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728B1 - 패류 양식용 통발 - Google Patents

패류 양식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728B1
KR101832728B1 KR1020170166373A KR20170166373A KR101832728B1 KR 101832728 B1 KR101832728 B1 KR 101832728B1 KR 1020170166373 A KR1020170166373 A KR 1020170166373A KR 20170166373 A KR20170166373 A KR 20170166373A KR 101832728 B1 KR101832728 B1 KR 10183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esh
shellfish
protrusion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한
Original Assignee
김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한 filed Critical 김대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양식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바닷물 내 이물질이 트레이에 잔존하여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류에 의해 패류가 한 측으로 쏠려도 패류가 트레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류의 폐사를 방지하고, 포획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및 재사용이 가능한 패류 양식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류 양식용 통발 {TRAP FOR SHELLFISH FARMING}
본 발명은 패류 양식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바닷물 내 이물질이 트레이에 잔존하여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류에 의해 패류가 한 측으로 쏠려도 패류가 트레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류의 폐사를 방지하고, 포획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및 재사용이 가능한 패류 양식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는 포획을 위한 포획용 통발과 종패(種貝)를 넣어 양식 후 성체로 자란 패류를 얻기 위한 양식용 통발을 통해 잡을 수 있다. 이중 양식용 통발은 10 ~ 20 여개의 종패가 높여지는 원판이 복수 개의 층을 이루며, 원판 외측을 감싸 복수 개의 원판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종패가 통발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메쉬 형태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때, 그물망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선행특허문헌 1 및 2와 같이 별도의 측면 트레이를 통해 각 원판간 이격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양식용 통발의 원판은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멍 사이를 바닷물이 통과함으로써 바닷물 내 유기물질이 통발 내부를 돌아다녀 종패가 유기물질을 먹고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양식용 통발은 약 6개월 정도의 기간을 바다 저층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양식기간 동안 저층에 서식하는 파래류, 히드라류, 이끼 등 각종 동물성 및 식물성 이물질 등이 통발 내로 유입되고, 통발의 외내부에 흡착됨으로써 원판 내 구멍이 막히게 된다. 위의 경우 통발 내 잔존하는 이물질들이 썩어 패류가 죽게되고, 양식기간 후에는 통발 내 이물질 제거가 어려워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선행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4136호 (2014.04.10.공고) (선행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5423호 (2014.01.27.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패류가 담긴 트레이에 바닷물 내 이물질이 잔존하여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류에 의해 트레이 내 패류가 한 측으로 쏠려도 트레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류의 폐사를 방지하고, 포획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및 재사용이 가능한 패류 양식용 통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류에 의해 트레이 상부에 구비된 패류가 한측으로 쏠려 패류가 트레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패류 양식용 통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종패를 수용하여 성장시키기 위한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를 다층으로 결합하여 종패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그물망(20)으로 구성되는 패류 양식용 통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는 종패를 수용하고, 이물질만을 배출하기 위해 상면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적층될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각형상의 격자형태로 복수 개의 배출공(111)이 관통형성된 종패 성장부(11) 및 상기 종패 성장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10) 중심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그물망(20)과 결합하는 결합구(13)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걸림턱(12)으로 구성된다.
또한, 결합구(13)에는 상기 걸림턱(12)의 외측면에서 중심측으로 함몰될수록 함몰 너비가 넓어지는 확장부(14)가 형성되고, 그물망(20)은 결합구(13)를 통해 확장부(14)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때, 확장부(14)의 내측에는 상기 확장부(14)에서 결합구(13) 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5)가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그물망사(21)로 매듭진 그물망 매듭(22)이 상기 걸림돌기(15)의 상부에 걸려 상기 트레이(10)가 상기 그물망(20)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구(13)의 배면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4)의 내측에는 상기 트레이(10)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내측돌기(141)가 더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그물망사(21)로 매듭진 그물망 매듭(22)이 상기 내측돌기(141)의 상부에 걸려 상기 트레이(10)가 상기 그물망(20)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종패 성장부(11) 중앙에는 돔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패 성장부(11)는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111)을 구획해주기 위한 그물구조의 경사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돌기(112)는 이물질이 고착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111)으로 이물질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단면이 삼각 또는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턱(12)은 상기 종패 성장부(11)의 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되,
상기 걸림턱(12)에서 상기 종패 성장부(11)로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통발은, 복수 개의 배출공 사이에 경사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부로부터 종패 성장부 상면으로 하강하는 바닷물 내 이물질이 돌기의 상측면을 타고 구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종패 성장부 상측에 이물질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걸림턱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를 통해 그물망이 결합구와 결합된 후에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물망 내 트레이가 고정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그물망 매듭이 걸림돌기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해류에 의해 트레이가 흔들려도 그물망 내에서 트레이가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그물망 밖으로 패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통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단면도 A-A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돌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와 그물망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와 그물망이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패류 양식용 통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통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단면도 A-A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돌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와 그물망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트레이(10)가 그물망(20) 내 층을 이루며 설치된 양식용 통발(1)에 관한 것으로, 종패(種貝)가 트레이(10) 상면에 구비된 상태로 해저면에 설치하여 양식할 수 있는 패류 양식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패류 양식용 통발은 내부에 종패를 수용하여 성장시키기 위한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를 다층으로 결합하여 종패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그물망(20)으로 구성된다.
