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802Y1 -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 Google Patents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802Y1
KR200401802Y1 KR20-2005-0025190U KR20050025190U KR200401802Y1 KR 200401802 Y1 KR200401802 Y1 KR 200401802Y1 KR 20050025190 U KR20050025190 U KR 20050025190U KR 200401802 Y1 KR200401802 Y1 KR 200401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lip
string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20-2005-0025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줄관통부(15)가 형성되는 클립몸체(11)와, 상기 클립몸체(11)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줄관통부(15)를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줄안내슬롯(14')을 형성하는 가이드레그(13)와, 상기 줄관통부(15)와 줄안내슬롯(14')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줄관통부(15)에 안착된 지지줄을 걸어 고정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미늘(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에 의하면 채묘연을 지지줄에 지지하기 위한 클립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채묘연을 모두 지지줄에 끼운 상태에서 클립을 지지줄에 설치할 수 있어 채묘연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미늘에 의해 클립이 지지줄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Clip}
본 고안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묘연을 지지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기 위한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굴양식을 함에 있어서 굴의 유생을 채묘연(굴껍질이나 가리비껍질 등)에 받는 것을 채묘라고 한다. 산란기에 바닷물속에 떠다니는 굴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체외 수정시기 약 2주후에는 눈이나 다리가 생기며 성숙한 유생이 된다. 이 시기에 채묘연을 해수에 담궈서 유생을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채묘연은 하나의 지지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하여 여러개를 한번에 해수에 담구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에 채묘를 위해 지지줄에 채묘연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6 ~ 7미터의 지지줄(1)의 중간중간에 매듭(3)을 형성하고, 하나의 매듭(3)에 하나의 채묘연(5)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채묘연(5)은 그 중앙을 상기 지지줄(1)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채묘연(5)을 지지줄(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매듭(3)을 형성하고, 지지줄(1)의 단부에서 지지줄에 상기 채묘연(5)을 끼우고, 다시 매듭(3)을 형성하고, 다음의 채묘연(5)을 끼우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지지줄(1)에 매듭(3)을 만드는 작업과 채묘연(5)을 끼우는 작업을 반드시 번갈아 가면 반복해야 한다. 이때, 상기 지지줄(1)에 매듭(3)을 형성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특히, 상기 지지줄(1)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매듭을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묘연(5)을 반드시 매듭(3)을 하나 형성한 후에 하나만을 지지줄(1)에 끼워야 한다. 따라서, 채묘연(5)을 지지줄(1)에 끼우는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묘연을 지지줄에 먼저 끼우고 채묘연을 지지하기 위한 클립을 지지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채묘연을 지지하는 클립이 지지줄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줄관통부가 형성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줄관통부를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줄안내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레그와, 상기 줄관통부와 줄안내슬롯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줄관통부에 안착된 지지줄을 걸어 고정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미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줄관통부와 상기 줄안내슬롯이 연통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줄관통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미늘은 상기 줄안내슬롯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으로, 줄관통부 쪽에 직각면에 형성되고, 줄안내슬롯쪽에 지지줄을 상기 줄관통부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몸체 일측면은 소정의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클립몸체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배면에서 볼 때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클립몸체 양단의 가이드레그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지지줄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레그의 기저부를 향해 갈수로 양단의 가이드면 사이의 거리가 좁아진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줄관통부가 형성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줄관통부를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줄안내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레그와, 상기 줄관통부와 줄안내슬롯의 사이에 해당하는 줄안내슬롯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줄관통부에 안착된 지지줄을 걸어 고정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미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줄관통부와 상기 줄안내슬롯이 연통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줄관통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클립몸체 일측면은 소정의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클립몸체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배면에서 볼 때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에 의하면 채묘연을 지지줄에 지지하기 위한 클립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채묘연을 모두 지지줄에 끼운 상태에서 클립을 지지줄에 설치할 수 있어 채묘연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미늘에 의해 클립이 지지줄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격유지용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클립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다수개의 클립이 서로 연결된 클립스트랩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클립(10)의 클립몸체(11)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선단 양단부로 각각 연장되게 가이드레그(1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그(13)사이는 소정의 틈새가 있는데, 가이드레그(13)의 선단으로 갈수록 틈새가 커진다. 즉, 상기 가이드레그(13)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가이드레그(13)의 기저부를 향해 갈수록 인접하게 되는 가이드면(1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14)은 지지줄이 가이드레그(13)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그(13)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줄안내슬롯(14')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클립몸체(11)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줄관통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줄관통부(15)는 대략 원형상인데, 상기 줄안내슬롯(14')과 일측이 연통된다. 상기 줄관통부(15)와 줄안내슬롯(14')이 연통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줄관통부(15)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줄관통부(15)에 안착된 지지줄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줄관통부(15)의 입구에 해당되는 상기 줄안내슬롯(14')에는 미늘(17)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미늘(17)은 본 실시예에서 2쌍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한쌍 또는 2쌍 이상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 된다.
