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027A -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027A
KR20210058027A KR1020190144943A KR20190144943A KR20210058027A KR 20210058027 A KR20210058027 A KR 20210058027A KR 1020190144943 A KR1020190144943 A KR 1020190144943A KR 20190144943 A KR20190144943 A KR 20190144943A KR 20210058027 A KR20210058027 A KR 2021005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emyoyeon
fastening
chae
ye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097B1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손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목 filed Critical 손상목
Priority to KR102019014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이나 가리비 등의 채묘연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하면서 수중에 매달아 해수나 해풍에도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를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일히 수작업으로 하던 번거로움을 없애고,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다수의 채묘연을 연속적으로 자동 체결할 수 있어 체결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채묘연 고정줄이 정렬되고 정렬된 채묘연 고정줄을 하기 채묘연 고정정줄 이송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 장치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안착시키고 하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받아 채묘연 고정줄에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대향시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 및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로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AUTO COUPLING APPARATUS FOR SUPPORTER OF OYSTERSHELL}
본 발명은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이나 가리비 등의 채묘연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하면서 수중에 매달아 해수나 해풍에도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를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일히 수작업으로 하던 번거로움을 없애고,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다수의 채묘연을 연속적으로 자동 체결할 수 있어 체결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양식을 함에 있어서 굴의 유생을 채묘연(굴껍질이나 가리비껍질 등)에 받는 것을 채묘라고 한다. 산란기에 바닷물속에 떠다니는 굴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체외 수정시기 약 2주후에는 눈이나 다리가 생기며 성숙한 유생이 된다. 이 시기에 채묘연을 해수에 담궈서 유생을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채묘연은 하나의 지지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하여 여러개를 한번에 해수에 담구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채묘를 위하여 지지줄에 채묘연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6 ~ 7미터의 지지줄(1)의 중간중간에 매듭(3)을 형성하고, 하나의 매듭(3)에 하나의 채묘연(5)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채묘연(5)은 그 중앙을 상기 지지줄(1)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채묘연(5)을 지지줄(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매듭(3)을 형성하고, 지지줄(1)의 단부에서 지지줄에 상기 채묘연(5)을 끼우고, 다시 매듭(3)을 형성하고, 다음의 채묘연(5)을 끼우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지지줄(1)에 매듭(3)을 만드는 작업과 채묘연(5)을 끼우는 작업을 반드시 번갈아 가면 반복해야 한다. 이때, 상기 지지줄(1)에 매듭(3)을 형성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특히, 상기 지지줄(1)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매듭을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묘연(5)을 반드시 매듭(3)을 하나 형성한 후에 하나만을 지지줄(1)에 끼워야 한다. 따라서, 채묘연(5)을 지지줄(1)에 끼우는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928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6173호에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듭을 짓는 대신에 클립 형태를 끼우는 것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클립을 장치에 의해 지지줄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반자동 또는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해 클립을 이웃하는 클립끼리 서로 연결시킨 형태의 클립스트랩 구조와 이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7호에 개시된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장착장치는 연속하여 클립을 지지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측면 배열에 따른 클립의 생산성이 매우 낮아지며 불량율이 높은 문제가 있다. 측면 배열시 무한정으로 길게 늘릴 수 없으므로 클립을 끼우는 작업시 매번 클립스트랩을 삽입시켜야 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1802(2005.11.2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1801(2005.11.2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1807(2005.11.2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00928(2010.01.0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6173(2015.05.26.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채묘연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하면서 수중에 매달아 해수나 해풍에도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를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일히 수작업으로 하던 번거로움을 없애고,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줄에 일정간격으로 끼운 다수의 채묘연을 암수 지지구로 연속적으로 자동 체결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채묘연이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연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 체결하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로서, 복수의 채묘연 고정줄이 정렬되고 정렬된 채묘연 고정줄을 하기 채묘연 고정정줄 이송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 장치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안착시키고 하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받아 채묘연 고정줄에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대향시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 및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로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테이블의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채묘연 고정줄이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의 지지 이송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 이송 블록을 이송시키는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이송 블록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로 이송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는 상기 테이블의 폭방향 일단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벨트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간격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간격과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는, 가이드되어 안착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양 옆으로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각각 가이드하는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으로 가이드되는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연 지지구를 체결시키는 체결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의 이송 방향 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블록 부재, 및 상기 회전 블록 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 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채묘연 고정줄이 가이드되어 안착되는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 및 상기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 각각을 가이드하기 위한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구동 수단은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에 위치되는 채묘연지지구를 이동시키고 가압하기 위한 로드(rod) 구비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 각각을 수용하며 일측에 채묘연지지구 투입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투입 호퍼와, 상기 한 쌍의 투입 호퍼 각각의 채묘연지지구 투입구와 연통되며 투입되는 채묘연 지지구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사 