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083A - 동력등강기 - Google Patents

동력등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083A
KR20210059083A KR1020190145224A KR20190145224A KR20210059083A KR 20210059083 A KR20210059083 A KR 20210059083A KR 1020190145224 A KR1020190145224 A KR 1020190145224A KR 20190145224 A KR20190145224 A KR 20190145224A KR 20210059083 A KR20210059083 A KR 20210059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d
driving module
hous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538B1 (ko
Inventor
조규성
심성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력등강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과, 상기 구동모듈을 조작하는 쓰로틀부를 포함하되, 상기 쓰로틀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듈의 출력을 조작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저면과 상기 로드의 외주연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가 상부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1스프링, 상기 로드의 외주연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버에 고정 및 해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구동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로드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 및 해제되도록 마련하여, 작업자가 직접 상기 로드를 파지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구동모듈이 출력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력등강기 {Power Ascender}
본 발명은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등강기에 사용되는 구동모듈의 전력을 조절하는 쓰로틀 로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마련된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등강기란, 고층 건물에서 화재를 포함한 비상상황 발생 시 재실자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동력등강기는 엔진형 동력 승강장치로서, 위험상황 발생시에 로프나 줄을 이용하여 사람이 외부로 탈출할 때 사용된다.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에는, 루프와; 상기 루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와; 상기 루프, 풀리, 감속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판과;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 등으로 구성되는 완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11643호에는 V형브레이크에서 먼저 감속 효과를 줌으로써, 감속휠에서는 고체중자가 매달린 경우에도 저체중자가 매달린 것과 같은 하중을 느끼므로, 과체중자라도 저체중자와 마찬가지로 낮은 속도로 완강할 수 있으며, 또한, V 형브레이크가 피난자의 체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다른 완강기 부품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장기간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는 동력등강기에 사용되는 구동모듈은 작업자에 의해 직접 외력이 가해지는 중에만 구동되도록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두 손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 등록특허 제1311643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동력등강기의 구동모듈을 조작하는 로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정 및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력등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력등강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과, 상기 구동모듈을 조작하는 쓰로틀부를 포함하되, 상기 쓰로틀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듈의 출력을 조작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저면과 상기 로드의 외주연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가 상부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1스프링, 상기 로드의 외주연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버에 고정 및 해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연 일단에는 상기 외주연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내주연 일단에는 레버고정슬롯이 형성되고, 내주연 타단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고정슬롯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로드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 및 해제되도록 마련하여, 작업자가 직접 상기 로드를 파지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구동모듈이 출력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등강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로틀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2에서 레버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는 도5의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등강기(100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0), 엔진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200),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L)가 권취되는 로프드럼(210), 상기 구동모듈을 조작하는 쓰로틀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3하우징(130), 제4하우징(140)을 포함하며, 각각의 하우징들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상기 제1하우징(110)에는 구동모듈(200)이 장착된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손잡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3하우징(130)은,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모듈(200)의 구동력을 로프드럼(210)에 전달하는 요소이다.
상기 제4하우징(140)은 상기 제3하우징(130)에 결합되며, 상기 제4하우징에는 로프드럼(210)이 장착된다.
이어서, 상기 구동모듈(200)은 엔진 또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 또는 모터는 로프드럼(210)을 회전시키는 요소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드럼(210)은 풀리 구조로 마련되어, 외주연 일부구간에 로프가 권취되는 요소이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상기 구동모듈(20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요소이며, 상기 로프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동력등강기가 로프를 따라 승하강(이동)하게 된다.
상기 동력등강기가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어질 때, 상기 로프(L)는 건물 등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되며, 상기 로프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동력등강기는 상기 로프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에는 기계식 제동장치(220), 롤러(230),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구비된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는 내측에 로프(L)의 일부 영역이 수용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로프를 구속하는 요소이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프(L)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요소이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로프드럼(210)에 결합되거나, 로프드럼(2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되어, 로프드럼(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한편, 상기 쓰로틀부(30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듈(200)의 엔진 또는 모터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요소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로틀부(300)는, 로드(320), 레버(340), 제1스프링(342), 고정부재(360), 제2스프링(380)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320)는,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수직단면이 원형인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로드(320)의 일단은 제1하우징(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4하우징(1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드(320)의 외주연에는 레버(340), 고정부재(360), 제2스프링(380)이 순차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레버의 저면과 로드의 외주연 사이공간에는 제1스프링(342)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로드(320)의 양 끝단에는 상기 로드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P)가 장착되어, 상기 로드(32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레버(340)는, 상기 로드(320)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되며, 작업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200)의 출력을 조절하는 요소이다.
상기 레버(340)는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로드(320)의 외주연 일부구간에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레버의 일단은 상기 스틸와이어(S)와 연결되어있고, 타단은 로드(320)에 힌지결합되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스틸와이어와 연결된 레버의 일단이 승하강되도록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레버(340)의 일단은, 구동모듈의 스틸와이어(도선)(S)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가 하강하면 상기 스틸와이어(S)가 레버(340)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와 접점되어 상기 구동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레버가 승강하면 상기 스틸와이어와 스위치가 탈락되어 구동모듈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버가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레버의 측면 일부구간이 상기 로드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하였으나, 이러한 레버의 형상은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40)의 일단측 저면에는 제1스프링(342)이 장착된다.
상기 제1스프링(342)은, 압축력에 저항하는 힘을 가진 압축스프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방향으로의 인장력을 가지며, 상기 레버(34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요소이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340)는 제1스프링에 의해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레버(340)의 저면 및 로드(320)의 외주연에는 홈 또는/및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링(342)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로드(320)의 외주연에는 고정부재(360)와 제2스프링(380)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재(360)는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4의 로드를 기준으로 로드의 일단을 좌측이라하고, 로드의 타단을 우측이라 한다.
상기 고정부재(36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로드(320)의 우측에 밀착된 상태로 마련되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로드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레버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요소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부재(360)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320)를 관통하도록 로드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360)의 외주연 일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의 돌기(36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62)는, 상기 레버(240)의 끝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재(360)가 레버측 방향(좌측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여,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를 레버측 방향(좌측방향)으로 용이하게 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360)의 내주연 일단에는 레버고정슬롯(364)이 형성되고, 내주연 타단에는 스프링홈(366)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고정슬롯(364)은, 상기 레버(340)의 일부구간을 수용하는 공간부로, 상기 레버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하는 요소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레버고정슬롯(364)은, 상기 레버(34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고정슬롯의 수직단면은, 상기 레버의 수직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단면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끝단이 상기 레버고정슬롯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고정슬롯(364)의 상면은, 상기 레버가 하강한 상태일 때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3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레버고정슬롯(364)의 상면은 고정부재(36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홈(364)은, 제2스프링(380)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스프링(380)은, 압축력에 저항하는 힘을 가진 압축스프링으로, 상기 고정부재(36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요소이다.
상기 제2스프링(380)은, 일단이 스프링홈(366)에 연결되고 타단은 플랜지(P)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340)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는 제2스프링에 의해 레버측으로 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기 동력등강기(1000)에 적용된 본 발명의 쓰로틀부(3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쓰로틀부(300)는, 상기 레버(340)가 승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60)는 로드(320)의 끝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작업자는, 도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듈(200)에 출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레버(340)를 눌러 상기 레버가 하강 되도록한다.
이후, 상기 레버(34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360)를 레버측(좌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버고정슬롯(364)에 상기 레버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레버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360)는 제2스프링(380)의 인장력에 의해 로드(320)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레버(340)의 저면에 장착된 제1스프링(342)은 압축된 상태이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구동모듈(200)을 정지하기 위해, 고정부재(360)를 로드의 우측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레버 및 고정부재는 제자리로 복원된다.
더욱 상세하게,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레버는 제1스프링(342)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하게되고, 상기 레버가 승강됨 따라 상기 고정부재(360)는 로드의 끝단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제2스프링은 압축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로드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 및 해제되도록 마련하여, 작업자가 직접 상기 로드를 파지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구동모듈이 출력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동력등강기
100:하우징
110:제1하우징
120:제2하우징
130:제3하우징
140:제4하우징
200:구동모듈
210:로프드럼
220:기계식 제동장치
230:롤러
240:로프드럼 제동장치
300:쓰로틀부
320:로드
340:레버
342:제1스프링
360:고정부재
362:돌기
364:레버고정슬롯
366:스프링홈
380:제2스프링
L:로프
P:플랜지
S:스틸와이어(도선)

