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48Y1 -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 Google Patents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48Y1
KR200485348Y1 KR2020160006840U KR20160006840U KR200485348Y1 KR 200485348 Y1 KR200485348 Y1 KR 200485348Y1 KR 2020160006840 U KR2020160006840 U KR 2020160006840U KR 20160006840 U KR20160006840 U KR 20160006840U KR 200485348 Y1 KR200485348 Y1 KR 200485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upling
seating plate
sl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2020160006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이다. 본 고안은 그물망(10)에 안착판(2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20)은 상기 그물망(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안착판(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30)이 있고, 상기 측벽(30)에는 결합통공(32)이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10)의 연결줄(12)이 통과한다. 상기 측벽(30)의 선단에는 단부테두리(33)가 있고, 상기 단부테두리(33)를 절단하여 결합슬릿(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5)은 상기 결합통공(32)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결합슬릿(35)은 입구쪽이 더 넓고 상기 결합통공(32)쪽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다. 특히 상기 결합통공(32)쪽의 결합슬릿(35)은 그 내면의 안내경사면(37)이 접촉하여 틈새가 없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안착판(20)을 그물망(10)에 결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양식용 그물망조립체{Net assembly for farming}
본 고안은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의 내부공간을 다수개의 층으로 구획하여 사용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연안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을 양식하고 있다. 굴과 조개와 같은 패류들, 미역과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그리고 해삼, 우렁쉥이나 어류 등등 많은 생물들을 양식하고 있다.
굴, 우렁쉥이, 해삼 등과 같은 것은 양식용 그물망조립체를 사용하여 양식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양식용 그물망조립체는 단순히 그물망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원통형의 그물망의 내부에 다수개의 안착판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에서는 상기 안착판에 양식물을 올려 놓고 해저에 위치시켜, 양식물이 자라도록 한다.
상기 양식용 그물망조립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안착판을 그물망의 내부에서 그물망과 결합시켜야 한다. 즉, 그물망과 안착판 사이를 끈이나 와이어 등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하나의 안착판과 그물망 사이는 수십 곳에서 끈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연결작업은 매우 지루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고, 숙련된 작업자가 하지 않으면 연결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공보 제 1993-0001172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61130 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에서 그물망과 안착판을 간단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에서 안착판을 그물망에 결합할 때, 결합과정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연결줄이 매듭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안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결합통공이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선단에 형성된 단부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테두리를 절단하여 형성되어 상기 결합통공으로 상기 연결줄이 진입하도록 하는 결합슬릿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슬릿은 상기 결합통공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의 양측 내면인 안내경사면은 상기 결합통공에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틈이 없도록 된다.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벽에 형성된 결합통공은 상기 측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측벽에 형성된 결합통공은 상기 측벽의 상단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안착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측벽이 있고 상기 측벽의 선단에는 결합슬릿이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통공의 내부로 그물망의 연결줄이 결합슬릿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판과 그물망 사이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결합슬릿이 결합통공과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거의 틈새가 없고 외부와 연결되는 쪽인 결합슬릿의 입구는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특성상 그물망의 연결줄은 결합통공으로 들어가는 것은 쉽지만 다시 결합슬릿을 통과해서 빠져나오는 것은 불가능하여 안착판과 그물망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식용 그물망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그물망조립체를 구성하는 안착판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착판의 중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그물망조립체를 구성하는 안착판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착판의 중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안착판에 그물망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양식용 그물망조립체는 그물망(10)과 안착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물망(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 것으로, 하단부는 막혀 있고, 상단부의 입구(18)는 개방되어 있으나 원줄에 연결하기 위한 가지줄 또는 별도의 조임줄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상기 그물망(10)은 합성수지로 된 연결줄(12)이 매듭으로 연결되면서 마름모꼴의 그물코(16)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그물망(10)을 쓰는 이유는 바닷물이 내외부로 쉽게 통과하여 바다의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양식대상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안착판(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안착판(20)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판형상이다. 상기 안착판(20)의 베이스(22)는 원형의 판이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22)가 반드시 원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각형으로 될 수 있다. 즉,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으로 될 수 있고, 원형과 비슷한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의 상면에는 방사상리브(24)와 원형리브(26)가 형성된다. 상기 방사상리브(24)와 원형리브(26)는 서로 교차하게 된다. 상기 방사상리브(24)는 베이스(22)의 중심에서 시작해서 방사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형리브(24)는 각각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22)에는 다수개의 통공(28)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8)은 안착판(20)의 베이스(22)에 의해 바닷물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공(28)을 통해 주변의 바닷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안착판(20) 주변에서의 바닷물 흐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30)이 있다. 상기 측벽(30)은 상기 베이스(22) 상에 얹어지는 양식대상물이 베이스(22)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그물망(10)이 있어서 베이스(22) 상에서 양식대상물이 떨어지는 경우는 없으나, 항상 안착판(20) 상에 양식대상물이 있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측벽(30)이 한다.