트레이(10)는 내부에 종패를 수용하여 성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종패 성장부(11) 및 걸림턱(12)으로 구성된다.
종패 성장부(11)는 종패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면에 종패를 구비한 상태로 그물망(20)과 결합하여 종패가 통발 내에서 성장하도록 한다. 이때, 종패 성장부(11)에는 격자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배출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공(111)은 종패를 제외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종패 성장부(1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격자 형태로 복수 개가 구성된다.
이때, 배출공(111)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격자무늬 형태로 배치된 배출공(111)을 통해 종패 성장부(11) 상면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적층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공(111)이 원형 형상일 경우 각 배출공(111)간의 거리가 증가하여 이물질이 적층될 면적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각형상의 배출공(111)의 격자 형태의 배치를 통해 종패 성장부(11) 및 트레이(10) 내 이물질 적층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물질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배출공(111) 사이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공(111)을 구획해주기 위하여 그물 구조를 가지며, 상측으로 돌출된 경사돌기(112)가 형성된다.
경사돌기(112)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돌기(112)의 상부로 하강하는 이물질들이 고착되지 않고, 경사돌기(112)의 상부 경사면을 타고 측면에 위치한 배출공(111)으로 하강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사돌기(112)는 도 5의 A와 같이 각형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상부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처리된 삼각돌기(112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상부 단면이 라운드 처리되어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된 굴곡돌기(112b)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에서 내려오는 바닷물은 화살표 방향과 같이 경사돌기(112)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배출공(111)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바닷물 내 이물질이 배출공(111)으로 관통하지 못해, 종패 성장부(11) 상부에 잔존하여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경사돌기(112)는 도 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일측 방향으로만 돌출된 것이 아닌 횡방향과 종방향 모두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경사돌기(112) 상측으로부터 하강하는 바닷물이 주변에 위치한 배출공(111)으로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트레이(10)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하여도 해류 등으로 인해 트레이(10) 상측에 구비되는 종패의 하중으로 인해 한 측으로 몰릴 수 있다. 이때, 그물망(20)은 측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종패가 개방된 그물망(20)측으로 쏟아져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종패 성장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하부측으로 갈수록 종패 성장부(11) 측으로 기울어진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배출공(111) 및 경사돌기(112)가 형성된 종패 성장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망(20)과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걸림턱(12)은 종패 성장부(11)의 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되, 걸림턱(12)에서 종패 성장부(11) 측으로 향할수록 내부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다.
이러한 걸림턱(12)으로 인해 종패 성장부(11) 상면에 구비되는 종패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걸림턱(17)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2)은 약 40° ~ 60°정도의 외각을 가지는 경사를 갖는다.
