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525A -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525A
KR20140109525A KR1020130021039A KR20130021039A KR20140109525A KR 20140109525 A KR20140109525 A KR 20140109525A KR 1020130021039 A KR1020130021039 A KR 1020130021039A KR 20130021039 A KR20130021039 A KR 20130021039A KR 20140109525 A KR20140109525 A KR 20140109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e
pin
insertion hole
protru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정
Original Assignee
강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정 filed Critical 강미정
Priority to KR102013002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525A/ko
Publication of KR2014010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은, 외주면에 다공질 홀(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상에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부(11) 방향을 향해 패인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어 평면상에서 인접한 블록끼리 삽입부(12)에 돌출부(11)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면 중앙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 측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연결구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연결구삽입홀(14) 사이에 저부까지 관통된 핀삽입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에는 상기 관통홀(1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13)과 연통되고, 외곽에는 상기 핀삽입홀(15)과 연통되는 통로형성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 모서리에는 통로형성홈(16)에 의해 분리되어 저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삽입홀(14) 하단이 위치하는 저부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저부에 어류의 이동 통로가 되는 홈을 형성하되,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도 통로가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활동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통로를 유지하면서도 수평상으로 블록들의 연결이 용이하고, 상하로의 블록들의 적층 및 연결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면에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핀을 설치하여 수초의 식생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류들에 적합한 생태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블록의 모서리에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여 인접한 블록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밀림방지홈이 형성되고, 밀림방지홈에 자갈 등이 충진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FISH INHABITATION BLOCK AND EMBANKMENT BLOCK STRUCTURE OF RIVER USING IT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본 발명은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 저부에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한 홀이 형성되어 블록들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홈과 홀을 통해 상하 좌우로 연통된 공간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어류의 서식 공간 및 산란장으로 활용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에는 수생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수생식물의 생육 환경을 제공하여 하천 정화 및 자연 생태 환경을 제공토록 한,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경사 법면에는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천에 사는 어류가 안전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어소블록을 다단으로 축조한다.
그러나, 종래 축조된 이러한 어소블록은 거의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식물이 자생할 수 없는 상태로 되며, 하천 수위가 자주 가변되기 때문에 어소블록의 상면에 토사를 성토해도 유실되어 식물의 식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이 자생하지 않는 하천은 콘크리트재의 어소블록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자연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어류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어소 블록에 관한 기술로, "수질 정화용 어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하천수질 개선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4905, 특허문헌 1)에는 블록을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하고,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이 전후좌후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1단으로만 설치할 수 있을 뿐, 여러 단으로 적층시켜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1단으로 적층된 구조의 경우 공간에 모래 등이 차게 되면 내부가 막히게 되어 제대로 된 어류의 활동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0554905 (2006.02.17)
본원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 및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저부에 어류의 이동 통로가 되는 홈을 형성하되,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도 통로가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어소 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통로를 유지하면서도 수평상으로 블록들의 연결이 용이하고, 상하로의 블록들의 적층 및 연결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상면에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핀을 설치하여 수초의 식생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류들에 적합한 생태계를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하천의 형태 및 구배가 심한 곳에서도 블록간의 연결이 견고하여 세굴 및 침식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통로가 연결되고, 수초의 서식이 용이하여 어류들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블록의 모서리에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여 인접한 블록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밀림방지홈이 형성되고, 밀림방지홈에 자갈 등이 충진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다공질 홀(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상에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부(11) 방향을 향해 패인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어 평면상에서 인접한 블록끼리 삽입부(12)에 돌출부(11)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면 중앙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 측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연결구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연결구삽입홀(14) 사이에 저부까지 관통된 핀삽입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에는 상기 