상기 측벽(30)은 또한 상기 그물망(10)과의 연결을 위한 역할도 한다. 상기 측벽(3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통공(32)은 상기 그물망(10)의 연결줄(12) 일부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통공(32)으로 연결줄(12)이 쉽게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벽(30)이 경사지게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측벽(30)이 경사짐에 의해 상기 결합통공(32)이 안착판(20)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하여 상기 측벽(30)의 선단에서 베이스(22)의 중심방향으로 연결줄(12)을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통공(32)으로 연결줄(12)이 쉽게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측벽(30)은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측벽(30)의 선단에는 단부테두리(33)가 있다. 상기 단부테두리(33)는 상기 베이스(22)의 원심방향으로 소정 두께만큼 연장되도록 상기 측벽(30)의 선단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단부테두리(33)에는 상기 결합통공(32)으로 상기 연결줄(12)이 들어갈 수 있는 결합슬릿(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5)은 상기 단부테두리(33)를 통과해서 상기 결합통공(32)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단부테두리(33)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5)은 입구에서 시작해서 상기 결합통공(32)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된다. 이는 결합통공(32)의 내부로는 연결줄(12)이 쉽게 들어가면서도 결합통공(32)에서부터 연결줄(12)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슬릿(35)의 내면은 상기 안착판(20)의 가장자리 외측에서 볼 때, 경사지게 된다. 이를 안내경사면(37)이라고 칭한다. 상기 안내경사면(37)은 상기 결합슬릿(35)의 양측의 것이 상기 결합통공(32)쪽으로 가면서 점차 인접하게 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7) 사이의 간격이 없도록 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약간의 간격이 있도록 되어 있다. 안내경사면(37) 사이의 간격이 없도록, 다시 말해 상기 안내경사면(37)의 일측 단부가 서로 접하여 있도록 되어도 상기 결합통공(32)의 내부로 연결줄(12)이 들어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는 상기 단부테두리(33)의 해당되는 부분이 탄성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슬릿(35) 사이의 최소폭은 상기 안내경사면(37)이 서로 만나서 접촉하여 최소폭이 0으로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더라도 단부테두리(33)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연결줄(12)이 통과가 가능하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통공(32)이 측벽(30)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통공(32)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단부테두리(33)의 안내경사면(37)사이를 통해 연결줄(12)이 결합통공(32)으로 들어갈 때, 측벽(30)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어 연결줄(12)을 결합통공(32)으로 삽입하는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와 도 5에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안착판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안착판(120)은 위의 예와 유사하게 원판으로 된 베이스(122)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1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130)이 있다. 상기 측벽(130)에 결합통공(13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통공(132)은 상기 측벽(130)의 선단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례의 결합통공(132)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결합통공(32)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다. 따라서, 상기 결합통공(132)에 위치되는 연결줄(12)은 안착판(120)에 대해 유동되는 정도가 작다.