가이드 부재와, 상기 경사 가이드 부재 각각의 끝단에 연통 형성되며 채묘연 지지구가 하나씩 유입되는 지지구 유입통로가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 부재, 및 일단부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지지구 유입통로와 연통되고 유입된 채묘연 지지구를 상기 가이드 블록 부재로 가이드하기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통로는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 구동 방향과 동일 선상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는 수 채묘연 지지구와 암 채묘연 지지구를 포함하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는 중앙부에 고정줄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사각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 채묘연 지지구는 일면에 후크형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암 채묘연 지지구는 일면에 상기 후크형 체결 돌기와 후크 체결되는 후크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동작과 연동하며,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에 안착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전방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파지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채묘연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하면서 수중에 매달아 해수나 해풍에도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일히 수작업으로 하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최소 인원으로 작업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을 통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고정줄에 일정간격으로 끼운 다수의 채묘연을 암수 지지구로 연속적으로 자동 체결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채묘를 위하여 지지줄에 채묘연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 및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 및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 및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일부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이용되는 암수 채묘연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수 채묘연 지지구(좌 고정클립)이고, (B)는 암 채묘연 지지구(우 고정클립)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회전형 체결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의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를 구성하는 회전형 체결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 및 채묘연고정줄 이송장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 및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 및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일부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이용되는 암수 채묘연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수 채묘연 지지구(좌 고정클립)이고, (B)는 암 채묘연 지지구(우 고정클립)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회전형 체결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의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를 구성하는 회전형 체결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는, 채묘연(예를 들면, 가리비 껍데기)이 일정 간격으로 꿰어진 고정줄에 채묘연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 체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설명에서 채묘연이 일정 간격으로 꿰어진 고정줄에 대한 용어는 채묘연 고정줄로 약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는,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연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 체결하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로서,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 및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는,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채묘연 고정줄이 정렬되고 정렬된 채묘연 고정줄을 하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 장치부(100)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채묘연 고정절 이송장치부(20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송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안착시키고 하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받아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로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 및 장치(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및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미도시)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는, 소정 높이의 다리부(111)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 사이즈의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구획 플레이트(120)와, 상기 테이블(110)의 양 가장자리(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30)과, 상기 가이드 레일(13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채묘연 고정줄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 이송 블록(140), 및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을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송시키는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는 채묘연 고정줄에 꿰어진 채묘연(예를 들면, 가리비 껍데기)이 지지 이송 블록(140)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할 때 채묘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130)은 테이블(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상하측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어 그 가이드 레일(130)에 위치되는 지지 이송 블록(140)이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레일(130) 대신에 무한궤도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에 지지 이송 블록이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은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요홈부에 풀리가 구성되는 블록체로 구성되어 상기 풀리에 채묘연 고정줄이 안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은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150)에 의해 이송될 수 있게 가이드 레일(130)에 안착되되,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로 이송된 위치에서,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에 의한 채묘연 고정줄의 공급에 방해되지 않도록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에 의한 채묘연 고정줄의 공급 간격에 상응하여 하방으로 인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은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에 의해 채묘연 지지구의 체결이 완료되게 되면 그 가이드 레일(130)로부터 탈락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150)은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구성되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 지지 블록(140)의 이송 시 안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 상면에 안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의 하면에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이 이송 완료된 위치(즉,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측)에서 이송 지지 블록(140)은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150)으로부터 벗어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이송 블록(140)은 출몰가능한 승강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에 의한 채묘연 고정줄의 공급에 방해되지 않도록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에 의한 채묘연 고정줄의 공급 간격에 상응하여 하방으로 인입되고 다시 상방으로 원위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는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에 의해 정렬되고 이송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제공받아 채묘연 고정줄을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테이블(110)의 폭방향 일단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상면(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22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벨트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채묘연 고정줄에 구비된 채묘연을 정렬시키면서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이송 플레이트(2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220)의 