또한, 걸림턱(12)에는 배출공(111), 결합구(13), 확장부(14) 및 걸림돌기(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걸림턱(12)에 형성되는 결합구(13), 확장부(14) 및 걸림돌기(15)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구(13)는 결합턱(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가 형성되며, 결합턱(12)의 측면으로부터 트레이(10) 중심측으로 함몰되어 그물망(20)과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구(13)는 트레이(10)의 외측면에서 중심측으로 함몰되어 그물망(20)을 이루는 그물망사(2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구(13)는 외측면에서 중심측으로 함몰될 때 중심측으로 갈수록 함몰 너비가 넓어지는 확장부(14)가 형성되며, 그물망(20)이 결합구(13) 내측으로 끼워진 후에는 다시 결합구(13) 외측으로 그물망(20)이 벗어나지 않도록 결합구(13)의 함몰 너비는 그물망사(21)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구(13)를 통해 확장부(14) 내측으로 인입된 그물망(20)이 의도치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결합구(13)로 그물망(20)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트레이(10) 외측면에서 결합구(13)를 중심으로 함몰폭이 좁아지는 가이드면(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면(131)은 작업자가 그물망(20)을 미세한 결합구(13)로 밀어넣어 확장부(14) 내측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패 성장부(11) 및 걸림턱(12) 중심에는 로프 출입구(18)가 형성되어 로프(도면에 미도시)가 로프 출입구(18)를 관통하여 작업자가 양식용 통발(1)을 로프를 통해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확장부(14)의 내측면에서 트레이(10)의 중심방향측에는 트레이(10)의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걸림돌기(15)는 확장부(14)의 내측에서 확장부(14)에서 결합구(13) 측으로 돌출형성 된다.
도 6의 A와 같이 그물망(20)은 그물망사(21)는 격자무늬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그물망사(21)가 서로 묶여지는 그물망 매듭(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그물망사(21) 및 그물망 매듭(22)은 가이드면(131)을 따라 결합구(13)를 통해 확장부(14) 내측으로 인입하게 된다.
따라서, 인입된 그물망사(21) 및 그물망 매듭(22)은 확장부(14) 내측으로 인입되되, 그물망 매듭(22)가 걸림돌기(15)의 상부에 걸쳐지며, 그물망 매듭(22) 하측에 위치한 그물망사(21)는 걸림돌기(15)의 양 측면쪽으로 각각 위치하면서 그물망 매듭(22)이 걸림돌기(15)에 걸려 트레이(10)가 그물망(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해류에 의해 트레이(10) 상부에 구비된 종패가 한쪽으로 치우쳐 쓰러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트레이(10)가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그물망(20)이 트레이(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10)의 중심은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6)는 돔 형상으로 상측으로 부푼 형태를 가지며, 이는 상측으로부터 하강하는 이물질이 구멍(11)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다.
한편, 결합구(13) 및 확장부(14)의 다른 실시예로 확장부(14) 내측면에 내측돌기(14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와 그물망이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내측돌기(141)는 결합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구(13)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확장부(14)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돌출된 방향은 트레이(10)의 중심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도 7의 A 및 B 참조).
즉, 내측돌기(141)는 결합구(13)의 배면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4) 내측에 트레이(10)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내측돌기(141)는 결합구(13)를 통해 확장부(14) 내측으로 가이드면(131)을 따라 인입되는 그물망(20)은 내측돌기(141)의 상면에 그물망 매듭(22)이 걸리게되고, 한 쌍의 내측돌기(141) 측면으로 그물망사(21)가 위치함으로써 트레이(10)와 그물망(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상술된 걸림돌기(15) 상면에 그물망 매듭(22)이 걸리게 되더라도, 해류에 의해 그물망사(21)가 이동하여 다시 결합구(13) 측으로 이동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내측돌기(141)의 경우 그물망 매듭(22)이 내측돌기(141) 상면에 걸린 경우 상기 그물망 매듭(22)에 연결된 그물망사(21)는 내측돌기(141)의 결합구(13) 양측에 위치하여 결합구(13)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15)와 내측돌기(141)는 실시예의 자세한 설명을 위해 각각 도 6과 7로 나뉘어 설명한 것일 뿐, 단일 트레이(10)에 걸림돌기(15)와 내측돌기(141)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통해 바닷물 내 이물질이 트레이에 잔존하여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류에 의해 종패가 한 측으로 쏠려도 종패가 트레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그물망(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존재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물망사(21)가 서로 격자무늬로 배치되며 각 그물망사(21)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은 서로 묶여서 형성된 그물망 매듭(22)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된 그물망(20) 내부 수용공간에 트레이(10)를 인입하되, 인입된 트레이(10)는 결합구(13)에 의해 그물망(20) 내측에 수평으로 결합고정되고, 상기 트레이(10)의 상부에는 종패를 넣도록 한다. 이러한 트레이(10)가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망(20) 내에 격층을 이루며 구비된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양식용 통발 10: 트레이
11: 종패 성장부 111: 배출공
112: 경사돌기 12: 걸림턱
13: 결합구 14: 확장부
141: 내측돌기 15: 걸림돌기