본 실시례의 베이스(122) 상면에는 베이스(122)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방사리브(124)가 있다. 여기서의 방사리브(124)는 베이스(122)의 하면에서는 홈형태로 되고, 상면에서는 돌출되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함에 상대적으로 재료는 적게 사용하면서도 베이스(12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방사리브(124)와 교차되게 원형리브(126)도 있다. 상기 원형리브(126)도 베이스(122)의 하면에서는 홈으로 되고 상면에서는 돌출되어 만들어 진다.
통공(128)이 베이스(122)를 관통하여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128)을 통해서 바닷물이 통과하여 베이스(122) 상에 얹어진 양식대상물이 보다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벽(130)의 선단에는 단부테두리(133)가 있는데, 상기 단부테두리(133)는 상기 측벽(130)의 외면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부테두리(133)를 관통하여 결합슬릿(135)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슬릿(135)은 그 입구가 상대적으로 넓고 결합통공(128)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진다. 상기 결합슬릿(135)이 좁아짐에 의해 연결줄(12)의 삽입은 쉬우면서도 연결줄(12)이 결합통공(128)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어렵게 된다. 결합슬릿(135)이 결합통공(128)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것은 안내경사면(137)이 있어서이다. 상기 안내경사면(137)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결합통공(128)으로 연결줄(12)이 들어가는 것이 쉽게 이루어지고, 반대로의 이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된다.
그물망(10)의 연결줄(12)이 상기 결합슬릿(135)을 통과하여 결합통공(128)에 위치되는 것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그물망(10)의 연결줄(12)이 연결되는 매듭(14) 부분 근처가 상기 결합슬릿(135)을 통과해서 결합통공(132)에 있게 되면 매듭(14)에서 시작해서 사다리꼴이 되게 벌어지는 연결줄(12)들이 결합통공(132)의 양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그물망(10)에서 상기 안착판(120)의 위치를 설정해주게 되어 그물망(10)의 상하방향의 특정 위치에 안착판(120)이 위치하게 된다.
도 6에서는 인접하는 결합슬릿(135) 사이에 하나의 매듭(14)이 있도록 하여 분리된 하나의 단부테두리(133)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슬릿(135)에 의해 인접하는 부분과 나누어진 단부테두리(133) 하나에 2개의 그물코(16)가 대응되도록 하면 안착판(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안착판(120)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단부테두리(133)에 있는 매듭(14)의 갯수 즉 그물코(16)의 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양식용 그물망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도 1에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그물망(10)에 설치되는 안착판(20)의 갯수는 양식대상물을 하나의 그물망조립체에서 끼울 수 있는 양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안착판(20)은 상기 그물망(10)의 내부공간을 몇개로 분리하여 양식대상물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서로 간섭받지 않고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중력방향으로 다수개의 안착판(20)을 간격을 두고 그물망(10)에 고정한다. 그리고, 해저에 그물망조립체를 위치시켜서 양식대상물을 양식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그물망(10)에 상기 안착판(20)을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줄(12)을 상기 결합슬릿(35)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32)을 통과하도록 하면 된다. 즉, 작업자가 한 번의 작업으로 상기 연결줄(12)을 결합통공(32)으로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판(20)의 가장자리 둘레에 그물망(10)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대응되는 부분의 매듭(14) 또는 서로 인접한 연결줄(12)을 동시에 상기 결합슬릿(35)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32)으로 밀어넣으면 된다. 상기 매듭(14) 또는 연결줄(12)은 상기 안내경사면(37)을 따라 안내되어 결합통공(32)으로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측벽(30)이 약간 탄성변형될 수 있다.