간격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의 구획 플레이트(120)의 간격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의 동작은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와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동작과 함께 연동, 즉 지지 이송 블록(140)의 이송 완료 지점에서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100)의 지지 이송 블록(140)의 출몰 동작 및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체결 동작에 연동하여 일정 간격을 갖고 채묘연 고정줄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일정 간격이라 함은 공간적 간격 및 시간적 간격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상기 채묘연 지지구 이송장치부(200)는 그 일 실시 예로서 앞서 설명에서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구성되는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 있으나, 채묘연 고정줄에 구비되는 채묘연 각각 또는 일정 간격마다의 채묘연을 밀어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측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채묘연 지지구 이송장치부(200)는 일측변에 "ㄷ"자형으로 절개되어 채묘연 고정줄이 끼워지는 일단 개구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일정 간격의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동작과 연동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송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는 그 절개홈에 채묘연 고정줄이 끼워지고(측방에서 끼워지고), 일면에 채묘연을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이송 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채묘연 지지구 이송장치부(200)에서 소정 개수의 채묘연이 구비된 채묘연 고정줄에 대한 이송을 실행할 때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측으로 채묘연을 전달한 이송 플레이트는 일측 방향, 즉 절개홈에서 채묘연 고정줄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이송 플레이트는 다시 원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러한 이송 플레이트의 이송은 구동 수단에 의해 이송과 복귀를 위한 트랙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는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의 이송 방향 단부 측에 구비되어 그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30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송되어 오는 채묘연 고정줄의 양 옆에서,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는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의 이송 방향 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급받은 채묘연 지지구를 중앙부에 안착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양 옆으로 가이드하는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으로 가이드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채묘연 지지구를 체결시키는 체결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200)의 이송 방향 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블록 부재(310), 및 상기 회전 블록 부재(310)의 외면에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 부재(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블록 부재(320)에는 회전 방향으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고정줄이 안착 가이드되는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321), 및 상기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32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가이드 홈(321)의 양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321)은 대략 "V"자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부 양측이 단부 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채묘연 고정줄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321)의 대향하는 내벽에는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가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에서 일측의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는 암 채묘연 지지구가 가이드되는 통로이고, 타측의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는 수 채묘연 지지구가 가이드되는 통로이다. 이에 따라 중앙부에 형성되는 채묘연고정줄에 양 측방에서 제공되어 후술하는 체결 구동 수단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는 암수 채묘연지지구가 서로 체결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채묘연지지구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 다시 말해서 체결방향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채묘연 지지구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 구동 수단은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 양측에 각각 대향하게 구성되어 그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에 위치되는 채묘연지지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장 및 신축되는 로드(rod)를 갖는 에어 실린더(3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채묘연지지구 체결장치부는 회전 블록 부재(310)에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블록 부재(320)에 채묘연 고정줄이 안착되어 채묘연 지지구가 체결되는데, 도면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90°의 회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채묘연 고정줄에 체묘연 지지구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
상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는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의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로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510, 520)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는 채묘연 지지구(510, 520)를 수용하며 일측에 채묘연지지구 투입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투입 호퍼(410)와, 상기 한 쌍의 투입 호퍼(410) 각각의 채묘연지지구 투입구와 연통되며 투입되는 채묘연 지지구(510, 520)를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사 가이드 부재(420)와, 상기 경사 가이드 부재(420) 각각의 끝단에 연통 형성되며 채묘연 지지구(510, 520)가 하나씩 유입되는 지지구 유입통로가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 부재(430), 및 일단부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430)의 지지구 유입통로와 연통되고 유입된 채묘연 지지구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가이드 통로(441)가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 부재(44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투입 호퍼(410)와 경사 가이드 부재(420)와 수직 가이드 부재(420) 및 수평 가이드 부재(440)는 각각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투입 호퍼(410)는 각각 수 채묘연 지지구(510)를 수용하는 투입 호퍼와, 암 채묘연 지지구(510)를 수용하는 투입 호퍼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 가이드 부재(420)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채묘연 지지구 각각(암수 채묘연 지지구 각각)이 일측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수직 가이드 부재(430)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430)에 형성되는 지지구 유입통로는 단일의 채묘연 지지구 기립된 상태로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구 유입통로는 채묘연지지구 체결장치부에서 채묘연 지지구 각각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 부재(440)는 수직 가이드 부재(430)를 통해 하나씩 유입된 채묘연 지지구를 상기한 가이드 블록 부재(320)의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그 상기 수평 가이드 부재(440)의 가이드 통로(441)가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 및 체결 구동 수단인 에어 실린더의 로드 구동 방향과 동일 선상에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부재(440)에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441)는 채묘연지지구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 블록 부재(320)의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 가이드 부재(440)는 그 가이드 통로(441)가 양측에서 개방되게 형성되어 그 가이드 통로(441)로 유입된 채묘연 지지구는 일측 개방부 측에 구성되는 체결 구동 수단의 에어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어 타측 개방부 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 블록 부재(320)의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322)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에서 이용되는 채묘연 지지구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채묘연 지지구(510, 520)는 수 채묘연 지지구(510)와 암 채묘연 지지구(520)를 포함한다.