관통홀(1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13)과 연통되고, 외곽에는 상기 핀삽입홀(15)과 연통되는 통로형성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 모서리에는 통로형성홈(16)에 의해 분리되어 저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삽입홀(14) 하단이 위치하는 저부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어소 블록은 모서리가 45° 각도로 모따기 처리된 경사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블록간에 결합시 맞닿은 면의 모서리에 "∧" 형상의 밀림방지홈(19)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1) 및 삽입부(12)는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장변(11a)과 단변(11b)을 갖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로형성홈(16)은 일측 변의 폭이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11) 단변(11b)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는, 상기 하천 어소 블록이 호안을 따라 설치되어 인접한 하천 어소 블록의 돌출부(11)와 삽입부(12)가 서로 끼워져 맞춤 결합되어 있어 상기 밀림방지홈(19)에 자갈이 채워져 밀림이 방지되고, 하천 어소 블록들이 상하로 층을 이루어 적층되어 있되, 하부 어소 블록의 삽입부(12)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삽입홀(14)에 상부 어소 블록의 돌출부(11) 양측의 연결구삽입홀(14)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한 채 연결부재(20)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부가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권취부(31)와, 상기 권취부(3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사부(32)와, 상기 경사부(32)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취해 핀삽입홀(15) 저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핀부재(3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31)에 로프가 삽입되거나, 수초의 줄기나 뿌리가 감기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태 보호 블록 시공 방법은, 상기 하천 어소 블록을 다수 준비하여 호안을 따라 나란히 설치하되, 인접한 하천 어소 블록의 돌출부(11)와 삽입부(12)가 서로 끼워져 맞춤 결합하고, 상기 밀림방지홈(19)에 자갈이 채워져 밀림을 방지하는 수평연결단계와; 상기 하천 어소 블록들을 상하로 층을 이루어도록 적층하되, 하부 어소 블록의 삽입부(12)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삽입홀(14)에 상부 어소 블록의 돌출부(11) 양측의 연결구삽입홀(14)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하고, 연결부재(20)로 관통시켜 고정하는 적층단계와; 하부가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권취부(31)와, 상기 권취부(3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사부(32)와, 상기 경사부(32)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취해 핀삽입홀(15) 저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핀부재(30)를 구비하는 구비단계와; 일측에 리벳(4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리벳(42)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41)와, 대상물질을 파지하는 두 개의 집게(43a)로 이루어진 머리부(43)로 이루어진 펜치 형상을 취하되, 각 집게(43a)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반원형의 형상을 취하여 내측으로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41)가 수용되는 권취부수용공간(44a)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31) 외주면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44b)의 선단은 외주면 측으로 꺾여 단부에 경사부삽입홈(44c)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부(32)가 관통되는 클램핑부(44)가 구비된 설치장치(40)를 이용하여 핀부재(30)를 파지한 채, 핀삽입홈(15)에 핀부재(30)를 삽입키는 핀부재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저부에 어류의 이동 통로가 되는 홈을 형성하되,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로도 통로가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어소 블록이 제공된다.
더불어, 이러한 통로를 유지하면서도 수평상으로 블록들의 연결이 용이하고, 상하로의 블록들의 적층 및 연결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상면에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핀을 설치하여 수초의 식생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류들에 적합한 생태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천의 형태 및 구배가 심한 곳에서도 블록간의 연결이 견고하여 세굴 및 침식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전후좌우 및 상하로의 통로가 연결되고, 수초의 서식이 용이하여 어류들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블록의 모서리에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여 인접한 블록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밀림방지홈이 형성되고, 밀림방지홈에 자갈 등이 충진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의 상측 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의 저부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이 다수 연결된 상태를 저부측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하천 어소 블록이 연결된 상태를 저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핀부재와 이를 시공하기 위한 설치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을 상면 및 저면에서 나타낸 사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의 수평간, 수직간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에 사용되는 식생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식생블록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 블록이 다수 적층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천 어소 블록(10)은 도시된 사진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공질 홀(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본체(10)는 내구성 및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5nm 입자 크기의 산화 아연 나노입자가 콘크리트 경화의 결정핵체 역할을 하도록 하여 구조물 치밀성을 높이고, 콘크리트 강도가 50% 이상 증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5 ~ 20nm 크기의 금, 은, 백금, 세륨, 텅스텐, 몰리브덴, 코발트, 니켈 등과 같은 금속 나노 입자가 첨가되어 동식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식생 환경 제공에 도움을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소 블록(10)은 평면 형상을 살펴볼 때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부(11) 방향을 향해 패인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어 평면상에서 인접한 블록(10)끼리 삽입부(12)에 돌출부(1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면 중앙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 모서리 측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연결구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연결구삽입홀(14) 사이에 저부까지 관통된 핀삽입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즉, 평면상에서 인접한 어소 블록(10)들이 연결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관통홀(13)을 기준으로 십자의 방향에 위치한 것이 핀삽입홀(15)이며, "×"의 방향으로 위치한 것이 연결구삽입홀(14)인 것이다.