하나의 안착판(20) 가장자리를 둘러서 모든 결합통공(32)에 연결줄(12)이 통과하도록 되면, 안착판(20)이 그물망(10)을 특정 위치에 결합되어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개의 안착판(20)을 그물망(1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20)에는 양식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인데, 본 고안의 그물망조립체를 해저에 침강시켜서 양식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안착판(20)의 결합통공(32)에 있던 연결줄(12)은 상기 결합통공(32)의 외부로 뺄 수도 있다. 물론, 일정 이상의 힘이 연결줄(12)에 가해져서 상기 결합슬릿(35)의 가장 좁은 틈새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일정 이상의 힘만을 가하면 이 작업은 충분히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끈 등으로 결합하는 것에 비해서 쉽게 안착판(2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그물망 12: 연결줄
14: 매듭 16: 그물코
18: 입구 20: 안착판
22: 베이스 24: 방사리브
26: 보강리브 28: 통공
30: 측벽 32: 결합통공
33:단부테두리 35: 결합슬릿
37: 안내경사면 120: 안착판
122: 베이스 124: 방사리브
126: 보강리브 128: 통공
130: 측벽 132: 결합통공
133:단부테두리 135: 결합슬릿
137: 안내경사면

Claims (6)

  1. 연결줄이 매듭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안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결합통공이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선단에 형성된 단부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테두리를 절단하여 형성되어 상기 결합통공으로 상기 연결줄이 진입하도록 하는 결합슬릿이 구비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릿은 상기 결합통공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릿의 양측 내면인 안내경사면은 상기 결합통공에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틈이 없도록 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형성된 결합통공은 상기 측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형성된 결합통공은 상기 측벽의 상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2020160006840U 2016-11-25 2016-11-25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200485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40U KR200485348Y1 (ko) 2016-11-25 2016-11-25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40U KR200485348Y1 (ko) 2016-11-25 2016-11-25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48Y1 true KR200485348Y1 (ko) 2017-12-26

Family

ID=6125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40U KR200485348Y1 (ko) 2016-11-25 2016-11-25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728B1 (ko) * 2017-10-17 2018-02-27 김대한 패류 양식용 통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0872U (ko) * 1979-12-18 1981-07-20
KR860001055Y1 (ko) * 1984-02-07 1986-05-31 박동민 휴대용 축전지의 주액구 덮개
KR950000111Y1 (ko) * 1992-09-07 1995-01-10 김상수 낚시용 뜰체
KR200401802Y1 (ko) *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101261130B1 (ko) 2011-03-18 2013-05-06 박송범 해삼양식용 그물망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0872U (ko) * 1979-12-18 1981-07-20
KR860001055Y1 (ko) * 1984-02-07 1986-05-31 박동민 휴대용 축전지의 주액구 덮개
KR950000111Y1 (ko) * 1992-09-07 1995-01-10 김상수 낚시용 뜰체
KR200401802Y1 (ko) *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101261130B1 (ko) 2011-03-18 2013-05-06 박송범 해삼양식용 그물망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728B1 (ko) * 2017-10-17 2018-02-27 김대한 패류 양식용 통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188B1 (ko) 인공어초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KR101723269B1 (ko) 방사상의 어초판과 연결다리를 가지는 인공어초
KR200485348Y1 (ko)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100952412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조류의 고정방법
KR100906601B1 (ko)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KR200417710Y1 (ko) 방사형 조림초
KR20130060686A (ko) 해중림 조성용 어초
WO2010009501A1 (en) Marine harvest system
KR102350819B1 (ko) 화로형 인공어초
KR102486215B1 (ko) 굴 양식용 패각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 및 그 스토퍼들이 연결된 스토퍼 카트리지
KR20160092401A (ko) 교체용 황토블럭 인공어초
KR101420984B1 (ko) 방파제 및 어초 기능을 구비하는 수중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2276930B1 (ko) 인공 수초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 매트리스 블록
KR100570938B1 (ko) 인공어초
KR101284049B1 (ko) 계단식 인공어초
US8177596B2 (en) Fishing trawler net resistant subsurface buoy tether system
KR200466021Y1 (ko) 수직벽 녹화용 포트
KR101223413B1 (ko)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
KR20150048031A (ko) 친환경 이중구조 인공어초
KR20140109525A (ko)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335728Y1 (ko)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KR200387099Y1 (ko) 전복 양식집
KR102579436B1 (ko) 양식장용 그물망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