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092A - 렌즈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092A
KR20210060092A KR1020190147698A KR20190147698A KR20210060092A KR 20210060092 A KR20210060092 A KR 20210060092A KR 1020190147698 A KR1020190147698 A KR 1020190147698A KR 20190147698 A KR20190147698 A KR 20190147698A KR 20210060092 A KR20210060092 A KR 2021006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ens
mast
tray loading
f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대환
Original Assignee
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대환 filed Critical 지대환
Priority to KR102019014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092A/ko
Publication of KR2021006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8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for stacking objects like trays, bobbin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행렬 형태로 복수 개의 렌즈수용부가 구비된 규격화된 트레이(Tray)에 렌즈사출물에서 절단된 렌즈를 안전하게 포장하는 렌즈 포장 장치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는 제1 포크유닛을 구비한 제1 마스트; 제2 포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스트의 인근에 배치되는 제2 마스트; 카트본체와, 상기 카트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제2 트레이적재대를 포함하는 카트;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에 적재된 빈 트레이를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로 이송하는 제1 로봇; 및 렌즈를 운반하여,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에 적재된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렌즈를 떨어뜨리는 제2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가 상기 제1 포크유닛의 상방에 위치될 때,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는 상기 제2 포크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렌즈 포장 장치{APPARATUS FOR LENS PACKAGING}
본 개시(Disclosure)는 렌즈사출물에서 절단된 렌즈를 포장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렌즈사출물(1)은 스프루(2)와, 스프루(2)에서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너(3)와, 게이트(4)를 매개로 러너(3)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렌즈(5)로 구성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6898호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5876호 각각에는 렌즈사출물의 게이트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렌즈사출물 절단 장치'의 일례가 게재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렌즈사출물 절단 장치에 의하여, 렌즈사출물에 분리된 복수 개의 렌즈가 단일 함체에 포장되었고, 포장과정에서 렌즈끼리 부딪혀 일부 렌즈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행렬 형태로 복수 개의 렌즈수용부가 구비된 규격화된 트레이(Tray)에 렌즈사출물에서 분리된 렌즈를 안전하게 포장하는 렌즈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는 제1 포크유닛을 구비한 제1 마스트; 제2 포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스트의 인근에 배치되는 제2 마스트; 카트본체와, 상기 카트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제2 트레이적재대를 포함하는 카트;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에 적재된 빈 트레이를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로 이송하는 제1 로봇; 및 렌즈를 운반하여,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에 적재된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렌즈를 떨어뜨리는 제2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가 상기 제1 포크유닛의 상방에 위치될 때,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는 상기 제2 포크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본체는, 바퀴를 구비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 각각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스트, 상기 제2 마스트, 상기 제1 로봇, 상기 제2 로봇은, 일측면이 개방된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구조물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 각각은, 포크홈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를 이용하면 격자 형태로 복수 개의 렌즈수용부가 구비된 규격화된 트레이(Tray)에 렌즈사출물에서 분리된 렌즈를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는 카트를 제1 마스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트레이적재대에서 렌즈 포장이 완료된 트레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제2 트레이적재대에 빈 트레이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사출성형된 렌즈사출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는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트레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트의 측면도이다.
도 7,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에 의하여 렌즈가 포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트레이(TR)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레이(TR)는 격자를 이루는 복수 개의 격벽(W)과, 행렬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렌즈수용부(R)를 포함한다.
트레이(TR)의 전체 바닥과 렌즈수용부(R)의 부분 바닥은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원형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의 평면도(100)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의 정면도(100)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100)는 제1 마스트(110), 제2 마스트(120), 카트(130), 제1 로봇(140) 및 제2 로봇(150)을 포함한다.
제1 마스트(110)는 소정 높이를 갖는다. 제1 마스트(110)의 일측에는 모터 등의 동력수단에 의하여,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제1 포크유닛(112)이 구비된다.
제2 마스트(120)는 소정 높이를 갖고, 제1 마스트(110)의 인근에 배치된다. 제2 마스트(120)의 일측에는 모터 등의 동력수단에 의하여,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제2 포크유닛(122)가 구비된다.