16: 돌출부 17: 로프 출입구
20: 그물망 21: 그물망사
22: 그물망 매듭

Claims (7)

  1. 내부에 종패를 수용하여 성장시키기 위한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를 다층으로 결합하여 종패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그물망(20)으로 구성되는 패류 양식용 통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는,
    종패를 수용하고, 이물질만을 배출하기 위해 상면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적층될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각형상의 격자형태로 복수 개의 배출공(111)이 관통형성된 종패 성장부(11); 및
    상기 종패 성장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10) 중심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그물망(20)과 결합하는 결합구(13)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걸림턱(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3)에는,
    상기 걸림턱(12)의 외측면에서 중심측으로 함몰될수록 함몰 너비가 넓어지는 확장부(14);가 형성되고,
    그물망(20)은 결합구(13)를 통해 확장부(14)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4)의 내측에는 상기 확장부(14)에서 결합구(13) 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5);가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그물망사(21)로 매듭진 그물망 매듭(22)이 상기 걸림돌기(15)의 상부에 걸려 상기 트레이(10)가 상기 그물망(20)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3)의 배면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4)의 내측에는 상기 트레이(10)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내측돌기(141);가 더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20)을 구성하는 그물망사(21)로 매듭진 그물망 매듭(22)이 상기 내측돌기(141)의 상부에 걸려 상기 트레이(10)가 상기 그물망(20)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패 성장부(11) 중앙에는 돔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패 성장부(11)는,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111)을 구획해주기 위한 그물구조의 경사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돌기(112)는 이물질이 고착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111)으로 이물질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단면이 삼각 또는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2)은 상기 종패 성장부(11)의 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되,
    상기 걸림턱(12)에서 상기 종패 성장부(11)로 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통발.
KR1020170166373A 2017-10-17 2017-12-06 패류 양식용 통발 KR101832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4321 2017-10-17
KR1020170134321 2017-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728B1 true KR101832728B1 (ko) 2018-02-27

Family

ID=6139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373A KR101832728B1 (ko) 2017-10-17 2017-12-06 패류 양식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786A (zh) * 2018-12-05 2019-03-01 大连海洋大学 一种多功能集约化海螺育养捕一体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200485348Y1 (ko) * 2016-11-25 2017-12-26 유금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802Y1 (ko) 2005-08-31 2005-11-22 유금범 채묘연 간격유지용 클립
KR200485348Y1 (ko) * 2016-11-25 2017-12-26 유금범 양식용 그물망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786A (zh) * 2018-12-05 2019-03-01 大连海洋大学 一种多功能集约化海螺育养捕一体笼
CN109392786B (zh) * 2018-12-05 2023-11-03 大连海洋大学 一种多功能集约化海螺育养捕一体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5071B2 (en) Enclosing vegetative sheath
JP6742614B2 (ja) 水産物養殖用トレー及びそれを積層した水産物養殖用トレー積層体
NZ196085A (en) Seedling pot:depending converging strips
US65201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quacultured mussels
US7481025B2 (en) Method and container for growing transplantable plants
EP3704935A1 (e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KR101832728B1 (ko) 패류 양식용 통발
CN109475093B (zh) 改进花盆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JP2001258456A (ja) 蝉幼虫捕獲器
US11540459B2 (en) Plant holder and method
US4449479A (en) Crayfish, harvesting, sheltering and spacing apparatus
KR101716651B1 (ko) 저인망 어업 방지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KR20170013731A (ko) 조식동물 차단용 해초류 이식장치
JP4629708B2 (ja) 貝類の養殖篭
WO2008098724A1 (de) Kulturtopf
US5787641A (en) Excess water shedding and root shaping plant container
JP2842170B2 (ja) 天然植栽用コンテナ及びその連続敷設方法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CN110720414B (zh) 一种海上贻贝养殖收取装置
KR20100042615A (ko) 육묘용 용기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CN1859844B (zh) 捕捉林地、花园和农业害虫的捕集器及其使用方法
NO770213L (no) Anordning for oppdrett av skalldy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