Claims (3)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과, 상기 구동모듈을 조작하는 쓰로틀부를 포함하되,
    상기 쓰로틀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듈의 출력을 조작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저면과 상기 로드의 외주연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가 상부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1스프링;
    상기 로드의 외주연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버에 고정 및 해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등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연 일단에는 상기 외주연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내주연 일단에는 레버고정슬롯이 형성되고, 내주연 타단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등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고정슬롯의 상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등강기.
KR1020190145224A 2019-11-13 2019-11-13 동력등강기 KR10233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24A KR102335538B1 (ko) 2019-11-13 2019-11-13 동력등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24A KR102335538B1 (ko) 2019-11-13 2019-11-13 동력등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83A true KR20210059083A (ko) 2021-05-25
KR102335538B1 KR102335538B1 (ko) 2021-12-08

Family

ID=7614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24A KR102335538B1 (ko) 2019-11-13 2019-11-13 동력등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5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059A (ko) 1996-10-07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형 소자 분리 방법
KR100832748B1 (ko) * 2008-01-23 2008-05-27 실버레이 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집게
KR101311643B1 (ko) 2012-05-14 2013-09-25 강희선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20170121534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코닥트 지능형 승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059A (ko) 1996-10-07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형 소자 분리 방법
KR100832748B1 (ko) * 2008-01-23 2008-05-27 실버레이 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집게
KR101311643B1 (ko) 2012-05-14 2013-09-25 강희선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20170121534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코닥트 지능형 승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538B1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4792B1 (en) Powered rope climbing apparatus
KR20140095951A (ko) 트롤리에 사용되는 핸들유닛
US20150041740A1 (en) Braking Systems for Pneumatic Hoists
US6009979A (en) Outside up-down elevator
KR20210059083A (ko) 동력등강기
KR102606990B1 (ko) 휴대용 동력-구동식 시스템
JP7355655B2 (ja) 電動巻上機、電動巻上機付きクレーン、及び電動駆動装置
KR102279349B1 (ko)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20070070819A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KR101672160B1 (ko) 핸들식 구동 장치
CN100376302C (zh) 用于悬挂和锁定攀登用绳索的装置
JP5709679B2 (ja) エレベータ巻上げ機の人力駆動装置
KR102127092B1 (ko) 로프형 승강장치
KR102127091B1 (ko) 로프형 승강장치
JP2587298Y2 (ja) 避難梯子装置
WO2008096972A1 (en) Winch for escape
JP498642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IT201800007480A1 (it) Dispositivo frenante dinamico a sicurezza intrinseca
CN219546572U (zh) 便携式升降机
CN110975178B (zh) 高楼逃生缓降器
JP2006137517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解放装置
JPH0631120Y2 (ja) 避難梯子装置
CN117484548A (zh) 机器人防护组件和机器人
US5394960A (en) Descent device
JPH0788203A (ja) 避難梯子用の緩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