 세포를 6주령의 웅성 누드마우스(SLC, BALB/cSlc-nu/nu)의 우측 등부 피하에 이식하고, 종양 체적(V)이 150 내지 200 mm3 전후에 달했을 때, 군을 나누어 피검 화합물(GT-11350)을 투여하였다. 컨트롤 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투여는 복강 내(0.1mL/마리)로 하고, 1 일 3회 (1시간 간격, 총 0.2mg/일) 또는 1일 1회(0.2mg/일), 주 2회로 하여 4주일 투여하였다. 종양 직경과 체중을 주 2회 계측하여 피검 화합물 투여의 용법에 의한 영향을 모니터하였다.
결과를 도 51에 나타낸다. GT-11350은, 1일 3회 및 1일 1회의 어느 투여법에서도 동일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10: 또 다른 펩티드)
이하의 펩티드를 합성한다.
Ac-SCH(A1)GPLT(A6)VCK-NH2
식 중, A1 및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하의 표 3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5
상기 수식 아미노산은, 예를 들어 알데히드를 출발 재료로 한 스트레커 반응 등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합성한 펩티드를 정제하여 순수한 광학 이성체를 취득하고, 이것을 성능 시험에 사용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질량 분석 측정에 의해 이러한 펩티드의 합성 정제를 확인한다.
(실시예 11: 또 다른 시험)
합성한 펩티드에 대해서 실시예 3과 동일한 시험을 행한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내는 1개 이상의 화합물이, AsPC-1 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낸다고 기대된다. 표 3 중에도 특히 강력하게 AsPC-1 세포 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것으로부터, 이들 펩티드는, 예를 들어 증식성 질환(예를 들어 암), 자궁선근증 및 당뇨병 망막증의 치료 용도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주석)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본 개시를 예시해 왔지만, 상술한 설명 및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만으로 제공되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목적으로 제공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 형태로도 실시예로도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 범위가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특허, 특허 출원 및 문헌은, 그 내용 자체가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대한 참고로서 원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8년 9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72479에 대하여 우선권 주장을 행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서 참고로서 원용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펩티드는, 현저한 항암 활성이 발견되어, 의약품으로서의 용도를 가지므로, 제약업이나 그 원약 메이커에 속하는 산업에서 유용성이 발견된다.
서열표 프리텍스트
서열 번호 1:SCH(A1)(A2)(A3)(A4)(A5)(A6)V(A7)(A8)
서열 번호 2:SCHFGPLTWVCK
서열 번호 3:X1-SCHYGPLTWVCK-X2
서열 번호 4:X1-SCHFAPLTWVCK-X2
서열 번호 5:X1-SCHFGALTWVCK-X2
서열 번호 6:X1-SCHFGPATWVCK-X2
서열 번호 7:X1-SCHFGPMTWVCK-X2
서열 번호 8:X1-SCHFGPLTMVCK-X2
서열 번호 9:Ac-SCHFGPLTWVCK-NH2(YS12)
서열 번호 10:Ac-SCHYGPLTWVCK-NH2(GT-11261)
서열 번호 11:Ac-SCHFAPLTWVCK-NH2(GT-11264)
서열 번호 12:Ac-SCHFGALTWVCK-NH2(GT-11266)
서열 번호 13:Ac-SCHFGPATWVCK-NH2(GT-11268)
서열 번호 14:Ac-SCHFGPMTWVCK-NH2(GT-11269)
서열 번호 15:Ac-SCHFGPLTMVCK-NH2(GT-11270)
<110> Epo-Med Inc. <120> Anti-erythropoietin receptor peptide <130> F519PCT059 <150> JP 2018-172497 <151> 2018-09-14 <160> 15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220> <221> MISC_FEATURE <222> (4)..(9) <223> Xaa can be any of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 or modified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1)..(12) <223> Xaa can be any of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 or modified amino acid <400> 1 Ser Cys His Xaa Xaa Xaa Xaa Xaa Xaa Val Xaa Xaa 1 5 10 <210> 2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Ser Cys His Phe Gly Pro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400> 3 Ser Cys His Tyr Gly Pro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400> 4 Ser Cys His Phe Ala Pro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400> 5 Ser Cys His Phe Gly Ala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400> 6 Ser Cys His Phe Gly Pro Ala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400> 7 Ser Cys His Phe Gly Pro Met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sequence <400> 8 Ser Cys His Phe Gly Pro Leu Thr Met Val Cys Lys 1 5 10 <210> 9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S12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9 Ser Cys His Phe Gly Pro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10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T11261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10 Ser Cys His Tyr Gly Pro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1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T11264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11 Ser Cys His Phe Ala Pro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12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T11266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12 Ser Cys His Phe Gly Ala Leu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1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T11268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13 Ser Cys His Phe Gly Pro Ala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1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T11269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14 Ser Cys His Phe Gly Pro Met Thr Trp Val Cys Lys 1 5 10 <210> 1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T11270 <220> <221> MOD_RES <222> (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 <223> AMIDATION <400> 15 Ser Cys His Phe Gly Pro Leu Thr Met Val Cys Lys 1 5 10

Claims (15)

  1. CH3-CO-SCHFGPLTWVCK-NH2의 구조를 갖는 펩티드보다 개선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 -[SCHFGPLTWVCK]-의 구조를 갖는 펩티드에 기초하는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알파벳은 아미노산의 1문자 표시를 나타낸다).