제2 마스트(120)는 제1 마스트(110)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제1 마스트(1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제1 포크유닛(112)과 제2 포크유닛(122)은 평행을 이룬다.
카트(130)는 제1 포크유닛(112)[제2 포크유닛(12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카트(130)는 카트본체(132), 제1 트레이적재대(134) 및 제2 트레이적재대(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레이적재대(134)가 제1 포크유닛(112)의 상방에 위치될 때, 제2 트레이적재대(136)는 제2 포크유닛(122)의 상방에 위치된다. 제2 트레이적재대(136)와 제1 트레이적재대(134) 각각에는 트레이(TR)가 수직방향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카트본체(1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하부프레임(132a)과, 하부프레임(132a)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1 트레이적재대(134) 및 제2 트레이적재대(136)의 하부와 연결된 상부프레임(13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레이적재대(134)는 포크홈(134b)이 형성된 바닥판(134a)과, 바닥판(134a)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34c)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트레이적재대(136)는 포크홈(136b)이 형성된 바닥판(136a)과, 바닥판(136a)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36c)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로봇(140)은 3축 직교 로봇일 수 있고, 트레이(TR)를 파지하는 진공흡착 그리퍼(142)를 구비한다. 제1 로봇(140)은 제2 트레이적재대(136)에 적대된 트레이(TR) 중 최상부에 있는 트레이(TR)를 제1 트레이적대(134)로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제2 로봇(15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작동 축을 가진 로봇일 수 있고, 복수 개의 렌즈(L)를 파지하는 진공흡착 그리퍼(152)를 구비한다. 제2 로봇(150)은 제1 트레이적재대(134)에 적재된 빈 트레이(TR)의 상방에서 트레이(TR)의 렌즈수용부(R)에 복수 개의 렌즈(L) 중 어느 하나의 렌즈(L)를 떨어뜨리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1 포크유닛(112)은 제2 로봇(150)에서 렌즈(L)가 낙하될 때, 일정 높이 상승한 뒤 하강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아울러, 렌즈(L)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렌즈(L)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제1 마스트(110), 제2 마스트(120), 제1 로봇(140), 제2 로봇(150)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전술한 일측면을 제외한 일부 다른 측면들 또는 모든 다른 측면들이 벽(미도시)으로 둘러싸인 구조물(160)의 내부에 설치되고, 카트본체(132)의 일측에는 구조물(160)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는 도어(132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100)에 의하여 렌즈(L)가 포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렌즈(L)가 포장되는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하여, 제2 트레이적재대(136)에 복수 개의 빈 트레이(TR)가 수직 방향으로 적재된다.
계속해서, 카트(130)가 이동되고, 제2 트레이적재대(136)가 제2 포크유닛(122)의 상방에 위치되고, 제1 트레이적재대(134)가 제1 포크유닛(112)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어서, 제1 로봇(140)이 제1 트레이적대(136)의 최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R)를 제1 트레이적재대(134)로 운반하고, 제2 포크유닛(122)은 트레이(TR)의 높이 만큼 상승한다.
계속해서, 제2 로봇(150)이 복수 개의 렌즈(L)를 파지하여, 제1 트리이적재대(134)에 적대된 빈 트레이(TR)에 떨어뜨린다. 트레이(TR)에 렌즈(L)가 가득차면, 제1 포크유닛(112)은 트레이(TR)의 높이만큼 하강한다.
반복해서, 제1 로봇(140)이 제1 트레이적대(136)의 최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R)를 제1 트레이적재대(134)로 운반하고, 제2 포크유닛(122)은 트레이(TR)의 높이만큼 상승한다.
마지막으로, 제2 트레이적재대(136)가 비워지고, 제1 트레이적재대(134)가 가득차면, 카트(130)를 이동된 후, 사용자에 의하여, 제2 트레이적재대(136)를 빈 트레이(TR)로 채워지고, 제1 트레이적재대(134)가 비워진다.