상기 채묘연 지지구(510, 520)는 각각 사각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고정줄 가이드 홈(511, 52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 채묘연 지지구(510)의 경우, 고정줄 가이드 홈(511)을 기준으로 양측에 후크형 체결 돌기(5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 채묘연 지지구(510)는 고정줄 가이드 홈(511)의 중앙부에 고정줄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돌출부(5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 채묘연 지지구(520)의 경우, 상기 고정줄 가이드 홈(521)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수 채묘연 지지구(510)의 후크형 체결 돌기(512)와 후크 체결될 수 있게 후크 체결홈(52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510, 520) 각각은 상하단 및/또는 양 측단에 가이드 돌기(514, 52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 돌기(514, 524)는 상기한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 및 상기한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400)에 구성되어 각 구성부의 가이드 홈이나 통로(즉,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 수평 및 수직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통로)에서 채묘연 지지구가 기립된 상태에서 서로 체결하는 방향으로 투입하고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반은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조작 버튼과, 각 장치부의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는,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전방 측에 구성되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의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에 안착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전방부(채묘연 사이의 고정줄)를 팽팽하게 잡아주거나 당겨지는 채묘연 고정줄 파지장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채묘연 고정줄 파지장치부(600)는 채묘연 고정줄이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의 회전 블록 부재(310)에 안착되게 되면, 채묘연 지지구의 체결 전에 구동하여 채묘연 고정줄의 전방부를 잡아주거나 당겨서 팽팽하게 한 다음,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300)에 의해 체결이 완료되면 채묘연 고정줄을 놓아주고,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의 회전 블록 부재(310)가 회전되어 다음 간격의 채묘연 고정줄을 다시 잡아주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채묘연 고정줄 파지장치부(600)의 구성은 상기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에 따르면, 채묘연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하면서 수중에 매달아 해수나 해풍에도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일히 수작업으로 하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최소 인원으로 작업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을 통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정줄에 일정간격으로 끼운 다수의 채묘연을 암수 지지구로 연속적으로 자동 체결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줄 정렬장치부
110: 테이블
111: 다리부
120: 구획 플레이트
130: 가이드 레일
140: 지지 이송 블록
150: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
200: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
210: 컨베이어 벨트
220: 이송 플레이트
300: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
310: 회전 블록 부재
320: 가이드 블록 부재
321: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
322: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
330: 에어 실린더
400: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
410: 투입 호퍼
420: 경사 가이드 부재
430: 수직 가이드 부재
440: 수평 가이드 부재
441: 가이드 통로
510: 채묘연 지지구(수 채묘연 지지구)
511: 고정줄 가이드 홈
512: 후크형 체결 돌기
513: 돌출부
520: 채묘연 지지구(암 채묘연 지지구)
521: 고정줄 가이드 홈
522: 후크 체결홈
600: 채묘연 고정줄 파지장치부

Claims (8)

  1. 채묘연이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연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를 자동 체결하기 위한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로서,
    복수의 채묘연 고정줄이 정렬되고 정렬된 채묘연 고정줄을 하기 채묘연 고정정줄 이송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 장치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채묘연 고정줄을 안착시키고 하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받아 채묘연 고정줄에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대향시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 및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로 채묘연 지지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고정줄 정렬장치부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테이블의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채묘연 고정줄이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의 지지 이송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 이송 블록을 이송시키는 지지이송블록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이송 블록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로 이송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는
    상기 테이블의 폭방향 일단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벨트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간격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간격과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는, 가이드되어 안착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양 옆으로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를 각각 가이드하는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으로 가이드되는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연 지지구를 체결시키는 체결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형 체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채묘연 고정줄 이송장치부의 이송 방향 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블록 부재, 및 상기 회전 블록 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가이드 블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 