상기 미늘(17)은 상기 줄관통부(15)쪽 방향에는 줄안내슬롯(14')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직각면(18)이 형성되고, 상기 줄안내슬롯(14') 쪽 방향에는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8')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8')은 지지줄이 줄관통부(15)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직각면(18)은 일단 줄관통부(15)에 안착된 줄이 빠지지 않도록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미늘(17)은 상기 줄안내슬롯(14')과 줄관통부(15)의 사이에서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줄안내슬롯(14')이 점차로 폭이 좁아져 가장 좁은 부분에 미늘(17)이 있고, 상기 줄관통부(15)도 상기 줄안내슬롯(14')을 향해 가면서 점차 폭이 좁아져 가장 좁은 부분에 미늘(17)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립몸체(11)의 일측면은 경사면(19)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클립몸체(11)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클립몸체(11)를 배면에서 볼 때, 그 하면의 폭과 상면은 폭이 달리 형성된다. 상기 클립몸체(11)의 상면의 폭에 비해 하면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클립몸체(11)의 타측면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클립(10)들은 그 측면의 하단에서 연결목(20)에 의해 연결되어 스트랩의 형태로 작업장에 제공된다. 상기 연결목(20)은 상기 클립몸체(11)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것이고,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클립몸체(11)의 하단이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일측 클립몸체(11)의 경사면(18') 하단이 타측 클립몸체(11)의 수직면 하단과 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클립몸체(11)의 양측면이 모두 수직면으로 되도록 하고, 인접하는 클립몸체(11)의 하단부만이 얇은 두께의 연결목(20)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클립(10)은 제작시에, 예를 들면 20개 정도가 서로 연결되는 클립스트랩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클립스트랩은 클립(10)을 지지줄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공급되어 클립(10)이 하나씩 지지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즉, 클립스트랩에서 일단부의 클립(10)을 장치의 밀쇠(도시되지 않음)로 가격하여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줄에 장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밀쇠가 클립스트랩중 일단부의 클립(10)을 뒤에서 밀어서 연결목(20)이 절단되도록 하고, 클립(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클립(10)의 전방에는 미리 지지줄이 기다리고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립(10)이 밀쇠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레그(13)의 사이에 지지줄이 위치되고, 결국 상기 줄안내슬롯(14')을 통과하여 줄관통부(15)에 지지줄이 안착된다. 물론, 상기 지지줄이 모두 상기 줄관통부(15)에 위치되는 것은 아니면, 일부는 상기 미늘(17)에 밀착되고, 극히 일부는 줄안내슬롯(14')에도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늘(17)은 상기 지지줄이 줄안내슬롯(14') 방향으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줄의 양면이 미늘(17)의 직각면(18)이 걸어져 지지줄이 임의로 빠지지 않는 것이다.
특히, 상기 줄안내슬롯(14')과 줄관통부(15)중에서 가장 폭이 좁은 부분에 미늘(1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줄관통부(15)에 미늘(17)에 의해 걸어진 지지줄은 클립(10)이 파손되기 전에는 지지줄에서 분리될 수 없다.