한편, 블록(10) 저부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13)과 연통되고, 외곽에는 상기 핀삽입홀(15)과 연통되는 통로형성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10) 저부 모서리에는 통로형성홈(16)에 의해 분리되어 저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삽입홀(14) 하단이 위치하는 저부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블록(10)은 네 부분의 모서리가 각각 45° 각도로 모따기 처리된 경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18)는 인접한 블록(10)간에 결합시 맞닿은 면의 모서리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 형상의 밀림방지홈(19)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밀림방지홈(19)에는 시공시 자갈을 채워 넣거나 시공 후 자연스럽게 자갈이나 토사가 채워져 길이 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1) 및 삽입부(12)는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장변(11a)과 단변(11b)을 갖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로형성홈(16)은 일측 변의 폭이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11) 단변(11b)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는 두 블록(10)의 서로 맞닿은 삽입부(12)와 돌출부(11) 선단과 밀림방지홈(19) 사이의 거리를 멀리 하면서도 통로의 폭을 넓혀 어류의 이동이 원할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로형성홈(16)의 폭이 좁을 경우 유수에 따라 발생하는 토사나 호안에서 발생되는 토사가 통로형성홈(16)을 부분적으로 막아 통로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폭의 통로를 제공해야 한다.
또, 밀림방지홈(19)에 자갈 등이 끼워져 유수나 인접한 토사에서 발생하는 밀어내는 힘이 커지게 되면서 밀림방지홈(19)으로 점차 토사가 유입되게 되면 인접한 두 블록(10) 사이가 벌어지면서 블록간의 연결이 해제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상호 연결되는 돌출부(11) 및 삽입부(12)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통로형성홈(16)은 일측 변의 폭이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11) 단변(11b)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어소 블록(10)들이 서로 연결 및 적층되어 구성된 본 발명의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은 도 4, 5 및 10, 11을 통해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하천 어소 블록이 호안을 따라 설치되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하천 어소 블록의 돌출부(11)와 삽입부(12)가 서로 끼워져 맞춤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홈(19)에 자갈이 채워져 밀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3, 4에 나타난 것처럼 하천 어소 블록(10)들이 상하로 층을 이루어 적층되어 있되, 하부 어소 블록의 삽입부(12)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삽입홀(14)에 상부 어소 블록의 돌출부(11) 양측의 연결구삽입홀(14)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한 채 연결부재(20)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중간에 직경이 커지는 부분이 있어 상하층의 블록(10) 사이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하로 적층될 경우 하층부의 밀림방지홈(19)과 상층부의 밀림방지홈(19)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주변 토사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잘 움직이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저부의 통로형성홈(16)과 관통홀(13)을 통해 전후좌우로 인접한 블록 사이 및 상하로 인접한 블록 사이가 모두 연통된 구조를 갖게 되어 어류의 산란, 이동 공간이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핀삽입홀(15)에는 자연스럽게 수초 등의 줄기가 관통할 수 있게 되는 바, 수초의 서식 환경도 제공할 수 있으나, 급류 발생시 휩쓸려 유실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수초의 서식 환경을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핀부재를 핀삽입홀(15)에 끼워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권취부(31)와, 상기 권취부(3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사부(32)와, 상기 경사부(32)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취해 핀삽입홀(15) 저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핀부재(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핀부재(30)가 핀삽입홀(15)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수초의 줄기나 뿌리가 자연스럽게 권취부(31)에 감겨 식생을 유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어린 수초가 식재된 로프나,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종묘로프를 준비하여 종묘로프가 권취부(31)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생식물의 생장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법면에 다양한 공지의 식생블록(50)을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시된 식생블록(50)은 중앙에 원형의 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반원형의 홈(52)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바, 이 구멍에 토사를 채워 넣을 경우 자연적인 녹화 형성에 도움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를 위한 시공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수평연결단계
상술한 하천 어소 블록(10)을 다수 준비하여 호안을 따라 나란히 설치하되, 인접한 하천 어소 블록(10)의 돌출부(11)와 삽입부(12)가 서로 끼워져 맞춤 결합하고, 상기 밀림방지홈(19)에 자갈을 채워 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2. 적층단계
상기 하천 어소 블록(10)들을 상하로 층을 이루어도록 적층하되, 하부 어소 블록(10)의 삽입부(12)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삽입홀(14)에 상부 어소 블록(10)의 돌출부(11) 양측의 연결구삽입홀(14)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하고, 연결부재(20)로 관통시켜 고정한다.