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채묘연 고정줄이 가이드되어 안착되는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 및 상기 채묘연고정줄 가이드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 각각을 가이드하기 위한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구동 수단은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에 위치되는 채묘연지지구를 이동시키고 가압하기 위한 로드(rod) 구비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 공급장치부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 각각을 수용하며 일측에 채묘연지지구 투입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투입 호퍼와, 상기 한 쌍의 투입 호퍼 각각의 채묘연지지구 투입구와 연통되며 투입되는 채묘연 지지구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사 가이드 부재와, 상기 경사 가이드 부재 각각의 끝단에 연통 형성되며 채묘연 지지구가 하나씩 유입되는 지지구 유입통로가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 부재, 및 일단부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지지구 유입통로와 연통되고 유입된 채묘연 지지구를 상기 가이드 블록 부재로 가이드하기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통로는 상기 채묘연지지구 가이드 통로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 구동 방향과 동일 선상에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는 수 채묘연 지지구와 암 채묘연 지지구를 포함하는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수의 채묘연 지지구는 중앙부에 고정줄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사각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 채묘연 지지구는 일면에 후크형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암 채묘연 지지구는 일면에 상기 후크형 체결 돌기와 후크 체결되는 후크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의 동작과 연동하며, 상기 채묘연 지지구 체결장치부에 안착되는 채묘연 고정줄의 전방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도록 구성되는 채묘연 고정줄 파지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KR1020190144943A 2019-11-13 2019-11-13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KR10236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43A KR102369097B1 (ko) 2019-11-13 2019-11-13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43A KR102369097B1 (ko) 2019-11-13 2019-11-13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27A true KR20210058027A (ko) 2021-05-24
KR102369097B1 KR102369097B1 (ko) 2022-02-28

Family

ID=7615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43A KR102369097B1 (ko) 2019-11-13 2019-11-13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9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969A (ko) * 2000-10-25 2002-05-03 영 민 전 수하식 패류양식용 수하연의 채묘조립기
KR200401807Y1 (ko) 2005-09-05 2005-11-22 유금범 클립장착장치
KR200401801Y1 (ko)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스트랩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20100000928A (ko) 2008-06-26 2010-01-06 김용원 굴 양식용 채묘대
KR20150056173A (ko) 2013-11-15 2015-05-26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의 고정을 위한 고정클립과 지지줄 거치 방법
KR101689311B1 (ko) * 2015-09-11 2016-12-23 황백용 채묘연 고정구 결합 장치
KR20170088564A (ko) *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KR20180029715A (ko) * 2016-09-13 2018-03-21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101879632B1 (ko) * 2017-12-07 2018-08-17 모은산업 주식회사 수하연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969A (ko) * 2000-10-25 2002-05-03 영 민 전 수하식 패류양식용 수하연의 채묘조립기
KR200401801Y1 (ko)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스트랩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200401807Y1 (ko) 2005-09-05 2005-11-22 유금범 클립장착장치
KR20100000928A (ko) 2008-06-26 2010-01-06 김용원 굴 양식용 채묘대
KR20150056173A (ko) 2013-11-15 2015-05-26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의 고정을 위한 고정클립과 지지줄 거치 방법
KR101689311B1 (ko) * 2015-09-11 2016-12-23 황백용 채묘연 고정구 결합 장치
KR20170088564A (ko) *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KR20180029715A (ko) * 2016-09-13 2018-03-21 조호현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KR101879632B1 (ko) * 2017-12-07 2018-08-17 모은산업 주식회사 수하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97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234B1 (ko) 결주포트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포트 치상장치
CN108271508B (zh) 一种自动拖拽转挂式海带收割机
CN205567361U (zh) 定植篮
KR20210058027A (ko)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KR20110118876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CN109184064A (zh) 吊顶安装构件及应用于波浪形铝方通吊顶安装的施工方法
CN108575809A (zh) 一种鸡饲养装置及饲养方法
KR101311371B1 (ko)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20200119078A (ko) 굴 양식용 수하연 자동 조립기
JP2020018286A (ja) 果樹枝誘引支持具
CN206452940U (zh) 一种水培苗定植海绵夹取式自动分离机
CN207678250U (zh) 一种自动调节行间距的钵苗移栽机喂苗装置
CN108738795A (zh) 一种新型斜插式蔬菜嫁接装置
CN212993339U (zh) 一种用于观赏花卉大棚培育的悬吊装置
CN109105046B (zh) 一种农业种植架
CN107743900B (zh) 一种淡水石斑鱼繁育系统
CN104604666B (zh) 一种羊栖菜胚海区放养的筏架装置组
CN104604665A (zh) 一种在风浪小、水质清的海区对羊栖菜胚放养的筏架装置组
KR102595584B1 (ko) 종패 밀도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03158927A (ja) 水耕栽培槽における害虫駆除用植物浸漬装置
KR101671988B1 (ko) 밴드를 이용한 굴 양식방법
EP2767156B1 (en) A method to cut wires grown over with plants in a crop wire hoisting system and an apparatus for applying the method
JP2018093769A (ja) 昆布の養殖設備
CN220140566U (zh) 一种多层式立体蝇蛆养殖设备
CN208104030U (zh) 沉水植物区域性试验专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