  2. 식(1):
    X1-SCH(A1)(A2)(A3)(A4)(A5)(A6)V(A7)(A8)-X2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며
    A1은, -NH-CH(RA1)-CO-이며, 여기서, RA1은, (결합,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구조를 가지며,
    A2은, Ala, D-알라닌 또는 Gly이며,
    A3은, Pro, 호모프롤린 또는 Ala이며,
    A4은, Met, Leu, Ala 또는 Ile이며,
    A5은, Thr 또는 Ala이며,
    A6은, -NH-CH(RA1)-CO-이며, 여기서, RA1은, (결합,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메톡실기,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구조를 가지며,
    A7은, Cys, 호모시스테인 또는 페니실라민이며,
    A8은, Lys, Arg 또는 비존재이며,
    펩티드 중의 2개의 황 원자는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고,
    X1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C(=O)R1이며,
    X2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NR1 2이며,
    각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0 알킬기,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0 알키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5 내지 10 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동일한 원자에 결합한 2개의 R1은 하나가 되어서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5 내지 10 원환을 형성하고,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또는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의 구조를 갖거나, 또는
    식(II):
    X1-kcvwtl(B1)Gfhcs-X2
    [식 중, X1은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측이며, X2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측이며
    B1은, Gly 또는 D-프롤린이며, k, c, v, w, t, 1, G, f, h, c 및 s는, 각각 아미노산을 나타내고, 대문자는 L체 또는 광학 이성체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소문자는 D체를 나타내고,
    펩티드 중의 2개의 황 원자는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고,
    X1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C(=O)R1이며,
    X2은, 수소, 1 내지 3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NR1 2이며,
    각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0 알킬,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10 알케닐기,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직쇄 또는 분지 C1-10 알키닐,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 -OR2 및 -NR2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동일한 원자에 결합한 2개의 R1은 하나가 되어서 R2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5 내지 10원환을 형성하고,
    각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기, 할로겐, 할로겐 또는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벤질기, -CH3, -CH2CH3, -CH2CH2CH3, -NH2, -NHCH3, -N(CH3)2, =0, -COOH, -OCH3, 및 -OCH2CH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의 구조를 갖는,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3. 제2항에 있어서,
    A2이 Gly인 것,
    A3이 Phe인 것,
    A5이 Thr인 것,
    A7이 Cys인 것 및
    A8이 Lys인 것,
    의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A1은, Tyr, p-플루오로페닐알라닌 또는 페네틸글리신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A1은 Tyr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4은, Leu 또는 Met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4은 Met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6은, Trp, Met, 8-나프틸알라닌, 2-퀴놀릴알라닌, 5-클로로-Trp, 또는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6은, 2-벤조티아졸릴알라닌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2이 Gly이며,
    A3이 Phe이며,
    A5이 Thr이며,
    A7이 Cys이며,
    A8이 Lys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1이, -COOH, 벤조일기, 프로피오닐기 또는 p-플루오로페닐아세틸기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2가 NH2인,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
  13. 증식성 질환 또는 당뇨병 망막증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식 펩티드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식성 질환이, 자궁선근증,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폐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두경부암(설암, 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신경초종, 신경아종, 신경교종, 비소세포 폐암, 소세포 폐암, 간암, 신장암, 담관암, 자궁암(자궁체암, 자궁경암), 난소암, 방광암, 피부암, 혈관종,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갑상선암, 골종양, 혈관 섬유종, 망막 육종, 음경암, 소아 고형암, 카포시육종, AIDS에 기인하는 카포시육종, 상악동 종양, 섬유성 조직구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지방육종, 자궁근종, 골아 세포종, 골육종, 연골육종, 암성의 중피 종양, 또는 백혈병인,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식성 질환이, 유방암, 췌장암, 간암,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조성물.