3. 구비단계
하부가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권취부(31)와, 상기 권취부(3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사부(32)와, 상기 경사부(32)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취해 핀삽입홀(15) 저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핀부재(30)를 준비한다.
4. 핀부재설치단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리벳(4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리벳(42)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41)와, 대상물질을 파지하는 두 개의 집게(43a)로 이루어진 머리부(43)로 이루어진 펜치 형상을 취하되, 각 집게(43a)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반원형의 형상을 취하여 내측으로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41)가 수용되는 권취부수용공간(44a)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31) 외주면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44b)의 선단은 외주면 측으로 꺾여 단부에 경사부삽입홈(44c)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부(32)가 관통되는 클램핑부(44)가 구비된 설치장치(40)를 준비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핀부재(30)를 파지한 채, 핀삽입홈(15)에 핀부재(30)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부(41)에 로프를 끼워 인접한 블록(10)들의 연결 및 수초의 식생을 도와주도록 할 수도 있다.
10 : 블록 10a : 다공질 홀
11 : 돌출부 11a : 장변
11b : 단변 12 : 삽입부
13 : 관통홀 14 : 연결구삽입홀
15 : 핀삽입홀 16 : 통로형성홈
17 : 저부돌출부 18 : 경사부
19 : 밀림방지홈 20 : 연결부재
30 : 핀부재 31 : 권취부
32 : 경사부 33 : 걸림부
40 : 설치장치 41 : 손잡이부
42 : 리벳 43 : 머리부
43a : 집게 44 : 클램핑부
44a : 권취부수용공간 44b : 가이드홈
44c : 경사부삽입홈 50 : 식생블록
51 : 홀 52 : 홈

Claims (5)

  1. 하천 어소 블록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공질 홀(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상에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부(11) 방향을 향해 패인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어 평면상에서 인접한 블록끼리 삽입부(12)에 돌출부(11)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면 중앙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 측에는 저부까지 관통된 연결구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연결구삽입홀(14) 사이에 저부까지 관통된 핀삽입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에는 상기 관통홀(13)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13)과 연통되고, 외곽에는 상기 핀삽입홀(15)과 연통되는 통로형성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 모서리에는 통로형성홈(16)에 의해 분리되어 저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삽입홀(14) 하단이 위치하는 저부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어소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소 블록은
    모서리가 45° 각도로 모따기 처리된 경사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블록간에 결합시 맞닿은 면의 모서리에 "∧" 형상의 밀림방지홈(19)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1) 및 삽입부(12)는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장변(11a)과 단변(11b)을 갖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로형성홈(16)은 일측 변의 폭이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11) 단변(11b)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어소 블록.