추가로, 제1 트레이적재대(134)에 적대되는 트레이(TR)의 수량에 따른 제1 포크유닛(112)의 높이, 제2 트레이적대(136)에 적대되는 트레이(TR)의 수량에 따른 제2 포크유닛(122)의 높이는 광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자동으로 위치제어될 수 있다. 광센서(미도시)는 제1 마스트(112)와 제2 마스트(120) 각각에 설치될 수 있고, 구조물(16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100)를 이용하면 격자 형태로 복수 개의 렌즈수용부(R)가 구비된 규격화된 트레이(TR)에 렌즈사출물에서 분리된 렌즈(L)를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장 장치는 카트(130)를 제1 마스트(110)[제2 마스트(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트레이적재대(134)에서 렌즈 포장이 완료된 트레이(TR)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제2 트레이적재대(136)에 빈 트레이(TR)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렌즈 포장 장치
--
110 : 제1 마스트
112 : 제1 포크유닛
120 : 제2 마스트
122 : 제2 포크유닛
130 : 카트
132 : 카트본체
132a : 하부프레임
132b : 상부프레임
132c : 도어
134 : 제1 트레이적재대
134a : 바닥판
134b : 포크홈
134c : 지지대
136 : 제2 트레이적재대
136a : 바닥판
136b : 포크홈
136c : 지지대
140 : 제1 로봇
142 : 그리퍼
150 : 제2 로봇
152 : 그리퍼
160 : 구조물
--
TR : 트레이
W : 격벽
R : 렌즈수용부

Claims (5)

  1. 제1 포크유닛을 구비한 제1 마스트;
    제2 포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스트의 인근에 배치되는 제2 마스트;
    카트본체와, 상기 카트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제2 트레이적재대를 포함하는 카트;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에 적재된 빈 트레이를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로 이송하는 제1 로봇; 및
    렌즈를 운반하여,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에 적재된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렌즈를 떨어뜨리는 제2 로봇;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가 상기 제1 포크유닛의 상방에 위치될 때,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는 상기 제2 포크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는, 렌즈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본체는, 바퀴를 구비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 각각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렌즈 포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트, 상기 제2 마스트, 상기 제1 로봇, 상기 제2 로봇은, 일측면이 개방된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구조물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렌즈 포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적재대 및 상기 제2 트레이적재대 각각은, 포크홈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렌즈 포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크유닛은, 상기 제2 로봇에서 상기 렌즈가 낙하될 때, 일정 높이 상승한 뒤 하강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장 장치.
KR1020190147698A 2019-11-18 2019-11-18 렌즈 포장 장치 KR20210060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98A KR20210060092A (ko) 2019-11-18 2019-11-18 렌즈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98A KR20210060092A (ko) 2019-11-18 2019-11-18 렌즈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92A true KR20210060092A (ko) 2021-05-26

Family

ID=7613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98A KR20210060092A (ko) 2019-11-18 2019-11-18 렌즈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188B2 (en) Robotic picking systems and devices
CN112969650B (zh) 自动存储和取回系统
EP1799554B1 (en) Device for filling a carton
CN101263057B (zh) 用于塑料预制件在纸板箱中的整齐装箱的方法和自动系统
US6719519B2 (en) Apparatus for loading packing carriers into a packaging machine
US6959525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filling a box
KR20060046424A (ko) 부품 배치 장치, 부품 공급 장치 및 방법
US10800089B2 (en) Device for unloading and storing preforms for the production of containers made of plastics
KR20210060092A (ko) 렌즈 포장 장치
EP3708504A1 (en) Egg package transfer device
JP4520332B2 (ja) 農産物箱詰用包装資材の供給装置および農産物の箱詰装置
TWI809352B (zh) 用於將眼科鏡片之泡罩條運送到高壓滅菌盒中之方法
CN218370530U (zh) 血袋码放机构
CN210479149U (zh) 一种压电蜂鸣器包装机
JP4552040B2 (ja) 中仕切板自動組立装置
JPS591308A (ja) 成形品の箱詰め方法および装置
JP2001087975A (ja) トレーの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EP1605744B1 (en) Component placement apparatus, componen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2104661A2 (en) Apparatus for movement of articles
CN114761341A (zh) 用于坯料叠跺的料仓和用于由坯料制作容器的方法
JP2000062957A (ja) コンテナからの包装物品の取出方法
JPH09175511A (ja) 物品保持装置
JPH08324507A (ja) プラスチック製袋の箱詰装置
JPH0444906A (ja) 棒状物品整列体の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