KR1020217010966A 2018-09-14 2019-09-12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펩티드 KR20210060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2497 2018-09-14
JP2018172497 2018-09-14
PCT/JP2019/035949 WO2020054813A1 (ja) 2018-09-14 2019-09-12 抗エリスロポエチン受容体ペプチ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536A true KR20210060536A (ko) 2021-05-26

Family

ID=6977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966A KR20210060536A (ko) 2018-09-14 2019-09-12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펩티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41657A1 (ko)
EP (1) EP3851448A4 (ko)
JP (1) JP7445978B2 (ko)
KR (1) KR20210060536A (ko)
CN (1) CN113166203A (ko)
TW (1) TW202024117A (ko)
WO (1) WO2020054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204A1 (ja) 2020-07-30 2022-02-03 エポメッド株式会社 EpoRアンタゴニストによる疾患の処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23833C (en) * 1995-06-07 2010-12-21 Nicholas C. Wrighton Compounds and peptides that bind to the erythropoietin receptor
CN1318084C (zh) * 2000-05-26 2007-05-30 奥索-麦克尼尔药品公司 神经保护肽
JP4299527B2 (ja) * 2001-11-02 2009-07-22 佳子 安田 増殖性臓器疾患、慢性関節炎症性疾患、肥厚性瘢痕またはケロイド予防・治療剤
US20080305985A1 (en) * 2004-03-17 2008-12-11 Hans-George Frank Isosteric Transormation
JP5867949B1 (ja) * 2015-07-22 2016-02-24 株式会社セルペップ 女性ホルモン依存性増殖性疾患治療・改善剤
JP6858057B2 (ja) 2017-03-31 2021-04-1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ndrea A.D. et al., Cell, Vol.57, pp277-285(1989)
Krantz S.B., Blood, Vol.77, pp419-434(1991)
Marti H.H. et al., Eur.J.NeuroSci., Vol.8, pp666-676(1996)
Yasuda Y. et al., Develop. Growth Differ., Vol.35, pp711-722(1993)
Yasuda Y. et al., J. Biol. Chem., Vol.273, pp25381-25387(19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5978B2 (ja) 2024-03-08
EP3851448A4 (en) 2022-10-26
TW202024117A (zh) 2020-07-01
JPWO2020054813A1 (ja) 2021-08-30
EP3851448A1 (en) 2021-07-21
US20220041657A1 (en) 2022-02-10
CN113166203A (zh) 2021-07-23
WO2020054813A1 (ja)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4075B (zh) 含有二硫化物的细胞穿透肽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5407889B (zh) 针对Rb阳性异常细胞增殖的HSPC节制性治疗
ES2273849T3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mprenden compuestos ciclicos peptidometicos con giro beta.
EP3692015B1 (en) Novel glutamine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US20230257374A1 (en) Novel kras g12c protein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10831946B (zh) 大环化合物及其用途
TW202116778A (zh) 作為治療劑之細胞毒素之肽結合物
WO2009131191A1 (ja) メタスチ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BR112012033425A2 (pt) pirazoloquinolinas
JP6640725B2 (ja) spadinのレトロ−インベルソ類似体は増大された抗うつ作用を示す
CA3226492A1 (en) Bicyclic peptide inhibitors of interleukin-23 receptor
BR112020004555A2 (pt) agentes que modulam funções de beta-catenina e métodos dos mesmos
JP2021501201A (ja) ステープルペプチドの細胞内送達のためのポリペプチド接合体
JP2022525416A (ja) ペプチド模倣大環状分子およびその使用
KR20210060536A (ko) 항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 펩티드
WO2022025204A1 (ja) EpoRアンタゴニストによる疾患の処置
CN113164776A (zh) 酪氨酸激酶抑制剂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JP7299411B2 (ja) アデノシン受容体拮抗薬
WO2020014652A1 (en) Peptoid-peptide macrocycl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09110415A1 (ja) 併用剤
WO2018026997A1 (en) Antibody-recruiting molecul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14515339B (zh) 针对生长抑素受体的多肽偶联药物及其应用
EP2864332B1 (en) Imidazo bicyclic imminium compounds as antitumor agents
JPWO2011002066A1 (ja) 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CN107404876A (zh) 抗癌治疗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