한편, 지지줄에 상기 클립(10)을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지지줄에 미리 채묘연을 필요한 갯수만큼 끼운 상태에서, 정해진 위치에 클립(10)을 장착한다. 이때, 클립(10)과 클립(10)의 사이에는 하나의 채묘연이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지줄의 일단부에 미리 끼워져 있는 여러개의 채묘연중 하나를 이동시켜 소정의 위치에 있도록 하고, 클립(10)을 지지줄에 장착한다. 그리고, 다시 채묘연중 다른 하나를 이동시켜 소정의 위치에 있도록 하고 또 하나의 클립(10)을 이전의 클립(10)에서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 장착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클립의 가이드레그 사이에 형성된 줄안내슬롯으로 지지줄이 통과하여 줄관통부에 안착되도록 하면 클립이 지지줄에 장착되므로, 지지줄에 클립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채묘연을 지지줄에 모두 끼워 놓은 상태에서 클립을 지지줄에 하나씩 장착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채묘연을 지지줄에 소정 간격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어 채묘연을 지지줄에 장착하는 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클립은 줄관통부와 줄안내슬롯 사이에 줄관통부에 안착된 지지줄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미늘이 구비되어 있어 일단 지지줄에 클립이 장착되면 지지줄에서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채묘연을 지지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다수개의 클립이 서로 연결된 클립스트랩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클립에 지지줄이 관통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클립 11: 클립몸체
13: 가이드레그 14: 가이드면
14': 줄안내슬롯 15: 줄안착부
17: 미늘 18: 직각면
18': 경사면 19: 경사면
20: 연결목

Claims (8)

  1.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줄관통부가 형성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줄관통부를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줄안내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레그와,
    상기 줄관통부와 줄안내슬롯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줄관통부에 안착된 지지줄을 걸어 고정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미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관통부와 상기 줄안내슬롯이 연통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줄관통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상기 줄안내슬롯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으로, 줄관통부 쪽에 직각면에 형성되고, 줄안내슬롯쪽에 지지줄을 상기 줄관통부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몸체 일측면은 소정의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클립몸체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배면에서 볼 때 폭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몸체 양단의 가이드레그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지지줄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레그의 기저부를 향해 갈수록 양단의 가이드면 사이의 거리가 좁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6.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줄관통부가 형성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줄관통부를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줄안내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레그와,
    상기 줄관통부와 줄안내슬롯의 사이에 해당하는 줄안내슬롯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줄관통부에 안착된 지지줄을 걸어 고정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미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줄관통부와 상기 줄안내슬롯이 연통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줄관통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몸체 일측면은 소정의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클립몸체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배면에서 볼 때 폭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20-2005-0025190U 2005-08-31 2005-08-31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200401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90U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08-31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90U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08-31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802Y1 true KR200401802Y1 (ko) 2005-11-22

Family

ID=4370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90U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08-31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80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125B1 (ko) 2016-01-25 2017-09-26 김윤공 수하식 굴 양식용 줄의 결속구
KR200485348Y1 (ko) * 2016-11-25 2017-12-26 유금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101832728B1 (ko) 2017-10-17 2018-02-27 김대한 패류 양식용 통발
KR20210058027A (ko) 2019-11-13 2021-05-24 손상목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KR200496658Y1 (ko) 2021-11-04 2023-03-29 박용실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및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조립체
KR20230158227A (ko) 2022-05-11 2023-11-20 정혜임 굴 양식용 수하연의 스토퍼 자동 조립장치와 조립방법 및 패각 공급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125B1 (ko) 2016-01-25 2017-09-26 김윤공 수하식 굴 양식용 줄의 결속구
KR200485348Y1 (ko) * 2016-11-25 2017-12-26 유금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101832728B1 (ko) 2017-10-17 2018-02-27 김대한 패류 양식용 통발
KR20210058027A (ko) 2019-11-13 2021-05-24 손상목 채묘연 지지구 자동 체결 장치
KR200496658Y1 (ko) 2021-11-04 2023-03-29 박용실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및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조립체
KR20230158227A (ko) 2022-05-11 2023-11-20 정혜임 굴 양식용 수하연의 스토퍼 자동 조립장치와 조립방법 및 패각 공급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802Y1 (ko)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US7607320B2 (en) Interlocking jewelry links
US2634593A (en) End member for box type link chains
KR200401801Y1 (ko)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스트랩
JP2010154844A (ja) 枝誘引クリップ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3640014A (en) Fishhook with weed guard
KR101135037B1 (ko) 종묘부착블록 및 그 시설방법
US3040466A (en) Fish hook weed guard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US20120017488A1 (en) Modular Hook System
RU2007136490A (ru) Цветочная опора с защитой стебля
JP2020018286A (ja) 果樹枝誘引支持具
US3605318A (en) Weedless fishhook
KR200492246Y1 (ko)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0409213Y1 (ko) 전복양식 구조물
KR200424858Y1 (ko) 가리비 양식용 어구
KR101746840B1 (ko) 해조류 종묘 양식로프
KR102486215B1 (ko) 굴 양식용 패각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 및 그 스토퍼들이 연결된 스토퍼 카트리지
JP3948769B2 (ja) 魚礁
KR102324582B1 (ko) 굴 양식용 패각
US6450666B1 (en) Kit for forming a support for a string of lights
KR930000918Y1 (ko) 굴 양식용 종패(굴껍질)걸이
KR200354261Y1 (ko) 낚시용 연결부재
KR200335728Y1 (ko)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