  3.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에 있어서,
    제 2항의 하천 어소 블록이 호안을 따라 설치되어 인접한 하천 어소 블록의 돌출부(11)와 삽입부(12)가 서로 끼워져 맞춤 결합되어 있어 상기 밀림방지홈(19)에 자갈이 채워져 밀림이 방지되고,
    하천 어소 블록들이 상하로 층을 이루어 적층되어 있되, 하부 어소 블록의 삽입부(12)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삽입홀(14)에 상부 어소 블록의 돌출부(11) 양측의 연결구삽입홀(14)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한 채 연결부재(20)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권취부(31)와, 상기 권취부(3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사부(32)와, 상기 경사부(32)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취해 핀삽입홀(15) 저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핀부재(3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31)에 로프가 삽입되거나, 수초의 줄기나 뿌리가 감기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5. 생태 보호 블록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 2항의 하천 어소 블록을 다수 준비하여 호안을 따라 나란히 설치하되, 인접한 하천 어소 블록의 돌출부(11)와 삽입부(12)가 서로 끼워져 맞춤 결합하고, 상기 밀림방지홈(19)에 자갈이 채워져 밀림을 방지하는 수평연결단계와;
    상기 하천 어소 블록들을 상하로 층을 이루어도록 적층하되, 하부 어소 블록의 삽입부(12)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삽입홀(14)에 상부 어소 블록의 돌출부(11) 양측의 연결구삽입홀(14)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하고, 연결부재(20)로 관통시켜 고정하는 적층단계와;
    하부가 개방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권취부(31)와, 상기 권취부(3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경사부(32)와, 상기 경사부(32)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외측으로 꺾인 형상을 취해 핀삽입홀(15) 저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핀부재(30)를 구비하는 구비단계와;
    일측에 리벳(4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리벳(42)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41)와, 대상물질을 파지하는 두 개의 집게(43a)로 이루어진 머리부(43)로 이루어진 펜치 형상을 취하되, 각 집게(43a)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반원형의 형상을 취하여 내측으로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41)가 수용되는 권취부수용공간(44a)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핀부재(30)의 권취부(31) 외주면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44b)의 선단은 외주면 측으로 꺾여 단부에 경사부삽입홈(44c)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부(32)가 관통되는 클램핑부(44)가 구비된 설치장치(40)를 이용하여 핀부재(30)를 파지한 채, 핀삽입홈(15)에 핀부재(30)를 삽입키는 핀부재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방법.
KR1020130021039A 2013-02-27 2013-02-27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40109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39A KR20140109525A (ko) 2013-02-27 2013-02-27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39A KR20140109525A (ko) 2013-02-27 2013-02-27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525A true KR20140109525A (ko) 2014-09-16

Family

ID=5175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039A KR20140109525A (ko) 2013-02-27 2013-02-27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5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493A (zh) * 2015-12-24 2016-03-30 山东大学 一种高可定制型联锁生态护坡砖及其应用
KR102399479B1 (ko) * 2021-10-19 2022-05-18 주식회사 뉴트랜드 수영장의 배수 트렌치 시공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493A (zh) * 2015-12-24 2016-03-30 山东大学 一种高可定制型联锁生态护坡砖及其应用
KR102399479B1 (ko) * 2021-10-19 2022-05-18 주식회사 뉴트랜드 수영장의 배수 트렌치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8447A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20140109525A (ko) 하천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보호 블록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0804706B1 (ko) 친환경적인 황토 식생블록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0597188B1 (ko) 다목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블록 조립체
KR100427564B1 (ko) 초류식생블록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KR101520366B1 (ko) 식생 호안블럭
US20060193694A1 (en) Block for embankment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100392506B1 (ko) 생태블록
CN207436004U (zh) 一种三维立体自嵌套式岸滩生态守护构件
JP2003232026A (ja) 動植物生息水路用のブロック及び動植物生息用水路
KR200386507Y1 (ko) 식생어소블럭
KR102435815B1 (ko)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예방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이안제
KR200250170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02435813B1 (ko)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저감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수중 방파제
KR200410846Y1 (ko) 하천 호안 법면의 12공 탄소블록 및 그 조립구조
KR200410828Y1 (ko) 하천 사면의 조경식생 결속블록
KR200384462Y1 (ko) 모래사장낚시용 낚시추
KR20050077980A (ko) 호안블록 및 블록의 시공방법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JP2003232026A5 (ko)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KR200364351Y1 (ko) 식생 옹벽 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